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411A -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 Google Patents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411A
KR20220056411A KR1020200140968A KR20200140968A KR20220056411A KR 20220056411 A KR20220056411 A KR 20220056411A KR 1020200140968 A KR1020200140968 A KR 1020200140968A KR 20200140968 A KR20200140968 A KR 20200140968A KR 20220056411 A KR20220056411 A KR 2022005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leveler
precast
lower reinforcing
ba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2923B1 (en
Inventor
송재혁
Original Assignee
송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혁 filed Critical 송재혁
Priority to KR102020014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923B1/en
Publication of KR2022005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4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cast concret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n upper rebar provided in an upper precast; a base holder provided in the upper precast, combined with an end of the upper rebar, and having a lower rebar housing part formed therein; a lower rebar provided in a lower precast with an end exposed, and having the end inserted into the lower rebar housing part; a leveler combined with the end of the lower rebar, housed in the lower rebar housing part, and coming in contact with a support surface of the base holder; an adjustment member provided on the leveler to rotate the leveler; and a fixing cap penetrating the lower rebar, combined with an end of the base holder, and coming in contact with the level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constructability.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coupling for precast concrete}Precast concrete coupling device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철근을 하부 철근에 견고하게 지지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nd to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firmly supporting an upper reinforcing bar to a lower reinforcing bar and improving workability.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는 공장 등 일정 시설에서 기둥, 보, 벽체, 바닥판 등의 건설부재를 철제 거푸집으로 만들어 양생시킨 기성 콘크리트 제품이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공법을 PC공법이라고 하며,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 및 강도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제작되므로, PC공법 적용 시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을 갖는다.Precast concrete (PC) is a ready-made concrete product obtained by curing construction members such as columns, beams, walls, and floor plates in iron formwork in certain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ch precast concrete is called the PC method, and since precast concrete is manufactured with a certain standard and strength in a factory,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quality is maintained constant when the PC method is applied.

하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복수개 배근되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기둥, 보, 벽체, 바닥판, 옹벽 등을 제작한다. In one precast concret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side the concrete, and the reinforcing bars of each precast concre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produce columns, beams, walls, floor plates, retaining walls, and the like.

도 1은 일정 규격으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연결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프리캐스트(PC1)에는 슬리브(SV)가 구비되고,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내부에 구비된 상부 철근(10)에 슬리브(SV)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내부에는 하부 철근(20)이 구비되어 있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wall by connecting precast concrete manufactured to a certain standard. Referring to FIG. 1 , a sleeve SV is provided in the upper precast PC1 , and the sleeve SV is coupled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provided inside the upper precast PC1 . In addition,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precast PC2.

이때,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결합하는데, 슬리브(SV)에 하부 철근(20)을 삽입하고, 슬리브(SV)가 하부 철근(20)에 지지되게 한 상태에서,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몰타르(M)(mortar)를 충진시켜 프리캐스트 벽체를 제작한다. 이 경우, 몰타르(M)가 경화되는데 3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며, 몰타르(M)의 경화가 완료되면 프리캐스트 벽체가 완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recast (PC1) is coupled to the lower precast (PC2),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sleeve (SV), and the sleeve (SV) is supported by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A precast wall is manufactured by filling mortar (M) between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In this case, it takes about 3 weeks for the mortar (M) to harden, and when the hardening of the mortar (M) is completed, the precast wall is completed.

이때, 슬리브(SV)의 충진구(SV2)를 통해 슬리브(SV) 내부로 몰타르(M)가 충진되는데, 슬리브(SV)에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벤트홀(SV1)이 형성되어 있으나 내부의 공기가 벤트홀(SV1)로 완전히 배출되지 않아, 슬리브(SV) 내부에 몰타르(M)가 완전히 충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리캐스트 벽체의 결합강도가 저하되어 내구연한이 감소되며, 향후 붕괴 등의 안전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At this time, the mortar M is filled into the sleeve SV through the filling hole SV2 of the sleeve SV, and the sleeve SV has a vent hole SV1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but Since air is not completely discharged into the vent hole SV1, the mortar M may not be completely filled in the sleeve SV. In this cas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precast wall is lowered, the durability life is reduced, and safety problems such as collapse may occur in the future.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아, 하부 프리캐스트(PC2) 제작 시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배치된 일부 하부 철근(20)들의 단부(21)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부 철근(20)을 일정 길이로 절단 시 절단력에 의해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만곡되기도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ends 21 of some lower reinforcing bars 20 disposed in the lower precast PC2 may not be dispos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when the lower precast PC2 is manufactured.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cut to a certain length,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curved by the cutting force.

이때,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하부 프리캐스트(PC2)를 결합 시, 일부 하부 철근(20)의 경우 상부 철근(10)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는데,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중이 슬리브(SV)에 이격된 하부 철근(20)을 제외한 나머지 하부 철근(20)에 전달되어, 나머지 하부 철근(20)들의 허용하중을 초과하기도 하므로 프리캐스트 벽체의 내구연한을 감소시키고 붕괴 등의 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At this time, when the lower precast (PC2) is coupled to the upper precast (PC1), some lower reinforcing bars 20 ar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the upper reinforcing bars 10, and the load of the upper precast (PC1) is It is transmitted to the remaining lower reinforcing bars 20 except for the lower reinforcing bars 20 spaced apart from the SV), and also exceeds the allowable load of the remaining lower reinforcing bars 20, thereby reducing the durability of the precast wall and causing accidents such as collapse also do

또한,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철근(20)이 슬리브(SV)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아, 현장에서 하부 철근(20)을 일부러 만곡시켜 슬리브(SV)에 삽입시키기도 하므로, 공기가 지연되며 현장의 시공성도 감소된다. In addition,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not be coaxially disposed. In this case, since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not properly inserted into the sleeve SV,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deliberately curved and inserted into the sleeve SV in the field, so the air is delayed and the workability of the site is also reduced.

따라서, 하부 철근(20)의 단부(21)의 위치 및 형상에 상관없이 상부 철근(10)을 하부 철근(20)에 견고하게 지지시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내구연한을 보존하고,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의 일치 여부에 상관없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regardless of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firmly supported on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to preserve the durability of the precast concrete,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workability regardless of whether the central axis C1 of the a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coinc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 철근을 하부 철근에 견고하게 지지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firmly supporting an upper reinforcing bar to a lower reinforcing bar and improving workabilit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는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는 상부 철근;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철근의 단부가 결합되며, 내부에 하부 철근 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홀더; 하부 프리캐스트에 단부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삽입되는 하부 철근; 상기 하부 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지지면에 접촉되는 레벨러; 상기 레벨러에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를 회전시키는 조정부재; 및 상기 하부 철근에 관통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벨러에 접촉되는 고정캡; 을 포함한다.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upper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upper precast; a base holder provided in the upper precast, an end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is coupled, and a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is formed therein; a lower reinforcing bar provided with an end exposed to the lower precast, the end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a leveler coupled to the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ed in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base holder; an adjustment member provided on the leveler to rotate the leveler; and a fixing cap that penetrates through the lower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an end of the base hold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leveler; includes

또한, 상기 레벨러의 외주면은 상기 베이스 홀더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제1갭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holder to form a first gap.

또한, 상기 레벨러는 상기 제1갭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ler may flow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first gap.

또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레벨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ing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veler.

또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베이스 홀더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Also, the adjusting member may be exposed from the base holder.

또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고정캡을 관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ing member may pass through the fixing cap.

또한, 상기 레벨러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 상기 조정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레벨러를 상기 지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veler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surface, the adjusting member may be rotated to bring the leveler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또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레벨러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캡을 관통하며, 상기 하부 철근에 관통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단부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너트부; 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member is provided in the leveler, through the fixing cap, the hollow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reinforcing bar; and a nut portion recessed in an end of the hollow portion. may includ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따르면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구비된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므로, 각 레벨러(H)가 각 지지면(30c)에 모두 접촉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veler 40 provided at the end 21 of each lower reinforcing bar 20 is disposed on a certain line H, each leveler H is All of the supporting surfaces 30c can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상부 철근(10)의 하중이 레벨러(40)를 통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상부 철근(10)이 하부 철근(20)에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상부 프리캐스트(PC1)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견고하게 지지된다.Accordingly, the load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can be transferred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through the leveler 40, and as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firmly supported by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the upper precast (PC1) is firmly supported on the lower precast (PC2).

또한,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상이한 경우라도 제1갭(G1) 및 제2갭(G2)의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켜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하면 되므로, 하부 철근(20)을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시키기 위해 현장에서 하부 철근(20)을 추가적으로 만곡시키는 등의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시공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are different, the free space of the first gap G1 and the second gap G2 is formed, Since the upper precast PC1 fl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In order to do this,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be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n the field,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연결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40) 및 조정부재(5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가 대향된 상태도이다.
도 7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고정캡(60)이 조립된 상태도이다.
도 8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레벨러(40)가 조립된 상태도이다.
도 9는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된 상태도이다.
도 10은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접촉시키는 상태도이다.
도 11은 고정캡(60)을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키는 상태도이다.
도 12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비수축 몰타르(M)를 충진시키는 상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wall by connecting general precast concret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of the coupling of the precast concrete connection device shown in Figure 2;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veler 4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face each other.
7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fixing cap 60 is assembled to the lower precast PC2.
8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leveler 40 is assembled to the lower precast PC2.
9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leveler 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
10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leveler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by rotating the adjusting member 50 .
11 is a state diagram of coupling the fixing cap 60 to the base holder 30 .
12 is a state diagram of filling the non-shrinkable mortar (M) between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Even if the terms are the same, if the indicated parts are different, it is to be said in advance that the reference numerals do not match.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operators such as experimenters and measurers, and thus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결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40) 및 조정부재(50)의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shown in FIG. It is a coupling view of the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veler 4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구비되는 상부 철근(10),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철근(10)의 단부(12)가 결합되며, 내부에 하부 철근 수용부(32)가 형성되는 베이스 홀더(30),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단부(21)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21)가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되는 하부 철근(20), 상기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되는 레벨러(40), 상기 레벨러(40)에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40)를 회전시키는 조정부재(50), 및 상기 하부 철근(20)에 관통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3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벨러(40)에 접촉되는 고정캡(60)을 포함한다.2 to 5, the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provided in the upper precast PC1, the upper precast PC1, The e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coupled, the base holder 30 in which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is formed, the end 21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lower precast PC2,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the end 21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is coupled to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and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A leveler 40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of the base holder 30, an adjustment member 50 provided in the leveler 40 to rotate the leveler 40,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t penetrates,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ase holder (30), and includes a fixing cap (60) in contact with the leveler (40).

상부 철근(10)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구비된다. 상부 프리캐스트(PC1)는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PC공법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실시될 수 있다. 상부 프리캐스트(PC1)는 기둥, 보, 벽체, 바닥판, 옹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provided in the upper precast PC1. The upper precast (PC1) may be implemented with precast concrete used in the PC method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The upper precast PC1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of a column, a beam, a wall, a floor plate, and a retaining wall.

상부 철근(10)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은 외주면에 리브(rib)가 형성된 이형철근(deformed bar)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의 양측 단부(11, 12)는 전조가공되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upper reinforcing bars 10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inside the upper precast PC1.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may be implemented as a deformed bar in which rib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oth ends 11 a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may be rolled to form a thread.

상부 철근(10)의 타측 단부(12)는 후술하는 베이스 홀더(30)가 결합된다.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other e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coupled to a base holder 30 to be described later. One end 1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recast PC1.

베이스 홀더(30)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구비된다. 베이스 홀더(30)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인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에는 상부 철근(10)의 단부(12)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부 철근(10)의 단부(1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베이스 홀더(30)가 상부 철근(10)의 단부(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base holder 30 is provided on the upper precast PC1. The base holder 30 may be disposed to be drawn into the upper precast PC1 . The e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 In this case, a thread is formed at the e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 and the base holder 30 may be screwed to the e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

베이스 홀더(30)에는 내부에 하부 철근 수용부(32)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 및 지지면(30c)이 하부 철근 수용부(32)를 형성한다. 상부 철근(10)의 단부(12)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까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holder 30 is formed by open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therein. In this cas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0a and the support surface 30c of the base holder 30 form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32 . The e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surface 30c of the base holder 30 .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30a of the base holder 30 .

하부 철근 수용부(32)에는 후술하는 하부 철근(20)이 삽입된다. 하부 철근 수용부(32)에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삽입될 수 있다. A lower reinforcing bar 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 An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

하부 철근(20)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구비된다. 하부 프리캐스트(PC2)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provided in the lower precast PC2. Since the lower precast PC2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precast PC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하부 철근(20)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철근(20)은 외주면에 리브(rib)가 형성된 이형철근(deformed bar)으로 실시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lower reinforcing bars 20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inside the lower precast PC2.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implemented as a deformed bar in which rib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노출되게 구비된다.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전조가공되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lower precast PC2.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rolled to form a thread.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베이스 홀더(30)의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된다. 이때,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서 벗어나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32 of the base holder 30 . In this case,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axi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same axis.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는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상부 철근(10)은 양측 단부(11, 12)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철근(10)의 타측 단부(12)는 베이스 홀더(30)가 결합되고,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may be implement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Referring to the upper precast (PC1) as a reference,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of the upper precast (PC1) is threaded at both ends 11 and 12 . At this time, the other e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may be provided with a base holder 30 coupled thereto, and the one end 1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may be exposed to the upper precast PC1 .

이 경우,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하부 철근(20)의 일측 단부(21)와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다른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부에 적층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다른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베이스 홀더(30)에 형성된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one end 1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cts the same as the on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one upper precast (PC1) is replaced by the other upper precast (PC1). It can be laminated under the At this time, one end 1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formed in the base holder 30 of the other upper precast PC1.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결합된다.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에 관통될 수 있다.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벨러(40)의 내주면(40a)에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벨러(40)가 회전되면,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따라 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The leveler 40 is coupled to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The leveler 40 may penetrate through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The leveler 40 may be screwed to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In this case,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0a of the leveler 40 . At this time, when the leveler 40 is rotated, the leveler 40 may rise upward or descend downward along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레벨러(40)는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된다.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되면,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된다. 이때, 레벨러(40)의 일측 단부(41)가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중이 레벨러(40)로 전달되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The leveler 4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 When the leveler 4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32 , the leveler 4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of the base holder 30 . At this time, one end 41 of the leveler 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of the base holder 30 . Accordingly, the load of the upper precast (PC1) is transmitted to the leveler 4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레벨러(40)의 외주면(40b)은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과 이격된다. 레벨러(40)의 외주면(40b)은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과 이격되어, 제1갭(G1)을 형성한다. 제1갭(G1)은 여유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레벨러(40)는 제1갭(G1)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0b of the leveler 4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0a of the base holder 30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0b of the leveler 4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0a of the base holder 30 to form a first gap G1. The first gap G1 may form an extra space. The leveler 40 may flow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first gap G1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레벨러(40)의 일측 단부(41)는 상술한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된다. 레벨러(40)의 타측 단부(42)는 후술하는 고정캡(60)의 일측 단부(61)에 접촉된다. One end 41 of the leveler 4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of the above-described base holder 30 . The other end 42 of the leveler 40 is in contact with one end 61 of the fixing cap 60 to be described later.

레벨러(40)가 회전되면, 레벨러(40)는 상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구비된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레벨러(40)의 일측 단부(41)의 연장선이 일정선(H) 상에 배치되어 수평선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leveler 40 is rotated, the leveler 40 may be raised upward. In this case, each leveler 40 provided at the end 21 of each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dispos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Accordingly, an extension line of one end 41 of each leveler 40 may be dispos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to form a horizontal line.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에 구비된다.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를 회전시킨다. 즉, 조정부재(50)가 회전되면, 조정부재(50)가 레벨러(40)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 adjustment member 50 is provided in the leveler 40 . The adjustment member 50 rotates the leveler 40 . That is, when the adjusting member 50 is rotated, the adjusting member 50 rotates the leveler 40 . In this case, the leveler 40 may be raised or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부재(50)가 레벨러(40)와 일체로 형성되면,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adjustment member 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eveler 40 . When the adjusting member 5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veler 40 , the adjusting member 50 may be included in the leveler 40 .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와 별도 구성요소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djustment member 5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leveler 40 . In this case, the adjusting member 50 may be coupled to the leveler 40 . In addition, the adjustment member 5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leveler (40).

조정부재(50)는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된다. 조정부재(50)는 베이스 홀더(30)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된다. 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의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되어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되면, 조정부재(50)는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조정부재(50)는 하부 철근 수용부(32)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adjustment member 50 is disposed to be exposed from the base holder 30 . The adjustment member 5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base holder 30 , and is exposed from the base holder 30 . That is, when the leveler 4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32 of the base holder 3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of the base holder 30 , the adjustment member 50 is removed from the base holder 30 . placed to be exposed. In this case, the adjustment member 50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from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32).

조정부재(5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작업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된 조정부재(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조정부재(50)가 회전되면,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를 회전시킨다. 레벨러(40)가 회전되면,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따라 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The adjustment member 50 may be rotated by an operator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rotate the adjusting member 50 exposed from the base holder 30 . In this case, when the adjusting member 50 is rotated, the adjusting member 50 rotates the leveler 40 . When the leveler 40 is rotated, the leveler 40 may be ascended or descended downward along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조정부재(50)가 회전되어 레벨러(40)를 회전시키면, 레벨러(40)는 상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구비된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레벨러(40)의 일측 단부(41)의 연장선이 일정선(H) 상에 배치되어 수평선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adjusting member 50 is rotated to rotate the leveler 40 , the leveler 40 may be raised upward. In this case, each leveler 40 provided at the end 21 of each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dispos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Accordingly, an extension line of one end 41 of each leveler 40 may be dispos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to form a horizontal line.

고정캡(60)은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구비된다. 이 경우, 고정캡(60)은 하부 철근(20)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xing cap 60 is provided at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In this case, the fixing cap 6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고정캡(60)은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캡(60)의 외주면(60b)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캡(60)의 외주면(60b)은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The fixing cap 60 is coupled to the end 31 of the base holder 30 . At this time,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0a of the base holder 30 , and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0b of the fixing cap 60 . In this ca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0b of the fixing cap 60 may be screw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30a of the base holder 30 .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결합되면, 고정캡(60)은 레벨러(40)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벨러(40)의 타측 단부(42)가 고정캡(60)의 일측 단부(61)에 접촉된다. When the fixing cap 60 is coupled to the end 31 of the base holder 30 , the fixing cap 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eveler 40 . In this case, the other end 42 of the leveler 40 is in contact with the one end 61 of the fixing cap 60 .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결합되면, 고정캡(60)의 내주면(60a)은 하부 철근(20)의 외주면과 이격된다. 이 경우, 고정캡(60)의 내주면(60a)은 하부 철근(20)의 외주면과 제2갭(G2)을 형성한다.When the fixing cap 60 is coupled to the end 31 of the base holder 30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60a of the fixing cap 6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In this ca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60a of the fixing cap 60 forms a second gap G2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제2갭(G2)은 하부 철근(20)이 수평방향으로 유동 시 하부 철근(20)이 유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2갭(G2)에는 후술하는 비수축 몰타르(M)가 충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second gap G2 forms a free space in which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can flow when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fl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gap G2 may be filled with a non-shrinkable mortar 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조정부재(50)는 고정캡(60)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에 결합되면, 조정부재(50)는 고정캡(60)을 관통한다. 이 경우, 고정캡(60)은 조정부재(5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The adjusting member 50 is disposed through the fixing cap 60 . When the fixing cap 6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ase holder 30 , the adjusting member 50 passes through the fixing cap 60 . In this case, the fixing cap 6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djustment member 50 .

이때, 조정부재(50)는 고정캡(60)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부재(50)가 고정캡(60)으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조정부재(50)의 길이는 고정캡(6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것과 같이,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된 이후에도,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견고하게 접촉시킬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adjustment member 50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fixing cap 60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cap 6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ase holder 30 , the adjustment member 50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from the fixing cap 60 .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member 50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cap (60). 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even after the fixing cap 6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 the leveler 40 may be firmly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by rotating the adjusting member 50 .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재(50)는, 상기 레벨러(40)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캡(60)을 관통하며, 상기 하부 철근(20)에 관통되는 중공부(51), 및 상기 중공부(51)의 단부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너트부(52)를 포함한다.Here, the adjusting memb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leveler 40 , penetrates the fixing cap 60 , and penetrates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the hollow part 51 . , and a nut portion 52 that is recessed into the end of the hollow portion 51 .

중공부(51)는 레벨러(40)에 구비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중공부(51)는 레벨러(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중공부(51)는 레벨러(40)와 별도 구성요소로 실시될 수 있다. The hollow part 51 is provided in the leveler 40 .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part 5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veler 40 .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llow part 51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leveler 40 .

중공부(51)는 레벨러(40)에 구비된다. 중공부(51)는 레벨러(40)의 타측 단부(42)에 구비될 수 있다. 중공부(51)는 레벨러(40)의 타측 단부(42)로부터 연장되게 구비된다. The hollow part 51 is provided in the leveler 40 . The hollow part 51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42 of the leveler 40 . The hollow part 51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42 of the leveler 40 .

중공부(51)는 중심이 중공(hollow)으로 형성된다. 이때, 중공부(51)는 하부 철근(20)에 관통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중공부(51)의 직경은 하부 철근(20)의 직경보타 크게 형성된다.The hollow part 51 is formed in a center hollow (hollow). At this time, the hollow part 51 is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51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중공부(51)는 고정캡(60)을 관통한다. 이 경우, 중공부(51)는 고정캡(6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중공부(51)는 고정캡(6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부(51)는 고정캡(60)으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hollow part 51 passes through the fixing cap 60 . In this case, the hollow part 5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cap 60 . The hollow part 51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ixing cap 60 . In this case, the hollow part 51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from the fixing cap 60 .

너트부(52)는 중공부(51)의 단부에 형성된다. 너트부(52)는 육각너트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The nut part 5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llow part 51 . The nut part 52 may be implemented in a hexagonal nut shape,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너트부(52)는 중공부(51)의 단부에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너트부(52)가 중공부(51)의 단부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The nut part 52 may be formed by protruding or recessed at the end of the hollow part 51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nut portion 52 is recessed into the end of the hollow portion 51,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너트부(52)에는 너트부(5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가 결합될 수 있다. 너트부(52)가 육각너트로 실시되는 경우, 작업자가 스패너를 너트부(52)에 결합시켜, 너트부(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너트부(52)가 회전되면 중공부(51)가 회전되어, 레벨러(4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A tool capable of rotating the nut part 52 may be coupled to the nut part 52 . When the nut part 52 is implemented as a hexagonal nut, an operator may couple the spanner to the nut part 52 to rotate the nut part 52 . When the nut part 52 is rotated, the hollow part 51 is rotated, so that the leveler 40 can be rotated.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2, the effect of the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가 대향된 상태도이고, 도 7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고정캡(60)이 조립된 상태도이고, 도 8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레벨러(40)가 조립된 상태도이고, 도 9는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된 상태도이고, 도 10은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접촉시키는 상태도이고, 도 11은 고정캡(60)을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키는 상태도이고, 도 12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비수축 몰타르(M)를 충진시키는 상태도이다. 6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face each other, FIG. 7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fixing cap 60 is assembled to the lower precast (PC2), and FIG. 8 is the lower precast ( PC2)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leveler 40 is assembled, FIG. 9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leveler 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and FIG. 10 is a leveler 40 by rotating the adjustment member 50 It is a state diagram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FIG. 11 is a state diagram of coupling the fixing cap 60 to the base holder 30, and FIG. 12 is a ratio between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It is a state diagram of filling the shrinkage mortar (M).

먼저, 도 6과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제작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에는 상부 철근(10)이 구비되고, 상부 철근(10)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은 상술한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된다. 베이스 홀더(30)에는 상부 철근(10)의 단부(12)가 결합된다. 베이스 홀더(30)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단부(12)에 구비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6 , the upper precast PC1 i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recast (PC1)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a plurality of the upper reinforcing bars 10 may be horizontally provided inside the upper precast (PC1).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base holder 30 . The e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 The base holder 30 may be provided at the end 12 of the upper precast PC1.

이후, 하부 프리캐스트(PC2)를 제작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하부 프리캐스트(PC2)에는 하부 철근(20)이 구비되고, 하부 철근(20)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Thereafter, the lower precast PC2 i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recast PC2, and a plurality of the lower reinforcing bars 20 may be horizontally provided inside the lower precast PC2.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lower precast (PC2).

실시예에 따라,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는 도 6과 같이,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6 .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상부 철근(10)은 양측 단부(11, 12)에 나사산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부 철근(10)의 타측 단부(12)에는 베이스 홀더(30)를 결합시키고,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노출되게 배치시킨다. Referring to the upper precast (PC1) as a reference,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of the upper precast (PC1) forms a thread on both ends (11, 12). At this time, the base holder 3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12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 and the one end 1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precast PC1 .

이 경우,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하부 철근(20)의 일측 단부(21)와 동일하게 실시되어, 어느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는 상부 프리캐스트(PC1)로, 다른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는 하부 프리캐스트(PC2)로 실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one end 1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n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and any one upper precast (PC1) is an upper precast (PC1), Another upper precast PC1 may be implemented as a lower precast PC2.

상부 프리캐스트(PC1) 및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6과 같이,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대향시킨다.When the production of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6 , the upper precast PC1 faces the lower precast PC2 .

여기서, 하부 프리캐스트(PC2)를 제작할 때 하부 거푸집 내에 배치된 각 하부 철근(20)의 길이 차이, 하부 철근(20)의 배치 위치 등에 따라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Here, when manufacturing the lower precast (PC2), the end 21 of each lower reinforcing bar 20 is a constant lin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length of each lower reinforcing bar 20 disposed in the lower formwork,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etc. It may not be placed on (H).

즉, 실시예에 따라, 일부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나머지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형성하는 일정선(H)과 일정간격(D)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일부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만곡된 상태로 제작되어, 중심축이 동축 상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철근(20)이 상부 철근(10)에 접촉되지 않아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중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nd portion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ine H formed by the end portion 21 of the other lower reinforcing bar 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 In addition,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not be located on the same axis. In addition, the end 21 of some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manufactured in a curved state, and the central axis may deviate from the coaxial one. In this case, since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does not contact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 the load of the upper precast PC1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후, 도 7과 같이,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고정캡(60)이 관통되게 배치시킨다. 이 경우, 고정캡(60)의 내주면(60a)은 하부 철근(20)의 외주면과 제2갭(G2)을 형성한다. 제2갭(G2)에는 후술하는 비수축 몰타르(M)가 충진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7 , the fixing cap 60 is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In this ca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60a of the fixing cap 60 forms a second gap G2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The second gap G2 may be filled with a non-shrinkable mortar 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후, 도 8과 같이,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레벨러(40)를 결합시킨다.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와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 레벨러(40)를 회전시키면, 레벨러(40)가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8 , the leveler 40 is coupled to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The leveler 40 is screwed to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In this case, when the leveler 40 is rotated, the leveler 40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이후, 레벨러(4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일정선(H) 상에 배치시킨다. 즉, 상술한 것과 같이,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거나,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Thereafter, the leveler 40 is rotated to arrange the leveler 40 on the predetermined line H.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end 21 of each lower reinforcing bar 20 is not disposed on the constant line H, or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central axis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C2) may not be coaxial.

이 경우,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결합된 레벨러(4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일정선(H)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하부 철근(20)에서 연장된 레벨러(40)가 일정한 수평선을 형성하게 된다. In this case, by rotating the leveler 40 coupled to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 the leveler 40 is disposed to be position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At this time, the leveler 40 extending from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forms a constant horizontal line.

이에 따라, 베이스 홀더(30)의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레벨러(40)를 삽입 시,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므로, 각 레벨러(40)가 각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될 수 있게 되고, 레벨러(40)를 통해 상부 철근(10)의 하중이 균일하게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leveler 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32 of the base holder 30, each leveler 40 is locat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so each leveler 40 is each base holder I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of 30 , and the load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through the leveler 40 .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레벨러(40) 중 일부의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작업환경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일부의 레벨러(40)는 일정선(H) 상에 배치시키고, 나머지 일부의 레벨러(40)는 일정선(H) 상에 배치시키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some of the levelers 40 among the plurality of levelers 40 may not be dispos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In this case,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constructability, some of the levelers 40 may be dispos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levelers 40 may not be dispos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은 일부의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공차(C)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A portion of the levelers 40 that are not arrang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form a coupling tolerance (C)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base holder 30 , so that a plurality of levelers 40 are easily attached to the base holder 30 . to be inserted.

이때, 결합공차(C)를 형성하는 레벨러(40)는 일정선(H)으로부터 일정 간격(2~3mm)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베이스 홀더(30)에 삽입된 각 레벨러(40) 중 결합공차(C)를 형성하는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In this case, the leveler 40 forming the coupling tolerance C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line H by a predetermined interval (2 to 3 mm). In this case, the leveler 40 forming the coupling tolerance C among the levelers 40 inserted into each base holder 3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contact the support surface 30c of the base holder 30 .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후, 도 9와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베이스 홀더(30)에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레벨러(40)를 삽입한다. 베이스 홀더(30)에 레벨러(40)를 삽입 시 레벨러(40)는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9 , the leveler 40 of the lower precast PC2 is inserted into the base holder 30 of the upper precast PC1 . When the leveler 40 is inserted into the base holder 30 , the leveler 4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

이때,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므로, 각 레벨러(40)가 지지면(30c)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중이 레벨러(40)로 전달되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each leveler 40 is located on the predetermined line (H), each leveler 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Accordingly, the load of the upper precast (PC1) is transmitted to the leveler 4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과 결합공차(C)를 형성하는 일부의 레벨러(40)가 일정선(H)으로부터 일정 간격(2~3mm)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공차(C)에 의해 복수개의 레벨러(40)가 용이하게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Here,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levelers 40 forming the support surface 30c and the coupling tolerance C of the base holder 3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line H by a predetermined interval (2 to 3 mm). can b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levelers 4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by the coupling tolerance (C).

여기서, 바람직하게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고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배치되면, 상부 철근(10)의 하중을 하부 철근(20)이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Here, preferably, when each leveler 40 is located on a certain line (H) and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are coaxially arranged, the upper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can completely support the load of the reinforcing bar 10 .

실시예에 따라,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는 경우라도,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이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과 동축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ven when each leveler 40 is positioned on a certain line (H),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coaxial with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t may be arranged differently without being arranged. In this case, some levelers 40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

이때, 도 9와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수평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각 하부 철근 수용부(32)를 각 레벨러(40)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 by moving the upper precast PC1 fin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leveler 40 .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레벨러(40)의 외주면(40b)은 베이스 홀더(30)의 외주면(30b)과 이격되어 제1갭(G1)을 형성하여, 레벨러(40)가 제1갭(G1)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제1갭(G1)의 범위만큼 결합여유가 생겨, 각 레벨러(40)를 각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0b of the leveler 4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to form a first gap G1, and the leveler 40 is the first gap ( Since it can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G1 , there is a coupling margin as much as the range of the first gap G1 , so that each leveler 40 can be coupled to each base holder 30 .

이때, 하부 철근 수용부(32) 내에서 레벨러(4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므로, 하부 철근(20)이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데, 하부 철근(20)은 제2갭(G2)이 형성하는 여유공간에 의해 제1갭(G1) 및 제2갭(G2) 중에서 작은 크기만큼 유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leveler 40 fl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has a second gap G2 formed therein. A small amount of the first gap G1 and the second gap G2 may flow due to the free space.

즉, 제1갭(G1)이 제2갭(G2) 보다 작은 경우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제1갭(G1)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되고, 제1갭(G1)이 제2갭(G2) 보다 큰 경우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제2갭(G2)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gap G1 is smaller than the second gap G2,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fl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first gap G1, and the first gap G1 ) is greater than the second gap (G2),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may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second gap (G2).

실시예에 따라,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는 경우라도,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이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과 동축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even when each leveler 40 is positioned on a certain line (H),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coaxial with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t may be arranged differently without being arranged. In this case, some levelers 40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

이때,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수평방향으로 미세하게 유동시켜 각 하부 철근 수용부(32)를 각 레벨러(40)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레벨러(40)가 제1갭(G1)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제1갭(G1)이 형성하는 여유공간만큼 결합여유가 생겨, 각 레벨러(40)를 각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y moving the upper precast (PC1) fin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32 can be positioned to face each leveler (40). In this case, since the leveler 40 can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first gap G1, there is a coupling margin as much as the free space formed by the first gap G1, and each leveler 40 is It is possible to couple to the base holder (30).

이에 따라, 레벨러(40)가 지지면(30c)에 견고하게 접촉되므로 각 레벨러(40)로 상부 철근(10)의 하중이 전달되고, 전달된 하중이 레벨러(40)를 통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상부 철근(10)이 하부 철근(2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leveler 40 is in solid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the load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transmitted to each leveler 40, and the transmitted load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veler 40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can be transferred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can be firmly supported by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또한,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상이한 경우라도 제1갭(G1) 및 제2갭(G2)의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켜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하면 되므로, 하부 철근(20)을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시키기 위해 현장에서 하부 철근(20)을 추가적으로 만곡시키는 등의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시공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central axis C1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central axis C2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are different, the free space of the first gap G1 and the second gap G2 is formed, Since the upper precast PC1 fl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2 In order to do this,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be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n the field,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이후, 도 10과 같이, 작업자가 복수개의 조정부재(50) 중 일부의 조정부재(50)를 회전시킨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일부의 레벨러(40)가 결합공차(C)를 형성하여, 레벨러(40)가 지지면(30c)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 작업자가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접촉시킬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10 , the operator rotates some of the adjusting members 50 among the plurality of adjusting members 50 . As described above, some of the levelers 40 form a coupling tolerance C, and when the leveler 4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surface 30c, the operator rotates the adjusting member 50 to the leveler 40 )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이때, 조정부재(50)는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되므로, 조정부재(50)가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틈새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너트부(52)를 작업공구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노출된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adjusting member 50 is disposed to be exposed from the base holder 30 , the adjusting member 50 may be exposed through a gap between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 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rotate the nut part 52 with a work tool.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rotate the exposed adjustment member 50 to rotate the leveler (40).

조정부재(50)가 회전되면,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접촉시킨다. 이 경우,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레벨러(40)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When the adjusting member 50 is rotated, the adjusting member 50 rotates the leveler 40 to bring the leveler 40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In this case, the leveler 40 is firmly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30c of the base holder 30 .

이에 따라, 각 레벨러(40)로 상부 철근(10)의 하중이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부 철근(10)이 하부 철근(20)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시공성이 향상된다. Accordingly, since the load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transmitted to each leveler 40 and finally transferred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s firmly supported by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and constructability This is improved.

이후, 도 11과 같이, 고정캡(60)을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킨다. 고정캡(60)은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결합되면, 고정캡(60)은 레벨러(4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러(40)가 고정캡(6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Then, as shown in FIG. 11 , the fixing cap 6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 The fixing cap 60 may be screwed to the end 31 of the base holder 30 . When the fixing cap 60 is coupled to the end 31 of the base holder 30 , the fixing cap 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eveler 40 . Accordingly, the leveler 40 can be firmly supported by the fixing cap 60 .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는 인장력이 작용될 수 있다. 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휨, 굽힘 등에 따른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부 철근(10)과 하부 철근(2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은 상방향으로, 하부 철근(20)은 하방향으로 각각 힘이 작용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인장력이 작용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tensil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a force according to bending, bending, etc. of the precast concrete acts, the tensile force may ac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이 경우, 고정캡(60)이 레벨러(40)를 지지한다. 상부 철근(10)과 하부 철근(2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때, 이에 따라, 인장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고정캡(60)이 레벨러(40)를 지지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cap 60 supports the leveler 40 . When the upper reinforcing bar 10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even when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the fixing cap 60 supports the leveler 40 so that the precast concrete is firm.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tightly coupled state.

조정부재(50)는 고정캡(60)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조정부재(50)가 고정캡(60)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캡(60)이 결합된 이후에도,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느슨하게 접촉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견고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후, 고정캡(60)을 추가적으로 회전시켜, 베이스 홀더(30)에 고정캡(60)을 견고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고정캡(60)이 레벨러(4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adjustment member 50 may be disposed through the fixing cap 60 .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djusting member 50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fixing cap 60 . In this case, even after the fixing cap 60 is coupled, the adjustment member 50 is rotated to firmly contact the leveler 40 in lo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c. Thereafter, the fixing cap 60 is additionally rotated to firmly couple the fixing cap 60 to the base holder 30 , so that the fixing cap 60 can firmly support the leveler 40 .

이후, 도 12와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비수축 몰타르(M)(mortar)를 충진시킨다. 비수축 몰타르(M)는 제2갭(G2)에 충진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2 , a non-shrinkable mortar M (mortar) is filled between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The non-shrinkable mortar M may be filled in the second gap G2 .

비수축 몰타르(M)가 경화되면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의 이격공간이 완전히 충진된다. 또한, 제2갭(G2)에 비수축 몰타르(M)가 충진되어 경화되면 하부 철근(20)의 단부(21)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12와 같이 완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제작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non-shrinkable mortar M is hardene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recast PC1 and the lower precast PC2 is completely filled. In addition, when the non-shrinkable mortar M is filled in the second gap G2 and hardened, the position of the end 21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0 is fixed. Accordingly, the completed precast concrete as shown in FIG. 12 can be manufactured.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 상부 철근 20 : 하부 철근
30 : 베이스 홀더 40 : 레벨러
10: upper reinforcing bar 20: lower reinforcing bar
30: base holder 40: leveler

Claims (8)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는 상부 철근;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철근의 단부가 결합되며, 내부에 하부 철근 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홀더;
하부 프리캐스트에 단부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삽입되는 하부 철근;
상기 하부 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지지면에 접촉되는 레벨러;
상기 레벨러에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를 회전시키는 조정부재; 및
상기 하부 철근에 관통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벨러에 접촉되는 고정캡;
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upper reinforcing bars provided in the upper precast;
a base holder provided in the upper precast, an end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is coupled, and a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is formed therein;
a lower reinforcing bar provided with an end exposed to the lower precast, the end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a leveler coupled to the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accommodated in the lower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base holder;
an adjustment member provided on the leveler to rotate the leveler; and
a fixing cap that penetrates through the lower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an end of the base hold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leveler;
A precast concrete connect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의 외주면은 상기 베이스 홀더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제1갭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er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holder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to form a first g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는 상기 제1갭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veler is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that fl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first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레벨러에 일체로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ing member is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ve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베이스 홀더로부터 노출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ing member is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exposed from the base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고정캡을 관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ing member is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penetrating the fixing c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 상기 조정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레벨러를 상기 지지면에 접촉시키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leveler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surface, a precast concrete connecting device for rotating the adjusting member to bring the leveler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레벨러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캡을 관통하며, 상기 하부 철근에 관통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단부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너트부;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ment member,
a hollow part provided in the leveler, passing through the fixing cap, and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reinforcing bar; and
a nut portion recessed in an end of the hollow portion;
A precast concrete connector comprising a.
KR1020200140968A 2020-10-28 2020-10-28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102482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68A KR102482923B1 (en) 2020-10-28 2020-10-28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968A KR102482923B1 (en) 2020-10-28 2020-10-28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411A true KR20220056411A (en) 2022-05-06
KR102482923B1 KR102482923B1 (en) 2022-12-28

Family

ID=8158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968A KR102482923B1 (en) 2020-10-28 2020-10-28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92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06B1 (en) * 2006-12-13 2007-10-25 박정진 Vertical connection steel-bar reinforcing structure of precast concreate column
KR20110123627A (en)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A coupl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it
KR101906354B1 (en) * 2018-03-14 2018-10-11 이동호 Coupler apparatus for connecting each thread bars of precast concrete members, and connect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member using the same
KR102024341B1 (en) * 2018-06-21 2019-09-23 유병훈 Connection apparatus for concrete member an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06B1 (en) * 2006-12-13 2007-10-25 박정진 Vertical connection steel-bar reinforcing structure of precast concreate column
KR20110123627A (en)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A coupl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it
KR101906354B1 (en) * 2018-03-14 2018-10-11 이동호 Coupler apparatus for connecting each thread bars of precast concrete members, and connect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member using the same
KR102024341B1 (en) * 2018-06-21 2019-09-23 유병훈 Connection apparatus for concrete member an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923B1 (en)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242B1 (en) Bariable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92542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20220056411A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102268697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102268698B1 (en) coupling method for precast concrete
KR102028945B1 (en) Sliding Stand and Prestressed Concrete Beam Manufacturing Method
KR200384367Y1 (en) A support pipe for construction
KR20060037137A (en) Space preservation device for construction support
KR101673907B1 (en) Roof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ed him
JP5080343B2 (en) Beam adjusting jig and components used for the beam adjusting jig
JP2008223399A (en) Foundation structural body for facility
KR20190000957A (en) Concrete mold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mold using concrete mold
KR101806000B1 (en) Extender for extending length of support
KR102213802B1 (en) coupling method for precast concrete
KR102213799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CN110656782A (en) Foundation bolt fixing device and foundation bolt fixing construction method
KR20220010301A (en) Deck panel for Euroform
KR100482272B1 (en) A supprot pipe for construction
KR100745024B1 (en) Balancing device for form panels
JP7049913B2 (en) Construction method of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block
KR20100078557A (en) A machine tool supporting apparatus and foundation working method thereof
KR101578524B1 (en) Spacer for adjusting hight and space of rebar
KR200215935Y1 (en) Apparatus for setting a wall mould
KR102653826B1 (en)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102514210B1 (en)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