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995A -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995A
KR20220051995A KR1020200135805A KR20200135805A KR20220051995A KR 20220051995 A KR20220051995 A KR 20220051995A KR 1020200135805 A KR1020200135805 A KR 1020200135805A KR 20200135805 A KR20200135805 A KR 20200135805A KR 20220051995 A KR20220051995 A KR 20220051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filter basket
basket holder
holder cylind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밀라노카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밀라노카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밀라노카페
Priority to KR102020013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995A/ko
Publication of KR2022005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9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within small containers, e.g. within 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25Driving of pistons coacting within one cylinder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에 있어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및 피스톤(4)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및 상기 피스톤(4)은, 주입물 등을 위 한 하나 이상의 캡슐(5)을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내로 또는 그로부터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상 태로부터 분배 상태로 및 그 역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주입 장치는,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상태로부터,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상태와 상기 분배 상태 사이에 포함된 상기 중간 상태로, 또한 그 역으로,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상기 피스톤(4)의 제1 상대적 이동을 위한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3)와 상기 피스톤(4)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수단(16), 및 상기 중간 상태로부터 상기 분배 상 태로 또한 그 역으로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상기 피스톤(4)의 제2 상대적 이동을 위한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상기 피스톤(4)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수단(19)을 더 포함하는,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제조하는 방법 {INFUSION DEVICE FOR INFUSION CAPSULES AND THE LIKE, PARTICULARLY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AND THE LIKE}
본 발명은,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의 분야에서, 주입 캡슐 등과 함께 작용하는 주입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실질적으 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및 피스톤이 결합되는 주 프레임에 의해 구성된다.
더욱 정확하게, 바람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및 피스톤은, 온 수 또는 냉수를 여과하여 바람직한 주입물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캡슐이 삽입되는 리셉터클을 정의한 다.
일반적으로, 캡슐은, 온수 또는 냉수가 여과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양면에서 천공되는 밀봉 폐쇄되 는 용기로 구성되거나, 용기의 내부를 통해 냉수 또는 온수가 여과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양면에 구비되는 입 구 구멍 및 출구 구멍을 가지는 용기로 구성된다.
천공을 필요로 하는 캡슐의 경우에,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및 공급 피스톤은 실제로 중공 천공 팁을 가지 며, 중공 천공 팁은 리셉터클 내에서 캡슐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을 위한 덕트 및 주입 물의 유출을 위한 주입 장치의 배출 덕트에 연결된다.
실제로, 캡슐이 대응 리셉터클 내에 삽입되면, 캡슐의 천공은, 천공 팁이 캡슐 내로 밀리도록,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및 피스톤을 함께 이동시키고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및 피스톤을 상호 클램핑함으로써 발생된 다.
이러한 천공은 조정된 레버 시스템의 존재로 인해 가능하게 되며, 레버 시스템은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또 는 피스톤 또는 둘 다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작동 레버에 의해 오퍼레이 터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작동 레버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샹대적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자동화하 기 위해, 예를 들면 전기 형식의 모터 수단에 의해 대치될 수 있다.
더욱 정확하게, 레버 시스템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가에 무관하게, 단일 이동에 의해 2개의 부재 즉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및 피스톤를 서로에 대해 가까이 이동시키고, 이론상 천공을 위해 필요한 스러스트 를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이들 이동은, 주입 장치에 이미 물 통과 구멍이 구비되기 때문에, 온수 또는 냉수를 여과하여 바 람직한 주입물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캡슐을 천공하지 않는 주입 장치에서도 일어난다.
이들 공지된 형태의 주입 장치는, 천공되어야 하는 캡슐을 사용할 때 및 천공되지 않는 캡슐을 사용할 때, 오 퍼레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스러스트는 오퍼레이터에게 불편한 노력을 요구할 수 있다는 단점을 필할 수 없다.
더욱이, 천공되어야 할 캡슐이 사용되면, 그러한 캡슐을 이루는 재료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와 공급 피 스톤의 간단한 상호 접근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스러스트보다 훨씬 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상호 스러스트를 필요로 하는 천공에 대한 저항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표는, 오퍼레이터 측의 과도한 물리적 노력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와 피 스톤의 상호 접근 및 필요시에는 주입 캡슐의 천공을 가능하게 하는,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유연하고 제어된 상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뢰성이 높고 제공하기에 비교적 간단하며 경쟁적 가격을 가진 주입 장치를 제공하 는 것이다.
이하에서 더 명백하게 될 이러한 목표, 및 이들 및 다른 목적은,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에 있어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및 상기 피스톤은, 주입물 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캡슐을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 내로 또는 그 로부터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상태로부터 분배 상태로 및 그 역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주입 장치는,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상태로부터,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상태와 상기 분배 상태 사이에 포함된 상기 중간 상태로, 또한 그 역으로,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의 제1 상대적 이동을 위해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수단, 및 상기 중간 상태 로부터 상기 분배 상태로 또한 그 역으로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의 제2 상대적 이동을 위해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수단을 포함하는, 주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비제한적 예로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에스프레소 커 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의 바람직하지만 비배타적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로딩 및 언로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로딩 및 언로딩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3은, 중간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분배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6은, 로딩 및 언로딩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로서, 특히 캡슐이 로딩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체로 도면 부호 1로 표시된,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는, 주입 장치(1)가 설치되는 에스프레소 머신 등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2), 주입 등을 위 해 하나 이상의 캡슐(5)을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상태로부터 분배 상태로 서로에 대해 또한 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및 피스톤(4)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듯이, 로딩 및 언로딩 상태라는 표현은 주입 장치(1)로부터 캡슐(5)의 수동 또는 자동 삽입 또는 퇴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및 피스톤(4)이 배치되는 주입 장치 (1)의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분배 상태"라는 표현은, 캡슐(5)을 통한 온수 또는 냉수를 여과하 고 필요한 주입을 얻기 위한 위치로 서로에 대해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피스톤(4), 및 캡슐(5)이 배치 되는 주입 장치(1)의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더 정확하게,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2)에 조인 트 식으로 결합되며, 피스톤(4)은 소정 미끄럼 방향(6)을 따라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4)은, 실질적으로, 미끄럼 방향(6)을 따라 고정 프레임(2)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지지 부재(7)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디스크형 몸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피스톤(4)은,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 피스톤(4)과 피스톤 지지 부재(7) 사이에 삽입되는 2개의 나 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수단(22)에 의해 피스톤 지지 부재(7)의 맞대기 면(8)에 대해 맞대기 위치에 유 지된다.
다르게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는 용기 몸체로 구성되고, 용기 몸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하나 이 상의 리셉터클(10)을 정의하며, 리셉터클(10)은,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및 피스톤(4)이 주입 장치(1)를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상태에 배치될 때, 캡슐(5)을 포함할 수 있고, 리셉터클(10) 내로 또는 리셉터클 (10)로부터 캡슐(5)을 삽입 및 퇴출하기 위해 피스톤(4)을 향하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의 면(11)에서 개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0)은, 개방 면(11)이 실질적으로 소정 미끄럼 방향(6)에 대해 직각으로 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스톤(4)은, 면(11)에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를 향해 면(11)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 함으로써, 캡슐(5)을 포함하는 리셉터클(10)을 폐쇄시킨다.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피스톤(4), 및 캡슐(5)의 이러한 배치는 주입 장치(1)의 분배 상태를 정의한다.
리셉터클(10)로부터 캡슐(5)의 퇴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리셉터클의 바닥에 예를 들면 배척 스프링 (9)이 있고, 캡슐(5)은,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의 면(11)에 기대는 반경 방향 돌출 림(5a)을 가진다.
캡슐(5)의 천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리셉터클(10)을 향한 쪽에서 피스톤(4)과 결합되는 캡슐(5)을 위한 제 1 중공 천공 팁(12)이 구비된다.
더 정확하게, 이들 제1 중공 천공 팁(12)은, 피스톤(4)이 캡슐(5)의 방향으로 분배 상태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10)을 향한 쪽에서 즉 리셉터클(10) 내에서 피스톤(4)의 외부로 연장되며, 결과적으로 주 입물을 발생시키기 위해 그러한 온수 또는 냉수를 캡슐(5) 내로 주입하기 위해,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13)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리셉터클(10)의 개방 면(11)에 대해 반대쪽에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결합되는 캡슐(5)을 천공하기 위한 제2 중공 팁(14)이 구비된다.
더 정확하게, 제2 중공 천공 팁(14)은 캡슐(5)의 방향으로 리셉터클(10) 내로 연장되고, 캡슐(5)로부터의 주 입물의 유출을 위해 주입물을 배출하기 위한 덕트(15)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피스톤(4) 중의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수단(16)이, 로딩 및 언로딩 상태로부터, 로딩 및 언로딩 상태와 분배 상태 사이에 포함되는 중간 상태로, 또 한 그 역으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피스톤(4) 중의 하나 이상의 제1 상대적 이동을 위해 구비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이동 수단(16)은 수동으로 작동되고, 고정 프레임(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퍼레이 터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작동 레버(17)를 포함한다. 작동 레버(17)는, 서로에 대해 피봇팅 되고 작동 레버 (17)의 회전 이동을 피스톤 지지 부재(7)의 병진 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복수의 레버에 의해 구성되는 피 스톤 지지 부재(7)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딩 및 언로딩 상태와 중간 상태 사이의 제1 상대적 이동이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도 7에 도시된 주입 장치(1)의 자동화 변경 실시예에서, 제1 이동 수단(16)은 자동으로 작동되며, 로딩 및 언로딩 상태와 중간 상태 사이의 제1 상대적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 레버(17)와 레버 시스템(18)을 대치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2)에 결합되고 피스톤 지지 부재(7)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예를 들면 전기식의 모터 수단(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피스톤(4) 중의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 수단(19)이, 상술한 중간 상태로부터 분배 상태로 또한 그 역으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피스톤(4) 중의 하나 이상의 제2 상대적 이동을 위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제2 이동 수단(19)은, 피스톤(4)과 맞대기 면(8) 사이에 삽입되는 팽창 챔버(20)를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 팽창 챔버(20)는, 예를 들면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수단(22)의 작용에 대항하여 피스톤 지지 부재(7)에 대한 피스톤(4)의 상대적 이동,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피스톤(4) 사이의 상대 적 이동의 완료, 제1 및 제2 중공 천공 팁(12, 14)에 의한 캡슐(5)의 천공의 후속적 완료, 및 분배 상태로의 상기 컴포넌트들의 배치를 위해, 하나 이상의 통로 채널(21)을 통해 압력 하에 주입되는 추진 유체, 예를 들 면 냉수 또는 가스로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변경 실시예에서,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피스톤(4) 사이의 이동은 역으로 될 수 있 다. 이러한 경우에, 피스톤(4)은 고정 프레임(2)과 조인트 가능하게 결합되고,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는 제1 및 제2 이동 수단(16, 19)에 의해 미끄럼 방향(6)을 따라 피스톤(4)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1)의 작동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 다.
특히, 캡슐(5)이 채택된 리셉터클(10) 내로 일단 로딩되면, 제1 이동 수단(16)에 작용함으로써, 즉 작동 레버 (17)에 수동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또는 모터 수단(30)이 구비된 경우에는 모터 수단(30)을 작동시킴으로써, 피스톤 지지 부재(7) 및 따라서 피스톤(4)을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를 향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접근법은 중공 천공 팁(12, 14)을 갭슐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으면서 캡슐(5)의 벽과 접촉하도록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2 이동 수단(19)에 의해,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로의 피스톤(4)의 접근을 완료하여, 온수 또 는 냉수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여 주입물을 얻기 위해, 중공 천공 팁(12, 14)에 의한 캡슐(5)의 완전한 천공을 수행하고, 리셉터클(10)을 피스톤(4) 자체에 의해 밀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중공 천공 팁(12, 14)이 캡슐(5) 내로 완전히 관통하게 하기 위해, 탄성 수단(22)의 저항 및 캡슐(5)이 이루어진 재료의 천공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추진을 발생시키는 충전 유체로 팽창 챔버 (20)를 충전하는 것으로 인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전 천공된 형태의 캡슐(5)을 사용하면, 갭슐의 구멍은, 주입물을 발생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캡슐(5) 내로의 물의 주입을 위한 물 공급 덕트(13), 및 하나 이상의 캡슐(5)로부터의 주입물의 유출을 위한 주입물의 배출 덕트(15)에, 작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는, 사전 천공 된 형태의 캡슐을 사용할 때 및 천공되어야 할 캡슐을 사용할 때, 오퍼레이터가 특히 귀찮은 작동을 수행하도 록 강요하지 않으면서, 자동적인 방식으로 로딩 및 언로딩 상태로부터의 분배 상태로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의도한 목표 및 목적을 완전히 달성하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의 다른 이점은, 공지된 형태의 주입 장치보다 작은 공간을 점유한다는 것이다.
사전 천공된 형태가 아닌 캡슐이 사용되면, 오퍼레이터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와 피스톤이 서로에 대해 더 가까이 이동하게 하여 천공 팁이 캡슐 내로 관통하게 하기 위해 특히 강한 스러스트를 인가할 필요가 없고, 또한, 작용 레버 또는 모터 수단의 회전 이동을 공급 피스톤의 병진 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레버 시스템은 상기 높은 스러스트를 전달 및 증폭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러한 수단은 짧은 레버를 사용할 수 있어, 주입 장치의 대체적인 공간 점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공지된 형태의 주입 장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주입 장치가 구 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경쟁력을 가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는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은 모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다.
모든 상세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균등한 부재로 더욱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특정한 용도에 적합한 한 사용된 재료, 관련 형상 및 크기는 요구사항 및 기술 상태에 따라 어떤 것 도 될 수 있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이탈리아 특허 출원 번호 MI2009A001770의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 함된다.
청구범위에서 언급된 기술적 면모에 도면 부호가 뒤따를 경우에, 그러한 도면 부호는 청구범위의 이해도를 증 가시키는 유일한 목적을 위해 포함되었고, 따라서, 그러한 도면 부호는 그러한 도면 부호에 의해 예로서 표시 된 각각의 부재의 해석에 어떠한 제한하는 효과도 가지지 않는다.

Claims (4)

  1.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에 있어서,

    주입물 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캡슐(5)을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내로 또는 그로부터 로딩 및 언로딩하 기 위한 상태로부터 분배 상태로, 또한 그 역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및 피스톤(4),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상태로부터,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상태와 상기 분배 상태 사이에 포함된 중간 상태로, 또한 그 역으로,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상기 피스톤(4)의 제1 상대적 이동을 위해 상기 필터 바 스켓 홀더 실린더(3)와 상기 피스톤(4)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수단(16), 및

    상기 중간 상태로부터 상기 분배 상태로 또한 그 역으로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상기 피스톤(4) 의 제2 상대적 이동을 위해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상기 피스톤(4)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수단(19)

    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4)은, 고정 프레임(2)과 결합된 피스톤 지지 부재(7)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피스톤 지지 부재(7)의 맞대기 면(8)에 대해 맞대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제2 이동 수단(19)은, 상기 피스톤(4)과 상기 맞대기 면(8) 사이에 삽입된 팽창 챔버(20)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챔버(20)는, 상기 탄성 수단(22)의 작용에 대항하여 상기 피스톤 지지 부재(7)에 대한 상기 피스톤 (4)의 상대적 이동을 위해 하나 이상의 통로 채널(21)을 통해 압력 하에 주입되는 푸셔 유체(pusher fluid)로 채워질 수 있는,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캡슐(5)의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10)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10)은 실질적으로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상 태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리셉터클(10) 내로 또한 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캡슐(5)의 삽입 및 퇴출을 위해 상기 피스톤(4)을 향하는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의 면(11)에서 개방되어 있는,

    주입 장치.
  3. 제1항 및 제2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캡슐(5)을 천공하기 위한 제1 중공 팁(1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공 팁(12)은 상기 피스톤(4)과 결합되어 있고, 물을 하나 이상의 상기 캡슐(5) 내로 주입하여 주 입물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 공급 덕트(1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공 천공 팁(12)은, 하나 이상의 상기 리셉터클(10)을 향하는 측에서 상기 피스톤(4) 밖으로 돌출 되어 있는,

    주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캡슐(5)을 천공하기 위한 제2 중공 팁(14)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공 팁(14)은 상기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와 결합되어 있고, 주입물을 하나 이상의 상기 캡슐 (5)로부터 유출시키기 위한 주입물의 배출 덕트(1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중공 천공 팁(14)은, 하나 이상의 상기 캡슐(5)의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리셉터클(10) 내로 돌 출되어 있는,

    주입 장치.
KR1020200135805A 2020-10-20 2020-10-20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제조하는 방법 KR20220051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805A KR20220051995A (ko) 2020-10-20 2020-10-20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805A KR20220051995A (ko) 2020-10-20 2020-10-20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995A true KR20220051995A (ko) 2022-04-27

Family

ID=8139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805A KR20220051995A (ko) 2020-10-20 2020-10-20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19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121B1 (ko)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
AU2012298547B2 (en) Cartridge chamber of extraction system
CA2843543C (en) Cartridge positioning system
EP2747608B1 (en) Long-lasting cartridge piercer
US8770095B2 (en) Infusion device to prepare beverages form single-serving capsules with capsule centering device
EP2747610B1 (en) Cartridge removal system
RU2533111C2 (ru) Заварочный модуль для напитков с системой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запирания
US11439269B2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single-serve capsule
KR20220051995A (ko) 에스프레소 커피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제조하는 방법
CN109008633B (zh) 饮品冲泡机及其萃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