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211A -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211A
KR20220055211A KR1020200139455A KR20200139455A KR20220055211A KR 20220055211 A KR20220055211 A KR 20220055211A KR 1020200139455 A KR1020200139455 A KR 1020200139455A KR 20200139455 A KR20200139455 A KR 20200139455A KR 20220055211 A KR20220055211 A KR 20220055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larm signal
distance
outputt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지
추교웅
문종하
이아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211A/en
Publication of KR2022005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2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6Type of information
    • B60K2370/166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6Type of information
    • B60K2370/178War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for navigation syste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outputting an alarm signal to a user in stages based on peripheral environment information on a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a peripheral vehicle and the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eripheral vehicle; a second sensor unit obtaining the peripher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illumination intensity information in a periphery of the vehicle; a third sensor unit sensing whether a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navigation map information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outputting at least one among a first alarm signal, a second alarm signal, or a third alarm signal based on the peripheral environment information or controlling the high beam to compulsorily turn off the high bea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eripheral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first alarm signal includes outputting a notice screen on a cluster. The second alarm signal includes outputting the notice screen on the cluster and vibrating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or seat of the vehicle. The third alarm signal includes vibrating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or the seat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the notice screen by turning on audio video navigation (AVN).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본 발명은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최근 상향등을 켠 채로 주행하는 차량으로 인해 교통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바닥을 비추는 전조등과 달리 빛이 위쪽을 향하는 상향등은 주변 차량의 시야를 가려 사고로 발생하게 하는 주 원인이 되기도 한다.Recently, traffic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due to vehicles driving with their high beams turned on. Unlike headlamps that illuminate the floor, high beams that face upwards are the main cause of accidents by obscuring the view of nearby vehicles.

자동차 상향등을 키고 있는 경우, 클러스터에 상향등 표시 알림이 뜨는 경우가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어 사용자가 상향등을 실수로 키고 운전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When the car's high beam is turned on, a high beam indicator notification may appear on the cluster, but it is not used properly as needed, so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at the user is driving with the high beam turned on by mistake.

특히 미등, 전조등과 구별되어 상향등의 경우 사용자가 실수로 키고 주행하고 있는 경우, 상향등이 켜져 있는 사실을 알리기 위한 기술적 노력이 차량과 관련된 업계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 beam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aillights and headlights, when a user mistakenly turns on the high beam while driving, technical efforts to inform that the high beam is turned on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the industry field related to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주변 차량과 차량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단계적으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vehicle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to a user in stages based on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distance between the surrounding vehicle and the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일 측면에 의한 차량은 차량과 주변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 및 지형을 포함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차량의 상향등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는 제3 센서부;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의 상향등이 켜져 있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주변 차랑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알람 신호, 제2 알람 신호,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기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 surrounding vehicle; a second sensor unit configured to acquir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illuminance and topography around the vehicle; a third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 communication unit for obtaining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outputting or forcing a first alarm signal, a second alarm signal, or a third alarm signal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high beam to be turned off.

상기 차량은 클러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클러스터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luster,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the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a switch. When turned on, the first alarm signal including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to the cluster may be out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주변 차량간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값을 초과하고,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인 경우 클러스터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차량의 핸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을 주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and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controller outputs a notification screen to the cluster and controls the vehicle's steering wheel Alternatively, the second alarm signal including giving vibration to at least one of the seats of the vehicle may be output.

상기 차량은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핸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을 주고, 상기 AVN(AUDIO VIDEO NAVIGATION)를 온 하여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VIDEO NAVIGATION (AVN),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vibration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or a seat of the vehicle, and the AVN (AUDIO VIDEO NAVIGATION) is turned on to output a notification screen. A third alarm signal may be out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도달하기 전 상기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미만이면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a switch before the vehicle reaches the predetermined terrain, the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he first alarm signal may be out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차량이 대항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2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3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4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상향등을 강제로 소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djacent vehicle corresponds to the opposing vehicle, the controller outputs the first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Outputs the second alarm signal when shorter tha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and outputs the second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A 3 alarm signal may be output,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fourth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to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차량이 대항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항 차량과 상기 차량 사이에 방호책이 있는 경우 제1 알람, 제2 알람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무시할 수 있다.When the surrounding vehicle corresponds to an opposing vehicle, when there is a protective barrier between the opposing vehicle and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outputs a first alarm, a second alarm, or a third alarm signal or a command to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can be ignor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등이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방향 지시등을 온 한 경우, 사이드 미러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output an alarm signal through the side mirror when the user turns on the direction indicator while the high beam is turned on.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차량과 주변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하고,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 및 지형을 포함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상향등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고,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상향등이 켜져 있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알람 신호, 제2 알람 신호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기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vehicle and a surrounding vehicle, acquir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illuminance and topography around the vehicle, detecting whether a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nd navigation. Acquire map information, and when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alarm signal, a second alarm signal, or a third alarm signal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t may include controlling to output or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클러스터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includes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to the clus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o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a switch can do.

. 제2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차량과 주변 차량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미리 정해진 거리 값을 초과하고,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인 경우 클러스터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차량의 핸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을 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may includ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 exceeds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and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 notifica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cluster. It may include outputting the vibration to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or a seat of the vehicle.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획득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핸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을 주고, AVN(AUDIO VIDEO NAVIGATION)를 온 하여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The outputting of the third alarm signal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obtained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at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a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case of the above, it includes providing vibration to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or the seat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by turning on AVN (AUDIO VIDEO NAVIGATION)

할 수 있다.can do.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도달하기 전 상기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미만이면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before the vehicle reaches the predetermined terrain,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a switch The method may include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주변 차량이 대항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2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3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4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상향등을 강제로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may include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when the adjacent vehicle corresponds to an opposing vehicle, and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when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and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Outputs the second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of is short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te vehicle is shorter than the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third alarm signal, and controlling to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fourth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주변 차량이 대항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항 차량과 상기 차량 사이에 방호책이 있는 경우 제1 알람, 제2 알람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무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includes outputting a first alarm, a second alarm, or a third alarm signal or forcibly turning off the high beam when there is a protective barrier between the opposing vehicle and the vehicle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corresponds to the opposing vehicle. It may further include ignoring the command.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상향등이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방향 지시등을 온 한 경우, 사이드 미러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n alarm signal through a side mirror when the user turns on a turn indicator while the high beam is turned on.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단계적으로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교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late to a vehicle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 traffic accident by detecting a driver's intention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step by step.

도 1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이 굴곡진 도로에서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이 조도가 밝은 곳에서 상향등을 온상태로 주행하고 있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이 상향등을 온 한 상태로 주행 중 방향 지시등을 온 한 경우의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의한 대항 차량이 다가오는 경우 차량이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하고 있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대항 차량이 다가오는 경우 차량과 대항 차량 사이에 방호책이 있을 때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하고 있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riving on a curved road with a high beam turned 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vehicle is driven with a high beam turned on in a bright pl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turn indicator lamp is turned on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in a state in which the high beam is turned 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with a high beam turned on when an opposing vehicle approach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riving with a high beam on when there is a protective barrier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when an opposing vehicle approac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r content that overlaps between the embodiments is omitted. The term 'part, module, member, block'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part, module, member, block'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for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to include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may include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the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there i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량(1)은 차량(1)과 주변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100), 차량(1) 주변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부(300), 차량(1)의 상향등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는 제3 센서부(400), 차량 주변의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차량(1)의 상향등이 켜져 있는 경우, 차량(1)과 주변 차랑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경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알람, 제2 알람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00) 및 제2 센서부(300)는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및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00)는 차량(1)과 주변 차량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센서부(300)는 차량(1) 주변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제2 센서부(300)를 통해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를 기초로 차량(1) 주변의 조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통해 현재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통신부는 내비게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센서부 또한 영상, 레이더, 라이더를 이용하여 주변 지형의 물체를 감지하여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지형은 산악로나 굴곡진 도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및 라이더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송신한 후 돌아오는 레이저의 시간과 강도 주파수의 변화 편광 상태의 변화 등으로부터 측정 대상물의 거리와 농도, 속도, 형상 등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여 산악로, 굴곡진 도로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제3 센서부(400)는 차량(1)의 상향등이 현재 켜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specifically to FIG. 1 , the vehicle 1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a surrounding vehicle, and a first for obtain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illuminance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1 . The second sensor unit 300, the third sensor unit 400 for detecting whether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1 is turned on, a communication unit for acquiring navigation map information including terrain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and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1 are When turned 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ntroller ( 200) may be included. The first sensor unit 100 and the second sensor unit 300 may include a camera, a radar, a lidar, and an illuminance sensor. The first sensor unit 100 may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a surrounding vehicle. The second sensor unit 300 may acquir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illuminance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1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the illuminance, etc. around the vehicle 1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cond sensor unit 300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vehicle is on a predetermined terrain through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may mean navigation. The second sensor unit may also detect an object in the surrounding terrain using an image, radar, and lidar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The predetermined terrain may include a mountain road or a winding road. Using radar and lidar to measur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istance, concentration, speed, and shap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from changes in the frequency and time and intensity of the returned laser after transmitting the laser, such as changes in the polarization state, whether it is a mountain road or a curved road etc. can be judged. The third sensor unit 400 may refer to a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1 is currently turned on.

차량(1)의 상향등이 켜져 있고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경우 차량(1)의 상향등으로 주변 차량이 불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거리는 차량(1)의 상향등으로 인해 주변 차량이 불편할 수 있을 거리를 미리 정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알람, 제2 알람,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알람은 클러스터(101)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도달하기 전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미만이면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1)이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더라도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일때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알람은 클러스터(101)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고 차량(1)의 핸들(102) 또는 차량(1)의 시트(103)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을 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경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인 경우 제2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알람은 차량(1)의 핸들(102) 또는 차량(1)의 시트(103)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을 주고, AVN(AUDIO VIDEO NAVIGATION)(104)를 온 하여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경우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에 기초하여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고, 제2센서부에서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1 is turned 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 uncomfortable situation may occur due to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1 .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mean a predetermined value for a distance at which a nearby vehicle may be uncomfortable due to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1 .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ler 200 may output a first alarm, a second alarm, and a third alarm signal or control to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The first alarm may include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to the cluster 101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 is o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the switch,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first alarm signal. can be printed ou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1 is o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a switch before the vehicle 1 reaches the predetermined terrain. In one case, if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 first alarm signal may be output, and the vehicle 1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by the vehicle 1 Even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predetermined terrain, the first alarm signal may be output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The second alarm may include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to the cluster 101 and giving vibration to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wheel 102 of the vehicle 1 or the seat 103 of the vehicle 1 .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o provide a second notification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third alarm vibrates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wheel 102 of the vehicle 1 or the seat 103 of the vehicle 1, and turns on the AVN (AUDIO VIDEO NAVIGATION) 104 to output a notification screen can do.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 unit 200 does not determine that the vehicle 1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but in the second sensor unit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acquire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third alarm signal may be output.

제어부(200)는 차량(1)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동력 계통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차량(1)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00)는 차량(1)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is a processor that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vehicle 1 , and may be a processor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at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power system.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modules and devices built in the vehicle 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various modules, devices, etc. built in the vehicle 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또한, 제어부(200)는 전술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차량(1)에 내장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에 집적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다만, 차량(1)(1)에 내장된 시스템 온 칩이 하나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일 수도 있으므로, 하나의 시스템 온 칩에만 집적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memory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operations to be described above and below and various data related thereto,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be integrated in a system on chip (SOC) built into the vehicle 1 and may be operated by a processor. However, since there is not only one system-on-chip embedded in the vehicle 1 ( 1 ), but a plurality of system-on-chips, integration is not limited to only one system-on-chip.

제어부(200)는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00 is a memory type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RAM (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 may be implemented through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optical disk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other form known in the art.

도 1에 도시된 차량(1)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added or delet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1 illustrated in FIG. 1 .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mutual positions of the components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system.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Meanwhile, each component illustrated in FIG. 1 may mean software and/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이 굴곡진 도로에서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driving on a curved road with a high beam turned on.

제어부(200)는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부의 레이더 및 라이더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송신한 후 돌아오는 레이저의 시간과 강도 주파수의 변화 편광 상태의 변화 등으로부터 측정 대상물의 거리와 농도, 속도, 형상 등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여 미리 정해진 지형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레이더 또는 라이더를 통해서 차선을 감지하고, 차선이 일정 부분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경우 내비게이션에서 획득한 지도 정보와 같이 파악하여 굴곡진 도로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경우 주의 깊은 운전이 필요할 수 있어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어서 주변 차량에 불편함을 줄 수 있은 상황에도 안전한 주행을 위해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어서 주변 차량에 불편함을 줄 수 있은 상황에서 제어부(200)는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도달하기 전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미만이면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어서 주변 차량에 불편함을 줄 수 있은 상황에서 제어부(200)는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에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어서 주변 차량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상황에서 제어부(200)는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도달하기 전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라도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 일시 운전자의 의도 없이 실수로 상향등이 켜져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3단계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1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by using the radar and lidar of the second sensor uni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istance, concentration, speed, and shap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re measured from the time and intensity frequency change, polarization state change, etc. It can be judged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terrain. For example, a lane may be detected through a camera, radar, or lidar, and if the lane is formed of a certain portion of a curve, it may be determined as a curved road by grasping the same as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navigation. If the vehicle 1 is on a predetermined terrain, careful driving may be required and it may be necessary to drive with the high beams on. In this case, it may be necessary to drive with the high beam on for safe driving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surrounding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surrounding vehicles,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1 is located o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d when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the switch before the vehicle 1 reaches the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f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the first alarm signal can be output, and in a situa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surrounding vehicles,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vehicle 1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 is determined to be in the predetermined terrain, and when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the switch, the first alarm signal may be outpu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situation in which inconvenience may be caused to the surrounding vehicle,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1 is preset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on the terrain and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the switch before the vehicle 1 reaches the predetermined terrai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temporarily without the driver's intention By judging that it is turned on, a 3-level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이 조도가 밝은 곳에서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하고 있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driving in a bright place with a high beam turned on.

도 3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만약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이어서 주변 차량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경우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에 해당하면 주변 차량에 피해를 주는 상태는 아니지만 불필요하게 켜져있는 상태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2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specifically to FIG. 3 ,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it may not be necessary to drive with the high beams turned 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t is not a situation that may cause inconvenience to nearby vehicles, if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damage to nearby vehicles Although it is not a state, since it corresponds to a state that is unnecessarily turned on, a second alarm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제어부(200)는 만약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어서 주변 차량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상황인 경우,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을 주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에 해당하면 밝은 곳에서 주행하고 있는 것이기에 운전자의 의도 없이 실수로 상향등이 켜져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어서 주변 차량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상황에 해당하고,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을 주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라면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만,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도달하기 전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에 해당하고,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에 해당하여 밝은 곳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면 운전자의 의도가 없으나 필요한 상황에 해당하고, 이때 주변 차량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는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서 라이트를 점등할 수 있는 레버를 조작하여 상향등을 온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 a situation that may cause inconvenience to surrounding vehicles,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1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If the vehicle (1) is not traveling on a predetermined terrain and the illumination around the vehicle (1)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tion level, it means that the vehicle is driving in a bright place. A third alarm signal may be output.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200 corresponds to a situa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surrounding vehicles, even when the vehicle 1 is traveling on a predetermined terrain. If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the switch, the first alarm signal is output, but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the switch before the vehicle 1 reaches the predetermined terrain. If it corresponds to the above and is located in a bright place, the driver's intention is not, but it corresponds to a necessary situation, and at this time, the first alarm signal is output because it may cause damage to surrounding vehicles. When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the switch, it may mean that the vehicle operates the lever to turn on the light on a predetermined terrain to turn on the high beam.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이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 중 방향지시등을 온 한 경우의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urns on the turn indicator while driving with the high beam turned on.

도 4를 살펴보면 제어부(200)는 상향등을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 지시등을 온 한 경우 사이드 미러(105)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사이드 미러에 있는 리피터를 통해 빛을 점등하는 방식일 수 있다. 점등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ler 200 may output an alarm signal through the side mirror 105 when the user turns on the direction indicator while the high beam is turned on. Outputting the alarm signal may be a method of turning on a light through a repeater in the side mirror. The lighting method may be set in various ways.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대항 차량(2)이 다가오는 경우 차량(1)이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하고 있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vehicle 1 is driving with the high beam turned on when the opposing vehicle 2 approach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200)는 주변 차량이 대항 차량(2)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1-1)과 상기 대항 차량(2-1)의 거리(3-1)가 미리 정해진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 제1 알람을, 차량(1-2)과 상기 대항 차량(2-2)의 거리(3-2)가 미리 정해진 제1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2 거리보다 짧은 경우 제2 알람을, 차량(1-3)과 상기 대항 차량(2-3)의 거리(3-3)가 미리 정해진 제2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3 거리보다 짧은 경우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차량(1-4)과 대항 차량(2-4)의 거리(3-4)가 미리 정해진 제3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4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향등을 강제로 소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항 차량(2)이란 차량(1)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차량(1)에 접근해 오고 있는 주변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1 거리란 차량(1)이 주행하고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차량(1)과 대항 차량(2)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제1 거리는 120m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specifically to FIG. 5 ,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corresponds to the opposing vehicle 2 ,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a predetermined distance 3-1 between the vehicle 1-1 and the opposing vehicle 2-1. A first alarm when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a second when the distance 3-2 between the vehicle 1-2 and the opposing vehicle 2-2 is shorter tha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istance 3-3 between the vehicle 1-3 and the opposing vehicle 2-3 is shorter than a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a third alarm signal is output, and the vehicle ( When the distance 3 - 4 between 1-4 ) and the opposing vehicle 2 - 4 is shorter than the fourth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igh beam to be forcibly turned off. The opposing vehicle 2 may mean a neighboring vehicle that is approaching the vehicle 1 while dri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pposing vehicle 2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1 is traveling, and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may mean 120 m.

미리 정해진 제2 거리란 차량(1)이 주행하고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차량(1)과 대항 차량(2)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제1 거리 미만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2 거리는 90m를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pposing vehicle 2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1 is traveling, and may mean a distance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may mean 90 m.

미리 정해진 제3 거리란 차량(1)이 주행하고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차량(1)과 대항 차량(2)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제2 거리 미만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3 거리는 60m를 의미할 수 있다.The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pposing vehicle 2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1 is traveling, and may mean a distance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e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may mean 60m.

미리 정해진 제4 거리란 차량(1)이 주행하고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차량(1)과 대항 차량(2)간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제3 거리 미만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4 거리는 30m를 의미할 수 있다.The fourth predetermined distance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pposing vehicle 2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1 is traveling, and may mean a distance less than the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The fourth predetermined distance may mean 30 m.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대항 차량(2)이 다가오는 경우 차량(1)과 대항 차량(2) 사이에 방호책이 있으면 상향등을 온 상태로 주행하고 있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riving with the high beam on if there is a protective barrier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pposing vehicle 2 when the opposing vehicle 2 approac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항 차량(2)과 차량(1) 사이에 방호책(20)이 있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대항 차량과 차량 사이에 방호책(20)이 있는 것은 제1 센서부, 제2 센서부 또는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의 물체를 감지하여 방호책(20)을 감지할 수 있으며, 레이더, 라이더 등으로 레이저를 송신하여 반사된 레이저를 통해 방호책(20) 유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정보에서 방호책(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방호책(20)은 가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1)에서 나오는 상향등을 차단할 수 있는 모든 방호책(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호책(20)이 차량(1)과 대항 차량(2) 사이에 있는 경우 차량(1)에 있는 상향등이 대항 차량(2)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어, 제어부(200)는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대항 차량(2)과 차량(1) 사이에 방호책(20)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제1 알람, 제2 알람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무시할 수 있다. 제1 알람, 제2 알람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무시한다는 것은 주변 차량과 대항 차량(2) 사이에 방호책(20)이 있는 경우 제1 알람, 제2알람, 제3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거나 또는 강제로 상향등을 오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6 ,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a protective barrier 20 between the opposing vehicle 2 and the vehicle 1 . The presence of the protective barrier 20 between the opposing vehicle and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using navig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the second sensor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By detecting an object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he guard 20 can be detect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guard 20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reflected laser by transmitting a laser to a radar, a rider,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map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otection fence 20, it may be obtained through navigation information. The protection fence 20 may include a guard rail, and may include all protection fences 20 and the like capable of blocking the high beam emitted from the vehicle 1 . When the barrier 20 is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pposing vehicle 2, the high beam in the vehicle 1 may not obstruct the opposing vehicle 2, so that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o provide a notification. may not be necessary. When there is a protective barrier 20 between the opposing vehicle 2 and the vehicle 1, the control unit 200 outputs the first alarm, the second alarm, or the third alarm signal, or the command to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can be ignored. there is. Outputting the first alarm, second alarm or third alarm signal or ignoring the command to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means that the first alarm, the second This may mean not outputting an alarm or a third alarm signal or not forcibly turning off the high beam.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량(1)의 상향등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고(1001), 상향등이 켜져 있는 경우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와 미리 정해진 거리를 비교하게 된다(1002).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인 경우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판단하여(1003) 미만이면 제2 알람 신호를 출력(1004)할 수 있다. 차량(1)의 상향등이 켜져 있고 차량(1)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하인 경우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한 환경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게 되고(1005), 차량(1)이 미리 정해진 일정 환경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1005). 미리 정해진 일정 환경은 미리 정해진 지형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1) 주변의 조도와 미리 정해진 조도를 비교(1007)하게 된다. 차량(1) 주변의 조도와 미리 정해진 조도를 비교하여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인 경우 제3 알림을 제공(1010)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를 비교(1007)하여 차량(1) 주변의 조도와 미리 정해진 조도를 비교하여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향등을 스위치 온하는지를 판단하고(1006) 사용자가 상향등을 스위치 온 하였다면 제1 알람 신호를 출력(1008)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상향등을 스위치 온 여부를 판단하고(1006) 온하지 않은 경우, 이미 차량(1) 주변의 조도와 미리 정해진 조도를 비교하여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인 경우에 해당(1007에서 판단)하는 경우일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게 될 수 있다(1011). 만약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인 경우에서 판단했던 경우(1007)와 다르게 차량(1)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미만으로 판단(1009)되는 경우 제3 알람 신호를 출력(1010)할 수도 있다.7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1 is turned on ( 1001 ), and when the high beam i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 1002 ).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alarm signal may be output 1004 if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 1003 ). When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1 is turned 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1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environment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005)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1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environment ( 1005 ).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environment may mean a predetermined topography.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in a predetermined terrai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illuminance ( 1007 ). By comparing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with a predetermined illuminance,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provide ( 1010 ) a third notificatio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compares 1007 with a predetermined illuminance and compares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with a predetermined illuminanc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on (1006), and if the user has switched on the high beam, a first alarm signal is output (1008). If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high beam is switched on (1006) and does not turn o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already around the vehicle 1 and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illuminanc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 1007), in this case, the first alarm signal may be output (1011). If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1009 differently from the case 1007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a third alarm signal is output 1010 )You may.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create a program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y type of recording medium in which instructions readable by the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ther forms than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차량
2:대항 차량
100:제1 센서부
200:제어부
300:제2 센서부
400:제3 센서부
500:통신부
1: vehicle
2: Counter vehicle
100: first sensor unit
200: control unit
300: second sensor unit
400: third sensor unit
500: Ministry of Communications

Claims (16)

차량과 주변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차량의 상향등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는 제3 센서부;
상기 차량 주변의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의 상향등이 점등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주변 차랑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면,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알람 신호, 제2 알람 신호, 또는 제3 알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기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a first sensor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 surrounding vehicle;
a second sensor unit configured to acquir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illuminance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a third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 communication unit for obtaining navigation map information including terrain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and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t least one of a first alarm signal, a second alarm signal, and a third alarm signal or to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클러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획득한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상기 클러스터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cluster; and
The control unit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the switch,
A vehicle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including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to the clus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주변 차량간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값을 초과하고,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클러스터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차량의 핸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utput a notification screen to the cluster,
The vehicle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comprising outputting a vibration signal to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or a seat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핸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을 주고, 상기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온 하여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AVN (AUDIO VIDEO NAVIGATION) is further included,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illuminance or more,
A vehicle outputting the third alarm signal, comprising applying vibration to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or a seat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by turning on the AVN (AUDIO VIDEO NAVIG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지형에 도달하기 전 상기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미만이면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predetermined terrain, and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a switch before the vehicle reaches the predetermined terrai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determined in adv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 vehicle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when the illumination is less th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차량이 대항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2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3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4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상향등을 강제로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If the surrounding vehicle is an opposing vehicle,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outputting the third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fourth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the vehicle controls to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차량이 대항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항 차량과 상기 차량 사이에 방호책이 있는 경우 제1 알람, 제2 알람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무시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If the surrounding vehicle is an opposing vehicle,
A vehicle ignoring a command for outputting a first alarm, a second alarm or a third alarm signal or forcibly turning off the high beam when there is a protective barrier between the oncoming vehicle and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등이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방향 지시등을 온 한 경우,
사이드 미러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user turns on the turn signal while the high beam is on,
A vehicle that outputs an alarm signal through the side mirror.
차량과 주변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상향등의 점등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상향등이 켜져 있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주변 차량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알람 신호, 제2 알람 신호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기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surrounding vehicles,
Acquir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illuminance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Detect whether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Obtaining navigation map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terrain of the vehicle,
When the high beam of the vehicle is turned 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alarm signal, a second alarm signal, or a third alarm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controlling to output or forcibly turn off the high beam.
제9항에 있어서,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클러스터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to a clus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o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a user turns on a high beam through a switch
제10항에 있어서,
제2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차량과 주변 차량간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 값을 초과하고,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인 경우 클러스터에 알림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차량의 핸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을 주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to a cluster and applying vibration to at least one of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or a seat of the vehicle.
제9항에 있어서,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획득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핸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을 주고, AVN(AUDIO VIDEO NAVIGATION)를 온 하여 알림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Outputting the third alarm signal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obtained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illuminance around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or the vehicle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providing a vibration to at least one of the seats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screen by turning on AVN (AUDIO VIDEO NAVIGATION).
제10항에 있어서,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지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이 미리 정해진 지형에 도달하기 전 상기 사용자가 스위치를 통해 상향등을 온 한 경우 상기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조도 미만이면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on the predetermined terrain based on the navigation map information, and the user turns on the high beam through a switch before the vehicle reaches the predetermined terrain, the vehicl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when the ambient illumina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차량이 대항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1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2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2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3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대항 차량의 거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거리 미만인 미리 정해진 제4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기 상향등을 강제로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f the surrounding vehicle is an opposing vehicle,
outputting the first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outputting the third alarm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trolling the high beam to be forcibly turned off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ppos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fourth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the third predetermined distan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차량이 대항 차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항 차량과 상기 차량 사이에 방호책이 있는 경우 제1 알람, 제2 알람 또는 제3 알람 신호를 출력하거나 강제로 상향등을 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무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f the surrounding vehicle is an opposing vehicle,
and ignoring a command for outputting a first alarm, a second alarm or a third alarm signal or forcibly turning off a high beam when there is a protective barrier between the oncoming vehicle and the vehi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등이 온 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방향 지시등을 온 한 경우, 사이드 미러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through a side mirror when the user turns on the turn indicator while the high beam is turned on.
KR1020200139455A 2020-10-26 2020-10-26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200552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455A KR20220055211A (en) 2020-10-26 2020-10-26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455A KR20220055211A (en) 2020-10-26 2020-10-26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211A true KR20220055211A (en) 2022-05-03

Family

ID=8159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455A KR20220055211A (en) 2020-10-26 2020-10-26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21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33946A1 (en) 2022-05-04 2023-11-09 Hyundai Mobis Co.,Ltd Light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33946A1 (en) 2022-05-04 2023-11-09 Hyundai Mobis Co.,Ltd Light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2291C2 (en) Method for determining blind area of vehicle with towed trailer and vehicle
CN109712432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ng a trajectory of an autonomous vehicle onto a road surface
US10358083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651031B2 (en) Vehicle door collision prevention device and vehicle door collision prevention method
CN111278702B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CN108604411B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CN108604410B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11042154B2 (en)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traveling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066053A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monitoring traffic
US10567673B2 (en) On-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on-vehicle display system, on-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11260789B2 (en) Out-of-vehicle notification device
CN109835244A (en) It is controlled based on the headlamp of message transmission and sensing data
JP2008189148A (en) Traveling state detection device
KR20220055211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90143893A1 (en) Alert control apparatus, alert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298869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ar collision and method thereof
US10926778B2 (en) Autonomous vehicle control device
US20190147273A1 (en) Alert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WO2015190052A1 (en) Preceding condition determination apparatus
KR20220069520A (en) Vehicle driv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t roundabout
JP7030866B2 (en)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US11954896B2 (en) Driving support device
KR20200006392A (en) Method of controlling high beam assitance system
KR20190134896A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for pedestrian detection and method thereof
US11842643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vehic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