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14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144A
KR20220056144A KR1020210143973A KR20210143973A KR20220056144A KR 20220056144 A KR20220056144 A KR 20220056144A KR 1020210143973 A KR1020210143973 A KR 1020210143973A KR 20210143973 A KR20210143973 A KR 20210143973A KR 20220056144 A KR20220056144 A KR 20220056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ter
temperature measuring
measuring uni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훈
김성룡
한인재
김우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5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144A/ko
Priority to PCT/KR2022/0164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754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상에는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을 향해 돌출되어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가 상기 드럼을 향하며, 상기 돌출단부가 상기 건조행정 중 공기중에 노출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등 의류에 다양한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스타일러) 등을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의 세탁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 등은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류 등과 같은 세탁물을 투입하여 상기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의류의 세탁과정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의 건조행정은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행정으로서,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이 내부에 존재하는 터브의 내부에 고온의 공기가 제공되어 의류의 수분이 상변화를 통해 수증기화되어 의류로부터 공기중으로 전달됨으로써 의류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의류의 건조행정이 진행될수록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량이나 터브 내부에 요구되는 가열 조건 등이 변화할 수 있고, 따라서 의류의 건조행정은 의류의 건조 상태를 파악하여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KR 10-2020-0087032에는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건조행정이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건조행정 중 터브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상부온도센서 및 하부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들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값을 반영하여 건조행정이 수행된다.
다만, 참고문헌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하부에서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에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구비되고, 하부온도센서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저수공간의 물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건조행정에서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온도를 측정하는 데에 적절하지 않다.
예컨대, 참고문헌의 하부온도센서는 저수공간에서의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저수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제한됨으로써 건조행정 중 저수공간에 잔존하는 물과 접촉되어 공기 중의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참고문헌의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 중 냉각수를 활용하여 터브 일부를 냉각시켜 공기를 제습하며, 따라서 터브를 냉각시킨 이후의 냉각수가 저수공간에 저장되고, 다만 저수공간의 바닥면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참고문헌의 하부온도센서가 노출되기 위해 저수공간의 저수한계가 감소되어 잦은 배수펌프의 작동이나 수위 조절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한편, 참고문헌의 하부온도센서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 측정이 용이하도록 터브의 전방면에 마련되고, 따라서 저수공간에서 배수홀이 존재하는 최심부와의 거리가 멀어 저수한계가 감소된다.
따라서,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하여 활용함으로써 건조행정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여 건조행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에서 건공기와 습공기의 온도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의 습도값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건조행정상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의 습공기 온도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에 마련되는 저수공간의 저수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를 포함한다. 제1온도측정부는 터브 내부의 상측에서 터브 내부의 건공기 온도를 측정하고, 제2온도측정부는 터브 내부의 하측에서 터브 내부의 습공기 온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 내부에서 터브 내부로 전자기장을 제공하는 가열부가 구비됨으로써, 터브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기 유입 구조를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의 내측면에 냉각수를 제공하여 터브의 일부를 냉각시키고, 수증기의 응축 효과를 이용하여 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습함으로써 터브 외부에 공기 제습을 위한 별도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 내부에 상기 냉각수 및 응축수가 수용되는 저수공간 내에 제2온도측정부가 위치됨으로써, 제2온도측정부가 터브 내부의 습공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온도측정부는 터브의 바닥면으로부터 드럼을 향해 돌출되고, 온도가 직접 측정되는 돌출단부가 저수공간에서 수면위로 노출됨으로써, 포화수증기압에 도달한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저수공간의 저수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드럼,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를 포함한다.
터브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된다.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터브의 바닥면상에는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을 향해 돌출되어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가 상기 드럼을 향하며, 상기 돌출단부가 상기 건조행정 중 공기 중에 노출된다.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 및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터브 내부의 습도값을 도출하고, 상기 습도값을 반영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상기 돌출단부보다 더 낮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되며, 상기 응축수는 상기 저수공간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터브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키며, 상기 저수공간에는 상기 응축수 및 상기 냉각수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로 제공되는 냉각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냉각밸브,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 및 상기 냉각밸브 또는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상기 돌출단부보다 더 낮게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부에서 상기 터브로 제공되는 냉각수의 양으로부터 상기 터브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양을 도출하고,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응축수의 총량으로부터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터브개구가 형성되는 전방면, 상기 전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후방면 및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을 연결하고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는 터브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터브둘레면 중 최하단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둘레면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입되어 상기 저수공간 및 상기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둘레면은 상기 저수공간의 둘레에 위치되며 상기 바닥면과 함께 상기 저수공간을 정의하는 저수둘레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에서 상기 저수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저수공간 내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배수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전방면과 터브둘레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전방부 및 후방면과 상기 터브둘레면의 나머지를 포함하는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가 결합되는 결합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배수홀과 상기 결합라인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드럼을 향하며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돌출단부와 상기 드럼간의 거리는 상기 제1온도측정부의 돌출단부와 상기 드럼간의 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터브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되며, 상기 저수공간에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응축수가 수용되고, 상기 냉각부에 의해 상기 터브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측정값은 상기 제1온도측정부의 측정값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터브개구가 형성되는 전방면, 상기 전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후방면 및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을 연결하고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는 터브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 및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터브둘레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터브둘레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터브둘레면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터브둘레면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가열부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터브의 중앙을 지나는 수평중심선과 상기 가열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터브 내부로 전자기장을 제공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상에는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 중 적어도 일부가 수면위에서 공기중에 노출되어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와 상기 드럼간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온도측정부와 상기 드럼간의 최단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바닥면상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에 구비되어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온도측정부에서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가 수면위에서 공기중에 노출되도록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여 건조행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에서 건공기와 습공기의 온도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의 습도값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건조행정상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의 습공기 온도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 내부에 마련되는 저수공간의 저수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터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가열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 내부에 함입된 형태의 저수공간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 내부에 함입되지 않은 형태의 저수공간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 외부에서 바라본 제1온도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1온도측정부를 A-A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 외부에서 바라본 제2온도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온도측정부를 B-B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건조행정 중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의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건조행정 중 저수공간의 수위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일 수 있다.
캐비닛(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공간에는 후술하는 터브(100) 및 드럼(30) 등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형상은 원통형, 다각기둥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1에는 육면체 형상의 캐비닛(10)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캐비닛(10)은 도 1에 도시된 육면체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캐비닛(10)은 복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제조되거나, 캐스팅 공법 등을 통해 해당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거나, 하나의 소재가 절곡 또는 휘어서 제조될 수 있다.
캐비닛(10)이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전방플레이트(11), 후방플레이트, 측방플레이트, 하방플레이트 및 상방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캐비닛(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의류개구(15)를 포함하는 전방플레이트(11)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의류개구(15)가 마련되는 플레이트를 반드시 전방플레이트(11)로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의류개구(15)는 상방플레이트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할 때, 의류개구(15)는 전방플레이트(11)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해당할 수 있고,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는 의류개구(1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개구(15)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즉, 의류개구(15)는 의류가 캐비닛(10)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에 해당할 수 있다.
의류개구(15)의 후방으로는 터브(100) 및 드럼(30)이 위치될 수 있고, 터브(100) 및 드럼(30)과 의류개구(15) 사이에는 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터브(100)가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전방플레이트(11)에는 의류개구(15)의 개폐를 위한 의류도어(17)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도어(17)는 전방플레이트(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전방플레이트(11)에 밀착되어 의류개구(15)를 폐쇄하거나 전방플레이트(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어 의류개구(15)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세제를 저장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80)의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은 사용자에게 의류의 처리과정을 안내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마이크나 버튼 등을 통해 서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에는 컨트롤패널 및 의류개구(15)가 전방플레이트(11)에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측방플레이트 또는 상방플레이트 등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캐비닛(10)의 내부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에 해당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100) 및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기 의류개구(15)를 마주보는 터브개구(105)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상기 터브(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드럼(30)은 상기 의류개구(15) 및 상기 터브개구(105)를 마주보는 드럼개구(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의류개구(15), 터브개구(105) 및 드럼개구(35)가 모두 캐비닛(10)의 전방을 향하는 프론트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프론트로딩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프론트로딩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터브(100)는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고,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상의 터브(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터브(100)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터브개구(105)가 형성되는 전방면(101)과, 전방면(10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후방면(102)과, 전방면(101) 및 후방면(102) 사이에 위치되는 터브둘레면(103)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개구(105)에 의해 터브(10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즉, 터브(100)의 내부공간은 터브개구(105)에 의해 터브(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100)의 내부에 마련되고,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상의 드럼(3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드럼(30)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터브(100)의 전방면(101)을 마주보는 일면에 드럼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드럼개구(35)에 의해 드럼(3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공간은 드럼개구(35)에 의해 드럼(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100)의 내부에서 드럼개구(35)가 터브개구(105)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터브(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서 터브개구(105)가 의류개구(15)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의류개구(15), 터브개구(105) 및 드럼개구(35)는 함께 일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의류개구(1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에서 캐비닛(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개구(105) 및 드럼개구(35)를 지나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터브개구(105) 및 드럼개구(35)는 의류개구(15)와 함께 의류의 이동 통로가 될 수 있다.
터브(1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고, 드럼(30)은 둘레면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과정에서 터브(100) 내부로 물이 공급되면 드럼(30)의 관통홀을 통해 드럼(30) 내부에 물이 제공되어 의류와 물이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외부급수원(50)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급수원(50)으로부터 물이 전달되는 급수원연결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급수원(50)은 캐비닛(10)의 외부에서 급수원연결부(40)로 물을 공급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급수원연결부(40)는 외부급수원(50)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캐비닛(10) 내부의 다양한 구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급수원연결부(40)는 필요에 따라 물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0)는 급수원연결부(40)와 직접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거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세제공급장치(80)로부터 물과 세제를 함께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드럼(30)은 터브(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드럼(30)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70)가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70)는 터브(100)와 캐비닛(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 내부에서 터브(100)가 고정되고, 터브(100)의 후방면(102)에 구동부(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드럼(30)은 터브(100)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결합되며, 구동부(70)는 상기 회전축을 통해 드럼(30)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터브(100)와 전방플레이트(11) 사이에는 터브(100)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처리과정, 예컨대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을 위해 터브(100) 내부로 물이 제공된 경우, 터브(100) 내부의 물이 터브개구(10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 또는 캐비닛(10)의 내부이자 터브(1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터브(100) 내부의 물이 터브(100) 외부로 유출되면 타 구성의 부식이나 변질을 유발할 수 있고, 위생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타 구성의 고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개구(15)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11)와 터브(100) 사이에서 터브(100)의 물이 터브(1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브(100)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터브(100)와 결합되어 건조행정 중 터브(100)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9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열부(9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조행정 중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95)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냉각부(95)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활용하거나 냉각수를 활용하는 종류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각수를 활용하는 냉각부(95)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냉각부(95)는 냉각유로(96)를 통해 급수원연결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원연결부(40), 냉각유로(96) 및/또는 냉각부(95)에는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냉각부(95)로 전달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냉각밸브(97)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밸브(97)는 개방상태에서 물의 유동을 허용하고, 폐쇄상태에서 물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냉각부(95)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냉각수를 이용하여 터브(100)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냉각부(95)는 터브(100)의 내부에서 후방면(102) 또는 터브둘레면(103)의 적어도 일부에 냉각수를 제공함으로써 터브(100)의 후방면(102) 또는 터브둘레면(103)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건조행정 중 가열부(9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는 터브(100)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면서 공기 중 수분이 물방울의 형태로 응축될 수 있고, 응축된 물은 냉각수와 함께 터브(100)의 저수공간(110)에 수집될 수 있다.
한편, 터브(100)의 내부에는 상기 저수공간(110)이 마련될 수 있다. 저수공간(110)은 물의 자중을 고려하여 터브(1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저수공간(110)은 터브(100)의 바닥면(107)상에 정의될 수 있다.
저수공간(110)은 터브(100)의 바닥면(107)과 상기 저수공간(110)을 둘러싸는 저수둘레면(109)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터브(100)의 바닥면(107) 및 저수둘레면(109)은 터브(100)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저수둘레면(109)은 터브(100)의 전방면(101), 후방면(102) 및/또는 터브둘레면(103)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냉각부(95)에 의해 제공되는 냉각수 또는 건조행정 중 발생되는 응축수는 상기 저수공간(1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터브(100)는 터브둘레면(103)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입되어 상기 저수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저수공간(110)의 둘레에 위치되는 저수둘레면(109)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100)는 터브둘레면(103)의 하부가 하방으로 함입됨으로써 내부에 하방으로 확장된 형태의 저수공간(110)이 정의되고 상기 바닥면(107)과 저수둘레면(109)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둘레면(103)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터브(100) 내부의 공간 중 일부가 상기 저수공간(110)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5와 같이 터브둘레면(103)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입되지 않은 형태의 경우, 터브(100)의 내부공간 중 건조행정에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저수공간(110)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저수공간(110)을 기준으로 바닥면(107)과 저수둘레면(109)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터브(100)의 바닥면(107)에는 저수공간(110)과 연통되는 배수홀(62)이 마련될 수 있고, 저수공간(110)에 저장되는 물은 배수홀(62)을 통해 터브(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홀(62)은 터브(100) 외부에 위치되는 배수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부(60)는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배수부(60)는 상기 배수펌프 등의 작동을 통해 저수공간(110)의 물을 선택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배수부(60)는 터브(1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펌핑하여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터브(100)에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는 서로 이격되어 터브(100) 내부 중 서로 다른 부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에는 터브(100)의 상단에 제1온도측정부(200)가 마련되고 터브(100)의 하단에 제2온도측정부(300)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가 반드시의 터브(10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한편, 제1온도측정부(200)는 터브(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터브(100) 내부의 건공기 온도를 측정하고, 제2온도측정부(300)는 터브(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터브(100) 내부의 습공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습공기란 포화수증기압이 형성된 상태의 공기를 의미하고, 다만 물의 수면(W)과 가깝게 위치되어 상대적으로 포화수증기압에 가까운 수증기압이 형성된 상태의 공기 또한 습공기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저수공간(110) 또는 저수공간(110)과 인접한 위치의 공기는 습공기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공기란 습공기와 달리 일반적인 상태의 상대습도가 형성된 공기를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는 저수공간(110)과 충분히 멀리 떨어져 저수공간(110)에 수용된 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의 공기가 건공기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온도측정부(300)는 저수공간(110)상에 위치되어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온도측정부(200)는 터브(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브(100) 내부의 공기에 대한 건공기 온도 및 습공기 온도는 건조행정의 수행에서 건조행정의 진행상태를 파악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건공기의 온도 및 습공기의 온도차는 공기의 현재 습도값을 도출하기 위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캐비닛(1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전술한 급수원연결부(40), 세제공급장치(80), 구동부(70), 배수부(60), 가열부(90), 냉각부(95), 냉각밸브(97) 등과 전기적/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적/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다양한 구성과 연결되어 상기 다양한 구성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의류의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 등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100)의 외관을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터브(100)는 터브개구(105)를 포함하는 전방면(101)과, 상기 전방면(10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후방면(102)과, 상기 전방면(101) 및 상기 후방면(102)을 서로 연결하는 터브둘레면(10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90)는 터브둘레면(103)상에 구비될 수 있고,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 또한 터브둘레면(103)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터브(100)의 바닥면(107)은 터브둘레면(103)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1온도측정부(200)는 터브둘레면(103) 중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2온도측정부(300)는 터브둘레면(103) 중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터브둘레면(103)의 상부 또는 터브(100)의 상부란, 터브(100)의 단면상 중심을 지나는 수평중심선(L)보다 위에 존재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하부란 상기 수평중심선(L)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90)가 도시되어 있다. 가열부(90)는 터브(100) 내부를 가열하여 물 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부(90)는 세탁행정에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건조행정에서 터브(100)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열부(90)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부(90)는 냉매를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전류에 의한 저항으로 가열되는 전기식 히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대상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전기적 저항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자기장 발생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기장 발생기 형태의 가열부(9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을 참고하면, 가열부(90)는 유도코일(91) 및 코일커버(92)를 포함할 수 있고, 터브(100)에는 상기 가열부(90)가 결합되기 위한 코일결합부(93)가 마련될 수 있다.
유도코일(91)은 전류가 제공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고, 코일커버(92)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도코일(91)은 터브(100)의 외주면상에 구비되어 터브(100)의 내부로 전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터브(100)는 유도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소재, 예컨대 플라스틱 등과 같은 부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코일(91)을 포함하는 가열부(90)에서 제공되는 전자기장은 터브(10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상기 전자기장이 터브(100)를 통과하여 터브(100)의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은 터브(100)와 달리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소재, 예컨대 금속이나 특수 세라믹과 같은 전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90)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드럼(30)에는 유도전류, 예컨대 와전류가 형성될 수 있다. 전류의 형성으로 저항체에 해당하는 드럼(30)은 스스로 가열될 수 있다.
가열부(90)에 의해 가열되는 드럼(30)은 터브(100) 내부의 공기 또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예컨대, 가열부(90)는 의류의 세탁행정에서 터브(100) 내부에 제공된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드럼(30)을 가열하거나, 의류의 건조행정에서 터브(100) 내부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드럼(30)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400)가 가열부(90)와 전기적/신호적으로 연결되어 가열부(9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터브(100)의 터브둘레면(103)이 함입되어 터브(100)의 내부공간이 확장된 형태의 저수공간(110)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터브(100)의 터브둘레면(103)이 일정하게 연장되어 원형 단면을 가지며 터브(100) 내부공간 중 일부가 저수공간(110)에 해당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6에는 터브(10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터브(100)를 측방에서 바라볼 때 제2온도측정부(300) 및 제2온도측정부(3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7을 참고하여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캐비닛(10), 터브(100), 드럼(30),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드럼(30)은 상기 터브(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며,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는 각각 상기 터브(100)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100)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터브(100)의 바닥면(107)상에는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는 상기 저수공간(110)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는 상기 저수공간(110)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100)의 바닥면(107)으로부터 상기 드럼(30)을 향해 돌출되어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305)가 상기 드럼(30)을 향하며, 상기 돌출단부(305)가 상기 건조행정 중 공기중에 노출되도록 상기 저수공간(110)의 수위(H3)보다 높게 위치되어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저수공간(11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도 5 및 7에는 터브둘레면(103)의 하단측이 하방으로 함입된 형태를 가지며 터브(100)의 바닥면(107)과 저수공간(110)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터브둘레면(103)의 하단측이 하방으로 함입되지 않고 터브(100)의 단면이 대략 원형이며 터브(100)의 내부공간 중 일부가 저수공간(110)에 해당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온도측정부(200)는 건공기의 온도 측정을 위해 상기 저수공간(110)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온도측정부(200)는 터브(1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100) 외측에서 바라본 제1온도측정부(2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제1온도측정부(200)를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1온도측정부(200)는 터브둘레면(103) 중 터브(1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터브둘레면(103)을 관통하여 온도가 측정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돌출단부(205)가 터브(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터브둘레면(103)에는 제1온도측정부(200)가 삽입 및 결합되기 위한 측정결합부(230)가 마련될 수 있고, 측정결합부(230)는 터브둘레면(103)으로부터 터브(1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온도측정부(200)는 터브(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결합부(230)에 결합되는 고정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0)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220)에 의해 측정결합부(23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210)가 측정결합부(230)에 결합 및 고정됨에 따라 터브(100) 내부에서 제1온도측정부(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온도측정부(20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온도측정부(200)는 역학적/전기적/복사형 온도계일 수 있고, 전기적 특성으로 온도를 판정하는 써미스터 형태일 수 있다. 제2온도측정부(300) 또한 동일하다.
제1온도측정부(200)는 터브(10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 중에 노출되고 온도가 측정되는 기준부위가 되는 돌출단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온도측정부(200)의 온도 측정값은 상기 돌출단부(205)를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가 서미스터 형태인 경우, 저항값이 변화하는 서미스터칩이 상기 돌출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온도측정부(200)는 측정결합부(230) 및 고정부(210)의 결합을 통해 터브(100) 내부에서 제1온도측정부(200)의 돌출단부(205) 위치가 필요한 위치에 고정되어 온도 측정값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터브(100)의 외측에서 바라본 제2온도측정부(3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제2온도측정부(300)를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2온도측정부(300)는 제1온도측정부(200)와 같이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에서 온도가 측정될 수 있고, 터브(100)의 바닥면(107)을 관통하여 터브(100)의 내부에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온도측정부(300)는 저수공간(1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온도측정부(300)는 저수공간(110)을 정의하는 터브(100)의 바닥면(107)을 관통하여 터브(100) 내부에서 저수공간(1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온도측정부(300)는 터브(100)의 바닥면(107)으로부터 드럼(30)을 향하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는 상기 드럼(3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온도측정부(300)는 저수공간(110)상에 존재하는 물에 의해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수공간(110)에서 건조행정 중 물이 수용될 수 있다.
건조행정 중 저수공간(110)에 수용되는 물은 냉각부(95)에 의해 제공되는 냉각수이거나, 냉각부(95)에 의해 냉각된 터브(100)의 일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이거나, 또는 습공기 측정을 위해 의도적으로 저수공간(110)에 저장한 물일 수 있다.
물이 존재하는 저수공간(110)으로부터 이격된 제1온도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일반적인 상태의 공기에 해당하는 건공기의 온도일 수 있고, 물이 존재하는 저수공간(110)에 위치된 제2온도측정부(300)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물의 증발에 의해 포화수증기압에 해당하거나,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취급할 수 있는 공기에 해당하는 습공기의 온도일 수 있다.
건조행정 중의 터브(100) 내부에서 측정되는 건공기의 온도 및 습공기의 온도는 상대적인 관계에서 건조행정의 진행상태 또는 의류의 건조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로부터 측정되는 측정값을 활용하여 건조행정의 수행에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의 각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건조행정 중 의류의 건조효율이 실질적인 최고치에 해당하는 항률구간(P2)에 진입한 상태인지, 또는 의류의 건조효율이 감소되며 의류의 건조가 충분히 수행된 감률구간(P3)에 진입한 상태인지 등을 파악하여 건조행정을 수행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 내지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는 건조행정 중 저수공간(110)에 수용된 물의 수위(H3)보다 더 높게 위치되어 공기 중에 노출됨으로써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온도측정부(300)는 터브(100) 내부에서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고, 따라서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는 저수공간(110)의 물과 인접하게 배치됨이 유리하지만, 직접 물에 접촉되면 물의 온도를 파악하게 되어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온도측정부(300)가 저수공간(110)상에 배치되어 물과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습공기의 온도 측정에 유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는 적어도 저수공간(110)의 수위(H3) 이상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습공기의 온도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가 수면(W) 위에 위치되기 위해서는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의 높이(H2) 자체가 건조행정 중 저수공간(110)의 저수용량을 제한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온도측정부(300)가 터브(100)의 바닥면(107)으로부터 드럼(30)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높이(H2)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2온도측정부(300)의 높이(H2)를 편리하게 증가시켜 저수공간(110)의 저수용량 한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2온도측정부(300)는 그 표면에서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의 형태로 응축될 여지가 있으며, 제2온도측정부(300)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물방울은 자중에 의해 제2온도측정부(300)로부터 상기 바닥면(107)으로 흘러내려 제거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온도측정부(300)는 물이 존재하는 저수공간(110)에서 터브(100)의 바닥면(107)을 관통하므로, 터브(100) 외부로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측정가스켓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가스켓부(340)는 터브(100)의 바닥면(107)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2온도측정부(300)는 상기 측정가스켓부(340)를 관통하여 터브(100)의 저수공간(110)으로 삽입되므로, 제2온도측정부(300)의 결합부위는 측정가스켓부(340)에 의해 물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온도측정부(300)는 터브(100)의 바닥면(107)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저수공간(110)의 둘레측과 이격되고 저수공간(110)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어 물에 증발에 의한 포화수증기압의 형성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지점에서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이 가지는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으로부터 도출되는 습도값이 표시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 및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터브(100) 내부의 습도값을 도출하고, 상기 습도값을 반영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의 건조행정에 있어서 상기 건조행정의 진행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는 터브(100) 내부의 공기가 가지는 습도값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의류로부터 수분의 증발율이 변화되며 건조효율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습도값 또한 특정 패턴을 가지며 변화를 보일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건조행정의 수행단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터브(100) 내부의 공기 중 습도값을 이용한 건조행정의 제어는 단지 터브(100) 내부의 공기 중 온도값을 이용하여 건조상태의 추측을 통한 건조행정의 제어보다 정밀하여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도 12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분 단위의 시간축에 해당하고, 좌측 세로축은 섭씨 단위의 온도축에 해당하며, 우측 세로축은 퍼센트 단위의 습도축에 해당한다.
또한, 그래프상의 선 M1은 제1온도측정부(200)의 측정값이고, 선 M2는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이며, 선 M3는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의 편차값으로부터 도출되는 습도 산출값이고, 선 M4는 실제 습도센서를 활용하여 측정된 습도 측정값이다.
한편, 도 12의 그래프에는 건조효율이 증가되며 건조행정의 초기에 해당하는 증률구간(P1)과, 건조효율이 최대값을 유지하며 건조행정의 중기에 해당하는 항률구간(P2)과, 의류의 수분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되어 건조효율이 감소되며 건조행정의 말기에 해당하는 감률구간(P3)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습도 산출값 M3를 도출할 수 있다. 습도 산출값 M3는 제어부(400)에 미리 저장되는 특정 공식에 의해 실시간으로 산출되거나, 제어부(400)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맵에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을 대입하여 도출될 수도 있다.
도 12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으로부터 제어부(400)에 의해 도출되는 습도 산출값 M3가 실제로 습도를 측정한 결과인 습도 측정값 M4를 높은 신뢰도에서 추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온도측정부(200)의 측정값 M1이나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 M2를 그대로 활용하여 건조행정의 진행상황을 판단하는 것과 비교하여, 습도 측정값 M4를 높은 신뢰도에서 추종하여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습도 산출값 M3를 활용하는 것이 건조행정의 효율적인 수행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으로부터 도출되는 습도 산출값 M3를 통해, 실제 습도센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높은 신뢰도를 가지며 건조행정의 항률구간(P2) 진입시점이나 감률구간(P3) 진입시점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110)과 연통되어 상기 저수공간(110)의 물을 상기 터브(100)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배수부(60)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저수공간(110)의 수위(H3)를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의 상기 돌출단부(305)보다 더 낮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7을 참고하면, 제2온도측정부(300)가 물의 온도가 아니라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는 터브(100)의 바닥면(107)으로부터의 높이(H2)가 저수공간(110)에서 터브(100)의 바닥면(107)으로부터 수면(W)까지의 높이(H3)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와 수면(W)간의 높이 관계는 제2온도측정부(300)의 높이 조절뿐만 아니라 저수공간(110)에 저장되는 저수량의 조절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건조행정상 저수공간(110)의 저수허용량에 맞추어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높이(H2)를 설정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높이(H2)에 맞추어 저수공간(110)의 저수허용량을 변경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높이(H2)를 기준으로 저수공간(110)의 저수허용량을 결정하고, 저수허용량을 초과하는 물이 저장되는 경우, 배수부(60)를 작동시켜 저수공간(110)의 수위(H3)를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가 수면(W)보다 상방에서 공기중에 안정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습공기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부(90)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부(9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1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터브(100)는 상기 건조행정에서 내부에 정체된 상태의 공기가 상기 가열부(9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조행정에서 터브(100)의 내부와 외부간의 공기 유동이 존재하지 않고, 터브(100) 내부의 공기가 정체된 상태에서 가열부(90)에 의해 가열되는 정체식 건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브(100) 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순환식 또는 배기식 건조 구조에서는 터브(100)의 외부에서 공기 유로상에 온도센서나 습도센서가 구비되기 용이한 반면, 정체식 건조 구조에서는 터브(100) 내부에서 공기의 습도값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100) 내부에서 공기가 가열되어 유동하지 않는 정체식 건조 구조에서,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200)와 더불어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110)에서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측정부(300)를 활용함으로써 터브(100) 내부의 습도값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95)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100)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터브(100)는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냉각부(95)에 의해 냉각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되며, 상기 응축수는 상기 저수공간(110)에 수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조행정 중 제2온도측정부(300)의 사용을 위해 저수공간(110)에 별도로 물을 저장시키지 않더라도, 응축수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수공간(110)에 물이 저장되어 습공기의 측정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95)를 이용한 응축수 제거 방식에 의해 정체식 건조 구조에서도 효과적으로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제2온도측정부(300)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부(95)는 상기 터브(100)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키며, 상기 저수공간(110)에는 상기 응축수 및 상기 냉각수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부(9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냉각부(95)는 터브(100) 내측면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는 응축수와 함께 저수공간(110)에 저장됨으로써, 습공기의 온도 측정을 위한 저수공간(110)의 저수 환경을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조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95)로 제공되는 냉각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냉각밸브(97),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110)과 연통되어 상기 저수공간(110)의 물을 상기 터브(100)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60) 및 상기 냉각밸브(97) 또는 상기 배수부(60)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저수공간(110)의 수위(H3)를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의 상기 돌출단부(305)보다 더 낮게 유지시키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저수공간(110)에 저장된 저수량이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이상이 되기 전에 미리 냉각밸브(97)를 제어하여 냉각수의 공급량을 감소시키거나, 배수부(60)를 제어하여 저수공간(110)의 물을 배수함으로써,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조행정 중 저수공간(11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H3) 변화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냉각부(95)에서 상기 터브(100)로 제공되는 냉각수의 양(C1)으로부터 상기 터브(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양(C2)을 도출하고,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응축수의 총량(C1+C2)으로부터 상기 저수공간(110)의 수위(H3)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행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냉각부(95)에 의해 터브(100)의 적어도 일부가 냉각되기 시작한 이후, 냉각된 터브(100)의 내측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양(C2)은 냉각수의 양(C1) 또는 냉각 진행시간과 특정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13에는 이러한 냉각수의 양(C1) 및 응축수의 양(C2)의 상관관계가 개념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12에서 가로축은 분 단위의 시간축이며, 세로축은 mm 단위의 수위축이다.
도 13을 살펴보면, 우선 의류로부터 수분이 건조되는 건조효율이 최대화되고 냉각부(95)에 의해 냉각수가 제공되는 시작하는 냉각수 유입시점 t1이 표시되어 있다.
냉각수 유입시점 t1 이후 저수공간(110)에는 냉각수가 저장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저수공간(110)에 저장되는 냉각수의 양(C1)이 증가됨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냉각수 유입시점 t1 이후, 냉각부(95)에 의한 냉각활동으로 터브(100)의 내측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수공간(110)에 저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각수의 양(C1)과 응축수의 양(C2)이 합산된 저수공간(110)의 저수량(C1+C2)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저수공간(110)의 저수량이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높이(H2)에 도달하기 전, 배수부(60)의 배수펌프를 작동시켜 저수공간(110)의 물을 배출할 수 있고, 도 13에는 배수부(60)가 작동되는 배수시점 t2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저수공간(110)의 저수량 조절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를 표시한 것 뿐이며, 냉각수의 양(C1)이나 응축수의 양(C2)은 도 13과 달리 비선형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배수시점 t2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배수 종료 이후 저수공간(110)에는 물이 잔존하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2온도측정부(300)의 원활한 측정을 위한 일정량의 물이 여전히 저수공간(110)에 존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저수공간(110)의 저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를 생략하더라도, 냉각수의 제공량 또는 제공시점으로부터 현재의 냉각수의 양(C1) 또는 제공기간으로부터 응축수의 양(C2)을 도출하고, 저수공간(110)의 저수량을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가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저수공간(110)의 수위(H3)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100)는 상기 저수공간(110)을 둘러싸며 상기 바닥면(107)과 함께 상기 저수공간(110)을 정의하는 저수둘레면(109)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는 상기 저수공간(110)에서 상기 저수둘레면(109)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수둘레면(109)으로부터 이격된 제2온도측정부(300)는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온도측정부(300)는 터브(100)의 바닥면(107)에서 드럼(30)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터브(100)의 전방면(101) 또는 후방면(102)에 구비되지 않는 제2온도측정부(300)는 위치적 자유도가 확보되어 저수둘레면(109)과도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저수공간(110)에는 전술한 배수홀(62)이 마련될 수 있고, 저수공간(110)에서 터브(100)의 바닥면(107)은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수홀(62)을 향해 만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터브(100)의 바닥면(107)에서 배수홀(62)은 최심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최심부는 저수둘레면(109)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온도측정부(300)가 저수둘레면(109)에 접촉 또는 인접하게 되면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를 공기 중에 노출시키기 위해, 저수공간(110)의 저수용량 확보에 불리하게 된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공간(11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저수둘레면(109)측에서 이격된 내측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온도측정부(300)가 저수공간(110)에서 저수둘레면(109)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저수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습공기의 온도 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100)는 상기 저수공간(110) 내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배수홀(6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는 상기 배수홀(62)의 둘레측에서 상기 드럼(3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온도측정부(300)와 배수홀(62)의 위치 관계는 도 10 및 11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공간(110)에서 터브(100)의 바닥면(107)은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수홀(62)이 최심부가 되도록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온도측정부(300)는 배수홀(62)의 둘레측에 배치됨으로써 저수공간(110)의 저수량이 적더라도 포화수증기압에 해당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기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100)는 서로 결합되는 분할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00)의 전방측의 전방부 및 후방측의 후방부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터브(100)가 구성될 수 있다.
터브(100)의 전방부는 터브(100)의 전방면(101)을 포함할 수 있고, 배수홀(62)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0)의 후방부는 터브(100)의 후방면(102)을 포함할 수 있고, 구동부(7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일례에서, 제2온도측정부(300)는 배수홀(62)이 마련되는 터브(100)의 전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온도측정부(300)는 터브(100)의 전방부 및 후방부가 결합되는 결합라인과 배수홀(6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100)는 전방면(101)과 터브둘레면(103)의 일부를 포함하는 전방부 및 후방면(102)과 상기 터브둘레면(103)의 나머지를 포함하는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가 결합되는 결합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는 상기 드럼(30)을 향하며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2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와 상기 드럼(30)간의 거리(D2)는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의 돌출단부(205)와 상기 드럼(30)간의 거리(D1)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제1온도측정부(200)와 드럼(30)간의 거리(D1) 및 제2온도측정부(300)와 드럼(30)간의 거리(D2)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높이(H2)는 저수공간(110)의 저수용량에 관계될 수 있고,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높이(H2)를 증가시키는 것은 빈번한 배수과정으로 겪는 불편을 개선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단부(305) 높이(H2)가 증가된 제2온도측정부(300)는 드럼(30)과의 거리(D2)가 제1온도측정부(200)와 드럼(30)간 거리(D1)보다 더 짧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30)과의 거리는 최단거리를 의미한다.
도 5 내지 7에는 제1온도측정부(200)의 돌출높이(H1)와 드럼(30)과의 거리(D1)가 표시되어 있고, 제2온도측정부(300)의 돌출높이(H2) 및 드럼(30)과의 거리(D2)가 표시되어 있다. 제1온도측정부(200)와 드럼(30)간의 거리(D1)는 제2온도측정부(300)가 드럼(30)간의 거리(D2)보다 더 길 수 있다.
D1 및 D2간의 관계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부(95)에 의해 상기 터브(100)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은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의 측정값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냉각수 유입시점 t1 이전에, 제1온도측정부(200)의 측정값 M1이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 M2보다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냉각수 유입시점 t1 이전에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은 드럼(30)과의 거리가 반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부(95)를 통한 냉각수의 유입 이전에 저수공간(110)에 별도로 물이 저장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냉각수 유입시점 이전의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은 제1온도측정부(200)와 같이 건공기의 온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30)에 유도전류를 형성하여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부(90)에 있어서, 터브(100) 내부에서 드럼(30)은 발열체에 해당하므로 드럼(30)과 가까울수록 공기의 온도 측정값은 증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공간(110)의 저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제2온도측정부(300)와 드럼(30)간의 거리(D2)는 제1온도측정부(200)와 드럼(30)간의 거리(D1)보다 더 짧을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조행정에서 냉각수가 유입되기 전에 제2온도측정부(300)의 측정값 M2가 제1온도측정부(200)의 측정값 M1보다 더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100)는 상기 터브(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터브개구(105)가 형성되는 전방면(101), 상기 전방면(10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후방면(102) 및 상기 전방면(101) 및 상기 후방면(102)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면(101) 및 상기 후방면(102)을 연결하고 상기 바닥면(107)을 포함하는 터브둘레면(10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 및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는 상기 터브둘레면(103)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가 터브둘레면(103)에서 상기 터브둘레면(103)을 관통하여 구비됨으로써, 드럼(30)간의 거리가 편리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는 상기 터브둘레면(103)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는 상기 터브둘레면(103)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바닥면(107)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둘레면(103)의 상부 및 하부는 터브(100)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중심선(L)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90)는 상기 터브둘레면(103)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는 상기 가열부(90)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는 상기 터브(100)의 중앙을 지나는 수평중심선(L)과 상기 가열부(9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3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90)의 효과적인 위치를 확보함과 동시에 제1온도측정부(200)가 저수공간(110)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90)는 상기 터브(100) 내부로 전자기장을 제공하고, 상기 드럼(30)은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터브(100) 내부의 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조행정에서 터브(10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터브(100) 내부에서 공기를 가열할 수 있고, 제1온도측정부(200)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가열부(90)와 이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100), 상기 터브(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30) 및 상기 터브(100)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100)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100)의 바닥면(107)상에는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는 상기 저수공간(110)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는 상기 저수공간(110)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 중 적어도 일부가 수면(W)위에서 공기중에 노출되어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와 상기 드럼(30)간의 최단거리(D2)는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와 상기 드럼(30)간의 최단거리(D1)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바닥면(107)상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110)이 형성되는 터브(100), 상기 터브(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3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1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90), 상기 터브(100)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100)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200) 및 제2온도측정부(300),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110)과 연통되어 상기 저수공간(110)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60) 및 상기 가열부(90)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수부(60)를 제어하여 상기 저수공간(110)의 수위(H3)를 조절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200)는 상기 저수공간(110)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는 상기 저수공간(110)에 구비되어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배수부(6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온도측정부(300)에서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305)가 수면(W)위에서 공기중에 노출되도록 상기 저수공간(110)의 수위(H3)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11 : 전방플레이트 15 : 의류개구
17 : 의류도어 30 : 드럼
35 : 드럼개구 40 : 급수원연결부
50 : 외부급수원 60 : 배수부
62 : 배수홀 70 : 구동부
80 : 세제공급장치 90 : 가열부
91 : 유도코일 92 : 코일커버
93 : 코일결합부 95 : 냉각부
96 : 냉각유로 97 : 냉각밸브
100 : 터브 103 : 터브둘레면
105 : 터브개구 109 : 저수둘레면
110 : 저수공간 200 : 제1온도측정부
210 : 고정부 220 : 결합부재
230 : 측정결합부 300 : 제2온도측정부
340 : 측정가스켓부 400 : 제어부

Claims (21)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상에는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을 향해 돌출되어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가 상기 드럼을 향하며, 상기 돌출단부가 상기 건조행정 중 공기 중에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 및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터브 내부의 습도값을 도출하고, 상기 습도값을 반영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상기 돌출단부보다 더 낮게 유지시키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되며, 상기 응축수는 상기 저수공간에 수집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터브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키며,
    상기 저수공간에는 상기 응축수 및 상기 냉각수가 함께 수용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로 제공되는 냉각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냉각밸브;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 및
    상기 냉각밸브 또는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상기 돌출단부보다 더 낮게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부에서 상기 터브로 제공되는 냉각수의 양으로부터 상기 터브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양을 도출하고,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응축수의 총량으로부터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도출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터브개구가 형성되는 전방면;
    상기 전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후방면; 및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을 연결하고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는 터브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터브둘레면 중 최하단면에 대응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둘레면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입되어 상기 저수공간 및 상기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둘레면은 상기 저수공간의 둘레에 위치되며 상기 바닥면과 함께 상기 저수공간을 정의하는 저수둘레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에서 상기 저수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저수공간 내에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배수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전방면과 터브둘레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전방부 및 후방면과 상기 터브둘레면의 나머지를 포함하는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가 결합되는 결합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배수홀과 상기 결합라인 사이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드럼을 향하며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돌출단부와 상기 드럼간의 거리는 상기 제1온도측정부의 돌출단부와 상기 드럼간의 거리보다 더 짧은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터브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되며,
    상기 저수공간에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응축수가 수용되고,
    상기 냉각부에 의해 상기 터브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2온도측정부의 측정값은 상기 제1온도측정부의 측정값보다 더 높은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터브개구가 형성되는 전방면;
    상기 전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후방면; 및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을 연결하고 상기 바닥면을 포함하는 터브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 및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터브둘레면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터브둘레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터브둘레면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바닥면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터브둘레면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가열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터브의 중앙을 지나는 수평중심선과 상기 가열부 사이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터브 내부로 전자기장을 제공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는 의류처리장치.
  20.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바닥면상에는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 중 적어도 일부가 수면위에서 공기중에 노출되어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2온도측정부와 상기 드럼간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1온도측정부와 상기 드럼간의 최단거리보다 더 짧은 의류처리장치.
  2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바닥면상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 및 제2온도측정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온도측정부는 상기 저수공간에 구비되어 습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 중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온도측정부에서 온도가 측정되는 돌출단부가 수면위에서 공기중에 노출되도록 상기 저수공간의 수위를 조절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43973A 2020-10-27 2021-10-26 의류처리장치 KR20220056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6463 WO2023075406A1 (ko) 2020-10-27 2022-10-26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0226 2020-10-27
KR1020200140226 2020-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144A true KR20220056144A (ko) 2022-05-04

Family

ID=8158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73A KR20220056144A (ko) 2020-10-27 2021-10-2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56144A (ko)
WO (1) WO20230754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82161B (zh) * 2006-05-31 2013-10-09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设有烘干程序的滚筒洗衣机及其控制方法
JP5093204B2 (ja) * 2009-09-24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2070968A (ja) * 2010-09-29 2012-04-12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乾燥機
KR102102654B1 (ko) * 2018-04-18 2020-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KR20200087032A (ko)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3265861A (zh) * 2021-05-17 2021-08-1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406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8335B1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0866884B1 (ko) 건조기의 포량 결정 제어방법 및 그 건조기
KR100748963B1 (ko) 세탁건조기/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US855552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nlet temperature compensation
KR20060129849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0899A (ko) 세탁장치
KR10264016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20070169283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316668B (zh) 具有感应加热器的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2023113844A (ja) インダクションヒーターを有する洗濯装置
KR2016003747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9322127B2 (en) Method of operating a home appliance
KR20210020403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20056144A (ko) 의류처리장치
US11346043B2 (en) Dryer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response to restricted air flow
KR101461983B1 (ko) 세탁기
KR101940517B1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3647B1 (ko) 세탁기 제어방법
CN113756055B (zh) 一种洗涤筒组件、洗衣机和烘干降温方法
KR101461982B1 (ko) 세탁기
KR10068819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7844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0662089B1 (ko) 드럼식 세탁 건조기
KR20230056176A (ko) 세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JP2022080943A (ja) 衣類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