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368A - 결로 방지용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용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368A
KR20220055368A KR1020200139760A KR20200139760A KR20220055368A KR 20220055368 A KR20220055368 A KR 20220055368A KR 1020200139760 A KR1020200139760 A KR 1020200139760A KR 20200139760 A KR20200139760 A KR 20200139760A KR 20220055368 A KR20220055368 A KR 20220055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lat
flat cable
housing
connector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3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368A/ko
Publication of KR20220055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연성평면케이블과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판부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고 하판부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의 도체선들 사이의 절연 필름 부분을 가압할 수 있게 마련된 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로 방지용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Anti-condensation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이슬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단위 이차전지의 작동 전압은 통상 약 2.5V ~ 4.2V에 불과하므로 예컨대, 전기 자동차와 같이 높은 출력 전압과 대용량이 요구되는 중대형 장치에는 배터리 팩을 탑재한다.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과 기타 구성요소를 포함한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들과 각종 전장 부품 등을 모듈 케이스 내에 패키징하며, 모듈 케이스 내부의 기기와 기기 또는 모듈 케이스 밖의 외부 기기 등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로는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은 가볍고 굴곡성이 뛰어나 3차원 배선이 가능하며 많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성평면케이블(2)은 복수 개의 도체선(2a)들과 절연 필름(2b)을 구비한다. 절연 필름(2b)은 베이스 필름과 커버레이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도체선(2a)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그 위에 커버레이 필름이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평면케이블(2)은 온도 변화 등의 영향을 받아 절연 필름(2a)이 수축, 팽창하게 되면서,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패턴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연성평면케이블(2)을 커넥터 하우징(1)에 결합하게 되면, 커넥터 하우징(1)과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 계면에 빈 공간(O)이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 주변 온도가 급격히 낮아질 경우, 상기 빈 공간(O)에 이슬이 맺히는 결로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는 PCB에 실장된 커넥터에 접속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의 내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할 경우, 쇼트가 일어나거나 커넥터 터미널 부품의 산화가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연성평면케이블과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판부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고 하판부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의 도체선들 사이의 절연 필름 부분을 가압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마련되는 어퍼 하우징과 로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부는, 상기 도체선의 폭에 대응하는 만큼의 이격 거리를 두고 하방 돌출 형성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 가압돌기들과, 각 상기 제1 가압돌기들과 서로 마주하게 상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워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 가압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과 상기 로워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이드 핀과 억지 끼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로워 하우징의 폭 방향 양쪽 변 영역에 하나씩 마련되고, 상기 핀 삽입홈은 상기 가이드 핀에 대응하게 상기 어퍼 하우징의 폭 방향 양쪽 단부 영역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은 상기 어퍼 하우징보다 제2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련된 단자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어퍼 하우징은 상기 스트랩과 걸림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게 마련된 후크를 외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분절 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은 절연성을 갖는 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케이블 커넥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연성평면케이블의 굴곡의 협곡 부분에 커넥터 하우징의 가압돌기부가 위치하여 연성평면케이블과 커넥터 하우징 간의 틈새를 없앰으로써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결로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은 연성평면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될 수 있는 어퍼 하우징과 로워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핀과 핀 삽입홈, 스트랩과 후크 등의 구성이 추가되어 있어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편의성, 견고성, 기밀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서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하우징, 로우 하우징, 연성평면케이블의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태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어퍼 하우징, 로우 하우징, 연성평면케이블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도면에서의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비율은 실제적인 크기나 비율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케이블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하우징, 로우 하우징, 연성평면케이블의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태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연성평면케이블(10)과,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의 일부분을 내부에 기밀성 있게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연성평면케이블(1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은 동일 평면상에 평행한 두 가닥 이상의 도체선(13)들과 상기 도체선(13)들을 감싸서 봉합하는 절연 필름(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절연 필름(11)은 베이스 필름(11a)과 커버레이 필름(11b)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필름(11a) 위에 각 도체선(13)들이 일정 간격(ex : 1mm ~ 5mm)으로 배열되고 그 위에 커버레이 필름(11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필름(11a), 도체선(13)들 및 커버레이 필름(11b)의 고정을 위해 접착제(P)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체선(13)들은 구리(Cu) 또는 은(Ag)과 같이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절연 필름(1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thalate) 또는 폴리 이미드(Polyamide)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평면케이블(10)은 상호 간 완벽히 절연된 많은 수의 도체선(13)들을 포함하고 있어, 최소의 부피로 많은 양의 신호 및 부하 처리가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은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이차전지 셀들의 전압이나 온도를 센싱하고 이를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을 보호 및 지지하고 예컨대 BMS 회로기판에 실장된 다른 커넥터(미도시)에 쉽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여 홀딩시키되, 상판부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고 하판부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부(31,41)를 구비하여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의 도체선(13)들 사이에 있는 절연 필름 부분(T1,T2)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으나,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가압돌기부(31,41)가 연성평면케이블(10)에서 골이 생기기 쉬운 부분(도체선(13)과 도체선(13) 사이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커넥터 하우징(20)과 연성평면케이블(10)의 접촉 계면에 틈새 또는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온도 변화가 큰 환경에서도 커넥터 하우징(20)의 내부에 결로 현상이 일어나지 않음으로 전기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제품 수명 특성이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20)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마련되는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 하우징(30)은 커넥터 하우징(20)의 상판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워 하우징(40)은 커넥터 하우징(20)의 하판부를 형성한다.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의 단부는 커버레이 필름(11b)으로 도체선(13)들이 덮혀 있는 제1 구간(L1)과 커버레이 필름(11b)이 없어 도체선(13)들이 밖으로 드러나는 제2 구간(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L1)은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에 의해 압박 고정되고 상기 제2 구간(L2)은 로워 하우징(40)의 후방에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30)은 제1 가압돌기(31)들, 핀 삽입홈(33) 및 후크(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로워 하우징(40)은 제2 가압돌기(41)들, 가이드 핀(43) 및 스트랩(4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가압돌기(31)들과 제2 가압돌기(41)들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제1 가압돌기(31)들 연성평면케이블(10)의 폭 방향에 해당하는 제1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어퍼 하우징(3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 돌출 형성된다. 각 상기 제1 가압돌기(31)들은 서로 일정한 이격 거리를 갖는다. 상기 이격 거리는 도체선(13)의 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가압돌기(31)의 폭은 2개의 도체선(13)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가압돌기(31)의 폭과 인접한 2개의 제1 가압돌기(31)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도체선(13)의 폭과 인접한 2개의 도체선(13)들의 간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돌기(41)들은 제1 방향(Y축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로워 하우징(4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각 상기 제2 가압돌기(41)들은 각 상기 제1 가압돌기(31)들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압돌기(31)들과 상기 제2 가압돌기(41)들은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성평면케이블(10)을 사이에 두고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을 상하로 결합할 때, 상기 제1 가압돌기(31)들과 상기 제2 가압돌기(41)들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성평면케이블(10)에서 내부에 도체선(13)이 없는 절연 필름(11) 부분들(T1,T2)에 가압한다. 이때의 압력에 의해 연성평면케이블(10)이 (±X축) 방향으로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에 언급하였듯이, 연성평면케이블(10)은 온도 변화 등에 절연 필름(11)이 수축, 팽창을 반복하다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패턴(도 1 참조) 형태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처럼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패턴이 있는 상태의 연성평면케이블(10)이라도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20)의 내부에 기밀성 있게 수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20)은, 연성평면케이블(10)에서 골이 형성될 수 있는 부분 즉, 상기 도체선(13)이 없는 절연 필름(11) 부분들(T1,T2)에 상기 제1 가압돌기(31)들과 상기 제2 가압돌기(41)들이 위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패턴이 있는 상태의 연성평면케이블(10)을 사이에 두고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을 결합할 때,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이 상기 제1 가압돌기(31)와 상기 제2 가압돌기(41)에 의해 누려지면서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으로 둘러싸인 공간 형상대로 형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패턴이 있는 상태의 연성평면케이블(10)라도 커넥터 하우징(20) 속에 빈틈 없이 압착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핀(43)과 핀 삽입홈(33)은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 간의 상하 간격의 결정 및 정확한 위치에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핀(43)은 로워 하우징(40)의 양쪽 변 영역에 하나씩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되고 핀 삽입홈(33)은 어퍼 하우징(30)의 양쪽 변 영역에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핀(43)에 억지 끼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핀(43)과 상기 핀 삽입홈(33)은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반대로 가이드 핀(43)이 어퍼 하우징(30)에 구비되고, 핀 삽입홈(33)이 로워 하우징(40)에 구비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로워 하우징(40)은 어퍼 하우징(30)보다 제2방향(X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자지지대(45)를 더 구비한다. 상기 단자지지대(45)는 연성평면케이블(10)의 제2 구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의 제2 구간은 상기 단자지지대(45)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다른 커넥터의 터미널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평면케이블(10)의 제1 구간과 제2 구간의 경계 부분의 실링성 확보를 위해 어퍼 하우징(30)에서 연성평면케이블(10)이 빠져나오는 영역에는 실링재(46) 또는 접착제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로워 하우징(40)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스트랩(47)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하우징(30)은 상기 스트랩(47)과 걸림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35)를 외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47)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분절 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트랩(47)은, 도 6과 같이, 고정부(47a), 연결부(47b), 체결부(47c)로 나누어진 3개의 분절 파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7a)와 상기 연결부(47b) 사이와 상기 연결부(47b)와 체결부(47c) 사이는 각각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47c)에는 후크(35)와 걸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공(47d)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로워 하우징(40)의 하부 외측면에 고정부(47a)를 피스로 고정시키고 고정부(47a)에 대해 90도 각도로 세운 다음, 상기 연결부(47b)에 대해 체결부(47c)를 90도 각도로 돌려 걸림공(47d)을 어퍼 하우징(30)의 후크(35)에 거는 방식으로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을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는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스트랩(47)을 사용하여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을 결합하였다.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의 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때는 상술한 방식의 역순으로 스트랩(47)을 후크(35)에서 분리하면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20)의 조립 분해가 매우 간단하고, 연성평면케이블(10)에 하자가 있을 때 커넥터 하우징(20)을 분리해서 재사용하기도 용이하다.
상기 스트랩(47)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20)은 전기 절연성을 가져야 하는 특성상 스트랩(47)은, 예컨대 강화 플라스틱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어서,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전술한 실시예의 케이블 커넥터와 비교할 때, 제1 가압돌기(31A)와 제2 가압돌기(41A)의 형상에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전술한 실시예는 어퍼 하우징(30)의 내측면과 로워 하우징(40)의 내측면을 각각 요철 가공해 각진 형태로 제1 가압돌기(31)와 제2 가압돌기(41)를 성형한 것이라면, 본 변형예는 상기 제1 가압돌기(31A)와 상기 제2 가압돌기(41A)를 아크(arc) 형상으로 변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크 형상의 제1 가압돌기(31A)들과 제2 가압돌기(41A)들은 어퍼 하우징(30)과 로워 하우징(40)으로 연성평면케이블(10)의 제1 구간(L1)을 누를 때 절연 필름(11)에 상처를 적게 입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 형상의 제1 가압돌기(31A)들과 제2 가압돌기(41A)들은, 전술한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패턴이 있는 상태의 연성평면케이블(10)에서 골 부분에 전술한 실시예보다 더 대응될 수 있어 커넥터 하우징(20) 내부의 기밀성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연성평면케이블(10)의 고정과 조립이 수월하면서, 커넥터 하우징(20) 내부에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어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상술한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 이외에도 배터리 셀들의 집합체인 셀 적층체와, 배터리 셀들의 전압 및 온도를 기초로 배터리 셀들의 충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서 BMS, 퓨즈, 릴레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관측자의 보는 위치나 대상의 놓여져 있는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연성평면케이블
11 : 절연 필름
11a : 베이스 필름
11b : 커버레이 필름
13 : 도체선
20 : 커넥터 하우징
30 : 어퍼 하우징
31 : 제1 가압돌기
33 : 핀 삽입홈
35 : 후크
40 : 로워 하우징
41 : 제2 가압돌기
43 : 가이드 핀
45 : 단자지지대
46 : 실링재
47 : 스트랩
47a : 고정부
47b : 연결부
47c : 체결부

Claims (10)

  1. 연성평면케이블과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판부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고 하판부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의 도체선들 사이의 절연 필름 부분을 가압할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연성평면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마련되는 어퍼 하우징과 로워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부는,
    상기 도체선의 폭에 대응하는 만큼의 이격 거리를 두고 하방 돌출 형성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 가압돌기들과,
    각 상기 제1 가압돌기들과 서로 마주하게 상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워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 가압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하우징과 상기 로워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이드 핀과 억지 끼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핀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로워 하우징의 폭 방향 양쪽 변 영역에 하나씩 마련되고,
    상기 핀 삽입홈은 상기 가이드 핀에 대응하게 상기 어퍼 하우징의 폭 방향 양쪽 단부 영역에 하나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하우징은 상기 어퍼 하우징보다 제2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마련된 단자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하우징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어퍼 하우징은 상기 스트랩과 걸림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게 마련된 후크를 외측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분절 파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절연성을 갖는 강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200139760A 2020-10-26 2020-10-26 결로 방지용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 KR20220055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760A KR20220055368A (ko) 2020-10-26 2020-10-26 결로 방지용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760A KR20220055368A (ko) 2020-10-26 2020-10-26 결로 방지용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368A true KR20220055368A (ko) 2022-05-03

Family

ID=8159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760A KR20220055368A (ko) 2020-10-26 2020-10-26 결로 방지용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3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24609B (zh) 电池连接模块
CN107810567B (zh) 具有温度监测组件的电池模块
US20190088912A1 (en) Battery connection module
KR101097257B1 (ko) 회로 기판 모듈과, 이를 적용한 전지 모듈
KR101094037B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US6423441B1 (en) Battery pack signal routing system
CN100446306C (zh) 可再充电电池组件
US10615396B2 (en) Battery connection module
EP2328205B1 (en) Battery pack
US9343725B2 (en)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unit
CN216389613U (zh) 电池包、车辆
JP2008524798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用センシングボードアセンブリ
US20190088918A1 (en) Battery connection module
US9318831B2 (en) Connector
KR101384636B1 (ko) 이차전지용 센싱모듈
KR20200071614A (ko) 배터리 모듈용 fpcb 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12113944A (ja) 電池モジュール
CN113131099B (zh) 电池组
JP2015082398A (ja) 組電池ユニット
KR20190048616A (ko) 바닥 접속형 트레이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것의 제조 방법
WO2023130621A1 (zh) 线路板组件、电池及用电装置
KR101973616B1 (ko) 센싱보드 및 부스바의 연결구조에 의해 패키징 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용 배터리팩
US8945734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KR20220055368A (ko) 결로 방지용 연성평면케이블 커넥터
CN110892548B (zh) 用于向紧急电话供电的电池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