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186A -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 Google Patents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186A
KR20220055186A KR1020200139402A KR20200139402A KR20220055186A KR 20220055186 A KR20220055186 A KR 20220055186A KR 1020200139402 A KR1020200139402 A KR 1020200139402A KR 20200139402 A KR20200139402 A KR 20200139402A KR 20220055186 A KR20220055186 A KR 20220055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ome cover
cover shell
radome
aircraft
ope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 보엠
캐뎃 얀 르
마틴 라작
Original Assignee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0013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186A/ko
Publication of KR2022005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186A/ko
Priority to KR1020220063054A priority patent/KR20220070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6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adapted to receive antennas or rado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 및 폐쇄 포지션에서 항공기(100)의 기수 영역(110)에서 장비(115)를 둘러싸도록 적응된 레이돔 커버 쉘(112)을 포함하는 항공기 구조를 갖는 항공기(100)에 관한 것이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폐쇄 포지션과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의 이동을 가능하게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210) 및 항공기 구조(103)에 부착된 적어도 3 개의 롤러(23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및 제2 롤러(230a, 230b)는 가이딩 레일(210)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열되고, 제2 및 제3 롤러(230b, 230c)는 가이딩 레일(210)의 동일한 측면에 배열된다.

Description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A RADOME COVER SHELL AND OPENING KINEMATIC}
본 실시예들은 항공기 구조체를 갖는 항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레이돔 커버 쉘(radome cover shell) 및 개방 운동학부(opening kinematic)를 포함하는 항공기 구조체를 갖는 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레이돔은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기수 영역에 위치되며 항공기의 특정 영역에 위치된 장비와 레이돔 커버를 포함한다.
레이돔 커버는 항공기의 기수 영역에 하우징된 장비를 동봉하거나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복합 곡면 쉘 구조체이다.
레이돔 커버는, 레이돔 커버가 사용되는 항공기 타입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일반적인 모은 다수의 제트기 또는 헬리콥터에서 볼 수 있는 대략 원뿔 모양이다.
원뿔 모양은 때때로 원뿔 모양을 넘어 연장되는 뾰족하거나 바늘 모양의 돌출부가 추가된다.
레이돔 커버는 일반적으로 레이돔 커버 쉘과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포함한다.
레이돔 커버 쉘은 통상적으로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통해 항공기 구조체에 부착되며,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동봉된 장비에 쉽게 액세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종종 레이돔 커버 쉘을 항공기 구조체에 부착하는 고정 힌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고정 축을 중심으로 간단한 회전을 하는 종래의 힌지 메커니즘들은 회전 이동 동안 동봉된 장비를 방해한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전에 레이돔 커버 쉘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예로서, Airbus Helicopters의 H155 헬리콥터는 가이딩 튜브(guiding tube) 내의 로드 축(rod axis)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로드 및 레이돔 커버 쉘과 로드 중간에 부착된 힌지를 갖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개방 메커니즘을 갖는다.
개방 동작 동안, 로드는, 힌지가 자유롭게 회전할 때까지 슬라이딩 이동으로 가이딩 튜브 밖으로 빠져야 한다.
이어서, 다음 회전은 레이돔 커버 쉘을 상향으로 회전시킨다.
폐쇄 동작 동안, 레이돔 커버 쉘은, 로드가 슬라이딩 이동으로 가이딩 튜브 내로 다시 밀어넣어질 수 있기 전에 하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슬라이딩 메커니즘들은 일반적으로 먼지에 민감하므로 가이딩 튜브 내의 로드 꼬임 및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 동안 정밀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로드가 가이딩 튜브 밖으로 빠질 때 높은 굽힘 모멘트와 부하들을 도입한다.
따라서, 로드와 가이딩 튜브를 갖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의 경량 설계는 달성하기 어렵고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문헌 CN 207565827U는 레이돔 결합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레이돔 커버, 힌지, 후크 잠금 장치, 및 볼팅 기둥(vaulting pole)이 포함된다.
레이돔 커버는 동체 전면에 배치된다.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는 개구부가 제공된다.
레이돔 커버는 복부 한쪽 근처의 후크 잠금 장치를 통과하여 동체와 연결된다.
볼팅 기둥은 동체 내부에 배열되고 이의 일 단부는 레이더 장착 플랫폼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레이돔 커버에 연결된다.
볼팅 기둥에는 자동-잠금 장치가 제공된다.
볼팅 기둥 길이는, 레이돔 커버를 완전히 개방한 후 자동-잠금 장치를 통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따라서, 본 문헌은 쉽게 장착해제가능한 레이돔 커버를 개시한다.
그러나, 레이돔 덮개는 완전한 돔이 아니라, 하프-돔이고/이거나 항공기는 돔의 전면에 어떠한 장비도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레이돔 커버는 전진 종방향 이동 없이 간단한 회전만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최신 기술은 로드를 포함하는 종방향 이동 후 간단한 회전 또는 회전을 수행하는 개방 운동학부를 갖는 레이돔 커버를 포함한다.
예컨대, 문헌 US 9,608,320 B2는 고정된 것으로 설명된 부분에 피팅된 보호될 디바이스의 보호를 위해 돔을 개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여기서 개방 전 초기 위치에서, 일반적으로 평면 인터페이스는 고정 부분으로부터 돔을 분리한다.
방법은 돔과 고정 부분 사이에서 회전 이동가능한 적어도 2 개의 독립적인 이중-링크 연결에 의해 돔을 고정 부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일 연결의 링크들은 개방 동안, 최대 개방에 도달할 때까지 피봇하여 개방되는 이등변 사다리꼴 모양의 팬터그래프를 전체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돔과 고정 부분에 공통으로 피팅되어, 돔은 병진 및 회전 이동들의 조합을 통해 고정 부분에서 멀어진다.
실제로, 연결 쌍과 2 개의 망원경식 로드는 말단들에서 적절한 힌지를 통해 그리고 회전 연결을 위해 레이돔 커버의 내부 림(rim) 및 레이돔 커버의 면에 고정된다.
각각의 망원경식 로드는 대응하는 연결 쌍의 공통 피팅에 수직으로 쌍의 길이보다 더 큰 거리에 포지셔닝된다.
또한, 공통 피팅과 레이돔 주변의 포지셔닝으로 인해, 각각의 연결 쌍은 대응하는 망원경식 로드보다 짧다.
또한, 망원경식 로드들은 동체 면에 관련하여 레이돔의 최대 최종 개방도에 대응하는 자동 잠금 위치를 갖는다.
문헌 US 6,796,529 B1은 일단부에서 항공기에 연결되는 외부 튜브 및 항공기 도어에 연결되는 망원경식 내부 부재를 포함하는 항공기의 도어를 적절히 개방하기 위한 버팀대를 설명한다.
내부 부재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될 때 외부 튜브 밖으로 연장되고 적소에서 자동으로 잠긴다.
버팀대는 외부 튜브에 장착된 슬리브를 잡고, 이를 동일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하향으로 당겨서 잠금해제될 수 있다.
버팀대는 도어가 멈출 때까지 상향으로 들어올려지고 이에 의해 버팀대가 잠금해제될 때까지 잠겨져 있다.
도어를 하강시키는 것은 외부 튜브 내에 수용된 내부 부재와 함께 버팀대를 적재 위치로 되돌린다.
문헌 US 5,820,077 A는 항공기에 부착하기 위해 일체로 부착된 부착 구조를 갖는 레이돔 구조를 설명하고, 부착 구조는 레이돔의 후방 부분에 부착된다.
문헌 US 2,943,756 A는 너트들 및 볼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종래의 방식으로 잎들 중 하나가 레이돔 덮개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항공기의 본체에 고정된 일반적인 이중 잎-힌지에 의해 상부 바진 에지에서 항공기의 본체에 피봇식으로 장착 된 일반적으로 반구형 구성의 레이돔 커버를 설명한다.
2 개의 삼각형 트러스 조립체들(truss)이 샤프트에 의해 운반되어, 각각의 조립체는 한 쌍의 브레이스(brace)로 구성되며, 이 조립체는 내부 단부에서 토크 샤프트를 갖는 연결부들서 연장되어 정점에서 접한된다.
브레이스들은 용접에 의해 외부 말단들의 V-자형 접합부에서 서로 고정되고 용접에 의해 토크 샤프트에 고정되어 함께 공동 이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 샤프트와의 연결에서, 제1 브레이스는 베어링 블록의 일측에 위치되고 제2 브레이스는 대향 측에 위치될 것이다.
각각의 트러스 조립체들의 V-자형 접합부에는 용접과 같이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슬롯이 형성된다.
플레이트들 쌍 각각은 트러스의 외부 단부를 넘어 연장되고 한 쌍의 트랙-계합 또는 슬라이드 부재들 사이에 제공된 공간으로 돌출되며, 각각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관된 부재들의 쌍에 피봇 식으로 연결된다.
문헌 US2017062920은 고정 날개 항공기의 동체 아래에 포지셔닝된 레이더 시스템을 커버하는 레이돔을 설명한다.
레이더 시스템은 레이더 시스템을 커버하는 레이돔을 형성하는 쉘의 내부 볼륨 내에 포지셔닝된다.
레이돔에 부착된 트랙은 슬라이딩 상호 계합을 위해 항공기 구조에 부착된 대응하는 트랙과 계합된다.
롤러 볼들 또는 볼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은 레이돔의 직선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상대적으로 트랙들에 포지셔닝된다.
축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로 슬라이딩 될때만, 레이돔은 아마도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관절식 아암들은 트랙들의 축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향될 수 있다.
이것은 레이돔이 완전히 풀린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베어링들은 가이딩 레일의 대향 측들에 제공된다.
문헌 US3374972는 동체의 공기 역학적 후방 부분을 형성하고 동체에서 머리 위 위치까지 바이저 방식으로 수직으로 스윙하는 항공기의 화물칸 도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는 힌지들에 의해 동체에 관절식 연결된다.
도어의 자유 단부는 파워 액추에이터 수단을 통해 동체에 연결된다.
또한, 동체의 각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은 항공기의 구조에 고정되는, 피봇들 형태의 고정된 힌지 연결부이다.
도어는 또한 다양한 위치에서 강제로 운전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고정식 항공기 구조에 연결된다.
내부적으로 도어는 힌지 연결부들 주위로 그려지는 원의 호를 설명하는 만곡된 고정 구조 리브를 지닌다.
이 구조적 리브는 격벽을 통해 도어의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항공기 구조에 고정된다.
구조적 리브는 구조적 벽에서 돌출된 구동 기어와 지속적으로 메싱 공동 작용을 위해 각 측면에 기어 트랙을 지닌다.
기어들은 항공기의 횡방향 중심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항공기 내부의 종래의 구동 수단으로 반대 방향으로 일제히 구동된다.
각 트랙에 인접한 리브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각 기어에 걸쳐있는 한 쌍의 롤러들과 계합되는 가이드이다.
각 쌍의 롤러는 구조에 고정되고 돌출된 지지대에 의해 보유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트랙에서 기어들의 지속적인 계합을 보장하고 수직 스윙 이동 동안 도어의 상대적인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문헌 CN207565827, FR2379434 또는 US4174609 및 DE1481684가 또한 인용되었다.
요약하면, 많은 최첨단 항공기는 레이돔 커버 쉘들을 갖는 레이돔 커버와 회전 이동에만 힌지를 사용하는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 또는 레이돔 커버 쉘의 개방 동안 종방향 이동 다음 회전 이동 및 레이돔 커버 쉘의 밀폐 동안 회전 이동 다음 종방향 이동을 위한 로드들과 결합된 힌지들을 갖는다.
종방향 이동을 생략하는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갖는 레이돔 커버들을 갖는 레이돔들은 레이돔 전면에 장비를 하우징할 수 없고, 이에 의해 공간을 낭비한다.
종방향 이동을 수행하는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갖는 레이돔 커버를 갖는 레이돔은 종종 종방향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가이딩 튜브들 내에 로드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에 의존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런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먼지에 민감하므로 설치 동안 가이딩 튜브 내부의 로드의 꼬임 및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정밀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로드가 가이딩 튜브 밖으로 빠질 때 높은 굽힘 모멘트와 부하들을 도입한다.
따라서, 로드와 가이딩 튜브를 갖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의 경량 설계는 달성하기 어렵고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항공기에 새로운 레이돔 커버 쉘과 개방 운동학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새로운 레이돔 커버 셸과 개방 운동학부는 경량 설계여야 하며, 공간이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견고하고 설치가 쉬우며, 먼지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아야 한다.
목적은 제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항공기에 의해 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항공기 구조를 갖는 항공기는 레이돔 커버 셸 및 레이돔 커버 셸 개방 운동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커버 쉘은 폐쇄 위치에서 항공기의 기수 영역에 있는 장비를 동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의 제1 이동 및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의 제 2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레이돔 커버 쉘에 부착된 가이딩 레일, 및 항공기 구조에 부착된 적어도 3 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적어도 3 개의 롤러 중 제1 및 제2 롤러는 가이딩 레일의 대향 측면에 배열되고, 적어도 3 개의 롤러의 제2 및 제3 롤러는 가이딩 레일의 동일한 측면상에 배열된다.
예시적으로,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레이돔 커버 쉘에 설치되고 기체 구조에 설치된 롤러들에 의해 가이딩되는 레일을 포함한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레이돔 커버 쉘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항공기의 리세스에 설치되고 레이돔 커버 쉘에 의해 커버되는 장비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레이돔 커버의 개방 동안 순차적인 레이돔 커버 쉘의 종방향 이동 및 회전 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레이돔 커버 쉘의 종방향 이동은 슬라이딩이 아닌 롤러들에 의해 가이딩된다.
이를 위해, 3 개의 롤러가 레일 움직임 링크를 가이딩한다.
움직임 링크는, 롤러들 제자리에 있는 동안 이동가능하고 레이돔 커버 쉘에 고정된다.
롤러들은 마찰을 감소시키고 종방향 이동 동안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장한다.
롤러들 사이의 거리는 더 나은 부하 분배와 가이딩 레일에 가해지는 힘을 낮춘다.
개폐를 위한 작동력의 공격 지점은 2 개의 힌지 사이의 중앙에 있을 필요가 없고; 비대칭 푸시 또는 풀(pull) 힘에 대한 허용 공차가 훨씬 더 넓다.
종방향 이동 동안 이동 평면에 수직인 가이드가 개선된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로드와 가이드 튜브를 갖는 최신 해결책들에 비해 길이 공간이 더 적은 데, 그 이유는 최신 해결책들에서처럼 힌지 지점 뒤에 필요한 로드 길이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의 작동은 최첨단 해결책들에 비해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온도들에서 개선된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더러움 및 먼지에 덜 민감하다.
부착된 가동부를 갖는 움직임 링크는 조정 없이 가이딩 레일에서 쉽게 분해 및 재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항공기는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에 부착되고 레이돔 커버 쉘을 수납하는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항공기는 항공기 구조에 부착되고 적어도 3 개의 롤러를 수납하는 롤러 베어링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항공기는 레이돔 커버 쉘을 폐쇄 위치에 유지하도록 적응된 복수의 래치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복수의 래치 중 하나의 래치는 레이돔 커버 쉘에 부착된 아이부(eye); 폐쇄 위치에서 아이부와 계합되는 래치 후크; 및 래치 후크를 바이어싱하여 아이부와 계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이어싱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복수의 래치 중 래치는 정렬 핀 및 정렬 포크를 더 포함하고, 정렬 핀 및 정렬 포크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레이돔 커버 쉘의 제2 이동의 적어도 일부 동안 래치 후크를 향해 아이부를 안내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의 제1 이동은 폐쇄 위치에서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 종방향 이동,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제 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제1 회전 이동, 및 제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제2 회전 이동을 포함하고, 가이딩 레일은 제1 롤러와 계합되어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의 종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를 형성하는 만곡된 단부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는 완전히 개방 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의 제2 회전 운동을 정지시키는 레이돔 커버 쉘 회전 스톱퍼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제1 롤러는 레이돔 커버 쉘의 제1 및 제2 회전 이동 동안 레이돔 커버 쉘이 회전하는 회전 축을 규정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항공기는 레이돔 커버 쉘에 부착된 롤러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3 개의 롤러 중 적어도 제3 롤러는 레이돔 커버 쉘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가이딩 레일과 롤러 가이드 사이에 배열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롤러 가이드는 가이딩 레일에 평행한 제1 부분; 및 미리 결정된 각도로 가이딩 레일로부터 떨어져 꼬여진 제2 부분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제3 롤러는 레이돔 커버 쉘의 제1 회전 이동 동안 롤러 가이드의 제2 부분과 접촉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롤러 가이드는 레이돔 커버 쉘의 제2 회전 운동 동안 제3 롤러로부터 제거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항공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로드를 더 포함하고, 제1 단부는 항공기 구조; 및 레이돔 커버 쉘에 장착되고 레이돔 커버 쉘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로드의 제2 단부를 수납하도록 적응된 로드 홀더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 항공기는 레이돔 커버 쉘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로드의 제2 단부를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항공기 구조에 장착되는 로드 유지기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첨부 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예로서 개략된다.
이런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동일하게 기능하는 컴포넌트들 및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문자들로 라벨링되고 결과적으로 다음 설명에서 한 번만 설명된다.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에서 예로서 개략적으로 기술된다. 이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또는 동일하게 기능하는 컴포넌트들 및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 및 부호들로 표기되고, 결과적으로, 다음의 설명에서 오직 한번 설명된다.
-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 쉘 및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포함하는 레이돔 커버를 갖는 레이돔을 가지는 예시적인 항공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 도 2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폐쇄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 및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도면이고,
- 도 2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a의 폐쇄된 위치로부터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종방향 이동의 종료 시의 레이돔 커버 쉘 및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도면이고,
- 도 2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b의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제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제1 회전 이동 동안의 레이돔 커버 쉘 및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도면이고,
- 도 2d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제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의 제2 회전 이동 동안의 레이돔 커버 쉘 및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도면이고,
-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 래치들, 록들, 로드, 및 로드 홀더 브래킷을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등각투상도를 도시하고,
-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의 부분의 3 차원도를 도시하고,
-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폐쇄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 및 레이돔 커버 쉘을 가지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내부의 3 차원도를 도시하고,
- 도 6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대응하는 레이돔 커버 쉘이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의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의 3 차원도를 도시하고,
- 도 6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6a의 폐쇄된 위치로부터 레이돔 커버 쉘의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종방향 이동의 종료 시의 도 6a의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의 3 차원도를 도시하고,
- 도 6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6b의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레이돔 커버 쉘의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의 회전 이동 동안의 도 6b의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의 3 차원도를 도시하고,
- 도 6d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 쉘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으면서, 도 6c의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에 부착된 레이돔 커버 쉘을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3 차원도를 도시하고,
- 도 7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의 내부에서 가시적인 레이돔 커버를 위한 예시적인 하부 래치 및 록 기구의 부분의 도면이고,
- 도 7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의 외부에서 가시적인 도 7a의 예시적인 하부 래치 및 록 기구의 부분의 도면이고, 그리고
-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의 내부에서 가시적인 레이돔 커버를 위한 예시적인 상부 래치 및 록 기구의 도면이다.
도 1은 동체(102)로서 때때로 또한 지칭되는 항공기 에어프레임(102)을 갖는 항공기(100)를 도시한다. 예시적으로, 항공기(100)는 비행기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비행기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 대신에, 수직 이륙 및 착륙(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항공기, 헬리콥터, 드론 등과 같은, 레이돔을 갖는 임의의 운송수단(vehicle)이 마찬가지로 고려된다.
희망될 경우에, 항공기(100)는 몇몇 객실 접근 도어들(104a, 104b, 104c, 및 104d)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화물 데크 접근 도어들(104e)을 예시적으로 포함하는 복수의 항공기 도어들(104)을 통해 접근가능하다.
복수의 항공기 도어들(104)은 유체-기밀(fluid-tight) 방식으로 항공기 에어프레임(102)(즉, 항공기(100)의 동체(102))을 폐쇄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동체(102)는 항공기 구조체(103), 및 항공기 구조체(103)에 부착되는 항공기 외피(10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항공기(100)는 항공기(100)의 기수 영역(nose region)에서 위치된 레이돔 커버를 갖는 레이돔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커버는 레이돔 커버 쉘(112) 및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커버 쉘(112)은 항공기 외피(109)의 일부일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레이돔 커버 쉘(112)은 항공기(100)의 기수 영역에서 장비(115)를 동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돔 커버 쉘(112)은 희망될 경우에, 레이더 안테나(radar antenna)들과 같은 장비(115)를 동봉할 수 있다.
도 2a는 폐쇄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 및 레이돔 커버 쉘(112)을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도면이다. 레이돔 커버 쉘(112)은 도 2a에서 도시된 폐쇄된 위치에서 항공기의 기수 영역(예컨대, 도 1의 항공기(100)의 기수 영역(110))에서의 장비(115)를 동봉하도록 적응된다.
예시적으로,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가이딩 레일(210) 및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을 포함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롤러 가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가이드(220)는 가이딩 레일(210)에 평행한 제1 부분(222)을 포함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롤러 가이드(220)는 미리 결정된 각도에서 가이딩 레일(210)로부터 멀어지도록 비틀리는 제2 부분(2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3 개의 롤러들(230a, 230b, 230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희망될 경우에, 3 개 초과의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롤러들(230b 및 230c) 사이의 추가적인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가이딩 레일(210) 및 롤러 가이드(220)는 양자 모두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은 항공기 구조체(103)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의 제1 및 제2 롤러(230a, 230b)는 가이딩 레일(210)의 대향 면들 상에서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의 제2 및 제3 롤러(230b, 230c)는 가이딩 레일(210)의 동일한 면 상에서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제3 롤러(230c)는 도 2a에서 도시된 폐쇄된 위치로부터 도 2b에서 도시된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종방향 이동 동안에 가이딩 레일(210)과 롤러 가이드(220)의 제1 부분(222) 사이에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 가이드(220)의 제1 부분(222) 및 롤러(230c)는 롤러(230c)가 (즉, 레이돔 커버 쉘(112)의 종방향 이동 동안에) 가이딩 레일(210)과 롤러 가이드(220)의 제1 부분(222) 사이에 있는 동안에, 레이돔 커버 쉘(112)의 회전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딩 레일(210)은 복수의 롤러들(230)을 따른 레이돔 커버 쉘(112)의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직선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가이딩 레일(210)은 만곡된 단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만곡된 단부(215)는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의 종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217)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롤러(230a)와 계합할 수 있다.
롤러들(230a 및 230b)을 가이딩 레일(210)의 대향 면들 상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은 만곡된 단부(215)가 제1 롤러(230a)와 계합할 때까지 레이돔 커버 쉘(112)의 회전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2a의 폐쇄된 위치로부터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종방향 이동의 종료 시의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 및 레이돔 커버 쉘(112)을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도면이다.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단부(215)는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217)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롤러(230a)와 계합한다.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217)(즉, 롤러(230a)와 함께 만곡된 단부(215))는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의 종방향 이동을 정지시키고, 레이돔 커버 쉘(112)의 임의의 추가의 종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롤러(230c)는 가이딩 레일(210)과 롤러 가이드(220)의 제1 부분(222) 사이에서 더 이상 위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롤러(230c)는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롤러(230a)에 의해 규정된 축 주위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회전 이동(즉,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30a) 주위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시계 반대방향 회전)을 더 이상 방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롤러(230c)는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롤러(230b)에 의해 규정된 축 주위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회전 이동(즉,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30b) 주위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시계방향 회전)을 여전히 방지한다.
실제적으로,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 도달할 시에, 레이돔 커버 쉘(112)은 도 2c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제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제1 회전 이동을 자유롭게 수행한다.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30a)는 레이돔 커버 쉘(112)이 레이돔 커버 쉘(112)의 제1 회전 이동 동안에 회전하는 회전 축을 규정한다. 희망될 경우에, 롤러(230c)는 적어도,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제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제1 회전 이동의 부분 동안에 롤러 가이드(220)의 제2 부분(224)과 접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롤러(230a) 및 만곡된 단부(215)는 레이돔 커버 쉘(112)의 제1 회전 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할 수 있고, 롤러 가이드(220)의 제2 부분(224) 및 롤러(230c)는 레이돔 커버 쉘(112)의 제1 회전 이동의 규정을 지원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롤러 가이드(220)의 제2 부분(224)은 롤러(230c)와 함께, 제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와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 사이의 폐쇄 이동 동안에 레이돔 커버 쉘(112)을 가이드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레이돔 커버 쉘(112)은 제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의 제2 회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d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을 도시한다.
예시적으로, 롤러(230c)는 제2 회전 이동 동안에 롤러 가이드(220)의 제2 부분(224)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레이돔 쉘 개방 운동학부(210)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의 제2 회전 이동을 정지시키는 레이돔 커버 쉘 회전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등각투상도를 도시한다. 레이돔 커버는 레이돔 커버 쉘(112),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 및 래치들 및/또는 록(lock)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레이돔 커버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로드들(410) 및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로드 홀더 브래킷들(420)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들 및/또는 록들(300)은 폐쇄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을 유지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래치 및/또는 록(300)은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되는 아이부(eye), 및 항공기 구조체(예컨대, 도 1의 항공기 구조체(103))에 부착되는 래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a latch and/or lock 300 may include an eye that is attached to radome cover shell 112 and a latch hook that is attached to an aircraft structure (e.g., aircraft structure 103 of Figure 1). 희망될 경우에, 래치 및/또는 록(300)의 아이부는 항공기 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는 반면, 래치 후크는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된다.
래치 후크는 레이돔 커버 쉘(112)의 폐쇄된 위치에서 아이부와 계합할 수 있다. 예시적인 래치 및/또는 록(300)은 정렬 핀 및/또는 정렬 포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핀 및/또는 정렬 포크(340)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제2 이동의 적어도 부분 동안에 래치 후크를 향해 아이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래치 및/또는 록은 아이부와 계합되어 체류하도록 래치 후크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싱 디바이스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이동 동안에, 아이부는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그 바이어싱된 위치로부터 래치 후크를 푸시(push)할 수 있다. 레이돔 커버 쉘(112)이 폐쇄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스프링은 래치 후크가 그 폐쇄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을 유지하기 위하여 아이부와 계합하는 그 바이어싱된 위치로 래치 후크를 다시 푸시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래치 및/또는 록(300)은 푸시 해제 버튼(release push button)(350) 및/또는 언래치 핸들(unlatch handle)(360)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 해제 버튼(350) 및/또는 언래치 핸들(360)은 아이부로부터 래치 후크를 계합해제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해제 버튼(350) 및/또는 언래치 핸들(360)은 바이어싱 디바이스의 힘에 대항하여 푸시할 수 있고, 그 바이어싱된 위치로부터 래치 후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커버는 4 개의 래치들 및/또는 록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레이돔 커버는 상이한 수의 래치들 및/또는 록들(30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돔 커버는 1 개, 2 개, 3 개, 5 개, 6 개,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래치들 및/또는 록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들 및/또는 록들(300)은 도 7a, 도 7b, 및 도 8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예로서, 레이돔 커버는 하나 이상의 개방 핸들들(38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방 핸들들(380)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및/또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레이돔 커버 쉘(112)을 이동시키는 조작자에게 핸들을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로서, 하나 이상의 로드들(410)은 제1 단부(412) 및 제2 단부(415)를 가질 수 있다. 로드(410)의 제2 단부(415)는 항공기 구조체(103)에 부착될 수 있다.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로드 홀더 브래킷들(420)은 레이돔 커버 쉘(112)에 장착될 수 있고, 레이돔 커버 쉘(112)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에 대응하는 로드들(410)의 개별 제2 단부들(415)을 수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로드들(410) 및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로드 홀더 브래킷들(420)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을 유지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하나 이상의 로드 리테이너 브래킷(rod retainer bracket)들(430)은 항공기 구조체(103) 상에서 장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로드 리테이너 브래킷들(430)은 레이돔 커버 커버 쉘(112)이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에 대응하는 로드들(410)의 개별 제2 단부들(415)을 수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로드들(410)의 개별 제2 단부들(415)은 레이돔 커버 쉘(112)이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에 안전하게 집어넣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항공기 구조체(103)에 부착될 수 있다.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도 4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을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의 부분의 3 차원도를 도시한다.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롤러들(230a, 230b, 및 230c)과 같은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을 수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260)를 수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에 부착되는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의 부분들은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을 모든 부착된 부품들로 교체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한 교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물 침투를 방지하고 이에 의하여 부식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폐쇄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배수를 위하여 경사질 수 있어서, 물은 누적될 수 없음으로써, 부식의 위험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로서,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트러스(truss)를 둘러싸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트러스는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230c)는 희망될 경우에,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빔은 롤러들(230b 및 230c)을 연결할 수 있고, 또 다른 빔은 롤러들(230a 및 230b)을 연결할 수 있다.
프레임은 불규칙적인 6 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6 각형의 적어도 일부 정점들은 제1 보강부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보강부들은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트러스의 빔들이 서로 교차하는 적어도 일부 위치들에서 제2 보강부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보강부들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들은 둥근형, 삼각형, 직사각형 등일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프레임의 정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및/또는 제1 및/또는 제2 보강부들의 일부를 통해 항공기 구조체와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폐쇄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 및 레이돔 커버 쉘을 가지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내부의 3 차원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는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은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에 부착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은 레이돔 커버 쉘(112)을 수납할 수 있다.
예로서,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은 보어 홀(bore hole)들(242)을 포함할 수 있고, 레이돔 커버 쉘(112)은 보어 홀들(242)과 부착되는 체결기들을 갖는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에 부착될 수 있다.
임의의 타입의 체결기들은 레이돔 커버 쉘(112)을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에 부착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체결기들은 레이돔 커버 쉘(112)을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에 부착하기 위하여 적당할 수 있는 나사들, 볼트들 및 너트들, 핀들, 리벳들, 네일들, 클립들, 클램프들, 브래킷들,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체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레이돔 커버 쉘(112)은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에 납땜될 수 있고 및/또는 접착될 수 있다.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가이딩 레일(2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딩 레일(210)은 직선일 수 있고, 만곡된 단부(215)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 레일(210)은 U-형상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롤러들(230)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예컨대, 롤러(230a))는 U-형상 프로파일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가이딩 레일(210)은 H-형상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롤러들(230)의 모든 롤러들(예컨대, 롤러들(230a, 230b, 230c))은 H-형상 프로파일 내의 가이딩 레일(210)의 어느 하나의 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롤러 가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가이드(220)는 가이딩 레일(210)에 평행한 제1 부분(222), 및 미리 결정된 각도에서 가이딩 레일(210)로부터 멀어지도록 비틀리는 제2 부분(224)을 가질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롤러 가이드(220)의 제1 부분(222) 및/또는 제2 부분(224)은 U-형상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롤러들(230)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예컨대, 롤러(230c))는 U-형상 프로파일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는 폐쇄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을 유지하도록 적응되는 래치 및/또는 록(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래치 및/또는 록(300)은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되는 아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후크(320)는 항공기 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다. 래치 후크(320)는 폐쇄된 위치에서 아이부(310)와 계합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래치 후크(320)는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될 수 있고, 아이부(310)는 항공기 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대응하는 레이돔 커버 쉘(예컨대, 도 1 내지 도 3의 레이돔 커버 쉘(112))이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의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의 3 차원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으로,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도 4의 트러스가 부착될 수 있는 판을 가질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판을 통해 항공기 구조체와 부착될 수 있다.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복합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롤러 베어링 브래킷(250)은 금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은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에 부착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은 보어 홀들(242)을 포함할 수 있고, 레이돔 커버 쉘은 보어 홀들(242)과 부착되는 체결기들을 갖는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6a의 폐쇄된 위치로부터 레이돔 커버 쉘의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종방향 이동의 종료 시의 도 6a의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의 3 차원도를 도시한다.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 레일(210)의 만곡된 단부(215)는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217)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롤러(230a)와 계합한다.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217)(즉, 롤러(230a)와 함께 만곡된 단부(215))는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의 종방향 이동을 정지시키고, 다시 도 6a의 폐쇄된 위치를 향한 종방향 이동 이외의 레이돔 커버 쉘의 임의의 추가의 종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희망될 경우에,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217)는 만곡된 단부(215) 및 롤러(230a)에 추가적으로, 롤러(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217)는 롤러(230a)에 의해 규정된 축 주위의 회전 이동 또는 도 6a의 폐쇄된 위치를 향한 레이돔 커버 쉘의 종방향 이동과는 상이한 임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 도달할 시에, 레이돔 커버 쉘은 회전 이동을 자유롭게 수행한다.
도 6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6b의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레이돔 커버 쉘의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의 회전 이동 동안의 도 6b의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의 3 차원도를 도시한다.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 회전 스톱퍼(260)는 레이돔 커버 쉘의 제2 회전 이동을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제2 회전 이동 동안에, 가이딩 레일(210)은 가이딩 레일(210)이 임의의 추가의 회전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이돔 커버 쉘 회전 스톱퍼(260)에 도달할 수 있다.
도 6d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 쉘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으면서, 도 6c의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에 부착된 레이돔 커버 쉘을 갖는 예시적인 레이돔 커버의 3 차원도를 도시한다.
도 6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커버는 적어도 2 개의 래치들 및/또는 록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들 및/또는 록들(300)은 도 7a, 도 7b, 및 도 8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예로서, 레이돔 커버는 하나 이상의 개방 핸들들(38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방 핸들들(380)은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및/또는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레이돔 커버 쉘(112)을 이동시키는 조작자에게 그립을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도 7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의 내부에서 가시적인 레이돔 커버를 위한 예시적인 하부 래치 및/또는 록의 부분의 도면이다.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및/또는 록(300)의 부분(305)은 래치 후크(320), 바이어싱 디바이스(330), 정렬 포크(340), 언래치 핸들(360), 및 해제 후크(37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및/또는 록(300)은 래치 및/또는 록(300)의 부분(305), 및 래치 및/또는 록(300)의 대응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및/또는 록(300)은 폐쇄된 위치에서 레이돔 커버 쉘(112)을 유지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래치 및/또는 록(300)의 부분(305)은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될 수 있고, 래치 및/또는 록(300)의 대응 부분은 항공기 구조체(예컨대, 도 1의 항공기 구조체(103))에 부착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래치 및/또는 록(300)의 부분(305)은 항공기 구조체에 부착될 수 있고, 래치 및/또는 록의 대응 부분은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래치 및/또는 록(300)의 대응 부분은 아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및/또는 록(300)의 부분(305)은 아이부를 수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후크(320)는 폐쇄된 위치에서 아이부와 계합할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래치 및/또는 록(300)의 부분(305)은 바이어싱 디바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싱 디바이스(330)는 래치 후크(320)를 미리 결정된 위치로 바이어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어싱 디바이스(330)는 아이부와 계합되어 체류하도록 래치 후크(320)를 바이어싱할 수 있다.
래치 후크(320)의 외부는 아이부가 폐쇄된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이동 동안에 래치 후크(320)를 바이어싱된 위치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후크(320)의 외부는 비틀림부(kink)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바이어싱 디바이스(330)는 래치 후크(320)를 정렬 포크(340)의 방향으로 푸시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언래치 핸들(360)은 래치 후크(320)로부터의 아이부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래치 후크(320)를 바이어싱된 위치의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래치 핸들(360)은 래치 후크(320)가 바이어싱된 위치의 외부로 이동되도록, 바이어싱 디바이스(330)에 대항하여 및/또는 래치 후크(320)에 대항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푸시할 수 있다.
해제 후크(370)는 래치 및/또는 록(300)이 록킹될 때에 언래치 핸들(360)을 차단할 수 있다. 해제 후크(370)는 래치 및/또는 록(300)이 언록킹(unlock)될 때, 언래치 핸들(360)이 래치 및/또는 록(300)을 언래칭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해제 후크(370)는 록킹된 상태로부터 언록킹된 상태로의, 그리고 그 반대로의 래치 및/또는 록(300)의 전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정렬 포크(340)는 폐쇄된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이동 동안에 래치 후크(320)를 향해 아이부를 가이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및/또는 록(300)의 대응 부분은 정렬 포크(340)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정렬 포크(340)는 정렬 포크(340)의 2 개의 갈래부(prong)들 사이에 핀을 수납할 수 있다.
도 7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의 외부에서 가시적인 도 7a의 예시적인 하부 래치 및 록 기구의 부분의 도면이다.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및/또는 록(300)의 부분(305)은 래치 후크(320), 정렬 포크(340), 푸시 해제 버튼(350), 및 언래치 핸들(3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푸시 해제 버튼(350)은 해제 후크(370)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예로서, 푸시 해제 버튼(350)은 래치 및/또는 록(300)이 언록킹된 상태에 있을 때, 해제 후크(370)로 하여금, 언래치 핸들(360)을 차단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래치 및/또는 록(300)을 록킹된 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푸시 해제 버튼(350)은 래치 및/또는 록(300)이 록킹된 상태에 있을 때, 해제 후크(370)로 하여금, 언래치 핸들(360)이 래치 및/또는 록(300)을 언래칭하는 것을 허용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래치 및/또는 록(300)을 언록킹된 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다.
래치 및/또는 록(300)이 언록킹된 상태에 있을 때, 언래치 핸들(360)은 래치 후크(320)로부터의 아이부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래치 후크(320)를 바이어싱된 위치의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돔 커버의 내부에서 가시적인 레이돔 커버를 위한 예시적인 상부 래치 및 록 기구의 도면이다. 도 8은 폐쇄된 상태에서 래치 및/또는 록(300)을 도시한다. 폐쇄된 상태에서, 래치 후크(320)는 아이부(310) 상으로 래칭하였다. 이에 따라, 래치 및/또는 록(300)은 폐쇄된 상태에서 레이돔 커버를 유지한다.
예시적으로, 푸시 해제 버튼(350)은 언래치 핸들(360)을 차단하도록 적응되는 해제 후크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해제 버튼(350)은 래치 및/또는 록(300)이 록킹된 상태에 있을 때, 해제 후크로 하여금, 언래치 핸들(360)이 래치 및/또는 록(300)을 언래칭하는 것을 허용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푸시 해제 버튼(350)은 해제 후크를 통해, 록킹된 상태로부터 언록킹된 상태로의 래치 및/또는 록(300)의 전이를 야기시킬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푸시 해제 버튼(350)은 래치 및/또는 록(300)이 언록킹된 상태에 있을 때, 해제 후크로 하여금, 언래치 핸들(360)을 차단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푸시 해제 버튼(350)은 해제 후크를 통해, 언록킹된 상태로부터 록킹된 상태로의 래치 및/또는 록(300)의 전이를 야기시킬 수 있다.
래치 및/또는 록(300)은 정렬 핀(84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핀(840)은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의 이동 동안에 래치 후크(320)를 향해 아이부(310)를 가이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 핀(840)은 래치 및/또는 록(300)의 하나의 부분 상에서(예컨대, 도 7a 및 도 7b의 록 및/또는 래치(300)의 부분(305) 상에서) 위치될 수 있다. 깔때기(funnel)는 래치 및/또는 록(300)의 대응 부분 상에서 위치될 수 있다. 깔때기는 희망될 경우에, 정렬 핀(840)과 함께, 래치 후크(320)를 향해 아이부(310)를 가이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래치 및/또는 록(300)은 정렬 포크를 가질 수 있다. 희망될 경우에, 정렬 핀(840) 및 정렬 포크는 양자 모두,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의 이동 동안에 래치 후크(320)를 향해 아이부(310)를 가이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수정들은 당해 분야에서의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 내에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부인 것으로서 또한 고려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a의 래치 및/또는 록(300)은 레이돔 커버 쉘(112)의 폐쇄된 위치에서 아이부와 계합하는 래치 후크(320)와 함께 도시된다. 그러나, 폐쇄된 위치에서 아이부와 계합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가 마찬가지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래치 및/또는 록(300)은 래치 후크(320) 대신에, 한 쌍의 플라이어(plier)들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라이어들은 아이부와 계합할 수 있는 슬롯(slot)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a의 바이어싱 디바이스(330)는 정렬 포크(340)의 방향으로, 래치 후크(320)를 푸시하는 대신에, 한 쌍의 플라이어들의 갈래부들을 함께 푸시할 수 있다.
또한, 롤러 가이드(220)의 제2 부분(224)은 임의의 측벽들을 갖지 않는 직사각형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6a 내지 도 6d에서 도시된다. 그러나, 롤러 가이드(220)의 제2 부분(224)은 2 개의 평행 변들의 더 짧은 것이 롤러 가이드(220)의 제1 부분(222)에 부착되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롤러 가이드(220)의 제2 부분(224)은 측벽들을 가질 수 있다. 측벽들은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의 레이돔 커버 쉘(112)의 이동을 가이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참조 리스트
100 항공기
102 항공기 에어프레임, 동체
103 항공기 구조체
104 항공기 도어
104a, 104b, 104c, 104d 객실 접근 도어들
104e 화물 데크 접근 도어
109 항공기 외피
110 기수 영역
112 레이돔 커버 쉘
115 장비
200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
210 가이딩 레일
215 만곡된 단부
217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
220 롤러 가이드
222 제1 부분
224 제2 부분
230 복수의 롤러들
230a, 230b, 230c 롤러
240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
242 보어 홀들
250 롤러 베어링 브래킷
260 레이돔 커버 쉘 회전 스톱퍼
300 래치, 록
305 래치 및/또는 록 부분
310 아이부
320 래치 후크
330 바이어싱 디바이스
340 정렬 포크
350 푸시 해제 버튼
360 언래치 핸들
370 해제 후크
380 개방 핸들
410 로드
412 제1 단부
415 제2 단부
420 로드 홀더 브래킷
430 로드 리테이너 브래킷
840 정렬 핀

Claims (15)

  1. 항공기 구조체(103)를 갖는 항공기(100)로서,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항공기(100)의 기수 영역(110)에서의 장비(115)를 동봉하도록 적응되는 레이돔 커버 쉘(radome cover shell)(112); 및
    상기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의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제1 이동, 및 상기 개방된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된 위치로의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제2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kinematic)(20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는,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되는 가이딩 레일(guiding rail)(210), 및
    상기 항공기 구조체(103)에 부착되는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 - 상기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의 제1 및 제2 롤러(230a, 230b)는 상기 가이딩 레일(210)의 대향 면들 상에서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의 상기 제2 및 제3 롤러(230b, 230c)는 상기 가이딩 레일(210)의 동일한 면 상에서 배열됨 - 을 포함하는, 항공기(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돔 커버 개방 운동학부(200)에 부착되고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을 수납하는 레이돔 커버 부착 표면(240)을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3. 제1 항 내지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구조체(103)에 부착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을 수납하는 롤러 베어링 브래킷(bracket)(250)을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을 유지하도록 적응되는 복수의 래치들(300)을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래치들(300)의 래치(300)는,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되는 아이부(eye)(310);
    상기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아이부(310)와 계합하는 래치 후크(320); 및
    상기 아이부(310)와 계합되어 체류하도록 상기 래치 후크(320)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디바이스(330)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래치들(300)의 상기 래치(300)는,
    정렬 핀(840); 및
    정렬 포크(340) - 상기 정렬 핀(840) 및 상기 정렬 포크(340)는 상기 개방된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된 위치로의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상기 제2 이동의 적어도 부분 동안에 상기 래치 후크(320)를 향해 상기 아이부(310)를 가이딩함 - 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된 위치로의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상기 제1 이동은 상기 폐쇄된 위치로부터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종방향 이동, 상기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제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의 제1 회전 이동, 및 상기 제2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의 제2 회전 이동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딩 레일(210)은,
    상기 제1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상기 종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가이딩 레일 후방 스톱퍼(217)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롤러(230a)와 계합하는 만곡된 단부(215)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돔 쉘 개방 운동학부(210)는,
    상기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상기 제2 회전 이동을 정지시키는 레이돔 커버 쉘 회전 스톱퍼(260)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230a)는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상기 제1 및 제2 회전 이동들 동안에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이 회전하는 회전 축을 규정하는, 항공기(100).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에 부착되는 롤러 가이드(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롤러들(230)의 적어도 제3 롤러(230c)는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이 상기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딩 레일(210)과 상기 롤러 가이드(220) 사이에서 배열되는, 항공기(100).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220)는,
    상기 가이딩 레일(210)에 평행한 제1 부분(222); 및
    미리 결정된 각도에서 상기 가이딩 레일(210)로부터 멀어지도록 비틀리는 제2 부분(224)을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롤러(230c)는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상기 제1 회전 이동 동안에 상기 롤러 가이드(220)의 상기 제2 부분(224)과 접촉하는, 항공기(100).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220)는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의 상기 제2 회전 이동 동안에 상기 제3 롤러(230c)로부터 제거되는, 항공기(100).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단부(412, 415)를 가지는 로드(rod)(410) - 상기 제1 단부(412)는 상기 항공기 구조체(103)에 부착됨 -; 및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 상에 장착되고,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이 상기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드(410)의 상기 제2 단부(415)를 수납하도록 적응되는 로드 홀더 브래킷(420)을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구조체(103) 상에 장착되고, 상기 레이돔 커버 쉘(112)이 상기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드(410)의 상기 제2 단부(415)를 수납하도록 적응되는 로드 리테이너 브래킷(rod retainer bracket)(430)을 더 포함하는, 항공기(100).
KR1020200139402A 2020-10-26 2020-10-26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KR20220055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402A KR20220055186A (ko) 2020-10-26 2020-10-26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KR1020220063054A KR20220070197A (ko) 2020-10-26 2022-05-23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402A KR20220055186A (ko) 2020-10-26 2020-10-26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054A Division KR20220070197A (ko) 2020-10-26 2022-05-23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86A true KR20220055186A (ko) 2022-05-03

Family

ID=815909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402A KR20220055186A (ko) 2020-10-26 2020-10-26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KR1020220063054A KR20220070197A (ko) 2020-10-26 2022-05-23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054A KR20220070197A (ko) 2020-10-26 2022-05-23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5518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197A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3291C2 (ru) Гондола турбореактивного двигателя с боковым раскрытием створок
US7275717B2 (en) Helicopter one-piece door
EP3109159B1 (en) A rope suspension device with at least one rope suspension module
DE69817911T2 (de) Tür mit Zapfenverriegelung für einen Flugzeugnotausgang über einem Flügel
US8894012B2 (en) Aircraft nacelle incorporating a hood closure device that i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US9878797B2 (en) Alignment and safety device for the cowls of aircraft engine nacelles
EP1663777B1 (de) Tragstruktur für eine ein- und ausfahrbare klappe und deren verwendung
US5035379A (en) Movable aircraft engine cowling
US11697488B2 (en) Radome cover shell and opening kinematic
US20180057183A1 (en) Rotorcraft with cowling able to rotate and translate relative to the fuselage
EP1988239B1 (en) Dual action structural latch
US20160214701A1 (en) Aircraft with inwardly foldable rear door
EP3233635B1 (de) Überkopf-gepäckfach für flugzeuge
CA3081871C (en) A radome cover shell and opening kinematic
KR20220070197A (ko)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CN212098842U (zh) 轨道车辆的导流罩开闭装置和前鼻总成
EP3708483B1 (de) Haltevorrichtung für wandmodule
CN114435581A (zh) 雷达天线罩盖壳体和打开运动学件
US20240018802A1 (en) Handle Assembly for Escape Hatch
CN110949536B (zh) 客车及其前围门组件
EP3456629B1 (en) Hold open j-track locking mechanism for cowling of an aircraft
KR101979332B1 (ko) 회전익기
CN107757862B (zh) 具有能相对于机身转动和平移的整流罩的旋翼飞行器
WO2024055506A1 (zh) 用于直升机尾舱门的锁闭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