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370A -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370A
KR20220053370A KR1020200137771A KR20200137771A KR20220053370A KR 20220053370 A KR20220053370 A KR 20220053370A KR 1020200137771 A KR1020200137771 A KR 1020200137771A KR 20200137771 A KR20200137771 A KR 20200137771A KR 20220053370 A KR20220053370 A KR 20220053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ter level
parking lot
parking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784B1 (ko
Inventor
최경원
주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13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7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예측정보에 따라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 예보모드 및 비상모드로 운영함과 동시에 운영모드에 따라 주차설비의 동작 프로세스를 최적으로 설정하여 운영하되,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 시 주차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비상경보 문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침수로 인한 차량의 피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차장 관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통합관리서버가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 판단 시, 해당 주차장의 주차현황정보의 전화번호 정보를 탐색하여 문자를 전송하되, 전화번호가 기입되지 않은 주차차량이 존재할 때, 누락차량 검출부 및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를 실행시켜 이들에 의해 전화번호가 기입되지 않은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을 별도로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차차량의 문자전송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어 서비스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고, 통합관리서버가 별도의 각 주차장별 이용내역DB를 생성 및 갱신하여 저장하되, 누락차량이 검출될 때, 1차적으로 해당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되, 1차 검출 실패 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DB 검색으로 인한 불필요한 연산처리 소모를 줄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누락차량의 번호를 검출할 수 있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Parking managemnet system for enhancing safety of immersion}
본 발명은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침수예측정보에 따라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 예보모드 및 비상모드로 운영함과 동시에 운영모드에 따라 주차설비의 동작 프로세스를 최적으로 설정하여 운영하되,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 시 주차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비상경보 문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침수로 인한 차량의 피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차장 관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저수지 등의 주변 지역은 공원, 운동시설, 산책코스 등의 다양한 장소로 활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장소를 방문한 차량에게 주차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주차장(이하 강변주차장이라고 함)이 설치된다.
특히 한강의 경우, 일일 방문자들이 방대하기 때문에 한강의 주변에는 강줄기를 따라 다수의 강변주차장들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변주차장은 장마, 폭우, 태풍 등과 같이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경우,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여 주변지역, 특히 강변주차장이 침수되어 차량이 침수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차량은 다수 동력수단, 전자디바이스들이 연결된 정밀설계로 제작됨에 따라 물에 침수되는 경우, 폐차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수리 및 점검이 이루어지더라도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차량 소유주에게 막대한 재산피해를 일으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강변주차장의 차량침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2057808호(발명의 명칭 :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에 개시된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의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강변주차장과 수로 사이의 둔덕(111a)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1 수위센서모듈(111)과, 강변주차장의 집입차량에게 주차이용권을 발급하는 주차이용권 발급장치(103)와, 주차이용권 발급장치(103)를 통해 주차이용권(31)이 발급된 경우 입구차단바를 구동시켜 차량의 입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입구차단기(104)와, 강변주차장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진출차량의 통행을 통제하는 출구 차단기(105)와, 강변주차장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입구로 통행하는 차량의 차대번호를 촬영하는 입구측 차대번호 촬영카메라(106)와, 강변주차장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출구로 통행하는 차량의 차대번호를 촬영하는 출구측 차대번호 촬영카메라(107)와, 강변주차장 관리소에 설치되어 주차이용권 발급장치(103)와 차단기(104), (105)들 및 카메라(106), (107)들과 연동하며 강변주차장의 입구측을 통해 차량이 입차하는 경우 입구측 차대번호 촬영카메라(106)의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차대번호를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기록하되 출입 시간정보와 함께 기록하여 입출차관리대장DB를 형성하며 강변주차장의 출구측을 통해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 출구측 차대번호 촬영카메라(107)의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차대번호 이미지를 차대번호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정보를 입출차관리대장DB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차대번호의 이용시간 및 이용요금을 정산하는 주차관제단말(108)과, 강변주차장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입구로 통행하는 차량의 전면유리 부근을 촬영하여 전면 유리 부근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는 전화번호를 촬영하는 좌측 또는 우측 전화번호 촬영용 카메라(101), (109)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강변주차장의 강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범람할 때, 침수 피해 예방차원에서 차량을 대피시켜야 한다는 경보를 차주들에게 직접적으로 알리되, 수위가 강변주차장을 침범할 정도로 범람한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대피해야 한다는 알림을 차주들에게 전달함으로써 대피상황이 발생되기 전까지 차주들이 차량을 대피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카메라가 차량의 전면유리의 좌측 및 우측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전면유리 부근에 배치되는 전화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전화번호가 차량 전면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전화번호 인식율이 현저히 떨어져 차주들에게 미리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효율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면유리는 광반사 및 굴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 이물질에 노출되는 특성을 갖고, 이에 따라 진입차량의 전면에 전화번호가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종래기술(100)은 전화번호 이미지를 획득한다고 하더라도, 인식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범람 시, 전화번호가 저장된 차주들에게만 경보 문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전화번호가 저장되지 않은 차주들에 대한 후속대처를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기술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서비스 효율성 및 신뢰도가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제1 수위센서모듈(111)에 의해 측정된 수위값에 따라 침수 피해 예방차원의 경보 또는 즉각 대비 경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집중 호우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침수예측정보에 따라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 예보모드 및 비상모드로 운영함과 동시에 운영모드에 따라 주차설비의 동작 프로세스를 최적으로 설정하여 운영하되,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 시 주차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비상경보 문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침수로 인한 차량의 피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차장 관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통합관리서버가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 판단 시, 해당 주차장의 주차현황정보의 전화번호 정보를 탐색하여 문자를 전송하되, 전화번호가 기입되지 않은 주차차량이 존재할 때, 누락차량 검출부 및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를 실행시켜 이들에 의해 전화번호가 기입되지 않은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을 별도로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차차량의 문자전송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어 서비스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통합관리서버가 별도의 각 주차장별 이용내역DB를 생성 및 갱신하여 저장하되, 누락차량이 검출될 때, 1차적으로 해당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되, 1차 검출 실패 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DB 검색으로 인한 불필요한 연산처리 소모를 줄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누락차량의 번호를 검출할 수 있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통합관리서버가 운영모드 판별 시, 현재 수위(h) 및 수위-변화율(△h)을 종합적으로 활용 및 분석하여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판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현재 수위(h)만으로 침수를 예측하여 집중 호우가 발생할 때, 이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침수로 인한 차주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수로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주차장의 침수를 감지 및 예측하여 주차차량의 운전자들에게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주차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진입로에 설치되어 진입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전화번호 입력단말기와, 진입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용 카메라와, 상기 진입용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번호, 전화번호 및 진입시간을 매칭시켜 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용 컨트롤러와, 진출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진출용 카메라와, 상기 진출용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번호 및 진출시간을 매칭시켜 진출정보를 생성하는 진출용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주차설비; 상기 주차설비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정보 및 진출정보를 활용하여 주차현황정보를 생성하는 로컬서버; 상기 수로의 수위(h)를 포함하는 수위DB를 생성 및 저장하는 수위DB 서버;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정보, 진출정보 및 주차현황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수위DB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은 수위DB를 저장하며, 상기 수위DB의 현재 수위(h)를 활용하여 침수 예측 또는 침수 진행을 판단하며, 침수 예측 또는 침수 진행 판단 시, 상기 주차현황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주차차량의 전화번호로 비상경보 문자를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정보, 진출정보 및 주차현황정보와, 상기 수위DB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수위DB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수위DB를 탐색하여 현재 수위(h)를 추출하는 수위 추출모듈과, 상기 수위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현재 수위(h)를, 현재 침수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수위의 최소값인 제1 설정값(TH1, Threshold) 및 차후 침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수위의 최소값인 제2 설정값(TH2)과 비교하는 비교모듈과, 상기 비교모듈에서, 1)현재 수위(h)가 제2 설정값(TH2) 이하일 때, 주차장 운영모드를 평시모드로 결정하며, 2)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및 제2 설정값(TH2) 사이일 때, 주차장 운영모드를 예보모드로 결정하며, 3)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일 때, 주차장 운영모드를 비상모드로 결정하는 운영모드 판별모듈을 포함하는 운영모드 결정부; 상기 운영모드 결정부에서 주차장 운영모드가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로 결정될 때 실행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주차현황정보를 참조하여 주차차량들 중 전화번호가 매칭된 주차차량들을 발송대상으로 결정하는 발송대상 검출부; 상기 발송대상 검출부에서 결정된 발송대상들의 전화번호로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 상기 운영모드 결정부에서 결정된 운영모드 정보를 상기 로컬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서버에는 운영모드에 따른 상기 주차설비의 동작 프로세스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로컬서버는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운영모드에 따른 동작 프로세스로 상기 주차설비가 운영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설비는 1)운영모드가 비상모드일 때, 진입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고, 2)운영모드가 예보모드일 때, 상기 전화번호 입력단말기를 통해 진입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진입을 허용하되, 차량번호가 미입력되면 진입을 통제하고, 3)운영모드가 평시모드일 때, 상기 전화번호 입력단말기를 통한 전화번호 입력과 상관없이 진입차량의 진입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운영모드 결정부는 1)현재 수위(h)가 제1, 2 설정값(TH1), (TH2)들 보다 미만이되, 임계값 보다 크면서, 수위-변화율(△h)이 제3, 4 설정값(TH3, 4) 미만일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로 결정하거나 또는 2)수위 변화율(△h)과 상관없이 현재 수위(h)가 임계값 이하이면,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로 결정하고, 3)수위 변화율(△h)과 상관없이 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보다 작되, 제2 설정값(TH2) 보다 클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예보모드로 결정하거나 또는 4)현재 수위(h)가 임계값 보다 크면서, 수위-변화율(△h)이 제3 설정값(TH3) 및 제4 설정값(TH4) 사이에 포함될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예보모드로 결정하고, 5)수위 변화율(△h)과 상관없이 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보다 클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비상모드로 결정하거나 또는 6)현재 수위(h)가 임계값 보다 크면서, 수위-변화율(△h)이 제3 설정값(TH3) 보다 클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비상모드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화번호 입력단말기는 스캔 시,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및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웹사이트에 접속되도록 하는 QR코드가 전면에 노출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전화번호 및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탐색하여 동일 차량번호를 갖는 진입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진입정보에 입력된 차량번호를 매칭시키는 QR기반 전화번호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서버들은 복수개이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진입정보, 진출정보 및 주차현황정보를 활용 및 가공하여 차량번호별로 주차장 기본정보, 전화번호, 진입시간, 진출시간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이용내역DB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이용내역DB 생성부; 상기 발송대상 검출부에서 전화번호가 매칭되지 않은 주차차량인 누락차량이 검출될 때 실행되는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이용내역DB로부터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로 결정된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추출하는 특정 주차장 이용내역DB 추출모듈; 누락대상의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추출된 해당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며, 만약 동일 차량번호의 이용내역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이용내역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해당 누락대상의 전화번호로 결정하는 제1 탐색모듈; 상기 제1 탐색모듈에서 누락대상의 전화번호가 검출되지 못할 때 실행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들을 추출하는 전체 이용내역DB 추출모듈; 누락대상의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상기 전체 이용내역DB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들을 탐색하여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며, 만약 동일 차량번호의 이용내역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이용내역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해당 누락대상의 전화번호로 결정하는 제2 탐색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전송부는 상기 제1 탐색모듈 또는 상기 제2 탐색모듈에 의해 검출된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로 문자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침수예측정보에 따라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 예보모드 및 비상모드로 운영함과 동시에 운영모드에 따라 주차설비의 동작 프로세스를 최적으로 설정하여 운영하되,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 시 주차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비상경보 문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침수로 인한 차량의 피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차장 관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합관리서버가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 판단 시, 해당 주차장의 주차현황정보의 전화번호 정보를 탐색하여 문자를 전송하되, 전화번호가 기입되지 않은 주차차량이 존재할 때, 누락차량 검출부 및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를 실행시켜 이들에 의해 전화번호가 기입되지 않은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을 별도로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차차량의 문자전송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어 서비스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합관리서버가 별도의 각 주차장별 이용내역DB를 생성 및 갱신하여 저장하되, 누락차량이 검출될 때, 1차적으로 해당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되, 1차 검출 실패 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DB 검색으로 인한 불필요한 연산처리 소모를 줄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누락차량의 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합관리서버가 운영모드 판별 시, 현재 수위(h) 및 수위-변화율(△h)을 종합적으로 활용 및 분석하여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판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현재 수위(h)만으로 침수를 예측하여 집중 호우가 발생할 때, 이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침수로 인한 차주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2057808호(발명의 명칭 :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에 개시된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차설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화번호 입력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4의 진입용 컨트롤러의 운영모드가 평시모드일 때 설정된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b)는 도 4의 진입용 컨트롤러의 운영모드가 예보모드일 때 설정된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c)는 도 4의 진입용 컨트롤러의 운영모드가 비상모드일 때 설정된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통합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에 적용되는 비교값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장 관리시스템(1)은 기상정보 및 수위센서에 측정된 수위값을 분석하여 침수예측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침수예측정보에 따라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 예보모드 및 비상모드로 운영함과 동시에 운영모드에 따라 차량의 입출차의 조건을 최적으로 설정하여 운영하되, 비상모드 시 주차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비상경보 문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침수로 인한 차량의 피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차장 관리의 효율성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 관리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설비(7)들과, 해당 주차장의 주차설비(7)의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하는 로컬서버(5-1), ..., (5-N)들과, 로컬서버(5-1), ..., (5-N)들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 및 모니터링 하며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결정한 후, 결정된 운영모드를 해당 로컬서버(5)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3)와, 각 주차장이 설치된 강이나 하천의 수위를 주기적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수위정보를 통합관리서버(3)로 제공하는 수위DB 서버(9)와, 통합관리서버(3), 로컬서버(5-1), ..., (5-N)들 및 수위DB 서버(9)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망(10)은 통합관리서버(3), 로컬서버(5-1), ..., (5-N)들 및 수위DB 서버(9)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 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망, 3G, 4G, 5G,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위DB 서버(9)는 다수의 수위센서들을 이용하여 강이나 하천 등의 수위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서버이며,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검출된 수위DB를 통합관리서버(3)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2의 주차설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전화번호 입력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주차설비(7)들은 각 주차장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통제, 진출통제, 번호인식, 전화번호 입력, QR코드 판독M, 요금정산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유틸리티들을 포함한다.
또한 주차설비(7)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용 주차설비(71)와, 진출용 주차설비(73)로 이루어진다.
진입용 주차설비(71)는 주차장 진입로의 노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진입 루프검지기(711)와, 진입 루프검지기(711)에 의해 진입차량(C)이 감지되면 진입차량(C)의 전방 차량번호판을 촬영하는 전방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하는 진입용 전방카메라(712)와, 함체로 형성되어 진입로에 수직 설치되되, 전면의 상부에 진입차량 운전자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7131)이 설치됨과 동시에 QR코드(7132)가 노출되게 표시되는 전화번호 입력 단말기(713)와, 차단바를 회전시켜 진입차량의 이동을 단속 및 통제하는 진입차단기(714)와, 진입차단기(714)를 통과한 진입차량의 후방 차량번호판을 촬영하여 후방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하는 진입용 후방카메라(715)와, 이들 유틸리티(711), (712), (713), (714), (715)들을 관리 및 제어함과 동시에 로컬서버(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진입용 컨트롤러(710)로 이루어진다.
진입 루프검지기(711)는 진입로의 노면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진입차량을 감지하며, 검출된 감지신호를 진입용 컨트롤러(710)로 출력한다. 이때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진입 루프검지기(711)로부터 진입 루프신호를 입력받으면, 진입용 전방카메라(712)로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를 출력하여 진입차량(C)의 전방 차량번호판이 촬영되도록 한다.
진입용 전방카메라(712)는 진입용 컨트롤러(710)로부터 트리거신호를 전송받으면 촬영을 수행하여 진입차량(C)의 전방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한다.
또한 진입용 전방카메라(712)는 획득된 전방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진입용 컨트롤러(710)로 출력한다. 이때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진입용 전방카메라(712)로부터 전송받은 전방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분석하여 전방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로 형성되어 진입차단기(714)의 전방에 수직 설치된다.
또한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는 전면의 상부에 운전자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7131)이 설치되며, 그 하부에 QR코드가 표시된다.
이때 운전자는 터치패널(7131)을 통해 자신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촬영하여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전화번호 및 차량번호를 입력한다.
또한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는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차량번호를 진입용 컨트롤러(710)로 전송한다.
진입차단기(714)는 주차장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진입용 컨트롤러(710)의 제어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됨에 따라 진입차량의 이동을 단속한다.
진입용 후방카메라(715)는 진입차단기(714)가 개방되어 진입차량(C)이 이동하면, 진입차량(C)의 후방을 촬영하여 후방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한다.
또한 진입용 후방카메라(715)는 획득된 후방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진입용 컨트롤러(710)로 출력한다.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로컬서버(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진입로에 설치되는 유틸리티(711), (712), (713), (714), (715)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진입용 전방카메라(712) 또는 진입용 후방카메라(714)로부터 입력된 전방 차량번호판 이미지 또는 후방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분석하여 전방 차량번호 또는 후방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인식된 전방 차량번호 및 후방 차량번호를 조합하여 해당 진입차량의 차량번호를 결정한다.
또한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1)만약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를 통해 해당 차주로부터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결정된 차량번호, 진입시간 및 차량번호를 매칭시켜 진입정보를 생성하며, 2)만약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를 통해 해당 차주로부터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결정된 차량번호 및 진입시간을 매칭시켜 진입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생성된 진입정보를 로컬서버(5)로 전송한다.
또한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를 통해 차량번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를 통해 차량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대기시간(t)이 경과할 때, 진입차단기(714)를 개방시킨 후, 해당 진입차량(C)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시 진입차단기(714)를 폐쇄시킨다.
이러한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통합관리서버(3)에서 결정된 운영모드에 따라, 평시모드, 예보모드 및 비상모드 중 어느 하나로 운영되고, 적용되는 운영모드에 따라 유틸리티(711), (712), (713), (714), (715)들의 동작이 다르게 설정(세팅)된다.
이때 평시모드는 침수가 예측되지 않을 때의 운영모드이고, 예보모드는 침수가 예측될 때의 운영모드이고, 비상모드는 침수가 발생하였을 때의 운영모드이고, 이러한 평시모드, 예보모드 및 비상모드로 이루어지는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는 통합관리서버(3)에서 결정된다.
도 6의 (a)는 도 4의 진입용 컨트롤러의 운영모드가 평시모드일 때 설정된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b)는 도 4의 진입용 컨트롤러의 운영모드가 예보모드일 때 설정된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c)는 도 4의 진입용 컨트롤러의 운영모드가 비상모드일 때 설정된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평시모드로 운영될 때,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를 통해 차주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를 통해 차주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지 않아도 진입차량(C)이 감지된 이후, 대기시간(t)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진입차단기(714)를 개방시키도록 동작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즉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평시모드 시, 차주의 전화번호 입력 여부와 상관없이 진입차량의 진입을 허용한다.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예보모드로 운영될 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를 통해 차주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때에만 진입차단기(714)를 개방시키도록 동작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즉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예보모드 시, 차주의 전화번호 입력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만 진입차량의 진입을 허용한다.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비상모드로 운영될 때,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입력단말기(713)를 통한 전화번호 입력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차량의 진입이 차단되도록 진입차단기(714)를 폐쇄시키도록 동작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즉 진입용 컨트롤러(710)는 비상모드 시, 차주의 전화번호 입력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만 진입차량의 진입을 허용한다.
다시 도 3과 4를 참조하여 진출용 컨트롤러(720)를 살펴보면, 진출용 컨트롤러(720)는 주차장 진출로의 노면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진출차량(C)을 감지하는 진출 루프검지기(721)와, 진출 루프검지기(721)에 의해 진출차량(C)이 감지될 때, 진출차량(C)의 전방을 촬영하여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하는 진출용 전방카메라(722)와, 진출차량의 주차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주차요금 정산기(723)와, 진출차량의 이동을 단손 및 통제하는 진출차단기(7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진출용 컨트롤러(72)는 진출용 전방카메라(722)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를 로컬서버(5)로 전송하며, 로컬서버(5)로부터 주차요금 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주차요금 정보를 주차요금 정산기(723)로 입력한 후, 주차요금 정산기(723)에서 주차요금 정산이 완료되면, 진출차단기(724)를 개방시킨다.
또한 진출용 컨트롤러(72)는 차량의 진출이 이루어지면, 차량번호, 진출시간 및 주차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진출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진출정보를 로컬서버(5)로 전송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로컬서버(5)를 살펴보면, 로컬서버(5)는 통합관리서버(3)로부터 전송받은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 정보를 주차설비(7)로 전송하고, 주차설비(7)의 컨트롤러(71), (72)들은 전송받은 운영모드에 따른 동작 프로세스로 유틸리티들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로컬서버(5)는 진입용 컨트롤러(71) 및 진출용 컨트롤러(72)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임시 저장한다.
또한 로컬서버(5)는 진입용 컨트롤러(71)로부터 진입시간, 차량번호 및 전화번호로 이루어지는 진입정보 또는 진입시간 및 차량번호로 이루어지는 진입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진입정보가 반영되도록 주차현황정보를 생성/갱신하며, 생성/갱신된 주차현황정보와 진입정보를 통합관리서버(3)로 전송한다.
또한 로컬서버(5)는 진출용 컨트롤러(71)로부터 진출시간, 차량번호 및 주차요금으로 이루어지는 진출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진출정보가 반영되도록 주차현황정보를 생성/갱신하며, 생성/갱신된 주차현황정보와 진출정보를 통합관리서버(3)로 전송한다.
도 7은 도 2의 통합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합관리서버(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와, 데이터베이스부(32), 통신 인터페이스부(33), QR기반 전화번호 매칭부(34), 이용내역DB 생성부(35), 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36), 발송대상 검출부(37), 누락차량 검출부(38),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39), 문자 전송부(40), 부가서비스부(41)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1)는 통합관리서버(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2), (33), (34), (35), (36), (37), (38), (39), (40), (41)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수위DB 서버(9)로부터 전송받은 수위DB를 데이터베이스부(32)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로컬서버(5-1), ..., (5-N)들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정보, 진출정보 및 주차현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2)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1)는 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36)에 의해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운영모드 정보가 해당 주차장으로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는 이용내역DB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이용내역DB가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부(32)에는 각 주차장의 명칭, 위치, 주소, 비상연락망 등의 기본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2)에는 수위DB 서버(9)로부터 전송받은 수위DB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2)에는 로컬서버(5-1), ..., (5-N)들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정보, 진출정보 및 주차현황정보가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3)는 수위DB 서버(9) 및 로컬서버(5-1), ..., (5-N)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QR기반 전화번호 매칭부(34)는 차주가 QR코드를 스캔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전화번호 및 차량번호를 등록할 때, 등록된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데이터베이스부(32)를 탐색하여 해당 차주에 해당하는 진입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QR기반 전화번호 매칭부(34)는 추출된 진입정보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매칭시킨 후 데이터베이스부(32)에 저장한다.
이용내역DB 생성부(35)는 데이터베이스부(32)에 저장된 각 주차장별 진입정보, 진출정보 및 주차현황정보를 활용 및 가공하여 각 주차장별 이용내역DB를 생성한다.
이때 이용내역DB는 차량번호별로 주차장 기본정보, 전화번호, 진입시간, 진출시간 정보가 매칭되어 나열된다.
또한 이용내역DB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이용내역DB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32)에 저장된다.
도 8은 도 7의 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8의 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에 적용되는 비교값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36)는 각 주차장별로 대응되는 수위값들을 활용 및 분석하여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결정한다.
또한 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3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 추출모듈(361)과, 수위-변화율 산출모듈(362), 비교모듈(363), 운영모드 판별모듈(364)로 이루어진다.
수위 추출모듈(361)은 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된 수위DB를 탐색하여 해당 주차장에 대응되는 현재 수위(h)를 추출한다.
수위-변화율 산출모듈(362)은 데이터베이스부(33)에 저장된 수위DB를 탐색하여 해당 주차장의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T) 이전의 수위값인 이전 수위(h’)를 추출한다.
또한 수위-변화율 산출모듈(362)은 현재 수위(h)로부터 이전 수위(h’)를 차감한 후, 주기(T)로 나누어 수위-변화율(△h)을 산출한다.
비교모듈(363)은 수위 추출모듈(361)에 의해 추출된 현재 수위(h)를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 Threshold1), 제2 설정값(TH2) 및 임계값과 비교한다.
이때 도 9를 참조하여 제1, 2 설정값(TH1), (TH2) 및 임계값을 살펴보면, 제1 설정값(TH1)은 현재 침수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수위의 최소값을 의미하고, 제2 설정값(TH2)은 차후 침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수위의 최소값을 의미하며 제1 설정값(TH1) 보다 작은 값으로 이루어지고, 임계값은 수위 증가율의 크기와 상관없이 침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수위 최대값을 의미하고, 이러한 제1, 2 설정값(TH1), (TH2)들 및 임계값은 반복된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비교모듈(363)은 수위-변화율 산출모듈(362)에 의해 산출된 수위-변화율(△h)을 기 설정된 제3 설정값(TH3) 및 제4 설정값(TH4)과 비교한다.
이때 제3 설정값(TH3)은 침수 증가율이 과도하게 높아 지금 당장 대피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수위 증가율의 최소값을 의미하고, 제4 설정값(TH4)은 침수 증가율이 높아 차후 침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위 증가율의 최소값을 의미하며 제3 설정값(TH3) 보다 작은 값으로 이루어진다.
운영모드 판별모듈(364)은 비교모듈(363)에서, 1)현재 수위(h)가 제1, 2 설정값(TH1), (TH2)들 보다 미만이되, 임계값 보다 크면서, 수위-변화율(△h)이 제3, 4 설정값(TH3, 4) 미만일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운영모드 판별모듈(364)은 2)수위 변화율(△h)과 상관없이 현재 수위(h)가 임계값 이하이면,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31)는 운영모드 판별모듈(364)에 의해 운영모드가 평시모드로 결정되면, 해당 주차장의 로컬서버(5)로 평시모드를 포함하는 운영모드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로컬서버(5)는 진입용 컨트롤러(71)로 운영모드 정보를 전송하고, 진입용 컨트롤러(71)는 로컬서버(5)로부터 전송받은 운영모드인 평시모드에 따른 동작 프로세스로 유틸리티를 동작시킨다.
또한 운영모드 판별모듈(364)은 비교모듈(363)에서, 1)수위 변화율(△h)과 상관없이 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보다 작되, 제2 설정값(TH2) 보다 크면,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예보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운영모드 판별모듈(364)은 2)현재 수위(h)가 임계값 보다 크면서, 수위-변화율(△h)이 제3 설정값(TH3) 및 제4 설정값(TH4) 사이에 포함되면,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예보모드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31)는 운영모드 판별모듈(364)에 의해 운영모드가 예보모드로 결정되면, 해당 주차장의 로컬서버(5)로 예보모드를 포함하는 운영모드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발송대상 검출부(37)를 실행시킨다.
또한 운영모드 판별모듈(364)은 비교모듈(363)에서, 1)수위 변화율(△h)과 상관없이 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보다 크면,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비상모드로 결정한다.
또한 운영모드 판별모듈(364)은 2)현재 수위(h)가 임계값 보다 크면서, 수위-변화율(△h)이 제3 설정값(TH3) 보다 크면,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비상모드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31)는 운영모드 판별모듈(364)에 의해 운영모드가 비상모드로 결정되면, 해당 주차장의 로컬서버(5)로 비상모드를 포함하는 운영모드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발송대상 검출부(37)를 실행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현재 수위(h)만으로 각 주차장의 주차설비의 운영모드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수위(h)와 수위-변화율(△h’)을 기반으로 각 주차장의 주차설비의 운영모드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상상황에 대한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수위는 제2 설정값(TH2) 미만이나,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수위 증가율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 종래에는 현재 수위(h)를 기반으로 판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대비를 하지 못하여 침수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나, 본 발명은 현재 수위(h) 뿐만 아니라 수위 증가율을 기반으로 판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처를 사전에 실시하여 침수로 인한 피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발송대상 검출부(37)는 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36)에서 운영모드가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로 결정될 때,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또한 발송대상 검출부(37)는 데이터베이스부(32)에 저장된 주차현황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주차장의 주차차량들 중 전화번호가 매칭(입력)된 주차차량들을 발송대상으로 결정한다.
이때 발송대상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발송대상의 전화번호 정보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문자전송부(40)로 입력된다.
누락차량 검출부(38)는 발송대상 검출부(37)에서, 해당 주차장의 주차차량들 중 전화번호가 매칭되지 않은 주차차량들을 누락차량으로 검출한다.
도 10은 도 7의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3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주차장 이용내역DB 추출모듈(391)과, 제1 탐색모듈(392), 전체 이용내역DB 추출모듈(393), 제2 탐색모듈(394)로 이루어진다.
특정 주차장 이용내역DB 추출모듈(391)은 데이터베이스부(32)에 저장된 이용내역DB로부터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로 결정된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추출한다.
제1 탐색모듈(392)은 누락대상의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추출된 해당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며, 만약 동일 차량번호의 이용내역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이용내역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해당 누락대상의 전화번호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모듈(391)은 제1 탐색모듈(392)이 누락대상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면, 검출된 전화번호를 문자전송부(40)로 입력하고, 제1 탐색모듈(392)이 누락대상의 전화번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전체 이용내역DB 추출모듈(393)을 실행시킨다.
전체 이용내역DB 추출모듈(393)은 제1 탐색모듈(392)에서 누락대상의 전화번호가 검출되지 못할 때 실행되며, 데이터베이스부(32)에 저장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들을 추출한다.
제2 탐색모듈(394)은 누락대상의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추출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들을 탐색하여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며, 만약 동일 차량번호의 이용내역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이용내역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해당 누락대상의 전화번호로 결정한다.
이때 제어모듈(391)은 제2 탐색모듈(394)이 누락대상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면, 검출된 전화번호를 문자전송부(40)로 입력한다.
문자전송부(40)는 발송대상 검출부(37)로부터 입력된 발송대상들의 전화번호들로 문자(SMS 또는 VMS)를 전송함으로써 차주들이 침수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부가서비스부(41)는 요금결제 서비스, 주차장 정보제공 서비스, 예약서비스 등과 같이 주차장 관리에 필요한 부가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주차장 관리시스템(1)은 침수예측정보에 따라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 예보모드 및 비상모드로 운영함과 동시에 운영모드에 따라 주차설비의 동작 프로세스를 최적으로 설정하여 운영하되,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 시 주차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기로 비상경보 문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침수로 인한 차량의 피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주차장 관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 관리시스템(1)은 통합관리서버(3)가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 판단 시, 해당 주차장의 주차현황정보의 전화번호 정보를 탐색하여 문자를 전송하되, 전화번호가 기입되지 않은 주차차량이 존재할 때, 누락차량 검출부 및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를 실행시켜 이들에 의해 전화번호가 기입되지 않은 주차차량의 차량번호을 별도로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차차량의 문자전송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어 서비스 정확성 및 신뢰도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 관리시스템(1)은 통합관리서버(3)가 별도의 각 주차장별 이용내역DB를 생성 및 갱신하여 저장하되, 누락차량이 검출될 때, 1차적으로 해당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되, 1차 검출 실패 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DB 검색으로 인한 불필요한 연산처리 소모를 줄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누락차량의 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 관리시스템(1)은 통합관리서버(3)가 운영모드 판별 시, 현재 수위(h) 및 수위-변화율(△h)을 종합적으로 활용 및 분석하여 각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판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현재 수위(h)만으로 침수를 예측하여 집중 호우가 발생할 때, 이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침수로 인한 차주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1:주차장 관리시스템 3:통합관리서버 5-1, ..., 5-N:로컬서버들
7:주차설비 9:수위DB 서버 10:통신망
31:제어부 32:데이터베이스부 33:통신 인터페이스부
34:QR기반 전화번호 매칭부 35:이용내역DB 생성부
36:각 주차장별 운영모드 결정부 37:발송대상 검출부
38:누락차량 검출부 39: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
40:문자전송부 41:부가서비스부 71:진입용 주차설비
72:진출용 주차설비 710:진입용 컨트롤러
711:진입 루프검지기 712:진입용 전방카메라
713:전화번호 입력단말기 714:진입차단기
715:진입용 후방카메라 720:진출용 컨트롤러
721:진출 루프검지기 722:진출용 전방카메라
723:주차요금 정산기 724:진출차단기
7131:터치패널 7132:QR코드

Claims (6)

  1. 수로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주차장의 침수를 감지 및 예측하여 주차차량의 운전자들에게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주차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진입로에 설치되어 진입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전화번호 입력단말기와, 진입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용 카메라와, 상기 진입용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번호, 전화번호 및 진입시간을 매칭시켜 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용 컨트롤러와, 진출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진출용 카메라와, 상기 진출용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번호 및 진출시간을 매칭시켜 진출정보를 생성하는 진출용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주차설비;
    상기 주차설비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정보 및 진출정보를 활용하여 주차현황정보를 생성하는 로컬서버;
    상기 수로의 수위(h)를 포함하는 수위DB를 생성 및 저장하는 수위DB 서버;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정보, 진출정보 및 주차현황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수위DB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은 수위DB를 저장하며, 상기 수위DB의 현재 수위(h)를 활용하여 침수 예측 또는 침수 진행을 판단하며, 침수 예측 또는 침수 진행 판단 시, 상기 주차현황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주차차량의 전화번호로 비상경보 문자를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정보, 진출정보 및 주차현황정보와, 상기 수위DB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수위DB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수위DB를 탐색하여 현재 수위(h)를 추출하는 수위 추출모듈과, 상기 수위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현재 수위(h)를, 현재 침수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수위의 최소값인 제1 설정값(TH1, Threshold) 및 차후 침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수위의 최소값인 제2 설정값(TH2)과 비교하는 비교모듈과, 상기 비교모듈에서, 1)현재 수위(h)가 제2 설정값(TH2) 이하일 때, 주차장 운영모드를 평시모드로 결정하며, 2)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및 제2 설정값(TH2) 사이일 때, 주차장 운영모드를 예보모드로 결정하며, 3)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일 때, 주차장 운영모드를 비상모드로 결정하는 운영모드 판별모듈을 포함하는 운영모드 결정부;
    상기 운영모드 결정부에서 주차장 운영모드가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로 결정될 때 실행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주차현황정보를 참조하여 주차차량들 중 전화번호가 매칭된 주차차량들을 발송대상으로 결정하는 발송대상 검출부;
    상기 발송대상 검출부에서 결정된 발송대상들의 전화번호로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
    상기 운영모드 결정부에서 결정된 운영모드 정보를 상기 로컬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서버에는 운영모드에 따른 상기 주차설비의 동작 프로세스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로컬서버는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운영모드에 따른 동작 프로세스로 상기 주차설비가 운영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설비는
    1)운영모드가 비상모드일 때, 진입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고, 2)운영모드가 예보모드일 때, 상기 전화번호 입력단말기를 통해 진입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진입을 허용하되, 차량번호가 미입력되면 진입을 통제하고, 3)운영모드가 평시모드일 때, 상기 전화번호 입력단말기를 통한 전화번호 입력과 상관없이 진입차량의 진입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모드 결정부는
    1)현재 수위(h)가 제1, 2 설정값(TH1), (TH2)들 보다 미만이되, 임계값 보다 크면서, 수위-변화율(△h)이 제3, 4 설정값(TH3, 4) 미만일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로 결정하거나 또는 2)수위 변화율(△h)과 상관없이 현재 수위(h)가 임계값 이하이면,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평시모드로 결정하고,
    3)수위 변화율(△h)과 상관없이 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보다 작되, 제2 설정값(TH2) 보다 클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예보모드로 결정하거나 또는 4)현재 수위(h)가 임계값 보다 크면서, 수위-변화율(△h)이 제3 설정값(TH3) 및 제4 설정값(TH4) 사이에 포함될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예보모드로 결정하고,
    5)수위 변화율(△h)과 상관없이 현재 수위(h)가 제1 설정값(TH1) 보다 클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비상모드로 결정하거나 또는 6)현재 수위(h)가 임계값 보다 크면서, 수위-변화율(△h)이 제3 설정값(TH3) 보다 클 때, 해당 주차장의 운영모드를 비상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입력단말기는
    스캔 시,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및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웹사이트에 접속되도록 하는 QR코드가 전면에 노출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전화번호 및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탐색하여 동일 차량번호를 갖는 진입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진입정보에 입력된 차량번호를 매칭시키는 QR기반 전화번호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서버들은 복수개이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진입정보, 진출정보 및 주차현황정보를 활용 및 가공하여 차량번호별로 주차장 기본정보, 전화번호, 진입시간, 진출시간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이용내역DB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이용내역DB 생성부;
    상기 발송대상 검출부에서 전화번호가 매칭되지 않은 주차차량인 누락차량이 검출될 때 실행되는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락차량 전화번호 탐색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이용내역DB로부터 예보모드 또는 비상모드로 결정된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추출하는 특정 주차장 이용내역DB 추출모듈;
    누락대상의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추출된 해당 주차장의 이용내역DB를 탐색하여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며, 만약 동일 차량번호의 이용내역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이용내역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해당 누락대상의 전화번호로 결정하는 제1 탐색모듈;
    상기 제1 탐색모듈에서 누락대상의 전화번호가 검출되지 못할 때 실행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들을 추출하는 전체 이용내역DB 추출모듈;
    누락대상의 차량번호를 키워드로 하여, 상기 전체 이용내역DB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전체 주차장의 이용내역DB들을 탐색하여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며, 만약 동일 차량번호의 이용내역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이용내역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해당 누락대상의 전화번호로 결정하는 제2 탐색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전송부는 상기 제1 탐색모듈 또는 상기 제2 탐색모듈에 의해 검출된 누락차량의 전화번호로 문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관리시스템.
KR1020200137771A 2020-10-22 2020-10-22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 KR10240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771A KR102404784B1 (ko) 2020-10-22 2020-10-22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771A KR102404784B1 (ko) 2020-10-22 2020-10-22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70A true KR20220053370A (ko) 2022-04-29
KR102404784B1 KR102404784B1 (ko) 2022-06-02

Family

ID=8142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771A KR102404784B1 (ko) 2020-10-22 2020-10-22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807B1 (ko) * 2022-08-11 2023-02-24 (주)우보재난시스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
WO2023211033A1 (ko) 2022-04-29 2023-11-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냉각성능이 강화된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447B1 (ko) * 2022-11-04 2023-09-27 주식회사 토마토파킹 침수 방지 효과를 높인 침수-예방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지하차도 침수 관리시스템
KR102600127B1 (ko) 2023-03-29 2023-11-07 김현일 침수감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881A (ja) * 2001-04-11 2002-10-2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駐車場の異常浸水警報システム
KR20060094243A (ko) * 2005-02-24 2006-08-29 이수행 재난방지 주차관리시스템
KR101207464B1 (ko) * 2012-06-15 2012-12-03 (주)서광시스템 큐알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주차관제시스템
KR20150109116A (ko) * 2014-03-19 2015-10-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849730B1 (ko) * 2017-07-05 2018-04-20 주식회사 다누시스 국소적 기상측정 기반 하천범람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7808B1 (ko) * 2019-09-04 2020-01-22 문대원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881A (ja) * 2001-04-11 2002-10-2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駐車場の異常浸水警報システム
KR20060094243A (ko) * 2005-02-24 2006-08-29 이수행 재난방지 주차관리시스템
KR101207464B1 (ko) * 2012-06-15 2012-12-03 (주)서광시스템 큐알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주차관제시스템
KR20150109116A (ko) * 2014-03-19 2015-10-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849730B1 (ko) * 2017-07-05 2018-04-20 주식회사 다누시스 국소적 기상측정 기반 하천범람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7808B1 (ko) * 2019-09-04 2020-01-22 문대원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033A1 (ko) 2022-04-29 2023-11-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냉각성능이 강화된 배터리 팩
KR102503807B1 (ko) * 2022-08-11 2023-02-24 (주)우보재난시스템 차량 진입 차단 구조물을 이용하는 저지대 침수도로 예경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784B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784B1 (ko) 침수 안전성을 높인 주차장 관리시스템
US10930151B2 (en) Roadside parking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multiple cameras
US9483944B2 (en) Prediction of free parking spaces in a parking area
KR101908611B1 (ko) 차량 주차관리 방법
CN102110376B (zh) 基于计算机视觉的路边停车位检测装置
KR102057808B1 (ko) 강변주차장 주차 관리시스템
US20030053659A1 (en) Moving object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CN111192391B (zh) 基于图像和/或视频的人行通道闸机控制方法和设备
KR20100119476A (ko) 연속류도로 사고 및 돌발 자동판별 검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2850B1 (ko) 딥 러닝 기반의 교통분석 및 차량번호 인식 솔루션
CN104616502A (zh) 基于组合式车路视频网络的车牌识别与定位系统
KR20220101535A (ko) 딥러닝 기반 온-디바이스 실시간 교통제어 시스템
KR102204015B1 (ko) 영상에 기반한 주차 차단기 및 이를 통한 차량 통제 방법
KR102583447B1 (ko) 침수 방지 효과를 높인 침수-예방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주차장/지하차도 침수 관리시스템
CN112083678A (zh) 闸机安全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310503B (zh) 一种门禁管理信息处理方法
CN113569730B (zh) 防护状态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762230A (zh) 基于剩余车位量预测的停车场智能引导方法及装置
WO2015180252A1 (zh) 一种多目标逆向违规检测方法、装置及系统
US202203715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KR20050034766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하천주차장의 차량 침수 예방시스템 및그 방법
KR20210158037A (ko) 영상감시시스템에서의 고속 이동물체의 위치 및 모션 캡쳐 방법
CN117830960B (zh) 一种基于智慧社区的风险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576751B1 (ko) 주차 관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식별 방법
KR102667443B1 (ko) 주거지용 주차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