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454A -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454A
KR20220054454A KR1020227012916A KR20227012916A KR20220054454A KR 20220054454 A KR20220054454 A KR 20220054454A KR 1020227012916 A KR1020227012916 A KR 1020227012916A KR 20227012916 A KR20227012916 A KR 20227012916A KR 20220054454 A KR20220054454 A KR 2022005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omain
data channel
information
domain resourc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당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3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400A/ko
Publication of KR2022005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8Variabl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방법에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에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한 가지, 또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규칙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5G NR 등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를 지시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TIME-DOMAIN RESOURCE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단지 한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즉 15kHz를 사용하고,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모두 해당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파라미터 집합을 사용한다. 하지만 통신 기술을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5G NR(New Radio) 시스템에서 더욱 큰 대역폭, 더욱 짧은 딜레이와 더욱 넓은 서비스 수요를 구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예를 들면 3.75kHz, 30kHz, 60kHz와 120kHz 등을 도입하게 된다.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원 할당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서로 다른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도록 허락한다.
종래의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는 모두 기본으로 단일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하는 것이고, 지시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채널의 시작점과 전송 길이는 단지 부호/타임 슬롯 등 시간 단위의 수량만 포함하면 된다. 만일 5G NR 시스템에서 이러한 지시 방식을 계속하여 사용하면, 단말 설비가 해당 지시 정보가 어떤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한 것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각각 디코딩을 시도하여야 하며, 이는 단말 복잡성과 자원 소모(예를 들면 전력 소모)를 크게 증가시킨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5G NR 등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에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한 가지, 또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규칙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에는,
제1 설비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설비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또는
제2 설비가, 제1 설비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에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시간 도메인 종료점과 시간 도메인 길이 중의 한 가지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에는 또한 하기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지시 정보;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값;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규칙 지시 정보, 해당 규칙은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하는 것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는 제1 부호 길이 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를 단위로 지시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부호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이고, 제1 타임 슬롯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인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를 진행하며; 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규칙을 기반으로 지시하는 바, 상기 규칙은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하는 것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를 단위로 지시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부호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이고, 제1 타임 슬롯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인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를 단위로 지시하는 것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의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의 수량을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하며; 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의 상기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구역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의 수량을 사용하여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는,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이 위치하는, 데이터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된다.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는, 상기 규칙에는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최대 서브 캐리어 간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규칙을 기반으로 지시하는 것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제2 부호 길이 및/또는 제2 타임 슬롯 길이를 단위로 지시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2 부호 길이는 상기 최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이고, 제2 타임 슬롯 길이는 상기 최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인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제2 부호 길이 및/또는 제2 타임 슬롯 길이를 단위로 지시하는 것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의 상기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제2 부호 길이 및/또는 제2 타임 슬롯 길이의 수량을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하며; 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의 상기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구역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제2 부호 길이 및/또는 제2 타임 슬롯 길이의 수량을 사용하여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는,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이 위치하는, 상기 최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구역에는,
상기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제어 자원 집합 또는 검색 공간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는 제1 부호 길이를 기반으로 하는 비트맵(bitmap)을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타임 슬롯은 제1 타임 슬롯 길이를 기반으로 하는 bitmap을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부호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이고, 제1 타임 슬롯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 중에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서로 다른 대역폭 세그먼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제1 설비는 네트워크 측 설비이고, 상기 제2 설비는 단말 설비이며; 또는
상기 제1 설비는 제1 단말 설비이고, 상기 제2 설비는 제2 단말 설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5G NR 시스템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장치에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지시 전송 유닛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장치가 제1 설비에 구비되면, 해당 장치에는 또한,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상기 지시 전송 유닛로 제공하는 지시 결정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지시 전송 유닛은 상기 제2 설비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장치가 제2 설비에 구비되면, 해당 장치에는 또한 지시 분석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지시 전송 유닛은 제1 설비가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지시 분석 유닛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지시 결정 유닛이 수신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여,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에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한 가지, 또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규칙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에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시간 도메인 종료점과 시간 도메인 길이 중의 한 가지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에는 또한 하기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지시 정보;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값;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규칙 지시 정보, 해당 규칙은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를 진행하며; 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규칙을 기반으로 지시하는 바, 상기 규칙은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규칙에는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최대 서브 캐리어 간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는 제1 부호 길이를 기반으로 하는 비트맵(bitmap)을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타임 슬롯은 제1 타임 슬롯 길이를 기반으로 하는 bitmap을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부호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이고, 제1 타임 슬롯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 중에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서로 다른 대역폭 세그먼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설비를 제공하는 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방법 중의 조작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상기 방법 중의 조작을 실행한다.
상기 기술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5G NR 등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를 지시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일 방면으로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상황에 적용될 수 있고, 자원 할당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다른 일 방면으로는 단말 설비는 단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하면 되기 때문에, 단말의 복잡성과 자원 소모를 낮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제공하는 일 데이터 채널 시간 도메인 길이의 지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데이터 채널 시간 도메인 길이의 지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제공하는 일 데이터 채널 시간 도메인 시작점의 지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데이터 채널 시간 도메인 시작점의 지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일 데이터 채널 시간 도메인 시작점의 지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제공하는 일 데이터 채널 시간 도메인 시작점의 지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제공하는 일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의 지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설비에 구비되는 장치의 구조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설비에 구비되는 장치의 구조도.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진일보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핵심 사상으로는, 5G NR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1 설비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설비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에는 시스템이 사용하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한 가지,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규칙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 설비는 네트워크 측 설비이고, 제2 설비는 단말 설비일 수 있는 바, 즉 네트워크 측 설비가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설비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를 지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단말 설비 사이의 통신에도 적용되는 바, 즉 제1 단말 설비가 제2 단말 설비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를 지시하여, 제1 단말 설비와 제2 단말 설비 사이에서 해당 지시에 의하여 데이터 채널의 송신과 수신을 진행하도록 한다. 후속의 실시예에서, 모두 네트워크 측 설비가 단말 설비로 지시하는 것을 예로 설명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단말 설비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PDA, 멀티미디어 장치 내지는 인터넷 자동차,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언급된 네트워크 측 설비에는 BST, NodeB, eNodeB 등 기지국 설비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에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시간 도메인 종료점과 시간 도메인 길이 중의 한 가지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채널의 “시작점 +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데이터 채널의 “시작점 + 종료점”을 지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예를 들면, 데이터 채널이 어떤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을 점용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등이다.
일 구현 방식으로서, 네트워크 측 설비가 단말 설비로 송신하는 지시 정보에는 단지 상기 예를 든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시간 도메인 종료점과 시간 도메인 길이 중의 한 가지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정보는 네트워크 측 설비와 단말 설비가 사전에 약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일 다른 구현 방식으로서, 네트워크 측 설비가 단말 설비로 송신하는 지시 정보에는 상기 예를 든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시간 도메인 종료점과 시간 도메인 길이 중의 한 가지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되는 외, 또한 기반으로 하는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정보를 포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3 bit를 사용하여 기반으로 하는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몇 개 예를 들도록 한다.
예1: 지시 정보에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5G NR 시스템에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제어 채널이 서브 캐리어 간격 f1을 사용하고, 데이터 채널이 서브 캐리어 간격 f2를 사용하기 때문에, 만일 f2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한다면, 상기 지시 정보에 나아가 f2의 지시 정보를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2: 지시 정보에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값이 포함된다. 예1과 다른 점이라면, 예1의 지시 정보에 포함되는 것은 서브 캐리어 간격 지시 정보이지만, 예2에서는 직접 구체적인 서브 캐리어 간격 값을 제공하고 있다.
예3: 지시 정보에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기반으로 하는 규칙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규칙은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면, 5G NR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이 서브 캐리어 간격 f1을 사용하고, 데이터 채널이 서브 캐리어 간격 f2를 사용하면, 어떤 규칙 f(f1,f2)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f1,f2)는 max(f1,f2)일 수 있는 바, 즉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최대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또한 기타 규칙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여기에서는 더 예를 들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1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를 진행한다. 즉 네트워크 측 설비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f1이고, 데이터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f2이며, f2를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가 S2이고, f2를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를 D2라 가정하면,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는 S2 또는 D2를 단위로 지시하고, 구체적으로 S2 또는 D2의 수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이 15kHz이고, f2가 60kHz라고 가정하면, 제어 채널의 부호 길이 S1은 데이터 채널의 부호 길이 S2의 4배이고,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할 때, S2를 단위로 사용하여 지시하는 바, 예를 들면 10개의 길이가 S2인 부호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이 60kHz이고, f2가 15kHz라고 가정하면, 데이터 채널의 부호 길이 S2는 제어 채널의 부호 길이 S1의 4배이고,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할 때, S2를 단위로 사용하여 지시하는 바, 예를 들면 3개의 길이가 S2인 부호이다.
이러한 방식은 직접 데이터 채널 길이를 가늠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지시할 필요없이, 양단이 직접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의 파라미터 집합을 기반으로 하여, 제어 신호의 오버헤드를 절약한다.
실시예2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를 진행한다. 즉 네트워크 측 설비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f1이고, 데이터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f2이며, f2를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가 S2이고, f2를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가 D2라 가정하면,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S2 및/또는 D2를 단위로 지시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의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S2 및/또는 D2의 수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는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이 위치하는 f2의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 상대하여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표현하는 외, 또한 예를 들면 동기화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 상대하는 등 기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이 15kHz이고, f2가 60kHz라고 가정하면, 제어 채널의 부호 길이 S1은 데이터 채널의 부호 길이 S2의 4배이고,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할 때, S2를 단위로 사용하여 지시하는 바, 예를 들면 제어 채널 종료점이 위치하는 f2를 기반으로 하는 부호로부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까지의 오프셋은 7개의 길이가 S2인 부호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이 60kHz이고, f2가 15kHz라고 가정하면, 데이터 채널의 부호 길이 S2는 제어 채널의 부호 길이 S1의 4배이고,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할 때, S2를 단위로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한다. 우선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종료점이 위치하는 길이가 S2인 부호를 결정하고, 그 후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이 해당 부호로부터 떨어진 오프셋을 지시하는 바, 예를 들면 3개의 길이가 S2인 부호이다.
또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구역에 대한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S2 및/또는 D2의 수량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구역은 해당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제어 자원 집합(Control Resource Set) 또는 검색 공간(Search Space)일 수 있다.
제어 자원 집합은 제어 채널이 점용할 수 있는 한 구간의 시간-주파수 자원 범위이며, 송신기는 제어 자원 집합 내의 어느 한 시간-주파수 자원 상에서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수신기는 제어 자원 집합 내의 어느 한 시간-주파수 자원 상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검색 공간은 수신기가 제어 채널을 검색하는 시간 도메인 범위이다. 어느 일 시각에, 수신기는 전체 제어 자원 집합 내에서 제어 채널을 검색할 필요가 없이, 일부 제한 조건에 의하여, 단지 하나의 더욱 작은 범위 내에서 검색을 진행할 수 있는 바, 이것이 바로 검색 공간이다. 검색 공간이 점용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은 제어 자원 집합의 일부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이 15kHz이고, f2가 60kHz라고 가정하면, 제어 채널의 부호 길이 S1은 데이터 채널의 부호 길이 S2의 4배이고,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할 때, S2를 단위로 사용하여 지시하는 바, 예를 들면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제어 자원 집합으로부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까지의 오프셋은 10개의 길이가 S2인 부호이다.
이러한 방식은 직접 데이터 채널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종료점을 가늠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지시할 필요없이, 양단이 직접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의 파라미터 집합을 기반으로 하여, 제어 신호의 오버헤드를 절약한다.
실시예3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규칙을 기반으로 지시하는 바, 해당 규칙은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면, 해당 규칙은 5G NR 시스템의 각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최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측 설비는 최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및/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f1이고, 데이터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f2이며, max(f1,f2)를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가 S이고, max(f1,f2)를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가 D라 가정하면,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S 및/또는 D를 단위로 지시를 진행한다.
실시예2에서와 유사하게,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의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S 및/또는 D의 수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는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이 위치하는 max(f1,f2)를 기반으로 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은 데이터 채널의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구역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위치에 대한 오프셋에 포함된 S 및/또는 D의 수량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구역은 해당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제어 자원 집합(Control Resource Set) 또는 검색 공간(Search Space)일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이 60kHz이고, f2가 15kHz라고 가정하면, 데이터 채널의 부호 길이 S2는 제어 채널의 부호 길이 S1의 4배이고,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할 때, max(f1,f2)를 기반으로, 즉 f1의 부호 길이 S1을 단위로 지시를 진행한다. 우선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종료점이 위치하는 길이가 S1인 부호를 결정하고, 그 후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이 해당 부호로부터 떨어진 오프셋을 지시하는 바, 예를 들면 17개의 길이가 S1인 부호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실시예1과 실시예2 중의 f2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에 비하여, 단말이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종료점이 어느 S2 부호에 위치하는지 알 필요가 없어, 더욱 단말의 조작 복잡성을 낮추고, 또한 더욱 유연한 제어 채널 자원 할당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실시예4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타임 슬롯은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의 부호/타임 슬롯의 bitmap(비트맵)을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한다. 즉 네트워크 측 설비는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의 부호/타임 슬롯 길이의 bitmap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타임 슬롯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f1이고, 데이터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f2이며, f2를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가 S2이고, f2를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가 D2라 가정하면,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부호는 S2를 기반으로 하는 bitmap을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하고,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타임 슬롯은 D2를 기반으로 하는 bitmap을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 채널이 불연속적인 시간 도메인 자원을 점용하는 상황에 아주 적합하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bitmap을 사용하여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지시할 수 있는 바, 각 bit는 하나의 길이가 S2인 부호를 지시한다. 데이터 채널이 제1, 2, 5, 6, 7, 8, 10번째 길이가 S2인 부호를 점용한다고 가정하면, bitmap을 사용하여 1100111101을 지시할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은 더욱 유연한 시간 도메인 자원 스케줄링을 구현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실시예 중의 방식은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1 중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를 진행하고,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은 시스템 중의 최대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지시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측 설비는 상기 실시예 중의 방식에 따라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 및 송신하고, 상응하게 단말 설비는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실시예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분석한다.
그리고,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식은 5G NR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에 모두 적용된다.
네트워크 측 설비가 상기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에 대하여 지시를 진행한 후, 네트워크 측 설비와 단말 설비 사이는 지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채널의 송신과 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 채널은 업링크 데이터 채널일 수도 있고,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일 수도 있다.
위의 내용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한 것이고, 아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설비에 구비되는 장치의 구조도로서, 도8에 도시된 해당 장치에는 지시 전송 유닛(00)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지시 결정 유닛(10)이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지시 결정 유닛(10)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상기 지시 전송 유닛(00)으로 제공한다.
지시 전송 유닛(00)은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설비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설비에 구비되는 장치의 구조도로서, 도9에 도시된 해당 장치에는 지시 전송 유닛(00)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지시 분석 유닛(20)이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지시 전송 유닛(00)은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설비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지시 분석 유닛(20)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 전송 유닛(00)이 수신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여,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한다.
방법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제1 설비는 네트워크 측 설비일 수 있고, 제2 설비는 단말 설비일 수 있다. 또는 제1 설비와 제2 설비는 모두 단말 설비일 수 있다.
장치 실시예에서,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에 대한 지시는 방법 실시예 중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방법과 장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집적회로 예를 들면 인코딩/디코딩 칩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하여 완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중의 각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어떠한 특정된 형식의 하드웨어와 소프웨어의 결합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설비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는 바, 해당 설비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어 하기 조작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즉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설비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또는
제1 설비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시간,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매체의 개념도 날로 넓어지고 있는 바, 프로그램의 전파 도경은 더는 유형 매체에 제한되지 않고, 직접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는 등이다.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전기, 자기, 빛,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의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더욱 구체적인 예시(무한하지 않은 리스트)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선이 구비된 전기 연결, 휴대식 컴퓨터 자기 디스크, 하드웨어, 무작위 접속 메모리(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전기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PROM또는 플래시), 광섬유, 휴대식 콤팩 디스크 롬(CD-ROM), 광 기억장치 소자, 자기 기억장치 소자, 또는 상기 임의의 적합 조합이 포함된다. 본 문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임의의 프로그램이 포함 또는 저장된 유형 매체일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은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이와 결합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신호 매체에는 기저대역 중 또는 캐리어의 일부분으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그 중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베어링된다. 이러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는 여러 가지 형식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전자기 신호, 광 신호 또는 상기 임의의 적합한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신호 매체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외의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가 사용하거나 또는 이와 결합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송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설비는 네트워크 설비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에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한 가지가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에는 구체적으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를 단위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바, 상기 제1 부호 길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이고, 상기 제1 타임 슬롯 길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를 단위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의 수량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를 진행하며; 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구역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의 수량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는,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이 위치하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 중에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서로 다른 대역폭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6.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단말측에 설정되며, 해당 장치에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설비가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지시 전송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한 가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또한 지시 분석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지시 전송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설비가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지시 분석 유닛은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점용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 중에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서로 다른 대역폭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장치.
  10.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설비는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설비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에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한 가지가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에는 구체적으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를 단위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바, 상기 제1 부호 길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길이이고, 상기 제1 타임 슬롯 길이는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타임 슬롯 길이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를 단위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에는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어 채널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의 수량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를 진행하며; 또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 구역에 대한 시간 도메인 위치의 오프셋에 포함된 제1 부호 길이 및/또는 제1 타임 슬롯 길이의 수량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위치에는,
    상기 제어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 또는 시간 도메인 종료점이 위치하는, 상기 데이터 채널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하는 부호 또는 타임 슬롯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 중에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서로 다른 대역폭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
  15.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에 설정되며, 해당 장치에는,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설비로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지시 전송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는 상기 여러 가지 서브 캐리어 간격 중의 한 가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시작점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또한 지시 결정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지시 결정 유닛은 상기 사전 설정된 서브 캐리어 간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의 송신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자원 지시 정보를 상기 지시 전송 유닛에 제공하여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시간 도메인 길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 중에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서로 다른 대역폭 세그먼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장치.
KR1020227012916A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KR20220054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5192A KR20230150400A (ko)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8244 WO2018227428A1 (zh) 2017-06-14 2017-06-14 一种时域资源信息的指示方法和装置
KR1020197036625A KR20200016251A (ko)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25A Division KR20200016251A (ko)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5192A Division KR20230150400A (ko)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454A true KR20220054454A (ko) 2022-05-02

Family

ID=6465880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916A KR20220054454A (ko)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KR1020197036625A KR20200016251A (ko)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KR1020237035192A KR20230150400A (ko)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25A KR20200016251A (ko)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KR1020237035192A KR20230150400A (ko) 2017-06-14 2017-06-14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의 지시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11184891B2 (ko)
EP (2) EP3952547A1 (ko)
JP (1) JP7068351B2 (ko)
KR (3) KR20220054454A (ko)
CN (2) CN110710316A (ko)
AU (1) AU2017418901B2 (ko)
BR (1) BR112019026207A2 (ko)
CA (1) CA3064819C (ko)
ES (1) ES2898400T3 (ko)
IL (1) IL271023B2 (ko)
MX (1) MX2019014854A (ko)
PH (1) PH12019502647A1 (ko)
PL (1) PL3618552T3 (ko)
RU (1) RU2735616C1 (ko)
TW (1) TWI797131B (ko)
WO (1) WO2018227428A1 (ko)
ZA (1) ZA2019081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9026207A2 (pt) 2017-06-14 2020-06-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e aparelho de indicação de informações de recurso de domínio de tempo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3628B2 (en) 2005-08-22 2011-03-08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pilo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53628B2 (en) 2009-06-11 2013-10-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reuse
KR101784189B1 (ko) * 2009-10-28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EP2360864A1 (en) 2010-02-12 2011-08-24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 carrier (de)activ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carrier aggregation
US9295038B2 (en) 2010-11-16 2016-03-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937918B2 (en) 2011-10-29 2015-01-20 Ofinno Technologies, Llc Efficient special subframe allocation
CN103858500B (zh) 2012-09-29 2018-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和设备
EP2942888B1 (en) 2013-01-07 2018-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a downlink signal from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oints by a user equipment and corresponding user equipment
CN104010375B (zh) 2013-02-22 2018-03-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通信的方法、终端和基站
CN105359474A (zh) * 2013-07-01 2016-02-24 飞思卡尔半导体公司 无线电信号解码和解码器
WO2016004634A1 (en) * 2014-07-11 2016-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enb, ue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20170290008A1 (en) * 2014-09-08 2017-10-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with Differen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Durations
EP4216654A1 (en) 2014-09-26 2023-07-26 Sun Patent Trust Improved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EP3493632B1 (en) 2014-09-26 2020-10-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rst communication devic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receiving, respectively, an indication of a subframe type
US10548129B2 (en) 2015-02-11 2020-01-28 Apple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employing unified flexible 5G air interface
CN106162906B (zh) 2015-03-31 2019-0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度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CN106576023B (zh) 2015-04-10 2020-06-02 北京花旺在线商贸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设备及系统
EP3474604B1 (en) 2015-04-17 2020-09-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verage enhancement level signalling and efficient packing of mtc system information
US10038581B2 (en) 2015-06-01 2018-07-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scheme of scalable OFDM numerology
WO2017005295A1 (en) 2015-07-06 2017-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alloca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systems
US20180331816A1 (en) 2015-09-01 2018-11-15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6817722B (zh) 2015-11-30 2020-04-2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用户设备及其信道测量方法
DK3618342T3 (da) * 2016-05-13 2020-11-16 Ericsson Telefon Ab L M Multi-underbærebølgesystem med flere numerologier
KR20170134238A (ko)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아이티엘 Nr 시스템을 위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6376050B (zh) 2016-09-30 2022-03-1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子载波间隔的设置/确定方法、装置、基站和终端
JP2020504979A (ja) 2017-01-05 2020-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の方法、及び端末装置の方法
BR112019019675A2 (pt) 2017-03-24 2020-04-22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para operação de um nó de rede e de um equipamento de usuário, nó de rede, equipamento de usuário, e, arranjo de mídia portadora
BR112019026207A2 (pt) 2017-06-14 2020-06-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e aparelho de indicação de informações de recurso de domínio de temp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9502647A1 (en) 2020-07-13
WO2018227428A1 (zh) 2018-12-20
US11877269B2 (en) 2024-01-16
JP2020529142A (ja) 2020-10-01
CN111294956A (zh) 2020-06-16
JP7068351B2 (ja) 2022-05-16
RU2735616C1 (ru) 2020-11-05
US11184891B2 (en) 2021-11-23
MX2019014854A (es) 2020-02-12
ZA201908105B (en) 2021-04-28
TWI797131B (zh) 2023-04-01
EP3618552A1 (en) 2020-03-04
CN110710316A (zh) 2020-01-17
KR20200016251A (ko) 2020-02-14
PL3618552T3 (pl) 2022-01-03
TW201906362A (zh) 2019-02-01
EP3952547A1 (en) 2022-02-09
AU2017418901B2 (en) 2022-10-13
KR20230150400A (ko) 2023-10-30
IL271023A (en) 2020-01-30
EP3618552B1 (en) 2021-10-06
EP3618552A4 (en) 2020-04-29
IL271023B2 (en) 2023-12-01
CN111294956B (zh) 2022-04-12
BR112019026207A2 (pt) 2020-06-30
ES2898400T3 (es) 2022-03-07
AU2017418901A1 (en) 2019-12-12
US20220070860A1 (en) 2022-03-03
CA3064819C (en) 2023-03-07
CA3064819A1 (en) 2018-12-20
US20200163084A1 (en) 2020-05-21
IL271023B1 (en)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48240B (zh) 资源配置方法及装置
US20190081765A1 (en) Transmission resource indication method,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transmission resource indication system
US20230217466A1 (en) Method for selecting resource in sidelink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535604B (zh) 一种速率匹配方法和装置
US113438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source scheduling and delivering control information in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 system
US1128441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CN114765863A (zh) 传输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09792742B (zh) 用户装置和基站
US20200028636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1190231B1 (en) Multiplexing of resource blocks within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dynamic service provisioning
US11877269B2 (en) Time-domain resource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1147209A (zh) 一种指示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CN110830965B (zh) 一种d2d通信的方法、通信装置和通信系统
EP3357274A1 (en) Pdu structures
JP7291829B2 (ja) 時間領域リソース情報の指示方法及び装置
CN115734353A (zh) 信息指示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6980089A (zh) 传输控制信道发送方法、装置、网络设备与存储介质
CN115250167A (zh) 信息识别方法、装置、及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