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043A - Cup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up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043A
KR20220056043A KR1020200140732A KR20200140732A KR20220056043A KR 20220056043 A KR20220056043 A KR 20220056043A KR 1020200140732 A KR1020200140732 A KR 1020200140732A KR 20200140732 A KR20200140732 A KR 20200140732A KR 20220056043 A KR20220056043 A KR 20220056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electrode layer
holder
film heating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7849B1 (en
Inventor
이승준
유종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4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849B1/en
Publication of KR2022005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8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up holder manufactured by using a heating body made in a film shape. The vehicle cup holder comprises: a holder unit which has one open side to form an insertion unit to which an object is inserted; and a lateral film heating body which is provided to be bent and deformed to wrap a periphery of the holder unit and which generates heat by receiving power. With the configuration, the film heating body is provided to be bent and deformed to warp the periphery of the cup holder to simplify a heating configuration into one film heating body so as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CUP HOLDER FOR VEHICLE}Vehicle cup holder {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형태로 제작된 발열체를 이용하여 제작한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manufactured using a heating element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lm.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의성 및 거주성의 향상을 위해 여러가지 다양한 편의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컵홀더는 이러한 편의 장치 중 하나로, 주로 콘솔의 내부나 센터 페시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암레스트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부분에 구비된다. In general, various convenience devices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habitability of a driver and a passenger. The cup holder is one of these convenience devices, and is mainly provided in various parts, such as installed in a sliding manner on the inside of the console or on the center fascia, or installed in a sliding manner on the inside of the armrest.

특히, 최근에는 저전력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음료 및 온음료의 온도 유지를 위한 온도 유지 기능이 장착된 컵홀더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In particular, recently, a cup holder equipped with a temperature maintenance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cold and hot beverages using a low-power thermoelectric element has been applied to a vehic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929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는 냉온장 컵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의 냉온장 컵홀더는 한 쌍의 홀더바디(100, 100')와, 각각의 홀더바디(100, 100')에 설치된 한 쌍의 열전소자(200, 200')와 각각의 열전소자와 열교환되도록 한 쌍의 열교환핀(400, 400')으로 구성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44929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old and hot cup holder. Referring to Figure 1, the cold and hot cup holder of Patent Document 1 is a pair of holder bodies (100, 100'), and a pair of thermoelectric elements (200, 200') installed in each of the holder bodies (100, 100'). ) and a pair of heat exchange fins 400 and 400' to exchange heat with each thermoelectric element.

하지만, 종래의 냉온장 컵홀더는 홀더바디에 열전소자가 구비되고, 열전소자를 냉각하기 위하여 열교환핀이 구비되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old and hot cup holder is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in the holder body and a heat exchange fin is provided to cool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increase.

또한, 열전소자가 구비된 영역과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서 온도 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열전달 효율이 떨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heat transfer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a larg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reg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and the reg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not provi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9293호 (2014.10.08)Republic of Korea Patent No. 1449293 (2014.1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굴곡 변형되게 마련되는 필름 발열체를 이용하여 컵홀더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하여 발열 구성의 간소화 및 컵홀더 내의 온도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up holder using a film heating element that is provided to be bent and deformed, thereby simplifying the heating configuration and preventing temperature deviation within the cup hold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up hold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일측이 개방되어 대상체가 삽입되게 삽입부가 형성된 홀더부; 및 굴곡 변형되게 마련되어 상기 홀더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측면 필름 발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part having one side open and an insertion part formed so that an object is inserted; and a side film heating element provided to be bent and deform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holder part and heated by receiving power.

여기서,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는, 접착층를 통하여 상기 홀더부에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may be attached to the holder part through an adhesive layer.

상기 홀더부는,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가 삽입되게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삽입 형성된 측면 체결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ld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ide fastening groove inser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is insert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는 상기 홀더부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바닥면 필름 발열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And,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the bottom surface film heating element that is heated by receiving power; may be made to further include.

이때,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가 삽입되게 바닥면에서 내측으로 삽입 형성된 바닥면 체결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holder part, the bottom surface fastening groove formed to be inserted in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is inserted; may be made to further includ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의 상기 홀더부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의 연장부와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의 연장부가 삽입되게 상기 측면 체결홈과 상기 바닥면 체결홈을 연결하면서 삽입 형성된 연장부 삽입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part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ide fastening groove and the extension part of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formed with an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xtension part of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inserted therein. It may be made to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art insertion groove which is inserted and formed while connecting the bottom surface fastening groove.

그리고,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와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는, 굴곡 변형 가능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이웃하여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는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되는 발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and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may include: a bendable deformable base layer; a first electrode layer laminated on the bas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stacked on the base layer; and a heating layer that is stack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generates heat wh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r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여기서, 상기 베이스층은,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base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rotruding outward.

그리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적층되어 외부전원이 연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be stacked on the extension portion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따르면, 굴곡 변형되게 마련되는 필름 발열체를 이용하여 컵홀더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하여 발열 구성을 필름 발열체 하나로 간소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up holder using a film heating element that is provided to be bent and deformed, so that the heating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with one film heating element,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there i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발열체를 컵홀더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할 수 있어 컵홀더 내에서의 온도 편차를 방지하여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heating element can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up holder, thereby preventing a temperature deviation within the cup holder, thereby improving heat transfer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가 얇고 가벼운 필름 발열체만을 컵홀더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 확보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a thin and light film heating element can be attached to the cup holder and us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securing an installation space and reducing the weight.

도 1은 종래의 냉온장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사용되는 필름 발열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old and hot cup holder;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lder portion extracted from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heating element used in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lder portion extracted from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and/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more clear explan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사용되는 필름 발열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2 and 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lder part extracted from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And,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heating element used in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101)는 일측이 개방되어 컵 등과 같은 대상체(미도시)가 삽입되게 삽입부(240)가 형성된 홀더부(200)와, 굴곡 변형되게 마련되어 상기 홀더부(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측면 필름 발열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2 to 5, the cup holder 10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open and an insertion part 240 is formed so that an object (not shown) such as a cup is inserted, the holder part 200 is formed. and a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that is provided to be bent and de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holder 200 and is supplied with power to generate heat.

상기 홀더부(200)는 컵이 삽입되게 일측이 개방된 삽입부(240)가 형성되어 있고, 컵의 형상과 유사하게 하측이 좁고 상측이 넓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홀더부(2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컵 또는 음료캔 등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The holder part 200 has an insertion part 240 having one side open to insert a cup, and similarly to the shape of the cup, the lower side is narrow and the upper side is wide. Of course, the shape of the holder unit 2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in which a cup or beverage can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이러한 상기 홀더부(200)는 컵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도록 전도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부(20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holder 200 is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cool or heat the cup. For example, the holder 200 may be made of aluminum, stainless steel, or the like.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는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는 필름 형태의 발열체로 이루어진다.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is made of a film-type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이러한,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는 굴곡 변형 가능한 필름 형태의 발열체로 제작되어 상기 홀더부(200)의 둘레를 감싸면서 부착되어 상기 홀더부(200)의 둘레 전체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is manufactured as a bending-deformable film-type heating element and attached while wrapping around the holder part 200 to heat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holder part 200 .

일 예로,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는 굴곡 변형 가능한 베이스층(310)과, 상기 베이스층(310)에 적층되는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이웃하여 상기 베이스층(310)에 적층되는 제2 전극층(330),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2 전극층(3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2 전극층(330)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되는 발열층(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includes a bendable deformable base layer 310 , a first electrode layer 320 laminated on the base layer 310 , and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 the base A second electrode layer 330 stacked on the layer 310,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stack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 When the 33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it may include a heating layer 340 that generates heat.

상기 베이스층(310)은 상기 홀더부(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탄성 굴곡 변형 가능한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층(310)은 PI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se layer 3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that can be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der part 200 . For example, the base layer 310 may be formed of a PI film.

그리고 상기 베이스층(310)은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3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311)에는 상기 제1 전극층(320) 및 상기 제2 전극층(330)이 적층되어 외부전원(미도시)이 연결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base layer 310 may include an extension 311 protruding outward. Here,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are stacked on the extension part 311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2 전극층(330)은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층은 두께가 50~80㎛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copper (Cu), aluminum (Al), or silver (Ag). Such an electrode layer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50 to 80 μm.

이러한,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2 전극층(330)은 인쇄 공정 또는 에칭(etching)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공정 또는 에칭 공정을 통하여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may be formed by performing a printing process or an etching process. Forming the electrode layer through the printing process or the etching process is a known techniqu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발열층(340)은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2 전극층(3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2 전극층(330)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되는 구성이다. The heating layer 340 is stack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and when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ar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It is an exothermic configuration.

상기 발열층(340)은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2 전극층(330)의 상부에 인쇄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공정을 통하여 발열층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heating layer 34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by a printing process. Forming the heating layer through the printing process is a known techniqu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발열층(340)은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2 전극층(330)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극층(320)과 상기 제2 전극층(330)보다 저항이 큰 소재로 형성된다. The heating layer 340 has a greater resistance than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in order to generate heat when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ar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formed of material.

일 예로, 상기 발열층(340)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또는 탄소 분말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eating layer 340 may be formed using a carbon nano tube (CNT) or carbon powder.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320) 및 상기 제2 전극층(330)과 상기 발열층(3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층(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tective layer 350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 and the heating layer 34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보호층(350)은 PI 필름으로 마련되어, 상기 발열층(340)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350 may be formed of a PI film and laminated on the heating layer 340 .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는 접착층(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홀더부(200)의 둘레에 부착될 수 있다.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may be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holder part 200 through an adhesive layer (not shown).

상기 접착층은 일 예로 양면 테이프로 마련되어 상기 홀더부(200)에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를 부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double-sided tape to attach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to the holder unit 200 .

또는, 상기 접착층은 상기 홀더부(200) 또는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홀더부(200)에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를 적층하여 상기 홀더부(200)에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를 부착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holder part 200 or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and then laminating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on the holder part 200 to the holder part 200. It may be made to attach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

그리고, 상기 홀더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가 삽입되게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삽입 형성된 측면 체결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4 , the holder part 200 may include a side fastening groove 210 inser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is inserted.

즉, 상기 측면 체결홈(210)은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의 두께와 적어도 같거나 깊게 형성되어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가 삽입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가 상기 홀더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at is, the side fastening groove 210 is formed to be at least equal to or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 and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is inserted thereinto.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by disposing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part 200 .

그리고, 외부전원과 연결되기 위하여 제1 전극층(320)과 제2 전극층(330)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의 연장부(311)는 상기 홀더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배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311 of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3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330 are formed in order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part 200 . It is bent and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101)는 상기 홀더부(200)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the cup holder 10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that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part 200 and generates heat by receiving power.

즉,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는 상기 홀더부(200)의 측면을 가열하고,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는 상기 홀더부(200)의 바닥면을 가열하게 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상기 홀더부(200)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heats the side surface of the holder part 200 , and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heat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part 200 , the holder more quickly The inside of the unit 200 may be heated.

여기서,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와 동일한 적층 구조로 제작된다. Here,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is manufactured in the same laminated structure as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그리고, 상기 홀더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가 삽입되게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삽입 형성된 바닥면 체결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4 , the holder part 20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fastening groove 220 which is inser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is inserted.

즉, 상기 바닥면 체결홈(220)은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의 두께와 적어도 같거나 깊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가 삽입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가 상기 홀더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하여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at is, the bottom surface fastening groove 220 is formed to be at least equal to or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 and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is inserted thereinto. Through this,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minimized by disposing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part 200 .

그리고, 외부전원과 연결되기 위하여 전극층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의 연장부(411)는 상기 홀더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411 of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on which the electrode layer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part 20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lder part extracted from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102)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101)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고, 상기 홀더부(200)에 연장부 삽입홈(230)이 더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6 and 7, the cup holder 102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up holder 101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holder par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extension part insertion groove 230 is further formed in the 200 .

상기 연장부 삽입홈(2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의 연장부(311)와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의 연장부(411)가 삽입되게 상기 측면 체결홈(210)과 상기 바닥면 체결홈(220)을 연결하면서 삽입 형성된 구성이다. The extension part insertion groove 230 is, as shown in FIG. 7 , an extension part 311 of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formed with an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extension of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while connecting the side fastening groove 210 and the bottom surface fastening groove 220 so that the part 411 is inserted.

즉, 상기 측면 체결홈(210)에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를 부착하고, 상기 바닥면 체결홈(220)에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를 부착한 후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의 연장부(311)와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의 연장부(411)를 상기 연장부 삽입홈(230)에 부착한다. That is, after attaching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to the side fastening groove 210 , and attaching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to the bottom surface fastening groove 220 ,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 The extension part 311 and the extension part 411 of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are attached to the extension part insertion groove 230 .

그리고, 상기 연장부 삽입홈(230)에 부착되고 남은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의 연장부(311)와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의 연장부(411)는 서로 겹쳐지면서 상기 홀더부(2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And, the extension portion 311 of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and the extension portion 411 of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which remain attached to the extension portion insertion groove 230, overlap each other and the holder portion ( 200) to protrude outward.

이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300)의 연장부(311)와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400)의 연장부(411)는 외부전원과 함께 연결되어 동시에 전원을 인가받아 함께 가열될 수 있다.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6 , the extension part 311 of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300 overlapping each other and the extension part 411 of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400 are connected together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imultaneously power It can be heated together with the approval.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1, 102 : 차량용 컵홀더 200 : 홀더부
210 : 측면 체결홈 220 : 바닥면 체결홈
230 : 연장부 삽입홈 300 : 측면 필름 발열체
310 : 베이스층 311 : 연장부
320 : 제1 전극층 330 : 제2 전극층
340 : 발열층 350 : 보호층
400 : 바닥면 필름 발열체
101, 102: cup holder for vehicle 200: holder part
210: side fastening groove 220: bottom surface fastening groove
230: extension part insertion groove 300: side film heating element
310: base layer 311: extension
320: first electrode layer 330: second electrode layer
340: heating layer 350: protective layer
400: bottom film heating element

Claims (7)

일측이 개방되어 대상체가 삽입되게 삽입부가 형성된 홀더부; 및
굴곡 변형되게 마련되어 상기 홀더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측면 필름 발열체;
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a holder part having an insertion part open at one side so that an object is inserted; and
a side film heating element provided to be bent and deform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holder part and heated by receiving power;
A cup hold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가 삽입되게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삽입 형성된 측면 체결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part,
a side fastening groove inser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is inserted;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바닥면 필름 발열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3. The method of claim 2,
a bottom film heating element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and receiving power to generate heat;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가 삽입되게 바닥면에서 내측으로 삽입 형성된 바닥면 체결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4. The method of claim 3,
The holder part,
a bottom fastening groove formed to be inserted inwardly from the bottom so that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is inserted;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극층이 형성된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의 연장부와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의 연장부가 삽입되게 상기 측면 체결홈과 상기 바닥면 체결홈을 연결하면서 삽입 형성된 연장부 삽입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lder part,
an extended part insertion groove inserted while connecting the side fastening groove and the bottom surface fastening groove so that the extended part of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formed with an electrode laye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xtended part of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are inserted;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필름 발열체와 상기 바닥면 필름 발열체는,
굴곡 변형 가능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이웃하여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되는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이 전원에 연결되면 발열되는 발열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ide film heating element and the bottom film heating element,
a flexurally deformable base layer;
a first electrode layer laminated on the bas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stacked on the base layer; and
a heating layer stack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heat whe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r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cup hold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적층되어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ase layer is
It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that protrudes outwardly;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re stacked on the extension portion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KR1020200140732A 2020-10-27 2020-10-27 Cup holder for vehicle KR102407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32A KR102407849B1 (en) 2020-10-27 2020-10-27 Cup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32A KR102407849B1 (en) 2020-10-27 2020-10-27 Cup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43A true KR20220056043A (en) 2022-05-04
KR102407849B1 KR102407849B1 (en) 2022-06-13

Family

ID=8158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732A KR102407849B1 (en) 2020-10-27 2020-10-27 Cup hold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84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91A (en)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써모피아 Briquet type heat gener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123121A (en) * 2010-05-06 2011-11-14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Fabrication method of heating element and fabrication method
KR101449293B1 (en)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20180087023A (en) * 2017-01-24 2018-08-01 김원 Cup holder with heating function
KR20190049994A (en) * 2017-11-01 2019-05-10 (주)광진윈텍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91A (en)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써모피아 Briquet type heat gener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123121A (en) * 2010-05-06 2011-11-14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Fabrication method of heating element and fabrication method
KR101449293B1 (en)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20180087023A (en) * 2017-01-24 2018-08-01 김원 Cup holder with heating function
KR20190049994A (en) * 2017-11-01 2019-05-10 (주)광진윈텍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849B1 (en)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6688B2 (en) Composite glass plate with electrical contact connection
TWI706575B (en) Photovoltaic string
US6310775B1 (en) Power module substrate
EP2916382B1 (en) Battery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oling fin for battery cell assembly
EP3451413B1 (en) Fixture, battery unit and battery module
CN108136737B (en) Heatable laminated vehicle glass pane with improved heat distribution
US9635712B2 (en) Near-infrared condensing heating unit, near-infrared condensing heat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forming panel using the same
US2022005942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ower module unit, power module unit, network part and frequency converter
TWI512259B (en) Manufacturing method of heat dissipation assembly
KR102407849B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20180061785A (en) Car heater protector
JP3564560B2 (en) Flexible thin plate heat pipe
JP4487881B2 (en) Power module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CN205902206U (en) Flexble printed circuit , spotlight photovoltaic module and spotlight photovoltaic panel
JP2001025441A (en) Double cylinder vacuum container made of metal and its manufacture
CN210714830U (en) Engine radiator multirow water tank aluminium core
CN113870728A (en) Display back plate, displa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module
CN210247087U (en) Light and thin brazing type PTC heater
KR20210092480A (en) car heater using PTC element and method thereof
CN215243312U (en) High temperature resistance honeycomb aluminum plate
CN218730180U (en) Chip resistor with high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N113453491A (en) Method for producing a heat sink for electronic components
JPH08236819A (en) Thermal electronic element
CN219635086U (en) Graphene heating rearview mirror
CN220368819U (en) Double-substrate thick film heating plate and thick film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