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036A -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036A
KR20220052036A KR1020200135901A KR20200135901A KR20220052036A KR 20220052036 A KR20220052036 A KR 20220052036A KR 1020200135901 A KR1020200135901 A KR 1020200135901A KR 20200135901 A KR20200135901 A KR 20200135901A KR 20220052036 A KR20220052036 A KR 2022005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hydrant
failure notification
notification syste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홍렬
Original Assignee
한홍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홍렬 filed Critical 한홍렬
Priority to KR102020013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036A/ko
Publication of KR2022005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가 열감지를 하면 제어부에서 감지 제어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하여 분사구로 물 + 불연가스를 분사하는 방식과 스피로 음향(소리 또는 음성)이 발생되며 비상 버튼의 작동을 인지하고 소화전이 작동하고 이를 소방서에 통지하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Fire hydrant operation and failure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가 열감지를 하면 제어부에서 감지 제어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하여 분사구로 물 + 불연가스를 분사하는 방식과 스피로 음향(소리 또는 음성)이 발생되며 비상 버튼의 작동을 인지하고 소화전이 작동하고 이를 소방서에 통지하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층마다 소화전이 구비되어 있는데 어느 특정층에 불씨 또는 불이 발화됨을 인지하면 소화전이 작동하여 진화한다
평소에 불로 인하여 많은 재산과 사람이 불로 인하여 희생당하기 때문에 희생과 재물이 피해를 최소화 내지 아예 그러한 재산의 손해와 희생을 전혀 안생기게 막을수 없을까 이러한 고민을 해오다가 이것을 불이 태동에서부터 자라지 못하도록 막을수가 없을까 하고 지난번에 특허 등록한 천장형 소화기를 모티브로 하여 새롭게 개선하여 다시 한번 도전 하여 지금의 시대에 맞게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모든 것을 감독하고 사람이 어느 부문을 손댓는가를 알고 이제는 소화전을 인간 보다 더 정확하게 본채의 소화전의 기능을 완전하게 수행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하여 모든 전자기기와 실험을 거처 실용화하였다.
즉 불이 어느 정도 형성이 이루어 진 다음 기계가 직접 불을 소화 하는 기능도 없이 순전히 사람에 의해 불을 끄는 방식이 아닌 기계가 불의 태동에서부터 감지하여 진압하게 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센서가 열감지를 하면 제어부에서 감지 제어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하여 분사구로 물 + 불연가스를 분사하는 방식과 비상버튼의 구조가 불을 발견한 발견자가 유리판을 가압하면 적외선센서 지나서 더 깊게 가압하면 두 번째 유리판이 가압되고 최후로 버튼이 눌러진다고 하며 이때 스피커로 음향(소리 또는 음성)이 발생되며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에 비상 버튼의 작동을 인지하고 소화전이 작동하고 이를 소방서에 통지하며, 비상 버튼을 상기 구조로 어린이들의 장난을 방지할 수 있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정에서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 상기 열감지기에 의해 열이 감지되면 물을 분사하는 헤드; 물과 불연가스를 분사 하고 감지기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감지 하여 신호를 보내 오면 단속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었다 닫았다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으로 조작, 연동 컨트롤, 통지가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각각 제어가 가능한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 중 주 배관에 수압이 일정치 이상 되면 주 배관에 부담을 주지 않고 물을 다시 되돌아올 수 있는 탱크를 설치하여 물이 메인 배관 부담을 주는 일이 없도록 즉시 회수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가 유증기 및 가스와 불까지 복수개의 센서와 연결되어, 각 센서 중 하나의 센서가 감지되어도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고 가스가 뿌려지도록 작동된다.
상기 헤드 하나 하나 마다 온도 즉 비 접촉 감지기가 부여 되고 각각 개별로 동작이 되어 전자 기기 마다 자가진단 하는 회로가 동작하므로 이것을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개별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비접촉 온도 감지기 동작 여부와 위치해 있는 주소까지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수집 보관한다.
상기 제어부는 U.P.S를 이용하여 모터를 가동할 전력을 공급하고 정기적으로 가동하여 소화전의 기능에 이상여부를 체크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사람이 일일이 점검 하지 않아도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가 스스로가능하며 24시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시간 내에 수리 및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총 책임자의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가 부저가 울려 최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식으로 개선하여 이제는 소방관들익 수고를 덜어 주고 그 업무를 다른곳으로 돌려 그 어려운 불 끄는 수고를 하지 않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식이 아닌 전자식으로 완전히 개선하여 불필요한 여러 종류의 밸브나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유증기나 가스가 노출되서 폭발의 위험성을 완전하게 제거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부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엠프 회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엠프(스피커) 회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화전에 대한 상황을 감시하면서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고장을 알려주며, 천정에서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 상기 열감지기에 의해 열이 감지되면 물을 분사하는 헤드; 물과 불연가스를 분사 하고 감지기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감지 하여 신호를 보내 오면 단속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었다 닫았다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으로 조작, 연동 컨트롤, 통지가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각각 제어가 가능한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 중 주 배관에 수압이 일정치 이상 되면 주 배관에 부담을 주지 않고 물을 다시 되돌아올 수 있는 탱크를 설치하여 물이 메인 배관 부담을 주는 일이 없도록 즉시 회수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가 유증기 및 가스와 화재까지 검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와 연결되어, 각 센서 중 하나의 센서가 감지되어도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고 가스가 뿌려지도록 작동된다.
상기 헤드 하나 하나 마다 온도에 대한 비 접촉 감지기가 부여 되고 각각 개별로 동작이 되어 전자 기기 마다 자가진단 하는 회로가 동작하므로 이것을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개별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비접촉 온도 감지기 동작 여부와 위치해 있는 주소까지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수집 보관한다.
상기 제어부의 전자 회로에 연결된 비상 버튼(40)을 통해 앰프 기능을 활성화하여 외부로 배선된 스피커(10)로 특정 음성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전자 회로에 적외선 센서(30)가 연결되어 센서의 온/오프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U.P.S를 이용하여 모터를 가동할 전력을 공급하고 정기적으로 가동하여 소화전의 기능에 이상여부를 체크한다.
물 분사 헤드와 콘트롤부
소화전에 부착된 열 감지기(1)의 사정거리는 약 5~6M이다.
이 거리가 최소의 거리이고 이것을 가장 이상적인 것은 약 12~15M 감지 거리가 바람직하다. 이 감지 거리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 PCB 기판(20)으로 이루어진 제어부(2)는 소화전을 지배하는 회로가 형성되며, 각 제어에 의해 물과 불연가스를 분사 하고 감지기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감지 하여 신호를 보내 오면 단속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었다 닫았다 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5초 동안 솔레노이드밸브를 열리고 5초 후에는 2초 동안 쉰다. 그 이유 다음과 같다 물을 분사하는 헤드가 2초 동안 멈출 때 감지기가 열이 감지 되지 않으면 거기에서 멈춤다. 그리고 또 다시 열이 감지가 되면 밸브를 열어 또 5초동안 물을 분사하고 또 다시 2초 멈춘다.
이렇게 반복적으로 동작을 하다가 4번째 부터는 소방서와 자체 방송이 되어 건물안 있는 사람들 전부 소개하고 그리고 위에서 감지 "거리가 5~6M 라고 했는데 지금까지의 상식으로는 전체적으로 건물안에 물이 분사 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나는 이것을 분사구 하나 하나가 따로 콘트롤 되도록 해서 지금까지 사용한 스프링 쿨러와 전혀 다른 동작을 한다.
이 때 가장 핵심은 물의 수압이 향상 일정하게 유지 하게 제어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 한 것처럼 동작이 되는데 4번째 동작부터는 감지기 겉 온도가 200도 이하가 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물이 분사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3)의 규격은 DC24V 용이고 구경은 8MM이다
물을 분사하는 헤드(4)의 구경은 8MM인데 이것은 솔레노이드밸브 구경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물을 공급하는 배관(5)의 구경은 15MM인데 이것도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경과 분사구의 수량에 따라 구경이 다르게 산정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은 천장에 배관과 인테리어 한 천정의 거리를 조절하여 그길에 따라 조절하여 물 분사구가 튀어 나오지 않게 시공한다.
리모트 선은 개인주택은 각 세대별로 1가닥 써 나오게 되는데 이선은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와 앰프와 소방서로 연결하는 전압 24V가 되는 전선을 말한 것이다.
그리고 빌딩이나 A.P.T 는 각 층 마다 단자함에 연결되어 방재반으로 연결한다.
거기에서 위에서의 모든 것과 연결 될 때는 이렇게 설계한 것은 자료 사용 중인 S.W는 어린이나 또한 악의적으로 누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설계하였다.
연결 될 때는 어느 동 몇 번지가 자동으로 디지털 녹음된 것을 방송이 된다. 여기서 A.P.T와 빌딩은 어느동 몇 번지와 몇층인지를 A.P.T의 경우는 어느동 무슨 A.P.T 몇층인지를 자동녹음 된 것이 지금처럼 전화가 아닌 앰프로 소방서 경내로 방송이 된다.
위에서 설명 한 것처럼 단속적으로 동작하다가 0초 이내에 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 모든 기능이 자동으로 멈춤으로 소방서에서 출동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감지기에서 보내오는 신호에 따라 물분사가 이루어 진다.
단 분사량은 스프링 쿨러 헤드에서 뿌려지는 물보다 50%이상 증가 하여 뿌려진다 그렇게 되므로 스프링 쿨러처럼 전체적으로 뿌려지는 방식이 아닌 분사구 1개마다 열 감지기가 달려 콘트롤 된다.
전기단자함과 수도관 점검함 설치 부분과 위치
가장 잘보이는 곳에 위치하여 이곳에 설치 함 있어서 비상 S.W박스와 같이 설치한다. 여기에서 비상구의 전원도 공급해야 되므로 설치 위치를 수백M 앞에서도 잘 보이게 비상등 까지 함께 설치한다.
그리고 메인 전선은 4.0S.Q로 반듯이 배선해 비록 DC24V 이고 전류는 수 암페어로 되어 있어서 자칫 4.0S.Q로 설치하지 않게되면 A.P.T의 경우 고층에서 맨윗쪽에 층은 전류 부족으로 동작이 어려움이 발생 할수 있다.
비상 S.W 는 1차로 누르면 적외선 센서(30)가 동작하여 멘트가 나오는데 멘트의 내용은 비상 사이렌이 약 3~5분정도 울린다.
연결되는 시간은 열감지기에서 신호가 들어는 시간부터 20초후에 소방서에 전달된다.
인입 수도 밸브
이것은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다. 다소 생소한 사실일 것이다. 이것을 이렇게 소중하게 다루어 준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이다.
먼저 지금 까지는 수도 밸브가 각층마다 필요가 없으나 본 발명에는 꼭 필요한 일종의 중요한 부속이다. 핸들식 수도 밸브이다.
핸들식 수도 밸브로 기준을 삼은 것은 적외선 센서(30)가 수도 밸브가 제대로 열려 있는지를 감시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동작의 계통을 보면 먼저 수도 밸브가 제대로 열리지 않고 수도관 연결부분과 수도밸브가 관리하는 배관(5) 확인창에 시건 장치와 실내로 들어가는 수도관과 메인관과 연결하기 전에 배관 관리 하는 창에 시건 장치에 전자 기판(제어부; 20)과 적외선 센서(30)와 연결되어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수도 밸브가 90도로 열리지 않으면 앰프가 동작하여 특정 멘트가 나온다.
비상 사이렌을 울려 시건 장치 까지 완전하게 잘 조작되었을 때 모든게 정상으로 되돌아와 사이렌이 정지된다.
또한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수도 밸브(카메라-위치 센서 감시)가 제 위치에 있지 않으면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에서도 감지하고 또 점검 및 수리 과정을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저장된다.
본 발명은 90도로 열리고 닫히는 수도 밸브를 달아 적외선 센서(30)가 90도로 항상 열려 있지 않으면 경보가 울려 이것을 정확하게 열도록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핸들식 밸브가 어떠한 경우에 이 밸브가 닫혀 있으면 실내의 동작은 무용지물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과 수리 및 점검 시에는 닫고 다시 열어 실내 시설을 정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이다.
매인 배관
먼저 매인 배관의 크기를 설명한다.
일반 개인 주택은 18MM의 배관을 사용하고 빌딩이나 A.P,T의 경우 15층을 기준하고 각층마다 분사구가 100개를 기준으로 하고 거기에 맞추어 배관의 크기를 정했다.
불은 일시에 15층 전체로 다 동작하지 않으며 최대 3층 즉 분사구가 300개가 한꺼번에 동작하는 기준으로 계산 한 것이다.
그리고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 하기 위해서 5층마다 1개씩 채크 밸브를 달고 거기에 수압 밸브를 달아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 하게 한다. 이것은 어디 까지나 가상으로 계산한 것이다.
실용화 단계에서는 매인 수도관의 크기도 달라질수 있다 수압밸브를 다음 이유는 과거에 스프링클러처럼 한꺼번에 분사구 마다 분사하는 구조가 아닌 개별 분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압밸브의 기능은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 하게 전자 회로와 연계 하여 동작을 수압5K가 되도록 맞추어서 설계가 이루어 져야 하고 모터의 동작은 수압4.5K가 되면 자동으로 모터가 가동되어 수압이 항시 5K가 유지 되도록 모터가 가동 되어야 한다.
수압5K 넘으면 압력 계기를 모터에서 적당히 떨어저 설치하여 물이 리버스 하게 설치하여 주 파이프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설치한다.
왜 5층 마다 체크 밸브를 설치 해야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개인 주택은 체크 밸브가 필요 없고 전자로가 수압을 체크 하여 수압을 올려주는 모터와 직결되어 수압 5K가 항시 유지 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빌딩이나 A.P.T는 5층마다 체크 밸브를 달고 거기에 압력 계기를 병행해서 달아 수압이 어느 층에서 압력이 세는지를 알수 있게 한다.
특히 5층마다 체크밸브와 압력계기를 달아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체크 하여 알려준다.
펌프와 모터
U.P.S를 이용하여 모터를 가동할 전력을 공급하여 관리가 편하고 간단하게 밧데리 충전과 방전이 잘되는 것을 확인하여 6개월 마다 정기적으로 가동하여 소화전의 기능에 이상여부를 체크 하므로 관리가 편리하고,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가 관리하여 이상여부를 항상 체크 하므로 사람이 일일이 체크할 필요가 사라지게 된다.
중요한 것은 펌프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모터가 가동될때에 항시 펌핑이 잘되도록 펌프에 물이 항상 차 있도록 체크한다.
또 한가지는 주 배관에 수압 5K이상되면 주 배관에 부담을 주지 않고 물을 다시 되돌아올 수 있는 탱크를 설치하여 물이 메인 배관 부담을 주는 일이 없도록 수압이 5K(kg중)가 되면 회수되도록 파이프를 설치한다.
방제반
방제반은 DC24V를 사용하여 개인 주택이건 빌딩,A.P.T까지 다 사용이 되는데 DC24V이기 때문에 전자기기로 되어 있어서 어떠한 전압도 필요에 따라 전압과 전류를 마음대로 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비상구는 지금까지 사용하던 AC220V가 아닌 DC24V로 되어 있어서 불빛 밝기를 조절이 가능하고 가격도 약 30%싸게 먹힌다. 그
이유는 충전용 밧데리가 필요 없고 거기에 따로 여러 종류의 부품이 사라지고 레귤레이터 500MA 1C 1개와 50MF 50V 짜리 콘덴서를 각각 1개씩만 필요하다. 그래서 가격면과 불빛 밝기도 마음대로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와 체크 밸브 뿐만 아니라 압력 계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불의 크기에 따라 자동 조절이 되고, 물을 뿌리는 헤드 하나 하나 마다 온도 즉 비 접촉 감지기가 부여 되고 각각 개별로 동작이 되어 전자 기기 마다 자가진단 하는 회로가 동작하므로 이것을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개별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비접촉 온도 감지기 동작 여부와 소화전이 위치해 있는 주소까지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전부 수집 DB에 보관하여 조금이라도 이상 동작이 되면 알람과 동시에 수리를 요구하는 메시지가 전파된다.
상기 소화전의 필요한 전류는 각각 건물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선정된다.
본 발명은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의 전류 흐름을 감시하는데 0.5MA 까지 감시하다가 0.5%까지 +-오차를 벗어난 동작이 되면 알람한다.
그리고 물을 뿌리는 헤드에 설치된 전지기기 마다 정보별 동작 여부를 판 가름하는 회로 하나하나의 정보를 모으는 회로를 하나의 회로로 구성하여 모아진 정보를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에 전달한다.
또한 AC전기 감지 기능도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AC전기 감시 기능도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점검하게 여건을 구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의 동작은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가 다 감시 감독한다.
그리고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은 자동으로 물로 불을 제압하다가 20초가 초과하면 일정 정보를 개인 주택 및 빌딩 A.P.T모두 할 것 없이 앰프를 구성해서 정보를 받아 방송을 할 수 있다.
메인앰프와 디지털로 녹음된 내용을 방송이 되게 정보를 구성한 회로에서 신호가 전달되면 바로 방송이 되고 그 정보를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소방서로 바로 전달 되어 소방서 경내에 자동으로 방송이 되어 소방관들이 이 모든 장비를 구성하여 출동할 수 있다.
디지털 녹음 방송 하는 시스템
알람 방법으로 녹음된 신호가 바로 입력되어 방송이 이루어 진다. 또 네트워크로도 연결되어 소방서 서버로 바로 연결되어 방송이 이루어 진다.
덧붙여 시스템에 지진계를 설치하여 소방서로 연결되지 않고 바로 비상 사이렌만 울려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비상 사이렌이 울리면 개인 주택은 반장이 빌딩이나 A.P.T는 관리자의 육성으로 방송하에 피해 여부를 방송하여 알려준다. 단 피해 발견 되지 않고 경미한 지진은 육성 방송을 하지 않는다.
만약에 피해가 발생되면 도면의 다중 리모트앰프 회로도처럼 다중으로 필요한 방송은 각 반장이나 관리실에 있는 다중으로 연결되어 있는 S.W를 눌러 방송하면 된다.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역할
개별 즉 개인 주택은 각 반장이 보관 및 동작 실행이 잘되는지 감독한다.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는 소방서에서 업자에게 수리 및 점검을 요구 할수 있게 입력하여 언제고 위와 같은 점검 및 수리를 요구 할 수 있게 하고, 수리 및 점검 여부도 모든 소화전 설치된 곳에 있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는 소방서에서 6개월 마다 점검하고 또한 정기적으로 6개월 마다 소화전을 점검하여 모든 동작이 잘 되는지를 확인이 필요하다.
이 수리 및 점검 내용도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에 저장되어 나중에 정기 감사에 보고 되도록 구성하였다.
불연 가스와 기타 다른 약품이 뿌려지는 시스템
본 발명은 감지기가 아닌 센서가 대신 하기 때문에 유증기나 가스가 노출되면 먼저 센서가 동작 되어 각 헤드 마다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유증기 및 가스와 불까지 이 세가지의 센서를 하나로 독립하여 감지 할 수 있는 간격을 두어 설치 하여 이 세가지의 센서 중 하나의 센서가 감지하여도 각 헤드 마다 부여 될 전자 기기가 일시에 동작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고 가스가 뿌려져 모든 위험성을 일시 즉 0.3초 내에 어떠한 공간에도 거기에 맞는 양의 불연가스 및 여러 종류의 화재 및 폭발까지 막아주는데 더 중요한 서류 및 문화재를 보호할 수 있다.
각 헤드에 설치 되는 전자기기에 자가 진단하는 회로에 바로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를 연결하여 헤드를 감시 감독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어느 헤드중 하나 만 이상이 생겨도 바로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에서 부저가 울리게 프로그램을 작성해서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가 보관 하도록 한다.
U.P.S
본 발명에 따른 U.P.S 는 정전 대비용 뿐만 아니라 모터 가동도 하는 U.P.S이다.
고성능 밧데리가 필요하며, 3년 정도 사용하여도 교체를 해야 되는데 모터시동시 높은 전류와 수명도 긴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U.P.S 뿐만 아니라 모터 기동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 뿌리는 헤드에서 전자신호와 압력센서가 주는 신호를 다 수용하는 종합적인 U.P.S가 필요하므로 가격면에서 높지만 이렇게 종합적인 U.P.S가 필요하다.
전체적인 전원 장치를 U.P.S와 같이 묶어 주므로 AC전기도 이상여부를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가 판단할 수 있고, 소화전의 모든 전기 뿐만 아니라 기능과 여러 종류의 센서 동작까지도 감시 감독 한다.
보통 U.P.S 배전반 내의 화재를 감지하거나 지진을 감지하여 화재의 경우 송풍팬을 작동시키거나 화재발생시 자동소화장치로 초기 화재진압 및 경보할 수 있고, 지진 감지기능을 적용하여 사전에 부하 차단시키고,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켜 관리자가 도착하기 전 최대한 피해를 막기 위한 과정이 진행된다.
그러나 화재를 온도로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지진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지진 감지부는 U.P.S 배전반 내에서 동시에 부착되어 운용되다 보니, 온도 또는 진동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쳐 오작동될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감지부와 지진 감지부의 신호를 OR 조건(제1 모드), AND 조건(제2 모드)로 나누어 감지하도록 하여 온도 또는 진동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쳐 오작동될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하였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P.S 배전반 내의 화재 감지부로 화재를 감지하거나 또는 지진 감지부로 진동을 감지한 경우 제1 모드를 적용하고, 화재 감지부로 화재를 감지하고 동시에 지진 감지부로 진동을 감지한 경우 제2 모드를 적용한다.
상기 제1 모드(화재 또는 지진 모드)에서는 화재 감지부에서 센싱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고 U.P.S 배전반의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내부에 설치된 소화튜브가 터져 소화를 하며, 제2 모드(화재 및 지진 모드)에서는 지진 감지부로 진동을 감지한 후 지진에 따른 보정 계수를 적용하며 화재 감지부에서 센싱된 온도를 진동에 따른 값에 따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제어한다.
따라서 U.P.S 배전반의 각 센서에 대한 정보를 보정을 통해 추가적인 데이터 가공으로 온도 또는 진동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쳐 오작동될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일 경우와 지진일 경우를 정확히 구분하여 송풍팬을 돌리거나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어 U.P.S 배전반 내의 불필요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일 경우와 지진일 경우를 정확히 구분하고 이를 DB 모듈에 빅데이터화하여 차후 유사한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U.P.S 배전반을 집중 관리하거나 교체하여 미리 화재나 지진에 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감지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할 경우 물과 불연가스를 분사하고 감지기 전원을 U.P.S로 공급하다가, 단속적으로 상기 헤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었다 닫았다 하도록 제어하다가 상기 각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1 : 열 감지기
2 : 제어부
3 : 솔레노이드 밸브
4 : 헤드
5 : 배관
10 : 스피커
20 : PCB 기판
30 : 적외선 센서
40 : 버튼

Claims (6)

  1. 천정에서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기;
    상기 열감지기에 의해 열이 감지되면 물을 분사하는 헤드;
    상기 열감지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할 경우 물과 불연가스를 분사하고 감지기 전원을 U.P.S로 공급하다가, 단속적으로 상기 헤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었다 닫았다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망으로 외부 소방서 서버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 조작 컨트롤, 연동 컨트롤, 및 소방서 통지 컨트롤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에 설치되는 배관;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각각 제어가 가능한 분사구;
    상기 천정에 설치되며 유증기 및 가스와 화재까지 검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사구 중 주 배관에 수압이 일정치 이상 되면 주 배관에 부담을 주지 않고 물을 다시 되돌아올 수 있는 탱크를 설치하여 물이 메인 배관 부담을 주는 일이 없도록 즉시 회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가 각 센서 중 하나의 센서가 감지되어도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고 가스가 뿌려지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전자 회로에 연결된 비상 버튼을 통해 앰프 기능을 활성화하여 외부로 배선된 스피커로 특정 음성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의 전자 회로에 적외선 센서가 연결되어 센서의 온/오프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다 온도 즉 비 접촉 감지기가 부여 되고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개별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비접촉 온도 감지기 동작 여부와 소화기가 위치해 있는 주소까지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를 수집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U.P.S를 이용하여 모터를 가동할 전력을 공급하고 정기적으로 가동하여 소화전의 기능에 이상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KR1020200135901A 2020-10-20 2020-10-20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KR20220052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01A KR20220052036A (ko) 2020-10-20 2020-10-20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01A KR20220052036A (ko) 2020-10-20 2020-10-20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036A true KR20220052036A (ko) 2022-04-27

Family

ID=8139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901A KR20220052036A (ko) 2020-10-20 2020-10-20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20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9199B2 (ja) バルブ一体式スプリンクラー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の早期鎮圧システム
KR101453164B1 (ko)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CN109893818A (zh) 一种基于大数据的火灾自动报警系统
CN114555192A (zh) 可安装在墙壁的喷头单元
CN101485926A (zh) 一种消防烟雾报警与自动喷淋联动系统及其工作方法
CN106345092A (zh) 智能化高层建筑消防监控系统
KR200417542Y1 (ko)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용 화재감지 경보장치
KR101113418B1 (ko) 화재 감시기능을 갖는 건물용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097409B1 (ko) 소방설비의 적정 작동여부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20090080273A (ko) 소방관리용 가스 소화설비 시스템
KR20220052036A (ko) 소화전 작동 및 고장 여부 통지 시스템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KR102060467B1 (ko) 개선된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방법
KR10239597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화재 인명구조 시스템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101524779B1 (ko) 금연구역 소화 시스템
JP3123378U (ja) 防災システム
JP2004290430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100801040B1 (ko) 간이 스프링클러 원격제어 시스템
KR102583896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모의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8824B1 (ko)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KR200194185Y1 (ko) 디지털 소화 시스템
CN210402680U (zh) 一种无线网络火灾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