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813A - A platfor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tatus of welfare centers to the elderly and managing the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 Google Patents

A platfor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tatus of welfare centers to the elderly and managing the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813A
KR20220055813A KR1020200140291A KR20200140291A KR20220055813A KR 20220055813 A KR20220055813 A KR 20220055813A KR 1020200140291 A KR1020200140291 A KR 1020200140291A KR 20200140291 A KR20200140291 A KR 20200140291A KR 20220055813 A KR20220055813 A KR 20220055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fare center
visitor
indoor
welfar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5273B1 (en
Inventor
김영록
김정하
임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와트
Priority to KR102020014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273B1/en
Publication of KR2022005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813A/en
Priority to KR1020220066043A priority patent/KR102476303B1/en
Priority to KR1020220066042A priority patent/KR1024762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nsing the location of a welfare center visitor and recognizing the hourly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machine-learning the recognized hourly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extracting a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and constructing a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extracted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specifying a time at which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predicted to move and an indoor area of the welfare center based 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recognizing the current occupancy of the specified area; determining whether ventilation is required as the welfare center visitors are additionally accommodated in the specified area based on the recognized current occupanc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ion is necessary, performing ventilation of the specified area in advance before the time when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expected to move to the specified area.

Description

고령자에게 복지관의 환기 상태 알림을 제공하고, 복지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A platfor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tatus of welfare centers to the elderly and managing the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A platfor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tatus of welfare centers to the elderly and managing the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본 명세서는 고령자에게 복지관의 환기 상태 알림을 제공하고, 복지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notification of ventilation status of a welfare center to the elderly, and proposes a platform, a system, a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of the welfare center.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내실자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CO2)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어 내실자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환기 시스템이다.In general, the density of carbon dioxide (CO2) increases over time in the air in the enclosed space due to the breathing of the occupant, which interferes with the breathing of the occupant. Therefore, when many people stay in a narrow space, such as an office or a vehicle,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replace the indoor polluted air with outdoor fresh air, and a ventilation system is used at this time.

환기 시스템은 급기팬을 구동하여 실외의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되는 공기를 전열 교환기를 통해 실내 온도와 비슷한 온도로 냉/난방시킨 후, 급기부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기팬을 구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배기부를 통해 유입하고, 유입되는 공기를 실외로 배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열 교환기는 갑작스러운 냉기 및 열기의 유입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ventilation system drives the air supply fan to introduce outdoor air, cools and heats the incoming air to a temperature similar to the indoor temperature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and then flows in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unit. Then, the exhaust fan is driven to introduce indoor air through the exhaust unit and exhaust the incoming air to the outdoors. At this time, the total heat exchanger serves to suppress the sudden inflow of cold air and hot air.

그러나 이와 같은 환기 시스템의 동작만으로는 실내의 집진 및 탈취 능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급기팬을 통한 실외 공기의 유입시에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미세하게 필터링되지 못한 상태에서 실내로 유입되게 되어 실내 공기 특성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However,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alone lacks indoor dust collection and deodorization ability, and when outdoo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fan, polluted air from the outside is introduced into the room without being finely filtered, resulting in indoor air characteristics. cause aggravation of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공기 청정기를 사용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집진 및 탈취 능력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by using an air purifier, the dust collection and deodorization ability of indoor air is effectively solved.

그러나, 종래의 환기 시스템, 공기 청정기 등은 모두 공기의 오염도가 일정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실내 공기가 어느 정도 오염되어야만 동작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는, 작은 오염도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 고령자, 임산부, 유아들의 호흡기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s and air purifiers are all designed to operate only when the air pollution level reaches a certain lev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door air must be contaminated to some extent. This has a problem that it can harm the respiratory health of the elderly, pregnant women, and infants, who are greatly affected by even a small degree of pollution.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환기 시스템, 공기 청정기를 항상 동작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증가하고, 공기 청정기의 경우 소모품인 필터의 소모 속도가 빨라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To prevent this, the ventilation system and the air purifier can always be operated, but in this cas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and in the case of the air purifier, there are problems that the consumption speed of the filter, which is a consumable, is increas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각 실내 구역에 수용 인원이 추가될 것을 미리 예측하고, 미리 해당 실내 구역에 대해 환기를 수행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고자 함이 목적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predicting in advance that the number of occupants will be added to each indoor zone and performing ventilation for the corresponding indoor zone in adv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기계 학습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한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기초로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기초로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및 복지관 실내 구역을 특정하는 단계; 특정된 구역의 현재 수용 인원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현재 수용 인원을 기초로 상기 특정된 구역에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추가 수용됨에 따라 환기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상기 특정된 구역에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전, 미리 상기 특정된 구역의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sensing a location of a welfare center visitor to recognize an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y time; extracting an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y machine learning the recognized indoor movement of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by time, and building an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extracted indoor movement pattern by time; specifying a time at which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expected to move and an indoor area of the welfare center based 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recognizing the current capacity of the specified area; Determining whether ventilation is necessary as the welfare center visitors are additionally accommodated in the specified area based on the recognized current capacit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ion is necessary, performing ventilation of the specified area in advance before the time when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is expected to move to the specified area;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인원의 증가/감소에 무관하게 항상 쾌적한 실내 환경이 유지된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is alway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increase/decrease in the number of occupan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오염도 정보가 관리자, 방문자, 보호자 등에 제공되므로, 관리자, 보호자 등은 구역별 오염도를 기초로 구역별 수용 인원을 관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방문자는 스스로 오염도가 낮은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어 항상 쾌적한 환경에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ndoor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is provided to managers, visitors, guardians, etc., managers, guardians, etc. can manage the number of occupants for each zone based on the pollution level for each zone, and at the same time, the visitor can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use the facility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at all times because it can move to an area with a low degree of pollution.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는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며, 상술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인식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의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자간 그룹핑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모델에 따른 예측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지관 방문자가 복지관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실내 구역별 오염도를 제공하는 단말의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a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an indoor environment of a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recognizing an indoor movement line by time of a visitor to a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door movement line prediction model by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ouping method among visi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a visitor to a welfare center is located outside the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screen of a terminal that provides a pollution level for each indoor area of a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block diagram of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technology to be described below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is used only a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For example, 'A and/or B'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 'at least one of A or B'. Also, '/' may be interpreted as 'and' or 'o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erms of term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include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and element.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to be understood, but not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stituent par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according to the main function each constituent unit is responsible for.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 it is responsible for. Of course, it can also be performed by being dedicated to it.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performing the method or method of operation, each proces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at is, each proces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a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기기(120),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13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40)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a welfare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120 ,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130 ,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140 . there is.

IoT 기기(120)는 복지관(110)에 설치된 IoT 기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복지관 실내 환경을 센싱하여 센싱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버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기기(120)는, 온도 센서,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 산소 농도 측정 센서, 미세 먼지 농도 측정 센서, 초미세먼지 농도 측정 센서, 오염도 측정 센서, 유해 가스 센서, 스마트 창문, 공기 청정기, 실내외 공기 순환기,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스마트 문, CCTV, PC 등에 해당할 수 있다. The IoT device 120 corresponds to an IoT device installed in the welfare center 110 , and may correspond to a device that senses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welfare center and transmits the sensing result to the server, or receives a command from the server and operates. For example, the IoT device 12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easurement sensor, an oxygen concentration measurement sensor,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sensor, an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sensor, a pollution level measurement sensor, a harmful gas sensor, a smart window, and an air purifier. , indoor and outdoor air circulators, air conditioners,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smart doors, CCTVs, PCs, and the like.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130)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IoT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4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130)는 IoT 기기(120)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지관(110) 실내 환경을 지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관측 내용에 기초하여 IoT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환경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40)은 복지관 방문자의 단말, 복지관 담당자/관리자의 단말 및/또는 보호자(복지관 방문자의 보호자)의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130 is a configuration tha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and can control the IoT device 120 to perform the embodiment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user terminal 140 ) can communicate with In more detail,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130 can communicate with the IoT device 120 to continuously observe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welfare center 110, and based on the observations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e IoT device 120 may be controlled.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environmen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40 . Here, the user terminal 140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of a welfare center visitor, a terminal of a person in charge of a welfare center/administrator, and/or a terminal of a guardian (guardian of a welfare center visitor).

본 시스템은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130)에 IoT 기기(120) 및 사용자 단말(140)이 등록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130)는 IoT 기기(120) 및 사용자 단말(140)의 요청에 따라 이들을 등록 또는 삭제함으로써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의 구성원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IoT 기기(120)는 등록 시, 복지관(110) 실내 구역 중 어느 실내 구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어느 실내 구역에 대한 센싱/환기 동작을 수행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관리 서버(130)에 등록될 수 있다.This system may be configured by registering the IoT device 120 and the user terminal 140 in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130 , and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130 includes the IoT device 120 and the user terminal 140 . ), you can manage the members of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of the welfare center by registering or deleting them at the request. In particular, at the time of registration, the IoT device 120 is installed in which indoor area among the indoor areas of the welfare center 110, and information on which indoor area sensing/ventilating operation is performed is also registered with the management server 130. can be

복지관(110)을 방문하는 복지관 방문자, 특히 고령자들의 경우 면역력이 약하므로, 실내 오염도를 지속적으로 관찰/측정하고 쾌적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관리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오염도가 기설정된 레벨에 도달한 경우에만 동작하는 기존의 공기 환기 시스템의 경우, 내실자들이 오염된 실내 환경에 일정 시간 노출될 수밖에 없다.Welfare center visitors who visit the welfare center 110, especially the elderly, have weak immunity,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observe/measure indoor pollution levels and manage them to maintain a comfortable environ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air ventilation system that operates only when the degree of pollution reaches a preset level, it is inevitable that the indoors are exposed to the polluted indoor environ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은, 복지관 방문자의 동선을 예측하고, 수용 인원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실내 구역에 대하여 미리 환경 정화 작업을 수행하여, 복지관 방문자들이 일정 시간 오염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the welfare center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edicts the movement of the visitors of the welfare center, and performs environmental purification in advance for the indoor area where the number of occupants is expected to increase, so that the visitors to the welfare center are scheduled Avoid exposure to time contamination.

보다 상세한 내용은 각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은 '관리 시스템'으로,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130)는 '관리 서버'로 지칭하기로 한다.Mor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will be referred to as a 'management system', and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130 will be referred to as a 'management serv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an indoor environment of a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복지관 방문자의 단말(140-1)은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센싱하고(S210), 센싱한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220). Referring to FIG. 2 , the terminal 140-1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may sense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S210), and transmit the sensed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to the management server 130 (S220). ).

다음으로, 관리 서버(130)는 수신한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기초로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인식(및 기록)할 수 있다(S230). 시간별 실내 동선은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센싱/인식된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연결한 가상의 선으로, 기설정된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은 10분, 30분 등과 같이 분 단위로, 또는 1시간, 3시간 등과 같이 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기설정된 시간이 1시간으로 설정되는 경우, 관리 서버(130)는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1시간 단위로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를 가상의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시간별 실내 동선을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다. Next,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recognize (and record) the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y time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S230). The hourly indoor movement line is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positions of the visitors to the welfare center sensed/recogniz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to various values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the preset time may be set in units of minutes, such as 10 minutes or 30 minutes, or in units of hours, such as 1 hour or 3 hours. When the preset time is set to 1 hour,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generate and recognize the hourly indoor movement line by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n units of one hour and connecting the recognized location with a virtual line.

다음으로, 관리 서버(130)는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기계 학습하여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S240). Next,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machine-learize the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y time, extract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and build an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is (S240).

본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다양한 기계 학습(예를 들어, 머신 러닝, 딥 러닝 등)을 활용하여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학습할 수 있으며, 특히 이미지 학습을 기초로 기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는 이미지 학습 기술로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특히, 관리 서버(130)는 복지관 방문자의 서로 다른 일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수회 반복 인식함으로써 정확도 높은 예측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N개의 충분한 샘플(즉, 서로 다른 일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들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관리 서버(130)는 이러한 N개의 충분한 샘플들을 CNN 학습하여 샘플들의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써,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In this step,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use various machine learning (eg,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etc.) to learn the hourly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and in particular, machine learning based on image learning. .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extract a feature point from the indoor movement of the visitor at the welfare center by time using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s an image learning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management server 130 can secure N sufficient samples (that is, indoor movement by time of different days) to build a highly accurate prediction model by repeatedly recognizing the indoor movement by time of different days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several times. there is. Furthermore, the management server 130 can extract the time-wise indoor movement patter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y extracting the feature points of the samples by CNN learning these N sufficient samples.

이렇게 추출한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기초로, 관리 서버(130)는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관리 서버(130)는 추출한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예측 기준으로 설정함으로써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은, 복지관 방문자에 대해 추출된 실내 동선 패턴을 기초로, 해당 복지관 방문자가 앞으로 어떤 시점에 어떤 구역으로 이동할지를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Based on the extracted hour-by-hour indoor movement pattern,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build an hourly indoor movement line prediction model. In particular,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build a time-wise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by setting the extracted hour-by-hour indoor movement pattern as a prediction criteri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performs a function of predicting which area the welfare center visitor will move to at what time and in the future, based on the indoor movement pattern extracted for the welfare center visitor.

샘플의 개수가 많을수록 예측 모델의 예측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130)는 복지관 방문자의 방문마다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인식/기록하고, 이를 기초로 예측 모델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As the number of samples increases,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may increase.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recognize/record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for each visi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and continuously update the prediction model based on this.

다음으로, 관리 서버(130)는 구축한 예측 모델을 기초로 복지관 방문자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및 복지관 실내 구역을 특정할 수 있다(S250). 예를 들어, 현재 복지관 방문자가 제1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관리 서버(130)는 해당 복지관 방문자에 대하여 예측 모델을 가동시킨 결과 제1 시점에 제2 구역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예측 시간으로서 제1 시점, 예측 구역으로서 제2 구역을 각각 특정할 수 있다. 이는, 복지관 방문자가 현재 복지관 실내에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만일 복지관 방문자가 현재 복지관 외부에 위치하고, 복지관을 향해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측 시간은 도착 시간으로 특정되어 본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Next,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specify the time and the welfare center indoor area at which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expected to move based on the constructed prediction model (S250). For example, if the current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the management server 130 operates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The second region can be specified as the first viewpoint and the prediction region, respectively. This exemplifies the case where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currently inside the welfare center, and i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currently located outside the welfare center and is moving toward the welfare center, the predicted time is specified as the arrival time and this step can be perform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

다음으로, 관리 서버(130)는 특정된 구역의 현재 수용 인원을 인식할 수 있다(S260). 관리 서버(130)는 관리 서버(130)에 등록되어 있는 복지관 방문자의 단말(140)로부터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실시간/주기적으로 수신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복지관 내 각 구역별 수용 인원을 쉽게 파악 가능하다. Next,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recognize the current capacity of the specified area (S260). Since the management server 130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n real time/periodic from the terminal 140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30,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number of people accommodated in each area within the welfare center using this. .

다음으로, 관리 서버(130)는 현재 수용 인원을 기초로 특정된 구역에 복지관 방문자가 추가 수용됨에 따라 환기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S270).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서버(130)는 특정된 구역에 복지관 방문자 추가 유입 시 내부 오염도를 예측하고, 예측한 오염도가 기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환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Next,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determine whether ventilation is necessary as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welfare center is additionally accommodated in the specified area based on the current capacity (S270). In more detail,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predict the degree of internal pollution when additional visitors to the welfare center are introduced into the specified area, and determine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when the predicted degree of pollution exceeds a preset level.

일 실시예로서, 관리 서버(130)는 현재 특정된 구역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쾌적한 환경이라고 판단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범위의 상한치와 가까운 수치로 측정된 경우, 특정된 구역의 환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쾌적한 환경이라고 판단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범위(이하, '쾌적 농도 범위'라 지칭)가 ~700PPM으로 설정되고, 특정된 구역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690PPM으로 측정된 경우, 현재 특정된 구역의 공기 상태는 쾌적한 상태임에도 관리 서버(130)는 환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특정된 구역의 IoT 기기(120-1)에 환기를 명령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환기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농도 스레시홀드 값이 별도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쾌적 농도 범위의 상한치보다는 기설정된 PPM만큼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130)는 특정된 구역의 현재 이산화탄소 농도(예를 들어, 690PPM)가 이산화탄소 농도 스레시홀드 값(예를 들어, 680PPM)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큰 경우 환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determine that ventilation of the specified area is necessary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currently specified area is measured as a value close to the upper limit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ange determined to be a comfortable environment. . For example, i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ange determined to be a comfortable environ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fortable concentration range') is set to ~700 PPM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specified area is measured to be 690 PPM, the air condition of the currently specified area is in a comfortable state,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determine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and command ventilation to the IoT device 120-1 in the specified area.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ventilation is required may be separately set, and this may be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comfortable concentration range by a preset PPM. Therefore, the management serv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g, 690 PPM) of the specified area is greater tha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reshold value (eg, 680 PPM), and if it is large, it is determined that ventilation is required. can

다른 실시예로서, 관리 서버(130)는 특정된 구역의 현재 이산화탄소 농도로부터 1인당 이산화탄소 평균 배출량을 덧셈 연산하고, 연산한 결과가 쾌적 농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연산 결과가 쾌적 농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 서버(130)는 현재 특정된 구역의 공기 상태는 쾌적한 상태임에도 관리 서버(130)는 환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특정된 구역의 IoT 기기(120-1)에 환기를 명령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add and calculate the average carbon dioxide emission per person from the curren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specified area, and determine based on whether the calculated result is outside the comfortable concentration range. If the calculation result is out of the comfortable concentration range, the management server 130 determines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even though the air condition of the currently specified area is comfortable, and the IoT device 120-1 of the specified area Ventilation can be ordered.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환기 필요 여부 판단에 사용되는 구체적인 수치 및 수치 범위 등은, 호흡기 질환, 환기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기초로 시스템 관리자/운용자에 의해 설정/업데이트/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IoT 기기(120)에 의해 측정/센싱 가능한 산소 농도,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유해 가스 농도 등과 같이 고령자의 호흡기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 역시 상술한 실시예에 동일/유사하게 적용되어 환기 필요 여부 판단 기준에 사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pecific numerical values and numerical ranges used for determining whether ventilation is necessary may be set/updated/adjusted by a system administrator/operator based on various research results related to respiratory diseases and ventil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derly's oxygen concentr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harmful gas concentration, etc. that can be measured/sensed by the IoT device 120 , etc. Various factors that may affect respiratory health may also be applied in the same/similar mann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ventilation is required.

마지막으로, 관리 서버(130)는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복지관 방문자가 특정된 구역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전 미리, 특정된 구역의 IoT 기기(120-1)에 환기를 명령할 수 있다(S280). Fin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instruct the IoT device 120-1 of the specified area to ventilate in advance before the time when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expected to move to the specified area ( S280).

이때 명령을 수신하는 IoT 기기(120-1)는 특정된 구역의 스마트 창문, 공기 청정기, 실내외 공기 순환기 및/또는 에어컨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창문은 관리 서버의 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창문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창문에 해당할 수 있으며, 실내외 공기 순환기는 관리 서버의 명령에 따라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oT device 120 - 1 receiving the command may correspond to a smart window, an air purifier, an indoor/outdoor air circulator, and/or an air conditioner in a specified area. Here, the smart window may correspond to a window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window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indoor/outdoor air circulator discharges internal air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management server, It may correspond to a device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circulating indoor and outdoor air by introducing it.

관리 서버(130)는 이러한 환기 동작을, 복지관 방문자가 특정된 구역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전"에 미리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복지관 방문자에 의해 특정된 구역의 오염도가 올라갈 것을 미리 대비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는 특정된 구역을 환기하는 데 걸릴 예상 소요 시간을 도출할 수 있으며, 예측 모델을 통해 도출한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예측 시간으로부터 도출한 예상 소요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특정된 구역의 환기를 수행하도록 IoT 기기(120-1)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IoT 기기(120-1)는 복지관 방문자가 특정된 구역으로 이동하기 직전, 미리 환기를 수행함으로써 내실자들이 공기 오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perform this ventilation operation in advance "before" the time when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is expected to move to the specified area, which is to prepare in advance that the pollution level of the area specified by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will rise. am.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derive the estimated time required to ventilate the specified area, and at a point in time ahead of the estimated time derived from the estimated time of movement of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derived through the predictive model. A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120-1 to perform ventilation of the designated area. As a result, the IoT device 120-1 may prevent the residents from being exposed to air pollution by performing ventilation in advance before the welfare center visitor moves to the specified are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인식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recognizing an indoor movement line by time of a visitor to a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 서버는 IoT 기기로부터 시간별로 수신한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340-1~340-4)를 기초로 가상의 선(310-2)으로 연결함으로써 시간별 실내 동선(310-3)을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실내 동선(310-3) 생성 시 관리 서버는 복지관 내부 실내 평면도(310-1)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는 시간별 센싱된 위치(340-1~340-4)를 직선으로만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 평면도(310-1)를 고려했을 때, 벽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영역은 피해서 동선(310-2)을 가상 도시할 수 있으며, 센싱된 두 위치(340-3, 340-4) 사이에 문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두 위치를 동선(310-2)으로 연결하되 해당 문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가상 도시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creates and recognizes the hourly indoor movement line 310-3 by connecting to the virtual line 310-2 based on the location (340-1 to 340-4)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received by the hour from the IoT device. can In particular, when generating the indoor movement line 310-3, the management server may consider the indoor indoor floor plan 310-1 of the welfare center.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does not connect the hourly sensed positions 340-1 to 340-4 only in a straight line, but considers the indoor floor plan 310-1, avoiding the area where the wall is determined to exist. The moving line 310-2 can be shown virtu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oor exists between the two sensed positions 340-3 and 340-4, the two positions are connected with the moving line 310-2, but the corresponding door It can be shown imaginary in a direction passing through.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3:00부터 16:00까지 1시간을 간격으로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가 관리 서버로 수신된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로서 총 4개의 위치(340-1~340-4)가 관리 서버에 수신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는 수신한 4개의 위치(340-1~340-4)를 복지관 실내 평면도(310-1)에 대입한 후 벽은 피하되 문은 통과하는 방식으로 가상의 선(310-2)으로 연결함으로써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310-3)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it can be assumed that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received by the management server at intervals of 1 hour from 13:00 to 16:00. In this case, a total of four locations (340-1 to 340-4) as the location of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may be received by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may transmit the received four locations (340-1 to 340-4) to the inside of the welfare center. After substituting in the floor plan 310-1, it is possible to create an hourly indoor movement line 310-3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s by connecting the wall with a virtual line 310-2 in a manner that avoids the wall but passes the door.

이렇게 생성된 동선(310-3)은 예측 모델 구축을 위한 기계 학습 대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line 310-3 generat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a machine learning target for constructing a predictive mode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의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ndoor movement line prediction model by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 서버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지관 방문자(410-1)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기계 학습하여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외에도, 관리 서버는 복지관 방문자(410-1)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기 위해 추가적인 요소들을 예측 모델의 예측 기준으로 추가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server may construct an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by machine learning the hourly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410 - 1 .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may build a prediction model by adding additional elements as a prediction criterion of the prediction model in order to predict with higher accuracy the indoor movement of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410 - 1 by time.

일 실시예로서, 관리 서버는 현재의 날씨를 예측 기준으로 추가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보완할 수 있다. 날씨 역시 복지관 방문자(410-1)의 동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현재 날씨가 폭설로 매우 추운 경우, 복지관 방문자(410-1)는 베란다와 같이 외부의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구역에는 방문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관리 서버는 오늘의 날씨를 예측 기준으로 추가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may build/complement the prediction model by adding the current weather as a prediction criterion. This is because the weather may also affect the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410 - 1 . For example, if the current weather is very cold due to heavy snow,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the visitor 410 - 1 to the welfare center will not visit an area that is greatly affected by external temperature, such as a veranda. Therefore, the management server can build a prediction model by adding today's weather as a prediction criterion.

그리고/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관리 서버는 오늘 날짜를 예측 기준으로 추가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보완할 수 있다. 여기서 날짜는, 월/일/요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날짜 역시 복지관 방문자(410-1)의 동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월요일 및 수요일에 제1 구역에서 고령자들을 위한 노래 강습이 열리고, 복지관 방문자(410-1)가 해당 강습의 수강생인 경우, 복지관 방문자는 월요일 및 수요일의 강습 시간에는 반복적으로 제1 구역에 방문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나머지 요일에는 제1 구역에 방문하지 않아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만을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제1 구역에 방문할 가능성이 낮게 판단되더라도,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에 관측되는 동선/위치에 공통점이 존재하는 경우, 관리 서버는 해당 요일을 복지관 방문자(410-1)의 예측 기준으로 설정하여 복지관 방문자(410-1)의 동선을 예측하는 데 수 있다. And/or, as another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may build/complement the prediction model by adding today's date as a prediction criterion. Here, the date refers to the month/day/day of the week, because the date may also affect the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410 - 1 . For example, if a singing class for the elderly is held in the first zone on Mondays and Wednesdays, and the welfare center visitor 410 - 1 is a student of the class, the welfare center visitors repeatedly during the class time on Mondays and Wednesdays in the first zone Very likely to visit Therefore, even if the probability of visiting the first zone is low when the first zone is not visited on the remaining days of the week and the probability of visiting the first zone is determined based on only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there is a common point in the movement / location observed at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y of the week.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may set the day of the week as the prediction standard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410 - 1 to predict the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410 - 1 .

그리고/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관리 서버는 복지관 방문자(410-1)와 동일한 그룹의 타방문자의 현재 위치를 예측 기준으로 추가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보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And/or as another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may build/complement the prediction model by ad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ther visitor of the same group as the welfare center visitor (410-1) as a prediction criterion, for which, referring to FIG.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자간 그룹핑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ouping method among visi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 서버는 복지관 방문자(510)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550-1)을 타방문자들(520~540)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550-2~550-4)과 상호 비교하여,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배칭되는 타방문자(520)를 검색할 수 있다. 나아가, 관리 서버는 이렇게 검색된 타방문자(520)를 복지관 방문자(510)와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동일한 그룹에 속한 타방문자(520)의 현재 위치를 복지관 방문자(510)의 예측 모델의 예측 기준으로서 추가할 수 있다.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550-2)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매칭되는 방문자(520)는, 복지관 내에서 활동을 함께하는 친구 사이일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The management server compares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550-1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510 with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550-2 ~ 550-4 of other visitors 520-540, and has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You can search for other visitors 520 batched as . Furthermore, the management server groups the other visitors 520 found in this way into the same group as the welfare center visitors 510, and us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ther visitors 520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s the prediction standard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510 predictive model. can be add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very high probability that the visitor 520 matching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550 - 2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is a friend who participates in an activity within the welfare center.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관리 서버는 복지관 방문자들(520~540)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550-1~550-4)을 기준으로 그룹핑하고, 예측 모델의 예측 기준으로서 동일한 그룹에 속한 다른 방문자들(520~540)의 현재 위치를 추가 설정할 수 있다. In view of this, the management server groups based 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s (550-1 to 550-4)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s (520 to 540), and other visitor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s the prediction standard of the prediction model. The current location of (520 to 540) can be additionally set.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모델에 따른 예측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예측 기준이 복수개 설정되어 예측 모델이 구축되는 경우, 예측 기준별로 다른 예측 구역이 특정될 경우를 대비하여, 각 예측 기준별로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가중치는 예측 모델의 예측 정확도가 높은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는 지속적으로 예측 정확도를 스스로 평가하여 각 예측 기준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조정/설정할 수 있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예측 기준일수록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복지관 방문자의 동선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rediction model is constructed by setting a plurality of prediction criteria, a weight may be set for each prediction criterion in case a different prediction region is specified for each prediction criterion. The weight may be se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is high, and the management server may adjust/set the weight given to each prediction criterion by continuously evaluating the prediction accuracy by itself. The higher the weighted prediction criterion, the higher the priority is given, and it can be used to predict the movement of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예를 들어, 예측 모델의 예측 기준으로서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610) 및 같은 그룹에 속한 타방문자(620)의 현재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610)에 따르면 복지관 방문자가 제1 구역(630)을 방문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반해, 같은 그룹에 속한 타방문자(620)의 현재 위치에 따르면 복지관 방문자가 제2 구역(640)을 방문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예측 기준별로 부여되어 있는 가중치를 기준으로,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는 예측 기준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최종 예측 구역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610)에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 관리 서버는 제1 구역(630)을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예측 실내 구역으로 특정할 수 있으며, 같은 그룹의 타방문자(620)의 현재 위치에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 관리 서버는 제2 구역(640)을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예측 실내 구역으로 특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the time-based indoor movement pattern 610 and the current location of another visitor 620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re set as the prediction criteria of the prediction model.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 according to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610 , it is predicted that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will visit the first area 630 , whereas,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other visitor 620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 case in which a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is predicted to visit the second area 640 may occur. In this case, based on the weight assigned to each prediction criterion, the final prediction region may be specified by giving a higher priority to the prediction criterion to which a higher weight is given. For example, if a higher weight is given to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610, the management server may specify the first area 630 as the movement prediction indoor area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and other visitors of the same group ( When a higher weight is given to the current location of 620 , the management server may specify the second zone 640 as an indoor zone for predicting movement of visitors to the welfare cent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지관 방문자가 복지관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a visitor to a welfare center is located outside the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복지관 실내 쾌적 환경을 유지하고자 함이 목적이기 때문에, 복지관 방문자(710)가 복지관 외부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관리 서버는 해당 복지관 방문자(710)의 이동 예측 실내 구역의 특정, 특정된 구역의 환기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다만, 만일 외부에 있던 복지관 방문자(710)가 복지관 방문을 위해 복지관 방향으로 이동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Basically,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of the welfare center,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is outside the welfare center, the management server predicts the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 there is no need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ventilation of a specified area. However, if it is confirmed that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who was outside is moving toward the welfare center to visit the welfare center,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따라서, 관리 서버는 우선 복지관 방문자(710)의 위치가 복지관의 외부로 인식되는 경우, 복지관 방문자(7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복지관 방문자(710)의 행선지가 복지관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 복지관 방문자(7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방식은 앞서 복지관 방문자(710)의 단말이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인식/센싱 가능함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관리 서버는 복지관 방문자(710)의 위치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인식/센싱한 결과, 복지관 방문자(710)의 이동 경로(730)가, 복지관 방문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복지관까지의 경로(720)와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매칭되는 경우, 복지관 방문자(710)의 행선지가 복지관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is recognized outside the welfare center, the management server may sense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in real time to predict whether the destin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is a welfare center. In the method of sensing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in real time, the terminal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senses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and transmits the sensing result to the management server, so that recognition/sensing i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recognizing/sensing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for a preset time,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e movement path 730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to the welfare center path 720 and the preset In the case of matching more than the ratio,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destin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is the welfare center.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는 복지관 방문자(710)의 현재 위치로부터 복지관까지의 후보 경로(720)를 복수개 설정/검색/탐색할 수 있으며, 이 중 복지관 방문자(710)의 이동 경로(730)와 기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60%) 이상으로 매칭되는 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매칭되는 경로(720)가 존재하는 경우, 복지관 방문자(710)의 행선지가 복지관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nagement server may set / search / search a plurality of candidate routes 720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to the welfare center, among which the movement path 730 and the group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ath matching more than a set ratio (eg, 60%). If there is a path 720 that matches more than a preset ratio, it may be predicted that the destin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is the welfare center.

관리 서버는 복지관 방문자(710)의 행선지가 복지관인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기초로 복지관 방문자(710)의 이동 예측 시간 및 이동 예측 실내 구역을 특정할 수 있으며, 이때 앞서 상술한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 사용 방식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복지관 방문자(710)의 예측 시간은 현재 복지관 방문자(710)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는 시간당 이동 거리를 센싱하여 이동 속도를 도출할 수 있으며, 도출한 이동 속도를 기초로 복지관 방문자(710)의 도착 예정 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한 도착 예정 시간을 복지관 방문자(710)의 예측 이동 시간으로서 특정할 수 있다. When the destin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is predicted to be a welfare center, the management server may specify the movement prediction time and movement prediction indoor area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based 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at this time The method of using the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for each hour may be applied in the same/similar manner. However, the predicted time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may be specified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current welfare center visitor 710 .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may derive the movement speed by sensing the movement distance per hour, may predict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710 based on the derived movement speed, and calculate the estimated arrival time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t can be specified as the predicted movement time of 71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실내 구역별 오염도를 제공하는 단말의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screen of a terminal that provides a pollution level for each indoor area of a welfare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관리 서버는 복지관에 설치된 IoT 기기를 이용하여 각 구역별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실내 공기 오염도가 기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는 오염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 오염 구역의 환기를 오염 구역에 설치된 IoT 기기에 명령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measures the pollution level for each area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using the IoT device installed in the welfare center. You can command IoT devices installed in

나아가, 관리 서버는 측정한 오염도에 관한 정보를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에 포함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구역별 오염도(810)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지관 방문자, 복지관 방문자의 보호자 및/또는 복지관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각 구역별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복지관 방문자는 다른 구역으로 이동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 복지관 방문자는 오염된 실내 구역에 대한 정화 조치 등을 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the management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measured pollution level to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of the welfare center. The terminal may visualize the received pollution level 810 for each zone as shown in FIG. 8 and provide it to the user. Welfare center visitors, guardians of welfare center visitors, and/or welfare center managers can check the pollution level for each area through their terminal, and the welfare center visitors decide whether to move to another area, and the welfare center visitors clean up the contaminated indoor areas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take action.

특히, 관리 서버는 오염도에 관한 상세 정보(840)로서, 각 구역별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 농도, 온도,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현재 수용 인원수 및/또는 가장 오래 머무른 방문자 등에 관한 정보도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구역(830)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820)이 수신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840)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management server is detailed information 840 on the degree of pollu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xygen concentration, temperature, fine dust concentration,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the number of current occupants and/or visitors who stayed the longest for each zone is also terminal. can be provided as When a user selection input 820 for a specific area 830 is received, the terminal may additionally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840 for the selected area as shown in FIG. 8 .

그리고/또는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은 표시 장치(9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91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구역별로 설치되어 실내 환경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뿐 아니라, 표시 장치(910)로도 오염도에 관한 정보를 모두 전송해줄 수 있으며, 표시 장치(910)는 이렇게 수신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출력함으로써 해당 구역에 위치한 방문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nd/or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the welfare center may additionally include a display device 910, and the display device 910 is installed for each zone as shown in FIG. We can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server may transmit all the information on the pollution level not only to the terminal but also to the display device 910 , and the display device 910 visualize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displays/out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visitors located in the area.

특히, 표시 장치(910)는 수신한 오염도에 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현재 설치되어 있는 구역의 오염도가 기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가장 오래 머무른 것으로 인식된 방문자에 대해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오염도가 낮은 구역으로 이동할 것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현재 오염도와 함께 디스플레이/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은, 각 구역별 오염도가 기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오염도 높은 실내 구역에 대한 수용 인원의 분산 유도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device 910 analyzes the received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pollution level of the currently installed area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visitor recognized as staying the longest is shown in FIG. 9 .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isplay/output a message recommending moving to an area with a low current level of pollution along with the current level of pollution. Through this,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of the welfare center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inducing dispersion of occupants for indoor areas with high pollution levels so that the degree of pollution for each area does not exceed a preset threshol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는 제어부(1010), 통신부(1020) 및 저장부(10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10 , a communication unit 1020 , and a storage unit 1030 .

제어부(10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1020) 및 저장부(10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관리 서버는 제어부(1010)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01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기계 학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1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020 and the storage unit 1030 to perform the embodiments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may process data inside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described as being replaced with the control unit 1010 . The control unit 1010 i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MPU (Micro Processor Unit), MCU (Micro Controller Unit), AP (Application Processor), AP (Application Processor), or any form well known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010 can machine-learning the indoor movement of visitors to the welfare center by time by performing a preset algorithm, extracting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through this, and building an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is. can

통신부(1020)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특히, 관리 서버의 통신부(1020)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020 may transmit/receive data by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020 of the management server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IoT device and/or at least one terminal included in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of the welfare center.

저장부(1030)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30)는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The storage unit 1030 may store various digital data such as video, audio, photo, moving picture, and application. The storage unit 1030 represents various digital data storage spaces such as a flash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and a solid state drive (SSD).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단말은, 위치 센서부, 통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is figure,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the welfare cent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cation sensor unit, a communication unit, a user interface unit, and a control unit.

위치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ensor)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특히, 해당 단말이 복지관 방문자의 단말인 경우, 위치 센서부는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position sensor unit may sense the position using at least one sensing means (eg, a global positioning sensor (GPS), etc.). In particular, when the terminal is a terminal of a visitor to a welfare center, the location sensor unit may sense the location of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transmit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 unit.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의 통신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위치 센서부가 센싱한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복지관 실내 구역별 오염도에 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receive data by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sensed by the location sensor unit to the management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pollution level for each indoor area of the welfare cent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검출/센싱하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을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터치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다양한 센싱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수단은,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에 해당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f receiving/detecting/sensing a user input from a user by using at least one sensing unit and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at least one output unit. For example, the sensing means may include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mo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inclination sensor, a brightness sensor, an altitude sensor, an olfactor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depth sensor. , a pressure sensor, a bending sensor, an audio sensor, a video sensor, and at least one of various sensing means such as a touch sensor and a grip sensor. For example, the output means may correspond to a display, a speaker, or the like.

제어부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위치 센서부 및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단말은 제어부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어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sition sensor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the embodiments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may process data inside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terminal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described as being replaced with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t least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MPU (Micro Processor Unit), MCU (Micro Controller Unit), AP (Application Processor), AP (Application Processor), or any type of processor well known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one.

또한,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환기 기기는, 통신부, 환기 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환기 기기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IoT 기기 중 환기 기능을 수행하는 IoT 기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앞서 상술한 스마트 창문, 공기 청정기, 실내외 공기 순환기, 에어컨 등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included in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of the welfare cent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 ventil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Here, the ventilation device may correspond to an IoT device that performs a ventilation function among IoT devices included in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of the welfare center, and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the smart window, air purifier, indoor/outdoor air circulator, air conditioner, etc. described above. there is.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특히, 환기 기기의 통신부는 관리 서버로부터 환기 수행 명령 또는 환기 중단 명령 등 다양한 환기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는 환기 동작 수행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receive data by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ventilation device may receive various ventilation commands, such as a ventilation execution command or a ventilation stop comman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 them to the control unit.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on perform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환기 모듈은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환기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 모듈은 스마트 창문의 창문 개폐 모듈,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 모듈, 실내외 공기 순환기에서 공기 순환 모듈, 에어컨에서 공기 청정 모듈 등에 해당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module may correspond to a module that performs a ventil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For example, the ventilation module may correspond to a window opening/closing module of a smart window, an air cleaning module of an air purifier, an air circulation module in an indoor/outdoor air circulator, an air cleaning module in an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제어부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 및 환기 모듈을 제어할 수 있으며, 환기 기기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환기 기기(또는 IoT 기기)는 제어부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어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ventilation module to perform the embodiments proposed herein, and may process the data inside the ventilation device. Therefore, the ventilation device (or IoT devic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described as being replaced with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t least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MPU (Micro Processor Unit), MCU (Micro Controller Unit), AP (Application Processor), AP (Application Processor), or any type of processor well known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one.

또한,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표시 장치는, 통신부,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the welfare cent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장치의 통신부는 관리 서버로부터 복지관 실내 구역별 오염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통신부는 출력 방식, 출력 내용 등에 관한 다양한 설정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receive data by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isplay device may receive various information on pollution levels for each indoor area of the welfare cent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isplay device may receive various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an output method, output contents, etc.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수단은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는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구역의 오염도에 관한 제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utput unit to output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output means may correspond to a display, a speaker,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output unit may output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the pollution level of the area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제어부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 및 환기 모듈을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제어부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어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ventilation module to perform the embodiments proposed herein, and may process data insid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described as being replaced with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t least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MPU (Micro Processor Unit), MCU (Micro Controller Unit), AP (Application Processor), AP (Application Processor), or any type of processor well known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on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hard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PGA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and the like.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and is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can be recorded.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 digital video disk (DVD), and a floppy disk.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a disk,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Such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o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a command to cause one or more processors to perform the functions and process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uch instructions may include interpreted instructions, such as script instructions, such as JavaScript or ECMAScript instructions, or executable code or other instructions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Furthermor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over a network, such as a server farm, or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computer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Further, 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ounted o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cludes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It can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and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stand-alone programs, modules,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placed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files that store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or portions of files that hold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executed on a singl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each drawing has been described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o implement a new embodiment by me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each draw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ight be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specifica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a person,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10: 복지관
120: IoT 기기
130: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
140: 단말
110: welfare center
120: IoT device
130: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140: terminal

Claims (18)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기계 학습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한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기초로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기초로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및 복지관 실내 구역을 특정하는 단계;
특정된 구역의 현재 수용 인원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현재 수용 인원을 기초로 상기 특정된 구역에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추가 수용됨에 따라 환기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상기 특정된 구역에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전, 미리 상기 특정된 구역의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In the method for managing the indoor environment of a welfare center,
recognizing the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y time by sensing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extracting an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y machine learning the recognized indoor movement of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by time, and building an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extracted indoor movement pattern by time;
specifying a time at which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expected to move and an indoor area of the welfare center based 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recognizing the current capacity of the specified area;
Determining whether ventilation is necessary as the welfare center visitors are additionally accommodated in the specified area based on the recognized current capacit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ion is necessary, before the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will move to the specified area, performing ventilation of the specified area in advance; Includ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가 상기 복지관의 외부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행선지가 상기 복지관인지를 예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edicting whether the destin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the welfare center by sensing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n real time when the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recognized outside the welfare center; Further compris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행선지가 상기 복지관인지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경로가,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현 위치로부터 상기 복지관까지의 경로와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매칭되는 경우,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행선지가 상기 복지관인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predicting whether the destin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the welfare center,
predicting that the destin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the welfare center when the movement path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matches the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by more than a preset ratio; Includ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행선지가 상기 복지관인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기초로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예측 시간 및 이동 예측 실내 구역을 특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destinatio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the welfare center, the step of specifying the movement prediction time and movement prediction indoor area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ased 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is performed,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예측 시간을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속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도출한 이동 속도를 기초로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도착 예정 시간을,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예측 시간으로서 특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specifying the expected movement time of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deriving the moving speed of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and
specifying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ased on the derived movement speed as the movement predicted time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nclud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되는 시간 전, 미리 상기 특정된 구역이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된 구역을 환기하는 데 걸릴 예상 소요 시간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으로부터 상기 예상 소요 시간만큼 앞선 시점에 상기 특정된 구역의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predicted time, the step of performing the ventilation of the specified area in advance,
deriving an estimated time required to ventilate the specified area; and
performing ventilation of the specified area at a time earlier by the expected requir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is expected to move; Includ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현재 상기 복지관 실내의 제1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예측 시간 및 이동 예측 실내 구역을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기초로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제1 시간 및 제2 구역을 특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is currently located in the first area of the interior of the welfare center, the step of specifying the movement prediction time and the movement prediction indoor area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specifying a first time and a second area in which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expected to move based 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Includ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복수의 다른 방문자들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및
패턴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매칭되는 다른 방문자와 상기 복지관 방문자를 그룹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mparing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with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of a plurality of other visitors; and
grouping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with other visitors whose pattern matches more than a preset ratio; Further compris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복지관 방문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한 다른 방문자의 현재 위치를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의 예측 기준으로서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building the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for each hour is,
adding the current location of another visitor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s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as a prediction criterion of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Includ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의 예측 기준으로 설정된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 및 상기 동일한 그룹에 속한 다른 방문자의 현재 위치에는, 각각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되어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이동 예측 시간 및 이동 예측 구역 특정에 사용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set as the prediction criterion of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and the current location of other visitor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re given different weights, respectively, used to specify the movement prediction time and movement prediction area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How to manage the indoor environment of a welfare cen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지관 실내의 각 구역별 실내 공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실내 공기 오염도가 기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는 오염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오염 구역의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Measuring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for each area of the welfare center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performing ventila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when there is a contaminated area in which the measured indoor air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set value; Further compris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구역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단말 및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contaminated area to at least one of a preset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구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복지관 방문자들 중 머무른 시간이 가장 오래된 방문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설정된 단말 및 상기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visitor having the longest stay among a plurality of visitors to a welfare center located in the contaminated area to at least one of the preset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추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특정된 구역의 실내 공기 오염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 상기 환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entilation is necessary,
determining that the ventilation is necessary when the indoor air pollution degree of the specified area is expected to exceed a preset range when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additionally accommodated; Includ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는,
창문 제어 장치가 창문을 열거나, 공기 청정기가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ventilation,
The window control device opens the window, or the air purifier performs an air cleaning operation; Includ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센싱한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실내 동선을 이미지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building the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for each hour is,
extracting an image of the indoor movement of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sensed for the preset time; and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the extracted image to extract the indoor movement pattern for each time; Including, a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method.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로서,
복지관 방문자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 센서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위치 센서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함, 및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 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2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함, 및
환기 기기; 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3 통신부;
환기 동작을 수행하는, 환기 모듈;
상기 제3 통신부 및 상기 환기 유닛을 제어하는, 제3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기계 학습하고,
상기 기계 학습을 통해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에 대한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기초로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및 복지관 실내 구역을 특정하고,
특정된 구역의 현재 수용 인원을 인식하고,
인식한 현재 수용 인원을 기초로 상기 특정된 구역에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추가 수용됨에 따라 환기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상기 특정된 구역에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전, 미리 특정된 구역의 환기를 수행하는 명령을 상기 제2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부로 전송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
In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terminal; as,
For sensing the location of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a location sensor unit;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sensor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comprising, and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a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comprising, and
ventilation equipment; as,
a third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To perform a ventilation operation, ventilation module;
A thir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and the ventilation unit; including,
The second control unit,
By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indoor movement by time of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from the terminal, and machine learning the indoor movement of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by time,
By extracting the hourly indoor movement pattern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s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an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for the welfare center visitors is constructed,
Based 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s, specifying the time and the welfare center indoor area where the welfare center visitors are expected to move,
Recognize the current capacity of the specified area;
Based on the recognized current capacity, it is determined whether ventilation is necessary as the welfare center visitors are additionally accommodated in the specified are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ion is necessary, before the time when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expected to move to the specified area, a command to perform ventilation of the specified area in advance is transmitted to the ventilation unit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을 기계 학습하고,
상기 기계 학습을 통해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시간별 실내 동선 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복지관 방문자에 대한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복지관 방문자의 상기 시간별 실내 동선 예측 모델을 기초로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및 복지관 실내 구역을 특정하고,
특정된 구역의 현재 수용 인원을 인식하고,
인식한 현재 수용 인원을 기초로 상기 특정된 구역에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추가 수용됨에 따라 환기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복지관 방문자가 상기 특정된 구역에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전, 미리 특정된 구역의 환기를 수행하는 명령을 상기 제2 통신부를 이용하여 환기부로 전송하는, 복지관 실내 환경 관리 서버.
In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includes,
The control unit is
By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y time from the terminal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machine learning the hourly indoor movement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
By extracting the indoor movement pattern for each hour of the visitor to the welfare center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an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for the visitor of the welfare center is constructed,
Based on the hourly indoor movement prediction model of the welfare center visitors, specifying a time and a welfare center indoor area for which the welfare center visitors are expected to move,
Recognize the current capacity of the specified area;
Based on the recognized current capacity, it is determined whether ventilation is necessary as the welfare center visitors are additionally accommodated in the specified are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ion is necessary, before the time when the welfare center visitor is expected to move to the specified area, a command to perform ventilation of the specified area in advance is transmitted to the ventilation unit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welfare center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server.
KR1020200140291A 2020-10-27 2020-10-27 A platfor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tatus of welfare centers to the elderly and managing the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KR102405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91A KR102405273B1 (en) 2020-10-27 2020-10-27 A platfor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tatus of welfare centers to the elderly and managing the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KR1020220066043A KR102476303B1 (en) 2020-10-27 2022-05-30 A server for managing indoor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KR1020220066042A KR102476299B1 (en) 2020-10-27 2022-05-30 A system for managing indoor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91A KR102405273B1 (en) 2020-10-27 2020-10-27 A platfor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tatus of welfare centers to the elderly and managing the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043A Division KR102476303B1 (en) 2020-10-27 2022-05-30 A server for managing indoor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KR1020220066042A Division KR102476299B1 (en) 2020-10-27 2022-05-30 A system for managing indoor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13A true KR20220055813A (en) 2022-05-04
KR102405273B1 KR102405273B1 (en) 2022-06-07

Family

ID=8158393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91A KR102405273B1 (en) 2020-10-27 2020-10-27 A platfor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tatus of welfare centers to the elderly and managing the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KR1020220066043A KR102476303B1 (en) 2020-10-27 2022-05-30 A server for managing indoor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KR1020220066042A KR102476299B1 (en) 2020-10-27 2022-05-30 A system for managing indoor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043A KR102476303B1 (en) 2020-10-27 2022-05-30 A server for managing indoor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KR1020220066042A KR102476299B1 (en) 2020-10-27 2022-05-30 A system for managing indoor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052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81149A (en) * 2023-06-20 2023-07-25 深圳市微筑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indoor environment paramete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272A (en) * 2012-02-10 2013-08-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route inference of users using smart terminal and system there of
JP2016085014A (en) * 2014-10-29 2016-05-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KR20180068515A (en)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mart home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106608A (en) * 2018-03-06 2019-09-18 동서콘트롤(주) Integrate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KR20200059050A (en) * 2018-11-20 2020-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pool servic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272A (en) * 2012-02-10 2013-08-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route inference of users using smart terminal and system there of
JP2016085014A (en) * 2014-10-29 2016-05-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KR20180068515A (en)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mart home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106608A (en) * 2018-03-06 2019-09-18 동서콘트롤(주) Integrate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KR20200059050A (en) * 2018-11-20 2020-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pool service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81149A (en) * 2023-06-20 2023-07-25 深圳市微筑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indoor environment parameters
CN116481149B (en) * 2023-06-20 2023-09-01 深圳市微筑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indoor environment parame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118A (en) 2022-06-08
KR20220077117A (en) 2022-06-08
KR102476303B1 (en) 2022-12-12
KR102405273B1 (en) 2022-06-07
KR102476299B1 (en) 202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18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nergy saving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control system
Javed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loud enabled random neural network-based decentralized smart controller with intelligent sensor nodes for HVAC
US9997046B2 (en) Visitor flow management
US10935270B2 (en) Electronic device and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101924A (en) Thermo-hygrome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adjusting indoor environment
US9633320B2 (en) Energy demand predi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7067427A (en)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program
JP5406006B2 (en) Number estimation device and number estimation method
EP2688036A1 (en) Energy demand prediction device and method
KR20200043781A (e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exhibition hall considering environment and occupancy changes
KR201900907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user behavior
Gunay et al. Detecting occupants’ presence in office spaces: a case study
KR102476299B1 (en) A system for managing indoor environment of welfare centers
KR2018010545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vestock breeding environment and method for the same
CN105102899A (en) Air environment regulating system, and controlling device
KR20230164630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olling the same
KR101504411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uilding temperature through temperature control pattern
Mashuk et al.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indoor positioning for monitoring building occupancy through ecologically valid trials
CN112113295A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control system
KR102594744B1 (en) Multiple build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digital twin
Styła et al. System of prediction, optimization and detection of users with the use of radio tomography and computational intelligence methods
US20230228440A1 (en) Method for increasing equipment effectiveness for healthy buildings
US20240019155A1 (en) Distributed smart thermostat
US20240005648A1 (en) Selective knowledge distillation
WO2023027734A1 (en) Health assessment generation based on voc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