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80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802A
KR20220052802A KR1020200188557A KR20200188557A KR20220052802A KR 20220052802 A KR20220052802 A KR 20220052802A KR 1020200188557 A KR1020200188557 A KR 1020200188557A KR 20200188557 A KR20200188557 A KR 20200188557A KR 20220052802 A KR20220052802 A KR 20220052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rc
base station
message
s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엽
김성훈
아닐 아기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48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86227A1/ko
Priority to EP21883295.4A priority patent/EP4207933A4/en
Publication of KR2022005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04W72/12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제공될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1 SIM과 관련된 제1기지국과 상기 단말은 RRC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 단말의 제2 SIM과 관련된 제2기지국과는 RRC 비활성화 상태인 상기 단말이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2기지국에게 busy indication을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과정, 상기 busy indication이 송신된 후, 상기 제2기지국과 RRC 비활성화 상태에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DEVICE SUPPORTING MULTIPLE SI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IM을 이용하는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 개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다양한 경우들을 가정하여 효율적으로 RRC 연결을 재개하는 방안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SIM을 지원하는/이용하는 단말을 위한 효율적인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일 측면은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SIM 중 제2 SIM와 연관된 제2 기지국과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페이징 이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페이징 이유에 대한 정보에 매핑된 제2 서비스의 우선 순위 값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SIM 중 제1 SIM 과 관련된 제1 기지국과 진행하고 있는 제1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 값과 상기 제2 서비스의 우선순위 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제1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 값 보다 상기 제2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 값이 더 큰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에게 RRC 연결 재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은 제2 서비스의 우선순위 값이 상기 제1 서비스의 우선순위 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서비스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은 제2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상기 제1서비스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페이징(Core Network initiated paging)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SIM과 관련된 상기 제1 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제2 SIM과 관련된 상기 제2 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은 페이징 이유에 대한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서비스의 우선 순위 값을 확인하고, 상기 페이징 이유에 대한 정보와 매핑된 제2서비스의 우선 순위 값과 상기 제1서비스의 상기 우선 순위 값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제2서비스의 우선 순위 값이 더 높은 경우, 상기 제2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페이징 이유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없음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기반으로, 상기 제1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서비스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기지국에게 RRC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SIM 중 제1SIM과 연관된 제1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기지국과 RRC 연결 모드에 있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측정 갭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제2 SIM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갭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요청한 갭을 설정하기 위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SIM에서의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갭을 전환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제2 SIM에서의 동작은, 상기 제2 SIM와 연관된 제2기지국과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의 동작에 해당하고, 상기 제1 SIM이 요청한 갭에서 상기 제2 SIM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1SIM은 상기 제1기지국과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인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과 통신하는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SIM 중 제2 SIM와 연관된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 페이징 이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 상기 복수 개의 SIM 중 제1 SIM 과 관련된 제1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 값 보다 상기 페이징 이유에 대한 정보에 매핑된 제2 서비스의 우선 순위 값이 더 큰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제2 서비스의 우선순위 값이 상기 제1 서비스의 우선순위 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도 1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는 단말이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RAN-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에 따라 기지국과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수행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RAN-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RAN-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RAN-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가 개시한 페이징(Core Network 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받은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서 다른 SIM으로 스위칭(Switching)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는 하나의 SIM 단말이 해당 SIM에 연관된 기지국에게 이를 알리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종래의 측정 갭(legacy measurement gap)과 MUSIM 용 NoActivityPregerenceGaps과 겹칠 경우,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 중 하나의 SIM 단말이 Busy indi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17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 중 하나의 SIM 단말이 Busy indi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18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 중 하나의 SIM 단말이 Busy indi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 중 하나의 SIM 단말이 Busy indi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표준화 단체인 3GPP가 규정하고 있는 LTE 시스템 혹은 5G 시스템(NR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지만, 본 개시는 5G 이상의 시스템 혹은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아니 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용어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타입을 기반으로 송신 포인트(transmit point: TP), 송신-수신 포인트(transmit-receive point: TRP), 진화된 노드 비(enhanced node B: eNodeB 혹은 eNB), 5G 기지국(5G base station: gNB), 매크로셀, 펨토셀, WiFi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혹은 다른 무선 이네이블 디바이스들과 같은, 무선 억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컴포넌트(혹은 컴포넌트들의 집합)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NR 시스템에서 백홀 및 접속 링크들(backhaul and access links)의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들에게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하는 gNB 인 IAB-도너(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 donor)와, 단말들로의 NR 접속 링크들을 지원하고 상기 IAB-도너 or 다른 IAB-노드로의 NR 백홀 링크들을 지원하는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인 IAB-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터티일 수 있다. 단말은 IAB-노드를 통해 무선 접속되고 적어도 하나의 IAB-노드와 백홀 링크를 통해 연결된 IAB-도너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무선 프로토콜들, 일 예로 5G 3GPP 신규 무선 인터페이스/억세스(NR),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진보된 LTE(LTE advanced: LTE-A), 고속 패킷 억세스(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Wi-Fi 802.11a/b/g/n/ac 등에 따른 무선 억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용어 "단말"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기(remote terminal)", "무선 단말기(wireless terminal)", "수신 포인트(receive point), 혹은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와 같은 임의의 컴포넌트를 나타낼 수 있다. 편의상, 상기 용어 "단말"은 상기 단말이 이동 디바이스(이동 전화기 혹은 스마트 폰과 같은)인지 혹은 고정 디바이스(일 예로 데스크 탑 컴퓨터 혹은 자동 판매기와 같은)로 고려되어야 하는 지와 상관없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에게 억세스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05, 1-10, 1-15, 1-20)과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35)은 ENB(1-05 ~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 (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 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순서 재정렬 기능(For split bearers in DC (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RL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only for AM data transfer))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2-15, 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MA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NR 혹은 2g)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gNB 혹은 NR 기지국)(3-10) 과 NR CN (3-05, New Radio Core Network)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3-15)은 NR gNB(3-10) 및 NR CN (3-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3에서 NR gNB(3-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 (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NR gNB는 NR UE(3-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NB(3-10)가 담당한다. 하나의 NR g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현재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NR CN (3-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R CN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이 MME (3-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 (3-30)과 연결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 4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SDAP(4-01, 4-45), NR PDCP(4-05, 4-40), NR RLC(4-10, 4-35), NR MAC(4-15, 4-30)으로 이루어진다.
NR SDAP(4-01, 4-4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기능(transfer of user plane data)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a QoS flow and a DRB for both DL and UL)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 ID를 마킹 기능(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 상향 링크 SDAP PDU들에 대해서 relective QoS flow를 데이터 베어러에 맵핑시키는 기능 (reflective QoS flow to DRB mapping for the UL SDAP PDUs).
상기 SDAP 계층 장치에 대해 단말은 RRC 메시지로 각 PDCP 계층 장치 별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로지컬 채널 별로 SDAP 계층 장치의 헤더를 사용할 지 여부 혹은 SDAP 계층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SDAP 헤더가 설정된 경우, SDAP 헤더의 N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NAS reflective QoS)와 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AS reflective QoS)로 단말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에 대한 맵핑 정보를 갱신 혹은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SDAP 헤더는 QoS를 나타내는 QoS flow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S 정보는 원할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우선 순위, 스케쥴링 정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NR PDCP (4-05, 4-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 (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상기에서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말하며,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4-10, 4-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상기에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으며,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기능을 NR MAC 계층에서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에서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4-15, 4-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PHY 계층(4-20, 4-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는 단말이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RAN-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에 따라 기지국과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수행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5-01)은 기지국(5-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5-05).
5-10 단계에서 기지국(5-02)은 일정 시간 동안 RRC 연결 모드 단말(5-01)과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 상기 단말을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하고자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 in NR or RRCConnectionRelease in LTE)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 필요한 설정 정보 (suspendConfig in NR or rrc-InactiveConfig in LTE)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RRC 비활성화 모드에 필요한 설정 정보에는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값들(full I-RNTI, short I-RNTI)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I-RNTI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UE context 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full I-RNTI 는 40bit의 길이를 가지고 short I-RNTI 는 24bit 의 길이를 가지는 정보이다.
5-15 단계에서 단말(5-01)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적용하여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5-20 단계에서 기지국(5-02)은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5-01)에게 Mobile Terminated Service (MT service)를 제공하고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에서 개시(RAN-initiated)된 것으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위해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페이징 기록 (PagingRecord)에 수납되는 페이징 단말 식별자(PagingUE-Identity)를 fullI-RNTI 값으로 셋팅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fullI-RNTI 값은 5-15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수납된 값과 동일한 값이다.
5-25 단계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5-01)은 5-20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5-15 단계에서 저장한 fullI-RNTI 값이 페이징 기록에 수납된 단말 식별자(ue-Identity -> PagingUE-Identity)과 일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fullI-RNTI 값이 상기 단말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5-01)은 AS 계층 장치에서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의 AS 계층 장치는 별도로 상기 단말의 상위 계층 장치와 상호 작용(interaction) 없이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5-30 단계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5-01)은 기지국(5-02)에게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in NR or RRCConnectionResumeRequest in LTE)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RRC 연결을 재개하고자 하는 이유(resumeCause)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은 resumeCause를 상위 계층 장치로부터 설정된 접속 식별(Access Identity) 타입에 따라 다음과 같이 셋팅할 수 있다.
- 만약 단말의 상위 계층 장치로부터 접속 식별 1이 설정된 경우, 단말의 AS 계층 장치는 resumeCause를 mps-PriorityAccess로 셋팅하여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 그렇지 않고 단말의 상위 계층 장치로부터 접속 식별 2이 설정된 경우, 단말의 AS 계층 장치는 resumeCause를 mcs-PriorityAccess 로 셋팅하여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 그렇지 않고 단말의 상위 계층 장치로부터 접속 식별 11, 12, 13, 14, 15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 식별이 설정된 경우, 단말의 AS 계층 장치는 resumeCause를 highpriorityAcess 로 셋팅하여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 그렇지 않으면, 단말의 AS 계층 장치는 resumeCause를 mt-Access 로 셋팅하여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5-35 단계에서 기지국(5-01)은 5-30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 in LTE)를 단말(5-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5-01)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5-37)할 수 있다.
5-40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 단말(5-01)은 기지국(5-02)에게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Complete in LTE)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비활성화 모드 단말은 RAN-initiated Paging 수신 시 단말의 AS 계층 장치에서 resumeCause를 셋팅하여 기지국과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RAN-initiated Paging 수신 시 상기 비활성화 모드 단말은 항상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RAN-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ulti-SIM 단말은 두 개 이상의 SIM을 지원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Dual-SIM 단말을 고려하고 있다. 상기 Dual-SIM 단말은 주어진 시간에는 하나의 기지국으로만 송신할 수 있고, 하나 또는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Multi-SIM 단말은 하나의 device에서 복수 개의 SIM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Multi-SIM 단말은 SIM1으로 동작하는 경우의 단말은 SIM1단말(6-01), SIM2로 동작하는 경우의 단말은 SIM2 단말(6-03)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Multi-SIM 단말을 하나의 단말로 인식하지 않고, SIM 단말 별 하나의 단말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 1(6-02)은 SIM1 UE(6-01)를 하나의 단말로 인식하며, 기지국 2(6-04)은 SIM2 UE(6-03)을 하나의 단말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Multi-SIM 단말에서 SIM1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그 Multi-SIM 단말은 SIM1단말로 칭하고, 상기 Multi-SIM 단말에서 SIM2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그 Multi-SIM 단말은 SIM2단말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Multi-SIM 단말은 SIM1과 SIM2 중 어떤 SIM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SIM1단말 또는 SIM2단말이 될 수 있다.
6-0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6-01)은 기지국 1(6-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6-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6-03)은 기지국 2(6-04)과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도 5)를 따라, 상기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6-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6-03)은 기지국 2(6-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페이징 메시지에는, 페이징 기록 별 페이징을 보내고자 하는 이유 (paging cause)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paging cause 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Voice: VoLTE 또는 VoNR 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SMS: SMS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IMS Signaling: IMS 시그널링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CP Signaling: CP 시그널링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Critical services: 중요한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other data: 위에서 언급한 이유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6-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6-03)은 6-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때 저장한 fullI-RNTI 값이 페이징 기록에 수납된 단말 식별자(ue-Identity -> PagingUE-Identity)와 일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fullI-RNTI 값이 상기 단말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6-03)의 AS 계층에서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지 않고 상기 단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paging cause 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을 제안한다. Paging cause를 상위 계층에게 전달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이 어떤 서비스를 우선 시 할 지 결정하기 위함이며, 서비스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는 AS 계층 장치가 알 수 없고 단말 내의 상위 계층 장치에서 알 수 있는 내부 정보이기 때문이다.
6-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6-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6-01)이 어떤 서비스를 위해 기지국 1(6-02)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는 지 파악(6-23)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우선 순위 값을 파악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6-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6-15 단계에서 수신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Multi-SIM 단말은 SIM1 단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 값과 SIM2 단말에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물론 6-23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6-01)은 기지국 1(6-02)과 어떤 서비스도 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의 AS 계층 장치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6-01)은 기지국 1(6-02)과 어떠한 서비스도 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경우, 6-20 단계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의 AS 계층 장치가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도 있다.
6-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은 6-15 단계에서 수신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가 SIM1 단말(6-01)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보다 더 높을 경우 (서비스 우선 순위가 높다는 것은 해당 서비스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서비스가 진행되지 않으면 해당 서비스는 가장 낮은 서비스 우선 순위로 판단),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6-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기지국 2(6-04)와 RRC 연결을 재개하기 위해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6-3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6-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도 5)와 동일하게 resumeCause를 상위 계층 장치가 설정한 접속 식별(Access Identity) 타입에 따라 셋팅할 수도 있고, 또는 paging cause에 따라 resumeCause를 셋팅하여, 셋팅된 resumeCause가 포함된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 2(6-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6-40 단계에서 기지국2(6-04)은 6-35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 in LTE)를 SIM 2 단말(6-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SIM2 단말(6-03)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6-41)할 수 있다.
6-45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 SIM2 단말(6-03)은 기지국2(6-04)에게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Complete in LTE)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RAN-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7-0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7-01)은 기지국 1(7-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7-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기지국 2(7-04)과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를 따라, 상기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7-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기지국 2(7-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페이징 메시지에는, 페이징 기록 별 페이징을 보내고자 하는 이유 (paging cause)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paging cause 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Voice: VoLTE 또는 VoNR 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SMS: SMS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IMS Signaling: IMS 시그널링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CP Signaling: CP 시그널링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Critical services: 중요한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other data: 위에서 언급한 이유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7-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7-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때 저장한 fullI-RNTI 값이 페이징 기록에 수납된 단말 식별자(ue-Identity -> PagingUE-Identity)과 일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fullI-RNTI 값이 상기 단말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7-03)의 AS 계층 장치는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지 않고 상기 단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paging cause 를 상위 계층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제안한다. Paging cause를 상위 계층 장치에게 전달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이 어떤 서비스를 우선 시 할 지 결정하기 위함이며, 서비스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는 AS 계층 장치가 알 수 없고 상위 계층 장치에서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7-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7-01)이 어떤 서비스를 위해 기지국 1(7-02)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는 지 파악(7-23)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우선 순위 값을 파악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은 중 SIM2 단말(7-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7-15 단계에서 수신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Multi-SIM 단말은 SIM1 단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 값과 SIM2 단말에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7-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은 수신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가 SIM1 단말(7-01)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보다 더 낮을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이 기지국 2(7-04)이 개시한 페이징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하였지만, SIM1 단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에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함이다. 이는 기지국 2(7-04)이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였고, 해당 메시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을 식별하는 fullI-RNTI가 있는 경우) 하였지만 이에 대해 대응(혹은 응답)을 안하는 건지 (SIM1 단말의 서비스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서, 즉 Multi-SIM 목적을 위해) 또는 소정의 이유 (예를 들어, 좋지 못한 채널로 인해)로 페이징 메시지 자체를 수신 하였음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7-3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SIM1 단말(7-01)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하였지만 페이징 메시지에 대응할 수 없는 새로운 resumeCause (예를 들면, PagingReceivedbutWillNotRespond)를 AS 계층 장치에게 전달하여, AS 계층 장치가 상위 계층 장치로부터 수신한 새로운 resumeCause를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기지국 2(7-04)에게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7-3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의 AS 계층 장치는 상위 계층 장치로부터 별도의 정보를 전달 받지 못한 경우, 상기 새로운 resumeCause를 AS 계층 장치에서 셋팅하고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기지국 2(7-04)에게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7-40 단계에서 기지국(7-04)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2(7-04)은 7-15 단계에서 생성된 페이징 관련 정보를 지우고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더 이상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기지국 2(7-04)은 7-15 단계에서 생성된 페이징 관련 정보를 유지하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의 추후 동작에 따라 7-15 단계에서 생성된/발생된 MT 서비스(예를 들어 Voice, critical services, SMS(short message service),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gnaling, CP(Control Plane) signaling and/or other data 등)를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에게 제공할 수 있다.
7-4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7-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를 이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일 예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7-15 단계에서 수신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가 SIM1 단말(7-01)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보다 더 높을 경우 또는 SIM1 단말(7-01)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가 없을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즉, 7-4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새로운 resumeCause (예를 들면, WillNowRespondPaging)를 AS 계층 장치에게 전달하여, AS 계층 장치가 상위 계층 장치로부터 수신한 새로운 resumeCause를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기지국(7-04)에게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의 AS 계층 장치는 상위 계층 장치로부터 별도의 정보를 전달 받지 못한 경우, 상기 새로운 resumeCause 를 AS 계층 장치에서 셋팅하고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기지국(7-04)에게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7-50 단계에서 기지국 2(7-04)은 7-35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 in LTE)를 SIM 2 단말(7-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7-03)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7-51)할 수 있다.
7-55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 단말(7-03)은 기지국2(7-04)에게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Complete in LTE)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7-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시간 stamp (일 예로, 어느 시간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였는 지 and/or 페이징 메시지 수신 후 얼마나 시간이 흘렀는지, 어떤 셀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였는 지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 단말(7-03)은 기지국2(7-04)은 7-15 단계에서 발생한 M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8-0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8-01)은 기지국 1(8-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8-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8-03)은 기지국 2(8-04)과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를 따라, 상기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8-03)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8-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8-03)은 기지국 2(8-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페이징 메시지에는, 페이징 기록 별 페이징을 보내고자 하는 이유 (paging cuase)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paging cause 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Voice: VoLTE 또는 VoNR 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SMS: SMS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IMS Signaling: IMS 시그널링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CP Signaling: CP 시그널링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Critical services: 중요한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other data: 위에서 언급한 이유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8-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8-03)은 8-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때 저장한 fullI-RNTI 값이 페이징 기록에 수납된 단말 식별자(ue-Identity -> PagingUE-Identity)과 일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fullI-RNTI 값이 상기 단말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8-03)의 AS 계층 장치는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지 않고 상기 단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paging cause 를 상위 계층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제안한다. Paging cause를 상위 계층 장치에게 전달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이 어떤 서비스를 우선 시 할 지 결정하기 위함이며, 서비스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는 AS 계층 장치가 알 수 없고 상위 계층 장치에서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8-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8-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8-01)이 어떤 서비스를 위해 기지국 1(8-02)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는 지 파악(8-23)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우선 순위 값을 파악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은 중 SIM2 단말(8-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8-15 단계에서 수신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Multi-SIM 단말은 SIM1 단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 값과 SIM2 단말에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8-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은 수신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가 SIM1 단말(8-01)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보다 더 낮을 경우 (서비스 우선 순위가 높다는 것은 해당 서비스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8-03)은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이 기지국 2(8-04)이 개시한 페이징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하였지만, SIM1 단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에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함이다. 이는 기지국 2(8-04)이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였고, 해당 메시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을 식별하는 fullI-RNTI가 있는 경우) 하였지만 이에 대해 대응을 안하는 건지 (SIM1 단말의 서비스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서, 즉 Multi-SIM 목적을 위해) 또는 소정의 이유 (예를 들어, 좋지 못한 채널로 인해)로 페이징 메시지 자체를 수신 한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함이다.
8-3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8-03)은 기지국(8-04)에게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전술한 새로운 resumeCause가 포함될 수도 있고 기존에 정의되어 있던 resumeCause가 포함될 수도 있다
8-40 단계에서 기지국 2(8-04)은 8-35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 in LTE)를 SIM 2 단말(8-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8-03)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8-41)할 수 있다.
8-45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 단말(8-03)은 기지국2(8-04)에게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Complete in LTE)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8-15 단계에서 기지국(8-04)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하였지만, SIM1 단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에 대응(혹은 응답)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기 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면, busy indication for other SIM)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하길 원하는 지 RRC 유휴 모드(idle mode)로 천이하길 원하는 지 또는 시간 정보(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동안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해달라고 하는 정보로서 기지국 2 는 해당 시간만큼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못함)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정보들은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된 dedicated NAS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8-50 단계에서 기지국 2(8-04)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8-03)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8-5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은 7-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대해 이제 대응(or 응답)할 수 있게 되면, 기지국 2(8-04)과 RRC 연결을 재개하여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8-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not busy indication for other SIM 또는 시간 stamp 정보(예를 들면, 8-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를 언제 받았는 지, 얼마나 시간이 흘렀는지 등)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수납된 dedicated NAS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기지국이 개시한 페이징(RAN-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9-0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9-01)은 기지국 1(9-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9-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9-03)은 기지국 2(9-04)과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를 따라, 상기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9-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9-03)은 기지국 2(9-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페이징 메시지에는, 페이징 기록 별 페이징을 보내고자 하는 이유 (paging cause) 값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9-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9-03)은 9-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때 저장한 fullI-RNTI 값이 페이징 기록에 수납된 단말 식별자(ue-Identity -> PagingUE-Identity)과 일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fullI-RNTI 값이 상기 단말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9-03)의 AS 계층 장치는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지 않고 상기 단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paging cause 가 없다는 지시자 또는 정보(paging cause: 'None')를 상위 계층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9-03)의 AS 계층 장치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9-01)이 기지국 1(9-02)에게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지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9-03)의 AS 계층 장치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9-01)이 기지국 1(9-02)에게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지를 알 수 있다면,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하지 않고 전술한 실시 예들을 따를 수 있다.
9-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9-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9-01)이 기지국 1(9-02)과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지 않음(9-23)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은 SIM1 단말(9-01)이 기지국 1(9-02)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9-01)은 기지국 1(9-02)이 설정한 측정 설정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고 있을 수 있다.
9-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9-01)이 기지국 1(9-02)과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지 않거나(9-23), SIM1 단말(9-01)이 일 예로, 측정을 수행하는 등 어떠한 서비스와도 관련 없는 것을 진행하고 있다면,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상위 계층 장치에서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9-3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9-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기지국 2(9-04)에게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전술한 새로운 resumeCause가 포함될 수도 있고 기존에 정의되어 있던 resumeCause가 포함될 수도 있다
9-40 단계에서 기지국2(9-04)은 9-35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 in LTE)를 SIM 2 단말(9-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9-03)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9-41)할 수 있다.
9-45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 단말(9-03)은 기지국2(9-04)에게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 in NR or RRCConnectionResumeComplete in LTE)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가 개시한 페이징(Core Network initiated paging) 메시지 수신 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0-06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0-01)은 기지국 1(10-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10-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0-03)은 기지국 2(10-04)과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유휴 모드(RRC_IDLE)에 있을 수 있다.
10-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0-03)은 코어 네트워크 2(10-05)이 개시한(C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페이징 메시지에는, 페이징 기록에 수납된 단말 식별자 (ng-5G-S-TMSI)이 포함되고, 페이징 기록 별 페이징을 보내고자 하는 이유 (paging cuase)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유 (paging cuase) 값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혹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예로, paging cause 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Voice: VoLTE 또는 VoNR 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SMS: SMS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IMS Signaling: IMS 시그널링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CP Signaling: CP 시그널링을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Critical services: 중요한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 other data: 위에서 언급한 이유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페이징을 전송한다는 이유를 나타내는 값
10-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0-03)은 상위 계층 장치에서 할당한 단말 식별자가 10-15 단계에서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페이징 기록에 수납된 단말 식별자(ue-Identity -> PagingUE-Identity->ng-5G-S-TMSI)과 일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일치할 경우, 상기 단말(10-03)이 RRC 비활성화 모드인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인 경우 그대로 유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의 AS 계층 장치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paging cause (paging cause가 없는 경우, 'none' 또는 이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상위 계층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제안한다.
10-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0-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0-01)이 어떤 서비스를 위해 기지국 1(10-02)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는 지 파악(10-23)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에 대한 우선 순위 값을 파악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0-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10-15 단계에서 수신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Multi-SIM 단말은 SIM1 단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 값과 SIM2 단말에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10-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0-03)의 상위 계층 장치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0-01)이 기지국 1(10-02)과 진행하고 있는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10-23)할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은 수신한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가 SIM1 단말(10-01)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보다 더 낮을 경우 (서비스 우선 순위가 높다는 것은 해당 서비스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0-03)은 RRC 연결 설정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절차를 개시하는 이유는 전술한 실시 예들을 따를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9-01)이 기지국 1(9-02)과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지 않거나(9-23), SIM1 단말(9-01)이 일 예로, 측정을 수행하는 등 어떠한 서비스와도 관련 없는 것을 진행하고 있다면,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7-03)은 상위 계층 장치에서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10-3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0-03)은 기지국(10-04)에게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새로운 establishmentCause (전술한 새로운 resumeCause와 동일한 값)가 포함될 수도 있고 기존에 정의되어 있던 resumeCause가 포함될 수도 있다
10-40 단계에서 기지국 2(10-04)은 10-35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in NR or RRCConnectionSetup in LTE)를 SIM 2 단말(10-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0-03)은 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천이(10-41)할 수 있다.
10-45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 단말(10-03)은 기지국2(10-04)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in NR or RRCConnectionSetupComplete in LTE)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는 전술한 실시 예들의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은 측정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단말(11-01)은 기지국(11-02)으로부터 측정 설정 정보(measConfig)가 수납된 소정의 RRC 메시지(예를 들면,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Reconfigur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설정 정보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서 적용하는 설정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설정 정보에는 측정 갭 설정 정보(MeasGapConfig)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MeasGapConfig에는 FR 별로 (일 예로, gapFR1 또는 gapFR2) 갭 설정 정보(GapConfig)를 설정할 수도 있고, FR에 무관하게(gapUE) 갭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MeasGapConfig에는 적어도 다음 중 하나의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 파라미터에 대한 정의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MeasGapConfig는 다음의 특징을 지닐 수 있다.
- 기지국(11-02)이 단말(11-01)에게 설정해주는 설정 정보로서, 기지국이 GapConfig를 셋업할 지 해제 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기지국에게 GapConfig를 셋업 또는 해제해달라고 요청할 수 없다.
- 기지국(11-02)이 단말(11-01)에게 FR1 에 대해 GapConfig를 설정한 경우, GapConfig에 포함되어 있는 각 파라미터들은 두 개 이상 설정 될 수 없다. 즉, gapOffset, mgl, mgta 등은 하나의 값으로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단말에게 FR2 에 대해 또는 FR1에 무관하게 GapConfig를 설정하더라도 GapConfig에 포함되어 있는 각 파라미터들은 두 개 이상 설정 될 수 없다.
11-10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 단말(11-01)은 MeasGapConfig를 적용하여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측정을 수행하는 시점은 하기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 만약 gapFR1가 셋업으로 설정된 경우(if gapFR1 is set to setup):
O 만약 FR1 측정 갭 설정이 이미 셋업된 경우, 해당 FR1 측정 갭 설정 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if an FR1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s already setup, release the FR1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O 11-10 단계에서 수신한 measGapConfig에서 지시된 FR1 측정 갭 설정 정보를 셋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갭이 발생하는 첫 번째 서브 프레임과 SFN(System Frame Number)은 하기 조건 1 을 만족해야 한다(setup the FR1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ndicated by the measGapConfig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gapOffset, i.e., the first subframe of each gap occurs at an SFN and subframe meeting the following condition 1:
<조건 1>
SFN mod T = FLOOR(gapOffset/10);
subframe = gapOffset mod 10;
with T = MGRP/10 as defined in TS 38.133;
O 상기 조건을 만족하여 발생하는 갭에 대해 mgta 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조건이 만족하여 발생하는 갭 시점에 대해 mgta에서 지시된 timing advance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갭 서브프레임 발생 시전보다 mgta 만큼 빨리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apply the specified timing advance mgta to the gap occurrences calculated above (i.e. the UE starts the measurement mgta ms before the gap subframe occurrences));
- 그렇지 않고 gapFR1가 해제(release)로 설정된 경우(else if gapFR1 is set to release:
O FR1 측정 갭 설정 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 (release the FR1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 만약 gapFR2가 셋업으로 설정된 경우(if gapFR2 is set to setup):
O 만약 FR2 측정 갭 설정이 이미 셋업된 경우, 해당 FR2 측정 갭 설정 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if an FR2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s already setup, release the FR2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O 11-10 단계에서 수신한 measGapConfig에서 지시된 FR2 측정 갭 설정 정보를 셋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갭이 발생하는 첫 번째 서브 프레임과 SFN은 상기 조건 1 을 만족해야 한다(setup the FR2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ndicated by the measGapConfig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gapOffset, i.e., the first subframe of each gap occurs at an SFN and subframe meeting the above condition 1: <조건 1>)
O 상기 조건을 만족하여 발생하는 갭에 대해 mgta 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조건이 만족하여 발생하는 갭 시점에 대해 mgta에서 지시된 timing advance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갭 서브프레임 발생 시전보다 mgta 만큼 빨리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apply the specified timing advance mgta to the gap occurrences calculated above (i.e. the UE starts the measurement mgta ms before the gap subframe occurrences));
- 그렇지 않고 gapFR2가 해제(release)로 설정된 경우(else if gapFR2 is set to release:
O FR2 측정 갭 설정 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 (release the FR2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 만약 gapUE가 셋업으로 설정된 경우(if gapUE is set to setup):
O 만약 단말 별 측정 갭 설정이 이미 셋업된 경우, 해당 단말 별 측정 갭 설정 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 (if a per UE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s already setup, release the per UE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O 11-10 단계에서 수신한 measGapConfig에서 지시된 단말 별 측정 갭 설정 정보를 셋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갭이 발생하는 첫 번째 서브 프레임과 SFN은 상기 조건 1 을 만족해야 한다(setup the per UE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ndicated by the measGapConfig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gapOffset, i.e., the first subframe of each gap occurs at an SFN and subframe meeting the above condition 1: <조건 1>)
O 상기 조건을 만족하여 발생하는 갭에 대해 mgta 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조건이 만족하여 발생하는 갭 시점에 대해 mgta에서 지시된 timing advance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갭 서브프레임 발생 시전보다 mgta 만큼 빨리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apply the specified timing advance mgta to the gap occurrences calculated above (i.e. the UE starts the measurement mgta ms before the gap subframe occurrences));
- 그렇지 않고 gapUE가 해제(release)로 설정된 경우(else if gapUE is set to release:
O per UE 측정 갭 설정 정보를 해제할 수 있다 (release the per UE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11-15 단계에서, 기지국(11-02)은 needForGapsConfigNR (NR 타겟 밴드들에 대한 측정 갭 요구 사항 정보를 보고하라는 설정 정보로서, needForGapsConfigNR에 수납되는 requestedTargetBandFilterNR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NR 주파수 밴드 값(FreqBandIndicatiorNR)이 포함)가 담긴 소정의 RRC 메시지(예를 들면,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Reconfiguration)를 단말(1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소정의 RRC 메시지에needForGapsConfigNR 이 포함된 경우, 상기 단말은 다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만약 needForGapsCofnigNR가 셋업으로 설정된 경우(if needForGapsConfigNR is set to setup):
O 단말은 기지국에게 NR 타겟 밴드들에 대한 측정 갭 요구 사항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consider itself to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measurement gap requirement information of NR target bands);
- 그렇지 않을 경우(else),
O 단말은 기지국에게 NR 타겟 밴드들에 대한 측정 갭 요구 사항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되지 않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consider itself not to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measurement gap requirement information of NR target bands);
11-20 단계에서 단말(11-01)은 기지국(11-02)에게 NR 타겟 밴드들에 대한 측정 갭 요구 사항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은 needForGapsConfigInfoNR(NR 타겟 밴드들에 대한 측정 갭 요구사항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소정의 RRC 메시지(예를 들면, 11-15 단계에서 수신한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 또는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RRCReconfigurationComplete))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needForGapsConfigInfoNR에 다음과 같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각 NR 서빙 셀에 대해 intra-frequency measurement에 대한 갭 요구사항 정보를 intraFreq-needForGap에 포함할 수 있다(include intraFreq-needForGap and set the gap requirement informantion of intra-frequency measurement for each NR serving cell). 구체적으로, intraFreq-needForGap에는 각 NR 서빙 셀에 대한 식별자(servCellId)와 해당 NR 서빙 셀에 갭이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gapIndicationIntra)가 포함될 수 있다.
- 만약 requestedTargetBandFilterNR 가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은 requestedTargetBandFilterNR 에 포함되어 있는 각 지원할 수 있는 NR 밴드에 대해, interFreq-needForGap 에 갭 요구 사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은 각 지원할 수 있는 NR 밴드에 대해, interFreq-needForGap 에 갭 요구 사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f requestedTargetBandFilterNR is configured, for each supported NR band that is also included in requestedTargetBandFilterNR, include an entry in interFreq-needForGap and set the gap requirement information for that band; otherwise, include an entry in interFreq-needForGap and set the corresponding gap requirement information for each supported NR band).
상기 needForGapsConfigInfoNR 는 다음의 특징을 지닐 수 있다.
- 단말(11-01)은 주파수 밴드 별 또는 셀 별로 측정 갭이 필요한 지 필요하지 않은지에 대한 여부만 기지국(11-02)에 알려준다.
11-25 단계에서 기지국(11-02)은 단말(11-01)에게 측정 설정 정보(measGapConfig)가 수납된 소정의 RRC 메시지(예를 들면,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또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Reconfigur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추후 동작은 전술한 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하나의 SIM에서 다른 SIM으로 스위칭(Switching)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는 하나의 SIM 단말이 해당 SIM에 연관된 기지국에게 이를 알리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기지국 1(12-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2-10).12-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기지국 1 (12-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다른 SIM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갭을 요청할 수 있는 지시자 또는 정보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기지국 1(12-02)은 소정의 RRC 메시지에 수납된 otherConfig-r17을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RRCReconfiguration) 또는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를 의미할 수 있다. otherConfig-r17에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이 다른 SIM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 1(12-02)에게 갭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MUSIM-SwitchingGapPreferenceConfig)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보에는 지시자 또는 prohibit timer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rohibit timer 값은 복수 개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 될 수 있으며, 상기 prohibit timer 값의 단위는 초(second, s) 또는 밀리 세컨드(millisecond, ms)가 될 수 있다. 만약 otherConfig-r17에 MUSIM-SwitchingGapPreferenceConfig이 setup으로 설정된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다른 SIM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 1(12-02)에게 갭을 요청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라고 생각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갭을 요청할 수 없도록 설정되었다 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prohibit timer가 구동 중인 경우 이를 멈출 수 있다.
12-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정의 동작이란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이 RRC 연결 모드에서 기지국 1(12-02)과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에서 짧은 시간 동안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정의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기지국 2(12-05)에서 발생하는 페이징 채널 또는 짧은 메시지(Short message)를 모니터링 하는 동작
-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기지국 2(12-05)에서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를 획득 또는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동작
-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기지국 2(12-05)에서 발생할 수 있는 셀 (재-)선택 평가 절차를 위한 필요한 측정을 수행하는 동작
-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기지국 2(12-05)에서 발생할 수 있는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하는 동작
-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기지국 2(12-05)에서 Registration Update Procedure 또는 RAN Notification Area Update Procedure 수행하는 동작
-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기지국 2(12-05) 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송수신하는 동작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상기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12-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기지국 1(12-02)과 짧은 시간 동안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에서 전술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갭을 요청하고자 소정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 1(12-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정의 메시지는 UEAssistanceInformation 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갭을 설명의 편의상 NoActivityPreferenceGaps 이라고 칭할 수 있다. 즉, NoActivityPreferenceGaps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기지국 1(12-02)과 짧은 시간 동안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에서 전술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Multi-SIM 동작을 위한 갭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oActivityPreferenceGaps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설정 정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NoActivityPreferenceGaps는 전술한 실시 예의 MeasGapConfig와 아래와 같이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 NoActivityPreferenceGaps은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이 기지국 1(12-02)에게 전송하는 설정 정보이다.
- NoActivityPreferenceGaps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No activity gap pattern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긴 주기(mgrp)에 복수 개의 gap offset 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 gap offset에 매핑된 switching gap length, switching gap timing advance 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각 주기 별 gap offset, switching gap duration, switching gap timing advance 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No Activity gap pattern 중 특정 No activity gap pattern에는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one-shot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 상기 NoActivityPreferenceGaps은 전술한 실시 예의 MeasGapConfig처럼 FR 별로 또는 단말 별로 적용될 수도 있다.
- 상기 NoActivityPreferenceGaps은 전술한 실시 예의 NeedForGapsConfigInfoNR 처럼 밴드 별로 적용될 수 있으나, 차이점은 밴드 별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No activity gap pattern이 포함될 수 있다.
12-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NoActivityPreferenceGaps이 포함된 소정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 1(12-02)에게 전송 시, 12-20 단계에서 전술한 prohibit timer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prohibit timer는 종래의 T346f와 다른 timer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prohibit timer 구동 시에는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이 NoActivityPreferenceGaps이 포함된 소정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 1(12-02)에게 재전송 할 수 없다.
12-35 단계에서 기지국 1(12-02)은 12-30 단계에서 수신한 NoActivityPreferenceGaps에 기반하여 SIM2 단말(12-04)에서 전술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갭을 설정/컨펌하기 위해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에게 소정의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에는 12-30 단계에서 수신한 NoActivityPreferenceGaps 중 설정 가능한 것을 confirm/ not confirm 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고, 12-30 단계에서 수신한 NoActivityPreferenceGaps에 기반하여 Delta configuration을 설정할 수 있다. Delta configuration이란 일부 정보를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12-4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12-30 단계 또는 12-35 단계의 NoActivityPreferenceGaps에 기반하여 SIM2를 위해 gap을 switching 하는 동작이 필요한 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witching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조건 1에 기반하여 FR 별, 단말 별 또는 밴드 별 NoActivityPreferenceGaps의 설정 정보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설정된 NoActivityPreferenceGaps에 기반하여 실제 gap이 필요할 경우, 기지국 1(12-02)에게 해당 gap를 activation/ deactivation할 지에 대한 여부를 MAC CE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12-30, 12-34 단계에서 NoActivityPreferenceGaps이 설정이 되더라도 real-time 으로 실제 gap이 필요한 지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기지국 1(12-02)에게 on-demand 형태로 MAC CE를 전송하여 실제 설정된 gap이 activation 되는 지 deactivation 되는 지 알려주기 위함이다. 해당 MAC CE는 구동 중인 prohibit timer와 무관하게 전송될 수 있다.
12-4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기지국 1(12-02)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기지국 1(12-02)과 RRC 연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기지국 2(12-05)와 관련된 동작을 12-40 단계에서 도출한 갭 동안 수행할 수 있다(12-46).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과 SIM2 단말(12-04)은 상기 12-40, 12-45, 12-46 단계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12-50, 12-55, 12-56).
12-6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12-25 단계에서 필요한 소정의 동작 중 일부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정보를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에게 알릴 수 있다.
12-6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기지국 1(12-02)에게 기 설정된 NoActivityPreferenceGaps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하기 위해 소정의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는 UEAssistanceInformation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 1(12-02)은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에게 기 설정된 NoActivityPreferenceGaps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하기 위해 소정의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12-70).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RRCReconfiguration)를 의미할 수 있다.
12-6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은 만약 prohibit timer가 구동 중이더라도, 기 설정된 NoActivityPreferenceGaps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하기 위해 소정의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1)이 기지국 1(12-02)과 RRC 연결 모드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정의 RRC 메시지를 보낼 때, 기지국 1(12-02)에게 이를 빨리 알려줘야 하는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7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긴 시간 동안 (from a hundred of millesconds to more than a few seconds) 기지국 2(12-05)와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voice service를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2-04)은 Multi-SIM 단말 중 SIM 1 단말(12-01)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12-8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4)은 기지국 1(12-02)과 RRC 연결을 해제하고자 소정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 1(12-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는 UEAssistanceInformation 또는 ULInformationTransfer를 의미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UEAssistanceInformation에는 Multi-SIM 단말 중 SIM1(12-01) 단말은 SIM2 단말(12-04)을 위해 기지국 1 (12-02)와 RRC 연결을 해제하고자 하는 지시자 또는 infinity switching gap perio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EAssistanceInformation에는 Multi-SIM 단말 중 SIM1(12-01) 단말이 선호하고자 하는 RRC 모드 (RRC_IDLE, RRC_INACTIV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UEAssistanceInformation은 전술한 prohibit timer 구동 여부와 상관없이 전송될 수 있다 (물론 prohibit timer 가 구동 중에 전송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ULInformationTransfer에는 Multi-SIM 단말 중 SIM1(12-01) 단말은 SIM2 단말(12-04)을 위해 기지국 1 (12-02)와 RRC 연결을 해제하고자 하는 지시자 또는 RRC 연결 해제를 도와주는 assistance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ULInformationTransfer는 dedicated NAS message로 기지국 1(12-02)은 해당 메시지 수신 시 코어 네트워크 1(12-03)로 이를 포워딩 할 수 있다(12-81).
12-85 단계에서 기지국 1(12-02)은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2-04)과 RRC 연결을 해제하고자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이 종래의 측정 갭(legacy measurement gap)과 MUSIM 용 NoActivityPregerenceGaps과 겹칠 경우,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3-0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은 RRC 연결 모드에 있을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은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을 수 있다.
13-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MeasGapConfig 및/또는 NeedForGapsConfigNR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상기 MeasGapConfig는 종래의 측정 갭(legacy meas gap)이라고 칭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NeedForGapsConfigNR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에게 NeedForGapsConfigInfoNR을 전송할 수 있다.
13-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은 SIM1 단말과 연관된 기지국과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에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NoActivityGapsPreferences를 SIM1 단말과 연관된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NoActivityGapsPreferences를 설정 또는 컨펌해줄 수 있다.
13-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은 종래 측정 갭과 NoActivityGapsPreferences와 겹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물론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과 연관된 기지국은 종래 측정 갭과 NoActivityGapsPreferences를 겹치지 않게 설정할 수도 있다.
13-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은 종래 측정 갭과 NoActivityGapsPreferences가 겹치는 경우, NoActivityGapsPreferences를 우선시 하여 SIM1 단말과 연관된 기지국과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에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NoActivityGapsPreference와 연관되어 전술한 소정의 동작에 대해 특정 동작만 종래 측정 갭보다 우선시 하여 SIM1 단말과 연관된 기지국과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에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례로, paging monitoring을 하여야 하는 경우 종래의 측정 갭보다 우선 시하여 paging monitoring을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에서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시 한다는 것은 종래의 측정 갭을 수행하지 않고 않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에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13-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은 종래 측정 갭과 NoActivityGapsPreferences가 겹치지 않는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은 종래 측정 갭과 NoActivityGapsPreferences에 따라 발생하는 시점에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 중 하나의 SIM 단말이 Busy indi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16-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6-01)은 기지국 1(gNB/eNB in NW1,16-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이 때,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1)은 기지국 2(16-04)과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16-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기지국 2(16-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RAN paging)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는 도 6의 6-1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페이징 기록 별 페이징을 보내고자 하는 이유(paging cause) 값이 포함될 수 있다.
16-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6-01)은 기지국 1(16-02)과 진행중인(on-going) 서비스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을 수 있다.
16-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6-01)의 진행중인(on-going) 서비스의 데이터를 계속 송수신 하기 위해,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기지국 2(16-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에 대해 응답을 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 안에 포함된 Multi SIM에 의하여 상기의 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단말이 SIM1 과 관련된 기지국1과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하기 위하여는 다른 SIM2 와 관련된 기지국 2와는 RRC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기지국2와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은 기지국2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2 입장에서는 페이징 메시지에 대해 단말이 응답이 없는 경우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missing 한 것인지 의도적으로 무시한 것인지 알 수 없다.
16-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기지국 2(16-04)에게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busy indication 전송 절차를 개시할 때, 종래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할 수도 있고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는 중단 된 RRC 연결의 재개를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RRC메시지이다. TS38.331에 규정된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면, 16-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다음의 동작 1-1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은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pat00003
SRB1(signaling radio bearer)는 RRC 및/또는 NAS 메시지에서 시그널링 메시지를 운반하는 라디오 베어러의 일 타입을 의미할 수 있다. SIB1(system information block)은 3GPP LTE/NR에서 시스템 정보로써 공용 제어 정보의 일 타입이다. CCCH(common control channel)는 RRC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논리 제어 채널 중 하나이다. timeAlignmentTimerCommon 은 셀의 업링크 파라미터로 제공될 수 있다. timer TXXX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신규 타이머를 의미할 수 있다.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때 cause 값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동작 1-1을 수행할 때,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cause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추후 여러 가지 cause가 도입될 수 있기 때문에,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cause 값을 포함하여 추후 다른 cause와의 구별을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만약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면, 16-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다음의 동작 1-2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2은 하기 [표 4]과 같다.
[표 4]
Figure pat00004
T319는 RRCResumeRequest에 의하여 구동되는 타이머의 일종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작 1-1 또는 동작 1-2 를 제안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이 busy indication을 전송 절차 개시 시 필요한 동작만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RRC_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이 RRC resume 절차를 개시할 때 하는 동작은 TS 38.331 규격, 5.3.13.2 절에 아래[표 5]와 같이 명시되어 있는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동작 1-1 및 동작 1-2는 이에 비해 간소화된 동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 시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cause 값을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고 나머지 동작들은 종래 기술을 따를 수도 있다.
TS 38.331 규격 5.3.13.2 절 단말 동작은 [표 5]와 같다.
[표 5]
-
Figure pat00005
16-35 단계에서, 만약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16-30 단계에서 동작 1-1을 수행한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다음의 동작 2-1을 통해,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기지국 2(16-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1은 아래 [표 6]과 같다.
[표 6]
Figure pat00006
상기의 용어들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seFullResumeID는 사용할 재개 식별자 및 재개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며 필드가 있는 경우 fullI-RNTI를, 필드가 없는 경우 shortI-RNTI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hortMAC-I는 RRC 연결 재개 및 RRC 연결 재설립시 단말을 식별하고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VarResumeMAC-Input는 RRC 연결 재개 절차에서 resumeMAC-I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입력과 관련된 정보이다. resumeMAC-I는 단말의 인증을 용이하게 해주는 보안 구성과 관련되어 계산된 인증 토큰일 수 있다.
KRRCenc key, the KRRCint key, the KUPint key 및 the KUPenc key은 RRC 재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보안키의 일종으로써, integrity protection of RRC signalling (KRRCint), ciphering of RRC signalling (KRRCenc), integrity protection of user data (KUPint) 및 ciphering of user data (KUPenc)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어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표준화 단체인 3GPP가 규정하고 있는 LTE 시스템 혹은 5G 시스템(NR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지만, 본 개시는 5G 이상의 시스템 혹은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아니 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16-35 단계에서 상기 동작 2-1를 수행할 때, 셀 재선택과 관련된 측정과 셀 재선택 평가 과정을 계속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16-35 단계에서 상기 동작 2-1를 수행할 때, 하기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RRC 유휴 모드(RRC_IDLE)로 천이하는 것을 제안한다.
- 신규 타이머 TXXX가 구동 중일 때, integrity check failure가 발생한 경우
- 신규 타이머 TXXX가 구동 중일 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 신규 타이머 TXXX가 만료하는 경우
물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16-35 단계에서 상기 동작 2-1를 수행할 때, 셀 재선택과 관련된 측정과 셀 재선택 평가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하여 busy indication을 보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16-35 단계에서, 만약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16-30 단계에서 동작 1-2을 수행한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다음의 동작 2-2을 통해,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기지국 2(16-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2는 [표 7]과 같다.
[표 7]
Figure pat00007
상기 [표 7]에서 사용된 용어들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seFullResumeID는 사용할 재개 식별자 및 재개 요청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이며, resumeidentity는 UE context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ID의 일종이며, COUNT, BEARER 및 DIRECTION는 각각의 값이 특정 값에 도달할 경우, 특정 절차를 개시하게 되는 것과 관련된 정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작 2-1 또는 동작 2-2를 제안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작만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RRC_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이 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을 전송할 때 하는 동작은 TS 38.331 규격, 5.3.13.3 절에 아래[표 8]과 같이 명시되어 있는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동작 2-1 또는 동작2-2은 종래 동작 대비 간소화된 동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 시 busy indication을 전송 시 수행하는 동작들은 종래 기술을 따를 수도 있다.
TS 38.331 규격 5.3.13.3 절 단말 동작은 [표 8] 과 같다.
[표 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16-37 단계에서, 기지국 2(gNB/eNB in NW2 16-04)은 수신한 busy indication 정보 중 일부 혹은 전체를 코어 네트워크 2(AMF/MME in NW2, 16-05)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기지국 2(16-04)은 16-35 단계에서 수신한 RRC 메시지인 busy indication 정보를 이용해서 새로운 NG 메시지를 생성하여 NG 인터페이스로 코어 네트워크 2(16-05)에게 전달 할 수 있다.
16-4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로부터 busy indication을 수신한 기지국 2(16-04)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에게 suspendConfig를 포함한 RRCReleas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RRCRelease 메시지에 신규 타이머 값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신규 타이머는 TYYY로 칭할 수 있다. 신규 타이머에 대한 값을 tyyy로 칭할 수 있다. RRCRelease 메시지에 신규 타이머 값을 수납 여부에 따라,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과 기지국 2(16-04)의 동작은 하기[표 9]와 같을 수 있다.
[표 9]
Figure pat00010
16-40 단계에서, 상기 RRCRelease 메시지를 수신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다음의 동작 3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은 아래 [표 10]와 같다.
[표 10]
Figure pat00011
여기서, KgNB는 상위 계층 (upper layer)에서 다루어 지는 key 로써, AS keys (KRRCint, KRRCenc, KUPint 및 KUPenc)를 도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16-40 단계에서, 상기 RRCRelease 메시지를 수신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상술한 TYYY 타이머에 대한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다음[표 10]과 같이 종래 기술의 동작(TS 38.331 규격, 5.3.8.3 절)을 수행할 수도 있다.
TS 38.331 규격 5.3.8.3 절 단말 동작은 [표 11]과 같다.
[표 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16-4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 2(16-04)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이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해 별도의 RACH(random access channel) 설정 정보(RACH-ConfigCommon or RACH-ConfigDedicated)를 시스템 정보나 dedicated RRC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즉,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은 기지국 2(16-04)에게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해 preamble을 쏘고, 기지국 2(16-04)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에게 RAR (Random Access Response)를 수신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한 용도의 RACH 설정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 2(16-04)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6-03)이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해 별도의 랜덤 억세스 절차의 우선순위와 관련된 RA prioritization parameters (i.e. scalingFactorBI 또는 powerRampingStepHighPriority)를 시스템 정보나 dedicated RRC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별도의 RACH 설정 정보 또는 별도의 RA prioritization parameters는 전술한 또는 앞으로 상술하는 모든 실시 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7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 중 하나의 SIM 단말이 Busy indi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17-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7-01)은 기지국 1(17-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이 때,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1)은 기지국 2(17-04)과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17-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기지국 2(17-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RAN paging)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는 paging cause 값이 포함될 수 있다.
17-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7-01)은 기지국 1(17-02)과 진행중인(on-going) 서비스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을 수 있다.
17-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7-01)의 데이터를 계속 송수신 하기 위해,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기지국 2(17-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에 대해 응답을 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17-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기지국 2(17-04)에게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busy indication 전송 절차를 개시할 때, 종래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할 수도 있고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면, 17-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다음의 동작 1-1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은 [표 12]과 같다.
[표 12]
Figure pat00015
timer TXXX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신규 타이머를 의미할 수 있다.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때 cause 값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동작 1-1을 수행할 때,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cause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추후 여러 가지 cause가 도입될 수 있기 때문에,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cause 값을 포함하여 추후 다른 cause와의 구별을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만약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면, 17-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다음의 동작 1-2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2은 [표 13]와 같다.
[표 13]
Figure pat00016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작 1-1 또는 동작 1-2 를 제안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이 busy indication을 전송 절차 개시 시 필요한 동작만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RRC_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이 RRC resume 절차를 개시할 때 하는 동작은 TS 38.331 규격, 5.3.13.2 절에 아래와 같이 명시되어 있는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동작 1-1 및 동작 1-2는 이에 비해 간소화된 동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 시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cause 값을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고 나머지 동작들은 종래 기술을 따를 수도 있다.
TS 38.331 규격 5.3.13.2 절 단말 동작은 [표 14]과 같다.
[표 14]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17-35 단계에서, 만약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17-30 단계에서 동작 1-1을 수행한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다음의 동작 2-1을 통해,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기지국 2(17-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1은 [표 15]와 같다.
[표 15]
Figure pat00019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17-35 단계에서 상기 동작 2-1를 수행할 때, 셀 재선택과 관련된 측정과 셀 재선택 평가 과정을 계속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17-35 단계에서 상기 동작 2-1를 수행할 때, 하기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RRC 유휴 모드(RRC_IDLE)로 천이하는 것을 제안한다.
- 신규 타이머 TXXX가 구동 중일 때, integrity check failure가 발생한 경우
- 신규 타이머 TXXX가 구동 중일 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 신규 타이머 TXXX가 만료하는 경우
물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17-35 단계에서 상기 동작 2-1를 수행할 때, 셀 재선택과 관련된 측정과 셀 재선택 평가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하여 busy indication을 보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17-35 단계에서, 만약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17-30 단계에서 동작 1-2을 수행한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다음의 동작 2-2을 통해,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기지국 2(17-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2은 [표 16]와 같다.
[표 16]
Figure pat0002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작 2-1 또는 동작 2-2를 제안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작만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RRC_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이 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을 전송할 때 하는 동작은 TS 38.331 규격, 5.3.13.3 절에 아래와 같이 명시되어 있는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동작 2-1 또는 동작2-2은 종래 동작 대비 간소화된 동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 시 busy indication을 전송 시 수행하는 동작들은 종래 기술을 따를 수도 있다.
TS 38.331 규격 5.3.13.3 절 단말 동작은 [표 17]과 같다.
[표 17]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17-37 단계에서, 기지국 2(17-04)은 수신한 busy indication 정보 중 일부 혹은 전체를 코어 네트워크 2(17-05)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기지국 2(17-04)은 17-35 단계에서 수신한 RRC 메시지인 busy indication 정보를 이용해서 새로운 NG 메시지를 생성하여 NG 인터페이스로 코어 네트워크 2(17-05)에게 전달 할 수 있다.
17-4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로부터 busy indication을 수신한 기지국 2(17-04)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에게 RRC Rejec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RRCReject 메시지에 신규 타이머 값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신규 타이머는 TYYY로 칭할 수 있다. RRCReject 메시지에 신규 타이머 값을 수납 여부에 따라,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과 기지국 2(17-04)의 동작은 하기[표 18]과 같을 수 있다.
[표 18]
Figure pat00023
17-40 단계에서, 상기 RRCReject 메시지를 수신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다음의 동작 3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은 [표 19]과 같다.
[표 19]
Figure pat00024
17-40 단계에서, 상기 RRCReject 메시지를 수신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상술한 TYYY 타이머에 대한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다음과 같이 종래 기술의 동작(TS 38.331 규격, 5.3.15.2 절)을 수행할 수도 있다.
TS 38.331 규격 5.3.15.2 절 단말 동작은 [표 20]와 같다.
[표 20]
Figure pat00025
17-4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7-03)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을 수 있다.
도 18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 중 하나의 SIM 단말이 Busy indi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18-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8-01)은 기지국 1(18-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이 때,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1)은 기지국 2(18-04)과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18-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기지국 2(18-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RAN paging)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는 paging cause 값이 포함될 수 있다.
18-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8-01)은 기지국 1(18-02)과 진행중인(on-going) 서비스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을 수 있다.
18-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8-01)의 데이터를 계속 송수신 하기 위해,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기지국 2(18-04)이 개시한(RA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에 대해 응답을 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18-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기지국 2(18-04)에게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busy indication 전송 절차를 개시할 때, 종래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할 수도 있고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면, 18-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다음의 동작 1-1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은 [표 21]과 같다.
[표 21]
Figure pat00026
timer TXXX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신규 타이머를 의미할 수 있다.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때 cause 값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동작 1-1을 수행할 때,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cause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추후 여러 가지 cause가 도입될 수 있기 때문에,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cause 값을 포함하여 추후 다른 cause와의 구별을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즉, 단말은 RRC 요청 메시지에 있는 resume cause에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을 것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여 기지국2 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신규 RRC 메시지의 경우 resume cause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종래의 RRC 재개 요청 메시지의 경우 new resume cause로써 busy indication을 위한 resume cause를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2에게 송신한 후에도 만약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에 이제 응답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다시 RRC 메시지에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resume cause를 포함하여 또는 종래의 resume cause를 포함하여 송신 할 수 있다.
만약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면, 18-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다음의 동작 1-2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2은 [표 22]과 같다.
[표 22]
Figure pat00027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작 1-1 또는 동작 1-2 를 제안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이 busy indication을 전송 절차 개시 시 필요한 동작만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RRC_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이 RRC resume 절차를 개시할 때 하는 동작은 TS 38.331 규격, 5.3.13.2 절에 아래와 같이 명시되어 있는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동작 1은 이에 비해 간소화된 동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 시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cause 값을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고 나머지 동작들은 종래 기술을 따를 수도 있다.
TS 38.331 규격 5.3.13.2 절 단말 동작은 [표 23]와 같다.
[표 23]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18-35 단계에서, 만약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18-30 단계에서 동작 1-1을 수행한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다음의 동작 2-1을 통해, 신규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기지국 2(18-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1은 [표 24] 과 같다.
[표 24]
Figure pat0003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18-35 단계에서 상기 동작 2-1를 수행할 때, 셀 재선택과 관련된 측정과 셀 재선택 평가 과정을 계속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18-35 단계에서 상기 동작 2-1를 수행할 때, 하기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면, RRC 유휴 모드(RRC_IDLE)로 천이하는 것을 제안한다.
- 신규 타이머 TXXX가 구동 중일 때, integrity check failure가 발생한 경우
- 신규 타이머 TXXX가 구동 중일 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 신규 타이머 TXXX가 만료하는 경우
물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18-35 단계에서 상기 동작 2-1를 수행할 때, 셀 재선택과 관련된 측정과 셀 재선택 평가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하여 busy indication을 보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18-35 단계에서, 만약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18-30 단계에서 동작 1-2을 수행한 경우,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다음의 동작 2-2을 통해,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기지국 2(18-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2은 [표 25]와 같다.
[표 25]
Figure pat00031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작 2-1 또는 동작 2-2를 제안하는 이유는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작만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RRC_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이 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을 전송할 때 하는 동작은 TS 38.331 규격, 5.3.13.3 절에 아래와 같이 명시되어 있는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동작 2-1 또는 동작2-2은 종래 동작 대비 간소화된 동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종래 RRC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를 이용하여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 시 busy indication을 전송 시 수행하는 동작들은 종래 기술을 따를 수도 있다.
TS 38.331 규격 5.3.13.3 절 단말 동작은 [표 26]와 같다.
[표 26]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이 RRC_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응답할 때, 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을 전송하기 위한 동작 대비 busy indication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간소화 될 수 있는 것이다.
18-37 단계에서, 기지국 2(18-04)은 수신한 busy indication 정보 중 일부 혹은 전체를 코어 네트워크 2(AMF/MME in NW2, 18-05)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 2(18-04)은 18-35 단계에서 수신한 RRC 메시지인 busy indication 정보를 이용해서 새로운 NG 메시지를 생성하여 NG 인터페이스 (예시로, NG-RAN 노드와 AMF 사이의 interface)로 코어 네트워크 2(18-05)에게 전달 할 수 있다.
도 18의 경우 단말이 busy indication을 보냈으나, 기지국2는 RRC 재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random access 절차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8-4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기지국 2(18-04)와 random access 절차를 성공적으로 끝내자 마자(일례로, contention resolution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다음의 동작 3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
- reset MAC and release the default MAC Cell Group configuration, if any;
- stop the timer TXXX or timer T319, if running;
18-4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8-03)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을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 중 하나의 SIM 단말이 Busy indication 절차를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19-1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9-01)은 기지국 1(19-02)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이 때,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9-01)은 기지국 2(19-04)과 RRC 유휴 모드(RRC_IDLE)에 있을 수 있다.
19-1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9-03)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19-05)가 개시한(C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CN paging)를 기지국 2(19-0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는 paging cause 값이 포함될 수 있다.
19-2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9-01)은 기지국 1(19-02)과 진행중인(on-going) 서비스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을 수 있다.
19-25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19-01)의 데이터를 계속 송수신 하기 위해,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9-03)은 코어 네트워크 2(19-05)이 개시한(CN-initiated) 페이징 메시지에 대해 응답을 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19-3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9-03)은 기지국 2(19-04)에게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해 RRC 연결 설립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즉,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9-03)은 기지국 2(19-04)에게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RRC 연결을 설립하고자 하는 신규 이유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신규 이유 값은 busy indication을 나타내는 이유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단말은 RRC 요청 메시지에 있는 resume cause에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을 것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여 기지국2 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신규 RRC 메시지의 경우 resume cause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종래의 RRC 재개 요청 메시지의 경우 new resume cause로써 busy indication을 위한 resume cause를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2에게 송신한 후에도 만약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에 이제 응답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다시 RRC 메시지에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resume cause를 포함하여 또는 종래의 resume cause를 포함하여 송신 할 수 있다.
19-35 단계에서, 기지국 2(19-04)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9-03)에게 RRC 연결 설립 메시지(RRCSetup)를 전송할 수 있다.
19-40 단계에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9-03)은 기지국 2(19-04)에게 RRC 연결 설립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busy indication 이유 값 또는 busy indication과 관련된 신규 정보(예를 들면, 시간time stamp) 등이 단말 특정 NAS 메시지(dedicated non-access stratum message)에 수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RRC 완료 메시지에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을 것을 나타내는 busy indication을 포함하여 기지국2 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RRC 완료 메시지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2에게 송신한 후에도 만약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에 이제 응답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다시 RRC 완료 메시지에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 할 수 있다.
19-45 단계에서 기지국 2(19-04)은 코어 네트워크 2(19-05)에게 19-40 단계에서 수신한 dedicated NAS message를 포워딩할 수 있다.
19-50 단계에서 기지국 2(19-04)은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19-03)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 수신 시,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은 전술한 실시 예에 따라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1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4-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4-20), 저장부(14-30), 제어부(14-40)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14-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14-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4-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14-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14-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14-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상기 RF처리부(14-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은 상기 RF처리부(14-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4-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4-30)는 상기 제어부(14-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4-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4-20) 및 상기 RF처리부(14-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40)는 상기 저장부(14-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4-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4-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처리부(15-10), 기저대역처리부(15-20), 백홀통신부(15-30), 저장부(15-40), 제어부(1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15-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15-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5-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15-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15-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15-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은 상기 RF처리부(15-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은 상기 RF처리부(15-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 및 상기 RF처리부(15-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 및 상기 RF처리부(15-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백홀통신부(15-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백홀통신부(15-30)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저장부(15-40)는 상기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5-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5-40)는 상기 제어부(15-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5-50)는 상기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5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5-20) 및 상기 RF처리부(15-10)을 통해 또는 상기 백홀통신부(15-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50)는 상기 저장부(15-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은 paging cause 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여 상기 paging cause에 매핑된 서비스 우선 순위를 SIM1 단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 우선 순위와 비교할 수 있고, SIM2 단말은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 자체를 수신한 것을 알려주기 위해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Multi-SIM 단말 중 SIM1 단말은 다른 SIM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에게 주파수 밴드 별 또는 셀 별로 Multi-SIM 동작을 위한 갭을 요청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Multi-SIM 단말 중 SIM2 단말은 다른 SIM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고, 기지국에게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SIM2 단말은 busy indication 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상기 busy indic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때 busy indication을 송신하기 위한 cause값을 포함하여 추후 다른 cause와의 구별을 할 수 있고, SIM2 단말은 RRC INACTIVE 상태가 될 수 있다.

Claims (20)

  1.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1 SIM과 관련된 제1기지국과 상기 단말은 RRC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 단말의 제2 SIM과 관련된 제2기지국과는 RRC 비활성화 상태인 상기 단말이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2기지국에게 busy indication을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과정,
    상기 busy indication이 송신된 후, 상기 제2기지국과 RRC 비활성화 상태에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busy indication을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과정은, busy indication을 송신하기 위한 cause를 포함하고, 상기 절차 개시를 위한 제1타이머를 구동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1 동작을 통해 상기 busy indication을 송신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하며, 상기 제1-1동작은:
    Access Category '0'을 선택하고, default L1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고, default SRB1 구성을 적용하고, CCCH 구성을 적용하고, timeAlignmentTimerCommon 을 적용하고, 상기 제1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busy indication의 송신을 개시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usy indication이 종래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인 경우, busy indication에 대한 새로운 cause를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동작을 수행한 후 제2-1동작을 통해 busy indication을 상기 제2기지국에게 송신하며, 상기 제2-1동작은: 상기 단말의 identity를 shortI-RNTI 값 또는 FullI-RNTI값을 기반으로 설정하고, SRB1을 위한 PDCP를 재설립하여 상기 SRB1을 재개하고, 상기 CCCH를 통해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usy indication이 종래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인 경우, busy indication에 대한 새로운 cause를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usy indication을 송신할 때, 셀 재선택과 관련된 측정 및 셀 재선택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경우, RRC 유휴(IDLE)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조건은:
    - 상기 제1타이머가 구동중일 때, integrity check failure가 발생한 경우
    - 상기 제1타이머가 구동중일 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 상기 제1타이머가 만료하는 경우
    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2 기지국으로부터 RRC 해제(release) 메시지 또는 RRC 거절(reject)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RC 해제 메시지 또는 RRC 거절 메시지에 제2 타이머 값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은 수신한 제2타이머 값으로 상기 제2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제2타이머가 구동중에 상기 단말은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위하여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RC 해제 메시지 또는 상기 RRC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제1타이머를 멈추고, 상기 RRC 해제 메시지 또는 상기 RRC 거절 메시지에 포함된 제2타이머를 구동하는 것인 방법.
  11. 복수 개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Multi-SIM UE)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제1 SIM과 관련된 제1기지국과 상기 단말은 RRC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 단말의 제2 SIM과 관련된 제2기지국과는 RRC 비활성화 상태인 상기 단말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2기지국에게 busy indication을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고,
    상기 busy indication이 송신된 후, 상기 제2기지국과 RRC 비활성화 상태에 진입하고, 및
    상기 busy indication을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는 과정은, busy indication을 송신하기 위한 cause를 포함하고, 상기 절차 개시를 위한 제1타이머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Access Category '0'을 선택하고, default L1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고, default SRB1 구성을 적용하고, CCCH 구성을 적용하고, timeAlignmentTimerCommon 을 적용하고, 상기 제1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busy indication의 송신을 개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busy indication이 종래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인 경우, busy indication에 대한 새로운 cause를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identity를 shortI-RNTI 값 또는 FullI-RNTI값을 기반으로 설정하고, SRB1을 위한 PDCP를 재설립하여 상기 SRB1을 재개하고, 상기 CCCH를 통해 RRC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busy indication이 종래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인 경우, busy indication에 대한 새로운 cause를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busy indication을 송신할 때, 셀 재선택과 관련된 측정 및 셀 재선택 평가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한 경우, RRC 유휴(IDLE)모드로 천이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조건은:
    - 상기 제1타이머가 구동중일 때, integrity check failure가 발생한 경우
    - 상기 제1타이머가 구동중일 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 상기 제1타이머가 만료하는 경우
    인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RRC 해제(release) 메시지 또는 RRC 거절(reject)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RC 해제 메시지 또는 RRC 거절 메시지에 제2 타이머 값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은 수신한 제2타이머 값으로 상기 제2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제2타이머가 구동중에 상기 단말은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위하여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RC 해제 메시지 또는 상기 RRC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제1타이머를 멈추고, 상기 RRC 해제 메시지 또는 상기 RRC 거절 메시지에 포함된 제2타이머를 구동하도록 더 구성되는 단말.



KR1020200188557A 2020-10-21 2020-12-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52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4823 WO2022086227A1 (ko) 2020-10-21 2021-10-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심을 지원하는 단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EP21883295.4A EP4207933A4 (en) 2020-10-21 2021-10-21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UE SUPPORTING MULTIPLE SI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136 2020-10-21
KR20200137136 2020-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802A true KR20220052802A (ko) 2022-04-28

Family

ID=8144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557A KR20220052802A (ko) 2020-10-21 2020-12-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28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472A1 (en) * 2022-06-24 2023-12-28 Lg Electronics Inc. Conflict resolution for conditional mo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249400A1 (en) * 2022-06-21 2023-12-28 Lg Electronics Inc. Conflict resolu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400A1 (en) * 2022-06-21 2023-12-28 Lg Electronics Inc. Conflict resolu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249472A1 (en) * 2022-06-24 2023-12-28 Lg Electronics Inc. Conflict resolution for conditional mo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0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25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DCP device and SDAP devic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568700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의 셀 선택 및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2629306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sdap 제어 pdu를 구분해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42079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ue supporting multiple si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76115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pdcp 버전 변경에 따른 재설정 방법 및 장치
US202002528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8387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DCP device and SDAP devic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22543002A (ja) 非接続モード端末のための周波数測定設定方法と周波数測定を行う方法及び装置
KR102503003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의 셀 선택 및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200032518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 단말의 선택된 plmn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EP37773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668807A (zh) 用于在卫星网络中执行基于星历的小区重选的方法和设备
CN115299106A (zh) 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处理en-dc小区重选指示符的方法和装置
KR20200035850A (ko) 백홀 액세스 통합 시스템에서 노드 실패 처리 방법 및 redirection 정보 전송 방법
KR202200528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0709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scontinuous reception val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6920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엑세스 응답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42508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mobility histo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156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ip address to du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system
KR20220017755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Slice) 기반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086150A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ntra-band ul ca를 고려한 uplink tx direct current location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436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숏-타임 스위칭 갭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470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for multi-usim u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306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ser data through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