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14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147A
KR20220056147A KR1020210143986A KR20210143986A KR20220056147A KR 20220056147 A KR20220056147 A KR 20220056147A KR 1020210143986 A KR1020210143986 A KR 1020210143986A KR 20210143986 A KR20210143986 A KR 20210143986A KR 20220056147 A KR20220056147 A KR 2022005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time
information
offset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환
안동현
정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511,09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32448A1/en
Publication of KR2022005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동기화 방법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제1 오프셋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제1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2 통신 노드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이 무선 채널을 통하여 동기화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IoT 기술이란, 각종 사물에 센서 또는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들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거나 명령을 전송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다수의 통신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IoT 통신망에서는, 비용 문제로 인하여 통신 노드들 각각이 동기화를 위한 고성능의 장치를 포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노드들 간의 동기 유지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공사 현장, 산업 현장 등 특정한 상황에 사용되는 IoT 통신망에서는 측정 데이터의 수집, 명령 신호의 전달 등의 동작이 시간 동기화된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들 간의 신호 송수신을 통하여 동기화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이 무선 채널을 통하여 동기화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동기화 방법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제1 오프셋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제1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2 통신 노드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오프셋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과 상기 제1 시간 간의 차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 오프셋 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점을, 상기 목표 동기 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오프셋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과 상기 제1 시간 간의 차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기 목표 동기 시간보다 상기 제1 오프셋만큼 앞선 시간을,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기 확인된 상기 제1 통신 노드와 상기 제2 통신 노드 간의 전송 지연(propagation delay)의 정보 및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된 시간의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동기 타이머를 휴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제2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제2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제2 오프셋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상기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남은 시간에 해당하는, 타이머 잔여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타이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이 동일할 경우, 상기 동기 타이머를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소정의 선택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타이머 갱신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타이머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갱신 값은, 상기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 중 작은 값, 상기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 중 큰 값, 상기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의 중간값, 상기 제2 오프셋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노드와 시간 동기화된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지시된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노드는,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제1 오프셋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제1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2 통신 노드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타이머를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재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오프셋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과 상기 제1 시간 간의 차이에 대응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 오프셋 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점을, 상기 목표 동기 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오프셋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과 상기 제1 시간 간의 차이에 대응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기 목표 동기 시간보다 상기 제1 오프셋만큼 앞선 시간을,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동기 타이머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제2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제2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제2 오프셋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상기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남은 시간에 해당하는, 타이머 잔여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을 비교하고, 그리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타이머를 갱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앙 노드는 하나 이상의 단말과의 동기화 동작을 위하여, 소정의 목표 동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중앙 노드는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보다 앞선 시점에, 목표 동기 시간 및 현재의 시간을 기초로 설정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정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은 중앙 노드로부터 전송된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타이머를 설정 또는 갱신할 수 있고,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중앙 노드와의 시간 동기를 획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이 상호간 동기화 동작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중앙 노드로부터 단방향(one-way)으로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상호간 시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3b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통신 노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하나 이상"은 "A 또는 B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ooint), eNB,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수신 노드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송신 노드는 수신 노드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송신 노드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는 송신 노드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300)은 하나의 중앙 노드와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중앙 노드와 하나 이상의 단말은 동기화 절차를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노드는, 하나 이상의 단말로 소정의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은 중앙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동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a에는 통신 시스템(300)이 하나의 중앙 노드(310)와 4개의 단말들(321, 322, 323, 324)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통신 시스템(300)은 중앙 노드(310), 제1 단말(321), 제2 단말(322), 제3 단말(323) 및 제4 단말(3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은 서로 동일한 시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은 중앙 노드(310)를 통하여 서로 동일한 시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00)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통신망을 구성하는 센서 노드들 또는 동작 노드들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은 독립 단말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은 상호간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중앙 노드(310)와의 통신 만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00)의 일 실시예에서, 중앙 노드(310)는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이 접속하는 기지국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중앙 노드(310)는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과 연결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 GW)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중앙 노드(310)는 센서 노드들인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로 구성되는 센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싱크 노드(sink node)에 해당할 수 있다.
다수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는 IoT 통신 시스템에서는, 비용 문제로 인하여 단말들 각각이 저비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들 각각이 동기화를 위한 고성능의 장치를 포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단말들 간의 동기 유지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저비용으로 구성되는 단말들의 경우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채널들에 대한 모니터링에 기초한 동기 유지 및 데이터 송수신 등을 수행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단말들이 수행하는 측정 데이터의 수집, 명령 신호의 전달 등의 동작이 시간 동기화된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수 있다. 이를테면, 공사 현장, 산업 현장, 원격 의료 수술, 스마트 그리드의 자동 분산 제어, 안전한 교통 시스템 제어 등 정확한 데이터 측정 및 명령 수행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센싱을 수행하는 단말 또는 명령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들 간의 고정밀의 시간 동기가 요구될 수 있다. 이를테면, 센서 노드들인 단말들 간의 시간 동기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센서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 동기화된 데이터 수집 또는 명령 수행이 중요한 상황에서도, 저비용으로 구성되는 단말들 각각이 용이하게 시간 동기를 유지하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기화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300)에서 중앙 노드(310)는 동기 획득 및 유지가 필요한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과의 동기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중앙 노드(310)는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에서의 동기화 동작을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앙 노드(310)는 '동기 정보 전송 장치'와 같이 칭할 수도 있다. 중앙 노드(310)가 전송하는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동기 정보 신호'와 같이 칭할 수 있다. 동기 정보 신호는 '동기화 측정 신호'와 같이 칭할 수도 있다.
동기 정보 신호는, 중앙 노드(310)가 목표 동기 기준점에 대응되는 소정의 목표 동기 시간(target sync time)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과 동기화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동기 시간은 협정 세계시(coordinated universal time, UTC) 등의 절대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목표 동기 시간은 통신 시스템(300) 또는 통신 시스템(300)과 연결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한 네트워크 시간 정보 또는 네트워크 동기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목표 동기 시간은 '목표 동기 시점'과 같이 칭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도 3b에는 중앙 노드(310)가 UTC 1,565,568,060을 목표 동기 시간으로 설정하고,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이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을 기준으로 동기화되도록 하기 위한 동기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앙 노드(310)는 목표 동기 시간인 UTC 1,565,568,060보다 앞선 시간에 동기 정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00)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정보 신호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중앙 노드(310)가 동기 정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동기 정보 방송'과 같이 칭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시스템(300)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기 정보 신호는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중앙 노드(310)는 목표 동기 시간에 앞서서 동기 정보 방송 동작을 한 번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정보 신호는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정보 신호는,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동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동기 정보 신호는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 및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00)의 일 실시예에서,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는 UTC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는 중앙 노드(310) 또는 통신 시스템(300)에서 자체적으로 설정된 시간 기준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중앙 노드(310)는 결정된 목표 동기 시간에 대응되는 소정의 실수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중앙 노드(310)는 결정된 목표 동기 시간의 시간 값을 0으로 하는 자체적인 시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노드(310)가 전송하는 동기 정보 신호는, 목표 동기 시간의 시간 값이 0임을 지시하는 정보, 및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중앙 노드(310)가 전송하는 동기 정보 신호는,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고,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의 시간 값을 0으로 하는 시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중앙 노드(310)는 UTC 1,565,568,000인 제1 시간에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할 수 있다. 제1 시간은 목표 동기 시간인 UTC 1,565,568,060보다 60만큼 앞선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동기 정보 신호는, 제1 시간인 UTC 1,565,568,00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기 정보 신호는 제1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시간 간격인 제1 오프셋 6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이 UTC 1,565,568,000라는 점, 및 중앙 노드(310)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이 현재로부터 60만큼 지난 UTC 1,565,568,060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중앙 노드(310)는 UTC 1,565,568,020인 제2 시간에 제2 동기 정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할 수 있다. 제2 시간은 목표 동기 시간인 UTC 1,565,568,060보다 40만큼 앞선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동기 정보 신호는, 제2 시간인 UTC 1,565,568,02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기 정보 신호는 제2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시간 간격인 제2 오프셋 4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제2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이 UTC 1,565,568,020라는 점, 및 중앙 노드(310)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이 현재로부터 40만큼 지난 UTC 1,565,568,060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중앙 노드(310)는 UTC 1,565,568,032인 제3 시간에 제3 동기 정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할 수 있다. 제3 시간은 목표 동기 시간인 UTC 1,565,568,060보다 28만큼 앞선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동기 정보 신호는, 제3 시간인 UTC 1,565,568,032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동기 정보 신호는 제3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시간 간격인 제3 오프셋 28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제3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이 UTC 1,565,568,032라는 점, 및 중앙 노드(310)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이 현재로부터 28만큼 지난 UTC 1,565,568,060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중앙 노드(310)는 UTC 1,565,568,054인 제4 시간에 제4 동기 정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할 수 있다. 제4 시간은 목표 동기 시간인 UTC 1,565,568,060보다 6만큼 앞선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제4 동기 정보 신호는, 제4 시간인 UTC 1,565,568,054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동기 정보 신호는 제4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시간 간격인 제4 오프셋 6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제4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이 UTC 1,565,568,054라는 점, 및 중앙 노드(310)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이 현재로부터 6만큼 지난 UTC 1,565,568,060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단말(321)은 제2 및 제4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데 성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321)은 제1 및 제3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데 실패할 수 있다. 제2 단말(322)은 제1, 제3, 및 제4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데 성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322)은 제2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데 실패할 수 있다. 제3 단말(323)은 제1 및 제4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데 성공할 수 있다. 한편, 제3 단말(323)은 제2 및 제3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데 실패할 수 있다. 제4 단말(324)은 제2 및 제4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데 성공할 수 있다. 한편, 제4 단말(324)은 제1 및 제3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데 실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은 중앙 노드(310)와의 통신 품질이 우수하지 못하거나 단말 자체의 수신 성능이 우수하지 못하여 무선 통신 패킷의 전송 성공률이 낮은 상황에서도, 중앙 노드(310)로부터 복수회 전송되는 동기 정보 신호 중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은 중앙 노드(310)에서 전송되는 모든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해도, 일부 수신된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의 정보 및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중앙 노드(310)는 목표 동기 시간 이전에 동기 정보 방송을 복수 회 수행함으로써, 통신 시스템(300)을 구성하는 단말들이 빠짐없이 목표 동기 시간에 시간 동기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시스템(300)을 구성하는 단말들은 내부 동기 클럭 또는 시간 동기를 위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그룹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노드(310)가 동기 정보 방송을 수행하는 횟수는, 통상의 기술자가 단말이 빠짐없이 목표 동기 시간에 시간 동기화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중앙 노드(310)가 동기 정보 방송을 수행하는 각각의 시간들 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일정하지 않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통신 노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400)는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4 단말(321, ..., 32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노드(400)는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노드가 센서 노드일 경우, 통신 노드(400)는 무선 통신 모듈(410), 중앙 처리 장치(420), 내부 타이머(430), 측정 제어 모듈(440), 센서(4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400)는 메모리(미도시), 저장 장치(미도시),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미도시),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통신 노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410)은 통신 노드(400)와 다른 통신 노드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41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노드(200)의 송수신 장치(23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모듈(410)은 도 2를 참조한 통신 노드(2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통신 노드(400)는 통신 시스템의 중앙 노드(미도시)로부터 전송된 동기 정보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410)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420)는 통신 노드(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420)는 통신 노드(400)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노드(4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42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노드(200)의 프로세서(21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420)는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현재 시간의 정보 및 오프셋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420)는 현재 시간의 정보 및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내부 타이머(430)는 중앙 처리 장치(42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타이머 설정값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를테면, 내부 타이머(430)는 휴지 상태에서 중앙 처리 장치(420)로부터 소정의 타이머 설정값이 제공되면, 제공된 타이머 설정값에 기초하여 타이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처리 장치(420)로부터 제공되는 타이머 설정값은, 통신 노드(400)가 수신한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노드(400)가 수신한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된 오프셋이 40일 경우, 내부 타이머(430)는 40만큼의 시간이 경과된 뒤에 만료되도록 타이머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내부 타이머(430)는 40 만큼의 시간이 경과된 뒤에 타이머 만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중앙 처리 장치(4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내부 타이머(430)는 다시 휴지 상태에 돌입할 수 있다. 만약 타이머 동작 중에 중앙 처리 장치(420)로부터 추가적으로 타이머 설정값이 제공될 경우, 내부 타이머(430)는 추가적으로 제공된 타이머 설정값에 기초하여 타이머 만료 시간 기준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420)는 내부 타이머(430)로부터 타이머 만료를 지시하는 정보가 제공되면, 중앙 노드(미도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420)는 중앙 노드(미도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통신 노드(400)가 시간 동기화된 상태에서 수행할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테면, 중앙 처리 장치(420)는 중앙 노드(미도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측정 제어 모듈(440)이 센서(450)를 통해 측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통신 노드(400)가 센서 노드가 아니라 중앙 노드(미도시)로부터 지시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노드일 경우, 통신 노드(400)는 동작 제어 모듈 및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420)는 중앙 노드(미도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동작 제어 모듈이 동작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측정 제어 모듈(440)은 중앙 처리 장치(420)의 지시에 따라서, 센서(450)를 통해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측정 제어 모듈(440)은 센서(450)를 통해 획득된 측정 데이터를 중앙 처리 장치(420)로 전달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420)는 측정 제어 모듈(440)로부터 전달된 측정 데이터 및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410)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410)은 측정 데이터 및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중앙 노드(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노드(400)는 중앙 노드(미도시)로부터 시간 동기를 획득한 상태에서 측정 동작을 수행하고, 측정 데이터 및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중앙 노드(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500)은 하나의 중앙 노드 및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중앙 노드는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중앙 노드(31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은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4 단말(321, 322, 323, 324)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5에는 통신 시스템(500)이 하나의 중앙 노드(510) 및 하나의 단말(520)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단말(520)은 중앙 노드(510)로부터 전송되는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고, 타이머의 동작에 따라서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부 타이머(43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단말(520)은 중앙 노드(510)로부터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는 타이머를 휴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S530).
중앙 노드(510)는 소정의 목표 동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목표 동기 시간은 '목표 동기 시점'과 같이 칭할 수도 있다. 중앙 노드(510)는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보다 앞서서, 동기 정보 신호를 한 번 이상 전송할 수 있다. 동기 정보 신호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테면, 중앙 노드(510)는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보다 앞서서, 제1 내지 제4 동기 정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동기 정보 신호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4 동기 정보 신호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노드(510)는 목표 동기 시간보다 앞선 제1 시간에, 목표 동기 시간 및 제1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40). 여기서, 제1 동기 정보 신호는 제1 시간의 정보 및 제1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1 오프셋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520)은 중앙 노드(510)로부터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40). 단말(520)은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시간의 정보 및 제1 오프셋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520)은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520)은 현재 시간이 제1 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단말(520)은 기 확인된 중앙 노드(510)와 단말(520) 간의 전송 지연(propagation delay, PD) 값과 제1 시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테면, 단말(520)은 현재 시간이 제1 시간으로부터 기 확인된 PD 값 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시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단말(520)은 중앙 노드(510)와의 PD 값을 확인하는 동작을 사전에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중앙 노드(510)는 단말(510)과의 PD 값을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확인된 PD 값을 제1 동기 정보 신호 및 다른 동기 정보 신호들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520)은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를 시작시킬 수 있다(S545). 여기서, 타이머는 제1 오프셋 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만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중앙 노드(510)는 목표 동기 시간보다 앞선 제2 시간에, 목표 동기 시간 및 제2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동기 정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50). 여기서, 제2 동기 정보 신호는 제2 시간의 정보 및 제2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2 오프셋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520)은 중앙 노드(510)로부터 제2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50). 단말(520)은 제2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시간의 정보 및 제2 오프셋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520)은 제2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의 정보 및 타이머의 설정을 갱신 또는 수정할 수 있다(S555).
이를테면, 단말(520)의 수신 성능 및 처리 성능이 우수하지 않거나, 단말(520)과 중앙 노드(510) 간의 통신 환경이 우수하지 않거나, 단말(520)과 중앙 노드(510) 간의 통신 환경이 변화할 경우, 단말(520)이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통하여 획득하고 계산한 소정의 정보들에 대한 갱신이 필요할 수 있다. 또는, 중앙 노드(510)가 목표 동기 시간을 수정 또는 갱신할 경우, 단말(520)이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통하여 획득하고 계산한 소정의 정보들에 대한 갱신이 필요할 수 있다.
단말(520)은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제1 시간의 정보를 확인한 이후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현재 시간을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520)은 이와 같이 자체적으로 판단되는 현재 시간의 정보와, 제2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제2 시간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판단되는 현재 시간의 정보와 제2 시간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별도의 갱신 또는 수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자체적으로 판단되는 현재 시간의 정보와 제2 시간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단말(520)은 소정의 선택 기준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를테면, 단말(520)은 자체적으로 판단되는 현재 시간과 제2 시간 중 빠른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520)은 자체적으로 판단되는 현재 시간과 제2 시간 중 느린 시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말(520)은 자체적으로 판단되는 현재 시간과 제2 시간의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말(520)은 가장 최근에 중앙 노드(510)로부터 제공된 정보인 제2 시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말(520)은 선택된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520)은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타이머에 대하여, 해당 시점에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남은 시간인 '타이머 잔여 시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520)은 이와 같이 현재 확인되는 타이머 잔여 시간의 정보와, 제2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제2 오프셋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현재 확인되는 타이머 잔여 시간의 정보와 제2 시간의 정보가 일치할 경우, 별도의 갱신 또는 수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현재 확인되는 타이머 잔여 시간의 정보와 제2 오프셋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단말(520)은 소정의 선택 기준에 기초하여 타이머 잔여 시간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를테면, 단말(520)은 현재 확인되는 타이머 잔여 시간과 제2 오프셋 중 작은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520)은 현재 확인되는 타이머 잔여 시간과 제2 오프셋 중 큰 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말(520)은 현재 확인되는 타이머 잔여 시간과 제2 오프셋의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말(520)은 가장 최근에 중앙 노드(510)로부터 제공된 정보인 제2 오프셋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말(520)은 선택된 시간에 기초하여, 타이머 잔여 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중앙 노드(510)는 목표 동기 시간보다 앞선 제3 시간에, 목표 동기 시간 및 제3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동기 정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60). 여기서, 제3 동기 정보 신호는 제3 시간의 정보 및 제3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3 오프셋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520)은 중앙 노드(510)로부터 제3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60). 단말(520)은 제3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제3 시간의 정보 및 제3 오프셋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520)은 제3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의 정보 및 타이머의 설정을 갱신 또는 수정할 수 있다(S565). S565 단계에서의 동작은, S555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중앙 노드(510)는 목표 동기 시간보다 앞선 제4 시간에, 목표 동기 시간 및 제4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4 동기 정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70). 여기서, 제4 동기 정보 신호는 제4 시간의 정보 및 제4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4 오프셋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520)은 중앙 노드(510)로부터 제4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70). 단말(520)은 제4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제4 시간의 정보 및 제4 오프셋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520)은 제4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의 정보 및 타이머의 설정을 갱신 또는 수정할 수 있다(S575). S575 단계에서의 동작은, S555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S540 단계 내지 S575 단계를 통하여 설정 및 갱신된 단말(520)의 타이머는, 중앙 노드(510)가 설정한 목표 동기 시점과 동일 또는 근사한 시점에 만료될 수 있다. 즉, 단말(520)은 중앙 노드(510)가 설정한 목표 동기 시점에 중앙 노드(510)와의 시간 동기를 획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6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 통신 노드는,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노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52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2 통신 노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중앙 노드(51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제2 통신 노드로부터 동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S610). 제1 통신 노드는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정보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 포함되는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20). 여기서, 동기 타이머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520)의 타이머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만약 동기 타이머가 휴지 상태이거나, 동기 타이머가 동작 중이지만 만료되지 않았을 경우(S620), 제1 통신 노드는 제2 통신 노드로부터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25). 만약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S625), 제1 통신 노드는 동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시 대기할 수 있다(S610). 한편,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S625), 제1 통신 노드는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동기 정보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오프셋 값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정보 기준 시점은 제2 통신 노드에서 제공된 현재의 시간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동기 정보 기준 시점은 제2 통신 노드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오프셋 값은 현재의 시간과 목표 동기 시간 간의 차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시간의 정보,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S630 단계에서 확인된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타이머를 설정 또는 갱신할 수 있다(S640). 만약 동기 타이머가 휴지 상태일 경우, S64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S545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한편, 동기 타이머가 설정되어 동작중일 경우, S640 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S555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동기 타이머를 설정 또는 갱신한 이후, 제1 통신 노드는 동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시 대기할 수 있다(S610).
만약 동기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S620), 제1 통신 노드는 해당 시점에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50).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간은, 제2 통신 노드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과 동일 또는 근사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52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제3 통신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 노드는 도 6에 도시된 제1 통신 노드의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들을 통해,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및 제3 통신 노드는 동일 또는 근사한 시점에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1 및 제3 통신 노드는 제2 통신 노드로부터 복수회 반복 제공되는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2 통신 노드에서 설정한 목표 동기 시간에 함께 제2 통신 노드와 시간 동기화될 수 있다. 제1 및 제3 통신 노드를 포함하는 단말 그룹은, 상호간의 동기화를 위한 전역 동기 클럭(Global Synchronization Clock) 등의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제2 통신 노드로부터 단방향(one-way)으로 제공되는 동기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 타이머를 설정함으로써 그룹 내 시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앙 노드는 하나 이상의 단말과의 동기화 동작을 위하여, 소정의 목표 동 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중앙 노드는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보다 앞선 시점에, 목표 동기 시간 및 현재의 시간을 기초로 설정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정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은 중앙 노드로부터 전송된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타이머를 설정 또는 갱신할 수 있고,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중앙 노드와의 시간 동기를 획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이 상호간 동기화 동작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중앙 노드로부터 단방향(one-way)으로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상호간 시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본 출원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구성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설정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제1 오프셋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제1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2 통신 노드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오프셋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과 상기 제1 시간 간의 차이에 대응되는, 동기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 오프셋 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점을, 상기 목표 동기 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오프셋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과 상기 제1 시간 간의 차이에 대응되는, 동기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기 목표 동기 시간보다 상기 제1 오프셋만큼 앞선 시간을,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기 확인된 상기 제1 통신 노드와 상기 제2 통신 노드 간의 전송 지연(propagation delay)의 정보 및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된 시간의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동기 타이머를 휴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제2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제2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제2 오프셋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상기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남은 시간에 해당하는, 타이머 잔여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타이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이 동일할 경우, 상기 동기 타이머를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소정의 선택 기준에 따라 선택되는 타이머 갱신 값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타이머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갱신 값은, 상기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 중 작은 값, 상기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 중 큰 값, 상기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의 중간값, 상기 제2 오프셋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동기화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노드와 시간 동기화된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지시된 제1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12.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노드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제1 오프셋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제1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2 통신 노드에서 설정된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타이머를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2 통신 노드와의 시간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노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은 상기 제1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오프셋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과 상기 제1 시간 간의 차이에 대응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 오프셋 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점을, 상기 목표 동기 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노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오프셋은 상기 목표 동기 시간과 상기 제1 시간 간의 차이에 대응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를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목표 동기 시간의 정보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기 목표 동기 시간보다 상기 제1 오프셋만큼 앞선 시간을, 상기 제1 동기 정보 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1 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노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동기 타이머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제2 동기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동기 정보 신호에 포함된 제2 동기 기준 시점의 정보 및 제2 오프셋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동기 정보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상기 동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남은 시간에 해당하는, 타이머 잔여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타이머 잔여 시간과 상기 제2 오프셋을 비교하고; 그리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타이머를 갱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노드.
KR1020210143986A 2020-10-27 2021-10-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220056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11,095 US20220132448A1 (en) 2020-10-27 2021-10-26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0675 2020-10-27
KR1020200140675 2020-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147A true KR20220056147A (ko) 2022-05-04

Family

ID=8158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86A KR20220056147A (ko) 2020-10-27 2021-10-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61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573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同期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これを遂行する装置
US9578544B2 (en)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ing for dual connectivity networks
KR10221079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프셋을 적용한 d2d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8988972B (zh) 一种时钟同步方法及设备
WO2019192545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2018510577A5 (ko)
CN108418661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101770906B1 (ko) 셀룰러 및 d2d 혼합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사용자 장비
TWI754040B (zh) 處理量測間距的裝置及方法
KR20150128493A (ko)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20220124652A1 (en) IAB Timing Delta MAC CE Enhancement For Case #6 Timing Support
US20220361062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handover
JP2022547778A (ja) 通信デバイス及び通信方法
KR102531880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JP7441960B2 (ja) 情報伝送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2023081964A (ja) 方法、送信デバイス、及び受信デバイス
JP7218809B2 (ja) ユーザ端末、送受信ポイント及び方法
KR20180018313A (ko)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에 기초한 상태 천이 방법
KR2022005614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20220132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9378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80108399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KR10264258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타이밍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6746198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4902582A (zh) 用于通信的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