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828A - Road marker enabling grouping - Google Patents

Road marker enabling grou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828A
KR20220053828A KR1020200138029A KR20200138029A KR20220053828A KR 20220053828 A KR20220053828 A KR 20220053828A KR 1020200138029 A KR1020200138029 A KR 1020200138029A KR 20200138029 A KR20200138029 A KR 20200138029A KR 20220053828 A KR20220053828 A KR 2022005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area
pedestrian
signal
marker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1316B1 (en
Inventor
설동열
Original Assignee
(주)지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지비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3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316B1/en
Priority to PCT/KR2020/016919 priority patent/WO2022085854A1/en
Publication of KR2022005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arkers capable of being grouped, wherein at least three or more markers respectively provided with communication elements are disposed at a distance at which the markers are close to each other to form a virtual area, so as to determine entrance of a pedestrian in the virtual area.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ree or more markers respectively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elements are disposed at a distance at which the markers are close to each other to form the virtual area, and determine entrance of the pedestrian inside the virtual area, so as to provide information when the pedestrian is located at an exact place.

Description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Road marker enabling grouping}Road marker enabling grouping

본 발명은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post that can be grouped by being disposed at a mutually adjacent distance, and more particularly, at least three or more signposts each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are disposed at a mutually adjacent distance to form a virtual area, and a pedestrian in the virtual area. It is about a marker that can be grouped so that entry can be judged.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야간 주행 시, 도로의 중앙선, 차선 등을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자동차 불빛이 반사되거나, LED 등을 통해 발광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도로 뿐만 아니라 산책로, 자전거 전용도로, 갓길, 정지선, 우범지역 등에 설치된다. 도로와 도보 등에도 설치됨에 따라 운전수와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general, a road sign is a device that reflects vehicle lights or emits light through LEDs so that a driver can identify a center line, lane, etc. of a road when driving at night. Recently, it is installed not only on roads but also on trails, bicycle lanes, shoulders, stop lines, and crime zones. As it is installed on roads and on foot,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for drivers and pedestrians.

이러한 도로 표지병은 도로나 바닥에 부착되어 보행자에게 길을 가이드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시각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에게는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단순히 길을 안내해 주는 역할 뿐 아니라, 사고 유발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알림,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 등에 대한 다기능 표지병이 개발되어 있다. These road signs are attached to the road or the floor to guide pedestrians on the road, but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elderly, have difficulties in recognizing them. In addition, a multifunctional sign has been developed that not only serves to guide the road, but also provides a warning notification to prevent accident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한국 등록신용신안 제20-0475044호(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표지못에 내장되는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표지못의 내부에 RFID, UHF 또는 NF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로 각종 지하시설물 정보, 교량시설물 정보, 토목시설물 정보, 건축시설물 정보 및 지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Korea Registered Credit Model No. 20-047504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literature') uses a mobile terminal hav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 to provide information on various underground facilities, bridge facilities, civil engineering facility information, and building facility information built into the beacon. And it relates to a pon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underground facilities through which information of at least any one of cadastral information can be easily obtained. Prior literature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made of any one of RFID, UHF, or NFC inside the beacon, so that at least one of various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bridge facility information, civil engineering facility information, building facility information and cadastral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a mobi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obtained easily.

하지만 선행문헌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모듈의 경우 주변 환경에 따라 신호의 오차가 발생될 수 있음에 따라 정확한 자리에 위치하지 않아도 신호를 식별하거나, 다른 신호를 식별하여 잘못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ed in the prior literature, since a signal error may occur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gnal may be identified even if it is not located in the correct position or that incorrec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identifying another signal. can occur.

한국 등록신용신안 제20-0475044호 (발명의 명칭 : 지하시설물 정보제공 표지못, 등록일 : 2014.10.27)Korea Registered Credit Model No. 20-0475044 (Title of invention: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provision sign, registration date: October 27, 201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t least three or more beacons each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are disposed at a mutually adjacent distance to form a virtual area,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a pedestrian enters the virtual area.

또한, 본 발명은 통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감도의 세기와 수신시간을 를 통해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a pedestrian has entered the virtual area through the intensit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reception time.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3개 이상의 표지병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groupabl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ree or more markers each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are disposed at a mutually adjacent distance to form a virtual area, and the virtual area in which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three or more markers are receiv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edestrian has entered the area.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상기 각각의 통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감도를 통해 보행자가 상기 가상 영역 내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신호 감도의 세기와 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제1조건을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 진입된 것으로 판단하며, 제2조건을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서 해지된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3개 이상의 표지병 중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표지병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최종적으로 상기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가상의 영역에서 해지되고, 상기 보행자가 또 다른 가상의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가상의 영역의 신호가 상기 보행자에게 출력되어도 상기 보행자는 상기 가상의 영역 영역을 해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1조건의 신호 감도보다 소정의 수치만큼 낮은 제3조건의 신호 감도를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 진입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한다. In the groupable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eans periodically outputs the signal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pedestrian has entered the virtual area through the sensitivity of the signal output from each of the communication means. includes wealth. Whe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sensitivity output from the signal output unit and the reception time satisfy the first preset cond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has entered the virtual area, and when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the pedestrian enters the virtual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area has been canceled, but if the number of markers satisfying the first condition among the three or more marker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area is finally entered. Also, when the virtual area is canceled and the pedestrian enters another virtual area, even if the signal of the virtual area is output to the pedestria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has canceled the virtual area area. When the signal sensitivity of the third condition is satisfied, which is lower than the signal sensitivity of the first condition by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is going to enter the virtual area.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상기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고유 정보가 저장되는 고유정보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한 보행자가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고유 정보에는 상기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The groupable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unique information for registering the signs disposed at the mutually adjacent distance as one virtual area, and a pedestrian entering the virtual area can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nique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동기화 모드를 제공한다. The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nchronization mode for registering the markers disposed at the mutually adjacent distance as one virtual are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을 형성하며,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보행자가 정확한 장소에 위치하였을 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t least three or more signposts each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are arranged at mutually adjacent distances to form a virtual area, and by determining whether a pedestrian enters the virtual area, the pedestrian is placed in the correct plac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information when it is located.

또한, 본 발명은 통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감도의 세기와 수신시간을 를 통해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서, 보행자의 진입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a pedestrian enters by determining whether a pedestrian has entered the virtual area through the intensity and reception tim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병의 고유정보를 통해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의 가상 영역 내 진입과 해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영역 내 진입과 해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된 표지병을 통해 최종적으로 가상 영역에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embodiment of a groupabl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groupabl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mbodiment showing a method of grouping through unique information of ma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mbodiment showing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entry and exit of a pedestrian within a virtua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entry and exit of a virtua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nally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virtual area through the grouped ma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의 일 실시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 도 1의 예시는 총 4개의 표지병(100A. 100B, 100C, 100D)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어 가상 영역(200)을 형성한다. 가상 영역(200)을 형성하는 각각의 표지병의 통신수단은 가상 영역 내에 보행자(300)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보행자(300)는 각각의 표지병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가상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보행자의 진입여부 판단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3 내지 4를 통해 자세한 후술한다.First, FIG. 1 is an embodiment of a groupabl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groupable ma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 least three or more markers each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in the example of FIG. 1, a total of 4 markers (100A. 100B, 100C, 100D) are arranged at a mutually adjacent distance to each other, virtual area 200 to form The communication means of each sign forming the virtual area 200 periodically transmits a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pedestrian 300 enters the virtual area. The pedestrian 30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ig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has entered the virtual area. A description of whether a pedestrian enters or no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제어부(110), 발광부(120), 전원부(130), 통신수단(140), 고유정보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groupable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groupable label bottle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 a light emitting unit 120 , a power supply unit 130 , a communication unit 140 , and a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150 .

제어부(110)는 표지병(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하 설명하는 발광부(120), 전원부(130), 통신수단(140)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1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bel 100 , and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120 , the power supply unit 13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140 to be described below.

발광부(120)는 제어부(110)에 의해 구동되며, 발광 및 점멸이 가능한 장치로서, LED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120)는 표지병 내의 구비되며, 전원부에(130)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The light emitting unit 120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110 and is a device capable of emitting and flickering, and may be composed of an LED element or the like. The light emitting unit 120 is provided in the label bottle, and is driven by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130 .

전원부(13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태양광 같은 자가발전을 통해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전원부(130)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표지병이 설치되는 환경 등에 따라 변경되어 설계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and is a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or stores power generated through self-generation such as sunlight. 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a photovoltaic panel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which may be design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ignage is installed.

통신수단(140)은 보행자가 구비하는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신호출력부(141)와 동기화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수단(140)은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비콘(beacon)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communication means 140 is a device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provided by a pedestrian, and may include a signal output unit 141 and a synchronization unit 142 . The communication means 140 may be configured a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beacon, Bluetooth, or Wi-Fi,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a beacon.

신호출력부(141)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200) 내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The signal output unit 141 is a device that periodically outputs a signal to determine whether a pedestrian has entered the virtual region 200 .

동기화부(142)는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동기화 모드를 제공한다. 동기화 모드는 보행자의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모드가 아닌, 표지병 간에 송수신 하기 위한 모드이며, 동기화가 완료된 표지병들은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된다.The synchronization unit 142 provides a synchronization mode for registering beacons disposed at mutually adjacent distances as one virtual area. Synchronization mode is not a mode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a pedestrian's terminal, but a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signs.

고유정보저장부(150)에는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고유 정보가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병의 고유정보를 통해 그룹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표지병에는 고유 정보(ID)가 지정되어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에 표지병의 고유 정보(ID)를 등록함으로서,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된다. The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150 stores unique information for registering markers disposed at adjacent distances as one virtual area. 3 is an embodiment showing a method of grouping through unique information of ma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unique information (ID) is designated for each cover bottle, and by registering the unique information (ID) of the marker bottle in the manager terminal, they are designated as one group.

또한, 고유정보에는 가상 영역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가상 영역에 진입할 경우, 가상 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행자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에 전송하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위치정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ique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to designate the location of the virtual area. Accordingly, when a pedestrian enters the virtual area, location information on the virtual area can be checked. The pedestrian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can receive various information on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한편, 표지병 그룹화 방법은 동기화 방식와 고유정보 등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두 가지 방식 모두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label grouping method may use either one of a synchronization method and a unique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or both methods may be used.

[가상 영역 진입 판단 조건][Conditions for determining entry into the virtual real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의 가상 영역 내 진입과 해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보행자는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를 구비하며,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의 감도 세기를 통해 가상 영역에 진입 예정, 진입, 해지 여부를 판단한다. 편의상, 가상 영역의 진입 예정을 1단계, 가상 영역의 진입을 2단계로 지칭한다. 4 is an embodiment showing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entry and exit of a pedestrian within a virtua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rian has a terminal for receiv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output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o enter the virtual area, enter, or exit the virtual area through the sensitivity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For convenience, the plan to enter the virtual area is referred to as step 1, and the entry into the virtual area is referred to as step 2.

과학적 이론에 근거한 경우, 보행자는 표지병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의 세기가 높아지며, 표지병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의 세기는 낮아진다. Based on scientific theory, the closer the distance from the pedestrian to the sign, the higher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farther the distance from the sign, the lower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이에 보행자의 단말기에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가 일정 세기보다 높으면,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도 4의 예시는 -40dBm 이상을 0.5초 이상 유지로 지정된 경우이다. 가상의 영역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행자는 단말기를 통해 가상의 영역에 지정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Accordingly, if the sensitivity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pedestrian's terminal is higher than a certain intens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area has been entered, and the example of FIG. 4 is a case where -40 dBm or more is specified to be maintained for 0.5 seconds or m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area has entered, the pedestrian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designated for the virtual area through the terminal.

하지만, 시각장애인과 같이 사회적 약자는 현재의 이동 중인 경로로 가상의 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상 영역으로 지정된 -40dBm보다 낮은 일정 수준의 신호 감도(예시, -70dBm부터 -80dBm 사이)가 수신된다면, 가상 영역에 진입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며, 도착 예정이라는 정보를 제공받는다.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visually impai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y can reach the virtual realm through the path they are currently moving. Therefore, if a certain level of signal sensitivity (eg, between -70 dBm and -80 dBm) lower than -40 dBm designated as the virtual area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area is going to be entered and information about arrival is provided.

따라서 보행자는 1단계의 정보를 수신한 이후, 2단계의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의 영역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step, the pedestrian can recognize that the virtual area has been reached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step.

가상의 영역에 도달한 이후, 보행자의 단말기에 수신되는 신호의 감도가 일정 세기보다 낮으면, 가상 영역에서 해지한 것으로 판단하며, 도 4의 예시는 -46dBm 이상을 3초 이상 유지로 지정된 경우이다. After reaching the virtual area, if the sensitivity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pedestrian's terminal is lower than a certain intens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area has been canceled. .

한편, 도 4의 예시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에 진입 또는 해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따라서 도 4에 기재된 신호의 감도 세기 및 유지시간은 위의 예시로 한정하지 않으며, 변경 설계가능한 사항이다.Meanwhile, the example of FIG. 4 is a diagram for easily explaining a condi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pedestrian has entered or exited the virtual area. Therefore, the sensitivity intensity and the holding time of the signal described in FIG. 4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are subject to change desig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영역 내 진입과 해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예시는 -40dBm 이상, 0.5초 이상 유지를 진입 조건, -60dBm 이하, 3초 이상을 해지 조건, -70dBm부터 -80dBm 사이를 진입 예정 조건으로 지정하였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entry and exit of a virtua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 of FIG. 5, the entry condition is -40 dBm or more, maintaining 0.5 seconds or more, -60 dBm or less, 3 seconds or more, the exit condition, and -70 dBm to -80 dBm are designated as the entry schedule conditions.

도 5의 제1케이스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이다. 제1케이스를 참조하면,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 감도의 세기가 -40dBm 이상, -60dBm 이하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신호 감도의 세기가 -70dBm부터 -80dBm사이를 만족함에 따라 가상의 영역에 도달 예정으로 판단한다.The first case of FIG. 5 is a cas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does not enter the virtual area. Referring to the first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sity of the signal sensitivity received by the terminal cannot be maintained at -40 dBm or more and -60 dBm or les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owever, as the signal sensitivity level satisfies between -70 dBm and -80 dBm,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area is expected to be reached.

도 5의 제2케이스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이다. 제2케이스를 참조하면,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 감도의 세기가 -40dBm 이상을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second case of FIG. 5 is a cas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has entered the virtual area. Referring to the second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sity of the signal sensitivity received by the terminal is maintained at -40 dBm or more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5의 제3케이스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하고 있으며, 진입 해지 조건을 만족 하지 못한 경우이다. 무선 신호의 경우, 일시적으로 영역 진입조건에서도 전파의 충돌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신호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케이스와 같이,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 감도의 감도 세기가 순간적으로 -60dBm 이하로 내려갔으나,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지 못하고 있음에 따라 진입 해지가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third case of FIG. 5 is a case in which the pedestrian is entering the virtual area and does not satisfy the entry cancellation condition. In the case of a wireless signal, a phenomenon in which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signal is momentarily lowered due to the collision of radio waves may occur even under the condition of temporarily entering the area. Therefore, as in the third cas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ensitivity intensity of the signal sensitivity received by the terminal momentarily dropped below -60 dBm, but the entry was not canceled as it could not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도 5의 제4케이스는 보행자가 가상 영역 내에서 해지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이다. 제4케이스를 참조하면, 단말기에 수신된 신호 감도의 세기가 -60dBm 이하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함에 따라 가상 영역에서 해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 fourth case of FIG. 5 is a cas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is terminated within the virtual area. Referring to the fourth cas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tensity of the signal sensitivity received by the terminal is maintained at -60 dBm or les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reby canceling the virtual region.

[가상 영역진입 판단][Virtual Realm Entry Judgment]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은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표지병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에, 최종적으로 보행자가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그룹화된 표지병을 통해 가상 영역에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설명하도록 한다. The groupable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pedestrian has finally entered the virtual area when the number of signs satisfying the entry condi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number. Hereinafter,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virtual area through the grouped ma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편의상, 그룹화된 표지병 100A의 신호영역을 200A, 그룹화된 표지병 100B의 신호영역을 200B, 그룹화된 표지병 100C의 신호영역을 200C, 그룹화된 표지병 100D의 신호영역을 200D로 지정한다. 여기서 각 신호영역은 표지병이 신호를 보낼수 있는 최대영역이 아니며, 영역 진입으로 판단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For convenience, the signal region of the grouped marker 100A is designated as 200A, the signal region of the grouped marker 100B is designated as 200B, the signal zone of the grouped marker 100C is designated as 200C, and the signal zone of the grouped marker 100D is designated as 200D. Here, each signal area is not the maximum area that the beacon can send a signal to, but means an area that can be judged as entering the area.

또한, 그룹화된 표지병 중 3개의 표지병이 영역 진입으로 판단한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편의상 최종판단조건으로 지칭한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ree markers among the grouped markers enter the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finally entered the virtual area, and for convenience, it is referred to as the final judgment condition.

도 6의 제1케이스는 보행자(300)가 그룹화된 표지병(100A, 100B, 100C, 100D)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모두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다. 도 6의 제2케이스는 보행자(300)가 그룹화된 표지병(100A, 100B, 100C, 100D)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그룹화된 표지병(100A)의 신호영역(200A)를 제외한 나머지가 가상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다. In the first case of FIG. 6 , when the pedestrian 300 receives the signals of the grouped signs 100A, 100B, 100C, and 100D, it is determined that all have entered the virtual area. In the second case of FIG. 6 , when the pedestrian 300 receives the signals of the grouped signs 100A, 100B, 100C, and 100D, the rest except for the signal area 200A of the grouped signs 100A is within the virtual area. It is judged to have entered.

따라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는 최종판단조건을 만족하며, 최종적으로 가상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Accordingly,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satisfy the final judgment condition,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domain is finally entered.

반면, 도 6의 제3케이스는 보행자(300)가 그룹화된 표지병(100A, 100B, 100C, 100D)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그룹화된 표지병(100A)의 신호영역(200A), 그룹화된 표지병(100B)의 신호영역(200B)에서 영역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다. 따라서 제3케이스는 최종판단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며, 최종적으로 가상 영역에서 해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case of Figure 6, when the pedestrian 300 receives the signal of the grouped markers 100A, 100B, 100C, and 100D, the signal area 200A of the grouped markers 100A, the grouped markers ( This is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region is released in the signal region 200B of 100B). Therefore, the third case does not satisfy the final judgment condition and is finally determined to be terminated in the virtual domain.

한편, 보행자가 가상 영역A에 진입한다면, 가상 영역A의 정보를 수신하며, 가상 영역 A에서 가상 영역 B로 이동한다면, 가상 영역A 해지 조건, 가상 영역B는 진입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하지만 무선장비는 일시적으로 반사전파 등의 이유로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면, 보행자는 가상 영역A의 정보를 재안내 받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이전의 가상 영역A의 신호를 재수신하더라도, 가상 영역A은 해지된 것으로 판단하며, 가상 영역B에 대한 신호만을 식별한다.On the other hand, if a pedestrian enters the virtual area A, information of the virtual area A is received, and if the pedestrian moves from the virtual area A to the virtual area B, the virtual area A will satisfy the termination condition and the virtual area B will satisfy the entry condition. However,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wireless equipment is temporarily lowered due to reflected radio waves, etc. When the above phenomenon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edestrian is re-guided to the information of the virtual area A.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roblem, even if the previous signal of the virtual area A is re-received, the virtual area A is determined to be canceled and only the signal for the virtual area B is identified.

또한, 단말기는 표지병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기 위해 수신모드로 작동된다. 일반적으로 수신모드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수신모드로 계속 동작된다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기의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operates in a reception mode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beacon. In general, the reception mode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a signal has been receiv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refore, if it continues to operate in the reception mo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ttery of the terminal is continuously consumed even when a signal is not received.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수신되는 감도의 세기가 일정 수치보다 낮을 경우, 단말기를 수신모드에서 슬립모드로 변경하여 배터리의 소모량을 감소시킨다. 슬립모드는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간격이 수신모드보다 넓게 지정되어 있어 배터리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battery consumption by changing the terminal from the reception mode to the sleep mode when the intensity of the sensitivity received by the terminal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sleep mode, the time interval for receiving a signal is designated wider than that in the reception mode, so that battery consumption can be reduced.

슬립모드 중 단말기에 수신되는 감도의 세기가 일정 수치보다 높아지면, 단말기는 슬립모드에서 수신모드로 변경된다. When the intensity of sensitivity received by the terminal during the sleep mode become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terminal changes from the sleep mode to the reception mode.

100 : 표지병 110 : 제어부
120 : 발광부 130 : 전원부
140 : 통신수단 141 : 신호출력부
142 : 동기화부 150 : 고유정보저장부
200 : 가상 영역 300 : 보행자
100: marker 110: control unit
120: light emitting unit 130: power unit
140: communication means 141: signal output unit
142: synchronization unit 150: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200: virtual area 300: pedestrian

Claims (9)

통신수단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표지병이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며, 상기 3개 이상의 표지병의 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수신되는 가상의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가상의 영역 내에 보행자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At least three or more beacons each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are arranged at a mutually adjacent distance, and form a virtual area in whic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three or more signs is receiv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pedestrian enters the virtual area. A marker that can be grouped so that it can be jud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감도를 통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 내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According to claim 1,
Group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means includes a signal output unit for periodically outputting the signal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pedestrian has entered the virtual area through the sensitivity of the signal output from each of the communication means possible mark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신호 감도의 세기와 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제1조건을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 진입된 것으로 판단하며, 제2조건을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서 해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sensitivity output from the signal output unit and the reception time satisfy the first preset cond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has entered the virtual area, and when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the pedestrian enters the virtual area. Groupable markers that are judged to be cleared from the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의 신호 감도보다 소정의 수치만큼 낮은 제3조건의 신호 감도를 만족하면, 보행자가 상기 가상의 영역에 진입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4. The method of claim 3,
If the signal sensitivity of the third condition is lower than the signal sensitivity of the first condition by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is scheduled to enter the virtual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표지병 중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표지병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최종적으로 상기 가상의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4. The method of claim 3,
If the number of markers satisfying the first condition among the three or more markers is more than a preset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finally entered the virtual are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영역에서 해지되고, 상기 보행자가 또 다른 가상의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가상의 영역의 신호가 상기 보행자에게 출력되어도 상기 보행자는 상기 가상의 영역 영역을 해지한 것으로 판단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virtual area is canceled and the pedestrian enters another virtual area, even if the signal of the virtual area is output to the pedestrian, it is a groupable sign that determines that the pedestrian has canceled the virtual area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을 하나의 가상의 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고유 정보가 저장되는 고유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According to claim 1,
and a uniqu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unique information for registering the markers disposed at the mutually adjacent distance as one virtual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영역 내에 진입한 보행자가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고유 정보에는 상기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8. The method of claim 7,
A groupable sign,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que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a pedestrian entering the virtual area can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상호 인접거리에 배치되는 표지병들을 하나의 가상의 영역으로 등록하기 위한 동기화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가 가능한 표지병.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mmunication means provides a synchronization mode for registering the markers disposed at the mutually adjacent distance as one virtual area.

KR1020200138029A 2020-10-23 2020-10-23 Road marker enabling grouping KR102431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29A KR102431316B1 (en) 2020-10-23 2020-10-23 Road marker enabling grouping
PCT/KR2020/016919 WO2022085854A1 (en) 2020-10-23 2020-11-26 Road studs which can be group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29A KR102431316B1 (en) 2020-10-23 2020-10-23 Road marker enabling grou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828A true KR20220053828A (en) 2022-05-02
KR102431316B1 KR102431316B1 (en) 2022-08-10

Family

ID=8128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029A KR102431316B1 (en) 2020-10-23 2020-10-23 Road marker enabling group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316B1 (en)
WO (1) WO2022085854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44Y1 (en) 2013-05-28 2014-10-3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ground facilities positional information marker
KR20190109801A (en) * 2018-03-19 2019-09-27 김윤순 A smart raised pavement marker and perration method thereof
KR102154983B1 (en) * 2019-07-15 2020-09-11 (주)인포스텍 Device and method that road marker control using self-generated electric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7722B2 (en) * 2014-06-13 2018-03-20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Location based on network of wireless nodes
KR20160050410A (en) * 2014-10-29 2016-05-11 김태훈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e guidance using a wireless tag map for a visionally impaired person
KR102122548B1 (en) * 2017-11-22 2020-06-12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The pedestrian warning system generating visual alerts based on the distance of the adjacent roadway
US10872584B2 (en) * 2019-03-14 2020-12-22 Curious Company, LLC Providing positional information using beacon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44Y1 (en) 2013-05-28 2014-10-3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ground facilities positional information marker
KR20190109801A (en) * 2018-03-19 2019-09-27 김윤순 A smart raised pavement marker and perration method thereof
KR102154983B1 (en) * 2019-07-15 2020-09-11 (주)인포스텍 Device and method that road marker control using self-generated electri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5854A1 (en) 2022-04-28
KR102431316B1 (en)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64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resence of vehicle in parking space
US9930120B2 (en) Infrastructur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94606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raffic flow
US7688222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related to road mounted indicators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s to approaching traffic
US20100097206A1 (en) Post Cap for Guardrail with Luminous Lamp
US7429919B2 (en) Multi-purpos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80018494A1 (en) Traffic Sign Beacon System
CN101419749B (en) Low-visibility road traffic guiding method
US9959754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US20110035140A1 (en) Vehicle sensing system utilizing smart pavement markers
CN106530771B (en) Traffic guidance device and method for active luminous delineator of highway
US20210012656A1 (en) Emergency vehicle warning indication system
US2021023777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hannelizing vehicular traffic and enhancing workzone safety
US20160049077A1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CN110599802A (en) Pedestrian crossing early warning implementation method and early warning system
US11017189B2 (en) See ID system
CN1376933A (en) Multifunctional ground locating system
KR102431316B1 (en) Road marker enabling grouping
CN210777188U (en) No-signal control pedestrian crossing early warning system
AU2013101243A4 (en) Improvements to Railway Crossing Alert System
KR102313374B1 (en) Device and method that road marker control using self-generated electricity
KR100909108B1 (en) Intelligent traffic display
KR20220116648A (en) System for Providing Route Guide Service Using Road Marker
KR20220151647A (en) Traffic management device, traffic management system, traffic information system, retrofittable startup module, and traffic management method
US20230376069A1 (en) Infrastructure article system for synchronizing blinks of infrastructure articles connected in mesh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