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255A -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255A
KR20220053255A KR1020200137488A KR20200137488A KR20220053255A KR 20220053255 A KR20220053255 A KR 20220053255A KR 1020200137488 A KR1020200137488 A KR 1020200137488A KR 20200137488 A KR20200137488 A KR 20200137488A KR 20220053255 A KR20220053255 A KR 20220053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warehous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민
박주미
문상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255A/ko
Publication of KR2022005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Abstract

선내에서 자재를 자재창고에 입고 시 자재 및 자재 선반의 이미지 촬영과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증강현실(AR) 이미지 트랙킹을 통해 자재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자재 출고 시 화면의 자재 목록에서 자재를 선택하면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을 통해 자재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출해주어 쉽게 자재를 찾을 수 있도록 한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재 입고 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자재창고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입고 자재 정보로 출력하여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에 저장하고, 자재 출고 시 자재 목록에서 선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어, 자재 입고 및 출고에 편리함을 도모해준다.

Description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Augmented reality-based onboard material warehous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내에서 자재를 자재창고에 입고 시 자재 및 자재 선반의 이미지 촬영과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증강현실(AR) 이미지 트랙킹을 통해 자재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자재 출고 시 화면의 자재 목록에서 자재를 선택하면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을 통해 자재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출해주어 쉽게 자재를 찾을 수 있도록 한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내에는 자재를 저장하기 위한 자재창고가 마련되어 있으며, 자재창고는 선반 등을 이용하여 자재가 보관 및 관리된다. 자재창고에는 필요한 자재가 입고되어 적치되고, 자재창고에 적치되어 있는 자재는 필요할 때마다 출고된다.
자재창고의 자재 입고 및 출고 시, 관리자는 자재의 정보를 컴퓨터 등의 엑셀 프로그램 등에 수기로 직접 기록하여 입고 및 출고를 관리한다. 여기서 자재의 정보는 자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기 방식의 자재 관리 방법은, 자재가 많은 창고의 경우, 자재가 보관되어 있는 위치와 수량에 대해 자재의 입고 및 출고 관리가 어렵다.
특히, 수기 방식은 직접 자재 현황을 관리하는 방식이므로, 자재의 분실이 찾고, 재고 관리가 어려우며, 자재의 위치를 기억에 의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자재가 많이 보관되는 선내 자재창고의 자재를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은 이러한 자재관리 요구에 따라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다.
<특허문헌 1> 은 보관 대상물이 수용된 트레이의 정보를 파악한 상태로 트레이를 보관하면서, 트레이의 정보를 근거로 작업자로부터 요구되는 트레이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어서, 대상물의 보관 및 인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보관 대상물 관리의 신뢰성과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카세트에 트레이들이 적층상태로 보관되므로 작은 공간에 다수의 트레이를 보관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이송 모듈을 통해 트레이들이 트레이 카세트에 적치되므로 트레이의 적치작업 및 배출작업이 신속 및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Logistics 4.0 개념을 도입하여 물류센터 창고(warehouse)에서 핸즈프리 모바일 컴퓨팅(Hands free mobile computing) 기술을 사용하는 카메라와 비주얼 디스플레이, GPS 수신기, QR 코드 스캔부, Wi-Fi 통신부, 블루투스 통신부, 마이크로 USB 연결부를 구비한 스마트 글래스가 앱(App) 서버의 인터페이스 엔진과 연결되고 데이터베이스와 물류센터 창고 관리 시스템(WMS/ERP/MES)과 연동된다. 물류센터 창고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Wi-Fi 통신을 통해 스마트 글래스로 작업지시 메시지를 수신받아 비주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물류센터 창고에서 작업자가 착용한 스마트 글래스를 사용하여 제품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RFID 태그를 인식하고 물류센터 창고 관리 시스템(WMS/ERP/MES)으로 전송하여 입고 관리, 출고 관리, 재고 관리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은 구획된 공간 인식을 위한 비전센서모듈과 객체인식을 위한 객체검출모듈이 통합관리 서버에 상호 연동함으로써, 특정한 개체의 구별이 가능한 RFID태그(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바코드(Bar Code), QR코드(Quick Response Code)가 부착된 객체(Object)의 위치를 검출하고 관리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자재 촬영을 위한 장비 이외에 자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RFID 태그, 바코드, QR 코드 등이 부가적으로 필요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인식 장치를 인식 공간에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95641(2015.02.16. 등록)(자동 보관 창고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7914(2019.07.31. 등록)(QR코드 스캔 기능과 RFID 리더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글래스를 사용한 비콘 ID 기반 위치관리를 제공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7842(2015.04.29. 등록)(특정 공간 내 이동 물체의 위치 인식 및 통합관리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및 관리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수기 작업에 의한 자재관리 방법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선내에서 자재를 자재창고에 입고 시 자재 및 자재 선반의 이미지 촬영과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증강현실(AR) 이미지 트랙킹을 통해 자재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자재 출고 시 화면의 자재 목록에서 자재를 선택하면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을 통해 자재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출해주어 쉽게 자재를 찾을 수 있도록 한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은,
자재 입고 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자재창고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입고 자재 정보로 출력하며, 자재 출고 시 자재 목록에서 선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무선 단말기;
선내의 자재창고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속 시 자재창고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입고 자재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송된 자재의 위치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 액세스포인트(AP);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입고 자재 정보를 자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출고 자재 선택 시 상기 자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자재정보를 검색하여 선택한 자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로 전송하는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무선 단말기는 자재 입고 시, 자재를 촬영하고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촬영하면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자재창고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입고 자재 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자재창고 위치정보는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MAC 어드레스와 선내 창고 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무선 단말기는 자재 출고 시, 자재목록에서 출고할 자재가 선택되면 해당 자재의 자재 위치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자재창고의 선반을 카메라로 촬영하면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가 위치한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은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X, Y, Z 좌표와 기울기를 자재 위치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촬영된 자재 이미지를 매칭한 후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입고 자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은 출고할 자재의 위치 정보를 인식한 상태에서,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촬영하면 촬영된 선반의 자재 위치 정보와 인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위치의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무선 단말기는 자재 입고 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X, Y, Z 좌표와 기울기를 위치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위치 정보와 촬영된 자재 이미지를 결합하고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입고 자재 정보를 생성하며, 자재 출고 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출고할 자재의 위치 정보를 인식한 상태에서, 촬영된 선반의 자재 위치 정보와 인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위치의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자재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는 자재의 이미지, 자재 명, 수량, 위치 정보를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자재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되, 상기 위치 정보는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위치 좌표, 기울기 및 자재창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내에서 자재를 자재창고에 입고 시 자재 및 자재 선반의 이미지 촬영과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증강현실(AR) 이미지 트랙킹을 통해 자재목록을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재 출고 시 화면의 자재 목록에서 자재를 선택하면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을 통해 자재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출해주어 쉽게 자재를 찾을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자재 형상 및 자재가 배치되는 선반의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 중 자재 입고시의 프로세스,
도 4b는 본 발명에서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 중 자재 출고시의 프로세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서 자재 입고 및 출고 시 무선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서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에서 저장되는 자재 정보의 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서 자재창고의 식별정보 예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무선 단말기(100), 무선 액세스포인트(AP)(200), 네트워크 허브(300) 및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0)는 자재 입고 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자재창고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입고 자재 정보로 출력하며, 자재 출고 시 자재 목록에서 선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100)는 자재의 입출고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휴대할 수 있으며, 자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스마트폰과 같이 가볍게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자재 입고 시, 자재를 촬영하고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촬영하면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자재창고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입고 자재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자재창고 위치정보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MAC 어드레스와 선내 창고 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자재 출고 시, 자재목록에서 출고할 자재가 선택되면 해당 자재의 자재 위치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로부터 획득하고, 자재창고의 선반을 카메라로 촬영하면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가 위치한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재나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촬영하는 카메라(101), 촬영된 자재나 자재가 배치되는 선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터치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자재 목록의 터치를 통해 출고 자재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102),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접속된 무선 액세스포인트(AP)의 주소 정보를 선내 자재창고 위치정보로 저장하는 메모리(103), 자재의 입고 및 출고시 사용자가 자재의 입고 및 출고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자재 입고 및 출고의 전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105), 자재 입고 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X, Y, Z 좌표와 기울기를 위치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위치 정보와 촬영된 자재 이미지를 결합하고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입고 자재 정보를 생성하며, 자재 출고 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출고할 자재의 위치 정보를 인식한 상태에서, 촬영된 선반의 자재 위치 정보와 인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위치의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자재정보 생성부(104),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입고 자재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로부터 전송된 자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6)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LTE나 5G와 같은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는 선내의 자재창고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접속 시 자재창고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무선 단말기(100)에 제공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입고 자재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자재의 위치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는 선내의 자재 창고 개수에 비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무선 액세스포인트가 하나의 선내 자재창고를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는 자재 창고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네트워크 허브(300)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 간의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허브(30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유선 통신 네트워크로 구현할 수 있다.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는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로부터 수신한 입고 자재 정보를 자재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하고, 출고 자재 선택 시 상기 자재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한 자재정보를 검색하여 선택한 자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재를 선내 자재창고에 입고하는 경우와, 선내 자재창고에 입고된 자재를 출고하는 경우로 대별된다.
전자인 선내 자재창고에 자재를 입고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내의 자재 창고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휴대한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선내 자재창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선내 자재창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5a와 같은 초기 화면이 터치 디스플레이(102)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5a와 같은 초기 화면에서 관리자는 선내 특정의 자재창고에 자재 입고 시 입고라고 표시된 카테고리를 터치한다(S11). 자재 입고 시 선내 자재 창고의 내부에서 입고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관리자는 카메라(101)를 이용하여 입고할 자재 즉, 도 3의 자재(20)를 촬영한다(S12). 도 5b는 촬영된 입고 자재의 이미지이다. 이렇게 촬영되는 입고 자재의 이미지는 메모리(103)에 저장된다.
입고 자재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05)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102)에 입고할 자재 명과 수량을 입력할 입고 자재 목록을 생성하여 표시해준다(S13).
관리자는 화면에 생성된 입고 자재 목록에서 입력할 대상을 터치한 후 터치식 키패드를 이용하여 자재 명을 입력하고, 수량을 입력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한다(S14).
이후, 관리자는 카메라(101)로 자재를 비춘 상태에서, 자재를 선반의 비어있는 공간에 배치한다(S15).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의 비어있는 공간에 입고할 자재(20)를 배치한다. 이어, 관리자는 선반에 자재를 배치한 후,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카메라(101)로 촬영하고, 완료 버튼을 누른다(S16). 도 5d는 입고할 자재가 배치된 선반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자재가 배치된 선반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자재정보 생성부(104)는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인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입고 자재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은 이미지를 기초로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X, Y, Z 좌표와 기울기를 자재 위치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촬영된 자재 이미지를 매칭시킨 후,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이미지 기반과 위치 기반으로 입고 자재 정보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실재 자재 이미지와 실제 자재창고 및 실제 자재가 배치되는 선반 정보와 같은 실제 환경 및 이미지 추적 등을 부가하여 원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이라고 명명하였다.
예컨대, 자재정보 생성부(104)는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X, Y, Z 좌표(선반은 자재 배치 공간마다 좌표가 있음)와 기울기를 자재 위치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촬영된 자재 이미지를 매칭한다. 이때, 통신부(106)는 선내의 자재창고 내부 또는 자재창고에 인접하게 설치된 무선 액세스포인트(200)와 접속하여, 해당 자재창고를 식별하기 위한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105)에 전달한다.
여기서 자재창고 위치정보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MAC 어드레스와 해당 선내의 선내 창고 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정보 생성부(104)는 상기 매칭된 자재 위치 정보와 자재 이미지 정보에 상기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입고 자재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05)에 전달한다(S17).
제어부(105)는 생성된 입고 자재 정보를 통신부(106)를 통해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로 전송한다.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는 무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입고 자재 정보를 네트워크 허브(300)를 통해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로 전송한다.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는 수신한 입고 자재 정보를 내부의 자재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한다.
이때, 자재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되는 입고 자재 정보는 도 6a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저장되는 입고 자재 정보는 자재의 이미지, 자재 명, 수량, 위치 정보를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위치 좌표(X, Y, Z), 기울기 및 자재창고 위치 정보(무선 액세스포인트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관리자는 단순히 휴대한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자재를 촬영하고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촬영하고, 자재 명과 수량을 입력하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에 의해 입고 자재 정보가 생성되어,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후자인 자재 창고에 입고된 자재를 출고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내의 자재 창고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휴대한 무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선내 자재창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선내 자재창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5a와 같은 초기 화면이 터치 디스플레이(102)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5a와 같은 초기 화면에서 관리자는 선내 특정의 자재창고에 입고된 자재를 출고하기 위해서 출고라고 표시된 카테고리를 터치한다. 상기 출고라는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제어부(105)는 메모리(103)에 저장된 자재 목록을 터치 디스플레이(102)의 화면에 표시해준다. 도 5e는 화면에 표시되는 자재 목록의 예시이다. 여기서 자재 출고를 원하는 관리자는 상기 자재 목록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상에서 터치를 통해 출고할 자재를 선택한다(S21). 여기서 출고할 자재 선택은 자재 목록에서 자재 이미지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
출고할 자재가 선택되면, 제어부(105)는 출고할 자재 이미지 정보를 포함한 자재 출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06)를 통해 전송한다.
통신부(106)를 통해 전송된 자재 출고 요청정보는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를 통해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에 전송된다.
자재 출고 요청정보를 수신한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는 출고할 자재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자재 데이터베이스(401)를 검색하여, 출고할 자재 이미지 데이터와 동일한 자재가 보관된 자재창고의 위치 정보를 탐색한다. 이러한 탐색 과정을 통해 해당 자재가 보관된 자재창고의 위치 정보가 탐색 되면, 이를 무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자재창고의 위치 정보는 해당 자재가 보관된 자재창고위치정보와 선반 정보, 선반 내의 자재의 위치 정보(X, Y, Z, 기울기) 및 자재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0)는 전송된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메모리(103)에 저장한다(S22).
다음으로,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관리하는 해당 자재창고에 진입한 후, 자재창고 내부에서 무선 단말기(100)의 카메라(101)를 이용하여, 자재창고의 내부에 설치된 자재 선반을 촬영한다(S23). 즉, 무선 단말기(100)의 카메라(101)로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비춘다.
자재가 배치된 선반이 카메라(101)를 통해 화면에 비추어지면, 자재정보 생성부(104)는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인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출고할 자재를 탐색하여, 출고할 자재가 배치된 자재 선반을 터치 디스플레이(102)의 화면에 표출해준다(S24).
여기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은 출고할 자재의 위치 정보를 인식한 상태에서,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촬영하면 이미지를 기초로 촬영된 선반의 자재 위치 정보와 인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위치의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이미지 추적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예컨대, 자재정보 생성부(104)는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촬영하면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X, Y, Z 좌표(선반은 자재 배치 공간마다 좌표가 있음) 및 기울기 정보와,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에서 전송된 자재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자재의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자재 선반을 탐색한다. 이러한 탐색 과정을 통해 출고할 자재가 배치된 선반 및 자재 위치 정보와 동일한 자재 선반 및 자재 위치 정보가 탐색되면, 도 5f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102) 화면에 해당 자재 선반을 표시해준다. 이때, 출고할 자재가 배치된 자재 선반을 탐색하면, 별도의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쉽게 인지하도록 한다. 별도의 알림 장치는 출고할 자재가 배치된 해당 선반의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해당 출고 대상 자재의 이미지를 부각하거나 해당 이미지를 점멸시키거나 해당 이미지의 색상을 다른 색상으로 처리하는 것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출고할 대상 자재가 배치된 선반의 탐색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05)는 선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102)의 화면 일부분에 출고 수량을 입력하도록 하는 출고 수량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해준다.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출고 수량 입력창을 터치하고, 표출되는 키패드를 통해 출고 수량을 입력하고 완료 버튼을 클릭한다(S25).
이와 같이 관리자는 자재 출고 시 단순히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고할 자재를 선택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재 선반을 비추는 동작만으로, 쉽게 출고할 자재를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출고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완료 버튼이 클릭되면, 제어부(105)는 출고된 자재 정보(예를 들어, 수량, 자재명)를 기초로 출고 자재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06)를 통해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로 전송한다.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400)는 출고된 자재 정보를 수신하면, 자재 데이터베이스(401)에 해당 자재 출고 정보를 저장하고, 아울러 자재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된 자재 정보를 갱신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재 이미지와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쉽게 입고할 입고 자재 정보를 생성하여 플랫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음으로써, 입고 자재 정보의 생성 및 관리에 편리함을 도모해준다.
또한, 자재 출고 시 단순히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고할 자재를 선택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재 선반을 비추는 동작만으로, 쉽게 출고할 자재를 찾을 수 있도록 도모해준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무선 단말기
101: 카메라
102: 터치 디스플레이
103: 메모리
104: 자재정보 생성부
105: 제어부
106: 통신부
200: 무선 액세스포인트
300: 네트워크 허브
400: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

Claims (7)

  1. 증강현실기반으로 선내 자재창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자재 입고 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자재창고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입고 자재 정보로 출력하며, 자재 출고 시 자재 목록에서 선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무선 단말기;
    선내의 자재창고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속 시 자재창고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입고 자재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송된 자재의 위치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 액세스포인트(AP); 및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입고 자재 정보를 자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출고 자재 선택 시 상기 자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자재정보를 검색하여 선택한 자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포인트로 전송하는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자재 입고 시, 자재를 촬영하고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촬영하면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자재창고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입고 자재 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서, 상기 자재창고 위치정보는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MAC 어드레스와 선내 창고 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자재 출고 시, 자재목록에서 출고할 자재가 선택되면 해당 자재의 자재 위치 정보를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자재창고의 선반을 카메라로 촬영하면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통해 자재가 위치한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은 자재 입고 시,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X, Y, Z 좌표와 기울기를 자재 위치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자재 위치 정보와 촬영된 자재 이미지를 매칭한 후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입고 자재 정보를 생성하고, 자재 출고 시 출고할 자재의 위치 정보를 인식한 상태에서, 자재가 배치된 선반을 촬영하면 촬영된 선반의 자재 위치 정보와 인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위치의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실제 이미지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자재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6. 청구항 1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자재 입고 시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X, Y, Z 좌표와 기울기를 위치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위치 정보와 촬영된 자재 이미지를 결합하고 자재창고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입고 자재 정보를 생성하며, 자재 출고 시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 트랙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출고할 자재의 위치 정보를 인식한 상태에서, 촬영된 선반의 자재 위치 정보와 인식한 자재의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위치의 선반을 화면에 표시해주는 자재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7. 청구항 1에서, 상기 자재관리 플랫폼 서버는 자재의 이미지, 자재 명, 수량, 위치 정보를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자재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되, 상기 위치 정보는 선반에 배치된 자재의 위치 좌표, 기울기 및 자재창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KR1020200137488A 2020-10-22 2020-10-22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KR20220053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88A KR20220053255A (ko) 2020-10-22 2020-10-22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88A KR20220053255A (ko) 2020-10-22 2020-10-22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255A true KR20220053255A (ko) 2022-04-29

Family

ID=8142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488A KR20220053255A (ko) 2020-10-22 2020-10-22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3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23123A (zh) * 2023-08-30 2023-09-29 青岛宇方机器人工业股份有限公司 基于ar定位的仓库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41B1 (ko) 2013-12-11 2015-02-26 주식회사 아세테크 자동 보관 창고 장치
KR101517842B1 (ko) 2014-05-09 2015-05-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특정 공간내 이동 물체의 위치 인식 및 통합관리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및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41B1 (ko) 2013-12-11 2015-02-26 주식회사 아세테크 자동 보관 창고 장치
KR101517842B1 (ko) 2014-05-09 2015-05-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특정 공간내 이동 물체의 위치 인식 및 통합관리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및 관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7914(2019.07.31. 등록)(QR코드 스캔 기능과 RFID 리더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글래스를 사용한 비콘 ID 기반 위치관리를 제공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23123A (zh) * 2023-08-30 2023-09-29 青岛宇方机器人工业股份有限公司 基于ar定位的仓库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6823123B (zh) * 2023-08-30 2023-12-05 青岛宇方机器人工业股份有限公司 基于ar定位的仓库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13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gistics management
US20160189087A1 (en) Cargo Apportionment Techniques
US11315073B1 (en) Event aspect determination
US104101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ntory management
KR20210098509A (ko) 정보 처리
WO2018165287A1 (en) Order inform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EP2824617B1 (en) Filtering inventory objects using images in an rfid system
CN107924504B (zh) 管理系统
EP3182651B1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cataloged smart devices
US20210201385A1 (en)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guide system
US20160379197A1 (en) Commodity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JP6687199B2 (ja) 商品棚位置登録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220063635A (ko) 3d 스캐너를 이용한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KR20220053255A (ko) 증강현실기반 선내 자재창고 관리시스템
KR102213057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180285708A1 (en) Intelligent Fixture System
US20190045025A1 (en) Distributed Recognition Feedback Acquisition System
KR20200078880A (ko)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상점 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48601A (ko) 택배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7330126B2 (ja) 自動販売機および人物捜索システム
JP2017168004A (ja) ロ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
CN113361986A (zh) 物流信息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444383B1 (ja) 物流管理システム
US20220188749A1 (en) Smart logistics label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220019800A1 (en) Directional Guidance and Layout Compliance for Item Col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