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057A - 스마트 퍼터 - Google Patents

스마트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057A
KR20220052057A KR1020200135958A KR20200135958A KR20220052057A KR 20220052057 A KR20220052057 A KR 20220052057A KR 1020200135958 A KR1020200135958 A KR 1020200135958A KR 20200135958 A KR20200135958 A KR 20200135958A KR 20220052057 A KR20220052057 A KR 20220052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utting
button
putter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359B1 (ko
Inventor
신태명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3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7Striking surfaces with impact indicating means, e.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63B2220/73Altitu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스마트 퍼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퍼터는, 타면과 직각을 이루는 저면을 형성하는 헤드;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 샤프트에 결합되고, 버튼이 형성된 그립; 버튼이 인터벌을 두고 눌릴 때마다 지면에 안착된 저면의 고도를 측정하고, 인터벌 동안 발걸음 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 헤드에 결합되고, 퍼팅 거리를 표시하는 영상출력부; 및 측정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아래 수식에 의해 퍼팅 거리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퍼팅 그린에서 퍼팅 연습을 할 때 그린 주변 경사도를 읽는 법을 익히고, 거리감 및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퍼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퍼터{SMART PUTTER}
본 발명은 스마트 퍼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팅 그린에서 골프 퍼팅 연습에 사용되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퍼터에 관한 것이다.
퍼팅(putting)은 퍼팅 그린 위의 볼을 퍼트 등을 이용해서 홀에 넣는 스트로크를 의미한다. 골프에서 각 홀의 파는 모두 2퍼트로 계산되고 있다. 즉, 18홀의 일반적인 코스 파 72의 절반에 해당하는 36이 퍼팅에 해당한다. 따라서, 퍼팅의 실력이 스코어상에 큰 차이를 가져온다.
시중에는 퍼팅 스킬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습용 홀컵, 퍼팅 매트, 전자 퍼팅기 등 다양한 보조 용품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29360호(이하 '선행문헌')는 골프퍼팅 연습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의 골프퍼팅 연습장치는, 전면 중앙에 투광구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스위치가 노출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타측에서 연결프레임을 매개하여 퍼터프레임에 착탈되는 퍼터착탈부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가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투광구를 통해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갖추어진 PCB기판과, PCB기판의 타측에 설치되어 광원의 작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문헌의 골프퍼팅 연습장치는, 퍼팅연습장치를 집게형태 또는 자석에 의해 일반적인 퍼터의 헤드상에 간단하게 장착한 상태에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을 이용하여 정확한 퍼팅자세를 잡기 위한 반복적인 훈련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골프퍼팅 연습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은 항상 동일한 방향을 지시하므로, 퍼팅매트와 같이 기울기가 없는 평탄한 지면에서 퍼팅 연습할 때에만 사용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퍼팅매트와 같이 기울기가 없는 평탄한 지면에서 레이저가 홀컵을 지시한 상태로 올바른 스트로크를 해야 골프공이 홀컵을 향하기 때문이다.
선행문헌의 골프퍼팅 연습장치는 지면에 경사가 있는 실제 퍼팅 그린에서 퍼팅 연습에는 사용할 수 없다. 실제 퍼팅 그린은 다양한 경사가 있으므로 스트로크 방향이 홀컵 방향과 어긋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 퍼팅 그린은 밝은 자연광이 있으므로 홀컵을 지시한 레이저를 관찰하기 어렵다.
실제 그린에서 퍼팅 스트로크(putting stroke)를 잘하기 위해서는 경사도와 거리감, 방향성이 모두 중요하다. 실제 그린에서 퍼팅 연습을 할 때 그린 주변 경사도를 읽는 법을 익히고, 거리감 및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29360호 (공개일: 2007.03.14)
본 발명의 목적은, 퍼팅 그린에서 퍼팅 연습을 할 때 그린 주변 경사도를 읽는 법을 익히고, 거리감 및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퍼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타면과 직각을 이루는 저면을 형성하는 헤드;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버튼이 형성된 그립; 상기 버튼이 인터벌을 두고 눌릴 때마다 지면에 안착된 상기 저면의 고도를 측정하고, 상기 인터벌 동안 발걸음 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 상기 헤드에 결합되고, 퍼팅 거리를 표시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아래 수식에 의해 상기 퍼팅 거리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퍼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L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의 타면을 기준으로 하는 퍼팅 거리이고, x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까지 총 발걸음 수이고, ω는 보폭을 의미하는 상수이고, α는 고도차의 가중치를 의미하는 상수이고, H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 타면의 고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버튼이 인터벌을 두고 눌릴 때마다 지면에 안착된 상기 저면의 경사각을 측정하고, 상기 영상출력부는 퍼팅 방향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아래 수식에 의해 상기 퍼팅 방향을 연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D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의 타면을 기준으로 하는 퍼팅 방향이고, Φ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 저면의 좌우방향 경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헤드의 운동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헤드에 충격감지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상기 타면의 충격을 감지한 순간의 상기 헤드의 운동방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헤드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헤드에 충격감지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상기 타면의 충격을 감지한 순간의 상기 헤드의 속도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드 또는 상기 그립에 음성출력부가 결합되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퍼팅 방향 및 상기 퍼팅 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측정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퍼팅 거리 및 퍼팅 방향을 연산하고, 헤드에 결합된 영상출력부가 퍼팅 거리를 표시함으로써, 퍼팅 그린에서 퍼팅 연습을 할 때 그린 주변 경사도를 읽는 법을 익히고, 거리감 및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퍼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퍼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퍼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퍼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퍼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스마트 퍼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스마트 퍼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퍼터는, 퍼팅 그린에서 퍼팅 연습을 할 때 그린 주변 경사도를 읽는 법을 익히고, 거리감 및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퍼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퍼터(1)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퍼터(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퍼터(1)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스마트 퍼터(1)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스마트 퍼터(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퍼터(1)는 퍼팅 그린에서 골프 퍼팅 연습에 사용되도록 이루어지며, 헤드(10), 샤프트(20), 그립(30), 측정센서(40), 영상출력부(50), 충격감지센서(60), 음성출력부(70), GPS(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는 골프공을 때리는 타면(11)을 형성한다. 헤드(10)는 금속 또는 합금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헤드의 저면(12)은 타면(11)과 직각을 형성한다. 헤드의 저면(12)은 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헤드의 저면(12)이 평편한 지면에 안착되면, 타면(11)은 중력방향과 평행한 면을 형성한다.
헤드(10)는 말렛형 퍼터 형태를 형성한다. 헤드 타면(11)의 뒤쪽에 충격감지센서(60)가 결합된다. 헤드 타면(11)의 뒤쪽에 영상출력부(50) 및 측정센서(40)가 설치된다. 음성출력부(70), GPS(80) 및 제어부(90)는 헤드(10) 또는 그립(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0)는 헤드(10)로부터 연장된다. 샤프트(20)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제작된다. 샤프트(20)는 금속 또는 합금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70), GPS(80) 및 제어부(90) 등 각종 전자장치가 그립(30) 및 헤드(10)에 분산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전자장치는 제어부(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샤프트(20)의 내부는 복수의 전선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립(30)은 샤프트(20)의 상부에 결합된다. 그립(30)은 샤프트(20)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를 형성한다. 그립(30)은 가죽 또는 특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립(30) 상부에 버튼(31)이 설치된다. 버튼(31)은 누름 버튼(push butto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31)은 제어부(90)에 작동신호를 전달한다.
측정센서(40)는 헤드(10)의 동작을 인식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센서(40)는 제어부(9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측정센서(40)는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로 구비된다.
동작 인식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는 센서이다. 동작 인식 센서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압 센서(press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의 기능이 하나의 칩에 들어가 있는 복합 센서이다.
따라서 측정센서(40)는 헤드(10)의 이동, 회전, 속도, 운동방향, 기울기, 고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측정센서(40)는 상술한 센서들을 통해 발걸음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만보기의 원리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은 제어부(90)에 전송된다.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은 제어부(90)에 저장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부(50)는 각종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헤드(10)의 뒤쪽에 결합된다. 영상출력부(50)는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상술한 각종 영상정보는 퍼팅 그린 정보, 퍼팅 거리, 퍼팅 방향(도 6 참조), 지면 경사각(도 5 참조) 정보를 포함한다. 영상출력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충격감지센서(60)는 헤드(10)의 후면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감지센서(60)는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충격감지센서(60)는, 헤드(10)가 골프공을 때릴 때 타면(11)의 충격을 감지한다. 충격감지센서(60)의 측정값은 제어부(90)에 저장된다. 충격감지센서(6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4909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성출력부(70)는 그립(30) 또는 헤드(10)에 결합된다. 음성출력부(70)는 각종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각종 음성정보는 지면 경사각, 퍼팅 방향 및 퍼팅 거리를 포함한다.
음성출력부(70)는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음성출력부(70)는 CPU 등의 처리결과를 인간의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audio output unit)로 이루어진다.
GPS(80;Global Positioning System)는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스마트 퍼터(1)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80)는 제어부(9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GPS(80)는 그립(30) 또는 헤드(10)에 설치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부(50)는 현재 위치의 퍼팅 그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린 정보는 홀 및 그린의 고저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GPS(8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90)에 다수의 골프코스의 그린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90)가 현재 위치를 인식하면, 영상출력부(50)에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퍼팅 그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각종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90)는 프로세서의 조작을 지시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각종 전자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입출력 장치 간 통신 및 조율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90)는 측정센서(40)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퍼팅 거리 및 퍼팅 방향을 연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퍼터(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측정센서(40), 영상출력부(50), 충격감지센서(60), 음성출력부(70), GPS(80) 및 제어부(90)는 스마트 퍼터(1)의 사용방법의 설명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홀컵 주위에서 헤드의 저면(12)을 퍼팅 그린(이하 '지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헤드의 타면(11)은 홀컵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버튼(31)을 누른다. 버튼(31)은 제어부(9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고,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은 제어부(90)에 전송된다.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은 제어부(90)에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센서(40)는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로 구비된다. 동작 인식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는 센서이다. 동작 인식 센서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압 센서(press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의 기능이 하나의 칩에 들어가 있는 복합 센서이다.
측정센서(40)는 타면(11) 뒤쪽에서 헤드(10)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측정값들은 헤드(10)의 이동, 회전, 속도, 운동방향, 기울기, 고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센서의 구조 및 기능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4(c)는 도 3(c)의 퍼터를 옆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c)는 골프공보다 몸쪽이 높은 몸쪽 오르막 경사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의 일점쇄선은 중력방향의 연장선을 의미한다. 도 4의 점선은 지면의 법선방향을 의미한다.
도 4(c)의 Φ3은 버튼(31)이 눌렸을 때 측정센서(40)가 측정한 측정값 중 기울기(지면에 안착된 저면(12)의 경사각)를 의미한다. 기울기는 중력방향의 가상선을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 2]에 양수와 음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5(c)는 도 3(c)의 퍼터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사용자가 버튼(31)을 누르고,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이 제어부(90)에 전송되면, 제어부(90)는 영상출력부(50)에 출력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50)는 출력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정보는 지면의 경사도일 수 있다. 지면의 경사도는 심볼 및 숫자로 출력될 수 있다. 심볼은 화살표, 게이지 등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도 5(c)의 화살표는 내리막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숫자는 지면의 경사각일 수 있다. 화살표의 칸 하나는 대략 2°의 경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경사각이 6.0°인 경우, 화살표의 칸 3개가 특정한 색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심볼 및 숫자를 통해 헤드(10)가 놓인 지면의 경사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다음 사용자는 홀컵과 떨어진 위치에서 헤드의 저면(12)을 퍼팅 그린(이하 '지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헤드의 타면(11)은 홀컵을 향하도록 한다.
상술한 홀컵과 떨어진 위치는 홀컵과 골프공이 놓인 위치의 직선거리를 대략 n-1만큼 등분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n은 퍼팅하기 전까지 버튼(31)이 인터벌(시간 간격)을 두고 눌린 횟수를 의미한다.
도 3은 n=3일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은 버튼(31)이 홀컵 주위, 홀컵과 골프공 중간 지점, 그리고 골프공 주위에서 서로 인터벌(시간 간격)을 두고 눌린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 [수학식 1]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버튼(31)을 누른다. 측정센서(40)는 버튼(31)이 인터벌(시간 간격)을 두고 눌릴 때마다 측정값들을 생성한다. 버튼(31)은 제어부(9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고,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은 제어부(90)에 전송된다.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은 제어부(90)에 저장된다.
측정값들은 헤드(10)의 이동, 회전, 속도, 운동방향, 기울기, 고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측정값은 버튼(31)이 1번째 눌렸을 때부터 2번째 눌렸을 때까지 사용자의 발걸음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도 3(b)의 퍼터를 옆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b)는 골프공보다 몸쪽이 낮은 몸쪽 내리막 경사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의 일점쇄선은 중력방향의 연장선을 의미한다. 도 4의 점선은 지면의 법선방향을 의미한다.
도 4(b)의 Φ2는 버튼(31)이 눌렸을 때 측정센서(40)가 측정한 측정값 중 기울기(지면에 안착된 저면(12)의 경사각)를 의미한다. 기울기는 중력방향의 가상선을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 2]에 양수와 음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5(b)는 도 3(b)의 퍼터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사용자가 버튼(31)을 누르고,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이 제어부(90)에 전송되면, 제어부(90)는 영상출력부(50)에 출력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50)는 출력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정보는 지면의 경사도일 수 있다. 지면의 경사도는 심볼 및 숫자로 출력될 수 있다. 심볼은 화살표, 게이지 등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도 5(b)의 화살표는 내리막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숫자는 지면의 경사각일 수 있다. 화살표의 칸 하나는 대략 2°의 경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경사각이 4.3°인 경우, 화살표의 칸 2개가 특정한 색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심볼 및 숫자를 통해 헤드(10)가 놓인 지면의 경사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골프공 주위에서 헤드의 저면(12)을 퍼팅 그린(이하 '지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헤드의 타면(11)은 골프공 및 홀컵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버튼(31)을 누른다. 측정센서(40)는 버튼(31)이 인터벌(시간 간격)을 두고 눌릴 때마다 측정값들을 생성한다. 버튼(31)은 제어부(9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고,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은 제어부(90)에 전송된다.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은 제어부(90)에 저장된다.
측정값들은 헤드(10)의 이동, 회전, 속도, 운동방향, 기울기, 고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측정값은 버튼(31)이 1번째 눌렸을 때부터 3번째 눌렸을 때까지 사용자의 발걸음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a)의 퍼터를 옆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는 골프공과 몸쪽 경사가 없는 평지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의 일점쇄선은 중력방향의 연장선을 의미한다. 도 4의 점선은 지면의 법선방향을 의미한다.
도 4(a)의 Φ1은 버튼(31)이 눌렸을 때 측정센서(40)가 측정한 측정값 중 기울기(지면에 안착된 저면(12)의 경사각)를 의미한다. 기울기는 중력방향의 가상선을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 2]에 양수와 음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5(a)는 도 3(a)의 퍼터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사용자가 버튼(31)을 누르고, 측정센서(40)가 생성한 측정값들이 제어부(90)에 전송되면, 제어부(90)는 영상출력부(50)에 출력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50)는 출력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정보는 지면의 경사도일 수 있다. 지면의 경사도는 심볼 및 숫자로 출력될 수 있다. 심볼은 화살표, 게이지 등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도 5(a)의 화살표는 내리막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일 예로서, 오른발 내리막 경사를 나타내고 있다. 숫자는 지면의 경사각일 수 있다. 화살표의 칸 하나는 대략 2°의 경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경사각이 1.7°인 경우, 화살표의 칸 1개가 특정한 색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심볼 및 숫자를 통해 헤드(10)가 놓인 지면의 경사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n-1번째까지는 버튼(31)을 짧게 누르고, n번째 즉, 골프공 주위에서는 버튼(31)을 길게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31)을 길게 누르면, 제어부(90)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퍼팅 거리를 연산하고, [수학식 2]에 의해 퍼팅 방향을 연산하게 된다.
Figure pat00003
도 3을 참조하면, ω는 보폭을 의미하는 상수이다. ω는 사용자의 보폭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영상출력부(50)는 ω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xn은 버튼(31)이 n번째 눌렸을 때까지 총 발걸음 수를 의미한다. 도 3에서 지면 아래에 도시된 눈금은 하나의 발걸음을 의미한다. 눈금은 서로 보폭만큼 이격된다. 도 3은 버튼(31)이 총 3번째 눌렸을 때까지 발걸음 수가 11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S는 xn ×ω를 의미한다. 즉, 도 3의 S는 발걸음 수와 보폭에 의해 계산된 골프공과 홀컵 간 거리를 의미한다.
Ln은 버튼(31)이 n번째 눌렸을 때의 타면(11)을 기준으로 하는 퍼팅 거리를 의미한다.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지면이 평지라면, S와 Ln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골프공이 놓인 지면과 홀컵 주변 지면이 높이 차이를 형성하면, Ln은 높이 차이에 의해 보정되어야 한다. 즉, 홀컵 주변 지면이 골프공이 놓인 지면보다 높은 경우, Ln은 S보다 큰 값으로 보정되어야 한다. 한편, 홀컵 주변 지면이 골프공이 놓인 지면보다 낮은 경우, Ln은 S보다 작은 값으로 보정되어야 한다.
Hn은 버튼(31)이 n번째 눌렸을 때 타면(11)의 고도를 의미한다. 측정센서(40)는 버튼(31)이 눌릴 때마다 고도를 측정한다.
Hn-H1은 골프공이 놓인 지면과 홀컵 주변 지면의 높이 차를 의미한다. 즉, 홀컵 주변 지면이 골프공이 놓인 지면보다 높은 경우, Hn-H1은 음수이다. 한편, 홀컵 주변 지면이 골프공이 놓인 지면보다 낮은 경우, Hn-H1은 양수이다.
그리고 α는 고도차의 가중치를 의미하는 상수이다. α는 그린 빠르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일 예로, α는 10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영상출력부(50)는 α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4
Φn은 버튼(31)이 n번째 눌렸을 때 헤드 저면(12)의 좌우방향 경사각을 의미한다. 측정센서(40)는 버튼(31)이 눌릴 때마다 헤드 저면(12)의 경사각을 측정한다. 제어부(90)는 헤드 저면(12)의 경사각을 수신하여, 이 중 헤드 저면(12)의 좌우방향 경사각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Dn은 버튼(31)이 n번째 눌렸을 때의 타면(11)을 기준으로 하는 퍼팅 방향을 의미한다. 즉, Dn은 버튼(31)이 눌릴 때마다 측정된 지면의 좌우방향 경사각의 합계로 연산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부(50)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해 연산된 출력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정보는 퍼팅 거리 및 퍼팅 방향일 수 있다. 퍼팅 거리 및 퍼팅 방향은 심볼 및 숫자로 출력될 수 있다. 심볼은 화살표, 게이지 등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도 6(a)의 화살표는 퍼팅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숫자는 퍼팅 거리일 수 있다. 화살표의 칸 하나는 대략 2m의 퍼팅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퍼팅 거리가 9.9m인 경우, 화살표의 칸 5개가 특정한 색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심볼 및 숫자를 통해 퍼팅 거리 및 퍼팅 방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헤드 타면(11)을 퍼팅 방향에 일치시킨 다음 퍼팅 거리를 참고하여 퍼팅 스트로크를 할 수 있다.
측정센서(40)는 헤드(10)의 회전을 감지하고, 제어부(90)는 화면에 출력된 영상을 헤드(1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헤드(10)가 회전하더라도 화면에 출력된 화살표는 동일한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부(50)는, 충격감지센서(60)가 타면(11)의 충격을 감지한 순간의 헤드(10)의 운동방향(점선 화살표)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퍼팅 스트로크의 방향과 타면(11)의 법선방향 간 일치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부(50)는, 충격감지센서(60)가 타면(11)의 충격을 감지한 순간의 헤드(10)의 속도(및 가속도)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리별 퍼팅 스트로크의 속도(및 가속도)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측정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퍼팅 거리 및 퍼팅 방향을 연산하고, 헤드에 결합된 영상출력부가 퍼팅 거리를 표시함으로써, 퍼팅 그린에서 퍼팅 연습을 할 때 그린 주변 경사도를 읽는 법을 익히고, 거리감 및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 퍼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 퍼터
10 : 헤드 40 : 측정센서
11 : 타면 50 : 영상출력부
12 : 저면 60 : 충격감지센서
20 : 샤프트 70 : 음성출력부
30 : 그립 80 : GPS
31 : 버튼 90 : 제어부

Claims (5)

  1. 타면과 직각을 이루는 저면을 형성하는 헤드;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버튼이 형성된 그립;
    상기 버튼이 인터벌을 두고 눌릴 때마다 지면에 안착된 상기 저면의 고도를 측정하고, 상기 인터벌 동안 발걸음 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
    상기 헤드에 결합되고, 퍼팅 거리를 표시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아래 수식에 의해 상기 퍼팅 거리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Figure pat00005

    여기서, L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의 타면을 기준으로 하는 퍼팅 거리이고, x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까지 총 발걸음 수이고, ω는 보폭을 의미하는 상수이고, α는 고도차의 가중치를 의미하는 상수이고, H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 타면의 고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퍼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버튼이 인터벌을 두고 눌릴 때마다 지면에 안착된 상기 저면의 경사각을 측정하고,
    상기 영상출력부는 퍼팅 방향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아래 수식에 의해 상기 퍼팅 방향을 연산하고,
    Figure pat00006

    여기서, D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의 타면을 기준으로 하는 퍼팅 방향이고, Φn은 버튼이 n번째 눌렸을 때 저면의 좌우방향 경사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퍼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헤드의 운동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헤드에 충격감지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상기 타면의 충격을 감지한 순간의 상기 헤드의 운동방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퍼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헤드의 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헤드에 충격감지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상기 타면의 충격을 감지한 순간의 상기 헤드의 속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퍼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또는 상기 그립에 음성출력부가 결합되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퍼팅 방향 및 상기 퍼팅 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퍼터.
KR1020200135958A 2020-10-20 2020-10-20 스마트 퍼터 KR102446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58A KR102446359B1 (ko) 2020-10-20 2020-10-20 스마트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58A KR102446359B1 (ko) 2020-10-20 2020-10-20 스마트 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057A true KR20220052057A (ko) 2022-04-27
KR102446359B1 KR102446359B1 (ko) 2022-09-21

Family

ID=8139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958A KR102446359B1 (ko) 2020-10-20 2020-10-20 스마트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3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360A (ko) 2005-09-09 2007-03-14 오화영 골프퍼팅연습장치
KR20080069052A (ko) * 2007-01-22 2008-07-25 이만우 퍼팅 정보 표시 장치
KR20140043995A (ko) * 2012-10-04 2014-04-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 퍼팅 거리를 평지거리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360A (ko) 2005-09-09 2007-03-14 오화영 골프퍼팅연습장치
KR20080069052A (ko) * 2007-01-22 2008-07-25 이만우 퍼팅 정보 표시 장치
KR20140043995A (ko) * 2012-10-04 2014-04-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 퍼팅 거리를 평지거리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359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34B1 (ko) 디지털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거리 측정시스템
US4898389A (en) Impact indicating golf training device
US4991850A (en) Golf swing evaluation system
US6890273B1 (en) Golf putt-line variance determining system
KR20180049023A (ko) 시계 케이스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6004A (ko) 퍼팅정보 제공기능을 갖춘 디지털 볼 마커
US9022877B2 (en) Putting stroke training system
KR20060125447A (ko) 골프 스윙 진단장치
US20160317896A1 (en) Electronic Personal Golf Training System
US7419438B2 (en) Putter with a distance measurement mechanism
US10603567B2 (en) Alignment aid for a golfer
US8435130B2 (en) Digital inertially responsive golf club head mounted device for instructing correct club face direction and swing speed
KR101415149B1 (ko)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을 위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
US20180028865A1 (en) Height Target Scoring Device
KR101883104B1 (ko) 거리측정이 가능한 볼마커
KR102446359B1 (ko) 스마트 퍼터
KR100780397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CN114072210B (zh) 用于高尔夫球推杆的数字方向指示装置
KR20180048701A (ko) 시계 케이스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1599408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KR20110006809U (ko)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골프 에이밍 장치
KR100871675B1 (ko) 퍼팅 연습기
KR102475413B1 (ko) 골프채 충격 수치 측정 장치
JP2011156305A (ja) パッティングアシストシステム
US20240024735A1 (en) Treadmill with Running Form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