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826B1 -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 Google Patents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826B1
KR102653826B1 KR1020210015083A KR20210015083A KR102653826B1 KR 102653826 B1 KR102653826 B1 KR 102653826B1 KR 1020210015083 A KR1020210015083 A KR 1020210015083A KR 20210015083 A KR20210015083 A KR 20210015083A KR 102653826 B1 KR102653826 B1 KR 102653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recast
leveler
root
ba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1827A (en
Inventor
송재혁
Original Assignee
송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혁 filed Critical 송재혁
Priority to KR1020210015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826B1/en
Publication of KR2022011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8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215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omprising metallic plates or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는 프리캐스트 기둥의 기둥 하부근에 구비되고, 브라켓부를 향해 노출되는 베이스 홀더; 프리캐스트 보의 모따기부에 노출된 보 하부근에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지지면에 접촉되는 수평 레벨러; 상기 보 하부근이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레벨러가 외주면에 결합되는 조절너트; 상기 보 하부근에 관통되고, 상기 베이스 홀더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 레벨러에 접촉되는 고정 케이스; 및 상기 보 하부근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케이스를 가압하는 고정너트; 를 포함한다.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older provided at the bottom of a precast column and exposed toward the bracket portion; a horizontal leveler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beam exposed to the chamfer of the precast beam, located on the bracket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base holder; An adjustment nut coupled to the beam lower roo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level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fixing case that penetrates the lower part of the beam,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leveler; And a fixing nut coupled to the lower beam of the beam to pressurize the fixing case; Includes.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보의 보 하부근을 프리캐스트 기둥의 기둥 하부근에 견고하게 연결시켜 내진성을 확보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which secures earthquake resistance and improves constructability by firmly connecting the lower root of the precast beam to the lower root of the precast column. It's about.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는 공장 등 일정 시설에서 기둥, 보, 벽체, 바닥판 등의 건설부재를 철제 거푸집으로 만들어 양생시킨 기성 콘크리트 제품이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공법을 PC공법이라고 하며,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 및 강도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제작되므로, PC공법 적용 시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을 갖는다.Precast concrete (PC) is a ready-made concrete product made by curing construction members such as columns, beams, walls, and floor plates using steel molds in certain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precast concrete is called the PC method. Since precast concrete is manufactured at a factory to a certain standard and strength, applying the PC method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maintaining consistent construction quality.

하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복수개 배근되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기둥, 보, 벽체, 바닥판, 옹벽 등을 제작한다. One precast concrete ha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placed inside the concrete, and the reinforcing bars of each precast concre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produce columns, beams, walls, floor plates, retaining walls, etc.

도 1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기둥(10)에 프리캐스트 보(20)를 시공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recast beam 20 on a precast column 10 made of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도 1을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기둥(10)은 프리캐스트 보(20)가 안착되는 브라켓부(1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프리캐스트 보(20)에 연결되는 철근인 기둥 상부근(11)이 배근된다. 프리캐스트 보(20)는 브라켓부(13)에 안착되며, 기둥 상부근(11)에 연결되는 철근인 보 상부근(21)이 배근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precast column 10 is formed by protruding the bracket portion 13 on which the precast beam 20 is seated, and the column upper bar 11, which is a reinforcing bar connected to the precast beam 20, This is reinforced. The precast beam 20 is seated on the bracket part 13, and the beam upper bar 21, which is a reinforcing bar connected to the column upper bar 11, is reinforced.

프리캐스트 기둥(10)과 프리캐스트 보(20)의 결합 시, 프리캐스트 보(20)를 브라켓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기둥 상부근(11)에 보 상부근(21)을 커플러(S)로 연결시키고, 커플러(S) 주위에 보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보(20)를 프리캐스트 기둥(10)에 결합시킨다. When combining the precast column (10) and the precast beam (20), connect the beam upper bar (21) to the column upper bar (11) with a coupler (S) while the precast beam (20) is seated on the bracket. Then, reinforced concrete is poured around the coupler (S) to couple the precast beam (20) to the precast column (10).

이때, 종래의 프리캐스트 기둥(10)과 프리캐스트 보(20)의 결합 시 프리캐스트 기둥(10)은 프리캐스트 보(20)와 상부 지점만 연결시키는 구조로, 기둥 상부근(11)만 보 상부근(21)에 연결하고, 하부 지점인 A지점은 별도로 연결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when combining the conventional precast column 10 and the precast beam 20, the precast column 10 has a structure that connects only the precast beam 20 and the upper point, and only the upper root 11 of the column is beamed.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muscle (21), and the lower point, point A, is not connected separately.

이러한 결합 구조는 지진 발생 시 프리캐스트 기둥(10)과 프리캐스트 보(20)의 파단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서, 내진성 향상을 위해서는 하부 지점(A지점)에 별도의 연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This combined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fracture of the precast column 10 and the precast beam 20 can easily occur when an earthquake occurs, and a separate connection is required at the lower point (point A) to improve earthquake resistance.

또한, 고중량의 프리캐스트 보(20)를 브라켓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지점의 철근을 연결해야 하는데, 고중량의 프리캐스트 보(20)에 의해 프리캐스트 보(20)를 이동시키기 어려운 상태에서 작업자가 하부의 철근을 연결해야 하므로, 하부 지점의 철근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at the lower point must be connected while the heavy precast beam 20 is seated on the bracket, but the worker must Since the reinforcing bars at the bottom must be connecte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easi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at the lower poi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리캐스트 보의 보 하부근을 프리캐스트 기둥의 기둥 하부근에 견고하게 연결시켜 내진성을 확보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that can secure earthquake resistance and improve constructability by firmly connecting the lower root of the precast beam to the lower root of the precast colum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는 프리캐스트 기둥의 기둥 하부근에 구비되고, 브라켓부를 향해 노출되는 베이스 홀더; 프리캐스트 보의 모따기부에 노출된 보 하부근에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지지면에 접촉되는 수평 레벨러; 상기 보 하부근이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레벨러가 외주면에 결합되는 조절너트; 상기 보 하부근에 관통되고, 상기 베이스 홀더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 레벨러에 접촉되는 고정 케이스; 및 상기 보 하부근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케이스를 가압하는 고정너트; 를 포함한다.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base hold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ecast column and exposed toward the bracket portion; a horizontal leveler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beam exposed to the chamfer of the precast beam, located on the bracket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of the base holder; An adjustment nut coupled to the beam lower roo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level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fixing case that penetrates the lower part of the beam,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leveler; And a fixing nut coupled to the lower beam of the beam to pressurize the fixing case; Includes.

또한, 상기 수평 레벨러는 상기 조절너트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orizontal leveler may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nut.

또한, 상기 고정 케이스가 상기 베이스 홀더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 케이스가 상기 수평 레벨러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fixing case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the fixing case can slide the horizontal level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고정 케이스에는 상기 조절너트와 이격되고, 상기 수평 레벨러에 접촉되는 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ress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adjustment nut and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leveler may be formed in the fixing case.

또한,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는 제1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irst round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pressing portion.

또한, 상기 수평 레벨러의 단부에는 상기 제1라운드부에 대응되는 제2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econd round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und part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horizontal leveler.

또한, 상기 조절너트는, 상기 수평 레벨러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레벨러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 레벨러의 단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nut includes a sliding portion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leveler,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leveler slides; and a flange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sliding portion to support an end of the horizontal leveler. may include.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외주면에 스플라이싱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lid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splic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수평 레벨러는 내주면에 상기 스플라이싱 돌기가 삽입되는 스플라이싱 홈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rizontal leveler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splicing groove into which the splicing protrusion is inse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보의 하부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racket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recast column, and the chamfe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open in a lower portion of the precast beam and may be disposed on the bracket por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에 따르면 서로 이격된 보 하부근(22)과 기둥 하부근(12)을 서로 연결하여, 지진 발생 시 프리캐스트 기둥(10)과 프리캐스트 보(20)의 파단을 방지하고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d apart beam lower bars 22 and the column lower bars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recast column 10 and the precast beam are connected when an earthquake occurs. (20) Fracture can be prevented and earthquake resistance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기둥(10)에 프리캐스트 보(20)를 시공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의 결합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복수개의 보 하부근(22) 중 하나의 보 하부근(22)의 단부(22a)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의 결합 동작도이다.
도 8은 복수개의 보 하부근(22) 중 하나의 보 하부근(22)에 결합된 수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와 미접촉된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수평 레벨러(40)를 고정 케이스(60)가 슬라이딩시키는 동작이 도시된 동작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recast beam 20 on a precast column 10 made of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mbined diagram of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end 22a of one beam lower root 22 among the plurality of beam lower roots 22 is not disposed on a constant line H.
Figures 6 to 7 are diagrams of the combined operation of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leveler 40 coupled to one beam lower root 22 among the plurality of beam lower bars 22 is not in contact with the base holder 30.
FIG. 9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sliding the horizontal leveler 40 shown in FIG. 8 by the fixing case 60.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Please note in advance that even if the terms are the same, if the displayed parts are different, the drawing symbols will not match.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ce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operators such as experimenters and measurers, their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의 결합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의 결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of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는 프리캐스트 기둥(10)과 프리캐스트 보(20)의 사이에 구비된다. 2 to 4,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precast column 10 and the precast beam 20.

프리캐스트 기둥(10)은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PC 공법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크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프리캐스트 기둥(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을 형성한다. The precast column 10 is made of precask concrete used in the PC method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The precast column 10 forms a column of a precast concrete structure.

브라켓부(13)는 프리캐스트 기둥(10)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브라켓부(13)는 프리캐스트 기둥(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부(13)에는 후술하는 프리캐스트 보(20)가 안착되어, 프리캐스트 보(20)의 하중을 지지한다. The bracket portion 1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recast column 10. The bracket portion 13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precast pillar 10. A precast beam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on the bracket portion 13 to support the load of the precast beam 20.

프리캐스트 기둥(10)에는 다양한 철근이 복수개 배근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캐스트 기둥(10)에는 기둥 상부근(11) 및 기둥 하부근(12)이 배근될 수 있다. 기둥 상부근(11) 및 기둥 하부근(12)은 브라켓부(13)에 위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arious reinforcing bars may be placed in the precast column 10. Here, the precast column 10 may be reinforced with upper column bars 11 and lower column bars 12. The upper pillar 11 and the lower pillar 12 may be located in the bracket part 13.

이때, 기둥 상부근(11)은 브라켓부(13)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고, 보 상부근(21)에 연결되는 철근으로 정의하고, 기둥 하부근(12)은 기둥 상부근(11)의 하부에 위치되고, 보 하부근(22)에 연결되는 철근으로 정의한다. At this time, the column upper bar 11 is defined as a reinforcing bar located above the bracket part 13 and connected to the beam upper bar 21, and the column lower bar 12 is the column upper bar 11. It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is defined as a reinforcing bar connected to the lower beam bar (22).

기둥 하부근(12)은 프리캐스트 기둥(10)의 내부에 구비된다. 기둥 하부근(12)은 프리캐스트 기둥(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The column lower root 12 is provided inside the precast column 10. The column lower root 12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recast column 10.

프리캐스트 보(樑)(20)는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PC 공법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프리캐스트 보(20)는 브라켓부(13)에 안착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보(20)는 프리캐스트 기둥(10)에 연결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The precast beam 20 is made of precast concrete used in the PC method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The precast beam 20 may be seated on the bracket portion 13. The precast beam 20 may be connected to the precast column 10 to form a precast concrete structure.

프리캐스트 보(20)에는 다양한 철근이 복수개 배근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캐스트 보(20)에는 보 상부근(21) 및 보 하부근(22)이 배근될 수 있다. 이때, 보 상부근(21)은 브라켓부(13)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고, 기둥 상부근(11)에 연결되는 철근으로 정의하고, 보 하부근(22)은 보 상부근(21)의 하부에 위치되고, 기둥 하부근(12)에 연결되는 철근으로 정의한다. A plurality of various reinforcing bars may be placed in the precast beam 20. Here, the upper beam root 21 and the lower beam root 22 may be reinforced in the precast beam 20. At this time, the upper beam bar 21 is located above the bracket part 13 and is defined as a reinforcing bar connected to the column upper bar 11, and the lower beam bar 22 is the upper bar of the beam 21. It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is defined as a reinforcing bar connected to the lower column bar (12).

보 상부근(21)은 프리캐스트 보(2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 상부근(21)은 기둥 상부근(11)과 일반적인 커플러(S)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프리캐스트 보(20)에는 보 상부근(21)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프리캐스트 보(20)의 일부를 제거한 노출부(N)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eam upper root 21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ecast beam 20. In this case, the beam upper root 21 may be connected to the column upper root 11 with a general coupler (S). At this time, an exposed portion N may be formed in the precast beam 20 by removing a part of the precast beam 20 to expose the upper root of the beam 21 to the outside.

프리캐스트 보(20)에는 모따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모따기부(23)는 프리캐스트 보(20)의 하부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A chamfer 23 may be formed in the precast beam 20. The chamfer 23 may be formed by opening in the lower part of the precast beam 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내진성 향상을 위해서는, 프리캐스트 보(20)의 하부 지점(도 1의 A지점)에서 프리캐스트 보(20)의 보 하부근(22)을 프리캐스트 기둥(10)의 기둥 하부근(12)에 연결해야 한다. 이 경우, 보 하부근(22)을 기둥 하부근(12)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보 하부근(22)을 외부로 노출시켜야 하므로, 프리캐스트 보(20)의 하부에 모따기부(23)를 개구되게 형성시켜, 보 하부근(22)이 모따기부(23)에 노출시켜야 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earthquake resistance of precast concrete, the lower beam root 22 of the precast beam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beam root of the precast column 10 at the lower point of the precast beam 20 (point A in Figure 1). It must be connected to (12). In this case, in order to connect the beam lower root 22 to the column lower root 12, the lower beam root 22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chamfer 23 is opened at the lower part of the precast beam 20. By forming, the lower beam root (22) must be exposed to the chamfer (23).

이때, 모따기부(23)에 노출된 보 하부근(22)은 단부(22a)는 모따기부(2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 하부근(22)은 단부(22a)는 프리캐스트 보(20)의 종단(20e)까지 위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nd portion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exposed to the chamfer 23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mfer 23.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end portion 22a of the lower beam root 22 may be positioned up to the longitudinal end 20e of the precast beam 20.

모따기부(23)는 브라켓부(13)에 배치된다. 이 경우, 프리캐스트 보(20)가 브라켓부(13)에 안착 시 모따기부(23)가 브라켓부(13)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보 하부근(22)이 기둥 하부근(12)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The chamfer portion 23 is disposed on the bracket portion 13. In this case, when the precast beam 20 is seated on the bracket part 13, the chamfer part 23 is disposed on the bracket part 13, so that the externally exposed beam lower root 22 is the column lower root 12. It can be placed opposite to .

이에 따라, 작업자가 모따기부(23)에서 보 하부근(22)과 기둥 하부근(12)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로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worker can connect the beam lower bar 22 and the column lower bar 12 at the chamfer 23 with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thereby improving constructability.

보 하부근(22)과 기둥 하부근(1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둥 하부근(12)의 단부는 프리캐스트 기둥(10)의 내부에 위치되고, 보 하부근(22)의 단부(22a)는 프리캐스트 보(20)의 종단까지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기둥(10)과 프리캐스트 보(20)의 결합 시, 보 하부근(22)과 기둥 하부근(1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beam lower root 22 and the column lower root 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end of the column lower root 12 is located inside the precast column 10, and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may be located only up to the end of the precast beam 20. there is. Accordingly, when the precast column 10 and the precast beam 20 are combined, the beam lower root 22 and the lower column root 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 경우,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서로 이격된 보 하부근(22)과 기둥 하부근(12)을 서로 연결하여야, 지진 발생 시 프리캐스트 기둥(10)과 프리캐스트 보(20)의 파단을 방지하고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the beam lower roots 22 and the column lower roots 1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recast column 10 and the precast beam 20 are fractured when an earthquake occurs. can be prevented and earthquake resistance can be secured.

한편, 보 하부근(22)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 하부근(22)은 프리캐스트 보(2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프리캐스트 보(20)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 내에 배치된 각 보 하부근(22)의 길이 차이, 배치 위치 등에 따라 각 보 하부근(22)의 단부(22a)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beam lower roots 22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beam lower roots 22 may be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ecast beam 20.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length difference and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beam lower root 22 arranged in the form for manufacturing the precast beam 20, the end 22a of each beam lower root 22 is positioned on a certain line (H). may not be placed in .

이 경우, 프리캐스트 보(20)의 하중을 보 하부근(22)을 통해 프리캐스트 기둥(10)으로 전달 시, 각각의 보 하부근(22)을 각각 기둥 하부근(12)에 연결시켜야 하중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보 하부근(22)을 기둥 하부근(12)에 연결시키기 위하여는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의 연장선을 일정선(H) 상에 배치시켜야 하고, 만약 어느 하나의 보 하부근(22)의 단부(22a)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으면, 해당 보 하부근(22)은 기둥 하부근(12)에 연결되지 않아, 하중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ransferring the load of the precast beam (20) to the precast column (10) through the beam lower bar (22), each beam lower bar (22) must be connected to each column lower bar (12) to load the precast beam (20). This can be delivered evenly. At this time, in order to connect the beam lower root 22 to the column lower root 12, the extension line of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must be placed on a certain line H, and if any one beam If the end 22a of the lower bar 22 is not disposed on the constant line H, the corresponding beam lower bar 22 is not connected to the column lower bar 12, and the load may not be transmitt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는, 프리캐스트 기둥(10)의 기둥 하부근(12)에 구비되고, 브라켓부(13)를 향해 노출되는 베이스 홀더(30), 프리캐스트 보(20)의 모따기부(23)에 노출된 보 하부근(22)에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부(13)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접촉되는 수평 레벨러(40), 상기 보 하부근(22)이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레벨러(40)가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너트(50), 상기 보 하부근(22)에 관통되고, 상기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 레벨러(40)에 접촉되는 고정 케이스(60), 및 상기 보 하부근(22)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케이스(60)를 가압하는 고정너트(70)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older 30 provided on the lower pillar 12 of the precast pillar 10 and exposed toward the bracket part 13. , is provided on the lower beam root 22 exposed to the chamfered portion 23 of the precast beam 20, is disposed on the bracket portion 13, and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A horizontal leveler 40, the beam lower root 22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 adjustment nut 50, which penetrates the beam lower root 22, and , a fixing case 60 that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and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leveler 40, and a fixing nut that is coupled to the beam lower root 22 and presses the fixing case 60 ( 70).

베이스 홀더(30)는 프리캐스트 기둥(10)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는 프리캐스트 기둥(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holder 30 may be provided on the precast pillar 10. The base holder 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precast pillar 10.

상술한 것과 같이, 기둥 하부근(12)은 프리캐스트 기둥(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구비된다. 이때, 베이스 홀더(30)는 기둥 하부근(12)에 구비된다. 베이스 홀더(30)는 기둥 하부근(12)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는 프리캐스트 기둥(1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구비되어, 프리캐스트 기둥(10)이 형성하는 면에 일치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는 브라켓부(13)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lumn lower root 12 is provided inside the precast column 10 and is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base holder 30 is provided on the lower pillar 12. The base holder 30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lower pillar 12. The base holder 30 is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precast pillar 10 and can be aligned with the surface formed by the precast pillar 10. The base holder 30 may be exposed toward the bracket portion 13.

베이스 홀더(30)는 수평 레벨러(40)가 접촉되는 지지면(30b) 및 고정 케이스(60)가 결합되는 내주면(30a)을 포함한다. 지지면(30b)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주면(30a)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holder 30 includes a support surface 30b to which the horizontal leveler 40 contacts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30a to which the fixing case 60 is coupled. The support surface 30b may be formed to be flat.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0a).

지지면(30b) 및 내주면(30a)은 수평 레벨러 수용부(30c)를 형성할 수 있다. 수평 레벨러 수용부(30c)는 베이스 홀더(30)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레벨러 수용부(30c)는 수평 레벨러(40)를 수용한다. 수평 레벨러 수용부(30c)는 프리캐스트 기둥(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support surface 30b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0a may form a horizontal leveler receiving portion 30c. The horizontal leveler receiving portion 30c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base holder 30. The horizontal leveler receiving portion 30c accommodates the horizontal leveler 40. The horizontal leveler receiving portion 30c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ecast pillar 10.

보 하부근(22)은 프리캐스트 보(20)의 모따기부(23)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 하부근(22)은 모따기부(23)에 노출될 수 있다. 보 하부근(22)은 상술한 기둥 하부근(12)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보 하부근(22)은 베이스 홀더(30)에 이격되어 일정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The beam lower root 22 may be located in the chamfer 23 of the precast beam 20. In this case, the lower beam root 22 may be exposed to the chamfer 23. The beam lower root 22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lumn lower root 12 described above. The lower beam roots 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holder 30 to form a certain gap.

수평 레벨러(40)는 보 하부근(22)에 구비된다. 수평 레벨러(40)는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 레벨러(40)는 모따기부(23)에 위치될 수 있다. 수평 레벨러(40)는 브라켓부(13)에 위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leveler 40 is provided at the lower beam root 22.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be provided at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be positioned in the chamfer 23 .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be located on the bracket portion 13.

수평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레벨러(40)는 보 하부근(22)에서 전달되는 프리캐스트 보(20)의 수평방향(L) 하중을 프리캐스트 기둥(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veler 40 can transmit the horizontal direction (L) load of the precast beam 20 transmitted from the beam lower root 22 to the precast column 10.

수평 레벨러(40)는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L)은 도 1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보(20)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be provided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at the end (22a) of the lower beam root (22).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L) is define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cast beam 20 shown in FIG. 1.

수평 레벨러(40)는 수평 레벨러 수용부(30c)에 수용된다. 수평 레벨러(40)가 수평 레벨러 수용부(30c)에 수용되면, 수평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수평 레벨러(40)가 보 하부근(22)과 베이스 홀더(30)를 연결하여, 프리캐스트 보(20)의 수평방향(L) 하중이 수평 레벨러(40)로 전달되어 프리캐스트 기둥(1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The horizontal leveler 40 is accommodated in the horizontal leveler receiving portion 30c. When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accommodated in the horizontal leveler receiving portion 30c, the horizontal leveler 40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Accordingly, the horizontal leveler 40 connects the beam lower root 22 and the base holder 30, so that the horizontal direction (L) load of the precast beam 20 is transmitted to the horizontal leveler 40 and the precast column It can be transmitted to (10).

수평 레벨러(40)의 일측은 상술한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접촉된다. 수평 레벨러(40)의 타측은 후술하는 고정 케이스(60)에 접촉된다.One side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described above.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case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조절너트(50)는 보 하부근(22)에 결합된다. 조절너트(50)의 내주면(50a)에는 보 하부근(22)이 결합된다. 조절너트(50)의 내주면(50a)은 보 하부근(2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너트(50)가 회전되면, 조절너트(50)가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서 나사결합방향에 따라 수평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adjustment nut 50 is coupled to the lower beam root 22. The beam lower root 22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50a of the adjustment nut 50.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50a) of the adjustment nut (50) may be screwed to the lower beam root (22). In this case, a thread may be formed at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Accordingly, when the adjustment nut 50 is rotated, the adjustment nut 50 may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at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according to the screw connection direction.

조절너트(50)에는 수평 레벨러(40)가 결합된다. 조절너트(50)의 외주면(50b)에는 수평 레벨러(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수평 레벨러(40)는 조절너트(50)에 대해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 케이스(60)가 수평 레벨러(40)를 가압하면, 수평 레벨러(40)가 조절너트(50)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다. A horizontal leveler 4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nut 50. A horizontal leveler 40 is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0b of the adjustment nut 50.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nut 5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when the fixing case 60 presses the horizontal leveler 40,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slide from the adjustment nut 5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너트(50)는, 상기 수평 레벨러(40)의 내주면(50a)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레벨러(4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51), 및 상기 슬라이딩부(51)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 레벨러(40)의 단부(41)를 지지하는 플랜지부(52)를 포함한다. Here, the adjustment nu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50a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and includes a sliding portion 51 on which the horizontal leveler 40 slides, and a sliding portion 51 on which the horizontal leveler 40 slides.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art 51 and includes a flange part 52 that supports the end 41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슬라이딩부(51)는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부(51)는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51)가 보 하부근(22)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면, 슬라이딩부(51)가 보 하부근(22)에 대해 나사결합방향에 따라 수평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liding portion 51 is coupled to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The sliding portion 51 may be screwed to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Accordingly, when the sliding part 51 rotates the beam lower root 22 as the rotation axis, the sliding part 51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according to the screw connec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am lower root 22. .

슬라이딩부(51)는 수평 레벨러(40)의 내주면(40a)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부(51)가 보 하부근(22)에 대해 나사결합방향을 따라 수평방향(L)으로 이동되면, 수평 레벨러(40)가 슬라이딩부(51)와 함께 수평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sliding part 51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40a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When the sliding part 51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along the screw connec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am lower root 22, the horizontal leveler 40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together with the sliding part 51. there is.

수평 레벨러(40)는 슬라이딩부(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부(51)가 보 하부근(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 레벨러(40)는 슬라이딩부(51)에 대해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slidably coupled to the sliding portion 51. In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part 51 is fixed to the beam lower root 22,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with respect to the sliding part 51.

플랜지부(52)는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 결합된다. 플랜지부(52)는 슬라이딩부(51)의 단부에 구비된다. 플랜지부(52)는 슬라이딩부(5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플랜지부(52)는 수평 레벨러(40)의 단부(41)를 지지한다. 이 경우, 플랜지부(52)는 수평 레벨러(40)가 슬라이딩부(5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 레벨러(40)를 지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 The flange portion 52 is coupled to the end portion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The flange portion 5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liding portion 51. The flange portion 5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liding portion 51. The flange portion 52 supports the end 41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In this case, the flange portion 52 functions as a stopper to support the horizontal leveler 40 so that the horizontal leveler 40 does not separate from the sliding portion 51.

플랜지부(52)의 외주면의 직경은 수평 레벨러(40)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수평 레벨러(40)의 단부(41)가 고정 케이스(60)를 향해 돌출된다. 고정 케이스(60)는 수평 레벨러(40)의 단부(41)에 접촉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60)는 플랜지부(52)와 이격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5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In this case, the end 41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protrudes toward the fixing case 60. The fixing case 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end 41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The fixing case 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lange portion 52.

실시예에 따라, 조절너트(50)의 외주면(50b)에는 스플라이싱 돌기(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부(51)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이싱 돌기(53)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플라이싱 돌기(53)는 슬라이딩부(51)의 외주면에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splicing protrusion 53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0b of the adjustment nut 50. In this case, a splicing protrusion 53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51. At this time, the splicing protrusion 53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51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레벨러(40)는 내주면에 스플라이싱 돌기(53)가 삽입되는 스플라이싱 홈(43)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플라이싱 홈(43)은 스플라이싱 돌기(53)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veler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splicing groove 43 into which the splicing protrusion 53 is inse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 splicing groove 4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plicing protrusion 53.

조절너트(50)에 수평 레벨러(40)가 결합될 때 스플라이싱 돌기(53)가 스플라이싱 홈(43)에 삽입된다. 이 경우, 조절너트(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 레벨러(40)는 스플라이싱 돌기(53)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스플라이싱 돌기(53)를 따라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When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nut 50, the splicing protrusion 53 is inserted into the splicing groove 43. In this case, while the adjustment nut 50 is fixed,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not rotate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splicing protrusion 53, but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along the splicing protrusion 53. Can be sliding.

조절너트(50)에 수평 레벨러(40)를 결합한 상태에서, 수평 레벨러(40)를 회전시키면 스플라이싱 돌기(53)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조절너트(5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레벨러(40)는 조절너트(50)와 함께 수평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 With the horizontal leveler 40 coupled to the adjustment nut 50, when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rotated,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plicing protrusion 53, so that the adjustment nut 50 can be rotated together.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veler 40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together with the adjustment nut 50.

수평 레벨러(40)와 조절너트(50)가 함께 회전되어, 수평 레벨러(40)가 수평방향(L)으로 이동되면, 각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 구비된 각 수평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수평 레벨러(40)의 단부의 연장선이 일정선(H) 상에 배치되어 수평선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horizontal leveler 40 and the adjustment nut 50 are rotated together and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each horizontal leveler provided at the end 22a of each beam lower root 22 ( 40) can be placed on a certain line (H). In this case, an extension line of the end of each horizontal leveler 40 may be disposed on a certain line H to form a horizontal line.

고정 케이스(60)는 보 하부근(22)에 구비된다. 고정 케이스(60)는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60)는 보 하부근(22)에 관통될 수 있다. The fixing case 60 is provided at the lower beam root 22. The fixing case 60 may be provided at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The fixing case 60 may penetrate the lower beam root 22.

고정 케이스(60)는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 케이스(60)의 외주면에 베이스 홀더(3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케이스(60)의 외주면은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The fixing case 6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At this time,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holder 30, and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of the base holder 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case 60. In this ca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case 60 may be screw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0a) of the base holder 30.

고정 케이스(60)가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되면, 고정 케이스(60)는 수평 레벨러(40)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케이스(60)는 수평 레벨러(40)를 가압할 수 있다.When the fixing case 6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the fixing case 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leveler 40. In this case, the fixing case 60 can pressurize the horizontal leveler 40.

고정 케이스(60)는 수평 레벨러(40)를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고정 케이스(60)가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되면, 고정 케이스(60)는 수평 레벨러(40)를 가압하여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케이스(60)는 조절너트(50)에 대해 수평 레벨러(40)를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시켜, 수평 레벨러(40)를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접촉시킬 수 있다. The fixing case 60 can slide the horizontal leveler 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When the fixing case 6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the fixing case 60 can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by pressing the horizontal leveler 40. Accordingly, the fixing case 60 slides the horizontal leveler 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nut 50, causing the horizontal leveler 40 to contact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You can do it.

고정 케이스(60)는 조절너트(5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 케이스(60)는 수평 레벨러(40)에만 접촉되고 조절너트(50)에는 비접촉되어, 고정 케이스(60)가 조절너트(50)에 대해 수평 레벨러(40)만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The fixing case 6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djustment nut 50. That is, the fixing case 60 only contacts the horizontal leveler 40 and does not contact the adjustment nut 50, so that the fixing case 60 moves only the horizontal leveler 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with respect to the adjusting nut 50. It can be slid.

고정 케이스(60)에는 가압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61)는 고정 케이스(60)의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61)는 수평 레벨러(40)에 접촉될 수 있다. A pressing portion 61 may be formed in the fixing case 60. The pressing portion 6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fixing case 60. The pressing part 61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leveler 40.

가압부(61)는 조절너트(5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조절너트(50)와 비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61)는 조절너트(50)에 간섭되지 않고 수평 레벨러(40)는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케이스(60)의 가압부(61)가 수평 레벨러(40)를 조절너트(50)에 대해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sing portion 61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djustment nut 50 and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adjustment nut 50. In this case, the pressing unit 61 can press the horizontal leveler 4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djustment nut 50. Accordingly, the pressing portion 61 of the fixing case 60 can slide the horizontal leveler 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with respect to the adjusting nut 50.

가압부(61)의 단부에는 제1라운드부(6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라운드부(61a)는 함몰 또는 만곡되어 형성될 있다. A first round part 61a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part 61. The first round portion 61a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or curved.

수평 레벨러(40)의 단부(41)에는 제2라운드부(4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라운드부(41a)는 제1라운드부(61a)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라운드부(41a)는 함몰 또는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round portion 41a may be formed at the end 41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The second round part 41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round part 61a. The second round portion 41a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or curved.

제1라운드부(61a)는 제2라운드부(41a)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라운드부(61a)는 제2라운드부(41a)를 가압할 수 있다. 제1라운드부(61a)가 만곡되어 형성되고 제2라운드부(41a)가 만곡되어 형성될 경우, 제1라운드부(61a)와 제2라운드부(41a)는 점접촉 될 수 있다. The first round part 61a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und part 41a. In this case, the first round part 61a can press the second round part 41a. When the first round part 61a is formed curved and the second round part 41a is formed curved, the first round part 61a and the second round part 41a may be in point contact.

실시예에 따라, 보 하부근(22)의 중심선(C2)과 기둥 하부근(12)의 중심선(C1)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고, 교차되거나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레벨러(40)의 중심선(C2)과 베이스 홀더(30)의 중심선(C1)이 서로 교차되므로, 수평 레벨러(40)가 보 하부근(22)으로부터 미세하게 틀어져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어긋나게 접촉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enter line C2 of the beam lower root 22 and the center line C1 of the column lower root 12 may not be arranged on a straight line, but may intersect or be arranged misaligned. In this case, since the center line (C2)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and the center line (C1) of the base holder (30) intersect each other,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slightly twisted from the lower beam root (22) and the base holder (30) It may be in misaligned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이때, 제1라운드부(61a)와 제2라운드부(41a)가 점접촉되어 접촉점을 유지한다. 이 경우, 각 중심선(C1, C2)이 어긋나게 배치되어도, 고정 케이스(60)가 수평 레벨러(40)를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보(20)의 하중이 수평 레벨러(40)를 통해 기둥 하부근(12)으로 전달되어, 프리캐스트 기둥(1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round part 61a and the second round part 41a come into point contact and maintain the contact point. In this case, even if the center lines C1 and C2 are misaligned, the fixing case 60 can stably press and support the horizontal leveler 40. Accordingly, the load of the precast beam 20 can be transferred to the lower column root 12 through the horizontal leveler 40 and transmitted to the precast column 10.

또한, 지진 발생으로 인해 수평 레벨러(40)로 수평방향(L)의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로부터 이격되어 수평방향(L)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Additionally,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may be transmitted to the horizontal leveler 40 due to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holder 30 and can absorb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또한, 수직방향의 진동이 발생되어 수평 레벨러(40)가 수직방향으로 진동되는 경우, 제1라운드부(61a)가 제2라운드부(41a)에 점접촉을 유지하여, 수평 레벨러(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s and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vib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round part 61a maintains point contact with the second round part 41a, thereby maintaining the horizontal leveler 40. Since it is stably supported, earthquake resistance can be secured.

고정 케이스(60)가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되면, 고정 케이스(60)의 내주면은 수평 레벨러(40)의 외주면과 제1공동(E1)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fixing case 6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case 60 may form a first cavity E1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고정 케이스(60)에는 제1홀(65)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홀(65)은 제1공동(E1)에 연결된다. 이 경우, 모따기부(23)에 보강 콘크리트가 충진되면, 제1홀(65)을 통해 제1공동(E1)에 보강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다. A first hole 65 may be formed through the fixing case 60. The first hole 65 is connected to the first cavity E1. In this case, when the chamfer 23 is filled with reinforced concrete, the first cavity E1 can be filled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through the first hole 65.

수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에 접촉되면, 수평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과 제2공동(E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동(E2)은 수평 레벨러 수용부(30c)에 포함될 수 있다. When the horizontal leveler 40 contacts the base holder 30,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form a second cavity E2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In this case, the second cavity E2 may be included in the horizontal leveler receiving portion 30c.

수평 레벨러(40)에는 제2홀(45)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홀(45)은 제1홀(65)에 연결된다. 제2홀(45)은 제1공동(E1)에 연결되어 제1홀(65)에 연결되며, 제2공동(E2)에 연결된다. 이 경우, 모따기부(23)에 보강 콘크리트가 충진되면, 보강 콘크리트가 제1홀(65)을 통해 제1공동(E1)에 충진된 후 제2홀(45)을 통해 제2공동(E2)에 충진될 수 있다. A second hole 45 may be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leveler 40. The second hole 45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e 65. The second hole 45 is connected to the first cavity E1,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e 65,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avity E2. In this case, when the chamfer 23 is filled with reinforced concrete, the reinforced concrete is filled into the first cavity (E1) through the first hole (65) and then into the second cavity (E2) through the second hole (45). can be filled.

고정너트(70)는 보 하부근(22)에 구비된다. 고정너트(70)는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 구비된다. 고정너트(70) 보 하부근(22)에 결합된다. 고정너트(70)는 보 하부근(22)에 나사결합된다. 고정너트(70)가 보 하부근(22)에 결합되면, 고정너트(70)는 고정 케이스(60)를 가압하여, 고정 케이스(60)를 베이스 홀더(30)에 견고하게 지지시킨다.The fixing nut 70 is provided on the lower beam root 22. The fixing nut 70 is provided at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The fixing nut (70) is coupled to the lower beam root (22). The fixing nut 70 is screwed to the lower beam root 22. When the fixing nut 70 is coupled to the beam lower root 22, the fixing nut 70 presses the fixing case 60 and firmly supports the fixing case 60 on the base holder 30.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보(20) 및 프리캐스트 기둥(1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고정너트(70)에 의해 고정 케이스(60)가 베이스 홀더(3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인장력을 견딜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ensile force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cast beam 20 and the precast column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xing case 60 is firmly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by the fixing nut 70. It can withstand tensile force.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프리캐스트 보(2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보 하부근(22) 중 하나의 보 하부근(22)의 단부(22a)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Figure 5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nd 22a of one of the plurality of beam lower roots 22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ecast beam 20 is not disposed on the constant line (H). This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도 6 내지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의 결합 동작도이고, 도 8은 복수개의 보 하부근(22) 중 하나의 보 하부근(22)에 결합된 수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와 미접촉된 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수평 레벨러(40)를 고정 케이스(60)가 슬라이딩시키는 동작이 도시된 동작도이다. Figures 6 and 7 are diagrams of the combined operation of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ure 8 shows a horizontal leveler coupled to one beam lower root 22 among a plurality of beam lower bars 22. This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40 is not in contact with the base holder 30, and FIG. 9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sliding the horizontal leveler 40 shown in FIG. 8 by the fixing case 60.

먼저, 도 2와 같이, 프리캐스트 기둥(10)에 프리캐스트 보(20)를 연결하기 위하여는, 우선 프리캐스트 보(20)의 하부에 모따기부(23)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보 하부근(22)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후, 모따기부(23)를 브라켓부(13)에 위치시켜, 기둥 하부근(12)에 결합된 베이스 홀더(30)에 보 하부근(22)을 대향시킨다. First,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connect the precast beam 20 to the precast column 10, first, a chamfer 23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recast beam 20, and a plurality of beam lower roots are formed. (22)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after, the chamfered portion 23 is positioned on the bracket portion 13, and the beam lower root 22 is opposed to the base holder 30 coupled to the column lower root 12.

노출된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 상술한 고정너트(70), 고정 케이스(60), 조절너트(50), 수평 레벨러(40)를 결합시킨다.The above-described fixing nut 70, fixing case 60, adjustment nut 50, and horizontal leveler 40 are coupled to the exposed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이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보 하부근(22) 중 적어도 하나의 보 하부근(22)의 단부(22a)가 나머지 보 하부근(22)의 단부(22a)가 형성하는 일정선 (H)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end 22a of at least one beam lower root 22 among the plurality of beam lower roots 22 is formed by the end 22a of the remaining beam lower root 22. It may not be placed on Jeongseon (H).

이 경우, 보 하부근(22)을 기둥 하부근(12)에 견고하게 연결하고, 프리캐스트 보(20)의 하중을 보 하부근(22)을 통해 프리캐스트 기둥(10)으로 균일하게 전달하려면, 모든 보 하부근(22)의 단부(22a)가 기둥 하부근(12)에 연결되야 하므로, 모든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의 연장선을 일정선(H) 상에 배치시켜야 한다. In this case, to firmly connect the lower beam bar (22) to the lower column bar (12) and uniformly transmit the load of the precast beam (20) to the precast column (10) through the lower beam bar (22). , Since the ends (22a) of all beam lower roots (22) must be connected to the column lower roots (12), the extension lines of the ends (22a) of all beam lower roots (22) must be placed on a certain line (H). .

이때, 도 6과 같이, 각각의 조절너트(50)를 회전시켜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에서 나사결합방향에 따라 수평방향(L)으로 이동시킨다. 각각의 수평 레벨러(40)는 조절너트(50)와 함께 수평방향(L)으로 이동되어, 모든 수평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평 레벨러(40)가 형성하는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의 연장선이 일정선(H) 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each adjustment nut 50 is rotated and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along the screw connection direction at the end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Each horizontal leveler 4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together with the adjustment nut 50, so that all horizontal levelers 40 are positioned on a constant line (H). Accordingly, the extension line of the end portion 22a of the beam lower root 22 formed by the horizontal leveler 40 can be positioned on the constant line H.

이때, 상술한 것과 같이, 조절너트(50)를 수평 레벨러(40)를 결합한 상태에서 수평 레벨러(40)를 회전시키면, 스플라이싱 돌기(53)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조절너트(5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절너트(50)가 보 하부근(22)의 나사산을 따라 수평방향(L)으로 이동되므로, 수평 레벨러(40)가 조절너트(50)와 함께 수평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rotated while the adjustment nut 50 is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leveler 40,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plicing protrusion 53 and the adjustment nut 50 is moved together. can be rotated In this case, since the adjustment nut 5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along the thread of the lower beam root 22, the horizontal leveler 40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together with the adjustment nut 50. there is.

다음으로, 고정 케이스(60)를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킨다. 이 경우, 고정 케이스(60)의 외주면은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60)가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되면, 고정 케이스(60)는 수평 레벨러(40)에 접촉될 수 있다. Next, the fixing case 6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In this ca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case 60 may be screw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0a) of the base holder 30. When the fixing case 6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the fixing case 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leveler 40.

이후, 고정너트(70)를 회전시켜 고정 케이스(60)에 접촉시킨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고정너트(70)가 고정 케이스(60)를 가압하여, 고정 케이스(60)를 베이스 홀더(30)에 견고하게 지지시킨다. Afterwards, the fixing nut 70 is rotated to contact the fixing case 6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fixing nut 70 presses the fixing case 60 to firmly support the fixing case 60 on the base holder 30.

이에 따라, 보 하부근(22)의 단부(22a)의 연장선에 해당하는 수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접촉되므로, 프리캐스트 보(20)의 하중이 균일하게 프리캐스트 기둥(1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horizontal leveler 40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f the end 22a of the lower beam 22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so that the load on the precast beam 20 is uniform.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precast pillar (10).

이때, 제1라운드부(61a)는 제2라운드부(41a)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라운드부(61a)는 제2라운드부(41a)를 가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round part 61a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und part 41a. In this case, the first round part 61a can press the second round part 41a.

실시예에 따라, 보 하부근(22)의 중심선(C2)과 기둥 하부근(12)의 중심선(C1)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고, 교차되거나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레벨러(40)의 중심선(C2)과 베이스 홀더(30)의 중심선(C1)이 서로 교차되므로, 수평 레벨러(40)가 보 하부근(22)으로부터 미세하게 틀어져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어긋나게 접촉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enter line C2 of the beam lower root 22 and the center line C1 of the column lower root 12 may not be arranged on a straight line, but may intersect or be arranged misaligned. In this case, since the center line (C2) of the horizontal leveler (40) and the center line (C1) of the base holder (30) intersect each other,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slightly twisted from the lower beam root (22) and the base holder (30) It may be in misaligned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이때, 제1라운드부(61a)와 제2라운드부(41a)가 점접촉되어 접촉점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각 중심선(C1, C2)이 어긋나는 경우에도, 제1라운드부(61a)와 제2라운드부(41a)가 점접촉되어 접촉점을 유지하므로, 고정 케이스(60)가 수평 레벨러(40)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round part 61a and the second round part 41a come into point contact and maintain the contact point. Accordingly, even when the center lines C1 and C2 are misaligned, the first round part 61a and the second round part 41a are in point contact to maintain the contact point, so that the fixing case 6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leveler 40. can be stably pressurized.

최종적으로, 모따기부(23)에 보강 콘크리트를 충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콘크리트가 제1홀(65)을 통해 제1공동(E1)에 충진된 후 제2홀(45)을 통해 제2공동(E2)에 충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공동(E1) 및 제2공동(E2)에 보강 콘크리트가 충진된 후 경화되므로, 기둥 하부근(12)과 보 하부근(22)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Finally, the chamfer 23 can be filled with reinforced concrete. In this case, reinforced concrete may be filled into the first cavity (E1) through the first hole (65) and then into the second cavity (E2) through the second hole (45). Accordingly, since the reinforced concrete is filled in the first cavity (E1) and the second cavity (E2) and then hardened, the column lower bar 12 and the beam lower bar 22 can be firmly coupled.

한편, 도 8과 같이, 복수개의 수평 레벨러(40) 중 적어도 하나의 수평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에 이격되어, 미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과 틈새(P)를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 at least one horizontal leveler 40 amo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levelers 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holder 30 and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base holder 30 .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veler 40 may form a gap P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즉, 모든 수평 레벨러(40)가 모든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작업환경, 작업자의 숙련도, 프리캐스트 기둥(10)에 구비된 베이스 홀더(30)의 위치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미접촉되어 틈새(P)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it is desirable for all horizontal levelers 40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of all base holders 30, but the working environment, the worker's skill level, and the base holder 30 provided on the precast column 10 are preferred. Depending on the location, etc., at least one horizontal leveler 40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forming a gap P.

이 경우, 고정 케이스(60)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되면, 고정 케이스(60)가 수평 레벨러(40)를 가압하고, 고정된 조절너트(50)에 대해 수평 레벨러(40)를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시키므로, 수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에 완전히 접촉된다. In this case, when the fixing case 60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30, the fixing case 60 presses the horizontal leveler 40 and moves the horizontal leveler 40 with respect to the fixed adjustment nut 5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By sliding L),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base holder 30.

이에 따라, 도 9와 같이,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과 틈새(P)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b)에 완전히 접촉되어, 보 하부근(22)의 하중이 기둥 하부근(12)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at least one horizontal leveler 40 forming a gap P with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completely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30b of the base holder 30. Thus, the load of the beam lower root 22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column lower root 12.

이때, 상술한 것과 같이, 조절너트(50)는 외주면에 스플라이싱 돌기(5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평 레벨러(40)는 내주면에 스플라이싱 홈(43)이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수평 레벨러(40)가 조절너트(50)에 대해 수평방향(L)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ment nut 50 is formed with the splicing protrusion 53 protrud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leveler 40 is formed with the splicing groove 43 reces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o the horizontal leveler (40) can be sl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nut (50).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0 : 프리캐스트 기둥 20 : 프리캐스트 보
13 : 브라켓부 23 : 모따기부
10: precast column 20: precast beam
13: bracket part 23: chamfer part

Claims (10)

프리캐스트 기둥의 기둥 하부근에 구비되고, 브라켓부를 향해 노출되는 베이스 홀더; 프리캐스트 보의 모따기부에 노출된 보 하부근에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에 접촉되는 수평 레벨러; 상기 보 하부근이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레벨러가 외주면에 결합되는 조절너트; 상기 보 하부근에 관통되고, 상기 베이스 홀더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 레벨러에 접촉되는 고정 케이스; 및 상기 보 하부근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케이스를 가압하는 고정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레벨러는 상기 조절너트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고정 케이스가 상기 베이스 홀더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 케이스가 상기 수평 레벨러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A base holder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precast pillar and exposed toward the bracket part; a horizontal leveler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beam exposed to the chamfer of the precast beam, located on the bracket part, and in contact with the base holder; An adjustment nut coupled to the beam lower roo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level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fixing case that penetrates the lower part of the beam,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leveler; And a fixing nut coupled to the lower beam of the beam to pressurize the fixing case; Including,
The horizontal leveler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nut,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in which the fixing case slides the horizontal level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fixing case is coupled to the base hol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케이스에는 상기 조절너트와 이격되고, 상기 수평 레벨러에 접촉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in which a pressurizing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adjusting nut and contacts the horizontal leveler is formed in the fixing ca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는 제1라운드부가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According to clause 4,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in which a first round par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레벨러의 단부에는 상기 제1라운드부에 대응되는 제2라운드부가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in which a second round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und part is formed at an end of the horizontal leve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너트는,
상기 수평 레벨러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레벨러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 레벨러의 단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djustment nut is,
A sliding portion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leveler and allowing the horizontal leveler to slide; and
a flange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sliding portion and supporting an end of the horizontal leveler;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외주면에 스플라이싱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In clause 7,
The sliding part is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formed by protruding splicing protrusion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레벨러는 내주면에 상기 스플라이싱 돌기가 삽입되는 스플라이싱 홈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horizontal leveler is a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formed by recessing a splicing groove into which the splicing protrusion is inse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보의 하부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배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racke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recast column,
The chamfer is formed by opening in the lower part of the precast beam, and the precast concrete horizontal connect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bracket part.
KR1020210015083A 2021-02-03 2021-02-03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102653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083A KR102653826B1 (en) 2021-02-03 2021-02-03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083A KR102653826B1 (en) 2021-02-03 2021-02-03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827A KR20220111827A (en) 2022-08-10
KR102653826B1 true KR102653826B1 (en) 2024-04-01

Family

ID=8284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083A KR102653826B1 (en) 2021-02-03 2021-02-03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82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01B1 (en) 2008-11-03 2009-10-0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Beam-column connection of precast members
KR102024341B1 (en) * 2018-06-21 2019-09-23 유병훈 Connection apparatus for concrete member an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571A (en) * 2014-04-15 2015-10-26 삼성물산 주식회사 Joint coupler for Precast Concrete and Joint method using the same
KR102213087B1 (en) * 2019-09-23 2021-02-08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concrete memb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01B1 (en) 2008-11-03 2009-10-0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Beam-column connection of precast members
KR102024341B1 (en) * 2018-06-21 2019-09-23 유병훈 Connection apparatus for concrete member an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827A (en)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397B1 (en) Fixing system used in prestressed concrete beam having block-out upper portion at end thereof and method of applying prestress thereon using same
EP2376878A1 (en) Pedestal for a load cell
KR102653826B1 (en)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101618703B1 (en) Slab concrete mold for building
KR102514210B1 (en) horizontal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102011857B1 (en) Steel coupling device
CN104947940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deformed bar
CN109811650B (en) Structure for connecting steel upright post with concrete bearing platform
EP2075392A1 (en)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KR102213799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102213802B1 (en) coupling method for precast concrete
EP3792422B1 (en) Self-supported pc column joint part
KR101750724B1 (en) preflex steel gird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reflex steel girder manufacturing method
KR20190042121A (en) Slab panel lowering device using stopper
KR102268697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20190043182A (en) Slab panel lowering device using stopper
KR102292542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DE102008000454A1 (en) Mold for producing concrete molded bodies comprises a tensioning structure with tensioning elements for twisting sections of a mold core separated by a core holder batten and lying opposite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KR102482923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KR102268698B1 (en) coupling method for precast concrete
KR101788650B1 (en) Double safety fixed support
CN109030179B (en) Self-balancing structure for in-plane reciprocating shear test of steel plate concrete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810361B1 (en) Hybrid-type connecting device for wood structure
KR20030013610A (en) Pre-flexed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83560B1 (en) coupler for deformed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