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072A -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 Google Patents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072A
KR20220053072A KR1020200136639A KR20200136639A KR20220053072A KR 20220053072 A KR20220053072 A KR 20220053072A KR 1020200136639 A KR1020200136639 A KR 1020200136639A KR 20200136639 A KR20200136639 A KR 20200136639A KR 20220053072 A KR20220053072 A KR 2022005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wind
correction value
calculating
land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905B1 (ko
Inventor
정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더스
Priority to KR102020013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905B1/ko
Priority to PCT/KR2021/003475 priority patent/WO2022085876A1/ko
Priority to JP2022574131A priority patent/JP2023547753A/ja
Priority to US18/009,987 priority patent/US20230226433A1/en
Publication of KR2022005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01C3/06Use of electric means to obtain final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1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 G01C3/12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with monocular observation at a single point, e.g. coincidenc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2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63B2220/76Wind cond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가, 바람 특성을 고려하여 추천 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현재 위치로부터 타깃까지의 직선 거리, 타깃까지의 경사도를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기초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타깃까지의 수평 거리, 수직 거리 및 샷의 추천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평 거리에 대한 수평 거리 보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랜딩 각도에 대한 조정 랜딩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랜딩 각도 및 상기 수직 거리를 기초로 추가 거리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가 거리 보정값과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을 합산하여, 최종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천 거리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DISTANCE RECOMMENDATION DEVICE FOR GOLF CONSIDERING WIND CHRACTERISTIC}
본 발명은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 자체적으로 측정한 바람 특성을 고려하여, 타깃까지의 추천 거리 정보를 생성해내는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크린 골프장, 실내 골프 연습장 등과 같은 골프 시설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골프가 대중적인 스포츠의 하나로 점차 발전해가고 있다. 특히, 골프 인구가 증가하면서, 필드에 나가 라운딩하는 골퍼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필드에서 라운딩하는 골퍼가 좋은 샷을 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골프공의 위치로부터 핀까지의 거리를 포함한 거리 정보, 및 현재 필드에 불고 있는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포함한 기상 정보이다. 즉, 각각의 코스에 배치된 벙커, 워터해저드, 또는 그린에 이르는 거리를 정확하게 알아야, 그에 맞는 클럽을 선택할 수 있으며, 현재 필드에 불고 있는 풍향, 풍속을 알아야, 이를 고려하여 강약 및 방향을 조절하며 정교한 샷을 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골프 거리 측정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GPS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이다.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은, 목표물을 향해 레이저를 발신하며, 발신된 레이저의 일부가 목표물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 및 레이저의 속도를 곱하여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레이저 거리 측정 방법은, 레이저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정확히 감지함으로써,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200야드(yard) 이상과 같은 원거리에서 사용할 경우, 레이저 장비를 파지한 손의 미세한 떨림에 의해, 레이저를 정확하게 목표물에 조준하기 어렵기 때문에, 티 그라운드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은, 항해 데이터 및 PRN 코드(Pseudo-Random-Noise code, 의사 잡음 부호)를 GPS 수신기에 의해 수신하여, GPS 수신기로부터 각각의 위성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GPS 수신기를 통해 산출된 거리 정보들을 통해 삼각측량하면 3차원 상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는데, 그로부터 GPS 수신기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GPS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은, 지구상 어느 위치에서든지 해당 좌표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GPS로 측정된 좌표의 오차 범위가, 넓게는 수 미터에 달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린 주변에서의 피치 샷, 칩 샷 등과 같이 정교한 어프로치 샷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그 활용도가 적은 문제가 있다.
한편, 필드에서는 기상 특성, 특히, 바람과 관련된 특성(풍속 및 풍향)이 샷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재로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골프용 거리 측정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한 바람 특성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바람 특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알려주는 기술이 전부이다.
골퍼는 레이저 또는 GPS 를 통해 타깃까지의 거리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바람의 영향을 스스로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숙련자가 아니라면 정확한 샷의 강도를 결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의 특성을 반영하여 골프용 추천 거리를 제공해줌으로써, 골퍼 입장에서 용이한 샷 거리 설정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가, 바람 특성을 고려하여 추천 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현재 위치로부터 타깃까지의 직선 거리, 타깃까지의 경사도를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기초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타깃까지의 수평 거리, 수직 거리 및 샷의 추천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평 거리에 대한 수평 거리 보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랜딩 각도에 대한 조정 랜딩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랜딩 각도 및 상기 수직 거리를 기초로 추가 거리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가 거리 보정값과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을 합산하여, 최종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천 거리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타깃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풍향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제1 요율을 산출하는 단계; 풍속에 비례하고, 수평 거리에 반비례하며, 상기 제1 요율에 비례하는 제2 요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 거리와 상기 제2 요율의 곱을 상기 수평 거리에 합산 또는 차감하여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요율은, 뒷 바람인 경우보다 앞 바람인 경우 더 높게 산출되도록 계수가 적용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조정 랜딩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풍속에 비례하고, 상기 기 설정된 랜딩 각도에 반비례하며, 상기 제1 요율에 비례하는 랜딩 각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랜딩 각도에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을 합산 또는 차감하여 상기 조정 랜딩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은, 뒷 바람인 경우보다 앞 바람인 경우 더 높게 산출되도록 계수가 적용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바람 특성 측정부; 현재 위치로부터 타깃까지의 직선 거리, 타깃까지의 경사도를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기초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타깃까지의 수평 거리, 수직 거리 및 샷의 추천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측정부; 및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평 거리에 대한 수평 거리 보정값을 계산하고,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랜딩 각도에 대한 조정 랜딩 각도를 계산한 후, 상기 조정 랜딩 각도 및 상기 수직 거리를 기초로 추가 거리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가 거리 보정값과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을 합산하여, 최종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바람 영향 반영부를 포함하는,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의 특성을 반영하여 골프용 추천 거리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골퍼 입장에서는 용이한 샷 거리 설정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특성 측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추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거리 추천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바람 특성 측정부(110)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는 거리 추천 장치(100)의 일례로서, 외부 또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제1 대물 렌즈(L1), 거리 추천 장치(100)로부터 발광된 레이저가 타깃에 반사되면, 반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제2 대물 렌즈(L2), 골퍼가 육안으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접안 렌즈(L3)를 포함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GPS 방식의 거리 측정기 또는 그 외 다른 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어떠한 종류의 장치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람 특성 측정부(110)가 장착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거리 추천 장치(100)에 있어서는, 바람 특성 측정부(110)가 제1 대물 렌즈(L1) 및 제2 대물 렌즈(L2)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거리 추천 장치(100)에는 바람 특성 측정부(110)를 활성화시키는 버튼(1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특성 측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거리 추천 장치(100)에 장착되는 바람 특성 측정부(110)는 복수개의 음성 수신부(M1, M2, M3), 예를 들면,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음성 수신부(M1, M2, M3)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개의 음성 수신부가 포함되면 족하다.
복수개의 음성 수신부(M1, M2, M3) 각각의 중심과 바람 특성 측정부(110)의 중심 간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웃하는 음성 수신부(M1, M2, M3) 의 중심간 거리 또한 모두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음성 수신부(M1, M2, M3)는 공기의 불연속면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류 소음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음성 수신부(M1, M2, M3)는 공기의 불연속면을 형성하는 구성요소, 예를 들면, 흡입 안내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이 불면 불연속면에 의해 공기가 산란되어 부분적인 기압변화가 생기고 이 기압 변화는 음압을 형성하여 기류 소음을 발생하게 되는데, 음성 수신부(M1, M2, M3)의 흡입 안내구는 공기의 산란 및 공기의 흐름을 일으키기 위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음성 수신부(M1, M2, M3)에 의해 수신된 소음은 A/D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바람 소리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풍속은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산출되는데, 상기 복수의 음성 수신부(M1, M2, M3)에 의해 수신되고, 변환 및 필터링된 신호의 레벨을 토대로 풍속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풍향도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는데, 바람 특성 측정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 방위각에 균일하게 배치된 복수의 음성 수신부(M1, M2, M3)에 의해 수집된 소음 신호의 레벨 간 비율에 따라 현재의 풍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각 음성 수신부(M1, M2, M3)에서 음성 신호가 수신된 경우라면, 제2 음성 수신부(M2)에서 풍절음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제2 음성 수신부(M3)에서 풍절음이 가장 작게 형성되는 방향으로 바람이 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되는 바람 특성, 즉, 풍향과 풍속 데이터가 골프용 거리 추천 정보 생성에 반영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거리 추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추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추천 장치(100)는 바람 특성 측정부(110), 버튼(120), 사용자 입력 정보 수신부(130), 거리 측정부(140), 바람 영향 반영부(150),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 특성 측정부(110)의 일부 동작 모듈, 사용자 입력 정보 수신부(130), 거리 측정부(140),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거리 추천 장치(1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 특성 측정부(110)는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에 따라 현재의 바람 특성, 즉,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바람 특성 측정부(110)는 복수의 음성 수신부, A/D 컨버터, 필터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버튼(12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골퍼에 의해 작동되었을 때 바람 특성 측정부(110)를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입력 정보 수신부(130)는 거리 추천 장치(1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별도의 장치, 예를 들면, 별도 스마트 기기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준 정보는, 골퍼가 샷을 한 후, 골프공이 지면에 떨어지는 방향과 수직선과의 각도, 즉, 랜딩 각도(Landing Angle)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랜딩 각도는 골프공을 타깃까지 보내기 위한 샷의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데에 활용된다.
기준 정보는 예를 들면, 골퍼 별로 7번 아이언(7i)을 이용하여 샷을 하였을 때 골프공을 보낼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으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예를 들면, 140m 또는 150m).
거리 측정부(140)는 타깃까지의 직선 거리, 경사 각도, 상기 기준 정보 등을 참조하여, 바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골프공을 타깃까지 보내기 위해 샷을 해야할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거리 측정부(140)가 바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거리 측정부(140)는 현재 거리 추천 장치(100)의 위치, 즉, 골퍼의 위치에서 타깃(T)까지의 직선 거리(A)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레이저를 타깃을 향해 발신한 후, 발신된 레이저의 일부가 타깃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시간 및 레이저의 속도를 곱함으로써 타깃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된 직선 거리(A)가 170m인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거리 측정부(140)는 현재 위치와 타깃의 위치 간 경사 각도(B)를 측정할 수 있다. 경사 각도(B) 측정을 위해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된 경사 각도(B)는 -7˚, 즉, 거리 추천 장치(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타깃(T)은 내리막 경사로 7˚의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거리 측정부(140)는 상기 직선 거리(A)와 경사 각도(B)를 참조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타깃(T)까지의 수평 거리(X), 수직 거리(Y)를 아래의 수학식 1 및 2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수직 거리(Y)가 마이너스(-)인 것은 골퍼의 현재 위치로부터 타깃(T)이 아래 방향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거리 측정부(140)는 골프공을 타깃(T)까지 보내기 위한 추가 거리(Z)를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한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C는 위에서 설명한 랜딩 각도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기 설정된 기준 정보, 즉, 7번 아이언의 샷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는 정보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의 표 1과 같이 7번 아이언의 기준 거리별 랜딩 각도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기준 정보(7번 아이언 거리)
(단위: m)
랜딩 각도
(단위: ˚)
210 53
200 41
190 47
180 44
170 47
160 45
150 44
140 43
130 43
120 43
110 42
100 41
사용자가 기준 정보로서 150m를 입력하였다고 가정하면, 랜딩 각도, 즉, 상기 수학식 3에서의 C 값은 44˚가 된다. 따라서, 상기 추가 거리(Z)는 -20m (=(-20m)·tan(44˚))가 된다. 바람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거리는 타깃(T)까지의 수평 거리(X)와 추가 거리(Z)의 합으로서 산출되며, 상기의 예에서, 148.7m(=168.7m-20m)가 산출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거리 측정부(140)에 의해 산출된 추천 거리에 바람의 영향을 반영하여, 최종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현재 위치와 타깃(T)을 잇는 직선을 기준으로 하는 풍향을 계산한다. 바람의 절대적 방향은 바람 특성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되므로,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이를 통해, 상기 직선을 기준으로 하는 풍향(WD)을 계산할 수 있다. 현재 위치로부터 타깃(T)의 방향은 거리 측정 시에 설정된 타깃(T)의 방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깃 방향(TD)에 대해 풍향(WD)이 0~90˚ 또는 271~359˚이면 뒷 바람, 즉, 뒤에서 앞으로 불어오는 바람이고, 풍향(WD)이 91~270˚이면 앞 바람, 즉, 앞에서 뒤로 불어오는 바람일 것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풍향(WD)이 270˚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풍향에 따라 적용되는 제1 요율(WER)을 계산한다. 타깃(T)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풍향(WD)이 180˚ 이하인 경우에는 다음의 수학식 4에 따라 상기 제1 요율(WER)이 산출된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4
또한, 상기 풍향(WD)이 180˚를 초과하고, 359˚이하인 경우에는 다음의 수학식 5에 따라 제1 요율(WER)을 산출한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제1 요율(WER)은 풍향(WD)에 따라 풍속이 골프공에 가해지는 영향의 정도를 반영해주기 위한 변수로서, 0이상 1이하의 값을 가지고, 풍향(WD)이 0˚ 또는 180˚인 경우에는, 상기 수학식 4에 따라 제1 요율(WER)이 1이 된다. 즉, 풍향(WD)이 타깃(T)의 방향과 일치하거나, 완전히 역방향인 경우에는, 풍속이 그대로 최종 추천 거리 산출에 반영되는 것이다.
상기 가정에서는 풍향(WD)이 270˚이므로, 상기 수학식 5에 의해, 요율(WER)은 0이 된다.
또한,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바람 특성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되는 풍속(WP)에 따라 타깃(T)까지의 수평 거리(X)에 끼치는 영향, 즉, 골프공이 공중에 머무는 동안 받는 영향에 따른 제2 요율(WDR)를 산출한다.
먼저, 풍향(WD)이 0~90˚ 또는 271~359˚인 경우(뒷 바람인 경우), 상기 제2 요율(WDR)은 다음의 수학식 6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at00006
상기 수학식 6에서 k1은 뒷 바람 계수로서, 예를 들면, 1.2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풍향(WD)이 90~270˚인 경우(앞 바람인 경우), 상기 제2 요율(WDR)은 다음의 수학식 7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pat00007
상기 수학식 7에서 k2은 앞 바람 계수로서, 예를 들면, 2.5로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6 및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요율(WDR)은 풍속(WP)에 비례하고, 수평 거리(X)에 반비례하며, 뒷 바람인 경우보다 앞 바람인 경우에 더 높게 산출되도록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풍향(WD)이 270˚라면, 제1 요율(WER)은 0이므로, 제2 요율(WDR) 역시 0이 된다.
한편,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바람의 영향에 따른 랜딩 각도 보정값(WAA)을 산출한다.
먼저, 풍향(WD)이 0~90˚ 또는 271~359˚인 경우(뒷 바람인 경우),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WAA)은 다음의 수학식 8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8]
Figure pat00008
상기 수학식 6에서 k3은 뒷 바람 계수로서, 예를 들면, 62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풍향(WD)이 90~270˚인 경우(앞 바람인 경우),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WAA)은 다음의 수학식 9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pat00009
상기 수학식 9에서 k4은 앞 바람 계수로서, 예를 들면, 100로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6 및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WAA)은 풍속(WP)에 비례하고, 원래의 랜딩 각도(C)에 반비례하며, 뒷 바람인 경우보다 앞 바람인 경우에 더 높게 산출되도록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풍향(WD)이 270˚라면, 제1 요율(WER)은 0이므로, 랜딩 각도 보정값(WAA) 역시 0이 된다.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WAA)을 토대로, 조정 랜딩 각도(WLA)를 산출한다.
풍향(WD)이 0~90˚ 또는 271~359˚인 경우(뒷 바람인 경우), 랜딩 각도(C)에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WAA)을 합산하여, 조정 랜딩 각도(WLA)를 산출하고, 풍향(WD)이 90~270˚인 경우(앞 바람인 경우), 랜딩 각도(C)에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WAA)을 차감하여, 조정 랜딩 각도(WLA)를 산출한다.
위의 예에서, 풍향(WD)이 270˚라면, 랜딩 각도 보정값(WAA)이 0이므로, 조정 랜딩 각도(WLA)는 여전히 44˚가 된다.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상기 수학식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요율(WDR)을 토대로 수평 거리(X)의 보정값(Wx)을 산출한다.
먼저, 풍향(WD)이 0~90˚ 또는 271~359˚인 경우(뒷 바람인 경우),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Wx)은 다음의 수학식 10에 의해 산출된다.
[수학식 10]
Figure pat00010
또한, 풍향(WD)이 90~270˚인 경우(앞 바람인 경우),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Wx)은 다음의 수학식 1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pat00011
한편, 상기 조정 랜딩 각도(WLA)를 토대로 골프공을 타깃(T)까지 보내기 위한 추가 거리 보정값(WAD)을 다음의 수학식 12와 같이 계산한다.
[수학식 12]
Figure pat00012
위의 예에서 풍향이 270˚인 경우, 조정 랜딩 각도(WLA)는 44˚이므로, 상기 추가 거리 보정값(WAD)은 -20m가 된다.
바람 영향 반영부(150)는 최종적으로, 수평 거리 보정값(Wx)과 추가 거리 보정값(WAD)을 합산하여, 바람의 영향이 반영된 최종적인 추천 거리를 산출한다. 상기의 예에서, 수평 거리 보정값(Wx)과 추가 거리 보정값(WAD)은 각각 168.7m, -20m이므로, 최종적인 추천 거리는 148.7m가 된다.
측정 및 산출된 값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추천 장치(100)의 표시부(160), 예를 들면, 뷰 파인더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풍속, 풍향, 타깃까지의 직선거리, 바람 특성을 고려한 최종 추천 거리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의 특성을 반영하여 골프용 추천 거리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골퍼 입장에서는 용이한 샷 거리 설정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가, 바람 특성을 고려하여 추천 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현재 위치로부터 타깃까지의 직선 거리, 타깃까지의 경사도를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기초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타깃까지의 수평 거리, 수직 거리 및 샷의 추천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평 거리에 대한 수평 거리 보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랜딩 각도에 대한 조정 랜딩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랜딩 각도 및 상기 수직 거리를 기초로 추가 거리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가 거리 보정값과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을 합산하여, 최종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천 거리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타깃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풍향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제1 요율을 산출하는 단계;
    풍속에 비례하고, 수평 거리에 반비례하며, 상기 제1 요율에 비례하는 제2 요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 거리와 상기 제2 요율의 곱을 상기 수평 거리에 합산 또는 차감하여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천 거리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율은, 뒷 바람인 경우보다 앞 바람인 경우 더 높게 산출되도록 계수가 적용된 값인, 추천 거리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랜딩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풍속에 비례하고, 상기 기 설정된 랜딩 각도에 반비례하며, 상기 제1 요율에 비례하는 랜딩 각도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랜딩 각도에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을 합산 또는 차감하여 상기 조정 랜딩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천 거리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각도 보정값은, 뒷 바람인 경우보다 앞 바람인 경우 더 높게 산출되도록 계수가 적용된 값인, 추천 거리 제공 방법.
  6.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바람 특성 측정부;
    현재 위치로부터 타깃까지의 직선 거리, 타깃까지의 경사도를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기초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타깃까지의 수평 거리, 수직 거리 및 샷의 추천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측정부; 및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평 거리에 대한 수평 거리 보정값을 계산하고, 풍향 및 풍속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랜딩 각도에 대한 조정 랜딩 각도를 계산한 후, 상기 조정 랜딩 각도 및 상기 수직 거리를 기초로 추가 거리 보정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가 거리 보정값과 상기 수평 거리 보정값을 합산하여, 최종 추천 거리를 산출하는 바람 영향 반영부를 포함하는,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KR1020200136639A 2020-10-21 2020-10-21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KR10245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39A KR102453905B1 (ko) 2020-10-21 2020-10-21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PCT/KR2021/003475 WO2022085876A1 (ko) 2020-10-21 2021-03-22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JP2022574131A JP2023547753A (ja) 2020-10-21 2021-03-22 風特性を考慮したゴルフ用距離推薦装置
US18/009,987 US20230226433A1 (en) 2020-10-21 2021-03-22 Distance recommendation device for golf in consideration of wind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39A KR102453905B1 (ko) 2020-10-21 2020-10-21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072A true KR20220053072A (ko) 2022-04-29
KR102453905B1 KR102453905B1 (ko) 2022-10-12

Family

ID=8129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639A KR102453905B1 (ko) 2020-10-21 2020-10-21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26433A1 (ko)
JP (1) JP2023547753A (ko)
KR (1) KR102453905B1 (ko)
WO (1) WO20220858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681B1 (ko) * 2022-05-23 2023-03-23 주식회사 솔릭스 골프용 거리 측정 장치
KR102512680B1 (ko) * 2022-05-23 2023-03-23 주식회사 솔릭스 골프용 거리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33A (ko) * 2009-07-02 2011-01-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원 골프볼 궤적 표시 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80037517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에이치투에스엔씨 골프 캐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2702B2 (en) * 2000-06-16 2012-05-08 Skyhawke Technologies, Llc. Personal golfing assistant and method and system for graphically displaying golf related information and for collection,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golf related data
KR20140002365A (ko) * 2012-06-29 2014-01-08 김명진 디지털 거리목
KR101933861B1 (ko) * 2017-12-26 2019-01-02 이상근 휴대 가능한 골프용 거리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33A (ko) * 2009-07-02 2011-01-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원 골프볼 궤적 표시 장치 및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80037517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에이치투에스엔씨 골프 캐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681B1 (ko) * 2022-05-23 2023-03-23 주식회사 솔릭스 골프용 거리 측정 장치
KR102512680B1 (ko) * 2022-05-23 2023-03-23 주식회사 솔릭스 골프용 거리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26433A1 (en) 2023-07-20
JP2023547753A (ja) 2023-11-14
WO2022085876A1 (ko) 2022-04-28
KR102453905B1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634B (zh) 用于监视运动场地中的对象的系统和方法
US8396664B2 (en) 3-D golf course navigation device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US648859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golf ball trajectory and flight
KR102453905B1 (ko) 바람 특성을 고려한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US20170010359A1 (en) Golf device with gps and laser rangefinder functionalities
US95975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putting
JP2020016662A (ja) 面上における対象物の正確な位置決定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1577125B2 (en) Sensor device-equipped golf shoes
JP6204635B1 (ja) ゴルフプレイ支援システム、ゴルフプレイ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88426A (ko)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JP2003190352A (ja) ゴルフコース最適攻略支援システム
KR101778890B1 (ko) 골프장용 거리 측정을 위한 드론
JP2020065833A (ja) アドバイス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アドバイス情報提示プログラム
KR102579222B1 (ko) 제3의 위치에서 추천 거리를 생성할 수 있는 골프용 거리 추천 장치
KR101700376B1 (ko) 그린 홀과의 잔여 거리 제공 방법
KR102265707B1 (ko) 스마트 풋볼 경기장 시스템
JP2020065831A (ja) 飛距離補正システム及び飛距離補正プログラム
KR102237251B1 (ko)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용 웨어러블 유닛
KR102224185B1 (ko) 웨어러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237571B1 (ko)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용 웨어러블 유닛
US11555929B2 (en) System for determining a position on a golf course
CN115518361A (zh) Gps倾斜确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