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597A -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597A
KR20220052597A KR1020200136726A KR20200136726A KR20220052597A KR 20220052597 A KR20220052597 A KR 20220052597A KR 1020200136726 A KR1020200136726 A KR 1020200136726A KR 20200136726 A KR20200136726 A KR 20200136726A KR 20220052597 A KR20220052597 A KR 20220052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lumn
patterns
column part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934B1 (ko
Inventor
조영태
김석
김선준
김도혁
최수현
김우영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9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패턴층; 및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층은, 제1철(凸)부 패턴; 및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요(凹)부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패턴층은, 제2철(凸)부 패턴; 및 상기 제2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패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패턴층을 통해, 상기 패턴과 물이 접촉하는 경우, 공기층이 갇히게 되는 에어 포켓 효과를 달성하고, 또한, 상기 제2패턴층을 통해, 상기 패턴이 물과 접촉하는 경우, 물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A Pattern And A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발수 또는 초발유 특성이 우수한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발수(superhydrophobic) 또는 초발유(superoleophobic) 코팅은 표면개질(surface modification) 기술의 한 분야로, 표면을 물리화학적으로 개질하여 고체의 표면에 액체가 접촉할 때의 접촉각(wetting angle)이 150°이상이 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초발수 현상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연꽃잎을 통해서 흔히 관찰할 수 있는데, 물방울이 연꽃잎 상에 맺히거나 굴러 떨어지는 것은 연꽃잎 표면에 존재하는 나노 스케일의 미세한 돌기들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연꽃잎의 표면 특성(초발수 특성)을 모사하는 경우에는 섬유, 건축, 기계, 전자, 유리, 자동차 등 많은 산업에서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초발수 또는 초발유성 표면 구현을 위한 나노 구조물은 기판 상에 마이크로급 또는 나노급의 컬럼(또는 필라)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물을 복수개 형성하거나, 또는, 기판 상에 마이크로급의 컬럼 구조를 갖는 1차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1차 구조물 상에 다시 나노급의 컬럼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물을 복수개 형성하는 구조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나노 구조물들은 대부분 컬럼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종횡비가 높도록 형성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렇듯 종횡비가 높은 형태를 갖는 나노 구조물들은 초기에는 초발수성 특성을 보이지만, 표면에 접촉한 물(또는 용액)이 증발할 때에 발생하는 모세관력(capillarity)에 의해 서로 엉키거나 옆으로 눕게 되어 상기 초발수성 특성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14-07661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방법이 용이하고, 초발수 또는 초발유 특성이 우수한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을 연결하여,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아일랜드(Island)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과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에 의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제1철(凸)부 패턴이 정의되고,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일정 영역의 내부에는 요(凹)부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은,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은,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은,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패턴층; 및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층은, 제1철(凸)부 패턴; 및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요(凹)부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패턴층은, 제2철(凸)부 패턴; 및 상기 제2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철(凸)부 패턴은,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을 연결하여,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철(凸)부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제1패턴층;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패턴층을 통해, 상기 패턴과 물이 접촉하는 경우, 공기층이 갇히게 되는 에어 포켓 효과를 달성하여, 표면에 접촉한 물(또는 용액)이 증발할 때에 발생하는 모세관력(capillarity)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초발수성 특성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턴층을 통해, 상기 패턴이 물과 접촉하는 경우, 물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주는 효과를 달성하여, 초발수성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우수한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100)은,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110);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을 연결하여,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120); 및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110)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1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장 컬럼부 패턴(130)은, 상기 컬럼부 패턴(110)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구획부 패턴(12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아일랜드(Island)로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100)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110); 및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120)을 제1철(凸)부 패턴(110, 120)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1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130)을 제2철(凸)부 패턴(130)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110)은, 제1컬럼부 패턴(110a); 상기 제1컬럼부 패턴(110a)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컬럼부 패턴(110b); 상기 제2컬럼부 패턴(110b)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컬럼부 패턴(110c); 및 상기 제3컬럼부 패턴(110c)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4컬럼부 패턴(110d)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컬럼부 패턴(110a) 내지 상기 제4컬럼부 패턴(110d)은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12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110a)과 상기 제2컬럼부 패턴(110b)을 연결하는 제1구획부 패턴(120a); 상기 제2컬럼부 패턴(110b)과 상기 제3컬럼부 패턴(110c)을 연결하는 제2구획부 패턴(120b); 상기 제3컬럼부 패턴(110c)과 상기 제4컬럼부 패턴(110d)을 연결하는 제3구획부 패턴(120c); 및 상기 제4컬럼부 패턴(110d)과 상기 제1컬럼부 패턴(110a)을 연결하는 제4구획부 패턴(120d)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부 패턴(120a) 내지 상기 제4구획부 패턴(120d)은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컬럼부 패턴(110)과 상기 구획부 패턴(120)에 의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제1철(凸)부 패턴(110, 120)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일정 영역의 내부에는 요(凹)부 패턴(103)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요(凹)부 패턴(103)은 빈 공간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단순하게 요(凹)부로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제1패턴층(101)은, 철(凸)부 패턴(110, 120); 및 상기 철(凸)부 패턴(110, 120) 보다 낮은 단차를 갖는 요(凹)부(103)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요(凹)부 패턴(103)의 의미는, 상기 요(凹)부 패턴(103) 영역에 일정 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요(凹)부 패턴(103) 영역에 일정 층이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이 형성된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100)은, 제1패턴층(101); 상기 제1패턴층(10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1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패턴층(101)은, 제1철(凸)부 패턴(110, 120); 및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요(凹)부 패턴(10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철(凸)부 패턴(110, 120)은, 컬럼부 패턴(110); 및 상기 컬럼부 패턴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구획부 패턴(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턴층(104)은, 제2철(凸)부 패턴(130); 및 상기 제2철(凸)부 패턴(13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철(凸)부 패턴(130)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1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13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110a)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 컬럼부 패턴(130a); 상기 제2컬럼부 패턴(110b)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 컬럼부 패턴(130b); 상기 제3컬럼부 패턴(110c)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 컬럼부 패턴(130c); 및 상기 제4컬럼부 패턴(110d)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 컬럼부 패턴(130d)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130), 즉,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130a) 내지 상기 제4연장 컬럼부 패턴(130d)은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100)은, 제1패턴층(101); 상기 제1패턴층(10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1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턴층(101)의 경우, 상기 패턴(100)과 물이 접촉하는 경우, 공기층이 갇히게 되는 에어 포켓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패턴층(104)의 경우, 상기 패턴(100)이 물과 접촉하는 경우, 물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10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110a) 내지 상기 제4컬럼부 패턴(110d)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제1구획부 패턴(120a) 내지 상기 제4구획부 패턴(120d)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130a) 내지 상기 제4연장 컬럼부 패턴(130d)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턴(100)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각각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컬럼부 패턴(110a) 내지 상기 제4컬럼부 패턴(110d); 상기 제1구획부 패턴(120a) 내지 상기 제4구획부 패턴(120d); 및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130a) 내지 상기 제4연장 컬럼부 패턴(130d)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하나의 제1단위패턴으로 정의시,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컬럼부 패턴,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다른 하나의 제2단위패턴과 각각의 패턴을 공유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각각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은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100)은,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을 연결하여,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220); 및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2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장 컬럼부 패턴(230)은, 상기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구획부 패턴(22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아일랜드(Island)로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200)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220)을 제1철(凸)부 패턴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230)을 제2철(凸)부 패턴(230)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은, 제1컬럼부 패턴(210a); 상기 제1컬럼부 패턴(210a)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컬럼부 패턴(210b); 상기 제2컬럼부 패턴(210b)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 상기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 및 상기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컬럼부 패턴(210a) 내지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은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22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210a)과 상기 제2컬럼부 패턴(210b)을 연결하는 제1구획부 패턴(220a); 상기 제2컬럼부 패턴(210b)과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2구획부 패턴(220b);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3구획부 패턴(220c); 상기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4구획부 패턴(220d); 상기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5구획부 패턴(220e); 및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1컬럼부 패턴(210a)을 연결하는 제6구획부 패턴(220f)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부 패턴(220a) 내지 상기 제6구획부 패턴(220f)은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컬럼부 패턴과 상기 구획부 패턴(220)에 의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제1철(凸)부 패턴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일정 영역의 내부에는 요(凹)부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200)은, 제1패턴층;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2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패턴층은, 제1철(凸)부 패턴; 및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요(凹)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철(凸)부 패턴은, 컬럼부 패턴; 및 상기 컬럼부 패턴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구획부 패턴(2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턴층(204)은, 제2철(凸)부 패턴(230); 및 상기 제2철(凸)부 패턴(23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부(2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철(凸)부 패턴(230)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2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23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210a)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 컬럼부 패턴(230a); 상기 제2컬럼부 패턴(210b)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 컬럼부 패턴(230b);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 컬럼부 패턴(230c); 상기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 컬럼부 패턴(230d); 상기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5연장 컬럼부 패턴(230e); 및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6연장 컬럼부 패턴(230f)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230), 즉,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230a) 내지 상기 제6연장 컬럼부 패턴(230f)은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200)은, 제1패턴층;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2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턴층의 경우, 상기 패턴(200)과 물이 접촉하는 경우, 공기층이 갇히게 되는 에어 포켓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패턴층(204)의 경우, 상기 패턴(200)이 물과 접촉하는 경우, 물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20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210a) 내지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이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제1구획부 패턴(220a) 내지 상기 제6구획부 패턴(220f)이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230a) 내지 상기 제6연장 컬럼부 패턴(230f)이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턴(200)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각각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컬럼부 패턴(210a) 내지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 상기 제1구획부 패턴(220a) 내지 상기 제6구획부 패턴(220f); 및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230a) 내지 상기 제6연장 컬럼부 패턴(230f)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하나의 제1단위패턴으로 정의시,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컬럼부 패턴,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다른 하나의 제2단위패턴과 각각의 패턴을 공유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각각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은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300)은,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을 연결하여,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320); 및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3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장 컬럼부 패턴(330)은, 상기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구획부 패턴(32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아일랜드(Island)로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300)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320)을 제1철(凸)부 패턴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330)을 제2철(凸)부 패턴(330)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은, 제1컬럼부 패턴(310a); 상기 제1컬럼부 패턴(310a)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컬럼부 패턴(310b); 및 상기 제2컬럼부 패턴(310b)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컬럼부 패턴(310a) 내지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은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32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310a)과 상기 제2컬럼부 패턴(310b)을 연결하는 제1구획부 패턴(320a); 상기 제2컬럼부 패턴(310b)과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2구획부 패턴(320b); 및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1컬럼부 패턴(310a)을 연결하는 제3구획부 패턴(320c)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부 패턴(320a) 내지 상기 제3구획부 패턴(320c)은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컬럼부 패턴과 상기 구획부 패턴(320)에 의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제1철(凸)부 패턴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일정 영역의 내부에는 요(凹)부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300)은, 제1패턴층;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3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패턴층은, 제1철(凸)부 패턴; 및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요(凹)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철(凸)부 패턴은, 컬럼부 패턴; 및 상기 컬럼부 패턴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구획부 패턴(3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턴층(304)은, 제2철(凸)부 패턴(330); 및 상기 제2철(凸)부 패턴(33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부(3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철(凸)부 패턴(330)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3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33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310a)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 컬럼부 패턴(330a); 상기 제2컬럼부 패턴(310b)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 컬럼부 패턴(330b); 및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 컬럼부 패턴(330c)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330), 즉,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330a) 내지 상기 제3연장 컬럼부 패턴(330c)은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300)은, 제1패턴층;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3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턴층의 경우, 상기 패턴(300)과 물이 접촉하는 경우, 공기층이 갇히게 되는 에어 포켓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패턴층(304)의 경우, 상기 패턴(300)이 물과 접촉하는 경우, 물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30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310a) 내지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이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제1구획부 패턴(320a) 내지 상기 제3구획부 패턴(320c)이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330a) 내지 상기 제3연장 컬럼부 패턴(330c)이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턴(300)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각각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컬럼부 패턴(310a) 내지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 상기 제1구획부 패턴(320a) 내지 상기 제3구획부 패턴(320c); 및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330a) 내지 상기 제3연장 컬럼부 패턴(330c)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하나의 제1단위패턴으로 정의시,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컬럼부 패턴,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다른 하나의 제2단위패턴과 각각의 패턴을 공유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각각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은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400)은,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을 연결하여,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420); 및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4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장 컬럼부 패턴(430)은, 상기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구획부 패턴(420)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아일랜드(Island)로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400)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420)을 제1철(凸)부 패턴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430)을 제2철(凸)부 패턴(430)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은, 제1컬럼부 패턴(410a); 상기 제1컬럼부 패턴(410a)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컬럼부 패턴(410b); 상기 제2컬럼부 패턴(410b)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 상기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 상기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7컬럼부 패턴(미도시); 및 상기 제7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8컬럼부 패턴(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컬럼부 패턴(410a) 내지 상기 제8컬럼부 패턴(미도시)은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42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410a)과 상기 제2컬럼부 패턴(410b)을 연결하는 제1구획부 패턴(420a); 상기 제2컬럼부 패턴(410b)과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2구획부 패턴(420b);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3구획부 패턴(420c); 상기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4구획부 패턴(420d); 상기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5구획부 패턴(420e);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7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6구획부 패턴(420f); 상기 제7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8컬럼부 패턴(미도시)을 연결하는 제7구획부 패턴(420g); 및 상기 제8컬럼부 패턴(미도시)과 상기 제1컬럼부 패턴(410a)을 연결하는 제8구획부 패턴(420h)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부 패턴(420a) 내지 상기 제8구획부 패턴(420h)은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컬럼부 패턴과 상기 구획부 패턴(420)에 의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제1철(凸)부 패턴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일정 영역의 내부에는 요(凹)부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400)은, 제1패턴층;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4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패턴층은, 제1철(凸)부 패턴; 및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요(凹)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철(凸)부 패턴은, 컬럼부 패턴; 및 상기 컬럼부 패턴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구획부 패턴(4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턴층(404)은, 제2철(凸)부 패턴(430); 및 상기 제2철(凸)부 패턴(43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부(4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철(凸)부 패턴(430)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4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43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410a)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 컬럼부 패턴(430a); 상기 제2컬럼부 패턴(410b)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 컬럼부 패턴(430b); 상기 제3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 컬럼부 패턴(430c); 상기 제4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 컬럼부 패턴(430d); 상기 제5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5연장 컬럼부 패턴(430e); 상기 제6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6연장 컬럼부 패턴(430f); 상기 제7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7연장 컬럼부 패턴(430g); 및 상기 제8컬럼부 패턴(미도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8연장 컬럼부 패턴(430h)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430), 즉,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430a) 내지 상기 제8연장 컬럼부 패턴(430\h)은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400)은, 제1패턴층;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404)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턴층의 경우, 상기 패턴(400)과 물이 접촉하는 경우, 공기층이 갇히게 되는 에어 포켓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패턴층(404)의 경우, 상기 패턴(400)이 물과 접촉하는 경우, 물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400)은, 상기 제1컬럼부 패턴(410a) 내지 상기 제8컬럼부 패턴(미도시)이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제1구획부 패턴(420a) 내지 상기 제8구획부 패턴(420h)이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430a) 내지 상기 제8연장 컬럼부 패턴(430h)이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턴(400)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각각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컬럼부 패턴(410a) 내지 상기 제8컬럼부 패턴(미도시); 상기 제1구획부 패턴(420a) 내지 상기 제8구획부 패턴(420h); 및 상기 제1연장 컬럼부 패턴(430a) 내지 상기 제8연장 컬럼부 패턴(430h)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하나의 제1단위패턴으로 정의시,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컬럼부 패턴,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제1단위패턴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다른 하나의 제2단위패턴과 각각의 패턴을 공유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각각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은, 제1패턴층;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이 각각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거나, 또는 육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거나, 또는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거나,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종래의 나노 구조물들은 대부분 컬럼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종횡비가 높도록 형성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렇듯 종횡비가 높은 형태를 갖는 나노 구조물들은 초기에는 초발수성 특성을 보이지만, 표면에 접촉한 물(또는 용액)이 증발할 때에 발생하는 모세관력(capillarity)에 의해 서로 엉키거나 옆으로 눕게 되어 상기 초발수성 특성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패턴층;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패턴층을 통해, 상기 패턴과 물이 접촉하는 경우, 공기층이 갇히게 되는 에어 포켓 효과를 달성하여, 표면에 접촉한 물(또는 용액)이 증발할 때에 발생하는 모세관력(capillarity)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초발수성 특성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턴층을 통해, 상기 패턴이 물과 접촉하는 경우, 물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주는 효과를 달성하여, 초발수성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우수한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을 연결하여,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아일랜드(Island)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과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에 의하여, 하나의 연속적인 제1철(凸)부 패턴이 정의되고,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일정 영역의 내부에는 요(凹)부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은,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은,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은,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5. 제1패턴층; 및
    상기 제1패턴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층은, 제1철(凸)부 패턴; 및 상기 제1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는 요(凹)부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패턴층은, 제2철(凸)부 패턴; 및 상기 제2철(凸)부 패턴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패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凸)부 패턴은,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 및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을 연결하여, 일정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철(凸)부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은,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은,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은,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장 컬럼부 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컬럼부 패턴의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패턴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어, 아일랜드(Island)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KR1020200136726A 2020-10-21 2020-10-21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26A KR102494934B1 (ko) 2020-10-21 2020-10-21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26A KR102494934B1 (ko) 2020-10-21 2020-10-21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97A true KR20220052597A (ko) 2022-04-28
KR102494934B1 KR102494934B1 (ko) 2023-02-06

Family

ID=8144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726A KR102494934B1 (ko) 2020-10-21 2020-10-21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93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13B1 (ko) * 2008-07-16 2010-09-10 한국과학기술원 초소수성 및 초발수성 표면을 갖는 패턴 및 그 형성방법
KR20130052293A (ko) * 2011-11-11 2013-05-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발수 표면 구조체의 설계방법
JP2014076610A (ja) 2012-10-11 2014-05-01 Toppan Printing Co Ltd 撥油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08033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소수성 표면을 갖는 나노복합체막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초소수성 표면을 갖는 나노복합체막 및 그 제조방법
JP5891607B2 (ja) * 2011-05-17 2016-03-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3次元表示用パターン配向層用原版、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配向膜の製造方法および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60066590A (ko) * 2014-12-02 2016-06-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초발수성 금속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20170052035A (ko) * 2015-11-03 2017-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발수 표면의 제조방법 및 초발수 부재
KR101782913B1 (ko) * 2017-04-25 2017-10-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패턴 필름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00032285A (ko) * 2018-09-17 2020-03-2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2284A (ko) * 2018-09-17 2020-03-2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13B1 (ko) * 2008-07-16 2010-09-10 한국과학기술원 초소수성 및 초발수성 표면을 갖는 패턴 및 그 형성방법
JP5891607B2 (ja) * 2011-05-17 2016-03-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3次元表示用パターン配向層用原版、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配向膜の製造方法および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30052293A (ko) * 2011-11-11 2013-05-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발수 표면 구조체의 설계방법
JP2014076610A (ja) 2012-10-11 2014-05-01 Toppan Printing Co Ltd 撥油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08033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소수성 표면을 갖는 나노복합체막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초소수성 표면을 갖는 나노복합체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6590A (ko) * 2014-12-02 2016-06-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초발수성 금속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20170052035A (ko) * 2015-11-03 2017-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발수 표면의 제조방법 및 초발수 부재
KR101782913B1 (ko) * 2017-04-25 2017-10-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패턴 필름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00032285A (ko) * 2018-09-17 2020-03-2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2284A (ko) * 2018-09-17 2020-03-2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934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696B1 (ko) 미세요철을 갖는 고체 기재의 표면 가공방법 및 이방법으로 표면 처리된 고체 기재
FI60261B (fi) Oevertrycksmunstycke foer behandling av banor
KR20220052597A (ko)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078724A1 (en) Hydrophobic surface with geometric roughness pattern
KR102128701B1 (ko) 기능성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171435A (zh) 具有减摩油腔和储油槽的活塞裙
WO2008070625A2 (en) Surface topographies for non-toxic bioadhesion control
EP1622819A2 (en) Tray carrier with ultraphobic surfaces
US20150044421A1 (en) Medical devices and instruments with non-coated superhydrophobic or superoleophobic surfaces
EP1270682A3 (de) Mehrschichtige Glanzpigmente
KR20020020672A (ko) 칩 제어부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BR9901757A (pt) Mancal deslizante e processo para a sua fabricação.
ES2071059T3 (es) Hoja multicapa de materia plastica para constituir recipientes destinados a ser cerrados por un operculo soldado y recipientes formados a partir de esta hoja.
Ando et al. Friction properties of micro/nanogroove patterns in lubricating conditions
US6193222B1 (en) Gas-liquid contact tray and method
KR102168111B1 (ko)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020566A1 (en) Patterned Surfaces with Suction
JP4844273B2 (ja) 水廻り部材
JP4841898B2 (ja) 洗浄半導体チップトレー
KR102232494B1 (ko) 초발수 또는 초발유 패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206558A (ja) 床パン
JP2007291745A (ja) 水廻り部材
JP5149633B2 (ja) 浴室床パン
CN219623413U (zh) 一种表面疏水的排水管件
CO5090904A1 (es) Articulo higienico que comprende adhesivo hidrofilico con baja liberacion surfact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