KR20220057061A -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061A
KR20220057061A KR1020200141888A KR20200141888A KR20220057061A KR 20220057061 A KR20220057061 A KR 20220057061A KR 1020200141888 A KR1020200141888 A KR 1020200141888A KR 20200141888 A KR20200141888 A KR 20200141888A KR 20220057061 A KR20220057061 A KR 2022005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online
module
authoring too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2606B1 (en
Inventor
양은미
Original Assignee
양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은미 filed Critical 양은미
Priority to KR102020014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606B1/en
Publication of KR2022005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face-to-face education, capable of providing an authoring tool to enable anyone to easily produce online lecture content for non-face-to-face education, and an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when a lecture type including at least one among a purpose, a topic and a target for a lecture is inputted, searching for a customized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inputted lecture type to automatically recommend the module as online lecture content;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having a lecture module pool constructed to store a plurality of lecture modules by lecture type, and, when requested for a search by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sharing the constructed lecture module pool.

Description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대면 교육을 위해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that provides an authoring tool that enables anyone to easily create online lecture content for non-face-to-face education, and an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최근 2020년 초부터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에 대한 감염이 전 세계적으로 퍼지면서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 팬데믹(CORONA PANDEMIC)을 선언하였다. 이로 인해 한국은 물론, 전세계의 나라가 사람들간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대면 교육을 선호하고 있다. Recently, since the beginning of 2020,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clared a coronavirus pandemic (CORONA PANDEMIC) as the infection of the corona virus (CORONA VIRUS) has spread around the world. For this reason, not only Korea but also countries around the world prefer non-face-to-face education to minimize human contact.

그러나, 학교나 전문 교육 분야의 종사하는 교사 또는 강사들의 의견을 조사해 본 결과, 실제 이들은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비대면 교육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pinions of teachers or instructors engaged in schools or professional education fields, it was found that they are reluctant to face-to-face education due to difficulties in creating online content.

일반적으로, 교사 및 강사들(이하, '강사'로 통칭함)은 직접 자신이 강의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온라인 강의를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강사들이 촬영 전에 강의할 자료 및 스피치를 미리 준비하여야 하고, 강의시간에 맞춰 동영상을 촬영해야 하며, 촬영된 동영상을 재생 포맷에 맞게 업로드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 촬영 도중 실수 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촬영을 재시도하거나 또는 촬영 후 다시 편집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In general, teachers and instruct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structors') directly record their lectures as videos and produce content for online lectures. The speech must be prepared in advance, the video must be recorded according to the lecture time, and the process of uploading the recorded video according to the playback format must be included. In addition, if a mistake or error occurs during shooting, a cumbersome process of retrying shooting or editing again after shooting must be accompanied.

이처럼, 종래에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교사 또는 강사들의 많은 시간과 노력, 번거로운 제작 과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effort, and cumbersome production process of teachers or instructors are required when producing online lecture content for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e related ar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493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5493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구나 손쉽게 효율적으로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face-to-face education, which provides an authoring tool that enables anyone to easily and efficiently produce online lecture content, and an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There is a purpose.

특히, 본 발명은 새로운 콘텐츠의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제작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동영상에서 강사가 강의할 유형에 적합한 동영상들을 추천하여 재구성하는 것으로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produce a video of new content, but to recommend and reconfigure videos suitable for the type of lecture the instructor will lecture from a myriad of videos that have already been produced so that anyone can easily create online lecture content.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를 제작할 시 강사가 강의할 목적, 대상, 주제 등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하면 입력된 강의 유형에 적합한 동영상, 강의 자료들을 자동 추천하여 정해진 설계구조에 끼워 맞춘 후 하나의 완성된 강의 콘텐츠로 제공해 줌으로써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commends videos and lecture materials suitable for the input lecture type when the instructor inputs a lecture type including the purpose, subject, topic, etc. to be lectured when creating content, fits into a set design structure, and then completes one We want to provide a variety of lecture contents so that you can quickly prepare them by providing them as lecture content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이 입력되면 공유 가능한 강의 모듈 풀을 조회하여 상기 입력된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해주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다수의 강의 모듈을 상기 강의 유형별로 저장한 강의 모듈 풀을 구축해 두고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로부터 조회 요청 시 상기 강의 모듈 풀을 공유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queries the shareable lecture module pool when a lecture typ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urpose of the lecture, the subject, and the subject is input, and the input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lecture modules suitable for lecture types as online lecture contents;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builds a lecture module pool in which a plurality of lecture modules are stored for each lecture type and shares the lecture module pool when a query is requested from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튜브 또는 인터넷 블로그를 포함한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강의 모듈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로부터 조회 요청 시 상기 강의 모듈 풀과 함께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강의 모듈을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to share a lecture module provided through a specific website including YouTube or an Internet blog, and the external server together with the lecture module pool when a query is requested from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You can share the lecture modules provided through .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강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를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고, 각 파트에 상기 입력된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들을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각각 삽입한 후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할 수 있다.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selectably presents a lesson plan structure designed as an opening part for warming up before a lecture, a core lecture part, and a closing part for finishing the lecture, and a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type of lecture entered in each part After inserting each of them in a fitting manner, it can be automatically recommended as one online lecture content.

또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상기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해주는 강의 모듈들에 대하여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can be produced by including only link address information for lecture modules automatically recommended as the online lecture conte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는 강의 유형 입력부; 공유 가능한 다수의 강의 모듈을 조회하여 상기 강의 유형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해주는 강의 모듈 조회부; 상기 강의 모듈 조회부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을 선택하여 조립하는 강의 모듈 조립부; 및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를 통해 조립된 강의 모듈을 포함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강의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cture type input unit for receiving a lecture type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urpose of the lecture, the subject, the subject; a lecture module inquiry unit that inquires a plurality of shareable lecture modules and automatically recommends a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lecture type received through the lecture type input unit; a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for selecting and assembling a lecture module automatically recommended by the lecture module inquiry unit; and a lecture conten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online lecture contents including lecture modules assembled through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강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를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고,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는 상기 강의 모듈 조회부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들을 각 파트에 자동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조립한다.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offers a selectable lesson plan structure designed as an opening part for warming up before a lecture, a core lecture part, and a closing part to finish the lecture, and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is automatically recommended by the lecture module inquiry unit The lecture modules ar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each part and assembled into one online lecture content.

상기 강의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각 파트에 삽입된 강의 모듈에 대하여 자체 영상데이터 대신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생성한다. The lecture content generating unit generates only the link address information instead of its own image data for the lecture module inserted into each part.

또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에서 자동 삽입된 각 파트의 강의 모듈에 대하여 강사 개인이 원하는 강의 모듈로 설정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강의 모듈 수정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the lecture module of each part automatically inserted in the lecture module assembling unit, the lecture module correction unit that provides a lecture module that the individual instructor wants to set and modify; further includes.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사가 강의할 목적, 대상, 주제 등을 포함한 강의 유형만을 입력하면 본 발명의 저작도구가 강의 유형에 적합한 동영상들을 자동 추천하여 제공해 줌으로써 강사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instructor inputs only the lecture type including the purpose, subject, and topic of the lecture, the author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commends and provides videos suitable for the lecture type, so that any instructor can easily create online lecture content. there is an effect

더욱이, 본 발명의 저작도구는 새로운 콘텐츠의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제작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동영상들, 특히 유튜브(YouTube), 블로그 등에서 공유되고 있는 유용한 동영상, 강의 자료를 활용하여 제작함으로써 강사들이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강사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 노력, 번거로운 제작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부담을 해소해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Moreover, the author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duce a video of new content, but uses a myriad of videos that have already been produced, particularly useful videos and lecture materials shared on YouTube, blogs, etc. It has the effect of quickly preparing lecture contents. As a result, the instructor does not need the time, effort, and cumbersome production process required to produce online lecture content, which has a remarkable effect of relieving the burde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저작툴을 강사용뿐만 아니라 학습자용 버전으로도 구현하여, 하나의 저작툴을 통해 강사가 강의 콘텐츠를 제작 및 업로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업로드된 강의 콘텐츠를 학습자가 조회 및 재생할 수 있어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콘텐츠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horing tool capable of producing online lecture contents is implemented not only for instructors but also for learners, so that instructors can create and upload lecture contents through one authoring tool, and at the same time upload lecture contents As the learner can view and reproduce the content, it is effective for service providers to easily manage the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강사용 또는 학습자용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예를 보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강사 또는 학습자의 단말기에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in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configuration of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d into those for instructors or learners.
5 to 7 are user interface screens showing examples of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shown in FIG. 4 .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shown in FIG. 4 in a terminal of an instructor or learner.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online lecture content using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 콘텐츠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The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비대면 교육을 준비하려는 교사 또는 강사(이하, 강사로 통칭함)에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한다.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provides an authoring tool that can easily create online lecture contents to a teacher or instructor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instructor) who wants to prepare non-face-to-face education.

이러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사용 버전의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A)를 의미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학습자용 버전의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B)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refers to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A of the instructor vers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cluding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B of the learner vers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저작앱으로 구현되어 임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및 설치된 후 실행될 수 있다. 저작앱은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나, 온라인 앱스토어(예컨대, 구글스토어, 애플스토어 등) 등을 통해 제공되며, 저작앱이 설치되는 임의 단말기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 노트북, 태블릿 등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그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authoring app, downloaded and installed in any terminal, and then executed. Authoring apps are provided through websites that provide this service or online app stores (eg, Google Store, Apple Store, etc.) If it is a terminal that can be received and installed,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regardless of the type.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연계된다. 따라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다수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동영상 콘텐츠를 조립하는 구성에 의해 강의 콘텐츠를 제작한다.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is linked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as shown in FIG. 1 . Therefore,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receives a plurality of video contents necessary to produce online lecture contents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 and produces lecture contents by assembling the provided video contents.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새로운 콘텐츠의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제작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동영상에서 강사가 강의할 유형에 적합한 동영상을 추천받아 재구성하는 것으로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미 제작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동영상은 콘텐츠 제공 서버(200)를 통해 제공된다.At this time,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reate a video of new content, but recommends a video suitable for the type to be lectured by the instructor from a myriad of videos that have already been produced and reconfigures it. It provides an easy way to create online lecture content. A myriad of videos that have already been produced are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

다시 말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다수의 동영상 즉, 강의 모듈을 강의 유형별로 저장하여 강의 모듈 풀(pool)을 구축해 두고, 기 구축된 강의 모듈 풀을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에게 공유한다. 여기서, 강의 모듈이라 함은 강사 본인 또는 다른 강사에 의해 이미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를 의미한다. 강의 유형은 강의 성격을 특징지을 수 있는 타입을 말하는 것으로, 강의할 목적(예컨대, 지식전달, 역사체험, 건강 관리 등), 주제(TITLE), 대상(예컨대, 어린이, 노인, 여성, 남성 등)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두뇌 트레이닝을 위한 강좌의 경우, 세부적으로 강의 대상은 노인, 강의할 목적 및 주제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 훈련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또는 강의 대상이 어린이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강의할 목적 및 주제로서 기억력, 논리력, 사고력 향상(목적)을 위한 두뇌 훈련 프로그램(주제)이 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stores a plurality of videos, that is, lecture modules for each type of lecture, builds a lecture module pool, and shares the established lecture module pool with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 . Here, the lecture module refers to video content already produced by the instructor or another instructor. Lecture type refers to the type that can characterize the nature of the lecture. The purpose of the lecture (eg, knowledge transfer, historical experience, health care, etc.), the topic (TITLE), and the target (eg, children, the elderly, women, men, etc.) and at least one or more of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ecture for brain training, the target of the lecture in detail is the elderly, and the purpose and topic of the lecture may be a brain training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Alternatively, the subject of the lecture may be children, and in this case, it may be a brain training program (topic) for improving memory, logic, and thinking (purpose) as the purpose and subject of the lecture.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유튜브(YouTube) 또는 다수의 인터넷 블로그 등을 포함한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강의 모듈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서버(22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로부터 조회 요청 시,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기 구축되어 있는 강의 모듈 풀과 함께 외부 서버(220)를 통해 제공받은 강의 모듈을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220 in order to share the lecture module provided through a specific website including YouTube (YouTube) or a number of Internet blogs. Accordingly, when a query is requested from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share the lecture module provided through the external server 220 together with the pre-established lecture module pool.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가 강사로부터 강의 유형이 입력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의해 공유 가능한 강의 모듈 풀(pool)을 조회하여, 입력된 강의 유형에 적합한 최적의 강의 모듈을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해주고, 이에 기초하여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한 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Therefore, in the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queries the shareable lecture module pool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when the lecture type is input from the instructor, The optimal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input lecture type is automatically recommended as online lecture content, and based on this, online lecture content for non-face-to-face education is created and provided to learners.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기 구축된 강의 모듈 풀로부터 최적의 동영상 콘텐츠를 불러 와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튜브 또는 인터넷 블로그를 통해 게재된 유용한 동영상 콘텐츠, 최근 뉴스 동영상, 게임 콘텐츠 등을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으므로, 강의 모듈 풀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강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Moreover, th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create lecture content by retrieving the optimal video content from the lecture module pool previously built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but also provide useful content posted through YouTube or Internet blogs. Since lecture content can be produced using video content, recent news videos, game content, etc.,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lecture material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lecture module poo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강사로부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최적의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해 줌으로써 강사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 노력, 번거로운 제작 과정을 줄여 이에 대한 부담을 해소해준다.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commends an optimal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type of lecture received from the instructor when producing lecture content, so that any instructor can easily create online lecture content and create online lecture content It relieves the burden of this by reducing the time, effort, and cumbersome production process required to make 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의 영상 자체를 삽입하는 대신,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제작함으로써 콘텐츠의 용량이 작은 상태로 업로드 및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데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upload and transmit content with a small capacity by including only link address information instead of inserting the video itself of the automatically recommended lecture module when producing lecture content. It is characterized by

그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in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ssembling configuration of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의 유형 입력부(111), 강의 모듈 조회부(112), 강의 모듈 조립부(113), 강의 콘텐츠 생성부(114), 강의 모듈 수정부(115)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2 ,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includes a lecture type input unit 111 , a lecture module inquiry unit 112 , a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113 , a lecture content generation unit 114 , and a lecture module correction unit (115).

여기서, 강의 콘텐츠는 강의 모듈을 조립하여 제작된 최종 콘텐츠를 의미하며, 강의 모듈은 하나의 콘텐츠이긴 하나 본 발명의 강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작은 범주의 콘텐츠를 의미한다. Here, the lecture content refers to final content produced by assembling lecture modules, and the lecture module refers to content of a small category included in the lectur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is one piece of content.

더욱이, 강의 모듈은 강사 본인 또는 임의 강사에 의해 기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 유튜브 또는 다수의 인터넷 블로그 등과 같은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공유되는 동영상 콘텐츠, 최근 뉴스 동영상, 게임 콘텐츠, 강의와 관련된 과제 또는 공지사항을 포함한 강의 자료 등을 포함한다. Furthermore, the lecture module includes video content previously produced by the instructor or an instructor, video content shared through specific websites such as YouTube or multiple internet blogs, recent news videos, game content, assignments or announcements related to lectures. including lecture materials, etc.

강의 유형 입력부(111)는 강사로부터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공지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강의 대상은 어린이, 강의할 목적은 두뇌트레이닝, 강의 주제는 두뇌 트레이닝을 위한 좌뇌와 우뇌의 균형있는 활동 프로그램, 공지사항은 강의 활동 후 워크북 활동 결과를 사진으로 찍어 업로드하기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lecture type input unit 111 receives a lecture typ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urpose of a lecture, a subject, an object, and an announcement from an instructor. For example, the subject of the lecture is children, the purpose of the lecture is brain training, the lecture topic is a balanced activity program of the left and right brain for brain training, and the notice is to take a picture and upload the workbook activity result after the lecture activity. can

이를 위해 강의 유형 입력부(111)는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공지사항 등 강의 유형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이 사용자 입력 화면으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강의 모듈 조회부(112)로 전달한다.To this end, the lecture type input unit 111 provides a user input screen for inputting lecture types such as the purpose of the lecture, topic, subject, and notice, and transmits the data input from the user input screen to the lecture module inquiry unit 112 . do.

강의 모듈 조회부(112)는 강의 유형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기초하여 공유 가능한 다수의 강의 모듈을 조회한다. 조회 결과, 강의 모듈 조회부(112)는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맞춤형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한다.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에 기 구축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일 수 있으며, 또는 유튜브 또는 다수의 인터넷 블로그 등에 공유되는 동영상 콘텐츠일 수 있다. 또는 게임 콘텐츠, 강의와 관련된 과제, 공지사항 등이 될 수 있다.The lecture module inquiry unit 112 inquires a plurality of shareable lecture modules based on the lecture type received through the lecture type input unit 111 . As a result of the inquiry, the lecture module inquiry unit 112 automatically recommends a customized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received lecture type.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ally recommended lecture module may be video content already built on the server, or may be video content shared on YouTube or multiple Internet blogs. Alternatively, it may be game content, assignments related to lectures, announcements, and the like.

강의 모듈 조립부(113)는 강의 모듈 조회부(112)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을 이용하여 조립한다.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113 is assembled using the lecture module automatically recommended by the lecture module inquiry unit 112 .

구체적으로, 강의 모듈 조립부(113)는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을 그대로 자동 조립할 수 있고, 또는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 리스트에서 선택된 강의 모듈만을 포함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는 제작의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에 불과한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 리스트에 하나의 강의 모듈이 포함된 경우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 그대로를 강의 콘텐츠로 조립하고, 다수의 강의 모듈이 포함된 경우에는 원하는 강의 모듈만 선택하여 조립을 수행하는 것은 자명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113 may automatically assemble the automatically recommended lecture module as it is, or may assemble it including only the lecture module selected from the automatically recommended lecture module list. This is only an additional function for the convenience of production. For example, if one lecture module is included in the automatically recommended lecture module list, the automatically recommended lecture module is assembled as lecture content, and multiple lecture modules are If it is include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elf-evident technique to select only the desired lecture module and assemble it.

일반적으로, 조립은 사전적 의미로 여러 부품을 하나의 구조물로 짜 맞춘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조립 또한 여러 강의 모듈을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짜 맞춘 것을 의미한다. In general, assembling refers to assembling several parts into a single structure in a dictionary meaning, and assembling referred to in this embodiment also means combining several lecture modules into one online lecture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3파트를 짜 맞추어 조립하는 데,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강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에 기초하여 조립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ducing online lecture content, three parts are assembled and assembled. As shown in FIG. 3 , a lesson designed as an opening part for warming up before a lecture, a core lecture part, and a closing part for finishing the lecture Assemble based on plan structure.

즉,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가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를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고, 강의 모듈 조립부(113)는 강의 모듈 조회부(112)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들을 각 파트에 자동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조립한다.That is,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selectively presents a lesson plan structure designed as an opening part, a core lecture part, and a closing part, and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113 is automatically recommended by the lecture module inquiry unit 112. The lecture modules ar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each part and assembled into one online lecture content.

이때, 강의 모듈 조립부(113)는 레슨 플랜 구조의 핵심 강의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만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이 추천될 수도 있다. 이는 핵심 강의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에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정의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오프닝 파트는 최신 뉴스 동영상으로 정의하고 클로징 파트는 일반적인 인사말이 기재된 화면으로 사전 정의해 둠으로써, 핵심 강의 파트의 강의 모듈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의 강의 모듈이 동시에 추천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113 selects only the lectur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ore lecture part of the lesson plan structure, the lectur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art and the closing part may be automatically recommended. In this case, the lecture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core lecture part may define the lecture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and the closing part, or the opening part is defined as the latest news video and the closing part is predefined as a screen with general greetings. Accordingly, the lecture module of the opening part and the closing part can be recommended at the same time just by selecting the lecture module of the core lecture part.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강의 모듈 수정부(115)는 강의 모듈 조립부(113)에서 자동 삽입된 각 파트의 강의 모듈에 대하여 강사 개인이 원하는 강의 모듈로 설정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오프닝 파트에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인 최근 뉴스 동영상이 마음에 들지 않은 경우 자동 추천된 다른 강의 모듈 중 게임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강사가 원하는 강의 모듈을 직접 추천하여 삽입할 수 있고,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에 대하여 임의 강의 모듈을 지정하여 해당 강사가 제작하는 강좌에 대해서는 동일한 오프닝 강의 모듈 및 클로징 강의 모듈이 삽입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lecture module correction unit 115 provides the lecture module of each part automatically inserted in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113 to enable setting and modification of the lecture module desired by the instructor. For example, if you do not like the recent news video, which is a lecture module automatically recommended for the opening part, you can set it as game content among other automatically recommended lecture modules. In addition, the instructor can directly recommend and insert the desired lecture module, and by designating an arbitrary lecture module for the opening part and the closing part, the same opening lecture module and closing lecture module can be set to be inserted in the course produced by the instructor. .

강의 콘텐츠 생성부(114)는 강의 모듈 조립부(113)를 통해 조립된 강의 모듈을 포함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한다. 생성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는 미리보기 기능으로 최종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 내 메모리 또는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도 1의 200)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는 신규 강좌로 업로드되고, 신규 강좌를 신청한 학습자 단말기에 학습자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통해 출력하여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The lecture content generating unit 114 generates online lecture contents including the lecture module assembled through the lecture module assembling unit 113 . The generated online lecture content can be finally confirmed by the preview function, and is stored in the memory within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or in an external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n FIG. 1 ). The stored online lecture content is uploaded as a new course, and is output to the learner's terminal who has applied for the new course through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learners, so that the learner can learn.

한편, 강의 콘텐츠 생성부(114)는 각 파트에 삽입된 강의 모듈에 대하여 자체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신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는 작은 용량 크기로 제작될 수 있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설치한 강사 단말기 또는 학습자 단말기에 크게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the lecture content generation unit 114 may generate the lecture module inserted into each part by including only link address information instead of including its own image data. Accordingly, the online lecture con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with a small capacity size,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greatly burden the instructor terminal or the learner terminal installed with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강사용 또는 학습자용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예를 보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강사 또는 학습자의 단말기에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d into those for instructors or learners, and FIGS. 5 to 7 are user interface screens showing examples of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shown in FIG. ,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shown in FIG. 4 is implemented in a terminal of an instructor or learner.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사용 저작툴(110), 학습자용 클라스툴(120), 게시판 작성툴(130) 등의 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ersions such as the instructor authoring tool 110 , the learner class tool 120 , and the bulletin board writing tool 130 . .

강사용 저작툴(110)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기능을 포함한다. 즉, 강사가 강의할 유형에 대하여 입력하면 입력된 강의 유형에 맞는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하여 비대면 교육에 필요한 강의 콘텐츠를 생성한다. 예컨대, 강사용 저작툴(110)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작할 나의 강좌 이름, 강의 내용, 공지사항, 강의 소개 등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The instructor authoring tool 110 includes the function of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 That is, when the instructor inputs a lecture type, a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input lecture type is automatically recommended to generate lecture content necessary for non-face-to-face education. For example, the authoring tool for instructor 110 provides a user interface screen for inputting a lecture type including the name of my course to be produced, lecture contents, announcements, lecture introduction,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5 .

학습자용 클라스툴(120)은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개설된 강좌 및 강의 목록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강의 목록에서 원하는 강의를 선택하여 수강하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용 클라스툴(120)은 학습자가 선택한 강의에 대한 간략 정보, 예를 들어 나의 강좌, 강의 회차, 공지사항, 오늘의 강좌활동 등을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lass tool 120 for learners is installed in the learner terminal and provides a list of opened courses and lectures, and includes a function of providing learners to select and take a desired lecture from the lecture lis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class tool 120 for learners provides a user interface screen that outputs brief information about the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for example, my course, lecture session, announcement, and today's course activity. can do.

게시판 작성툴(130)은 사진 갤러리 또는 일반 글쓰기 게시판 형태로 강사 또는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진 또는 글 작성이 가능하게 툴을 제공한다. 게시판 작성툴(130)을 통해 강사 및 학습자는 서로 소통할 수 있고 강사 입장에서는 학습자의 학습을 관리할 수 있고 학습자 입장에서는 강사로부터 학습을 관리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는 사진 갤러리 형태로 제공되는 게시판 작성툴을 예로 보여주고 있다. The bulletin board writing tool 130 provides a tool in the form of a photo gallery or a general writing bulletin board so that an instructor or learner can freely write photos or writings. Through the bulletin board writing tool 130,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instructor can manage the learner's learning, and the learner can receive the learning from the instructor. For example, FIG. 7 shows a bulletin board creation tool provided in the form of a photo gallery as an example.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기능에 따라 저작툴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데,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강사 단말기에는 강사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A)로서 강사용 저작툴(110A)과 게시판 작성툴(130A)만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고, 학습자 단말기에는 학습자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B)로서 학습자용 클라스툴(120B)과 게시판 작성툴(130B)만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강사 단말기 및 학습자 단말기 각각에 모든 저작툴(110, 120, 130)을 설치하되 강사 단말기 및 학습자 단말기에 따라 해당 저작툴만 활성화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As such,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different authoring tools according to functions. It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only 110A and the bulletin board writing tool 130A, and the learner terminal includes only the learner class tool 120B and the bulletin board writing tool 130B as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B for learners. will be. Alternatively, all authoring tools 110 , 120 , 130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instructor terminal and the learner terminal, but only the corresponding authoring tool may be activated depending on the instructor terminal and the learner terminal.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강사가 강사용 저작툴(110)을 통해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후 서버에 강의 콘텐츠를 등록한다. 그러면, 학습자들이 학습자용 클라스툴(120)을 통해 해당 강의 콘텐츠를 수강할 수 있다. 즉, 강사용 저작툴(110)을 통해 제작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링크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업로드되고, 학습자용 저작툴(120)을 통해 업로드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면 해당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링크 주소정보로 액세스하여 해당 강의 콘텐츠를 재생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structor creates the online lecture content through the instructor authoring tool 110 and then registers the lecture content in the server. Then, the learners can take the corresponding lecture content through the learner class tool 120 . That is, when the online lecture content produced through the authoring tool for instructor 110 is uploaded based on the link address information, and playback of the online lecture content uploaded through the authoring tool for learner 120 is requested, the link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online lecture content Access the information and play the corresponding lecture content.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providing online lecture content using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먼저 S100 단계에서와 같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사 단말기에 설치되는 강사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A)로 간주할 수 있다.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사로부터 강좌이름,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공지사항 등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는다. First, as in step S100,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may be regarded as an instructor's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A installed in the instructor's terminal.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receives the lecture type including the course name, the purpose of the lecture, the subject, the subject, the announcement, and the like from the instructor.

다음 S11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이 있는지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조회 요청을 한다. In the next step S110,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makes a query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whether there is a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received lecture type.

다음 S120 및 S130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서버 내 기 구축되어 있는 강의 모듈 풀을 조회한 후,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에게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맞춤형 강의 모듈을 추천해준다. 이때,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서버 내 기 구축되어 있는 강의 모듈 풀 뿐만 아니라 유튜브 또는 인터넷 블로그 등을 통해 이미 제공된 강의 모듈들을 포함하여 조회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steps S120 and S13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recommends a customized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type of lecture received from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after inquiring the pool of lecture modules built in the server.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inquire including lecture modules already provided through YouTube or Internet blogs, as well as a pool of lecture modules built in the server.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에서 정의된 레슨 플랜 구조(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클로징 파트)에 기초하여 맞춤형 강의 모듈을 추천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may recommend a customized lecture module based on the lesson plan structure (opening part, core lecture part, closing part) defined in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

다음 S14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자동 추천받은 강의 모듈 목록에서 원하는 강의 모듈을 선택한다. 원하는 강의 모듈은 레슨 플랜 구조에서 핵심 강의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레슨 플랜 구조에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클로징 파트에 각각 삽입될 강의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핵심 강의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오프닝 파트,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추천된다. 또는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next step S140 ,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selects a desired lecture module from the list of lecture modules automatically recommen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 A desired lecture module may be a lecture module to be inserted into a core lecture part in the lesson plan stru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e lesson plan structure, a lecture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the core lecture part, and the closing part, respectively, may be selected. In the former case, when the lecture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core lecture part is selected, the lecture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and the closing part is automatically recommended. Alternatively, the lecture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and the closing part may be preset.

다음 S15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선택된 강의 모듈을 해당 파트에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되도록 조립한다. In the next step S150,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inserts the selected lecture module into the corresponding part and assembles it to become one online lecture content.

예를 들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두뇌트레이닝 강좌의 경우, 오프닝 파트에는 어린이들이 본 강좌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간단한 게임 콘텐츠를 삽입하고, 핵심 강의 파트에는 두뇌트레이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좌뇌 교육, 우뇌 교육에 관한 동영상 콘텐츠를 삽입하고, 클로징 파트에는 좌뇌 및 우뇌 트레이닝을 위한 활동사진을 업로드하도록 요청하는 공지사항을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rain training course for children, simple game contents are inserted in the opening part so that children can focus on the main course, and the core lecture part is a brain training program for left brain education and right brain education. It can be assembled by inserting video content related to it, and inserting a notice requesting uploading of motion pictures for left and right brain training in the closing part.

다음 S16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상기의 조립 과정을 통해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각 파트에 조립된 강의 모듈에 대하여 영상 자체를 포함하지 않고 링크 주소정보만을 포함하여 생성한다. 따라서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용량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next step S160,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creates the online lecture content through the assembling process. In this case,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generates only the link address information without including the image itself for the lecture module assembled in each p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apacity size of the online lecture content.

다음 S17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생성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달하여 업로드를 요청하고 강좌를 개설한다. In the next step S170,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transmits the generated online lecture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to request upload and open the course.

다음 S180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강좌 개설과 함께 해당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업로드한다. In the next step S18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uploads the online lecture content together with the course opening.

이후 S190 단계에서,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가 학습자용 저작툴을 통해 개설된 강좌 목록을 제공하고 이로부터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실행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 요청한다. 이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자체 영상을 포함하지 않고 링크 주소정보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링크로 액세스하기 위한 과정이다. After that, in step S190,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100 installed in the learner terminal provides a list of courses opened through the authoring tool for learners, and when the online lecture content of the course to be taken is executed from i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is requested. do. This is a process for accessing the online lecture content through the link, since it does not contain its own video, but only link address information.

다음 S200 및 S210 단계에서, 학습자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B)가 학습자용 저작툴을 통해 해당 온라인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링크 주소정보로 액세스하여 해당 강의 콘텐츠를 출력한다.In the following steps S200 and S210,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learners 100B accesses the link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online online lecture contents through the learner authoring tool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lecture content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200; 콘텐츠 제공 서버
100A; 강사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100B; 학습자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220; 외부 서버 110; 강사용 저작툴
120; 학습자용 클라스툴 130; 게시판 작성툴
111; 강의 유형 입력부 112; 강의 모듈 조회부
113; 강의 모듈 조립부 114; 강의 콘텐츠 생성부
115; 강의 모듈 수정부
100; online course authoring tool 200; content server
100A;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instructors
100B;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learners
220; external server 110; Authoring tool for instructors
120; Classtool 130 for learners; Bulletin board writing tool
111; lecture type input 112; Lecture module inquiry
113; lecture module assembly 114; Lecture content generator
115; Lecture Module Modification Unit

Claims (10)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이 입력되면 공유가능한 강의 모듈 풀을 조회하여 상기 입력된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해주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다수의 강의 모듈을 상기 강의 유형별로 저장한 강의 모듈 풀을 구축해 두고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로부터 조회 요청 시 상기 강의 모듈 풀을 공유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a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automatically recommending a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input lecture type as online lecture content by inquiring a pool of shareable lecture modules when a lecture type including at least one of purpose, subject, and target is input;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builds a lecture module pool in which a plurality of lecture modules are stored for each lecture type and shares the lecture module pool when a query is requested from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튜브 또는 인터넷 블로그를 포함한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강의 모듈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로부터 조회 요청 시 상기 강의 모듈 풀과 함께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강의 모듈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s to external servers to share lecture modules provided through certain websites, including YouTube or Internet blogs,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query is requested from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the lecture module provided through the external server is shared together with the lecture module poo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강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를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고,
각 파트에 상기 입력된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들을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각각 삽입한 후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is,
A lesson plan structure designed as an opening part for warming up before a lecture, a core lecture part, and a closing part for finishing the lecture is presented optionally,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ecture modules suitable for the input lecture type are inserted into each part in a fitting manner and automatically recommended as one online lecture cont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상기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해주는 강의 모듈들에 대하여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is,
Online lecture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non-face-to-face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ion including only link address information for the lecture modules automatically recommended as the online lecture content.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는 강의 유형 입력부;
공유 가능한 다수의 강의 모듈을 조회하여 상기 강의 유형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해주는 강의 모듈 조회부;
상기 강의 모듈 조회부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을 선택하여 조립하는 강의 모듈 조립부; 및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를 통해 조립된 강의 모듈을 포함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강의 콘텐츠 생성부;
를 포함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a lecture type input unit for receiving a lecture typ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urpose of a lecture, a subject, and an object;
a lecture module inquiry unit for inquiring a plurality of shareable lecture modules and automatically recommending a lecture module suitable for the lecture type received through the lecture type input unit;
a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for selecting and assembling a lecture module automatically recommended by the lecture module inquiry unit; and
a lecture conten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online lecture contents including lecture modules assembled through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face-to-face education, inclu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강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를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고,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는,
상기 강의 모듈 조회부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들을 각 파트에 자동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is,
A lesson plan structure designed as an opening part for warming up before a lecture, a core lecture part, and a closing part for finishing the lecture is presented optionally,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face-to-face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ecture modules automatically recommended by the lecture module inquiry unit ar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each part and assembled into one online lecture cont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각 파트에 삽입된 강의 모듈에 대하여 자체 영상데이터 대신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ecture content generation unit,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face-to-face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lecture module inserted in each part, it is generated by including only link address information instead of its own image dat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모듈은,
강사 본인 또는 임의 강사에 의해 기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 유튜브 또는 다수의 인터넷 블로그를 포함한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공유되는 동영상 콘텐츠, 최근 뉴스 동영상, 게임 콘텐츠, 강의와 관련된 과제 또는 공지사항을 포함한 강의 자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ecture module is
Video content created by the instructor himself or a random instructor, video content shared through YouTube or certain websites including multiple internet blogs, recent news videos, game content, lecture materials including lecture-related assignments or announcements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face-to-face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에서 자동 삽입된 각 파트의 강의 모듈에 대하여 강사 개인이 원하는 강의 모듈로 설정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강의 모듈 수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is,
a lecture module modification unit for providing the lecture module of each part automatically inserted in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to enable setting and modification of the lecture module desired by the instructor;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는,
상기 레슨 플랜 구조에서 핵심 강의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만 선택하면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이 자동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ecture module assembly unit,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face-to-face educa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only the lectur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ore lecture part is selected in the lesson plan structure, the lectur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art and the closing part is automatically recommended.
KR1020200141888A 2020-10-29 2020-10-29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 KR102562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88A KR102562606B1 (en) 2020-10-29 2020-10-29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88A KR102562606B1 (en) 2020-10-29 2020-10-29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061A true KR20220057061A (en) 2022-05-09
KR102562606B1 KR102562606B1 (en) 2023-08-01

Family

ID=8158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888A KR102562606B1 (en) 2020-10-29 2020-10-29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6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405A (en) 2022-08-19 2024-02-28 주식회사 다비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online education ser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975A (en) * 2006-07-28 2008-01-3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oduction system of on-line e-learning text teaching aids using standard template and production method using production system on-line e-learning text teaching aids using the production system
KR20100049142A (en) * 2008-11-03 2010-05-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Online education module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140054936A (en) 2012-10-30 2014-05-09 리아컴즈 주식회사 The method for providing private real-time remote video education service on wire and wireless devices by using authoring tool
KR20150007044A (en) * 2013-07-10 2015-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device, server,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eparing and reproducing contents for digital less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975A (en) * 2006-07-28 2008-01-3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oduction system of on-line e-learning text teaching aids using standard template and production method using production system on-line e-learning text teaching aids using the production system
KR20100049142A (en) * 2008-11-03 2010-05-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Online education module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140054936A (en) 2012-10-30 2014-05-09 리아컴즈 주식회사 The method for providing private real-time remote video education service on wire and wireless devices by using authoring tool
KR20150007044A (en) * 2013-07-10 2015-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device, server,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eparing and reproducing contents for digital less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405A (en) 2022-08-19 2024-02-28 주식회사 다비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online education ser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606B1 (en)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i et al.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student teachers: How the shift to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ffects student teachers’ learning and future teaching in a Chinese context
Kalpokaite et al. Teach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online: a comparison of face-to-face and e-learning ATLAS. ti courses
France et al. Should you be using mobile technologies in teaching? Applying a pedagogical framework
Hemmig et al. The “just for me” virtual library: Enhancing an embedded eBrarian program
Cuff The effect and importance of technology in the research process
KR102562606B1 (en) 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
Graveline Launching a successful copyright education program
Gray Meaningful interaction: toward a new theoretical approach to online instruction
Adebonojo et al. LibGuides to the rescue: The cure for the same old boring papers
Hartman et al. Creating interactive online instruction: The McGoogan Library experience
Gruen et al. Memory quilts and hope chests: Adult learners craft counterstories in their community museum
Doherty et al. Ordering within moral orders to manage classroom trouble
Lombard Translating information literacy: Online library support for ESL students
King et al. User-centered design and reference services in international librarianship: A case study of Nazarbayev University Library
Blake On campus or out of town: how publishing online tutorials can help your patrons
Wheat Supervising for Success: Working with an assistant can help ease—not add to—your responsibilities.
Woodward Podcasting as Pedagogy: Providing More Than Flexibility During Challenging Times
Ehrlich Back to basics: Electronic pedagogy from the (virtual) ground up
Cook Work/shopping:“Disruptive mentorship” and the festival formation of documentary filmmakers
Date I declare that SCREENCAST AS A TECHNOLOGY ENHANCED TEACHING TOOL AT AN OPEN DISTANCE LEARNING UNIVERSITY IN SOUTH AFRICA is my own
McCarty Seminal Articles on e-Learning
Scully Using the Internet as a Multimedia Method of Teaching a Modem Foreign Language to People with Dyslexia
Celik et al. Integrating social media into an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system
Javanalikhikara et al. An Online Educational Platform for New Media Art in Thailand
Stachowiak Teaching in Higher 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