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735A -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735A
KR20220050735A KR1020210060558A KR20210060558A KR20220050735A KR 20220050735 A KR20220050735 A KR 20220050735A KR 1020210060558 A KR1020210060558 A KR 1020210060558A KR 20210060558 A KR20210060558 A KR 20210060558A KR 20220050735 A KR20220050735 A KR 2022005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ttery
battery
activation
c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694B1 (ko
Inventor
장관순
김두권
Original Assignee
에코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5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735A/ko
Priority to KR102023008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충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 스와핑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제공받아 충전할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QR 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여 충전을 수행하고, 충전된 새로운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OF CERTIFYING GENUINE PRODUCT OF BATTERY FOR VEHICLE THROUGH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 스와핑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제공받아 충전할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QR 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여 충전을 수행하고, 충전된 새로운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일상생활 속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소비재로서 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효율성과 편의성은 인간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있지만, 배출가스로 인한 환경오염과 화석연료의 한계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업계에서는 국가적 에너지 정책에 기반으로 새로운 수익 모델로서 전기자동차를 개발하고 대중화를 시키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 산업은 환경보호와 자동차 기술 개발의 해결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대기 환경오염과 급변하는 에너지환경 변화에 따라 주목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사용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성능과 이용효율에 직결되는 필수조건인 전기자동차 충전소 등의 인프라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소는 독립된 충전 공간이 부족하며, 전기자동차를 장시간 충전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장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된 배터리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이 개발되었으며,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여러 공공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서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할 때, 배터리가 정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규격에 맞지 않거나 올바른 권한이 아닌 부적합 배터리가 사용되는 경우 충전 스테이션의 고장 원인이 되었으며, 화재와 같은 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 스와핑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제공받아 충전할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QR 코드를 통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충전된 새로운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충전 스테이션에서 비어 있는 배터리 슬롯에 장착되는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QR 코드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품으로 확인되면 충전을 허용하고, 충전된 새로운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수령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0977호(2016.05.11.)는 전기차량 배터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인증정보를 가지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량의 운전자에 의한 시동 요청 명령 발생 시 상기 배터리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시동인증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해 수신되는 인증결과정보에 의해 상기 배터리가 정품 배터리인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배터리에 의한 시동 전원을 공급하여 시동을 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동 인증부; 및 정품 배터리들에 대한 배터리 인증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시동 인증부로부터 시동인증요청신호의 수신시 포함된 배터리 인증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미리 가지고 있는 배터리 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배터리 인증정보의 배터리에 대한 인증 수행 후, 그 인증결과정보를 상기 시동 인증부로 제공하는 배터리 인증 서버부를 포함하는 전기차량 배터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발명은 전기차량의 시동 시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가 인증된 정품 배터리인지 검증한 후 검증된 정품 배터리에 대해서만 시동을 걸기 위한 시동전원을 공급하여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량 배터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QR 코드를 통해서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충전된 새로운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상기 선행발명과 본 발명은 현저한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19491호(2012.03.06.)는 임대한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 구동원을 확보하기 위한 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충전소 및 차량정비소에 설치된 충전기에서 여러개의 충전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수납 공간Case들과 교환할 방전된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빈 수납공간Case를 가진 충전시스템에서 수납공간Case에 보관된 충전배터리를 수납공간의 잠금장치를 제어 및 감시하여 배터리 반출입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임대배터리 충전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임대한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선행발명은 임대 배터리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충전인프라 구성시 스마트그리드 전력망 구성이 용이하고 , 가장 싼 비용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게 함으로써 충전비용 절감으로 충전서비스의 제공자의 이익증대를 통한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의 품질을 향상 , 신속한 교환서비스로 인해서 운전자에게 전기자동차 충전대기시간에 대한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QR 코드(또는 바코드, 시리얼 번호)를 통해서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여 올바른 권한을 가진 차량용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상기 선행발명과 본 발명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충전할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 발행이 요청되면, 정품인증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발행하여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소유한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 스와핑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제공받아 충전할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또는 바코드, 시리얼 번호)와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올바른 권한을 가진 차량용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스테이션에서 비어 있는 배터리 슬롯에 장착되는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정품인증 서버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품이면 충전을 진행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충전된 새로운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스테이션에서 정품인증을 수행한 차량용 배터리만을 대상으로 충전을 수행함으로써, 부적합한 차량용 배터리로 인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고장이나 결함을 방지하고 화재와 같은 사고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를 정품인증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할 때, 상기 정품인증 서버에서 상기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QR 코드의 위변조에 따른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차량용 배터리별 정품인증 정보, 각 차량용 배터리를 현재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결제정보, 각 차량용 배터리별 상태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 슬롯에 삽입된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NFC 등을 통해 획득한 배터리 상태정보(충전량, 충전횟수 등)를 정품인증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정품인증 서버에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도록 하며, 배터리 수명과 관련한 충전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여 수명이 다 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회수 및 보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품인증 서버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 정보,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스와핑되는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당한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고, 적합한 차량에 사용되는지를 인증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및 차량용 배터리의 도난이나 분실을 방지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발행하는 QR 코드 발행부; 및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정품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정품인증부를 통해 정품으로 인증된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허용하고,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대신하여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하도록 하며, 상기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하기 이전에 해당 차량용 배터리의 소유와 관련한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각 차량용 배터리별 정품인증 정보,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중인 사용자 정보, 각 사용자별 결제정보, 및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별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 관리부는, 배터리 슬롯에 장착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NFC를 포함한 무선통신을 통해서 획득한 충전량이나 충전횟수를 포함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며,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확인한 결과, 배터리 수명과 관련한 충전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면, 수명이 지난 해당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회수 및 보충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통해서 정품인증을 수행할 때, 상기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QR 코드의 위변조에 따른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변조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부는,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 정보,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스와핑되는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차량 정보,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당한 소유자에 의해 소유되어 적합한 차량에 사용되는지를 인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발행하는 QR 코드 발행 단계; 및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정품인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서, 상기 정품인증 단계를 통해 정품으로 인증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허용하고,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대신하여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하도록 하며, 상기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하기 이전에 해당 차량용 배터리의 소유와 관련한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각 차량용 배터리별 정품인증 정보,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중인 사용자 정보, 각 사용자별 결제정보, 및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별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 관리 단계는,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배터리 슬롯에 장착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NFC를 포함한 무선통신을 통해서 획득한 충전량이나 충전횟수를 포함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확인한 결과, 배터리 수명과 관련한 충전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면, 수명이 지난 해당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회수 및 보충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통해서 정품인증을 수행할 때, 상기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QR 코드의 위변조에 따른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변조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 단계는,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 정보,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스와핑되는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정보,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당한 소유자에 의해 소유되어 적합한 차량에 사용되는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충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 스와핑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제공받아 충전할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QR 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여 충전을 수행하고, 충전된 새로운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수령하도록 함으로써, 정품으로 인증받지 못한 부적합한 차량용 배터리의 사용으로 인한 충전 스테이션의 고장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의 정품인증 수행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배터리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동 오토바이, 전동 자전거, 전동 킥보드 등에서 사용되는 소정 규격에 맞는 모든 배터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100), 사용자 단말(200), 결제 서버(300), 정품인증 서버(400), 데이터베이스(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배터리 스와핑을 통해서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충전된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복수의 배터리 슬롯(180)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비어 있는 배터리 슬롯(180)에 삽입한 다음, 다른 배터리 슬롯(180)에 장착되어 있는 충전된 차량용 배터리로 교환하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슬롯(180)에서 먼저 배출한 다음, 해당 배터리 슬롯(180)에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삽입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배터리 스와핑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인식하고, 이와 함께 충전을 수행할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정품인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며, 정품으로 인증된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허용한다. 여기서,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는 QR 코드에는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의 접속정보, 사용자 정보, 인증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되는 QR 코드에는 제조시 부여된 인증코드,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의 접속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외측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하는 QR 코드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 접속한 다음,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충전을 수행할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 발행을 요청함에 따라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에서 발행한 OTP(One Time Password) 개념의 1회용 인증코드가 포함한 QR 코드로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에 사용되고 나면 폐기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하는 QR 코드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제조할 때 생성한 인증코드가 포함된 QR 코드로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슬롯(18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 슬롯(18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슬롯(180)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의 외측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충전할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바코드 혹은 시리얼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를 통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업데이트한 각 차량용 배터리별 QR 코드, 바코드, 또는 시리얼번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충전할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되어 정품인증을 위해서 사용되는 QR 코드는 해킹, 복사, 위조 등에 의해 불법적으로 사용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에서 각 차량용 배터리별 인증코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가 제공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 및 관리중인 각 차량용 배터리별 인증코드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한 결과 상기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지 않은 유일한 QR 코드로 확인되면 해당 차량용 배터리를 정품으로 인증한다.
이때 상기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관리자에게 불법적인 차량용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음을 즉시 알려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이외에,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 삽입되어 있다면,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록킹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부터 해당 차량용 배터리의 사양정보(예를 들어, 차량용 배터리의 물리적인 크기, 및 배터리 용량, 충전전류, 충전전압 등에 대한 전기적인 특성 등을 포함한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제공받은 사양정보와 사용자가 보유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통해 수신한 사양정보가 상호간에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사양정보가 상호간에 일치하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허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물리적인 크기나 전기적인 특성도 일치하는지를 추가로 확인함으로써, 규격에 맞지 않고 부적합한 차량용 배터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의 고장이나 결함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화재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기 저장된 비용결제용 QR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비용결제용 QR 코드에 기록된 정보를 토대로 차량용 배터리 충전에 따른 비용이 미리 결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일괄적인 충전비용을 결제하지 않고,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량에 따라서 충전비용을 차등하여 결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상기 배터리 슬롯(180)에 장착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NFC를 포함한 무선통신으로 획득한 충전량이나 충전횟수를 포함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 제공하여,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에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에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 배터리 수명과 관련한 충전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면, 수명이 다 된 것으로 판단하며, 수명이 다 된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특정 충전 스테이션(100)에 위치한 수명이 지난 해당 차량용 배터리의 회수 및 보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배터리 상태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별 차량용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렇게 관리되는 각 사용자별 차량용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토대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많은 사용자에게 차량용 배터리의 소모에 따른 비용을 추가로 과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로서,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충전을 수행할 특정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에 사용할 QR 코드의 발행을 요청하며,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에서 발행한 QR 코드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QR 코드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 구비된 카메라의 전면에 제시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에서의 정품인증을 통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결제 서버(300)에 접속하고, 상기 결제 서버(300)의 결제 요청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 충전에 따른 비용을 미리 결제하며, 결제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를 상기 결제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의 안내를 통해 상기 결제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 제시하여 배터리 스와핑에 따른 비용 결제를 수행한다.
상기 결제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의 이용에 따른 비용을 미리 결제하고, 상기 결제한 정보를 토대로 비용결제용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비용결제용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QR 코드에 대한 정보(예: 인증코드)가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여 관리중인 각 차량용 배터리별 QR 코드에 포함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를 통해서 생성한 정품인증 결과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한 QR 코드에 포함된 인증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지 않은 유일한 QR 코드일 경우에만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정품으로 인증한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각 차량용 배터리별 정품인증 정보, 각 차량용 배터리를 현재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결제정보, 각 차량용 배터리별 상태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현재 어느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추적하는 것은 물론, 배터리 스와핑된 장소, 시간, 이용횟수, 배터리 정보 등을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를 통해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향후 차량용 배터리의 불량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 발생시 원인 규명이나 책임 소재를 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상기 정품인증 결과와 함께 해당 차량용 배터리의 사양정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 제공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과 함께 사양정보도 일치하여야 충전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각 충전 스테이션(100)에 각 차량용 배터리별 QR 코드, 바코드, 또는 시리얼번호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로컬단의 각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QR 코드와 비교하여 정품인증을 직접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 정보,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스와핑되는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누적하여 저장, 관리하도록 하며, 상기 차량 정보,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정당한 소유자가 소지하고 있고, 적합한 차량에 사용되는지를 인증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당한 소유자가 소지하고 있고, 적합한 차량에 사용되는지를 추가로 인증함으로써, 차량 및 차량용 배터리의 도난이나 분실을 방지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제 서버(300)와 정품인증 서버(400)를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QR 코드 발행요청 수신부(410), QR 코드 발행부(420), 정품인증 요청 수신부(430), 위변조 확인부(440), 정품인증부(450), 정품인증 결과 제공부(460), 차량용 배터리 관리부(4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QR 코드 발행요청 수신부(4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가 소유한 특정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 발행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특정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 발행요청을 상기 QR 코드 발행부(420)로 출력한다.
상기 QR 코드 발행부(420)는 상기 QR 코드 발행요청 수신부(410)를 통해 수신한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 발행요청에 따라 특정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발행하고, 상기 발행한 QR 코드를 해당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발행한 상기 QR 코드는 1회용으로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에 사용되면 자동으로 폐기, 처리된다.
상기 정품인증 요청 수신부(4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특정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QR 코드 발행부(420)에서 발행된 QR 코드(즉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품인증부(450)로 출력한다.
상기 위변조 확인부(440)는 상기 정품인증부(45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 및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QR 코드가 다른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정품인증부(450)로 제공한다. 즉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인증코드가 다른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QR 코드의 위변조에 따른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정품인증부(450)는 상기 정품인증 요청 수신부(430)를 통해 수신한 상기 QR 코드 발행부(420)에서 발행된 QR 코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차량용 배터리별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에 포함된 인증정보나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일치하면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여부를 인증하고, 상기 정품여부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정품인증 결과 제공부(46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된 QR 코드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확인한 해당 차량용 배터리를 현재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부(450)는 상기 위변조 확인부(440)에서 확인한 결과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유일한 QR 코드이면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를 정품으로 인증한다. 이때 상기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정품인증부(450)는 상기 QR 코드가 불법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이나 관리자 단말로 즉시 알려 위변조에 대하여 경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상기 배터리 슬롯(180)에 삽입된 해당 차량용 배터리를 록킹할 수도 있다.
상기 정품인증 결과 제공부(460)는 상기 정품인증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여부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정품인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정품인증 결과를 압축 후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충전 스테이션(100)으로 전송한다. 즉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상기 정품인증 결과를 토대로 통해 정품으로 인증된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허용하고, 상기 특정 차량용 배터리를 대신하여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용 배터리 관리부(470)는 각 차량용 배터리별 정품인증 정보,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중인 사용자 정보, 각 사용자별 결제정보, 및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별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의 정품인증 수행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100)은 정품인증 수행부(110), 비용지불 확인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로그 수집부(150), 통신 인터페이스부(160), 충전 제어부(170), 배터리 슬롯(180), 어댑터(1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드웨어적으로는 메모리 및 이들을 연결하는 버스와 각종 인터페이스 카드 등을 포함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상기 메모리에 프로세서를 통해서 구동할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나 네트워크상의 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데이터베이스 등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품인증 수행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를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 제공하고,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부터 정품인증 결과를 제공받아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정품인증 수행부(110)는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를 통한 정품인증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허용하고, 대신에 새로운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품인증 수행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 인식부(111), 정품인증 확인 요청부(112), 정품인증 결과 수신부(113), 정품인증 확인부(1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QR 코드 인식부(111)는 카메라로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의 외측이나 각 배터리 슬롯(18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즉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에서 1회용으로 발행한 QR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QR 정보를 상기 정품인증 확인 요청부(11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QR 코드 인식부(111)는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QR 정보를 상기 정품인증 확인 요청부(112)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QR 코드 인식부(111)에서 인식한 QR 코드에는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의 접속정보, 정품인증을 위한 인증코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정품인증 확인 요청부(112)는 상기 QR 코드 인식부(111)를 통해 인식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QR 코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요청한다.
상기 정품인증 결과 수신부(113)는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부터 상기 정품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품인증 결과를 상기 정품인증 확인부(114)로 출력한다.
상기 정품인증 확인부(114)는 상기 정품인증 결과 수신부(113)로부터 제공받은 정품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품인지의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정품인증 수행부(110)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품인지의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것과 함께,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사양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으며, QR 코드 이외에 바코드 혹은 시리얼번호를 통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품인증 수행부(110)는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부터 각 차량용 배터리별 QR 코드, 바코드, 또는 시리얼번호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를 통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비용지불 확인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는 비용결제용 QR 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비용을 사전에 결제하였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비용지불 확인부(120)는 상기 결제 서버(30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현재 남아 있는 금액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한 결과,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금액이 부족하면, 상기 비용지불 확인부(120)는 상기 표시부(140)를 통해 충전 서비스 이용을 위한 비용 지불을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직접 비용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복수의 배터리 슬롯(180)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 슬롯에 구비된 셔터(181)의 오픈 및 클로즈를 제어하여, 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와 교환하는 스와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정품인증 수행부(110)에서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를 통해 수행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소유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과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의 스와핑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정품인증이 수행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량에 따라 충전비용을 차등하여 결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로그 수집부(150)에서의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스와핑을 수행하는 각 사용자별 결제 정보 및 이용 정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에 대한 로그의 생성을 제어하며, 상기 생성한 각 사용자별 결제 정보 및 이용 정보, 정품인증에 대한 로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상기 결제 서버(300) 및 정품인증 서버(400)로 제공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결제 서버(300)에서 사용자가 사전에 결제한 비용에서 현재 이용한 배터리 스와핑에 따른 비용을 차감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에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각 사용자별 배터리 스와핑을 수행한 장소, 시간, 이용횟수, 배터리 정보(예: 제조일자, 충전횟수 등) 등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충전 제어부(170)를 통해 상기 배터리 슬롯(180) 내에 구비된 어댑터(190)에 유선 접속된 각 차량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표시부(140)를 통해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 충전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지불 확인, 차량용 배터리의 스와핑 안내 등을 표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차량용 배터리의 스와핑을 수행할 때, 센서(미도시)를 통해 상기 배터리 슬롯(180) 내에 손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셔터(181)가 닫혀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LED, LCD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의 전면이나 상기 배터리 슬롯(180)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를 통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 결과, 충전상태, 충전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지불 확인,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스와핑 안내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배터리 슬롯(180)에 장착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 또는 충전중인 상태를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거나 단계별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충전일 경우에는 녹색으로, 충전중일 경우에는 적색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충전 단계를 10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색상변화나 단계별 변화를 통해서 스와핑 가능한 차량용 배터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그 수집부(15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QR 코드를 활용한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 결과,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스와핑을 수행하는 각 사용자별 결제 정보 및 이용 정보에 대한 로그를 생성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60)는 상기 로그 수집부(150)에서 생성한 로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결제 서버(300) 혹은 정품인증 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6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를 토대로 상기 결제 서버(300)로부터 실시간으로 관리중인 각 사용자의 충전 서비스 이용을 위한 현재 남아 있는 금액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상기 비용지불 확인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부(170)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슬롯(180)에 각각 구비된 어댑터(190)를 통해 유선 접속된 각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충전 제어부(170)는 상기 어댑터(190)를 통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71), 정전이 발생되거나 전압이 급상승 또는 급하강할 때 상기 어댑터(190)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172), 상기 어댑터(190)에 차량용 배터리가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의 여부, 상기 어댑터(19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어댑터 상태 인식부(173), 상기 배터리 슬롯(180)에 장착된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와 NFC, 블루투스, 지그비 및 비콘을 포함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각 차량용 배터리별 충전량(SoC: State of Charge), 충전횟수(SoH: State of Health), 배터리 불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배터리 상태정보는 물론,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의 물리적인 크기와 전기적인 특성을 포함하는 사양정보를 확인하는 배터리 상태정보 확인부(174), 과전류, 과전압, 과충전이 발생하면 해당 어댑터(190)와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보호하는 배터리 보호부(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슬롯(180)은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수납되는 공간으로서, 복수개 구비되며, 전면에는 셔터(181)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슬롯(180)의 전면 혹은 외곽에는 수납된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190)는 상기 배터리 슬롯(18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차량용 배터리와 상기 충전 제어부(170)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용전원 공급을 통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 운행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가 방전되면 사용자는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들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이 설치된 장소에 방문한 다음,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 구비된 입력수단(예: 터치패드)을 조작하여 차량용 배터리 충전 서비스 이용을 선택한다.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충전대상이 되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안내를 수행하고, 상기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정품인증 서버(400)로 통신 접속을 진행한다(S100).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통신 접속을 수행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 발행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고(S200), 상기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 발행이 요청되면, 사용자 정보, 시간, 접속정보 등이 포함된 QR 코드를 발행하고, 상기 발행한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S300).
이렇게 상기 S100 단계 내지 S300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가 발행된 이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QR 코드를 인식하고, 충전을 수행할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한다(S400).
상기 S400 단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QR 코드 및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부착된 QR 코드를 각각 인식한 이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요청한다(S500).
상기 S500 단계를 통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요청받은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되는 QR 코드의 위변조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위변조가 되지 않은 유일한 QR 코드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한다(S600).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확인한 해당 차량용 배터리를 현재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S600 단계를 통해 정품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 전송한다(S700).
그러면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정품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허용하여 충전을 진행하고,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대신하여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수령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800).
이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은 사용자가 상기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하기 이전에, 교체할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정보(예: 충전량이나 충전횟수 등의 상태정보, 사용자 정보 등)를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로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에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업데이트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정품인증 서버(400)는 상기 S600 단계를 통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할 때, 상기 정품인증이 수행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사양정보(예: 물리적인 크기, 및 배터리 용량, 충전전류, 충전전압 등에 대한 전기적인 특성 등을 포함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추출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100)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품인지를 확인하는 것과 함께, 물리적인 크기나 전기적인 특성도 일치하는지를 추가로 확인하여, 규격에 맞지 않고 부적합한 차량용 배터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이나 사고의 발생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충전 스테이션에서 배터리 스와핑을 수행하는 사용자로부터 방전된 차량용 배터리를 제공받아 충전할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QR 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여 충전을 수행하고, 충전된 새로운 차량용 배터리로 교체하여 수령하도록 하기 때문에, 정품으로 인증받지 못한 부적합한 차량용 배터리의 사용으로 인한 충전 스테이션의 고장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충전 스테이션 110 : 정품인증 수행부
111 : QR 코드 인식부 112 : 정품인증 확인 요청부
113 : 정품인증 결과 수신부 114 : 정품인증 확인부
120 : 비용지불 확인부 130 : 제어부
140 : 표시부 150 : 로그 수집부
16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70 : 충전 제어부
171 : 전원부 172 : UPS
173 : 어댑터 상태 인식부 174 : 배터리 상태정보 확인부
175 : 배터리 보호부 180 : 배터리 슬롯
181 : 셔터 190 : 어댑터
200 : 사용자 단말 300 : 결제 서버
400 : 정품인증 서버 410 : QR 코드 발행 요청부
420 : QR 코드 발행부 430 : 정품인증 요청 수신부
440 : 위변조 확인부 450 : 정품인증부
460 : 정품인증 결과 제공부 470 : 차량용 배터리 관리부
5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발행하는 QR 코드 발행부; 및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정품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정품인증부를 통해 정품으로 인증된 사용자가 소지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허용하고,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대신하여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하도록 하며, 상기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하기 이전에 해당 차량용 배터리의 소유와 관련한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각 차량용 배터리별 정품인증 정보,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중인 사용자 정보, 각 사용자별 결제정보, 및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별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관리부는,
    배터리 슬롯에 장착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NFC를 포함한 무선통신을 통해서 획득한 충전량이나 충전횟수를 포함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며,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확인한 결과, 배터리 수명과 관련한 충전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면, 수명이 지난 해당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회수 및 보충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통해서 정품인증을 수행할 때, 상기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QR 코드의 위변조에 따른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변조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부는,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 정보,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스와핑되는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차량 정보,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당한 소유자에 의해 소유되어 적합한 차량에 사용되는지를 인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7.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발행하는 QR 코드 발행 단계; 및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정품인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서, 상기 정품인증 단계를 통해 정품으로 인증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을 허용하고, 상기 차량용 배터리를 대신하여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하도록 하며, 상기 충전된 다른 차량용 배터리를 교체하여 수령하기 이전에 해당 차량용 배터리의 소유와 관련한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각 차량용 배터리별 정품인증 정보,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중인 사용자 정보, 각 사용자별 결제정보, 및 상기 각 차량용 배터리별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차량용 배터리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관리 단계는,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배터리 슬롯에 장착된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NFC를 포함한 무선통신을 통해서 획득한 충전량이나 충전횟수를 포함한 배터리 상태정보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상태정보를 확인한 결과, 배터리 수명과 관련한 충전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면, 수명이 지난 해당 차량용 배터리에 대한 회수 및 보충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한 QR 코드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인식한 QR 코드를 통해서 정품인증을 수행할 때, 상기 QR 코드가 다른 충전 스테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QR 코드의 위변조에 따른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위변조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단계는,
    상기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 정보,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스와핑되는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정보, 차량용 배터리 및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가 정당한 소유자에 의해 소유되어 적합한 차량에 사용되는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KR1020210060558A 2020-10-16 2021-05-1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7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099A KR20230107775A (ko) 2020-10-16 2023-07-07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516 2020-10-16
KR20200134516 2020-10-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099A Division KR20230107775A (ko) 2020-10-16 2023-07-07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735A true KR20220050735A (ko) 2022-04-25
KR102574694B1 KR102574694B1 (ko) 2023-09-06

Family

ID=814521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558A KR102574694B1 (ko) 2020-10-16 2021-05-1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30088099A KR20230107775A (ko) 2020-10-16 2023-07-07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099A KR20230107775A (ko) 2020-10-16 2023-07-07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46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4039A1 (ko) * 2022-09-06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그의 제어 방법 및 배터리 교환 시스템
WO2024063392A1 (ko) *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배터리 부정 사용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243A (ko) * 2012-01-11 2013-07-19 노윤근 Qr 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
KR102037606B1 (ko) * 2018-05-31 2019-10-28 (주)한국중흠 제품식별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17134A (ko) * 2019-04-03 2020-10-14 강신준 배터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배터리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243A (ko) * 2012-01-11 2013-07-19 노윤근 Qr 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 방법
KR102037606B1 (ko) * 2018-05-31 2019-10-28 (주)한국중흠 제품식별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17134A (ko) * 2019-04-03 2020-10-14 강신준 배터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배터리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4039A1 (ko) * 2022-09-06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그의 제어 방법 및 배터리 교환 시스템
WO2024063392A1 (ko) *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배터리 부정 사용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694B1 (ko) 2023-09-06
KR20230107775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8926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ending, charging, and two-way distribution of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KR20230107775A (ko)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을 수행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JP5490473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電気自動車及びメンテナンスサービスシステム
EP1606708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oftware module to an automotive vehicle control unit,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8798852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vehicular components
JP5681270B2 (ja) 管理装置
JP5489302B2 (ja) 電動車両用給電システム
CN102110994B (zh) 一种电动车充电站管理系统及充电方法
WO2014180419A1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相应的车载充电设备、设备管理器
WO2014180259A1 (zh) 一种车载充电设备与服务网络交互的方法及相应设备
KR102382606B1 (ko) 자동 인증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장치
CN111932780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电力管理系统
CN113978291A (zh) 一种充电系统、充电方法及集成设备
CN116101116B (zh) 充电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103761B (zh) 新能源车的充电故障追溯方法与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KR20220050736A (ko) 차량용 배터리의 정품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094057A (zh) 供电装置、供电系统及其使用方法
KR20110060099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EP3960531A1 (en) A system for processing a charging fee of an electric vehicle with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utilizing a charging data with the same
KR10243993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220158997A (ko) IoT 기반 전기자동차 상용전원 충전 시스템
KR102619335B1 (ko) 차량 교환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US2023003468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capable of integrating multiple identities
KR20220050739A (ko)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스테이션 시스템
KR20220050750A (ko) 차량용 배터리 충전 스테이션의 부하 밸런싱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