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615A - Motor - Google Patents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615A
KR20220051615A KR1020200135229A KR20200135229A KR20220051615A KR 20220051615 A KR20220051615 A KR 20220051615A KR 1020200135229 A KR1020200135229 A KR 1020200135229A KR 20200135229 A KR20200135229 A KR 20200135229A KR 20220051615 A KR20220051615 A KR 2022005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haft
radius
disposed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615A/en
Publication of KR2022005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5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or which comprises: a shaft; a rotor coupled to the shaft;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 bus bar disposed on the stator; a bus bar holder supporting the bus bar; a bearing supporting the shaft; and a bearing housing supporting the bearing. The bearing, the bearing housing, and the bus bar holder are disposed to overlap in a radial direction of an axis of the shaft.

Description

모터{Motor}motor {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motor.

일반적으로,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한다. 이때, 로터와 연결된 샤프트도 회전하여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In general, in a motor, the rotor is rotated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rotor and the stator. At this time, the shaft connected to the rotor also rotates to generate rotational driving force.

로터와 스테이터는 하우징에 수용된다. 하우징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부재이다. 하우징은 일측은 개방된다. 베어링 하우징은 개방된 하우징의 일측을 덮는다. 베어링 하우징은 베어링을 포함한다.The rotor and stator are housed in a housing. The housing i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One side of the housing is open. The bearing housing covers one side of the open housing. The bearing housing includes a bearing.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버스바와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는 버스바 홀더에 의해 지지된다. 버스바는 U상, V상, W상의 3개의 버스바가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기준으로, 이러한 3개의 버스바가 정렬되는 경우, 버스바 홀더의 반경방향 폭이 증가하여 모터의 설계 제약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stator may include a stator core and a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The coil may be connected to the busbar. The busbar is supported by the busbar holder. As the bus bar, three bus bars of U-phase, V-phase, and W-phase may be provided. When these three bus bars ar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haft ax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adial width of the bus bar holder increases, thereby causing a design limitation of the motor.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 홀더의 반경방향 폭을 줄여 설계에 유리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Accordingly, the embodiment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task to provide a motor advantageous for design by reducing the radial width of the bus bar hold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includes a shaft, a rotor coupled to the shaft, and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nd a bus bar disposed on the stator and a bus bar holder supporting the bus bar, The motor may include a bearing supporting the bearing and a bearing housing supporting the bearing, wherein the bearing, the bearing housing, and the bus bar holder are disposed to overlap in a radial direction of an axis of the shaft.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제3-1 반경을 갖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반경과 상이한 제2 반경을 갖는 제3-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includes a shaft, a rotor coupled to the shaft, and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nd a bus bar disposed on the stator, wherein the bus bar is a third third based on an axis of the shaf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tor including a first body having a first radius, a 3-2 body having a second radius different from the first radius, and a bending unit connec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버스바는 제1 반경을 갖으며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제1 반경과 상이한 제2 반경을 갖고, 상기 제3 버스바는 상기 제1 반경과 상기 제2 반경 사이의 거리인 제3 반경을 갖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includes a shaft, a rotor coupled to the shaft, and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nd a bus bar disposed on the stator, wherein the bus bar i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and a first bus bar, a second bus bar, and a third bus bar extending, wherein the first bus bar has a first radius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and the second bus bar has a second radius different from the first radius. The motor may have a second radius, and the third bus bar may have a third radius that i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us and the second radius.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 홀더의 반경방향 폭을 줄임으로써, 모터의 유리한 설계조건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reducing the radial width of the busbar holder, there is an advantage of securing advantageous design conditions of the motor.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의 축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xial length of the motor can be reduced.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의 축방향 길이를 줄이면서도 모터의 토크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orque of the motor can be secured while reducing the axial length of the motor.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확대도로서,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과 버스바 홀더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버스바와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버스바의 평면도,
도 5는 제3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버스바와 제3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2 버스바와 제3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버스바 및 버스바 홀더의 단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Figure 1,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bearing, the bearing housing and the bus bar holder;
3 is a view showing the bus bar and the bus bar holder shown in FIG. 1;
4 is a plan view of a bus bar;
5 is a view showing a third bus bar;
6 is a view showing a first bus bar and a third bus bar;
7 is a view showing a second bus bar and a third bus bar;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s bar and a bus bar holder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샤프트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축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원을 따라가는 방향을 원주방향이라 부른다.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haft is called the axial direc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is called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along a circle having a radial radius around the shaft is the circumference called the direc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 로터(200), 스테이터(300), 버스바(400)와, 버스바 홀더(500)와, 베어링(600)과, 베어링 하우징(700)과 하우징(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내측이라 함은 하우징(800)에서 모터의 중심인 샤프트(100)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외측이라 함은 샤프트(100)에서 하우징(800)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1 , the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shaft 100 , a rotor 200 , a stator 300 , a bus bar 400 , a bus bar holder 500 , a bearing 600 , and a bearing housing. 700 and a housing 800 may be included. Hereinafter, the term "inside" indicates a direction from the housing 800 toward the shaft 100 that is the center of the motor, and "outside" indicate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ide, which is a direction from the shaft 100 toward the housing 800 .

샤프트(100)는 로터(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샤프트(100)는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aft 100 may be coupled to the rotor 200 . Whe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occurs between the rotor 200 and the stator 300 through the supply of current, the rotor 200 rotates and the shaft 100 rotates in conjunction therewith. The shaft 100 may be formed of a hollow member.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고,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tor 200 rotates through electrical interaction with the stator 300 . The rotor 20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tator 300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rotor 200 may include a magnet.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인슐레이터(320)와, 코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에 안착된다. 코일(330)은 인슐레이터(320)에 장착된다. 코일(330)은 로터(200)의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The stator 300 is disposed outside the rotor 200 . The stator 300 may include a stator core 310 , an insulator 320 , and a coil 330 . The insulator 320 is seated on the stator core 310 . The coil 330 is mounted on the insulator 320 . The coil 330 causes an electrical interaction with the magnet of the rotor 200 .

버스바(400)는 스테이터(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400)는 코일(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버스바(4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The bus bar 400 may be disposed on the stator 300 . The bus bar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330 . And the bus bar 4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버스바 홀더(500)는 버스바(400)를 지지한다. 버스바 홀더(500)는 내부에 버스바(400)를 포함하는 환형의 부재일 수 있다.The bus bar holder 500 supports the bus bar 400 . The bus bar holder 500 may be an annular member including the bus bar 400 therein.

베어링(600)은 샤프트(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bearing 600 rotatably supports the shaft 100 .

베어링 하우징(700)은 베어링(600)을 포함한다. 베어링 하우징(700)은 하우징(80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다.The bearing housing 700 includes a bearing 600 . The bearing housing 700 covers an open side of the housing 800 .

하우징(800)은 스테이터(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800)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The housing 8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tator 300 . The housing 800 may be a cylindrical member with one side open.

도 2는 도 1의 X의 확대도로서, 베어링(600)과 베어링 하우징(700)과 버스바 홀더(500)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X of FIG. 1 ,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ositions of the bearing 600 , the bearing housing 700 , and the bus bar holder 500 .

도 2를 참조하면, 베어링(600)과 베이링 하우징(800)과 버스바 홀더(500)는 샤프트(100)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베어링 하우징(700)에 축방향으로, 스테이터(300)에 상당히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반경방향으로 베어링 하우징(700)과 함께 베어링(600)도 버스바(40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스테이터(300)와 로터(200)의 크기를 줄이지 않고 모터의 축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bearing 600 , the bearing housing 800 , and the bus bar holder 500 are disposed to overlap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shaft 100 . Thus, it can be arranged axially to the bearing housing 700 , in considerable proximity to the stator 300 . While the bearing 600 is also located inside the bus bar 400 together with the bearing housing 700 in the radial direction, the axial length of the motor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the sizes of the stator 300 and the rotor 200 .

이러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베어링(600)과 베어링 하우징(700)과 버스바 홀더(5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s of the bearing 600 , the bearing housing 700 , and the bus bar holder 500 for implementing these features are as follows.

베어링 하우징(700)은 내측부(710)와 외측부(720)와 접힘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710)는 베어링(600)과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외측부(720)는 반경방향으로 베어링(6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측단부가 하우징(800)과 접촉한다. 접힘부(730)는 내측부(710)와 외측부(720)를 연결한다. 접힘부(730)는 베어링 하우징(700)이 일부가 접히도록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earing housing 700 may include an inner portion 710 , an outer portion 720 , and a folded portion 730 . The inner portion 710 is disposed to overlap the bearing 600 in the axial direction. The outer portion 720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bearing 600 in a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out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800 . The folded part 730 connects the inner part 710 and the outer part 720 . The folded portion 730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bearing housing 700 to partially fold it.

접힘부(730)는 내면이 베어링(600)의 외륜과 접촉하면서 베어링(600)을 지지한다. The folded portion 730 supports the bearing 600 while the inn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600 .

이러한 접힘부(730)는 샤프트(100)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베어링(600)과 버스바 홀더(500)와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또한, 접힘부(730)는 샤프트(100)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버스바(400)의 일부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접힘부(730)는 샤프트(100)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베어링(600)과 버스바 홀더(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베어링(600)과 접힘부(730)를 버스바 홀더(500) 내측으로 배치되는 구성에 기인한 것이다.The folded portion 730 is disposed to overlap the bearing 600 and the bus bar holder 500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shaft 100 . In addition, the folded portion 730 may be disposed to overlap a portion of the bus bar 400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shaft 100 . Specifically, the folded portion 7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earing 600 and the bus bar holder 500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shaft 100 . This is due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earing 600 and the folded portion 730 are disposed inside the bus bar holder 500 .

베어링(600)이 버스바 홀더(500)의 내측에 위치함에 따라, 베어링 하우징(700)의 위치도 축방향으로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로터(200)나 스테이터(300)의 축방향 길이를 줄이지 않고도 모터의 축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힘부(730)와 인슐레이터(320)의 상단과 최단거리(L1)는 버스바 홀더(500)의 상단과 인슐레이터(320)의 최단거리(L2)보다 작게 된다.As the bearing 600 is located inside the bus bar holder 500 , the bearing housing 700 is also disposed close to the rotor 200 and the stator 300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rotor 200 or the stat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xial length of the motor without reducing the axial length of 300 . As a result, the shortest distance L1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ortion 730 and the insulator 320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L2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us bar holder 500 and the insulator 320 .

베어링(600)과 접힘부(730)를 버스바 홀더(500) 내측으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버스바 홀더(500)의 반경방향 폭을 줄여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버스바(400)의 형상 및 배치가 구현되어야 한다.In order to arrange the bearing 600 and the folded part 730 inside the bus bar holder 500 , the radial width of the bus bar holder 500 needs to be reduced. And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bus bar 400 corresponding thereto should be implemented.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버스바(400)와 버스바 홀더(5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버스바(40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제3 버스바(400C)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bus bar 400 and the bus bar holder 500 shown in FIG. 1 , FIG. 4 is a plan view of the bus bar 400, and FIG. 5 is a third bus bar 400C. it is one drawin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버스바(400)는 U상, V상, W상의 3개의 버스바(400)로서, 샤프트(100)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버스바(400A)와, 제2 버스바(400B)와, 제3 버스바(400C)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5 , the bus bar 400 is a U-phase, V-phase, and W-phase three bus bars 400 , and a first bus bar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100 ( 400A), a second bus bar 400B, and a third bus bar 400C may be included.

제1 버스바(400A)는 샤프트(100)의 축을 기준으로 제1 반경(R10)을 가진다.The first bus bar 400A has a first radius R10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100 .

제2 버스바(400B)는 샤프트(100)의 축을 기준으로 제1 반경(R10)과 상이한 제2 반경(R20)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 반경(R20)은 제1 반경(R10)보다 작을 수 있다.The second bus bar 400B has a second radius R20 different from the first radius R10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100 . For example, the second radius R20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radius R10.

제3 버스바(400C)는 샤프트(100)의 축을 기준으로 제3 반경(R30)을 가진다. 이때. 제3 반경(R30)은 제1 반경(R10) 내지 제2 반경(R20) 범위 이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third bus bar 400C has a third radius R30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100 . At this time. The third radius R30 may have a value within the range of the first radius R10 to the second radius R20 .

제3 버스바(400C)는 제1 바디(410A)와 제2 바디(410B)와 밴딩부(4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410A)는 샤프트(100)의 축을 기준으로 제3 반경(R30)으로서, 제3-1 반경(31)을 가진다. 제2 바디(410B)는 샤프트(100)의 축을 기준으로 제3 반경(R30)으로서, 제3-1 반경(31)과 상이한 제3-2 반경(32)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3-1 반경(31)은 제3-2 반경(32)보다 클 수 있다.The third bus bar 400C may include a first body 410A, a second body 410B, and a bending portion 410C. The first body 410A has a third radius R30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100 and a 3-1 th radius 31 . The second body 410B has a third radius R30 based on the axis of the shaft 100 and a 3-2 radius 32 different from the 3-1 radius 31 . For example, the 3-1 th radius 31 may be greater than the 3-2 th radius 32 .

도 6은 제1 버스바(400A)와 제3 버스바(400C)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제2 버스바(400B)와 제3 버스바(400C)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first bus bar 400A and a third bus bar 400C,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econd bus bar 400B and a third bus bar 400C.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버스바(400)는 바디(410)와 바디(410)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단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410)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라운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단자(420A)는 바디(410)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테이터(300)의 코일(33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단자(420B)는 바디(410)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코일(330)과 연결되는 버스바(400)의 모든 단자(420A)들은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5 to 7 , the bus bar 400 may include a body 410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420 extending from the body 410 . The body 410 may have a round shap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me terminals 420A may extend radially from the body 410 to be connected to the coil 330 of the stator 300 . In addition, the other terminal 420B may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body 41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ll terminals 420A of the bus bar 400 connected to the coil 33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radial direction.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버스바(400C)의 제1 바디(410A)는 제1 버스바(400A)의 바디(410)와 동일한 원형 궤도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반경(R30)은 제3 버스바(410C)의 제1 영역(S1) 즉, 제1 바디(410A)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제1 버스바(410A)의 제1 반경(R1)과 동일할 수 있다. 반면에, 제3 버스바(400C)의 제2 바디(410B)는 제1 버스바(400A)의 바디(4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4 and 6 , the first body 410A of the third bus bar 400C may be disposed on the same circular track as the body 410 of the first bus bar 400A. That is, the third radius R30 is the first radius R1 of the first bus bar 410A in the first area S1 of the third bus bar 410C, that is, in the area where the first body 410A is located. may be the same a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ody 410B of the third bus bar 400C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410 of the first bus bar 400A.

따라서, 제1 버스바(400A) 중 반경방향으로 제3 버스바(400C)와 오버랩되는 영역에서는, 제3 버스바(400C)의 단자(420)들이 제1 버스바(400A)의 바디(410)를 넘어가도록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3 버스바(400C)의 단자(420)와 제1 버스바(400A)의 바디(410)가 오버랩되는 영역이 존재한다.Accordingly, in the area of the first bus bar 400A overlapping the third bus bar 400C in the radial direction, the terminals 420 of the third bus bar 400C are connected to the body 410 of the first bus bar 400A. ) may be extended to pass over. Accordingly,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there is a region where the terminal 420 of the third bus bar 400C and the body 410 of the first bus bar 400A overlap.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버스바(400C)의 제2 바디(410B)는 제2 버스바(400B)의 바디(410)와 동일한 원형 궤도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반경(R30)은 제3 버스바(410C)의 제2 영역(S2) 즉, 제2 바디(410B)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제2 버스바(410B)의 제2 반경(R2)과 동일할 수 있다. 4 and 7 , the second body 410B of the third bus bar 400C may be disposed on the same circular orbit as the body 410 of the second bus bar 400B. That is, the third radius R30 is the second radius R2 of the second bus bar 410B in the second area S2 of the third bus bar 410C, that is, in the area where the second body 410B is located. may be the same as

반면에, 제3 버스바(400C)의 제1 바디(410A)는 제2 버스바(400B)의 바디(4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스바(400A) 중 반경방향으로 제2 버스바(400B)와 오버랩되는 영역에서는, 제2 버스바(400B)의 단자(420)들이 제3 버스바(400C)의 제1 바디(410A)를 넘어가도록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3 버스바(400C)의 제1 바디(410A)와 제3 버스바(400C)의 단자(420)가 오버랩되는 영역이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ody 410A of the third bus bar 400C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ody 410 of the second bus bar 400B. Accordingly, in the area of the first bus bar 400A overlapping the second bus bar 400B in the radial direction, the terminals 420 of the second bus bar 400B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of the third bus bar 400C. It may be arranged to extend beyond 410A. Accordingly,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there is a region where the first body 410A of the third bus bar 400C and the terminal 420 of the third bus bar 400C overlap.

도 8은 도 3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버스바(400) 및 버스바 홀더(500)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s bar 400 and the bus bar holder 500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이와 같은 제1 버스바(400A)와, 제2 버스바(400B)와, 제3 버스바(400C)는, 버스바 홀더(500)의 반경방향 폭(W1)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버스바(400)가 3개이지만,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버스바(400)의 개수를 2개로 줄인다.The first bus bar 400A, the second bus bar 400B, and the third bus bar 400C are for reducing the radial width W1 of the bus bar holder 500, for example, , although there are three bus bars 400 , the number of bus bars 400 overlapping in the radial direction is reduced to two.

도 8을 참조하면,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버스바(400)와 버스바(400) 사이도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때문에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버스바(400)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버스바 홀더(500)의 반경방향 폭(W1)은 증가한다.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버스바(400)의 개수를 줄이면, 버스바(400)의 반경방향 폭(W2,W3)를 줄이지 않으면서도 버스바 홀더(500)의 반경방향 폭(W1)을 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the bus bar 400 and the bus bar 400 should als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herefore, as the number of bus bars 400 overlapping in the radial direction increases, the radial width W1 of the bus bar holder 500 increases. If the number of the bus bars 400 overlapping in the radial direction is reduced, the radial width W1 of the bus bar holder 500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the radial widths W2 and W3 of the bus bars 400 . .

버스바(400)가 모두 3개가 마련되지만, 제3 버스바(400C)의 구조적 특징과 배치로 인하여,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버스바(400)의 개수를 2개로 줄일 수 있다. 때문에, 버스바 홀더(500)는 반경방향 폭(W1)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버스바 홀더(500)의 내측 공간이 확보되면서, 버스바 홀더(500)의 내측으로 베어링(600)과 베어링 하우징(700)의 일부를 배치할 수 있다.Although all three bus bars 400 are provided, the number of bus bars 400 overlapping in the radial direction can be reduced to two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rrangement of the third bus bar 400C. Therefore, the bus bar holder 500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radial width W1, thereby securing the inner space of the bus bar holder 500, and the bearing 600 and the inner side of the bus bar holder 500. A part of the bearing housing 700 may be disposed.

도 8에 도시한 제2 버스바(400B)와 제3 버스바(400C)의 단면은 각각 바디(410) 부분이며f, 바디(410)의 축방향 길이(H2,H3)가 반경방향 폭(W2,W3)보다 길게 형성된다. 측, 버스바(400)는 바디(410)가 세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 홀더(500)의 축방향 길이(H1)가 반경방향 폭(W1)보다 크게 배치된다.The cross-sections of the second bus bar 400B and the third bus bar 400C shown in FIG. 8 are each a body 410 part f, and the axial lengths H2 and H3 of the body 410 are the radial widths ( It is formed longer than W2 and W3). The side, the bus bar 40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body 410 is erected. And the axial length H1 of the bus bar holder 500 is disposed to be greater than the radial width W1.

전술된 실시예에는 이너 로터형 모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아우터 로터형 모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차량용 또는 가전용 등 다양한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ner rotor type moto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n outer rotor type motor.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vehicles or home appliances.

100: 샤프트
200: 로터
300: 스테이터
400: 버스바
400A: 제1 버스바
400B: 제2 버스바
400C: 제3 버스바
410: 바디
420: 단자
410A: 제1 바디
410B: 제2 바디
410C: 밴딩부
500: 버스바 홀더
600: 베어링
700: 베어링 하우징
800: 하우징
100: shaft
200: rotor
300: stator
400: bus bar
400A: first bus bar
400B: second bus bar
400C: third bus bar
410: body
420: terminal
410A: first body
410B: second body
410C: bending part
500: busbar holder
600: bearing
700: bearing housing
800: housing

Claims (10)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모터.
shaft;
a rotor coupled to the shaft; and
It includes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 bus bar disposed on the stator and a bus bar holder supporting the bus bar;
a bearing supporting the shaft and a bearing housing supporting the bearing,
The bearing, the bearing housing, and the bus bar holder are disposed to overlap in a radial direction of an axis of the shaft.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제3-1 반경을 갖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반경과 상이한 제2 반경을 갖는 제3-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모터.
shaft;
a rotor coupled to the shaft; and
It includes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 bus bar disposed on the stator;
The bus bar includes a first body having a 3-1 radius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a 3-2 body having a second radius different from the first radius, and connec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 motor including a bending part.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버스바는 제1 반경을 갖으며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제1 반경과 상이한 제2 반경을 갖고,
상기 제3 버스바는 상기 제1 반경과 상기 제2 반경 사이의 거리인 제3 반경을 갖는 모터.
shaft;
a rotor coupled to the shaft; and
It includes a stator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rotor,
a bus bar disposed on the stator;
The bus bar includes a first bus bar, a second bus bar and a third bus bar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the first bus bar has a first radius and the second bus bar has a second radius different from the first radius;
The third bus bar has a third radius, which i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us and the second radiu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일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베어링과 상기 버스바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bearing housing is disposed between the bearing and the busbar holder in a radial direction of an axis of the shaf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일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버스바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bearing housing is disposed to overlap the bus bar in a radial direction of an axis of the shaf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인슐레이터의 최단거리는 상기 버스바 홀더의 상단과 상기 인슐레이터의 최단거리보다 작은 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or includes a stator core, an insulator coupled to the stator core, and a coil disposed on the insulator,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bearing housing and the insulator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us bar holder and the insulato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버스바, 제2 버스바 및 제3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스바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스바는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버스바는 상기 제2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모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us bar includes a first bus bar, a second bus bar and a third bus bar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shaft,
The first bus bar includes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and the bending part,
The second bus bar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and the third bus bar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bod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경은 상기 제3 버스바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반경과 동일하고, 상기 제3 버스바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반경과 동일한 모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hird radius of the motor is the same as the first radius in the first area of the third bus bar and the same as the second radius in the second area of the third bus bar.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버스바의 바디는 상기 샤프트의 축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모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us bar includes a body and a terminal extending from the body,
A motor in which the bodies of the plurality of bus bars overlap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of an axis of the shaft.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폭이 축방향 길이보다 작은 모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us bar holder has a radial width smaller than an axial length with respect to an axis of the shaft.
KR1020200135229A 2020-10-19 2020-10-19 Motor KR202200516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29A KR20220051615A (en) 2020-10-19 2020-10-19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29A KR20220051615A (en) 2020-10-19 2020-10-19 Mo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15A true KR20220051615A (en) 2022-04-26

Family

ID=8139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229A KR20220051615A (en) 2020-10-19 2020-10-19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161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5063B2 (en) Wire-connection structure of motor
JP2020124105A (en) motor
WO2014083947A1 (en) Electric motor
US11271448B2 (en) Stator,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US11670979B2 (en) Stator
WO2020039961A1 (en) Motor,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motor manufacturing method, bus bar unit, and bus bar unit manufacturing method
US10840656B2 (en) Bus bar unit and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the same
JP6353722B2 (en) Bus bar unit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JP6350543B2 (en) Powe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ring and electric motor
JP2018148667A (en) Rotary electric machine
KR20220051615A (en) Motor
KR20170086918A (en) BUSBAR assembly, moto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WO2013179491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sta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vehicle
US11368069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unit
KR20220142715A (en) Motor
US20240088738A1 (en) Motor
EP3840188B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WO2015083229A1 (en) Electric power collection/distribution ring and electric motor
JPWO2016162920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WO2013147126A1 (en) Motor
KR20230064832A (en) Motor
WO2013179488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sta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vehicle
KR20220164204A (en) Motor
JP4599854B2 (en) AC rotating electric machine
KR20240036861A (en) Mo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