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193A -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193A
KR20220054193A KR1020210134166A KR20210134166A KR20220054193A KR 20220054193 A KR20220054193 A KR 20220054193A KR 1020210134166 A KR1020210134166 A KR 1020210134166A KR 20210134166 A KR20210134166 A KR 20210134166A KR 20220054193 A KR20220054193 A KR 2022005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lay time
base station
satellit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507,84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31599A1/en
Publication of KR2022005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6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using measurement of signal travel time
    • H04W56/009Closed loop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기술이 개시된다. 단말, 위성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의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와 PRACH 오케이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PRACH 오케이젼보다 상기 제1 조정값 이전의 제1 시점에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 RAR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2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지연 시간에서 상기 제2 조정값 이후의 제2 시점에 상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거리 통신에 있어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타이밍 관리를 위한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한편, 이동 위성 통신 기술은 산악지역, 사막지역, 도서지역 및 해양 등 셀룰러 음영지역과 지진, 해일 및 전쟁 등 각종 재난에 따른 지상망 붕괴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신 두절에 대비하여 필요할 수 있다. 위성 통신망은 재난, 재해로 인해 지상망이 붕괴되었을 때에도 유지되므로 재난, 재해가 발생한 지역이 외부와 단절되지 않을 수 있어 개개인의 생존과 안전의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위성 통신 기술은 통신 인프라가 없는 산간, 오지 등과 같이, 종래에는 통신이 불가능하였던 지역에도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여 초연결 사회의 구축을 위해서도 필요할 수 있다.
한편, 3GPP는 5G NR 기술에 기반하여 비-지상(non-terrestrial) 기지국(예를 들어, 위성 기지국 또는 비행선 등의 비행 플랫폼(airborne platform)을 이용하는 기지국)을 이용하는 NTN(non-terrestrial network)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을 수 있다. 비-지상 기지국이 위성 기지국인 경우, 위성 기지국과 단말간의 거리가 장거리가 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위성 기지국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지상 네트워크는 지상 통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긴 왕복 지연 시간(round trip time delay, RTT)과 높은 도플러 편이(Doppler shift) 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긴 왕복 지연 시간 및 기지국의 이동 등은 데이터 송수신의 다양한 절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단말들이 적절한 타이밍 조정(timing adjustment)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 다양한 거리에 위치한 단말로부터의 신호들이 기지국에 도달하는 시점들에 큰 차이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긴 왕복 지연 시간 및 기지국의 이동 등을 고려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의 타이밍 관리를 위한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방법은, 단말, 위성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의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오케이젼(occasion)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 간에 설정된 서비스 링크(service link)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PRACH 오케이젼보다 상기 제1 조정값 이전의 제1 시점에 PRACH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의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RAR(random access response)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2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지연 시간에서 상기 제2 조정값 이후의 제2 시점에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상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 간에 피더 링크(feeder link)가 설정되고, 상기 위성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상기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가산한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제1 마진을 가산한 제4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진은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상기 위성에서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점인 타임 스탬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과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하여 추정 왕복 시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왕복 시간 파라미터를 상기 추정 왕복 시간 파라미터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정값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공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내지 제4 공통 지연 시간 파라미터중에서 어느 하나에 제2 마진을 감산하여 산출하되, 상기 제2 마진은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의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RAR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PRACH 프리앰블을 전송 후 랜덤 액세스 오프셋에 제3 조정값을 가산한 제3 시점에 상기 RAR를 수신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기 RAR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빔 실패를 탐지하는 단계;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한 오프셋 시간 후에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방법은, 단말, 위성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위성에서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점인 타임 스탬프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위성의 왕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에 설정된 서비스 링크(service link)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임 스탬프와 상기 왕복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기지국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하여 제1 추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정값이 임계값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정값이 상기 임계값 범위에 포함되면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 간에 피더 링크(feeder link)가 설정되고, 상기 위성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추정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상기 수신 시점과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하여 추정 왕복 시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왕복 지연 시간에 상기 왕복 지연 시간을 가산하여 상기 제1 추정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추정값이 상기 임계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프리앰블 전송이 재전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프리앰블 전송이 재전송이면 재전송 시점의 이전에 추정된 왕복 지연 시간인 제2 추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추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재전송 시점으로부터 앞서는 제1 시간 윈도우 구간 이내에 상기 제2 추정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제1 시간 윈도우 구간 이내에 상기 제2 추정값이 존재하면 상기 제2 추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장치는, 단말, 위성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의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오케이젼(occasion)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 간에 설정된 서비스 링크(service link)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조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PRACH 오케이젼보다 상기 제1 조정값 이전의 제1 시점에 PRACH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의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RAR(random access response)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2 조정값을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응답 지연 시간에서 상기 제2 조정값 이후의 제2 시점에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상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 간에 피더 링크(feeder link)가 설정되고, 상기 위성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상기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가산한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제1 마진을 가산한 제4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진은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상기 위성에서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점인 타임 스탬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과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하여 추정 왕복 시간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왕복 시간 파라미터를 상기 추정 왕복 시간 파라미터로 대체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의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RAR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PRACH 프리앰블을 전송 후 랜덤 액세스 오프셋에 제3 조정값을 가산한 제3 시점에 상기 RAR를 수신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시작하고; 그리고 상기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기 RAR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빔 실패를 탐지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한 오프셋 시간 후에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기지국과 단말들 간의 공통 지연 시간(common delay)을 반영하여 기지국과 단말 간의 타이밍 동기가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오케이젼(occasion)보다 이른 시간에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기지국과 단말간의 왕복 지연 시간으로 인한 프리앰블 신호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응답 지연 시간보다 늦은 시간에 프리앰블 응답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기지국과의 왕복 지연 시간을 반영한 추정값이 일정 임계값 범위인 경우에 프리앰블을 전송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송 동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비-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엔터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장거리 통신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른 공통 지연 시간 및 차등 지연 시간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비-지상 네트워크 환경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공통 지연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빔 실패 복구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단말의 PRACH 프리앰블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단말의 타이밍 업데이트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하나 이상"은 "A 또는 B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가 설명될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는 비-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4G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long-term evolution) 통신 네트워크), 5G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NR(new radio) 통신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는 지상(terrestrial) 네트워크로 분류될 수 있다.
비-지상 네트워크는 LTE 기술 및/또는 NR 기술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비-지상 네트워크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 네트워크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5G 통신 네트워크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는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 시스템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 3GPP NR 이동 통신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3GPP NR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규정하는 선행문헌들([1]~[11])이 참조될 수 있다.
선행문헌 [1] 3GPP TS 38.211 V16.2.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NR;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6)"
선행문헌 [2] 3GPP TS 38.212 V16.2.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NR;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Release 16)"
선행문헌 [3] 3GPP TS 38.213 V16.2.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 (Release 16)"
선행문헌 [4] 3GPP TS 38.214 V16.2.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 (Release 16)"
선행문헌 [5] 3GPP TS 38.321 V16.1.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NR;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5)"
선행문헌 [6] 3GPP TS 38.331 V16.1.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NR;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5)"
선행문헌 [7] 3GPP TS 38.133 V16.4.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NR; Requirements for support of radio resource management (Release 16)"
선행문헌 [8] 3GPP TS 38.104 V16.4.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NR; Base Station (BS)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lease 16)"
선행문헌 [9] 3GPP TR 38.811 V15.3.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tudy on New Radio (NR) to support non-terrestrial networks (Release 15)"
선행문헌 [10] 3GPP TR 38.821 V16.0.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olutions for NR to support non-terrestrial networks (NTN) (Release 16)"
선행문헌 [11] 3GPP TR 22.829 V17.1.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Enhancement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Stage 1 (Release 17)"
도 1은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는 단말(110), 위성(120), 기지국(130) 및 데이터 네트워크(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지상 네트워크는 단말(110)과 기지국(130) 사이에 위성(120) 또는 항공 운송 장치에 비-지상 기지국이 설치되어 단말(110)과 기지국(130)의 통신을 중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는 단말(210), 위성(220), 기지국(230) 및 데이터 네트워크(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지상 네트워크는 기지국(230)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성(220) 또는 항공 운송 장치에 설치되는 비-지상 기지국이 수행하여 단말(210)과 기지국(230)이 통신을 수행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는 단말(310), 릴레이 노드(310-1), 위성(320), 기지국(330) 및 데이터 네트워크(3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지상 네트워크는 릴레이 노드(310-1)와 기지국(330) 사이에 있는 위성(320) 또는 항공 운송 장치에 비-지상 기지국이 설치되어 통신을 중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비-지상 네트워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는 단말(410), 릴레이 노드(410-1), 위성(420), 기지국(430) 및 데이터 네트워크(4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지상 네트워크는 기지국(430)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성(420) 또는 항공 운송 장치에 설치되는 비-지상 기지국이 수행하여 릴레이 노드(410-1)와 기지국(430)이 통신을 수행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120, 220, 320, 420)은 선행문헌 [9]와 선행문헌 [10]에 기술된 트랜스패런트(transparent) 위성(HAPS(high-altitude platform station system), LEO(low earth orbit), MEO(medium earth orbit), GEO(geostationary equatorial orbit) 등) 또는 리제너레이션(regeneration) 위성(HAPS, LEO, MEO, GEO 등)일 수 있다. 선행문헌 [9]와 선행문헌 [10]에 기술된 대로 트랜스패런트 위성의 역할은 기지국의 중계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리제너레이션 위성의 경우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위성 기지국은 비-지상 기지국 또는 이동 기지국을 대표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위성은 선행문헌 [11]에 기술된 무인기(unmanned aerial vehicl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위성(120, 220, 320, 420)과 단말(110, 210, 310, 410)간에 서비스 링크(service link)가 설정될 수 있으며, 서비스 링크는 무선 링크(radio link)일 수 있다. 위성(120, 220, 320, 420)은 하나 이상의 빔들을 사용하여 단말(110, 210, 310, 41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120, 220, 320, 420)의 빔의 수신 범위(footprint)의 형상은 타원형일 수 있다.
단말(110, 210, 310, 410)은 LTE 기술 및/또는 NR 기술을 사용하여 위성(120, 220, 320, 420)과 통신(예를 들어, 하향링크 통신,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성(120, 220, 320, 420)과 단말(110, 210, 310, 410) 간의 통신은 NR-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DC(dual connectivity)가 지원되는 경우, 단말(110, 210, 310, 410)은 위성(120, 220, 320, 420)뿐만 아니라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LTE 및/또는 NR 기능을 지원하는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고, LTE 및/또는 NR 규격에 정의된 기술에 기초하여 D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30, 230, 330, 430)은 데이터 네트워크(140, 240, 340, 440)와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130, 230, 330, 430) 및 데이터 네트워크(140, 240, 340, 440)는 NR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지국(130, 230, 330, 430)과 데이터 네트워크(140, 240, 340, 440) 간의 통신은 NG-C/U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130, 230, 330, 430)은 지상 통신에서의 통상적인 기지국 또는 선행문헌 [9]와 선행문헌 [10]에 기술된 위성 기지국일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비-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엔터티들(예를 들어, 위성, 단말, 기지국 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비-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엔터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엔터티(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엔터티(5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50), 저장 장치(5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엔터티(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5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엔터티(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570)가 아니라, 프로세서(5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 송수신 장치(5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50) 및 저장 장치(5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1. 단말의 모니터링 대기 및 해당 파라미터
기지국은 공통 지연(common delay, CD)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을 단말에게 MIB(master information block)나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장거리 통신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른 공통 지연 시간 및 차등 지연 시간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통 지연 시간은 위성(620)의 영역 내에서 수직 방향 아래에 있는 단말(610-1)과 위성(620) 간의 거리(611)에 따른 왕복 지연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차등 지연 시간은 다양한 지점에 위치한 단말(610-2)과 위성(620)간의 거리(612)에 따른 왕복 지연 시간에서 공통 지연 시간을 감산한 지연 시간일 수 있다. 즉, 단말(610-1)의 왕복 지연 시간과 단말(610-2)의 왕복 지연 시간은 차등 지연 시간만큼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단말(610-1)에서 전송한 신호와 단말(610-2)에서 전송한 신호가 위성(620)에 도달하는 시점들은 차등 지연 시간만큼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비-지상 네트워크 환경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공통 지연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지상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적어도 3 종류의 무선 링크가 존재할 수 있다. 적어도 3 종류의 무선 링크들은 단말(710)과 위성(721) 간의 서비스 링크(service link)(731), 위성 간 링크(intersatellite link)(741) 및 데이터 네트워크(770)에 연결된 기지국(760)과 위성들(721, 722)간의 피더 링크(feeder link)(751, 7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링크의 공통 지연 시간, 위성간 링크의 공통 지연 시간, 피더 링크의 공통 지연 시간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은 단말과 위성 사이의 왕복 지연 시간(RTT)을 나타내는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CD_SL)와 위성과 기지국 사이의 왕복 지연 시간(RTT)을 나타내는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CD_FL)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은 단말과 위성 사이의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위성과 기지국 사이의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더한 후에 왕복 지연 마진값을 더한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CD_TL)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는 CD_SL+CD_FL+ 왕복 지연 마진값일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은 단말과 위성 사이의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와 위성과 기지국 사이의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더한 제4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CD_SL+CD_FL)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은 위성에서 상향 또는 하향 링크시 반송파(carrier) 또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변경에 따라 지연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변경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위성과 기지국 사이의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가 하향 링크시 반송파 또는 대역폭 부분을 변경하는데 따른 지연 시간을 반영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여기서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는 하향 링크시 반송파 또는 대역폭 부분을 변경하는데 따른 지연 시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인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내지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은 셀 특정(cell-specific), 빔 특정(beam-specific) 또는 대역폭 부분 특정(BWP-specific)일 수 있다.
이처럼,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셀-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셀 당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셀-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고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셀-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셀-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다중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빔-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빔 당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빔-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고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빔-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빔-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다중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대역폭 부분-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대역폭 부분 당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대역폭 부분-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고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대역폭 부분-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이 대역폭 부분-특정적 파라미터인 경우 다중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단말에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내지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을 RRC(radio resource control),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또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된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내지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을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기지국은 단말의 타이밍 관리를 위하여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밍 파라미터들은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와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즉, Bt)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파라미터들은 셀-특정, 빔-특정 또는 대역폭 부분-특정일 수 있다. 타이밍 파라미터들의 각각은 하나의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타이밍 파라미터들의 각각은 다중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단말에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된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하나의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다중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과 동일한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과 다른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가 해당 셀 또는 빔 커버리지 내에서 단말과 위성간의 최소 왕복 지연 시간인 경우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해당 셀 또는 빔 커버리지 내에서 단말과 위성간의 최대 왕복 지연 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주로 단말의 전송 타이밍 관리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Pc1, Pc2, Pc3, Pc4, Pc5,…, Pc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그리고, Pc1, Pc2, Pc3, Pc4, Pc5,…, Pcn은 일 예로, {0, CD_SL, CD_FL, CD_SL+CD_FL, CD_TL} 중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이때, CD_SL과 CD_FL은 각각 ED_SL과 ED_FL로 대체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는 슬롯,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다. 기지국은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는 통신 사업자에 의해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값일 수 있다. 이러한,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는 하나의 값일 수 있다. 또는,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는 다중 값일 수 있다. 일예로,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는 Bt1, Bt2, Bt3, Bt4, Bt5,…,Bt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Bt1, Bt2, Bt3, Bt4, Bt5,…,Btn은 예를 들어 양수값의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4 슬롯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기지국은 왕복 지연 시간에 해당하는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내지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외에 좌표를 나타낼 수 있는 위치 파라미터들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파라미터들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파라미터들은 위성의 위치를 좌표(즉, AX_SL)나 인덱스(즉, AX_ID_SL)로 나타내는 제1 위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파라미터들은 기지국의 위치를 좌표(즉, AX_FL)나 인덱스(즉, AX_ID_FL)로 나타내는 제2 위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위성과 기지국의 위치는 모두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위성의 위치는 천문력(ephemeris)을 사용할 수 있다. 위성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위치 파라미터는 모든 상용 위성의 궤도 역학의 주요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천문력 또는 궤도력은 별과 다른 천체의 위치와 궤도 동작을 기술하기 위해 천문학자가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객체(object)에 대한 천문력은 TLE(two-line element)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파일로 표현할 수 있다. TLE 데이터 포맷은 위성과 같은 지구 궤도 대상의 궤도 요소 목록을 두 개의 70컬럼(columns) 라인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위성 천문력은 위성의 위치, 속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기지국이 직접적인 좌표들(즉, AX_SL, AX_FL)을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인덱스들(즉, AX_ID_SL, AX_ID_FL)을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인덱스들(즉, AX_ID_SL, AX_ID_FL)을 단말에게 전송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인덱스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한 인덱스들을 이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천문력과 해당 인덱스들을 매핑하여 위성과 기지국의 좌표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인덱스들은 위성과 기지국에 따라 각각 인덱스(즉, AX_ID_SL 또는 AX_ID_FL)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인덱스는 위성의 좌표를 나타내는 인덱스(AX_ID_SL)와 기지국의 좌표를 나타내는 인덱스(AX_ID_FL)로 구성된 통합 인덱스(즉, AX_ID)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의 좌표와 위성의 좌표를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단말의 좌표와 기지국의 좌표를 이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위성의 좌표와 기지국의 좌표를 이용하여 위성과 기지국의 왕복 지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인덱스들이 위성과 기지국의 각각에 따라 구성되는 경우 피더 링크 스위칭시에 기지국의 좌표 인덱스(즉, AX_ID_FL)를 변경함으로써 기지국의 좌표를 단말이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좌표 이외에 타임 스탬프(time stamp)들을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타임 스탬프들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은 위성에게 특정 신호(일 예로, MIB, SIB,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또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때의 전송 시점을 나타내는 제1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즉, TSM_FL)를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위성이 단말에게 특정 신호를 전송할 때의 전송 시점을 나타내는 제2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즉, TSM_SL)를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와 제2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GNSS를 이용하여 위성이나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제1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 제2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 및 특정 신호를 수신한 수신 시점의 차이를 통해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과 위성과 기지국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은 공통 지연에 해당하는 지연 파라미터들,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파라미터들, 타임 스탬프에 해당하는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 및 타이밍 관리를 위한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상황에 따라 모두 구성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공통 지연에 해당하는 지연 파라미터들,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파라미터들, 타임 스탬프에 해당하는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 및 타이밍 관리를 위한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상황에 따라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공통 지연에 해당하는 지연 파라미터들,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파라미터들, 타임 스탬프에 해당하는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 및 타이밍 관리를 위한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상황에 따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파라미터들을 설정한 경우에 단말로 설정된 파라미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타이밍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계산(또는 추정)한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은 제1 추정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ED_SL)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ED_SL과 CD_SL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계산(또는 추정)한 기지국과 위성의 왕복 지연 시간은 제2 추정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ED_FL)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ED_FL과 CD_FL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파라미터들을 활용하여 단말은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해당 파라미터들을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연 파라미터들은 제1 추정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와 제2 추정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획득, 전력 제어, 상향링크 자원 요청, 및/또는 핸드오버(handover)를 위해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가 수행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자원들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 preamble)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RAO(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 occasion slot)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RAPIdx(RA preamble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자기 상관 특성을 가지는 시퀀스(sequence)로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간의 랜덤 액세스 절차는 랜덤 액세스 자원들(예를 들어, RAO 및 RAPIdx)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RAO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송수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일 수 있다. 시간 영역에서 RAO의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프리앰블 포맷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서 RAO의 길이는 하나 이상의 심볼들, 하나 이상의 슬롯들, 또는 서브프레임의 길이일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 RAO는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어,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내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위성으로 동기 신호(예를 들어, SS/PBCH(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를 전송할 수 있다. 위성은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동기 신호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예를 들어, 하향링크 타이밍)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예를 들어, SS/PBCH 블록)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위성으로 PRACH 설정 정보, 지연 파라미터들, 위치 파라미터들,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 또는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10-1). 이에 따라, 위성은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시스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810-2).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로부터 PRACH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수신한 시스템 정보로부터 지연 파라미터들, 위치 파라미터들,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 또는,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과 기지국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위성에 기지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변형하여 적용가능할 수 있다.
PRACH 설정 정보는 PRACH의 시간 주파수 자원들을 지시하는 정보, RA 프리앰블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프리앰블 집합 #0-1의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PRACH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대신에 다른 메시지(예를 들어, RRC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PRACH 설정 정보를 획득한 경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연 파라미터들은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내지 제4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파라미터들은 제1 위치 파라미터 및 제2 위치 파라미터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은 제1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 및 제2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파라미터들은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 및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들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랜덤 액세스 절차는 기지국에 의해 초기화 될 수 있다. 단말은 프리앰블 집합 #0 또는 #1 내에서 하나의 RA 프리앰블 시퀀스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프리앰블 집합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단말은 선택된 RA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하여 RA 프리앰블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RA 프리앰블을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S820-1). 단말은 RA 프리앰블을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PRACH(예를 들어, RAO)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RA 프리앰블은 RA Msg 1로 지칭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이 초기 접속을 위해 PRACH(Msg 1)를 전송하는 경우 SSB와 매핑되는 RAO에 해당하는 시간보다 제1 타이밍 조정값(즉, Pc1-Bt1)만큼 빠른 제1 전송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타이밍 조정값을 구성하는 제1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즉, Bt1)는 슬롯,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이밍 조정값을 구성하는 제1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Pc1)은 {0, CD_SL, CD_FL, CD_SL+CD_FL, CD_TL} 중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이때, CD_SL과 CD_FL은 각각 ED_SL과 ED_FL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GNSS을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 제1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ED_SL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이 GNSS을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없는 경우 제1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CD_SL일 수 있다.
한편, 위성은 단말로부터 RA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RA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820-2). 기지국은 PRACH(예를 들어, RAO)에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위성으로부터 RA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RA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RAR(random access response)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RAR을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S830-1). RAR은 RA Msg 2로 지칭될 수 있다. 위성은 기지국으로부터 RAR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RAR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830-2).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RAR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PRACH를 전송 후 랜덤 액세스 오프셋(offset) 시간(즉, RA_of) 뒤에 RAR 수신을 위한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서 수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 윈도우 시간(즉, RA-response window) 동안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오프셋 시간(즉, RA_of)은 제2 타이밍 조정값(즉, Pc2-Bt2)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Pc2)는 {0, CD_SL, CD_FL, CD_SL+CD_FL, CD_TL}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CD_SL과 CD_FL은 각각 ED_SL과 ED_FL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GNSS을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 Pc2는 ED_SL+CD_FL일 수 있으며, GNSS을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없는 경우 Pc2는 CD_SL+CD_FL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타이밍 조정값을 구성하는 제2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즉, Bt2)는 슬롯,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다. 기지국은 제2 타이밍 조정값을 MIB 또는 SIB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2 타이밍 조정값은 단말에 위에서 기술한 여러 파라미터들에서 하나의 값으로 통신 사업자에게 의해 초기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된 제2 타이밍 조정값을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셀 또는 빔 변경(switching, 아래에 기술하는 빔 실패 복구와는 다름)시 위에 기술한 해당 파라미터는 변경되는 셀 또는 빔의 관련 파라미터를 따를 수 있다.
한편, 단말이 RAR을 수신 후 Msg 3를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S840-1). 이때, 종래 방식에 의하면, 단말은 RAR을 수신할 수 있고, K2(또는 K1)+δ 시간으로 이루어진 응답 지연 시간이 지난 후에 Msg 3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K1 또는 K2는 슬롯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고, K1은 0, 1, 2, 3,…, 15중에 하나일 수 있고, K2는 0, 1, 2, 3,…, 7중에 하나일 수 있다. δ는 임의의 작은 양수값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K2(또는 K1)+ δ로 이루어진 응답 지연 시간에 제3 타이밍 조정값(즉, Pc3-Bt3)을 더한 제3 전송 시점에 Msg 3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타이밍 조정값에서 제3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Pc3)는 {0, CD_SL, CD_FL, CD_SL+CD_FL, CD_TL} 중 하나의 값 또는 기지국이 브로드 캐스팅하는 임의의 값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CD_SL과 CD_FL은 각각 ED_SL과 ED_FL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값은 단말과 위성간의 제1 최대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CD_SL_max)일 수 있다. 또는, 임의의 값은 기지국과 단말간의 제2 최대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CD_TL_max)일 수 있다. 이에 따라, Pc3는 CD_SL_max일 수 있거나, CD_TL_max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최대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와 제2 최대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는 단계 S810-1과 S810-2에서 기지국에 의해 단말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의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즉, Bt3)는 슬롯,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값(예를 들어 양수값의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일 수 있으며, 0일 수 있다. 제3 타이밍 조정값은 CD_SL_max일 수 있거나, CD_TL_max일 수 있다.
기지국은 CD_SL_max에 해당하는 제1 최대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GNSS를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 ED_SL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한 ED_SL이 제3 타이밍 조정값 또는 CD_SL_max보다 큰 경우 단말은 해당 셀 또는 빔에 접속하지 않고 다른 셀 또는 다른 빔에 대해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CD_SL_max가 셀-특정 또는 빔-특정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이처럼 추정한 ED_SL이 제3 타이밍 조정값 또는 CD_SL_max보다 큰 경우에 단말이 해당 셀 또는 빔에 접속하지 않고 다른 셀 또는 다른 빔에 대해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빔 스위칭, 빔 실패 복구 또는 핸드오버시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sg 3에 ED_SL을 포함하여 위성을 경유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위성을 경유하여 전송된 ED_SL을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의 ED_SL을 획득한 이후의 단말 전송 타이밍 관리에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 대신에 업데이트된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_up)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위성은 단말로부터 Msg 3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Msg 3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840-2). 이에 따라, 기지국은 위성으로부터 Msg 3을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Msg 3에 대한 응답으로 Msg 4를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S850-1). 위성은 Msg 4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Msg 4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850-2). Msg 4는 Msg 3에 포함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Msg 4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위성을 경유하여 Msg 4가 수신된 경우에 경쟁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Msg 4를 수신하는데 있어서, Msg 4를 수신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간의 오프셋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단말은 Msg 3를 전송 후에 Msg 4 모니터링 오프셋 시간(즉, M4_of) 뒤에 Msg 4 수신을 위한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Msg 4 모니터링 오프셋 시간(즉, M4_of)은 제4 타이밍 조정값(즉, Pc4-Bt4)일 수 있으며, 제4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Pc4)는 {0, CD_SL, CD_FL, CD_SL+CD_FL, CD_TL} 중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CD_SL은 ED_SL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CD_SL은 각각 기지국과 단말의 타이밍 조정 절차에 따른 단말의 빔 실패 복구를 위한 PRACH 전송 시까지의 단말이 인지하고 있는 가장 최근의 단말과 위성 사이의 왕복 지연 시간(RTT) 파라미터(즉, TA_UE_SL)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일 예로 TA_UE_SL일 수 있다. 그리고, CD_FL은 ED_FL로 대체될 수 있다. 또는, CD_FL은 각각 기지국과 단말의 타이밍 조정 절차에 따른 단말의 빔 실패 복구를 위한 PRACH 전송 시까지의 단말이 인지하고 있는 가장 최근의 위성과 기지국의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TA_UE_FL)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일 예로 TA_UE_FL일 수 있다. 제4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즉, Bt4)는 슬롯 또는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기지국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값(예를 들어 양수값의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일 수 있으며, 0일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제4 타이밍 조정값을 MIB, SIB 또는 RAR을 통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제4 타이밍 조정값을 제2 타이밍 조정값과 동일한 값으로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위성을 경유하여 제4 타이밍 조정값을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은 제4 타이밍 조정값을 위에서 기술한 여러 파라미터 값 중 하나의 값으로 통신 사업자에 의해 초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제4 타이밍 조정값을 RRC, MAC-CE 또는 DCI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셀 또는 빔 변경(switching, 아래에 기술하는 빔 실패 복구와는 다름)시 위에 기술한 해당 파라미터는 변경되는 셀 또는 빔의 관련 파라미터를 따를 수 있다.
도 9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위성으로 동기 신호(예를 들어, SS/PBCH 블록)를 전송할 수 있다. 위성은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동기 신호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프레임의 동기(예를 들어, 하향링크 타이밍)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예를 들어, SS/PBCH 블록)는 PSS 및 SS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위성으로 PRACH 설정 정보, 지연 파라미터들, 위치 파라미터들,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 또는,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10-1). 위성은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시스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910-2).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로부터 PRACH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수신한 시스템 정보로부터 지연 파라미터들, 위치 파라미터들,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 또는,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과 기지국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위성에 기지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수 있다.
PRACH 설정 정보는 PRACH의 시간 주파수 자원들을 지시하는 정보, RA 프리앰블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프리앰블 집합 #0-1의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PRACH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대신에 다른 메시지(예를 들어, RRC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에서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PRACH 설정 정보를 획득한 경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연 파라미터들은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내지 제4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들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파라미터들은 제1 위치 파라미터 및 제2 위치 파라미터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은 제1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 및 제2 타임 스탬프 파라미터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파라미터들은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 및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들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랜덤 액세스 절차는 기지국에 의해 초기화 될 수 있다. 단말은 프리앰블 집합 #0 또는 #1 내에서 하나의 RA 프리앰블 시퀀스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프리앰블 집합은 기지국에 의해 위성을 경유하여 지시될 수 있다. 단말은 선택된 RA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하여 RA 프리앰블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RA 프리앰블을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S920-1). 단말은 RA 프리앰블을 기지국에 의해 위성을 경유하여 설정된 PRACH(예를 들어, RAO)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RA 프리앰블은 RA Msg A로 지칭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이 초기 접속을 위해 PRACH(Msg A)를 전송하는 경우 SSB와 매핑되는 RAO에 해당하는 시간보다 제1 타이밍 조정값(즉, Pc1-Bt1)만큼 빠른 제1 전송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이밍 조정값을 구성하는 제1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Pc1)은 {0, CD_SL, CD_FL, CD_SL+CD_FL, CD_TL} 중 하나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CD_SL과 CD_FL은 각각 ED_SL과 ED_FL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GNSS을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 제1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ED_SL일 수 있으며, GNSS을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없는 경우 제1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CD_SL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타이밍 조정값을 구성하는 제1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즉, Bt1)은 슬롯,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기지국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값(예를 들어 양수값의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일 수 있으며, 0일 수도 있다.
한편, 위성은 단말로부터 RA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RA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920-2). 기지국은 PRACH(예를 들어, RAO)에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위성으로부터 RA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RA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RAR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RAR을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S930-1). RAR은 RA Msg B로 지칭될 수 있다. 위성은 기지국으로부터 RAR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RAR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930-2).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RAR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PRACH를 전송 후 오프셋(offset) 시간(즉, RA_of) 뒤에 RAR 수신을 위한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서 위성을 경유하여 수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 윈도우 시간(즉, RA-response window) 동안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오프셋 시간(즉, RA_of)은 제2 타이밍 조정값(즉, Pc2-Bt2)일 수 있으며, 제2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Pc2)는 {0, CD_SL, CD_FL, CD_SL+CD_FL, CD_TL}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CD_SL과 CD_FL은 각각 ED_SL과 ED_FL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GNSS을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 제2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ED_SL+CD_FL일 수 있으며, GNSS을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없는 경우 제2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CD_SL+CD_FL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타이밍 조정값을 구성하는 제2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즉, Bt2)는 슬롯,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기지국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값(예를 들어 양수값의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일 수 있으며, 0일 수 있다. 기지국은 제2 타이밍 조정값을 MIB 또는 SIB를 통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2 타이밍 조정값은 단말에 위에서 기술한 여러 파라미터들에서 하나의 값으로 초기에 통신 사업자에 의해 단말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된 제2 타이밍 조정값을 RRC, MAC CE 또는 DCI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셀 또는 빔 변경(switching, 아래에 기술하는 빔 실패 복구와는 다름)시 위에 기술한 해당 파라미터는 변경되는 셀 또는 빔의 관련 파라미터를 따를 수 있다.
한편, 단말은 RAR을 수신 후 확인 응답(acknowledgement, ACK)/부정 응답(non acknowledgement, NACK)을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S940-1). 그러면 위성은 확인 응답/부정 응답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확인 응답/부정 응답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940-2). 이때, 종래 방식에 의하면, 단말은 RAR을 수신할 수 있고, K2(또는 K1)+δ 시간으로 이루어진 응답 지연 시간이 지난 후에 확인 응답/부정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K1 또는 K2는 슬롯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고, K1은 0, 1, 2, 3,…, 15중에 하나일 수 있고, K2는 0, 1, 2, 3, …, 7중에 하나일 수 있다. δ는 임의의 작은 양수값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K2(또는 K1)+ δ로 이루어진 응답 지연 시간에 제3 타이밍 조정값(즉, Pc3-Bt3)을 더한 제3 전송 시점에 확인 응답/부정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타이밍 조정값에서 제3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Pc3)는 {0, CD_SL, CD_FL, CD_SL+CD_FL, CD_TL} 중 하나의 값 또는 기지국이 브로드 캐스팅하는 임의의 값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CD_SL과 CD_FL은 각각 ED_SL과 ED_FL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값은 단말과 위성간의 제1 최대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CD_SL_max)일 수 있다. 또는, 임의의 값은 기지국과 단말간의 제2 최대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즉, CD_TL_max)일 수 있다. 이에 따라, Pc3는 CD_SL_max일 수 있거나, CD_TL_max일 수 있다. 한편, 제3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즉, Bt3)는 슬롯,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기지국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값(예를 들어 양수값의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일 수 있으며, 0일 수 있다. 제3 타이밍 조정값은 CD_SL_max일 수 있거나, CD_TL_max일 수 있다.
기지국은 CD_SL_max에 해당하는 제1 최대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GNSS를 사용하여 위성과 단말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 ED_SL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한 ED_SL이 제3 타이밍 조정값 또는 CD_SL_max보다 큰 경우 단말은 해당 셀 또는 빔에 접속하지 않고 다른 셀 또는 다른 빔에 대해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CD_SL_max가 셀-특정 또는 빔-특정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이처럼 추정한 ED_SL이 제3 타이밍 조정값 또는 CD_SL_max보다 큰 경우에 단말이 해당 셀 또는 빔에 접속하지 않고 다른 셀 또는 다른 빔에 대해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빔 스위칭, 빔 실패 복구 또는 핸드오버시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확인 응답/부정 응답에 ED_SL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위성을 경유하여 ED_SL을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의 ED_SL을 획득한 이후의 단말 전송 타이밍 관리에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 대신에 업데이트된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_up)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위성을 경유하여 확인 응답/또는 부정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과 통신 중에 빔 실패(failure)가 검출되는 경우에 빔 실패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은 빔 실패 복구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빔 실패 복구를 위해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PRACH를 통해 위성을 경유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위성을 경유하여 수신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모니터링 구간에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의 전송 시점과 미리 설정된 모니터링 구간의 시작 시점 간의 간격은 4개 슬롯들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위성을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구간에서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은 PRACH를 통해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에 4 슬롯 뒤부터 기지국의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일 예로, 복구 탐색 공간 식별자(즉 recovery Search Space Id)에 의해 제공되는 탐색 공간 집합(search space set)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이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의 모니터링을 시작하는 빔 실패 복구 오프셋(즉, BF_of)을 설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단말은 빔 복구 절차를 위한 PRACH를 전송 후에 빔 실패 응답 신호의 모니터링 오프셋 시간인 빔 실패 복구 오프셋(즉, BF_of) 뒤에 빔 실패 응답 신호의 수신을 위한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과 기지국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위성에 기지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에서 수신한 빔 실패 복구 설정(즉, beam failure recovery configuration)에 구성된 모니터링 구간에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빔 실패 응답 신호의 모니터링 오프셋 시간인 빔 실패 복구 오프셋(즉, BF_of)은 제5 타이밍 조정값(즉, Pc5-Bt5)일 수 있다. 여기서, 제5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Pc5)는 {0, CD_SL, CD_FL, CD_SL+CD_FL, CD_TL} 또는 여기에 4 슬롯을 추가한 값 중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CD_SL은 ED_SL 또는 TA_UE_SL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CD_FL은 ED_FL 또는 TA_UE_FL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5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는 TA_UE_SL+CD_FL일 수 있다. 여기서, 제5 타이밍 마진 파라미터(즉, Bt5)는 슬롯,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기지국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값(예를 들어 양수값의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일 수 있으며, 0일 수 있다. TA_UE_SL과 TA_UE_FL은 각각 기지국과 단말의 타이밍 조정 절차에 따른 단말의 빔 실패 복구를 위한 PRACH 전송 시까지의 단말이 인지하고 있는 가장 최근의 단말과 위성 사이의 왕복 지연 시간 및 위성과 기지국의 왕복 지연 시간일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제5 타이밍 조정값을 MIB, SIB 또는 RAR을 통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제5 타이밍 조정값을 제2 타이밍 조정값과 동일한 값으로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5 타이밍 조정값을 위성을 경유하여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은 제5 타이밍 조정값을 위에서 기술한 여러 파라미터 값 중 하나의 값으로 초기에 통신 사업자에게 의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제5 타이밍 조정값을 RRC, MAC-CE 또는 DCI를 통해 위성을 경유하여 변경할 수 있다. 셀 또는 빔 변경(switching, 아래에 기술하는 빔 실패 복구와는 다름)시 위에 기술한 해당 파라미터는 변경되는 셀 또는 빔의 관련 파라미터를 따를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Pc1~Pc3, Bt1~Bt3}에 대한 파라미터는 RRC 아이들 또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의 PRACH 전송 및 기지국의 대응에 따른 단말의 모니터링(PDCCH) 절차를 위한 타이밍 관리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Pc4~Pc5, Bt4~Bt5}에 대한 파라미터는 RRC 연결 모드에서 단말의 PRACH 전송 및 기지국의 대응에 따른 단말의 모니터링(PDCCH) 절차를 위한 타이밍 관리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의 경우 RRC 연결 모드에서 다음에서 기술하는 업데이트된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_up)을 적용하여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을 요구하는 DCI 시점부터 단말이 해당 DCI에 따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 사이에 대해 Msg 3의 방식과 유사하게 기존의 값(K1 또는 K2 + 기타값(규격에 명시)) 외에 추가로 업데이트된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_up)를 적용할 수 있다.
피더링크가 변경(피더링크 스위칭)되어 위성과 기지국의 왕복 지연 시간(RTT)이 변경되는 경우 기지국은 CD_FL, CD_TL 또는 기지국의 좌표값에 연관된 파라미터 또는 기지국의 타임 스탬프에 연관된 파라미터에 대해 업데이트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값들을 SIB, RRC 또는 MAC-CE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2. 단말의 PRACH 프리앰블 전송 기준
단말이 RRC 아이들 모드에서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때 단말은 GNSS를 이용하여 추정한 링크(위성과 단말간 링크, 릴레이와 단말간 링크 또는 기지국과 단말간 링크중 어느 하나)의 왕복 지연 시간을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시점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단말의 PRACH 프리앰블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의 PRACH 프리앰블 전송 방법에서 단말은 GNSS를 이용하여 링크(위성과 단말간 링크, 릴레이와 단말간 링크 또는 기지국과 단말간 링크중 어느 하나)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하여 제1 추정값(즉, TSR)을 산출할 수 있다(S1101). 여기서, 제1 추정값은 제1 추정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더한 값에 전송 마진을 더한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추정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더한 값을 제3 왕복 지연 파라미터(즉, ED_TL)이라고 하면, 제1 추정값은 ED_TL+전송 마진일 수 있다. 즉, 제1 추정값은 ED_SL+CD_FL+전송 마진일 수 있다. 전송 마진은 슬롯, 심볼 또는 시간 단위의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기지국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에 셋팅되어 있는 값(예를 들어 양수값의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일 수 있으며, 0일 수 있다. 여기서, 전송 마진은 심볼 단위수가 4 슬롯 이하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추정값은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제2 추정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더한 값에 전송 마진을 더한 값일 수 있다. 또는, 제1 추정값은 제1 추정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제2 추정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더한 값에 전송 마진을 더한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위성과 기지국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위성에 기지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변형하여 적용가능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은 RRC 아이들 또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추정한 제1 추정값이 임의의 제1 기준 시간(즉, THCN)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02). 판단 결과, 단말은 제1 추정값이 임의의 제1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PRACH 프리앰블을 재전송하는 경우에 이전 추정값을 적용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S1103). 이처럼 단말이 이전 추정값을 적용하는 경우 버퍼(또는 메모리)에 있는 이전 추정값 중에서 가장 최근값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이전 추정값을 적용하는 경우에 현재부터 임의의 제1 기준 윈도우 시간(즉, THWN)전까지의 시간 윈도우 내에 있는 경우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일정 시간이 지나 더 이상 유효하게 되지 않은 이전 추정값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계속해서 왕복 지연 시간들을 추정하여 제1 추정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제1 기준 윈도우 시간을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RRC를 통하여 제1 기준 윈도우 시간을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제1 기준 윈도우 시간은 기존의 윈도우 파라미터(예를 들어, RA-response window 등)에 매핑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새로운 RRC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제1 기준 윈도우 시간을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준 윈도우 시간을 위성을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1 기준 윈도우 시간을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제1 추정값이 임의의 제1 기준 시간보다 작으면 해당값을 무시할 수 있고, PRACH 프리앰블을 처음 전송하는 경우에 프리앰블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현재 단말이 현재 추정값이 제1 기준 시간보다 작아서 해당값을 무시할 수 있고, 프리앰블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제1 기준 시간 이상의 값이 추정될 때까지 계속 기지국이 보내는 신호를 측정하여 제1 추정값을 업데이트하면서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추정값은 추정한 왕복 지연 시간(RTT) 또는 추정한 왕복 지연 시간(RTT)에 기지국이 전송한 정보의 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이 전송한 정보는 셀-특정, 빔-특정 또는 단말-특정 파라미터로서 기지국이 정의하는 왕복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기준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정의하는 왕국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기준값은 셀 또는 빔의 커버리지내의 서비스 링크, 피더 링크 또는 (서비스링크+피더링크)의 최소 왕복 지연 시간일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 정의하는 왕국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기준값은 셀 또는 빔의 커버리지내의 서비스 링크, 피더 링크 또는 (서비스링크+피더링크)의 최소 왕복 지연 시간에 임의의 추정 마진을 더한 값일 수 있다.
한편, 제1 기준 시간은 기지국이 전송한 정보 또는 설정한 값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이 전송한 정보는 0, 셀-특정, 빔-특정 또는 단말-특정 파라미터로 기지국이 정의하는 왕복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기준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정의하는 왕국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기준값은 셀 또는 빔의 커버리지내의 서비스 링크, 피더 링크 또는 (서비스링크+피더링크)의 최소 왕복 지연 시간일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 정의하는 왕국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기준값은 셀 또는 빔의 커버리지내의 서비스 링크, 피더 링크 또는 (서비스링크+피더링크)의 최소 왕복 지연 시간에 임의의 추정 마진을 더한 값일 수 있다. 기지국이 전송한 정보에 대해 제1 기준 시간을 매핑하는 방식은 기지국이 제1 기준 시간을 결정하여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준 시간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1 기준 시간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은 암묵적으로 기지국의 전송 정보를 제1 기준 시간으로 매핑할 수 있다.
한편, S1102의 판단 결과, 제1 추정값이 임의의 제1 기준 시간보다 큰 경우에, 단말은 제2 기준 시간(즉, THCM)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04). 판단 결과, 단말은 제1 추정값이 제2 기준 시간보다 크면 프리앰블을 재전송하는 경우에 이전 추정값을 적용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S1103).
이처럼 단말이 이전 추정값을 적용하는 경우 버퍼(또는 메모리)에 있는 이전 추정값 중에서 가장 최근값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이 이전 추정값을 적용하는 경우에 현재부터 임의의 제2 기준 윈도우 시간(즉, THWM)전까지의 시간 윈도우 내에 있는 경우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2 기준 윈도우 시간을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RRC를 통하여 제2 기준 윈도우 시간을 단말에게 위성을 경유하여 지시할 수 있다. 제2 기준 윈도우 시간은 기존의 윈도우 파라미터(예를 들어, RA-response window 등)에 매핑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새로운 RRC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제2 기준 윈도우 시간을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준 윈도우 시간을 위성을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2 기준 윈도우 시간을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제1 추정값이 임의의 제2 기준 시간보다 크면 해당값을 무시할 수 있고, 프리앰블을 처음 전송하는 경우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현재 단말이 현재 추정값이 제2 기준 시간보다 커서 해당값을 무시할 수 있고, 프리앰블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제2 기준 시간 미만의 값이 추정될 때까지 계속 기지국이 위성을 경유하여 보내는 신호를 측정하여 제1 추정값을 업데이트하여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기준 시간은 기지국이 전송한 정보 또는 설정한 값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이 전송한 정보는 0, 셀-특정, 빔-특정 또는 단말-특정 파라미터로 기지국이 정의하는 왕복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기준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정의하는 왕국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기준값은 셀 또는 빔의 커버리지내의 서비스 링크, 피더 링크 또는 (서비스링크+피더링크)의 최대 왕복 지연 시간일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 정의하는 왕국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의 기준값은 셀 또는 빔의 커버리지내의 서비스 링크, 피더 링크 또는 (서비스링크+피더링크)의 최대 왕복 지연 시간에 임의의 추정 마진을 더한 값일 수 있다. 기지국이 전송한 정보에 대해 제2 기준 시간을 매핑하는 방식은 기지국이 제2 기준 시간을 결정하여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준 시간을 위성을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2 기준 시간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은 암묵적으로 기지국의 전송 정보를 제2 기준 시간으로 매핑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104에서 단말은 제1 추정값이 제2 기준 신호 미만이면 PRACH 프리앰블을 위성을 경유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1105). 한편, 단말은 RRC 아이들 모드, 비활성화 모드 또는 RRC 연결 모드에서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하여 해당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PRACH 프리앰블을 재전송하여 연결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PRACH 프리앰블을 재전송할 때 이전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때 이용한 이전 추정값을 활용할 수도 있고 또는 새로운 추정값을 활용할 수 있다. 단말이 이전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때 이용한 이전 추정값을 활용하는 경우 임의의 시간 윈도우내에 있는 이전의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해 활용한 이전 추정값 중에서 가장 최근의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새로운 추정값은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프리앰블 전송 시점(즉, TPS)에서 이전의 가장 가까운 시점의 GNSS를 활용하여 추정한 서비스링크의 왕복 지연 시간 또는 추정한 서비스링크의 왕복 지연 시간와 기지국이 전송한 정보의 합이 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추정값은 이전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때 이용한 이전 추정값부터 PRACH 프리앰블을 재전송하기 위한 프리앰블 전송 시점에서 이전의 가장 가까운 시점에 추정한 추정값까지의 평균값 또는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프리앰블 전송 시점에서 이전의 가장 가까운 시점에 추정한 추정값부터 임의의 시간 윈도우내에 있는 이전의 추정값까지의 평균값이 될 수 있다. 임의의 시간 윈도우는 제1 기준 시간 또는 제2 기준 시간이 활용될 수 있거나 기존의 윈도우 파라미터(예를 들어, ra-responsewindow 등)로 매핑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시간 윈도우는 기지국이 새로운 RRC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위성을 경유하여 임의의 시간 윈도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시간 윈도우를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프리앰블 전송 시점은 하나의 예로 3GPPP TS 38.213에 기술한 상위계층(higher layer)에서 PRACH의 전송을 지시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메모리 내에 또는 임의의 윈도우 내에 이전 또는 새로운 추정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새로운 추정값을 추정할 때까지 PARCH 전송을 하지 않을 수 있고, 대기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GNSS를 활용하여 추정한 왕복 지연 시간이 아닌 기지국의 전송 정보만을 활용하여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경우 위에서 기술한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제1 기준 시간과 제2 기준 시간을 무시할 수 있다. RRC 아이들 또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단말이 추정한 왕복 지연 시간을 사용할지 여부는 기지국이 MIB, SIB 또는 DCI로 사용할지 여부를 알려주는 파라미터를 전송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는 {THCN, THCM, THWN, THWM} 중 일부 또는 전체 파라미터가 구성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기지국의 전송 정보만을 활용하여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시점에 적용되는 전송 시점 파라미터가 구성된 경우 단말은 기지국의 전송 정보만을 활용하여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3. 단말의 타이밍 업데이트 및 해당 파라미터
초기접속을 통해 단말이 기지국 또는 위성과의 왕복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값을 획득한 후 단말, 위성 또는 기지국의 이동으로 인해 왕복 지연 시간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 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도 12는 단말의 타이밍 업데이트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의 타이밍 업데이트 방법에서 기지국은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timing drift rate),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의 적용 시점 및 업데이트 주기를 포함하는 타이밍 업데이트 정보를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S1201-1). 이에 따라, 위성은 기지국으로부터 타이밍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타이밍 업데이트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201-2). 그러면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타이밍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타이밍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타이밍 드리프트 적용 시점부터 주기적으로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에 따라 타이밍 어드밴스값을 업데이트하여 업데이트된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self)을 획득할 수 있다(S1202). 이처럼 기지국은 단말이 언제부터 어떤 주기로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를 활용하여 타이밍 어드밴스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를 타이밍 업데이트 정보를 통하여 단말에게 위성을 경유하여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위성의 움직임에 따른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를 SIB, RRC, MAC-CE 또는 DCI를 통해 위성을 경유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는 셀-특정, 빔-특정 또는 단말-특정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SIB, RRC, MAC-CE 또는 DCI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과 위성간 왕복 지연 시간에 대한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는 단말-특정 파라미터로, 위성과 기지국간 왕복 지연 시간에 대한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는 셀-특정 또는 빔-특정 파라미터로 기지국에서 단말로 각각 전송될 수 있거나 하나의 파라미터(예를 들어, 단말과 위성간 RTT에 대한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가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단말과 위성간 왕복 지연 시간에 대한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와 위성과 기지국간 왕복 지연 시간에 대한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가 더해진 하나의 파라미터가 단말-특정 파라미터로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성과 기지국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위성에 기지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단말과 위성간 왕복 지연 시간 업데이트는 타이밍 드래프트 레이트 대신에 위성의 천문력과 단말의 위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말과 위성간 왕복 지연 시간 업데이트는 기지국이 단말로 제1 타이밍 변경값을 위성을 경유하여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이 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과의 타이밍 변경시 단말에게 제1 타이밍 변경값을 타이밍 조정 절차에 따라 위성에게 전송할 수 있다(S1203-1). 그러면, 위성은 제1 타이밍 변경값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1 타이밍 변경값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203-2). 이에 따라, 단말은 제1 타이밍 변경값을 위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이전 타이밍 어드밴스값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현 시점의 정확한 타이밍 어드밴스값과의 차이값(즉, 제1 타이밍 변경값)을 단말에게 위성을 경유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타이밍 변경값을 위성을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고, 이전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old)에 제1 타이밍 변경값(즉, TA_Dif)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new)을 산출할 수 있다(S1204).
한편, 이와 같은 상황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언제부터 어떤 주기로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를 반영하는지를 알려준 경우에 기지국도 단말에게 제1 타이밍 변경값을 전송하는 시점(즉, T1)의 단말이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된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self)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타이밍 변경값의 전송 시점(즉, T1)의 이전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old)은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self)일 수 있다. 기지국은 업데이트된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self)를 기준으로 현재 타이밍 어드밴스값과의 차이인 제1 타이밍 변경값(즉, TA_Dif)을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제1 타이밍 변경값을 수신하여 수신한 제1 타이밍 변경값을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이전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old)을 기지국이 제1 타이밍 변경값을 전송한 시점(즉, T1) 이전의 가장 최근의 업데이트된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self)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이전 타이밍 어드밴스값(즉, TA_old)을 제1 타이밍 변경값을 수신한 타이밍 변경값 수신 시점(즉, T2) 이전의 가장 최근의 타이밍 어드밴스값(TA_self)으로 가정할 수 있고, 제1 타이밍 변경값을 반영하여 새로운 타이밍 어드밴스값(TA_new)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이밍 변경값 전송 시점은 SSB, CSI-RS, 특정 SIB, 타임 스탬프 또는 좌표값에 연관된 파라미터를 기지국이 전송한 시점일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자체적인 타이밍 어드밴스값의 업데이트를 비주기적/주기적/반영구적인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자체적인 업데이트 시작을 트리거링 하는 파라미터를 DCI, MAC-CE 또는 RRC 파라미터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주기에 대한 파라미터는 MAC-CE나 RRC 파라미터로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자체적으로 타이밍 어드밴스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기지국의 제1 타이밍 변경값(TA_Dif)을 수신하여 타이밍 어드밴스값을 업데이트한 후 새로운 단말의 자체적인 업데이트 시작을 트리거링 하는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전까지 단말은 자체적인 업데이트를 중단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의 자체적인 업데이트 중단을 위해 기지국이 DCI나 MAC-CE를 활용하여 특정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지국은 단말의 자체 타이밍 업데이트값의 업데이트에 대한 활성/비활성화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업데이트된 타이밍 어드밴스값(TA_self)은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를 활용할 수도 있고 또는 위에서 기술한 좌표값 또는 타임 스탬프 값을 활용하여 단말의 위치정보와 함께 단말이 계산할 수 있다. 단말이 위성 천문력과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타이밍 어드밴스값을 업데이트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정한 시점에서 해당 주기로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이 타이밍 어드밴스 명령(즉, TA command)을 통해 전송한 제1 타이밍 변경값(즉, TA_Dif)을 수신하여 단말이 자체적으로 업데이트한 타이밍 어드밴스값과의 차이값인 제2 타이밍 변경값(즉, TA_Ue)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제2 타이밍 변경값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주기적/반영구적으로 제2 타이밍 변경값(즉, TA_Ue)을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S1205-1). 그러면, 위성은 제2 타이밍 변경값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2 타이밍 변경값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1205-2). 기지국은 위성으로부터 제2 타이밍 변경값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를 업데이트하여 업데이트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_up)를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를 셀-특정, 빔-특정 파라미터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업데이트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_up)는 단말-특정 파라미터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과 기지국간 왕복 지연 시간 또는 단말과 위성간 왕복 지연 시간에 대한 추정값을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획득한 왕복 지연 시간들을 고려하여 단말의 전송에 대한 자원 위치를 할당하는 값과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의 차이값을 단말에게 MAC-CE나 DCI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차이값을 직접 알려줄 수도 있고, RRC로 여러 값에 대한 테이블을 구성 후에 해당 인덱스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은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와의 차이값을 획득 후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와 차이값을 더해 업데이트 타이밍 관리 파라미터(즉, Kof_up)를 추정할 수 있다.
4. 타이밍 파라미터의 QCL(Quasi-Co Location)
위에서 기술한 파라미터에 대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RS(reference signal)와 전송 신호간의 상관 관계(즉, QCL)를 알려줄 수 있다. {공통 지연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좌표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타임 스탬프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타이밍 관리를 위한 파라미터(즉, Kof) 및 타이밍 드리프트 레이트} 중 전체 또는 일부 파라미터에 대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RS(일 예로, SSB, CSI-RS 또는 PDCCH)와 전송 신호간의 QCL을 설정할 수 있다. 해당 QCL은 기존 QCL 유형 (A~D)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해당 QCL은 새로운 QCL 유형(일 예로 E)로 정의할 있다. 기지국은 해당 QCL을 RRC로 구성할 수 있고, MAC-CE나 DCI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특정 RS에 해당하는 QCL 유형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할 신호가 특정 RS와 동일한 타이밍 파라미터를 사용함을 인지할 수 있고, 해당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수신 또는 전송(PUCCH/PUSCH)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새로운 QCL 유형에 BWP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BWP ID는 빔-특정 파라미터일 수 있다. 단말은 특정 RS에 해당하는 QCL 유형을 획득하는 경우 기지국이 전송할 신호가 특정 RS와 동일한 BWP를 사용함을 인지할 수 있고, 해당 전송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 QCL에 지시된 BWP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단말, 위성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의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오케이젼(occasion)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 간에 설정된 서비스 링크(service link)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PRACH 오케이젼보다 상기 제1 조정값 이전의 제1 시점에 PRACH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의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RAR(random access response)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2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지연 시간에서 상기 제2 조정값 이후의 제2 시점에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상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 간에 피더 링크(feeder link)가 설정되고, 상기 위성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상기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가산한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제1 마진을 가산한 제4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진은 심볼 단위로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상기 위성에서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점인 타임 스탬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과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하여 추정 왕복 시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왕복 시간 파라미터를 상기 추정 왕복 시간 파라미터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값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공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내지 제4 공통 지연 시간 파라미터중에서 어느 하나에 제2 마진을 감산하여 산출되며, 상기 제2 마진은 심볼 단위로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RAR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PRACH 프리앰블을 전송 후 랜덤 액세스 오프셋에 제3 조정값을 가산한 제3 시점에 상기 RAR를 수신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기 RAR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빔 실패를 탐지하는 단계;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한 오프셋 시간 후에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단말, 위성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위성에서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점인 타임 스탬프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위성의 왕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에 설정된 서비스 링크(service link)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임 스탬프와 상기 왕복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기지국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하여 제1 추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정값이 임계값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정값이 상기 임계값 범위에 포함되면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 간에 피더 링크(feeder link)가 설정되고, 상기 위성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정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상기 수신 시점과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하여 추정 왕복 시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왕복 지연 시간에 상기 왕복 지연 시간을 가산하여 상기 제1 추정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추정값이 상기 임계값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프리앰블 전송이 재전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프리앰블 전송이 재전송이면 재전송 시점의 이전에 추정된 왕복 지연 시간인 제2 추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재전송 시점으로부터 앞서는 제1 시간 윈도우 구간 이내에 상기 제2 추정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제1 시간 윈도우 구간 이내에 상기 제2 추정값이 존재하면 상기 제2 추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단말, 위성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의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오케이젼(occasion)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 간에 설정된 서비스 링크(service link)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조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PRACH 오케이젼보다 상기 제1 조정값 이전의 제1 시점에 PRACH 프리앰블을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의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RAR(random access response)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2 조정값을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응답 지연 시간에서 상기 제2 조정값 이후의 제2 시점에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상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 간에 피더 링크(feeder link)가 설정되고, 상기 위성은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단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상기 위성과 상기 기지국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상기 제1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를 가산한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제3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에 제1 마진을 가산한 제4 왕복 지연 시간 파라미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진은 심볼 단위로 설정되는, 단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상기 위성에서 하향 링크 신호의 전송 시점인 타임 스탬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시점과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위성간의 왕복 지연 시간을 추정하여 추정 왕복 시간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왕복 시간 파라미터를 상기 추정 왕복 시간 파라미터로 대체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RAR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상기 PRACH 프리앰블을 전송 후 랜덤 액세스 오프셋에 제3 조정값을 가산한 제3 시점에 상기 RAR를 수신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시작하고; 그리고
    상기 응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기 RAR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단말이,
    빔 실패를 탐지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 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공통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한 오프셋 시간 후에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응답 신호를 상기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KR1020210134166A 2020-10-23 2021-10-08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54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07,847 US20220131599A1 (en) 2020-10-23 2021-10-22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8550 2020-10-23
KR1020200138550 2020-10-23
KR20210006301 2021-01-15
KR1020210006301 2021-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193A true KR20220054193A (ko) 2022-05-02

Family

ID=8159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166A KR20220054193A (ko) 2020-10-23 2021-10-08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41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1957A1 (en)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7198910B2 (ja) アップリンク送信タイミ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7927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iming advance
JP7410133B2 (ja) ユーザ機器パラメータ決定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記録媒体および基地局
JP2022520626A (ja) ランダム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3273261A (zh) 无线网络中的定时提前确定
US20230247683A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20220124660A1 (en) Mac-ce command action timing control in non-terrestrial networks
US20220131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CN116158158A (zh) 非地面网络中的mac-ce命令动作时序控制
KR20210056229A (ko) 장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00127865A (ko) 타이밍 동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105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synchroniz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CN114222932A (zh) 集成网络中的接入方法
KR20220054193A (ko)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94162A (ko) 이동 셀 통신을 위한 측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2205002A1 (zh) 传输定时的调整方法、确定方法和终端设备
CN116319189B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及装置
US2024017133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WO2023035276A1 (zh) 上行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20304073A1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20230047928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타이밍 동기 방법 및 장치
WO20220068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ming advance value
WO202307932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KR20220000814A (ko) 장거리 통신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