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264A -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264A
KR20220050264A KR1020200133279A KR20200133279A KR20220050264A KR 20220050264 A KR20220050264 A KR 20220050264A KR 1020200133279 A KR1020200133279 A KR 1020200133279A KR 20200133279 A KR20200133279 A KR 20200133279A KR 20220050264 A KR20220050264 A KR 2022005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transmitter
signal
receiver
emergenc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빈
정재학
김남영
박동규
최원희
김인화
남충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뮨
Priority to KR1020200133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264A/ko
Publication of KR2022005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록-위치 송신기는 위치 수신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응급 호출을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지시하는 트리거와, 트리거가 응급 호출을 지시하면 무선 송수신부가 응급 호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DEVICE AND SYSTEM FOR EMERGENCY CALL SERVICE}
본 발명은 대인 업무 수행자 보호를 위한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인 업무를 수행하는 의료 서비스 직군, 숙박 서비스 직군, 운송 서비스 직군의 종사자, 예를 들어 의료진, 호텔업 종사자, 승무원 등은 매우 다양한 범위의 사람들과 상호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적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서비스 직종의 종사자들이 최근 서비스 수행 과정에서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서비스의 경우, 의료기관 내에서 의료인을 대상으로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의 폭행 사건의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피해 정도 또한 언어적 폭력을 넘어서 성추행, 흉기 난동, 사망에 이르는 수준으로 진행하고 있다. 폭언은 의료인의 97%가 당했다고 할 정도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이다.
최근의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사태에서 여실하게 드러났듯이 의료인은 공중보건 유지의 최전선에 있는 공공성 있는 직업이며, 계속되는 폭언, 폭행으로 의료인이 계속하여 낮은 근무 만족도 및 짧은 근속연수가 지속될 경우 이는 국민 모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 병원의 방침과 의료법에 명시된 내용에 따르면 의료인은 타당한 사유 없이는 환자의 치료를 거부할 권리가 없고, 환자의 억지나 폭력에도 방어 위주로 대하는 관성이 있어 본 문제의 개선을 빠르게 기대할 수는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의료진들은 많은 경우 본인의 피해 사실을 알리지 않거나,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대응하므로, 스스로를 보호하기에 제도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호텔업 서비스의 경우에도 호텔 내에 다양한 위치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투숙객 혹은 방문자로부터 폭행이나 폭력을 당할 위험성이 있다.
이에 의료인 등이 녹음 또는 녹화를 통해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발명함으로써, 부당한 폭력을 당할 시 상대를 자극하지 않고 추가적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 내에서 의료진 또는 그 외 공간에서 대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타인의 폭행, 위협, 성희롱하는 상황에서 의료진이나 업무 수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의료진 또는 업무 수행자가 항시 소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비상 사태에서 응급 호출을 포함하는 응급 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응급 호출이 발생하거나 응급 협업이 필요한 경우, 보안 요원이 해당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위기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응급 호출이 발생하거나 응급 협업이 필요한 경우 보안 요원이 해당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한 공간 내의 다양한 장치들과의 협업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록-위치 송신기는 위치 수신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응급 호출을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지시하는 트리거와, 트리거가 응급 호출을 지시하면 무선 송수신부가 응급 호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위치 수신기는 기록-위치 송신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기록-위치 송신기가 송신한 응급 호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부와 무선 송수신부 및 네트워크 연결부를 제어하는 위치 수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는 위치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연결부와, 네트워크 연결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와, 위치 수신기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연결부가 수신한 응급 호출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계산기와 위치 계산기가 산출한 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표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경우, 병원 내에서 의료진 또는 그외 공간에서 대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타인의 폭행, 위협, 성희롱하는 상황에서 의료진이나 업무 수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의료진 또는 업무 수행자가 항시 소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비상 사태에서 응급 호출 또는 응급 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경우, 응급 호출의 발생에 대해 보안 요원이 해당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위기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경우, 응급 호출의 발생에 대해 보안 요원이 해당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한 공간 내의 다양한 장치들과의 협업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록-위치 송신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 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 및 보안팀 통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버(300)와 위치 수신기들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서버(300)와 위치 수신기들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위치 수신기와 기록-위치 송신기가 배치된 경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가 기록-위치 송신기까지 보안 요원이 도달할 수 있도록 최단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병원에서 의료진의 응급 호출과 응급 협업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호텔 종사자, 건물 내에서 넓은 공간을 담당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 등의 응급 호출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응급 호출 신호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응급 협업에 필요한 신호의 송수신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의 하위 구성요소들 역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m개의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와 n 개의 위치 수신기(200a, 200b, ..., 200n), 그리고 기록-위치 송신기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기(350)와 이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기(320)를 포함하는 서버(300), 그리고 보안팀에게 위기 상황을 전달하는 보안팀 통보기(500)로 구성된다. 이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하나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뉘어질 수 있다. 도 1의 구성을 적용할 경우, 병원 내에 스마트 환경에 기반하여 의료진들이 폭언이나 폭력을 당하는 것을 예방하여 의료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는 도 1의 구성을 병원 외의 호텔 등에 적용할 경우, 대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는 소정의 시작수단인 트리거와 주변의 음향 또는 음향/영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음향/영상수신수단을 구비하며, 시작수단이 작동할 시 음향/영상수신수단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기록하고, 자신의 위치를 알아내어 그 위치 정보와 기록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트리거(Trigger)는 버튼, 클립 등과 같은 물리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요소를 일 실시예로 한다. 또는 시작 수단은 마이크와 같이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로 한다. 그 외에도 기록-위치 송신기의 구성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트리거를 구현할 수 있다.
위치 수신기(200a, 200b, ..., 200n)는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가 위치 정보와 기록되는 신호를 송신할 때 그 신호의 수신반경 안에 들어오면 위치 정보와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신호형태로 출력하여 서버(300)에게 수신한 정보 또는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위치 수신기(200a, 200b, ..., 200n)는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가 위치 정보와 기록되는 신호를 송신할 때 그 신호의 수신반경 안에 들어오면 위치 정보와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소정의 신호형태로 출력하여 서버(300)에게 수신한 정보 또는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위치 수신기(200a, 200b, ..., 200n) 에게 소정의 신호 혹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0)를 구성하며 서버(3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위치계산기(350)는 위치 수신기(200a, 200b, ..., 200n)가 생성하여 전달한 신호 혹은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를 계산한다. 위치계산기(350)가 위치를 계산하는 일 실시예는 전달받은 신호 혹은 정보에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경우, 해당 위치 정보를 그대로 적용하거나, 혹은 위치 정보의 오차를 적용하여 새로운 위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위치계산기(350)가 위치를 계산하는 다른 실시예는 전달받은 신호 혹은 정보에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위치계산기(350)는 해당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를 소지한 의료진 또는 대인 업무 수행자의 작업 스케줄 혹은 작업 완료 결과, 또는 이전에 해당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 차이 혹은 가장 최근에 확인된 위치에서의 시간적 차이, 또는 신호나 정보를 전달한 위치 수신기(200a, 200b, ..., 200n)의 위치 등을 반영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위치계산기(350)는 각 공간에 대한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인접한 병실이 있고, 제1병실에는 제1위치 수신기가, 제2병실에는 제2위치 수신기가 배치된 상황을 가정한다.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제1위치 수신기를 경유한 후, 제2위치 수신기에 인접하여 응급 호출 신호를 전송하였다면, 위치 계산기(35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를 소지한 사람이 제1병실에 들어가서 소정의 업무를 수행한 후, 제2병실에 들어갔으며, 이 지점, 즉 제2병실에서 응급호출신호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위치계산기(350)는 해당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를 소지한 의료진 또는 대인 업무 수행자의 과거 이동 패턴을 반영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위치계산기(350)는 둘 이상의 해당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로 부터 신호나 정보가 전달된 경우, 이들 위치의 근접성, 또는 업무의 상관성, 또는 음향/영상 정보의 유사성 등에 기반하여 어느 하나의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표시기(32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를 표시한다. 아울러, 위치 표시기(32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가 전송한 음향/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위치 계산기(35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이들에게 가장 빨리 도달할 수 있는 보안팀 요원들을 선택하고, 이들의 위치 혹은 이들이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로 빨리 이동하는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호출을 한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와 가장 근접한 보안팀 요원 사이의 이동 경로에 엘리베이터, 수술 환자의 이동 등의 요소가 있을 경우 이를 반영하여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응급 호출을 한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의 위치를 보안팀 통보기(500)에게 전송한다. 보안팀 통보기(500)는 보안팀의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보안팀의 팀원 개인이 소지하는 장치를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서버(300)는 응급 호출을 한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 까지 도달하는 최단 이동 경로를 보안팀 통보기(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보안팀 팀원은 응급 호출을 한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에게 즉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응급 호출을 한 기록-위치 송신기(100a, 100b, ..., 100m)가 응급 호출을 취소할 경우, 서버(300)는 즉시 보안팀 팀원이 소지한 통보기(500)에게 응급 호출 취소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급 호출 또는 응급 협업을 필요로 하는 구성에서 응급 호출 신호가 발생하면 각 담당자들, 특히 보안 요원과 의료진 간의 응급 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록-위치 송신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트리거(110), 음성/영상 기록부(130), 송신 제어부(150), 마이크/카메라(170), 무선 송수신부(19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다른 부수적인 구성요소들 역시 기록-위치 송신기(10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논리적인 구분을 위한 것이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하나로 구성되거나, 혹은 다수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뉘어질 수 있다.
트리거(11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소정의 영상이나 음성의 기록을 수행하도록 마이크/카메라(170)의 동작을 지시한다. 마이크 또는 카메라는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거나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록-위치송신기(100)까 마이크만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11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현재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를 위치 수신기(200)에게 송신하는 것을 지시한다. 트리거(110)는 버튼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어, 착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카메라(170)의 동작과 위치 정보의 송신이 시작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사원증이나 출입증과 같이 착용자가 목걸이 형태로 패용하는 것일 경우, 착용자가 사원증/출입증을 가볍게 당기면 사원증/출입증의 목걸이 연결 부위에 배치된 트리거(110)가 마이크/카메라(170)의 동작과 위치 정보의 송신이 시작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과 같이 의료진이 소지하는 장치일 경우, 의료진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등에 일정한 충격을 가하거나 스마트폰/스마트워치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스마트폰/스마트워치를 흔들 경우, 스마트폰 내에 구성된 물리적/기계적/전자적 트리거(110)가 마이크/카메라(170)의 동작과 위치 정보의 송신이 시작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는, 트리거(110)가 마이크/카메라(170)의 동작을 지시하는 경우와 위치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경우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형태의 트리거(110)인 경우, 버튼을 1회 누를 경우 마이크/카메라(170)의 동작을 지시하고, 그 다음 버튼을 1회 더 누를 경우 위치 정보의 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110)가 1차적으로 마이크/카메라(170)의 동작을 지시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30초)이 흐른 뒤에 마이크/카메라(170)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신호나 액션이 수행되지 않으면, 트리거(110)는 위치 정보의 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도 2의 마이크/카메라(17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110)의 지시에 따라 마이크/카메라(170)는 음성과 영상을 받아들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송신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만일 마이크만으로 구성된 경우라면 음성신호만 전달하고 카메라만 구성된 경우 영상 신호만 전달할 수 있다.
송신 제어부(15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를 제어한다. 또한, 송신 제어부(150)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송신 제어부(150)는 마이크/카메라(170)로부터 음성/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소정 형식으로 음성/영상 기록부(130)에 기록한다. 또한, 송신제어부(150)는 마이크 또는 카메라가 생성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키고, 이를 무선 송수신부(190)가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제어부(150)는 기록된 음성 또는 영상을 무선 송수신부(190)에 제공할 수 있다. 음성/영상 기록부(130)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이며,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제어부(150)는 음성/영상 기록부(130)에 영상과 음성을 저장하고, 동시에 혹은 다른 시점에 외부의 클라우드(cloud)로 음성 또는 영상을 전송하도록 무선 송수신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제어부(15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고유 정보인 식별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190)에 제공한다. 이때, 무선 송수신부(190)는 수신한 식별 정보를 위치 수신기(200)에게 송신한다. 이 과정에서 무선 송수신부(190)는 송출 신호의 세기 정보, 또는 이전에 위치 수신기(200)와 무선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수신한 신호의 세기 정보 등을 위치 수신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서버(300)가 위치 수신기(200)와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거리를 계산할 경우에 필요하다.
정리하면,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기록된 영상 또는 음성과,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식별 정보, 그리고 기록-위치 송신기(100)와 위치 수신기(200) 간에 발생한 무선 송수신 신호의 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호, 예를 들어, 응급 호출 신호를 위치 수신기(200)에게 전송한다.
무선 송수신부(190)는 안테나와 같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위치 수신기(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응급 호출 상황에서 송신 제어부(150)가 제공하는 정보 및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정보 등을 외부의 위치 수신기(200)에게 전송한다.
기록-위치 송신기(100) 주변에 다수의 위치 수신기들이 배치되거나 혹은 이동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 수신기를 경유한 경우, 송신 제어부(150)는 무선 송수신부(190)가 각각의 위치 수신기(200)와 송수신한 신호의 세기, 신호 송수신 시점 등으로 판단하여 가장 근접한 위치 수신기를 하나 또는 다수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송신 제어부(150)는 하나 이상의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무선 송수신부가 위치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 또는 무선 송수신부가 위치 수신기에게 송신한 신호의 세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이동의 방향 또는 속도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할 경우, 전술한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위치 수신기의 신호를 수신한 후 이동 감지 센서가 감지한 방향 또는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위치 수신기를 경유하여 서버로 전달될 수도 있고, 또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송신 제어부(150)가 이에 기반하여 위치 수신기와의 상대적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제어부(150)는 하나 이상의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수신기와의 상대적 거리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수의 위치 수신기의 신호의 세기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둘 이상의 위치 수신기와 기록-위치 송신기 사이의 거리 또는 신호의 세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송신 제어부(150)가 제1위치 수신기와 기록-위치 송신기 사이의 거리 또는 신호의 세기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송신 제어부(150)가 제2위치 수신기와 기록-위치 송신기 사이의 거리 또는 신호의 세기를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 제어부(150)는 생성한 두 개의 정보를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선택한 위치 수신기에게 기록된 영상 또는 음성과,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식별 정보, 그리고 기록-위치 송신기(100)와 위치 수신기(200) 간에 발생한 무선 송수신 신호의 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송신한다.
송신 제어부(150)는 전술한 영상 또는 음성과 식별 정보, 신호의 세기 등을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하나의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무선 송수신부(190)는 변환된 무선 신호를 위치 수신기(200)에게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송신 제어부(150)는 이동 과정에서 다수의 위치 수신기들(도 1의 200a~200n)들의 신호들을 받아 신호의 세기, 혹은 신호를 수신한 시간 등에 따라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를 삼각측량이나 신호의 세기에 기반한 거리 측정 등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측량하고 그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이 위치 정보를 위치 수신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송신 제어부(150)는 둘 이상의 위치 수신기들과의 거리나 송수신 신호의 세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위치 수신기들을 기준으로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이러한 거리나 송수신 신호의 세기의 정보를 위치 수신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수신기(200) 주변에 다수의 기록-위치 송신기가 배치된 경우, 즉 다수의 의료진이나 대인 업무 수행자가 위치 수신기(200) 주변에 있을 경우, 각각의 기록-위치 송신기(예를 들어 도 1에서 100a, 100b, 100c)들은 각각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송신 제어부(150)는 음성/영상 기록부(130)에 음성 및 영상을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정보를 지울 수도 있다. 기록된 정보의 삭제는 시간 순으로, 또는 별도의 명령에 따라 이루어진다.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사원증의 형태일 경우, 목걸이 형식으로 줄을 달면 사용자가 목에 걸고 기록-위치 송신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적 장치의 형태일 경우, 사용자는 이를 주머니 등에 소지하고 기록-위치 송신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구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190)는 위치 수신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트리거(110)는 응급 호출을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지시한다. 물리적 지시는 버튼을 누르는 등 물리적이거나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발생된다. 전기적 지시는 소정의 소리에 따라, 또는 물리적 충격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결과 등 전기적 수단에 의해 발생된다.
송신 제어부(150)는 트리거(110)가 응급 호출을 지시하면 무선 송수신부(190)가 응급 호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송수신부(190)를 제어한다. 이때, 송신 제어부(150)는 응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응급 호출 신호에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크 또는 카메라(170)는 주변의 소음을 지속하여 모니터링하여, 소음의 크기가 일정 기준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음원과 일정 기준 이상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녹음 또는 녹화를 시작하여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혹은 기록-위치 송신기(100)에 내장된 별도의 센서가 주변의 소음이나 환경의 변화된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급격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여 주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소음이 미리 설정된 음원과 유사한 것을 판단하기 위해 송신 제어부(150)는 유사한 음원을 음성/영상 기록부(130)에 저장하고,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된 음원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제어부(150)는 트리거(110)의 지시 없이, 자동으로 응급 호출을 지시하는 응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무선 송수신부(190)로 전달하고, 무선 송수신부(190)는 이를 위치 수신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응급 호출 신호는 녹음 또는 녹화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190)가 위치 수신기로부터 응급 호출 신호에 대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 제어부(150)는 제어 신호에서 제어하는 바에 따라 마이크 또는 카메라(170)를 제어하여 녹음 또는 녹화를 시작할 수 있다. 이는 서버(300)가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또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주변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 위치 수신기(200)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위치 수신기(200)가 이를 다시 기록-위치 송신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병원 내 공간을 일 실시예로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병원 내의 비주기적인 소음 속에서 응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영상 기록부는 다양한 비응급 상황에서의 배경소음/기준소음을 기록하고 송신 제어부(150)는 마이크/카메라(170)가 녹음한 소리와 기록된 배경소음/기준소음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제어부(150)는 트리거(110)가 오작동 했는지 혹은 제대로 작동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응급 호출로 의심되는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송신 제어부(150)는 응급 호출 신호에 응급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를 전달받은 중앙 관제소의 서버(300)는 기록-위치 송신부(100)가 위치하는 공간에서의 녹음 상황 또는 CCTV의 제어를 통한 녹화 상황을 확인하여 응급 상황인지 여부를 서버(300)가 추가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트리거(110)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진 등이 보유한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트리거는 일상적인 움직임이나 압력에는 눌러지지 않도록, 즉 오작동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트리거(110)가 기계식/물리적 누름에 따라 동작할 경우, 적절한 입력 압력과 누름 횟수를 송신 제어부(150)가 확인하거나 기록-위치 송신기(100)에 별도의 커버를 추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트리거(110)가 전기식/소프트웨어식으로 동작할 경우, 송신 제어부(150)는 동작에 필요한 기준을 유지하여 해당 기준에 충족하도록 트리거(110)가 작동했는지를 검증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의료인의 개인 단말 장치나 스마트폰에 연동될 수 있으며, 이들 개인 단말 장치나 스마트폰, 또는 CCTV나 기록-위치 송신기에 포함된 마이크 또는 카메라가 순간적으로 큰 소리나 큰 동작, 욕설 등을 감지할 경우, 자동으로 이를 녹음하고 서버(300)에게 응급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비명 소리 등은 남성/여성 별로 주파수 영역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파수 분석을 수행하여 비명 소리인지 여부를 기록-위치 송신기(100) 혹은 다른 장치들이 판단할 수 있다.
후술할 서버(300)는 머신 러닝 등을 적용하여 트리거(110)에 의해 발생한 응급 호출 신호의 진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위치 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수신기(200)는 공간 내에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의 각 병실이나 진료실, 각 층의 복도, 엘리베이터, 계단, 간호사실 등에 위치 수신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수신기(200)의 배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람들의 이동, 위치 수신기(200)의 무선 신호 수신 영역, 또는 위치 수신기(200)와 기록-위치 송신기(100) 사이의 위치 추정의 정확도 등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수신기(200)는 네트워크 연결부(210), 위치 수신 제어부(250) 및 무선 송수신부(29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위치 수신기(20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다른 부수적인 구성요소들 역시 위치 수신기(20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논리적인 구분을 위한 것이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하나로 구성되거나, 혹은 다수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뉘어질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29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연결부(21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송신한 응급 호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한다. 위치 수신 제어부(250)는 무선 송수신부(290) 및 네트워크 연결부(210)를 제어한다.
위치 수신 제어부(25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로부터 수신한 응급 호출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여 응급 호출 신호에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수신기(20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그대로 서버(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는 가장 간단하게 위치 수신기(200)를 구현할 경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수신기(20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전송하는 신호 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서버(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위치 수신기에게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위치 수신기는 수신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위치 수신기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이를 서버(300)에게 제공하고, 서버(300)가 이를 이용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300) 혹은 기록-위치 송신기(100) 등이 위치 계산을 위해 삼각측량이나 핑거 프린트, 또는 그 외 신호의 세기 정보나 이를 환산한 거리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위치 수신기(200)의 무선 송수신부(29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로 위치 수신기(200)는 수신 범위 내에 들어온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위치 수신기(20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전송하는 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수신 제어부(25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전송하는 신호를 구성하는 정보를 확인한다.
신호를 구성하는 정보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기록된 영상 또는 음성과,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식별 정보, 그리고 기록-위치 송신기(100)와 위치 수신기(200) 간에 발생한 무선 송수신 신호의 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위치 수신기(20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식별 정보를 해당 기록-위치 송신기(100)와의 무선 신호 송수신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거나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수신기(200)는 응급 호출 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수신된 신호의 세기,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된 정보들인 송신 신호의 세기, 식별 정보, 그리고 음성/영상 등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수신된 시간과 수신된 신호의 세기, 송신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하여 위치 수신 제어부(250)가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거리를 계산하여 계산한 결과를 네트워크 연결부(210)를 경유하여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수신 제어부(250)는 응급 호출 신호가 수신된 시간과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응급 호출 신호를 새로운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네트워크 연결부를 경유하여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수신 제어부(250)는 서버(300)로부터 무선 송수신부(290)의 신호 송수신 세기 및 감도의 증가를 지시받으면, 무선 송수신부(290)를 제어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와 송수신할 무선 신호의 전송 세기와 수신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위치 수신기들(200a~200n) 모두 도 3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작 방식 역시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이들 위치 수신기들은 서버(300)의 위치 계산기(350)가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위치 수신기들의 설치는 건물평면에서 삼각측량 또는 핑거프린트 기법이 가능하도록 최소한 3개 이상 설치가 되도록 하며, 방으로 구획된 경우 최소한 1개의 방에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이나 건물이 1개 층 이상의 건물일 경우 각 층을 구별할 수 있도록 1개의 층을 하나의 평면으로 구성하여 다수의 위치 수신기를 설치하고 각각의 층에서 위치 수신기들이 수신한 신호들은 층 단위로 취합하여 수신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층에서 위치 수신기들의 신호를 취합하는 대표 위치 수신기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각각의 위치 수신기(200)는 고유한 위치 수신기(200)의 식별 정보,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전송한 신호 및 신호의 수신에 관련된 시간/신호 세기의 정보를 새로운 신호로 변환하여 서버(300)에 전송한다. 서버(300)는 위치 수신기(2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수신기(200)가 배치된 층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 및 보안팀 통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버(300)는 다수의 위치 수신기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모두 적용된다.
서버(300)의 구성 요소는 네트워크 연결부(390), 네트워크 제어부(370), 위치 계산기(350), 위치 표시기(320)이다. 이외에도 서버(30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다른 부수적인 구성요소들 역시 서버(30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논리적인 구분을 위한 것이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하나로 구성되거나, 혹은 다수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뉘어질 수 있다.
서버(300)는 보안팀 통보기(500)와 통신 상으로 연결되어 응급 호출 상황이 발생했음을 통보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의 구성을 확장하여 서버(300) 내에 보안팀 통보기(50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390) 및 네트워크 제어부(370)는 위치 계산기(350)의 제어에 따라 위치 수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의 수신 방식은 무선 신호 또는 유선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 연결부(390)는 전체 위치 수신기 각각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들 위치 수신기 중 대표인 위치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부(370)는 네트워크 연결부(39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로, 네트워크 제어부(370)는 소정의 위치 수신기(200)를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연결부(390)를 경유하여 소정의 정보를 위치 수신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부(370)는 위치 계산기(350)의 제어에 따라 또는 보안팀 통보기(50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위치 수신기(200)가 카메라나 마이크 기능을 포함할 경우, 응급 호출을 한 기록-위치 송신기에 인접한 위치 수신기(200)가 마이크 또는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도록 네트워크 제어부(370)가 위치 수신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수신기(200)가 주변의 CCTV를 제어하는 경우, 네트워크 제어부(370)는 위치 수신기(200)에게 주변의 CCTV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위치 수신기(200)는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주변의 CCTV를 제어하여, 서버(300)가 현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위치 수신기(200)가 주변의 광원 또는 조도 센서를 제어하는 경우, 위치 수신기(200)는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조도 센서의 조도 감도를 증가시키거나 주변의 광원을 경고등 방식으로 점멸하도록 하여 1차적으로 위기 상황을 진정시키거나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제어부(370)는 위치 계산기(350)의 제어에 따라 또는 보안팀 통보기(500)의 제어에 따라 기록-위치 송신기(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치 수신기(200)를 경유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390)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위치 계산기(350)로 전달된다. 위치 계산기(350)는 위치 수신기(200)의 위치와 전달된 신호에 포함된 정보, 예를 들어, 위치 수신기(200)가 기록-위치 송신기(100)로부터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 시간과 수신된 신호의 세기, 그리고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된 정보들인 송신 신호의 세기, 식별 정보, 그리고 음성/영상 등을 확인한다.
위치 계산기(350)는 위치 수신기(200)의 위치와 수신된 시간과 수신된 신호의 세기, 송신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거리를 계산한다. 일 실시예로, 위치 계산기(350)는 위치 수신기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연결부가 수신한 응급 호출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둘 이상의 위치 수신기(200)에게 응급 호출 신호를 전송한 경우, 위치 계산기(350)는 둘 이상의 상이한 위치 수신기들이 제공한 정보를 취합하여 하나의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계산기(350)는 확인된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 및 기록-위치 송신기(100)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치 표시기(3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때, 음성/영상 신호가 전달된 경우 위치 표시기(320)는 음성/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소정의 창을 만들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위치 계산기(350)는 각 보안팀의 보안 요원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각 보안 요원들 중에서 가장 기록-위치 송신기(100)에게 빨리 도착할 수 있는 보안 요원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보안팀 통보기는 각 보안 요원의 위치에서 기록-위치 송신기(100)에게 빨리 도착할 수 있는 경로를 보안 요원이 소지한 통신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위치 표시기(320)는 위치 계산기(350)가 산출한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위치 정보에 추가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생성한 음성/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의료진, 대인 업무 종사자가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트리거를 누르거나 작동시킬 경우 마이크의 음성 또는 음성과 영상이 음성/영상 기록부에 기록이 되며,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 또는 위치와 함께 기록되는 음성/영상이 서버(300)의 위치 표시기(3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의료진이나 대인 업무 종사자가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트리거를 동작시키는 경우는 폭력을 당하거나 폭언을 당하는 위기 상황이므로, 서버(300)는 응급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즉시, 보안팀 통보기(500)에게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 그리고 선택적으로 이동 경로를 통지한다.
이동 경로를 통지받은 보안 요원은 수신된 위치와 이동 경로에 기반하여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 또는 보안 요원의 통신 장치는 음성/영상을 재생하여 위기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다.
위치 표시기(32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 계산기(350)가 산출한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와 보안팀 요원의 이동 경로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위치 계산기(350)는 건물 내의 엘리베이터가 위치한 층, 사람들의 동선 등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300)와 위치 수신기들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또는 스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만약, 도 4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 수신기에 고장이 발생한 것을 서버(300)가 확인한 경우, 서버(300)는 고장난 위치 수신기 주변에 배치된 위치 수신기에게 무선 신호의 송수신 감도를 높일 것을 명령한다. 이 경우, 주변에 배치된 위치 수신기는 무선 신호의 전송 세기와 수신 감도를 모두 높여 이전보다 멀리 배치되었던 기록-위치 송신기(100)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위치 수신기의 고장으로 주변 위치 수신기의 신호 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후술할 도 5 및 도 6의 구성에도 적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버(300)와 위치 수신기들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와 달리, 위치 수신기들이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연결될 경우, 중간에 위치한 위치 수신기 중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 제어부(370)는 고장이 발생한 위치 수신기의 통신을 대체하거나 혹은 통신 경로에서 제외되도록 위치 수신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구성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 수신기들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서버(300)는 그 주변 위치 수신기들 사이의 통신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2위치수신기(200b)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 서버(300)는 제1위치 수신기(200a)에 제3위치 수신기(200c)에게 신호를 전달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는 제1위치수신기(200a)와 제3위치 수신기(200c) 사이에 유선 통신 매체가 없을 경우,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서버(300)와 위치 수신기들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의 방식을 결합한 것으로, 위치 수신기들 중 일부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되고, 이들 데이지 체인을 구성하는 하나의 위치 수신기가 서버(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와 같이 연결될 경우, 데이지 체인의 중간에 위치한 위치 수신기 중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 제어부(370)는 고장이 발생한 위치 수신기의 통신을 대체하거나 혹은 통신 경로에서 제외되도록 위치 수신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구성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 수신기들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서버(300)는 그 주변 위치 수신기들 사이의 통신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제2위치수신기(200b)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 서버(300)는 제1위치 수신기(200a)에 제n-2위치 수신기(200l)에게 신호를 전달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는 제1위치수신기(200a)와 제n-2위치 수신기(200l) 사이에 유선 통신 매체가 없을 경우,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환자나 보호자 등이 의료진에게 폭언을 하거나 폭력을 행할 시 의료진은 전술한 기록-위치송신기의 트리거를 동작시켜 병원의 보안요원이 이를 인지하고 출동하여, 의료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이 폭행으로부터 보호받고, 사전에 폭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대인 업무를 수행하는 수행자 역시 전술한 상황에서 건물의 보안 요원에게 신속하게 보호를 요청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위치 수신기와 기록-위치 송신기가 배치된 경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록-위치 송신기(100)를 소지한 사용자는 건물 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위치수신기를 경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 위치 송신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의료진인 경우, 병원 내의 다수 병실을 이동할 수 있다. 기록 위치 송신기(100)는 이동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 수신기(200a~200n)로부터 각 위치 수신기들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들 위치 수신기와 기록-위치 송신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일 실시예는 의료 장비들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 위치 수신기와 기록-위치 송신기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일 실시예는 블루투스나 WiFi, 지그비 등의 프로토콜에 기반한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무선 신호는 비콘의 형태로 송수신될 수 있다.
도 7에서 기록-위치 송신기(100)를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 과정에서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하나 이상의 위치 수신기(200a~200n)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저장할 수 있다(S1, S2, ..., S9). 그리고 기록 위치 송신기(100)가 응급 호출 신호를 전송할 때, 하나 이상의 위치 수신기(200a~200n)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위치 수신기(200a~200n) 각각의 위치 수신 제어부(250)는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위치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가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 위치 수신 제어부(250)는 무선 송수신부가 반복적으로 무선 신호를 송출하되, 그 신호의 크기를 증감시키고, 그 신호의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송출 무선 신호의 세기 정보)를 송출하는 무선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수신한 무선 신호의 세기와 그 무선 신호에 포함된 송출 신호의 세기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 수신기와의 상대적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이동 과정에서 근접한 위치 수신기(200a~200n)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저장하며, 추가적으로 이동 거리나 방향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이동의 방향 또는 속도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감지 센서는 위치 수신기의 신호를 수신한 후 감지한 방향 또는 속도를 저장한다. 이때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정확도를 위해 위치 수신기의 수신 신호가 가장 센 경우를 기준으로 이동 방향 또는 속도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정보는 추후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이동 방향 또는 속도와 위치 수신기의 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응급 호출 신호를 전송할 때, 둘 이상의 위치 수신기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1위치 수신기(200a)와 제2위치 수신기(200b)가 각각 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위치 수신기(200a, 200b)는 서버(300)에게 수신한 응급 호출 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 서버(300)는 제1위치 수신기(200a)로부터 제1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며, 제2위치 수신기(200b)로부터 제2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서버(300)의 위치 계산기(350)는 제1응급호출신호 및 제2응급호출신호를 송신한 기록-위치 송신기가 동일할 경우, 제1위치 수신기(200a) 및 제2위치 수신기(200b)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하는 방법으로, 위치 계산기(350)는 두 위치 수신기(200a, 200b)가 각각 제1응급호출신호 및 제2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한 세기를 이용하여 보간법(interpolation)을 적용하거나 평균/중간값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위치 계산기(350)는 두 위치 수신기(200a, 200b)가 각각 수신한 제1응급호출신호 및 제2응급호출신호 속에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기록한 이동 거리나 방향을 이용하여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가 기록-위치 송신기까지 보안 요원이 도달할 수 있도록 최단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버(300)의 위치 계산기(350)는 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 정보(제1 정보)를 계산한다(S11). 그리고 위치 계산기(350)는 보안팀의 보안 요원들의 위치 정보(제2 정보)를 로딩한다(S12). 보안 요원들은 특정 대기실에서 응급 호출을 대기할 수 있다.
또는 보안 요원은 건물 여러 곳에서 대기할 수 있다. 이들의 위치 정보는 보안팀의 보안 요원들이 소지한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위치 정보를 서버(300)나 통보기(500)가 수신하여 저장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다.
위치 계산기(350)는 제1정보(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 정보)/제2정보(보안 요원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최단 경로를 생성한다(S13).
만약, 최단 경로가 동일한 층간 이동인 경우(S14), 위치 계산기(350)는 S16에 도시된 바와 ƒˆ아, 최단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위치 표시기(320)에 전달하여 위치 표시기(320)가 디스플레이에 경로와 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를 출력한다. 또한 위치 계산기(350)는 최단 경로에 대응하는 보안 요원의 식별 정보 및 최단 경로를 보안팀 통보기에 전달한다. 보안팀 통보기는 보안 요원들에게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로 이동할 것을 통보한다.
한편, 최단 경로가 상이한 층간 이동인 경우(예를 들어, 기록-위치 송신기가 위치한 층과 보안 요원이 위치한 층이 상이한 경우), 위치 계산기(350)는 층간 최적 이동 수단을 최단 경로에 포함시킨다(S15). 이후 전술한 S16 단계가 진행된다.
층간 최적 이동 수단이란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과 같이 층간 이동에서 가장 긴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만약 엘리베이터가 층간 최적 이동 수단인 경우, 최단 경로는 최단시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통한 이동" 혹은 "건물 3호기 엘리베이터를 통한 이동" 이라는 엘리베이터의 식별 번호가 최단 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서버(300)의 위치 계산기(350)는 건물의 시스템과 연동하여, 다수의 엘리베이터들의 현재 위치한 층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위치 계산기(350)는 최단 경로 생성시 이를 기준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 요원이 해당 엘리베이터로 이동할 경우, 보안 요원이 빨리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의 기존 운행 층을 서버(300)가 취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안 요원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층간 최적 이동 수단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 서버(300)와 보안팀 통보기(500)가 연동하여 해당 보안 요원의 통신 장치에게 변경된 층간 이동 수단을 이용할 것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계산기(350)가 최단 경로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보안 요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여 두 경로가 중첩되지 않도록 최단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계산기(350)가 제1최단 경로를 생성했는데, 이 경로에 수술환자의 이송, 큰 장비의 이동으로 통로가 막히는 경우, 다른 보안 요원들이 긴급히 이동해야 하는 경로와 중첩되는 경우, 위치 계산기(350)는 제1최단 경로가 물리적으로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새로운 제2최단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최근의 다양한 병원 내 변수 상황(음압 병동의 설치, 환자 긴급 후송 등)을 반영하여 병원 내 공간의 구성이 변동될 경우 서버(300)는 최단 경로 생성시 이를 반영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버(300)는 보안 요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기록-위치 송신기(100) 주변에서 사이렌이 울리거나 경고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출입문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보안 요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기록-위치 송신기(100) 주변의 출입문을 통한 이동을 통제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병원의 의료진, 호텔 등 숙박 건물의 대인 서비스 종사자 등은 기록-위치 송신기를 소지한다.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카드 홀더형, 사원증 홀더, 의료진의 신분증 등 ID 카드의 홀더 등의 형태를 일 실시예로 한다. 이들 기록-위치 송신기(100)들은 일 실시예로, 트리거와 같은 소정의 시작수단과 마이크/카메라와 같은 주변의 음향 또는 음향/영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음향/영상수신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시작수단이 작동할 시 음향/영상수신수단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기록하고, 자신의 위치를 알아내어 그 위치 정보와 기록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병원과 같은 건물 내에 다수 배치된 위치 수신기(200)는 다수의 기록-위치송신기들이 응급 호출 신호를 송신할 때 수신반경 안에 들어오면 수신하여 소정의 신호형태로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서버(300)로 전달된다. 그리고 기록-위치송신기들에 자신의 위치를 구할 수 있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다수 배치된 위치 수신기(200)에서 생성된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위치 계산기(35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송신한 신호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시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를 계산한 후 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기록한 음성/영상 신호를 함께 송신할 경우 이를 포함하여 위치 표시기(320)에 출력을 지시한다.
위치 표시기(320)는 기록-위치 송신기(100)의 위치 정보들을 소정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고,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기록한 음성/영상 신호를 함께 송신할 시 음성/영상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서버(300)는 병원 보안팀의 시스템을 일 실시예로 하는 보안팀 통보기(500)에 기록-위치 송신기(100)가 응급 호출 신호를 송출하였음을 통보하여 보안 요원들이 의료진이나 대인 업무 종사자의 위치로 긴급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병원이나 호텔 등의 종사자들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함에 있어 위치 측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 병원 내 의료진의 위치, 또는 대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파악하는 BLE Beacon 및 핑거프린터(Fingerprinting) 복합 기반 실내 측위 IoT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BLE Beacon 측위의 일 실시예는 기록-위치 송신기와 같이 트래커(Tracker)의 신호를 송출하는 제품에 특정 ID 값을 서버에서 전달받아 ID값과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또는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다른 실시예인 Wi-Fi 측위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다만, BLE Beacon 방식은 Wi-Fi 측위 방보다 2배 가량 우수하고 저전력으로 구현 가능해 효율적일 수 있다. 측위 방식은 전술한 예시 외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위치 측위란 실내공간을 작은 셀 단위로 나누고 각 셀에서 RSS(Received Signal Strength)값을 직접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라디오맵(Radio Map)을 구축을 선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 후 수집된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위치에서 수신된 RSS 값을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이 보이는 셀을 사용자의 위치로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의료진 혹은 대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패용 또는 착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사원증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의료진 또는 대인 업무 수행자들이 이를 업무 중에 패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의료진 혹은 대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패용 또는 착용할 수 있다.
기록-위치 송신기(100)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의료진 혹은 대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통신 장치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트리거는 사용자나 스마트폰의 화면을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터치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병원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의료인이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부당하게 폭언 또는 폭행을 당할 시, 폭행 피해 의료인이 이를 녹음 또는 녹화함과 동시에 관제 시스템에서 이를 병원의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보안팀에게 폭행당하는 상황을 알도록 하여 의료인들을 위험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호텔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호텔 내 객실의 청소나 물품 입출고를 담당하는 직원이 투숙객 또는 방문자로부터 폭언이나 폭행을 당할 시에도 관제 시스템에서 이를 호텔의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보안팀에게 폭행당하는 상황을 알도록 하여 직원들을 위험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100a~ 100m: 기록-위치 송신기
200, 200a~ 200n: 위치 수신기
300: 서버
500: 보안팀 통보기

Claims (17)

  1. 위치 수신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응급 호출을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지시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가 응급 호출을 지시하면 상기 무선 송수신부가 응급 호출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위치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는 마이크 또는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 또는 카메라가 생성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키는, 기록-위치 송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또는 카메라 또는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에 내장된 센서는 주변의 소음 또는 환경의 변화를 지속하여 모니터링하여, 소음의 크기가 일정 기준 이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음원과 일정 기준 이상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녹음 또는 녹화를 시작하여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송신 제어부는 자동으로 응급 호출을 지시하는 응급 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기록-위치 송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키는, 기록-위치 송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가 상기 위치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가 상기 위치 수신기에게 송신한 신호의 세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록-위치 송신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제1위치 수신기와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 사이의 거리 또는 신호의 세기와,
    제2위치 수신기와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 사이의 거리 또는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는, 기록-위치 송신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는 이동의 방향 또는 속도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상기 위치 수신기의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이동 감지 센서가 감지한 방향 또는 속도를 포함하는, 기록-위치 송신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상기 위치 수신기와의 거리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 수신기와의 상대적 거리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응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키는, 기록-위치 송신기.
  9. 기록-위치 송신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가 송신한 응급 호출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연결부;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를 제어하는 위치 수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치 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수신 제어부는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응급 호출 신호의 세기를 산출하여 상기 응급 호출 신호에 상기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위치 수신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수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가 위치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수신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수신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신호 송수신 세기 및 감도의 증가를 지시받으면,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와 송수신할 무선 신호의 전송 세기와 수신 감도를 높이는, 위치 수신기.
  13. 위치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연결부;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
    상기 위치 수신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가 수신한 응급 호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계산기; 및
    상기 위치 계산기가 산출한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표시기를 포함하는,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가 제1위치 수신기로부터 제1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며, 제2위치 수신기로부터 제2응급호출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위치 계산기는 상기 제1응급호출신호 및 상기 제2응급호출신호를 송신한 기록-위치 송신기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위치 수신기 및 상기 제2위치 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서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계산기는 보안팀의 보안 요원들의 위치 정보를 로딩한 후, 상기 보안 요원들의 위치 및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최단 경로를 생성하며,
    상기 위치 계산기는 상기 최단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위치 표시기에 전달하며,
    상기 위치 계산기는 상기 최단 경로에 대응하는 보안 요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최단 경로를 보안팀 통보기에 전달하는,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위치 송신기가 위치한 층과 상기 보안 요원이 위치한 층이 상이한 경우, 상기 최단 경로는 최단시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계산기는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보안 요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여 두 경로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최단 경로를 생성하는, 서버.

KR1020200133279A 2020-10-15 2020-10-15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50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79A KR20220050264A (ko) 2020-10-15 2020-10-15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79A KR20220050264A (ko) 2020-10-15 2020-10-15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264A true KR20220050264A (ko) 2022-04-25

Family

ID=8145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279A KR20220050264A (ko) 2020-10-15 2020-10-15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2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105B1 (en) Safety and security methods and systems
US94119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subjects
US937301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 monitoring using aerial drones
US11417128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aptive training of machine learning models via detected in-field contextual incident timeline entry and associated located and retrieved digital audio and/or video imaging
US10306411B2 (en) Evacuation of buildings with elevator systems
JP5514562B2 (ja) 位置管理方法及び携帯端末
AU2016302412B2 (en) Sequence of levels in buildings to be evacuated by elevator systems
US9860723B2 (en) Method of notification of fire evacuation plan in floating crowd premises
JP4919648B2 (ja) 無線端末管理システム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6242839B2 (ja) 支援システム
US20200334784A1 (en)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101513896B1 (ko) 위급 상황 판별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0913127B1 (ko) 범죄예방 엘리베이터 영상감시 시스템
RU27340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нтроля объектов
KR102027737B1 (ko) 안전지킴 단말기
JP6539799B1 (ja) 安否確認システム
KR20220050264A (ko) 응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JP7291768B2 (ja) ノード/ネットワーク集約ゲートウェイデバイス
JP6650751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
JP6599261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JP6765472B2 (ja) 支援システム
KR101202292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