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579A -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579A
KR20220055579A KR1020200139826A KR20200139826A KR20220055579A KR 20220055579 A KR20220055579 A KR 20220055579A KR 1020200139826 A KR1020200139826 A KR 1020200139826A KR 20200139826 A KR20200139826 A KR 20200139826A KR 20220055579 A KR20220055579 A KR 2022005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complexity
similarity
imag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639B1 (ko
Inventor
김현경
박선영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6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06T5/0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출부가 증강현실기기의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가상의 물체에 대한 배경의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와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복잡도 판단부가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이상일 때, 유사도 판단부가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일 때, 제어부가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생성하고 테두리 내에서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색상을 입히고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하여,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하는 단계;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이 아닐 때, 제어부가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FOR ALLEVIATING VISUAL COMPLEXITY METRIC OF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강현실기기 사용 중에 배경 이미지가 복잡하거나 배경 이미지가 증강현실기기의 이미지와 유사하여 증강현실 프로그램 사용상 어려움이 있을 때 시각적 복잡도를 완화하는 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몰입감이 있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기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기가 주목받고 있다. AR/VR 기기는 사용자의 몰입감 향상을 위하여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안경형 디스플레이(Eye Glasses-type Display; EGD) 등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증강현실 기기는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외부 공간의 현실 영상에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가상 영상을 중첩시켜 보여줌으로써 증강된 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 기기는 몰입감 향상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현실 영상에 가상 영상이 공간적으로 정확하게 중첩할 수 있도록 현실 영상에 맞추어 가상 영상의 출력위치를 조절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기는 가상의 물체와 배경이 유사한 경우에는 구분하기 어렵다. 또한, HMD(Head Mounted Device)와 같은 증강현실 기기는 무겁고 사용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피로감, 멀미 등을 느끼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20-0075249호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기의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배경의 일정영역의 색상을 변경하여 가상의 물체와 배경을 구분하는 것이 용이한,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적으로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에도 HMD(Head Mounted Device))와 같은 증강현실 기기의 착용을 해제하지 않더라도 휴식모드를 통해 사용을 중지할 수 있는,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 기기의 시각적 복잡도를 완화하여 증강현실 기기 사용시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은, 산출부가 증강현실기기의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가상의 물체에 대한 배경의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와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복잡도 판단부가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상기 설정 복잡도 이상일 때, 유사도 판단부가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일 때, 제어부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생성하고 상기 테두리 내에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색상을 입히고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하여,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이 아닐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상기 설정 복잡도 이상이 아닐 때, 상기 유사도 판단부가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생성하고 상기 테두리 내에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색상을 입혀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이 아닐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처리 이후, 추가로 사용자 입력을 받아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의 흐림도와 흐림영역, 상기 설정된 색상과 상기 색상이 입혀진 영역, 상기 설정 복잡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로도 측정부가 사용자의 생체신호 입력을 받아 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측정된 피로도에 따라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의 흐림영역 또는 상기 설정된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피로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설정시간동안 지속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상기 증강현실 기기의 휴식모드 또는 동작 종료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는 스마트워치 또는 셀프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는 정수 1단위의 정보 엔트로피 구간을 하나의 정보 엔트로피 계급으로 하여 구간을 나누고, 상기 설정 복잡도는 상기 구간 중 특정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는 사각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 내에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입혀지는 색상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 반전값과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전술한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 기기의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배경의 일정영역의 색상을 변경하여 가상의 물체와 배경을 구분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적으로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에도 HMD(Head Mounted Device)와 같은 증강현실 기기의 착용을 해제하지 않더라도 휴식모드를 통해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 기기의 시각적 복잡도를 완화하여 증강현실 기기 사용시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제 배경 이미지에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표시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시스템(1000)은 산출부(100), 복잡도 판단부(200), 유사도 판단부(300), 제어부(400) 및 피로도 측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산출부(100)는 증강현실기기의 증강현실 프로그램(augumented reality program)이 실행되는 중에 가상의 물체에 대한 배경의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와 유사도를 산출한다. 증강현실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서, 실제로 존재하는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가상물체에 대한 배경"의 의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뎅이(10)와 같은 증강현실 이미지가 실제 배경에 증강현실로 나타날 때, 사각형 형상의 배경 테두리(20)를 생성한 후 색상을 입혀 실제 배경 이미지와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시각적 복잡도는 시각적인 정보에 대해 사람이 느끼는 복잡도이다. 시각적 복잡도는 사람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이므로 사람에 따라 동일한 정보에 대해 다른 시각적 복잡도로 평가할 수 있다. 사람의 주관을 배제하여 시각적 복잡도를 측정하기 위해 파일의 특정 포맷 압축기법이나 정보 엔트로피 이론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여 시각적 복잡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적 복잡도 측정은 정보 엔트로피 이론을 활용하며, 이는 공지된 방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잡도 판단부(200)는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되,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는 구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8의 범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유사도 판단부(300)는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이상일 때,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를 판단한다.
이때,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일 때, 제어부(400)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생성하고 테두리 내에서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색상을 입혀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한다.
또한,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미만일 때, 제어부(400)는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한다.
유사도 판단부(300)는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미만일 때, 유사도 판단부(300)는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일 때, 제어부(400)는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생성하고 테두리 내에서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색상을 입히고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하여,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미만일 때, 제어부(400)는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실제 배경 이미지의 흐림도와 흐림영역, 설정된 색상과 색상이 입혀진 영역, 복잡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피로도 측정부(50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입력을 받아 피로도를 측정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측정된 피로도에 따라 실제 배경 이미지의 흐림영역 또는 설정된 색상을 변경한다.
생체신호의 측정은 스마트 워치 또는 셀프 카메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스마트 워치(smart watch)는 피부 표면을 감지하여 체온의 증가가 입력된다. 뇌파센서는 델타파와 세타파가 증가하고 베타파는 감소하는 것이 입력된다. 뇌파센서는 알파파의 활동이 베타파보다 감소한다.
셀프 카메라(self camera)는 깜빡임 빈도가 높고 동공조절속도가 느리다는 것이 입력된다.
피로도는 노랑, 빨강, 파랑, 초록, 보라의 순으로 크며, 변경되는 배경의 색상은 가상의 물체 색상 반전값과 유사하면서 시각적 피로도가 낮은 색상으로 정한다.
시각적 피로도를 더 느끼는 사용자는 사용자 지정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엔트로피가 클수록, 또는 특정 색상에 따라 피로도를 더 느끼기 때문에, 배경의 색상을 사용자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게 하고, 배경의 흐린 영역과 흐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휴식이나 집중이 필요한 사용자는 휴식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식이나 집중이 필요하지만, 증강현실 기기를 계속 착용하고 싶은 사용자를 위해 배경 전체의 색상을 시각적 피로도가 낮은 색상 중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하거나 종료한다.
또 한편, 측정된 피로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설정시간동안 지속되었을 때, 제어부(400)는 증강현실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입력에 의한 증강현실 기기의 휴식모드 또는 동작 종료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은 S301~S308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잡도 계산과 색상 유사도 계산은 공지의 알고리즘(algorithm)을 이용하며, 이러한 알고리즘을 증강현실 기기에 이용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먼저, 산출부(100)가 증강현실기기의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가상의 물체에 대한 배경의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와 유사도를 산출한다(S301). 여기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8의 범위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휘도값은 RGB 색 공간을 YIQ 색 공간으로 변경하였을 때의 값으로, 사람의 RGB 색에 대한 시각적 민감도를 반영한다. 수학식 1은 휘도값 Y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정보 엔트로피 Entropy H는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이미지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정보 엔트로피의 계산결과(최소 1, 최대 8)는 0~255로 고르게 분포된다. 수학식 3은 최대 정보 엔트로피 p로부터 Entropy H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최소 정보 엔트로피인 1부터 최대 정보 엔트로피인 8의 범위에서 정수 1단위의 정보 엔트로피 구간을 하나의 정보 엔트로피 계급으로 하여 1이상 2미만, 2이상 3미만, 3이상 4미만, 4이상 5미만, 6이상 7미만, 7이상 8까지의 7개의 정보 엔트로피 계급으로 나눈다.
S301 이후, 복잡도 판단부(200)가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02). 예를 들면, 설정 복잡도는 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302에서,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이상일 때, 유사도 판단부(300)가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03). 예를 들면, 설정 유사도는 9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303에서,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일 때, 제어부(400)가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생성하고 테두리 내에서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색상을 입히고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하여,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한다(S304).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두리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303에서,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미만일 때, 제어부(400)가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한다(S305).
S302에서,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미만일 때, 유사도 판단부(300)가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를 판단한다(S306).
S306에서,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일 때, 제어부(400)가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생성하고 테두리 내에서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색상을 입혀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한다(S307).
S307 이후,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미만일 때, 제어부(400)가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한다(S308).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은 S309~S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308 이후, 제어부(400)가 사용자 입력을 받아 실제 배경 이미지의 흐림도와 흐림영역, 설정된 색상과 색상이 입혀진 영역, 복잡도를 변경할 수 있다(S309).
S309 이후, 피로도 측정부(500)가 사용자의 생체신호 입력을 받아 피로도를 측정한다(S310).
S310 이후, 제어부(400)가 측정된 피로도에 따라 실제 배경 이미지의 흐림영역 또는 설정된 색상을 변경한다(S311).
S311 이후, 측정된 피로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설정시간동안 지속되었을 때, 제어부(400)는 증강현실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입력에 의한 증강현실 기기의 휴식모드 또는 동작 종료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12).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산출부 200 : 복잡도 판단부
300 : 유사도 판단부 400 : 제어부
500 : 피로도 측정부

Claims (10)

  1. 산출부가 증강현실기기의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가상의 물체에 대한 배경의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와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복잡도 판단부가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설정 복잡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상기 설정 복잡도 이상일 때, 유사도 판단부가 실제 배경 이미지와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설정 유사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일 때, 제어부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생성하고 상기 테두리 내에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색상을 입히고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하여,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이 아닐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가 상기 설정 복잡도 이상이 아닐 때, 상기 유사도 판단부가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생성하고 상기 테두리 내에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색상을 입혀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가 구분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유사도 이상이 아닐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처리 이후, 추가로 사용자 입력을 받아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의 흐림도와 흐림영역, 상기 설정된 색상과 상기 색상이 입혀진 영역, 상기 설정 복잡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로도 측정부가 사용자의 생체신호 입력을 받아 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측정된 피로도에 따라 상기 실제 배경 이미지의 흐림영역 또는 상기 설정된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피로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설정시간동안 지속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상기 증강현실 기기의 휴식모드 또는 동작 종료를 추천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는 스마트워치 또는 셀프카메라를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엔트로피 복잡도는 정수 1단위의 정보 엔트로피 구간을 하나의 정보 엔트로피 계급으로 하여 구간을 나누고,
    상기 설정 복잡도는 상기 구간 중 특정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둘러싸는 테두리는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내에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 입혀지는 색상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의 색상 반전값과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139826A 2020-10-27 2020-10-27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3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826A KR102535639B1 (ko) 2020-10-27 2020-10-27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826A KR102535639B1 (ko) 2020-10-27 2020-10-27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79A true KR20220055579A (ko) 2022-05-04
KR102535639B1 KR102535639B1 (ko) 2023-05-23

Family

ID=8158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826A KR102535639B1 (ko) 2020-10-27 2020-10-27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218B1 (ko) * 2022-07-13 2022-12-21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사용자 경험을 기초로 메타버스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9307A (ko) * 2008-11-03 2010-05-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특성 분석을 통한 캡슐 내시경 영상 처리 방법
KR20120040407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16974A (ko) * 2012-06-29 2015-02-13 노키아 코포레이션 환경 정보의 시각적 복잡도에 기초하여 정보의 제시를 수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21812A (ko) * 2017-08-24 2019-03-06 한국과학기술원 Vr 피로로유발인자의 딥 러닝 분석을 사용하는 vr 컨텐츠 체감 품질 정량적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200073160A (ko) * 2018-12-13 2020-06-23 한국과학기술원 가상현실 컨텐츠 체감피로도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75249A (ko) 2018-12-18 2020-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강 현실 기기 및 증강 현실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9307A (ko) * 2008-11-03 2010-05-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특성 분석을 통한 캡슐 내시경 영상 처리 방법
KR20120040407A (ko) * 2010-10-19 2012-04-27 주식회사 팬택 증강현실 객체정보의 가시성을 높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16974A (ko) * 2012-06-29 2015-02-13 노키아 코포레이션 환경 정보의 시각적 복잡도에 기초하여 정보의 제시를 수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21812A (ko) * 2017-08-24 2019-03-06 한국과학기술원 Vr 피로로유발인자의 딥 러닝 분석을 사용하는 vr 컨텐츠 체감 품질 정량적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200073160A (ko) * 2018-12-13 2020-06-23 한국과학기술원 가상현실 컨텐츠 체감피로도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75249A (ko) 2018-12-18 2020-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강 현실 기기 및 증강 현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218B1 (ko) * 2022-07-13 2022-12-21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사용자 경험을 기초로 메타버스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639B1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epkowski et al. The effect of narrow field of view and information density on visual search performance in augmented reality
Mercier-Ganady et al. The Mind-Mirror: See your brain in action in your head using EEG and augmented reality
US2019009609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1467662B1 (en) Identifying object of user focus with eye tracking and visually evoked potentials
JP2896291B2 (ja) 画像表示装置
CN114175045A (zh) 利用亮度变化来确定用户特征
KR102253444B1 (ko)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유도 영상 표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535639B1 (ko) 증강현실기기의 시각적 복잡도 완화방법, 및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WI811613B (zh) 頭戴式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與校正方法
US11947722B2 (en) Devices and headsets
US112818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difying the affective visua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vision of an user
KR102360557B1 (ko) 실세계 영상 왜곡 기능을 가지는 씨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US20190079291A1 (en) Electronic Glasses and Method Operating Them
US20220409094A1 (en) Visual brain-computer interface
KR102185519B1 (ko) 다이렉트 인코딩 방식의 씨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위한 실세계 영상 왜곡 방법 및 실세계 영상 왜곡 기능을 가지는 다이렉트 인코딩 방식의 씨스루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JP746709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928516A (zh) 增强现实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Yamaura et al. Image blurring method for enhancing digital content viewing experience
JP2021010652A (ja) 情報処理装置、評価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30320582A1 (en) Visual function examination device, spectacle lens presentation system, printed matter, visual function examination method, spectacle lens present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Pajak et al. Visual maladaptation in contrast domain
Pedersen Importance of region-of-interest on image difference metrics
CN111047384A (zh) 智能设备的信息处理方法和智能设备
Okuno et al. Study on Displaying Images to Prevent VR Sickness as Maintaining Rich-Presence
Saeedpour-Parizi et al. Perceptual Thresholds for Radial Optic Flow Distortion in Near-Eye Stereoscopic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