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607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607A
KR20220056607A KR1020200141339A KR20200141339A KR20220056607A KR 20220056607 A KR20220056607 A KR 20220056607A KR 1020200141339 A KR1020200141339 A KR 1020200141339A KR 20200141339 A KR20200141339 A KR 20200141339A KR 20220056607 A KR20220056607 A KR 20220056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lange
air conditioner
ai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호
김강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607A/ko
Publication of KR2022005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2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sulation from the wall or body insulated, e.g. by means of spacers between pipe and heat-insulating materi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insulat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24F1/003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in combination with simultaneous exhaustion of in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핸들링 유닛의 캐비닛 또는 실내기의 케이싱에 내부에 구비되는 단열수단으로서 발포폴리스티렌과 같은 단열 패널을 적용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되, 공기 조화기의 진동 또는 내부 압력 변동 등에 의해서 단열 패널이 캐비닛 또는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효율 저하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에어 핸들링 유닛의 캐비닛 또는 실내기의 케이싱에 내부에 구비되는 단열수단으로서 발포폴리스티렌과 같은 단열 패널을 적용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되, 공기 조화기의 진동 또는 내부 압력 변동 등에 의해서 단열 패널이 캐비닛 또는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효율 저하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체육관 또는 강당 등과 같이 넓은 실내 공간을 냉방하기 위한 에어 핸들링 유닛(AHU: Air Handling Unit)과, 좁은 실내 공간을 개별적으로 냉방하기 위한 실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 핸들링 유닛은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혼합하고, 혼합 공기를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 겸용 공조 유닛으로서,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건물이나 가옥 중 에어 핸들링 유닛이 공조시키는 실내와 별도로 마련된 공조실이나 기계실 등에 설치되거나 실외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에어 핸들링 유닛 및 실내기에는 열교환부가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열교환 성능 및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단열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단열재로서 글래스 울(glass wool)이 상당히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그러나 글래스 울을 단열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글래스 울 소재를 판상으로 가공 및 재단하고, 이를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캐비닛 또는 케이싱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글래스 울 자체의 가공을 위한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 및 접착제를 이용한 결속 후 접착제의 열화에 따른 들뜸이 발생하여 글래스 울과 캐비닛 사이의 틈으로 기류가 인입되어 응축수가 생성되는 문제점이 계속적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글래스 울 소재 자체가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 규제의 대상이 되어, 단열재로서 글래스 울의 사용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글래스 울의 대안으로서 우레탄 소재의 단열판재 또는 발포폴리스티렌 소재의 단열판재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7-251570호에는 외체를 이루는 철판의 내부에 단열재로서 우레탄 판재가 적용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해당 선행기술에 개시된 우레탄 판재는 상측면 및 좌우측면에 배치되는 우레탄 판재 사이의 결합 구조에 의해서 형상이 지지되고,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철판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열재의 지지구조는 개별 우레탄 판재에 대한 가공 비용 및 별도의 결합부재를 가공하는 비용의 추가뿐만 아니라 결합부재를 철판에 부착하는 별도의 제조 공정이 반드시 추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열재인 우레탄 판재 자체에 대한 제조 비용 및 결합부재에 대한 제조 비용의 추가에 따른 전제 제품의 제조 비용 상승이 초래되며, 결합부재를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제조 공정의 추가에 따른 전체 제품의 제조 공정 및 제조 시간의 상승이 초래될 수 밖에 없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7-251570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포폴리스티렌 소재의 단열 패널을 에어 핸들링 유닛 및 실내기의 단열재로서 사용함으로써 단열 성능은 높이되 제조 비용은 절감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 패널을 캐비닛 또는 케이싱에 무접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파스너를 이용하여 접착제 사용에 따른 제품의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어 핸들링 유닛의 캐비닛이 판상의 아우터 패널, 상기 아우터 패널의 내측에 무접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단열 패널, 및 상기 단열 패널을 상기 아우터 패널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스너를 구비하는 복합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패널은 발포폴리스티렌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에어 핸들링 유닛의 단열 성능은 높이되 제조 비용은 절감할 수 있고, 단열 패널을 무접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파스너를 이용함으로써 제품의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합패널은, 상기 단열 패널의 내측에 고정되는 판상의 이너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단열 패널을 동시에 상기 아우터 패널에 고정시킨다.
또한, 냉매와 상기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의 케이싱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복합패널로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아우터 패널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 일단부가 상기 플랜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패널, 상기 단열 패널 및 상기 이너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형상의 스템부, 및 상기 이너 스템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크부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차 두께가 감소되는 경사면과, 상기 이너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과 걸림면은 상기 후크부의 내측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 패널은 상기 후크부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는 전체적으로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또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스템부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후크부를 향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후크부의 상기 걸림면까지의 폭보다 더 작거나 같게 된다.
또한, 상기 파스너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아우터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자성을 갖는 아우터 플랜지, 상기 이너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너 플랜지, 및 일단이 상기 아우터 플랜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너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단열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브릿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단열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형상의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외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플랜지의 센터홀을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1 확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내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플랜지의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이너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 확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플랜지의 중앙홀에는 상기 제1 확장부가 결합하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아우터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아우터 플랜지, 상기 이너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너 플랜지, 및 일단이 상기 아우터 플랜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너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단열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브릿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너 플랜지는, 상기 브릿지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계합하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플랜지와 상기 이너 플랜지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아우터 플랜지와 상기 이너 플랜지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아우터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패널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스크류 부시,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단열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스크류 부시의 중공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스크류 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부시는, 상기 아우터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아우터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부시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류 부시의 삽입이 완료된 추가적인 이동을 저지하는 외면확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부시가 삽입되는 상기 아우터 패널의 체결홀의 내면에는 상기 외면확경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구비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발포폴리스티렌 소재의 단열 패널을 에어 핸들링 유닛 및 실내기의 단열재로서 사용함으로써 단열 성능은 높이되 제조 비용은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단열 패널을 캐비닛 또는 케이싱에 무접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파스너를 이용하여 접착제 사용에 따른 제품의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에어 핸들링 유닛의 캐비닛 또는 실내기의 케이싱에 적용되는 복합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복합패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여 공조된 공기를 토출구(120a)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0)와, 냉매와 외부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기(130)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 공기를 배기 또는 순환시켜 실내 공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120, air handling unit/AHU)과, 실외기(130), 실내기(120) 및 에어 핸들링 유닛(120) 사이로 선택적으로 냉매를 분배하는 냉매 분배 유닛(140)을 포함한다.
이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실내기(12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내기(120), 실외기(130) 및 에어 핸들링 유닛(120) 사이에는 냉매가 순환하며,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실내/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 공간을 공기 조화시킨다.
공기 조화기는 냉매 분배 유닛(140)과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20)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60)와, 냉매 분배 유닛(140)과 에어 핸들링 유닛(120)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를 팽창 시키는 팽창 밸브(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핸들링 유닛(120)은 실내공기(RA; room air)가 흡입되는 제1 흡입덕트(114a), 흡입된 실내공기(RA)를 실외로 배기(EA; exhaust air)로서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덕트(114b) 및, 제1 흡입덕트(114a) 및 배기덕트(114b) 사이에 배치되며, 제1 흡입덕트(114a) 측에서 배기덕트(114b) 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터보팬(113)을 구비한 순환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핸들링 유닛(120)은 실외 공기(OA; outdoor air)를 흡입하는 제2 흡입덕트(116a)와, 흡입된 실외 공기(OA)를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덕트(116b), 제2 흡입덕트(116a) 및 송풍덕트(116b)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터보팬(113)을 구비한 송풍기(115), 제2 흡입덕트(116a)를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OA)를 정화시키는 여과부(119), 여과부(119)를 거친 공기를 냉배 분배 유닛(140)으로부터 분배된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17) 및, 열교환기(117)와 열교환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119), 열교환기(119) 및, 습도조절부(118)는 반드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순서로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배치순서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에어 핸들링 유닛(120)은 열교환기(117) 대신에 가스 히트펌프(GHP; gas heat pump), 전기 구동식 히트펌프(EHP; electric heat pump) 또는 지열원 열펌프(GSHPs; ground source heat pump) 등의 각종 열원을 이용하여 흡입된 실외공기(RA)를 열교환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에어 핸들링 유닛(120)에 의해 실내 공기가 조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송풍기(115)의 터보팬(113)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흡입 및 송풍력에 의해 실외공기 제2 흡입덕트(116a)를 통해 실외공기(OA)가 흡입되게 되고, 흡입된 실외공기(OA)는 여과부(119)를 거치면서 먼지 등이 제거되고, 열교환기(117)을 거치면서 열교환되고, 습도조절부(118)를 거치면서 습도가 조절된 후, 송풍덕트(116b)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순환기(112)의 터보팬(113)이 회전하면, 제1 흡입덕트(114a)를 통해 실내공기(RA)가 흡입된 후, 배기덕트(114b)를 통해 배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즉, 에어 핸들링 유닛(120)은, 탁한 실내공기(RA)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OA)를 여과 과정, 열교환 과정 및, 습도조절 과정을 거치면서 공조시켜, 공조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토출공기(SA; supply air)에 의해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고,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에어 핸들링 유닛(120)과 실내기(120)는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때문에 열교환 손실을 줄이고 열교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열교환이 수행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단열 수단이 필요하다.
종래 단열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글래스 울 소재 또는 우레탄 소재를 패널 또는 판상 형태로 가공하여 에어 핸들링 유닛(120)의 캐비닛(111) 또는 실내기(120)의 케이싱(121)의 내부에 부착 또는 고정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글래스 울 소재는 또는 우레탄 소재는 그 자체로 고가의 소재에 해당하며, 이들 글래스 울 소재는 또는 우레탄 소재로 구성되는 단열재를 에어 핸들링 유닛(120)의 캐비닛(111) 또는 실내기(120)의 케이싱(121)에 부착 또는 고정하는 수단 및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열재로서 저가이면서도 높은 단열 성능을 갖는 발포폴리스티렌 소재를 사용하되 무접착 방식으로 캐비닛(111) 또는 케이싱(12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핸들링 유닛(120)의 캐비닛(111) 또는 실내기(120)의 케이싱(121)은,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판상의 아우터 패널(210)과, 아우터 패널(210)의 내측에 무접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단열 패널(230)과, 단열 패널(230)의 내측에 고정되는 판상의 이너 패널(220)과. 단열 패널(230) 및 이너 패널(220)을 아우터 패널(210)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스너(240)를 구비는 복합 패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우터 패널(210)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에어 핸들링 유닛(120) 또는 실내기(120)의 외체를 형성한다.
아우터 패널(21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를 판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는 예시적으로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아우터 패널(2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아우터 패널(21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복합패널(200)은, 후술하는 단열 패널(230) 및 이너 패널(220)과 함께 미리 조립되어 모듈화되어 타 구성물에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아우터 패널(210)의 본체패널(211)의 상하, 좌우 테두리측에는 본체패널(211)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타 구성물로의 조립을 위한 벤딩부(212)가 형성된다.
각각의 벤딩부(212)에는 체결수단, 바람직하게는 볼트 등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볼트홀(212h)이 다수 형성된다.
또한, 본체패널(211)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파스너(240)가 각각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체결홀(211h)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총 5개의 체결홀(211h)이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체결홀(211h)의 개수는 아우터 패널(210) 및 단열 패널(230)의 사이즈 및 요구되는 단열 성능에 따라 조절가능한 구성에 해당한다.
단열 패널(230)은 비교적 경량임과 동시에 저가이면서 높은 단열 성능을 갖는 발포폴리스티렌 소재로 형성된다.
도 2에는 단열 패널(230)이 대략 일정한 두께를 갖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단열 패널(230)의 두께는 부분적으로 다르게, 예를 들면 국지적으로 단열 효과가 더 요구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단열 패널(230)은 아우터 패널(210)의 내측면을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사이즈가 결정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예시적으로 단열 패널(230)이 아우터 패널(210)을 내측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단열 패널(230)은 무접착 방식으로 아우터 패널(2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즉, 접착제를 사용하여 단열 패널(230)의 고정시 접착제의 열화에 따른 단열 패널(230)의 분리 또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게 위해 단열 패널(230)은 접착제가 아닌 다른 물리적 수단, 즉 후술하는 복수의 파스너(240)를 통해 고정된다. 단열 패널(230)에는 복수의 파스너(240)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홀(231h)이 형성된다.
이너 패널(220)은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갖는 단열 패널(230)을 내부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너 패널(220)은, 아우터 패널(210)과 마찬가지로 아우터 패널(21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를 판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예시적으로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이너 패널(22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이너 패널(22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너 패널(220)은 단열 패널(23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단열 패널(23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도록 단열 패널(230)의 내측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이너 패널(220)에는 아우터 패널(210)의 체결홀(211h) 및 단열 패널(230)의 관통홀(231h)과 대략 동심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홀(221h)이 형성된다.
한편, 이너 패널(220)은 요구되는 제품의 사양 또는 규격에 따라 생략가능한 구성에 해당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시적으로 이하에서는 이너 패널(220)이 구비되는 복합패널(20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파스너(240)는,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을 일체적으로 그리고 무접착 방식으로 아우터 패널(210)의 내측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파스너(240)는 각각 단열 패널(230)의 관통홀(231h)과 이너 패널(220)의 체결홀(221h)을 동시에 관통하여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파스너(240)에 관한 실시예에 따라 아우터 패널(210)에 형성된 체결홀(211h)까지 동시에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파스너(24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1)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1)는, 아우터 패널(2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2411)와, 일단부가 플랜지(24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스템부(2413)와, 스템부(2413)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부(2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1)는, 아우터 패널(2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아우터 패널(210)에 결합된다.
플랜지(2411)는 아우터 패널(210)에 형성된 체결홀(211h)의 내경(R3)보다 더 큰 외경(R1)을 갖는 원판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후술하는 스템부(2413)가 아우터 패널(210)의 체결홀(211h), 단열 패널(230)의 관통홀(231h) 및 이너 패널(220)의 체결홀(221h)을 관통한 상태로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의 조립이 완료되면 플랜지(2411)는 아우터 패널(21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파스너(241)의 외측 단부는 플랜지(2411)에 의해 지지되고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플랜지(2411)의 내부 중앙 측에는 원형의 홈부(2411a)가 형성된다. 즉, 플랜지(2411)의 중앙 측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우터 패널(210)의 체결홀(211h)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아우터 패널(210)의 내측을 향해 파여있는 형상이 된다.
스템부(2413)는, 일단이 플랜지(2411)에 일체로 연결되며 타단이 후술하는 후크부(2412)에 일체로 연결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스템부(2413)는 전체적으로 아우터 패널(210)의 체결홀(211h), 단열 패널(230)의 관통홀(231h) 및 이너 패널(220)의 체결홀(221h)을 모두 관통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스템부(2413)의 삽입 시에 아우터 패널(210)의 체결홀(211h), 단열 패널(230)의 관통홀(231h) 및 이너 패널(220)의 체결홀(221h)에 대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스템부(2413)의 외경은 아우터 패널(210)의 체결홀(211h), 단열 패널(230)의 관통홀(231h)의 내경(R4) 및 이너 패널(220)의 체결홀(221h)의 내경보다는 더 작게 형성된다.
한편, 후크부(2412)는 스템부(2413)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너 패널(220)의 내측면과 걸림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후크부(2412)는 이너 패널(220)의 체결홀(221h)을 통과한 후에 외경(R2)이 확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후크부(2412)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차 두께가 감소되는 경사면(2412b)과, 이너 패널(2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걸림면(2412c)을 구비한다.
이 때, 전체적으로 높은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412b)과 걸림면(2412c)은 후크부(2412)의 내측단부(2412a)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1)는 스템부(2413)의 바닥면(2413c)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리브(2413b)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리브(2413b)는 스템부(2413)의 바닥면(2413c)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스템부(2413)의 내주면(2413a)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중공 형상의 스템부(2413)의 후크부(2412)는 자유단이 되는 스템부(2413)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단 역할을 하는 보강리브(2413b)를 스템부(2413)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고정단과 자유단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방식으로 후크부(2412)에 대한 복원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리브(2413b)가 스템부(2413)의 바닥면(2413c)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h1)는 스템부(2413)의 바닥면(2413c)으로부터 후크부(2412)의 걸림면(2412c)까지의 폭(h2)보다 더 작거나 같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 쌍의 보강리브(2413b)가 돌출되는 길이가 너무 크게 되면 후크부(2412)의 삽입이 어렵게 되고, 한 쌍의 보강리브(2413b)가 돌출되는 길이가 너무 작게 되면 후크부(2412)의 체결력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1)는 단열 패널(230) 및 이너 패널(220)의 체결 후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2)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2)는, 아우터 패널(2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자성을 갖는 아우터 플랜지(2421)와, 이너 패널(2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너 플랜지(2422)와, 일단이 아우터 플랜지(24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너 플랜지(2422)에 연결되며,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브릿지부(2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플랜지(2421)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아우터 패널(2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아우터 플랜지(2421)는 소정의 자성을 갖도록 구성되며 직접 아우터 패널(210)의 내측면에 자력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아우터 패널(210)에 체결홀(211h)을 형성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디스크 형상을 갖는 아우터 플랜지(2421)의 중앙 측에는 센터홀(2421h)이 형성되며, 센터홀(2421h)을 통해 후술하는 브릿지부(2423)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때, 센터홀(2421h)에는 브릿지부(2423)의 제1 확장부(2423a)와 걸림을 형성하는 단차부(2422)가 형성된다.
이너 플랜지(2422)는 이너 패널(2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너 패널(2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너 플랜지(2422)는 아우터 플랜지(2421)와 유사하게 디스크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너 패널(220) 및 단열 패널(2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부(2423)는, 아우터 플랜지(2421)와 이너 플랜지(242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아우터 플랜지(2421)와 이너 플랜지(2422) 사이에서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브릿지부(2423)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상으로 가공된다. 다만, 양단부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2423)의 중앙 측의 내경은 더 좁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2423)는,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연장부(2423c)와, 연장부(2423c)의 외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아우터 플랜지(2421)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아우터 플랜지(2421)에 결합되는 제1 확장부(2423a)와, 연장부(2423c)의 내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너 플랜지(2422)의 내부에 매립되어 이너 플랜지(2422)에 결합되는 제2 확장부(2423b)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후크 형태로 아우터 플랜지(2421)의 센터홀(2421h)에 결합하는 제1 확장부(2423a)에 대한 복원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2423)의 중앙 측의 내경은 더 좁게 형성된다.
한편, 연장부(2423c)의 내측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경되는 제2 확장부(2423b)는 이너 패널(220)에 대한 지지 면적을 증가시켜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3)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3)는, 아우터 패널(2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아우터 플랜지(2431)와, 이너 패널(2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너 플랜지(2432)와, 일단이 아우터 플랜지(24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너 플랜지(2432)에 연결되며,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브릿지부(24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 실시예의 아우터 플랜지(2431)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우터 패널(210)에 매립된 상태가 된다. 이에 대응하여 아우터 패널(210)에는 아우터 플랜지(243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아우터 패널(210)의 홈부로의 삽입은 용이하되 이탈은 용이하지 않도록 아우터 플랜지(2431)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아우터 플랜지(2431)의 내부 중앙 측에는 원형의 홈부(2431a)가 형성된다.
이너 플랜지(2432)는 이너 패널(2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너 패널(2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너 플랜지(2432)는 이너 패널(220) 및 단열 패널(2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아우터 플랜지(2431)와 동일하게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플랜지(2432)는 후술하는 브릿지부(2433)의 내부로 연장되는 삽입부(2432a)를 구비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2433)가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을 관통하여 연장된 상태에서 이너 플랜지(2432)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부(2432a)가 브릿지부(2433)의 내부로 도입되어 브릿지부(2433)의 내부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브릿지부(2433)와 삽입부(2432a)의 체결을 위해서, 삽입부(2432a)의 외주면에는 외주방향으로 걸림홈(2432b)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걸림홈(2432b)에는 후술하는 브릿지부(2433)의 내측돌기(2433b)가 계합된다.
브릿지부(2433)는, 아우터 플랜지(2431)와 이너 플랜지(243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아우터 플랜지(2431)와 이너 플랜지(2432) 사이에서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브릿지부(2433)는 아우터 플랜지(2431) 및 이너 플랜지(2432)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상으로 가공된다. 브릿지부(2433)의 외측단부는 단열 패널(230)에 대한 지지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확장부(2433a)가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브릿지부(2433)의 내주면에는 이너 플랜지(2432)의 삽입부(2432a)에 형성되는 걸림홈(2432b)에 계합하는 내측돌기(2433b)가 형성된다.
내측돌기(2433b)는 브릿지부(2433)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불연속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4)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244)는, 아우터 패널(210)을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패널(210)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스크류 부시(2441)와, 이너 패널(220)과 단열 패널(230)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스크류 부시(2441)의 중공부(2441c)에 형성된 암나사부(2441d)에 나사결합하는 스크류 볼트(24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부시(2441)는,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이 조립되기 전에 먼저 아우터 패널(210)의 체결홀(211h)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때, 스크류 부시(2441)는 단순 압입에 의해서 아우터 패널(210)에 고정되거나,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크류 부시(2441)가 나사결합되는 경우에는 스크류 부시(2441)의 부시본체(2441a)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아우터 패널(210)의 체결홀(211h)의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부시본체(2441a)의 외측면에는 내측 단부측에 인접하여 외면확경부(2441b)가 형성된다. 외면확경부(2441b)는 아우터 패널(210)의 체결홀(211h)에 형성된 걸림턱(211hs)에 계합하여 부시본체(2441a)를 정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부시본체(2441a)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441c)에는 후술하는 스크류 볼트(2442)의 수나사부(2442c)가 계합하는 암나사부(2441d)가 형성된다.
스크류 볼트(2442)는,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구성이 적용 가능하다. 즉, 스크류 볼트(2442)는 단열 패널(230)와 이너 패널(220)을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너 패널(220)의 체결홀(211h)을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볼트헤드(2442a)를 구비한다.
또한, 스크류 볼트(2442)는 단열 패널(230)과 이너 패널(22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볼트스템(2442b)을 구비하고, 볼트 스템의 단부에는 스크류 부시(2441)의 암나사부(2441d)에 계합하는 수나사부(2442c)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공기조화기 120: 에어 핸들링 유닛
111: 캐비닛 120: 실내기
130: 실외기 200: 복합패널
210: 아우터 패널 220: 이너 패널
230: 단열 패널 240, 241, 242, 243, 244: 파스너

Claims (16)

  1.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 공기를 배기 또는 순환시켜 실내 공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의 캐비닛은,
    판상의 아우터 패널;
    상기 아우터 패널의 내측에 무접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단열 패널; 및
    상기 단열 패널을 상기 아우터 패널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스너;
    를 구비하는 복합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패널은 발포폴리스티렌 소재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2. 제1 항에서,
    상기 복합패널은, 상기 단열 패널의 내측에 고정되는 판상의 이너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단열 패널을 동시에 상기 아우터 패널에 고정시키는 공기 조화기.
  3. 제1 항에서,
    냉매와 상기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의 케이싱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복합패널로서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
  4. 제2 항에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아우터 패널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
    일단부가 상기 플랜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패널, 상기 단열 패널 및 상기 이너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형상의 스템부; 및
    상기 이너 스템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부;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5. 제4 항에서,
    상기 후크부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차 두께가 감소되는 경사면과, 상기 이너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과 상기 걸림면은 상기 후크부의 내측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6. 제5 항에서,
    상기 이너 패널은 상기 후크부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는 전체적으로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공기 조화기.
  7. 제5 항에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스템부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후크부를 향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후크부의 상기 걸림면까지의 폭보다 더 작거나 같게 되는 공기 조화기.
  8. 제5 항에서,
    상기 파스너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9. 제2 항에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아우터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자성을 갖는 아우터 플랜지;
    상기 이너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너 플랜지; 및
    일단이 상기 아우터 플랜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너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단열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브릿지부;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9 항에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단열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형상의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외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플랜지의 센터홀을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1 확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내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플랜지의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이너 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 확장부;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10 항에서,
    상기 아우터 플랜지의 중앙홀에는 상기 제1 확장부가 결합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12. 제2 항에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아우터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아우터 플랜지;
    상기 이너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너 플랜지; 및
    일단이 상기 아우터 플랜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너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단열 패널과 상기 이너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브릿지부;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12 항에서,
    상기 이너 플랜지는, 상기 브릿지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계합하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돌기가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14. 제12 항에서,
    상기 아우터 플랜지와 상기 이너 플랜지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아우터 플랜지와 상기 이너 플랜지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15. 제2 항에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아우터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패널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스크류 부시; 및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단열 패널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스크류 부시의 중공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스크류 볼트;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6. 제15 항에서,
    상기 스크류 부시는, 상기 아우터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아우터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 부시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류 부시의 삽입이 완료된 추가적인 이동을 저지하는 외면확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부시가 삽입되는 상기 아우터 패널의 체결홀의 내면에는 상기 외면확경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200141339A 2020-10-28 2020-10-28 공기 조화기 KR20220056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39A KR20220056607A (ko) 2020-10-28 2020-10-28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39A KR20220056607A (ko) 2020-10-28 2020-10-28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607A true KR20220056607A (ko) 2022-05-06

Family

ID=8158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339A KR20220056607A (ko) 2020-10-28 2020-10-28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66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570A (ja) 1995-12-29 1997-09-22 Lg Sanden Kk 自動販売機の断熱パネル組立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570A (ja) 1995-12-29 1997-09-22 Lg Sanden Kk 自動販売機の断熱パネル組立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1292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設置構成
KR20170135503A (ko) 팬 가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외기
KR20220056607A (ko) 공기 조화기
CN111457481B (zh) 空调室外机
US7191616B2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and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using it
KR101123323B1 (ko) 공기 조화기
US11920831B2 (en) Heating unit with a partition
CN111811124A (zh) 分隔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US6401476B1 (en)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US20210123649A1 (en) Divider panel for hvac system
KR100436928B1 (ko) 적층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
KR100390220B1 (ko) 벽걸이형 실내기의 횡단류팬
US11781781B2 (en) Line of sight blocking grille assembly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CN212339584U (zh) 分隔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0511999B1 (ko) 개선된 덕트 연결구조를 갖는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캐비닛
US11598551B2 (en) Air grille for an HVAC system with a collapsible filter holder
KR200312148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서비스밸브 장착구조
KR200334434Y1 (ko) 에어컨 실외기의 프론트 패널
CN211650468U (zh) 室内机以及空调机
KR200334432Y1 (ko) 에어컨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
KR101264777B1 (ko) 공기조화기
KR100293791B1 (ko) 분리형에어콘의실내기고정장치
KR10056551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밸브서포트
KR100293792B1 (ko) 멀티형룸에어콘의실내기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