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658A - Pile conn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Pile conn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658A
KR20220051658A KR1020200135320A KR20200135320A KR20220051658A KR 20220051658 A KR20220051658 A KR 20220051658A KR 1020200135320 A KR1020200135320 A KR 1020200135320A KR 20200135320 A KR20200135320 A KR 20200135320A KR 20220051658 A KR20220051658 A KR 2022005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lifting
main shaft
lifting devic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7138B1 (en
Inventor
김형민
Original Assignee
김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민 filed Critical 김형민
Priority to KR102020013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138B1/en
Publication of KR2022005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1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54Internally-expanding grippers for handling hollow articles
    • B66C1/56Internally-expanding grippers for handling hollow articles for handling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9/00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 C22C29/02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carbides or carbonitrides
    • C22C29/06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carbides or carbonitrides based on carbides, but not containing other metal compounds
    • C22C29/08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carbides or carbonitrides based on carbides, but not containing other metal compounds based on tungsten carb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lifting device (100), which is lower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a pile, thereby enabling the pile to normally and safely be lowered in a balanced manner during lifting. The pile lifting device comprises: a main shaft (140) having an upper portion with a fixed ring (141) for holding on a lift, and having a vertically long installed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shafts (150) installed close to the main shaft (140), having fixed rings (151) for holding on the lift, and for guiding the main shaft (140); and a lifting extension means (200) installed on the main shaft (140) and the auxiliary shafts (150) to lift the pil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pile by a spreading forc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lift.

Description

파일 인양장치{PILE CONNECTING DEVICE}File lifting device {PIL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파일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양장치를 파일 내부 벽면에 밀착시켜 하강시킴으로써, 파일이 인양 중 균형있게 정상적으로 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일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lifting devic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lifting device that allows the pile to be lowered safely and in a balanced manner during lifting by lowering the lifting devi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le.

일반적으로 토목 기초공사 단계에서는 지면에 여러 개의 파일을 박아서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파일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파일 시공을 위해서는 파일을 목적하는 위치에 인양하여야 하며, 파일을 인양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과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the civil engineering foundation construction stage, pile construction that can support a structure or a building by driving several piles into the ground is made. In order to construct such a pile, it is necessary to lift the pile to a desired location, and various methods and various devices are used to lift the pile.

종래의 파일 인양 방법을 살펴보면, 파일의 상단이 지면에서 노출되는 경우에는 파일의 상단에 인양 러그를 활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파일의 상단에 인양 러그를 설치하고, 인양기를 통해 파일을 인양한 후, 인양 러그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파일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일의 상단이 지면에 노출되어 있으면, 인양 러그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인양 러그를 통해 파일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pile lifting method, when the top of the pile is exposed from the ground, a method of utilizing a lifting lug at the top of the pile was used.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lift the file by installing a lifting lug at the top of the file, lifting the file through a lifting machine, and then separating the lifting lug. As such, when the upper end of the pile is exposed to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lift the pile through the lifting lug because it is easy to install and separate the lifting lug.

그러나 지면으로 파일의 상단이 노출되지 않고, 지중으로 파일을 시공할 경우에는 인양 러그를 사용하여 파일을 인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지중으로 파일을 인양할 때는 공삭공이라는 인양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공삭공이랑 파일이 지하로 떨어지는 거리를 말한다. 가령, 천공홀의 깊이가 40m이고, 파일의 길이가 30m라면, 파일은 천공홀의 바닥에 도달하기 위해 10m 지하로 떨어져야 하며, 공삭공은 10m가 된다. 일반적인 공삭공은 1 내지 10m이며, 길게는 15m의 공삭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However, when the top of the pile is not exposed to the ground and the pile is constructed undergrou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lift the pile using a lifting lug. When lifting the pile underground, a lifting method called a workman is used, which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man and the pile to fall underground. For example, if the depth of the drilling hole is 40m and the length of the pile is 30m, the pile must fall 10m underground to reach the bottom of the drilling hole, and the drilling hole is 10m. The general drilling hole is 1 to 10m, and there are cases where a 15m long drilling hole is formed.

공삭공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일의 상단이 지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양 러그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method of workmanship, since the upper end of the pile is not exposed to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lifting lug.

파일이 천공홀 내부로 들어가면, 파일에 결합되어 있는 인양 러그를 천공홀 내부에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파일의 천공홀 내부에 있을 경우에는 인양 러그를 사용하기 어렵게 되며, 이경우에는 홀치기 방법이 사용된다.When the pile enters the drilling hole, there is no way to separate the lifting lug attached to the pile from the inside of the drilling hole. method is used

홀치기 방법은 파일의 상단에 와이어를 올가미 형식으로 묶은 다음, 와이어를 인양기에 연결하여 파일을 인양한다. In the tie-in method, the wire is tied at the top of the file in a noose type, and then the file is lifted by connecting the wire to a lifting machine.

파일이 원하는 위치에 인양되면, 인양기를 통해 올가미 형태로 묶인 와이어를 풀면서 파일을 천공홀 내부로 자유 낙하시키게 된다. (와이어는 파일에 완전 결합된 것이 아닌 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양기를 통해 와이어를 회전시키거나 진동을 주면, 와이어가 풀리면서 파일이 자유 낙하하게 된다.)When the file is lifted to a desired location, the file is free-falling into the hole while unwinding the wire tied in the form of a snare through the lifting machine. (Since the wire is not fully coupled to the pile, but is temporarily coupled, if you rotate the wire through the lifting device or give it vibration, the wire will loosen and the pile will fall freely.)

그러나 이와 같이 파일을 낙하시키게 되면, 공삭공에 의해 파일에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특히, 파일의 무게와 공삭공의 길이에 따라 파일의 선단부가 파손 또는 중파 되며, 이는 파일의 지지력을 하강시키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공삭공의 길이가 매운 긴 경우에는 홀치기 방법을 사용하기 부적절하며, 와이어가 묶여 있는 파일부위가 변형되는 등 국부적으로 파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pile is dropped in this way, there is a risk that the pile may be damaged by the workmanship. In particular,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pile and the length of the drilling hole, the tip of the pile is damaged or broken, which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pile. In addition, if the length of the drilling hole is very long, it is inappropriate to use the tie-in method, an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file is locally damaged, such as the portion of the pile to which the wire is tied is deform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특허등록 제10-2131267호 "파일인양장치"가 개발되었다. Therefore, as a metho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2131267 "Pile lifting device" was developed.

그 구성을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에 결합되는 원판형 러그(10)와, 상기 원판형 러그(10)에 연결되는 인양 러그(20)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형 러그(10)는, 내부에 러그홀(11a)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에서부터 상기 러그홀(11a)을 향하여 돌출되며, 하부를 향하여 열려있는 삽입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결합부(12);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2)는,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측부(12e)와, 상기 제1측부(12e)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상부(12b)와, 상기 제1상부(12b)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측부(12c)와, 상기 제2측부(12c)에서부터 하부를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며 연장되는 경사부(12d)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부(12e)의 측면에는, 상기 제1측부(12e)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삽입홈(11a)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14)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14)의 중단부에는 힌지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14)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홈(12a)의 외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상기 삽입홈(12a)의 내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Looking at its configuration with reference to FIG. 1 or FIG. 2, it includes a disc-shaped lug 10 coupled to a PHC pile or a steel pipe pile, and a lifting lug 20 connected to the disc-shaped lug 10, and the disc-shaped The lug 10 includes a body portion 11 made of a ring-shaped plate having a lug hole 11a formed therein; and the body portion 11 protrudes from the body portion 11 toward the lug hole 11a, and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12 having open insertion grooves 12a formed therein,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12 includes a first side portion 12e extending downward and the first side portion 12e ) extending from the first upper portion 12b, the second side portion 12c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upper portion 12b, and the second side portion 12c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portion 12c toward the lower portion while forming a slope It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12d, an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portion 12e,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insertion groove 11a through an up and down slide movement while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12e. An opening/closing unit 14 is provided, and a hinge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pening/closing unit 14, and the opening/closing unit 14 is rotatable only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2a with the hinge as the center, and the It is configured not to rotat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2a).

또한, 상기 원판형 러그(10)에 결합되는 인양러그(20)는 도 1의 (b)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HC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인양기(24)가 결합될 수 있는 인양홀(21a)이 마련되는 인양부(21)와, 상기 인양부(2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원판형 러그(10)에 형성된 결합부(12)의 삽입홈(12a)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돌출부(22)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lug 20 coupled to the disk-shaped lug 10 is coupled to a lifting device 24 capable of lifting a PHC pile or a steel pipe pile, as shown in FIG. 1 (b) or FIG. 3 . A lifting part 21 provided with a lifting hole 21a that can become a lifting hole 21a, and the insertion groove 12a of the coupling part 12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ifting part 21 and formed in the disk-shaped lug 10 ) A plurality of protrusions 22 that can be fitted in the .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일인양장치는 원판형 리그(100)를 파일(30)에 용접 또는 볼트로 연결시킨 후에, 인양러그(20)의 돌출부(22)를 상기 원판형 러그(10)에 형성된 결합부(12)의 삽입홈(12a)에 끼운 후에 도 3과 같이, 파일 작업을 하였다.Therefore, the pile lift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nnects the disk-shaped rig 100 to the pile 30 by welding or bolting, and then attaches the protrusion 22 of the lifting lug 20 to the disk-shaped lug 10.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a) of the formed coupling portion (12), as shown in FIG. 3, a file operation was perform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파일인양장치는 파일에 원판형 리그를 별물로 설치해야 하며, 또한 인양러그 사용시 사용자가 정확하게 조절하여 끼워 맞춘 후, 시공해야하는 불편함과, 시공 수, 인양러그와 원판형 러그의 분리작업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 pile lif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requires a disk-type rig to be installed on the pile as a separate item, and when using the lifting lug, the user accurately adjusts and fits it, and then the inconvenience of construction, the number of constructions, and the number of lifting rugs and the disk-type lug Separation was also inconvenient in that it took a lot of time.

이외에도 국내 공개특허 제10-2020-0106683호 "파일 인양용 연결장치" 및 동 공개특허 제 10-2017-0029934호 "파일 인양기구"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0-0467345 호 "파일 인양구조체"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인양장치 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06683 "Connecting Device for Lifting Pile" and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9934 "Pile Lifting Mechanism"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7345 "Pile Lifting Structure", etc. However, these lifting devices have disadvantages in that they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and take a long time to install.

1. 한국 등록특허 제10-2131267호 (2020.07.01 공보)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31267 (published on July 1, 2020)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106683호 (2020.09.15 공개)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06683 (published on September 15, 2020)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29934호 (2017.03.16 공개)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9934 (published on March 16, 2017)

1.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467345호 (2013.05.31 공보)1.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7345 (published on May 31, 20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양장치의 인양부가 견인장치에 의해 잡아당겨짐에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의 작동편이 오므려진 상태에서 파일 벽면 쪽으로 활짝펼쳐져 밀착되는 힘에 의해 파일을 들어올려서 인양할 수 있도록 한 파일 인양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the lifting part of the lifting device is pulled by the traction device, at least three or more operating pieces are spread out toward the pile wall in a closed state, and the pile by the force of close contact A pile lifting device that can be lifted and lifted was proposed.

본 발명은 지면에 여러 개의 파일을 박아서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파일 시공하기 위해 목적하는 위치에 인양하기 위한 파일 인양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lifting device for lifting a plurality of piles into the ground to a desired location for pile construction that can support structures or buildings, etc.,

상부는 인양기에 매달리기 위한 고정고리를 가지며 하부는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는 주 샤프트; 및 The upper part has a fixing ring for hanging from the lifting machine, and the lower part is a main shaft that is vertically long; and

상부는 인양기에 매달리기 위한 고정고리를 가지며 하부는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는 주 샤프트; 및 The upper part has a fixing ring for hanging from the lifting machine, and the lower part is a main shaft that is vertically long; and

상기 주 샤프트 및 보조 샤프트에 설치되어 인양기의 작동에 의해 벌어지는 힘에 의해 파일의 벽면에 밀착되어 파일을 인양하도록 인양 확장수단; Lifting extension means installed on the main shaft and the auxiliary shaf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pile by the force sprea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achine to lift the pile;

으로 이루어지며,is made up of

상기 확장수단은;The extension means;

상기 주 샤프트가 정 중앙에 삽입되는 제1 삽입구와, 상기 제1 삽입구 근접 둘레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보조 샤프트가 삽입되는 제1 보조 삽입구를 가지며, 가장자리에 적어도 2 이상의 작동홈을 가지는 인양판; 및a lifting plate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ain shaft is inserted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insertion holes formed around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into which the auxiliary shaft is inserted, and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grooves on an edge thereof; and

상기 인양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작동홈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작동편; 및each of the operation pieces rotatably installed by a hinge means in a plurality of operation grooves formed on the edge of the lifting plate; and

상기 주 샤프트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와 상기 보조 샤프트가 삽입되기 위한 제2 보조 삽입구를 가지며, 상기 작동편 사이에 설치되어 주 샤프트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작동편을 고정힌지를 지점으로하여 일단이 파일 벽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이동 조절판;It has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ain shaft is inserted and a second auxiliary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uxiliary shaft is inserted. Moving control plate for fix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또한, 상기 이동 조절판의 상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편의 일단은 힌지수단에 의해 작동홈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리형상의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ovement control plate, one end of the operation piece is fixed to the operation groove by a hinge means, and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ring-shaped contact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밀착부는 텅스텐 카바이드계 초경 합금 [tungsten cemented carbide super hard alloy)로 이루어지며,In addition, the contact part is made of a tungsten cemented carbide super hard alloy,

상기 인양 확장수단은 파일의 길이에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fting extens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ile.

본 발명 파일 인양장치는 수축 또는 확장되는 동작에 의해 파일을을 견고하게 인양할 수 있어서 쉽게 파일을 설치 또는 용이하게 분리시켜 시공할 수가 있어서 공사기간을 줄일 수가 있으며, 파일의 추락 등에 의한 지반의 소음과 파일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The pil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ly lift a pile by a contracting or expanding operation, so that the pile can be easily installed or easily separated for construction,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noise of the ground due to the fall of the pile, etc. and to prevent file corruption.

도 1 내지 3은 종래 파일인양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의 (a)는 원판형 러그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인양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원판형 러그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파일인양장치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f)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부품을 나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인양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이동 조절판이며, (c)는 작동편을 나타낸 도면이고, (d)는 주 샤프트이며, (e)는 보조 샤프트이고, (f)는 힌지수단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파일 인양장치의 전체사시도 이고, (b)는 파일 인양장치가 파일 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장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파일 인양장치가 인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파일 인양장치가 파일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편이 좌우로 벌어져 파일 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c)는 견인줄을 잡아당겨 공이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내림에 의해 주 샤프트가 하강하고, 이 하강에 의해 파일 내벽에 밀착되어 있던 작동편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to 3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pile lifting device,
Figure 1 (a) is a view showing a disk-shaped lug, (b) is a view showing a lifting lug.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disk-shaped lug,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pile lifting device.
4 (a) to (f)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ituent parts constituting the pi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listed,
(a) is a view showing a lifting plate, (b) is a movement control plate, (c)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piece, (d) is a main shaft, (e) is an auxiliary shaft, (f) is It is a drawing showing each of the hinge means.
5 (a) and (b) are views showing a pi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ile lifting device, (b) is a pile lifting device is shown in the mounted state in the pile It is a drawing.
6 (a) to (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le lifting device is lifted,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piece is spread left and right in a state in which the pile lift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pil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le, (c) is a drawing line It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main shaft is lowered by lowering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is lifted by pulling the ball, and the operating pie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le is released by this lowerin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defin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지면에 여러 개의 파일을 박아서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파일 시공하기 위해 목적하는 위치에 인양하기 위한 파일 인양장치(100)로,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e lifting device 100 for lifting several piles into the ground to a desired location for pile construction that can support structures or buildings, etc.,

본 발명 파일 인양장치(100)는 도 4의 (a)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ile lifting device 100 is configured as shown in (a) to (f) of FIG.

즉, 도 4의 (a)는 인양판(110)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이동 조절판(120)이며, (c)는 작동편(130)을 나타낸 도면이고, (d)는 주 샤프트(140), (e)는 보조 샤프트(150), (f)는 힌지수단(160)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That is, in Fig. 4 (a) is a view showing the lifting plate 110, (b) is a movement control plate 120, (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piece 130, (d) is the main shaft (140), (e) is a view showing the auxiliary shaft 150, (f) is a hinge means 160, respectively.

상기 인양판(11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주 샤프트(140)가 삽입되기 위한 제1 삽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구(111)를 중심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보조 삽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a), the lifting plate 110 has a disk shape, and a first insertion hole 111 for inserting the main shaft 140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irst At least two or more first auxiliary insertion holes 112 are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111 .

또한, 상기 인양판(110)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2 이상의 작동홈(11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or more operation grooves 113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lifting plate 110 .

상기 작동홈(113)은 대략 "ㄷ"형상의 홈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수단(160)인 고정볼트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The operation groove 113 is a substantially "C"-shaped groove, and as shown in FIG.

상기 이동 조절판(120)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상기 주 샤프트(140)가 삽입되기 위한 제2 삽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구(121)를 중심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보조 삽입구(122)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b), the movement control plate 120 has a disk shap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121 for inserting the main shaft 140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second At least two or more second auxiliary insertion holes 122 are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121 .

또한, 상기 이동 조절판(120)은 측면에서 보면 상부에 경사면(122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an inclined surface 122a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ement control plate 120 .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작동편(130)은 긴 막대형상으로 일단에 힌지수단(160)에 의해 상기 인양판(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작동홈(113)의 나사홈(113a)에 결합되기 위한 구멍(131)이 형성되고, 타단은 고리형상의 밀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ctuating piece 130 shown in FIG. 4(c) has a long rod shape, and is a screw groove 113a of the actuating groove 113 formed at the edge of the lifting plate 110 by a hinge means 160 at one end. ) is formed with a hole 131 for coupling to,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ring-shaped contact portion 132.

이때, 상기 밀착부(132)는 마모력이 우수한 합금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텅스텐 카바이드계 초경 합금 [tungsten cemented carbide super hard alloy)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ntact portion 132 is preferably made of alloy steel having excellent wear force, and to realize this,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tungsten cemented carbide super hard alloy.

또한, 상기 작동편(130)은 상기 인양판(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작동홈(113)의 갯수에 맞게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iece 130 is formed to match the number of operation grooves 113 formed on the edge of the lifting plate 110 .

또한, 상기 주 샤프트(140)와 보조 사프트(150)는 도 4의 (d) 또는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도시하지 않은 인양기(주로 기중기를 사용함)에 매달리기 위한 고정고리(141), (151)를 가지며 하부는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142),(152)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d) or (e) of FIG. 4, the main shaft 140 and the auxiliary shaft 150 are fixed rings ( 141) and (151), the lower part is vertically long and is composed of a threaded body (142), (152).

이때, 상기 고정고리(141)(151)를 별도로 제작하여 나사맞춤할 수도 있고, 일체로 가공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rings 141 and 151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screw-fitted, or may be processed integrally.

또한, 상기 인양판(110), 이동 조절판(120), 작동편(130), 주 샤프트(140), 보조 샤프트(150)은 본 발명을 작동하기 위한 확장수단(200)의 주요 구성부품이다.In addition, the lifting plate 110, the movement control plate 120, the operation piece 130, the main shaft 140, and the auxiliary shaft 150 are main components of the extension means 200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확장수단(200)은 더욱 상세하게는 도 4(a)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판(110)과 이동 조절판(120)의 정 중앙에 형성된 제1 삽입구(111)와 제2 삽입구(121)에 주 샤프트(140)가 삽입되어 너트(170)에 의해 고정된다.The expansion means 200 is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a) or Fig. 6 . The main shaft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1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2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ifting plate 110 and the movement control plate 120 and is fixed by the nut 170 .

또한, 상기 인양판(110)과 이동 조절판(1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보조 삽입구(112),(122)에는 보조 샤프트(150)가 삽입되어 너트(170)에 의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haft 1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insertion holes 112 and 122 formed in the lifting plate 110 and the movement control plate 120 , and is fixed by the nut 170 .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샤프트(140)는 이동 조절판(120)의 상하, 하부에 너트(170)에 의해 체결되고, 보조 샤프트(150)는 확장판(110)의 상,하부에 너트(170)가 체결되어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main shaft 140 i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ement control plate 120 by nuts 170 , and the auxiliary shaft 150 i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xpansion plate 110 . , The nut 170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이때, 주 샤프트(140) 상부에 체결된 너트(170)는 주 샤프트에 설치된 공이(142)의 이동 여유 거리를 두기 위한 조절 너트이며, 상기 공이(142)는 견인줄(143)에 매달려 견인줄의 잡아당겼다 놓았을 때 자유낙하하여 상기 너트(170)의 상면을 때리는 역활을 한다.At this time, the nut 170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shaft 140 is an adjustment nut for providing an allowance for movement of the ball 142 installed on the main shaft, and the ball 142 is hung from the traction line 143 to hold the traction line. When it is pulled and released, it falls freely and serves to hit the upper surface of the nut 170 .

한편, 상기 인양판(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작동홈(113)에는 작동편(130)이 힌지수단(16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peration groove 113 formed on the edge of the lifting plate 110, the operation piece 130 is rotatably fixed by the hinge means (160).

또한, 상기 작동편(130) 사이에는 이동 조절판(120)이 위치되어 상기 주 샤프트(11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작동편(130)을 힌지수단(160)을 지점으로하여 일단이 파일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movement control plate 120 is positioned between the actuating pieces 130, and as the main shaft 110 rises, the actuating piece 130 is set with the hinge means 160 as a point, and one end is on the wall of the pile. It is configured to be tight.

이때, 상기 인양 확장수단(200)은 파일의 길이에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lifting extension means 200 is install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i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일 인양장치(10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내부에 삽입되어 인양을 하게 된다.The pile lifting devic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pile as shown in FIG. 5(b) to lift it.

이를 도 6의 (a) 내지 (c)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 to (c) as follows.

먼저, 도시하지 않은 인양기의 후크(도시하지 않음)를 보조 샤프트(150)의 고정고리(151)에 건다.First, a hook (not shown) of the lifting machine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fixing ring 151 of the auxiliary shaft 150 .

다음, 보조 샤프트(150)는 너트(170)에 의해 인양판(110)의 상, 하부에 체결되어 있어 인양시 인양장치(100) 전체를 매다는 형태로 유지하게 된다.Next, the auxiliary shaft 150 i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fting plate 110 by the nut 170 , so that the entire lifting device 100 is suspended during lifting.

이때, 주 샤프트(140)에도 인양기에 매달려 있는 다른 후크(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놓는다.At this time, another hook (not shown) hanging from the lifting machine is also hung on the main shaft 140 .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인양장치(100)를 이용하여 보조 샤프트(150)를 견인하여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내에 삽입한다.In the above state, the auxiliary shaft 150 is pulled using the lifting device 100 and inserted into the file as shown in FIG. 6(b).

다음, 주 샤프트(140)의 고정고리(141)에 걸려있는 인양기의 후크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기면, 주 샤프트(140)가 상승함에 따라 이동 조절판(120)도 상승하게 되고, 상기 이동 조절판(120)의 상승은 이와 맞닿있는 작동편(130)의 일단을 들어올리게 됨으로써, 화살표 b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상기 조절판(120)의 일단에 형성된 밀착부(132)가 파일 내벽면에 밀착 고정된다.Next, when the hook of the lifting machine hung on the fixing ring 141 of the main shaft 14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s the main shaft 140 rises, the movement adjustment plate 120 also rises, and the movement adjustment plate ( The rise of 120 is by lifting one end of the operating piece 130 in contact with it, so that it open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so that the contact portion 132 formed on one end of the control plate 12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ile.

이때, 복수로 설치된 인양 확장수단(200)은 동시에 동일한 동작을 하여 파일 내벽면에 밀착고정된다.At this time, the lifting extension means 200 installed in plurality ar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ile by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인양하여 시공 위치에 앉착 시킨 후,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샤프트(140)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공이(142)이가 견인줄(143)에 의해 화살표 c방향으로 잡아당겨 졌다가 상기 견인줄(143)을 놓게 되면 상기 견인줄(143)에 매달려 있던 공이(142)가 화살표 d방향으로 자유낙하하면서 주 샤프트(140)의 상면에 체결된 너트(170)를 때리게 되고, 상기 너트(170)의 움직임에 의해 주 샤프트(140)가 아래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In the same state as described above, after lifting and sitting at the construction position, as shown in FIG. When the pulling line 143 is released after being pulled in the c direction by the arrow, the ball 142 hanging from the pulling line 143 freely falls in the arrow d direction while the nut 170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haft 140. ), and the main shaft 140 descends downward by the movement of the nut 170 .

상기 주 샤프트(14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작동편(130)이 화살표 e방향으로 작동되어 원위치에서 멈추게 된다.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main shaft 140, the actuating piece 130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to stop at the original position.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조 샤프트(150)에 매달려 있는 인양기의 후크를 잡아 당겨 인양장치(100)를 파일로부터 제거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the above state, the lifting device 100 can be removed from the pile by pulling the hook of the lifting machine hanging from the auxiliary shaft 150 .

이때, 상기 파일이 얕게 묻히는 경우 별도의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주 샤프트(140)를 체결하고 있는 너트(170) 상단을 가볍게 누르거나 때려서 작동편(130)을 회동수단(160)을 지점으로 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file is buried shallowly, by lightly pressing or hitting the upper end of the nut 170 fastening the main shaft 140 using a separate stick or the like, the operation piece 130 is rotated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 the rotating means 160 as a point. that can be returned to

지금까지 본 발명인 파일 인양장치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So far, the present inventors have looked at the file lifting device, but it is obvious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파일 인양장치 110 : 인양판
111,121 : 삽입구 112,122 : 보조 삽입구
113 : 작동홈 113a : 나사홈
122a : 경사면, 130 : 작동편
140 : 주 샤프트 150 : 보조 샤프트
160 : 힌지수단 170 : 너트
100: pile lifting device 110: lifting plate
111,121: insertion hole 112,122: auxiliary insertion hole
113: operation groove 113a: screw groove
122a: inclined surface, 130: operating piece
140: main shaft 150: secondary shaft
160: hinge means 170: nut

Claims (6)

지면에 여러 개의 파일을 박아서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파일 시공하기 위해 목적하는 위치에 인양하기 위한 파일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부는 인양기에 설치된 후크에 매달리기 위한 고정고리를 가지며 하부는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는 주 샤프트; 및
상기 주 샤프트의 근접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인양기의 다른 후크에 매달리기위한 고정고리가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샤프트; 및
상기 주 샤프트 및 보조 샤프트에 설치되어 인양기의 작동에 의해 벌어지는 힘에 의해 파일의 벽면에 밀착되어 파일을 인양하도록 인양 확장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장치.
In the pile lifting device for lifting several piles into the ground to a desired location for pile construction that can support structures or structures,
The upper part has a fixing ring for hanging on a hook installed in the lifting machine, and the lower part is a main shaft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long;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shafts install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main shaft and having a fixing ring for hanging on the other hooks of the lifting machine; and
Lifting extension means installed on the main shaft and the auxiliary shaf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pile by the force sprea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achine to lift the pile;
File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주 샤프트가 정 중앙에 삽입되는 제1 삽입구와, 상기 제1 삽입구 근접 둘레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보조 샤프트가 삽입되는 제1 보조 삽입구를 가지며, 가장자리에 적어도 2 이상의 작동홈을 가지는 인양판; 및
상기 인양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작동홈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작동편; 및
상기 주 샤프트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와 상기 보조 샤프트가 삽입되기 위한 제2 보조 삽입구를 가지며, 상기 작동편 사이에 설치되어 주 샤프트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작동편을 힌지수단을 지점으로하여 일단이 파일 벽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이동 조절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nsion means;
a lifting plate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ain shaft is inserted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insertion holes formed around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into which the auxiliary shaft is inserted, and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grooves on the edge; and
each of the operation pieces rotatably installed by a hinge means in a plurality of operation grooves formed on the edge of the lifting plate; and
It has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ain shaft is inserted and a second auxiliary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uxiliary shaft is inserted. Moving control plate for fix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File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절판의 상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Pile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ovement control pla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의 일단은 힌지수단에 의해 작동홈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리형상의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operation piece is fixed to the operation groove by a hinge means, and the other end is a pile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shaped contact portion is form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텅스텐 카바이드계 초경 합금 [tungsten cemented carbide super hard alloy)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lose contact portion is a pile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ungsten cemented carbide super hard allo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확장수단은 파일의 길이에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extension means is a pile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ile.


KR1020200135320A 2020-10-19 2020-10-19 Pile connecting device KR1024071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320A KR102407138B1 (en) 2020-10-19 2020-10-19 Pile conn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320A KR102407138B1 (en) 2020-10-19 2020-10-19 Pile connec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58A true KR20220051658A (en) 2022-04-26
KR102407138B1 KR102407138B1 (en) 2022-06-08

Family

ID=8139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320A KR102407138B1 (en) 2020-10-19 2020-10-19 Pile conn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1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3412A (en) * 2023-12-08 2024-01-12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Internal expanding PHC pipe pile lifting appliance and use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93A (en) * 1976-09-02 1977-05-3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Quick find grabber-mine recovery
JPS60126481U (en) * 1984-01-31 1985-08-26 北田 進 Jig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heavy objects
KR200467345Y1 (en) 2012-09-14 2013-06-07 진 영 이 A pile lifting structrue
CN106241597A (en) * 2016-09-30 2016-12-21 四川南格尔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eam barrel wound membrane Filtting device and operational method
KR20170029934A (en) 2015-09-08 2017-03-16 원병천 Pile lifting device
KR102131267B1 (en) 2018-03-30 2020-07-07 김민규 Pile lifting apparatus and Pile lifting method
KR20200106683A (en)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은명건설 Pile connecting device and pil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93A (en) * 1976-09-02 1977-05-3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Quick find grabber-mine recovery
JPS60126481U (en) * 1984-01-31 1985-08-26 北田 進 Jig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heavy objects
KR200467345Y1 (en) 2012-09-14 2013-06-07 진 영 이 A pile lifting structrue
KR20170029934A (en) 2015-09-08 2017-03-16 원병천 Pile lifting device
CN106241597A (en) * 2016-09-30 2016-12-21 四川南格尔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eam barrel wound membrane Filtting device and operational method
KR102131267B1 (en) 2018-03-30 2020-07-07 김민규 Pile lifting apparatus and Pile lifting method
KR20200106683A (en)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은명건설 Pile connecting device and pil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3412A (en) * 2023-12-08 2024-01-12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Internal expanding PHC pipe pile lifting appliance and use method thereof
CN117383412B (en) * 2023-12-08 2024-03-01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Internal expanding PHC pipe pile lifting appliance and us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138B1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138B1 (en) Pile connecting device
JP2017053167A (en) Existing pile removal device
KR102131267B1 (en) Pile lifting apparatus and Pile lifting method
KR101672359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chor pile for foundation reinforcement
JP5380064B2 (en) Pile hole drilling method and pile hole drilling head
US4637757A (en) Barbed anchor pile
US3965999A (en) Drilling grab for pile foundations and well boreholes
JP3888888B2 (en) Cast-in-place concrete pile structure
JP2645888B2 (en) Underground anchor installation method
US10174476B2 (en) Grab bucket of an auger
JP2022075238A (en) Enlarged diameter bucket, pile hole drilling machine for intermediate enlarged diameter part, and method for forming pile hole for enlarged diameter pile
KR101126152B1 (en) Multi casing for deep depth filing hole and filing method
JP6963870B2 (en) Pile hole excavation head
US2879974A (en) Grab-type tool for sinking wells in the ground
JP4863140B2 (en) Pile hole drilling method and pile hole drilling head
JP6770732B2 (en) Expansion excavation equipment for cast-in-place piles and expansion excavation method for cast-in-place piles
US20110038678A1 (en) Seismic tool assembly for use in anchor insertion
CN210975798U (en) Bored concrete pile construction of drilling is dug soon to easy extraction protects a section of thick bamboo
JPH0345167B2 (en)
JP6611153B1 (en) Modified excavation bucket and modified excavation method
US4627180A (en) Excavating bucket
CN215367245U (en) Pile foundation construction tool
KR20130013899A (en) Extended pile
JP4897237B2 (en) Drilling device and drilling method using the same
JPH086864Y2 (en) Drilling equipment for bottom expans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