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219A -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 - Google Patents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219A
KR20220050219A KR1020227009910A KR20227009910A KR20220050219A KR 20220050219 A KR20220050219 A KR 20220050219A KR 1020227009910 A KR1020227009910 A KR 1020227009910A KR 20227009910 A KR20227009910 A KR 20227009910A KR 20220050219 A KR20220050219 A KR 2022005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assage
housing
inlet
wind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 왕
제린 펑
즈야오 중
카이룽 리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1049230.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594866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854320.8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921595U/zh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5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을 개시하며, 해당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는 하우징, 상부 출풍 프레임, 송풍기 어셈블리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되,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 및 외부 하우징 내에 설치된 바람 통로 하우징을 포함하고, 바람 통로 하우징 내에는 바람 통로가 형성되고, 바람 통로 하우징에는 바람 통로와 연통된 후방 입풍구 및 전방 입풍구가 개설되고, 상부 출풍 프레임의 하단부는 바람 통로와 연통되고, 상부 출풍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부 출풍구가 형성되고, 상부 출풍 프레임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바람 통로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부 출풍구를 외부 하우징에서 돌출시키거나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수축시키며, 송풍기 어셈블리는 바람 통로 내에 장착되고, 기류를 후방 입풍구에서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흡입시키고 전방 입풍구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거나 전방 입풍구 및 상부 출풍구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도록 설치되며, 열교환기는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바람 통로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
본 출원은 2019년 10월 30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하고 발명의 명칭이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인 제201911049230.6호 중국 특허 출원, 및 2019년 10월 30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하고 발명의 명칭이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인 제201921854320.8호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출원은 에어컨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부단히 향상됨에 따라, 에어컨은 사람들의 일상 생활 중에 점점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현재 시중의 각종 유형의 에어컨의 출풍 형식이 상대적으로 단일하며, 예컨대,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는 통상적으로 패널 상에 종래의 출풍구가 개설되고, 송풍 범위가 제한되고, 송풍 형식이 단일하여, 사용자의 상이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사용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는 통상적으로 단일 바람 통로 송풍 모드를 이용하기도 하며, 이의 입풍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송풍 거리가 충분히 멀지 못하고, 송풍 범위가 제한적이며, 열교환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편안감이 상대적으로 저감된다.
본 출원의 주요한 목적으로서, 선행 기술에서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의 송풍 범위가 제한되어 사용자의 사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는,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설치된 바람 통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 내에는 바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에는 상기 바람 통로와 연통되는 후방 입풍구 및 전방 입풍구가 개설되는 하우징과,
하단부가 상기 바람 통로와 연통되고, 전방에 상부 출풍구가 형성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출풍구를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 돌출시키거나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수축시키는 상부 출풍 프레임과,
상기 바람 통로 내에 장착되고, 기류를 상기 후방 입풍구에서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흡입시키고 상기 전방 입풍구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거나 상기 전방 입풍구 및 상기 상부 출풍구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도록 설치되는 송풍기 어셈블리와,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은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 및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은 상기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과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바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는 원심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입풍구는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에 설치된 제1 입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통로는 상기 제1 입풍구와 상기 전방 입풍구 사이에 형성된 제1 바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바람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바람 통로 내에는 상기 원심 송풍기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는 축류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입풍구는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에 설치된 제2 입풍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풍구는 상기 제1 입풍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 입풍구는 상기 제2 입풍구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바람 통로는 상기 제2 입풍구와 상기 전방 입풍구 사이에 형성된 제2 바람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람 통로 내에는 상기 축류 송풍기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입풍구에는 흐름 안내통이 장착되고, 상기 흐름 안내통은 상기 전방 입풍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축류 송풍기는 상기 흐름 안내통 내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입풍구의 면적이 상기 흐름 안내통의 전단부 개구의 면적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흐름 안내통은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흐름 안내통의 외벽과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간격을 통해 상기 제1 바람 통로와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흐름 안내통의 외벽 양측에는 모두 수직 절단변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 절단변은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의 내측벽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람 통로 내에는 정적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정적 블레이드는 상기 축류 송풍기를 바로 마주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류 송풍기는 상기 제2 입풍구와 상기 정적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류 송풍기에 대응되는 상기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의 위치에는 전방 출풍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 출풍 프레임은 상기 전방 입풍구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출풍 프레임의 전방에는 표시등 스트립이 장착되고, 상기 표시등 스트립은 상기 전방 입풍구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출풍 프레임에는 횡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가 장착되고, 상기 횡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횡방향 바람 안내판 및 상기 횡방향 바람 안내판의 스윙을 구동하도록 설치된 횡방향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출풍 프레임에는 종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가 더 장착되고, 상기 종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종방향 바람 안내판 및 상기 종방향 바람 안내판의 스윙을 구동하도록 설치된 종방향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는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에 장착된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구동시키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은 또한 에어컨을 제공하며, 해당 에어컨은 에어컨 실외기 및 냉매관을 통해 상기 에어컨 실외기와 연결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가 작동될 때, 기류는 외부 하우징 내에 진입하여 열교환기와 열교환을 진행하고, 열교환된 기류는 후방 입풍구에서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흡입되고, 바람 통로를 따라 전방 입풍구에서 실내로 불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는 상부 출풍 모드를 더 구비하고, 상부 출풍구에서 송풍이 필요할 경우, 상부 출풍 모드에 진입하고, 상부 출풍 프레임이 위로 이동하여, 상부 출풍구가 외부 하우징에서 돌출되고, 바람 통로 내의 기류의 일부는 전방 입풍구에서 실내로 불어지고, 다른 일부의 기류는 상부 출풍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상부 출풍 프레임 내로 불어지고, 상부 출풍구를 통해 실내로 불어져, 전방 입풍구 및 상부 출풍구로 동시 송풍을 실현하여, 송풍 범위를 확대시키고, 또한, 상부 출풍 프레임의 상하 이동은 상부 출풍 프레임의 송풍 높이 및 송풍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이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킨다. 상부 출풍구에서 송풍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상부 출풍 모드에서 퇴출하고, 상부 출풍 프레임이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 출풍구가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수축되고, 이때, 바람 통로 내의 기류는 모두 전방 입풍구에서 실내로 불어지고, 상부 출풍구로 더이상 실내에 송풍을 진행하지 않으며, 이로써 진일보로 사용자의 상이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 중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설명에 사용할 필요가 있는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단한 소개를 진행하기로 하며, 아래의 설명 중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의 실시예일 뿐, 발명적인 노력이 없이도 이러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기타의 첨부된 도면을 획득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사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분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일부의 외부 하우징을 생략한 사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일부의 구조를 생략한 조립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일부의 구조를 생략한 분해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일부의 구조를 생략한 단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일부의 구조를 생략한 정면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일부의 구조를 생략한 측면 개략도이다.
실시예를 결부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목적의 실현, 기능상의 특징 및 장점에 대해 진일보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방향성 지시(예컨대, 상, 하, 좌, 우, 전, 후....)가 존재할 경우, 해당 방향성 지시는 단지 임의의 특정된 자태(도시된 바와 같이)에서 각 부재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 운동 상황 등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특정된 자태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해당 방향성 지시도 상응하게 변화하게 됨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제1", "제2" 등에 관련된 설명이 존재할 경우, 해당 "제1", "제2" 등의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그의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묵적으로 지명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이로써, "제1", "제2"가 한정된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나타난 "및/또는"의 의미는 세 개의 병렬된 방안을 포함하며, "A 및/또는 B"를 예로 들면, A 방안, B 방안, 또는 A와 B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방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는 하우징, 상부 출풍 프레임(3), 송풍기 어셈블리(4) 및 열교환기(9)를 포함하되, 하우징은 외부 하우징(1) 및 외부 하우징(1) 내에 설치된 바람 통로 하우징(2)을 포함하고, 바람 통로 하우징(2) 내에는 바람 통로(20)가 형성되고, 바람 통로 하우징(2)에는 바람 통로(20)와 연통된 후방 입풍구(211) 및 전방 입풍구(221)가 개설되고, 상부 출풍 프레임(3)의 하단부는 바람 통로(20)와 연통되고, 상부 출풍 프레임(3)의 전방에는 상부 출풍구(31)가 형성되고, 상부 출풍 프레임(3)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바람 통로 하우징(2)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부 출풍구(31)를 외부 하우징(1)에서 돌출시키거나 바람 통로 하우징(2) 내로 수축시키며, 송풍기 어셈블리(4)는 바람 통로(20) 내에 장착되고, 기류를 후방 입풍구(211)에서 바람 통로 하우징(2) 내로 흡입시키고 전방 입풍구(221)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거나 전방 입풍구(221) 및 상부 출풍구(31)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도록 설치되며, 열교환기(9)는 외부 하우징(1) 내에 장착되고 바람 통로 하우징(2)의 후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시하는 전방 입풍구(221)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가 장착된 후 사용자를 향한 일측을 가리키며, 후방 입풍구(211)는 사용자를 등진 일측에 위치한다. 상부 출풍 프레임(3)의 하단부와 전방은 모두 개방되게 설치되고, 전방이 개방되어 상부 출풍구(31)를 형성하고, 하단부가 개방되어 바람 통로 하우징(2) 내의 바람 통로(20)와 연통된다. 상부 출풍구(31)는 전방 입풍구(221)와 동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를 향한 일측이기도 하다. 상부 출풍 프레임(3)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바람 통로 하우징(2)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부 출풍 프레임(3)의 상부 출풍구(31)가 위로 이동하는 과정에 외부 하우징(1)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또는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 바람 통로 하우징(2) 내로 수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가 작동될 때, 기류는 외부 하우징(1) 내에 진입하여 열교환기(9)와 열교환을 진행하고, 열교환된 기류는 후방 입풍구(211)에서 바람 통로 하우징(2) 내로 흡입되고, 바람 통로(20)를 따라 전방 입풍구(221)에서 실내로 불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는 상부 출풍 모드를 더 구비하고, 상부 출풍구(31)에서 송풍이 필요할 경우, 상부 출풍 모드에 진입하고, 상부 출풍 프레임(3)는 위로 이동하여 상부 출풍구(31)가 외부 하우징(1)에서 돌출되고, 즉, 상부 출풍구(31)는 외부 하우징(1) 외부로 노출되고, 바람 통로(20) 내의 기류의 일부는 전방 입풍구(221)에서 실내로 불어지고, 다른 일부의 기류는 상부 출풍 프레임(3)의 하단부에서 상부 출풍 프레임(3) 내로 불어지고, 상부 출풍구(31)를 통해 실내로 불어져, 전방 입풍구(221) 및 상부 출풍구(31)로 동시 송풍을 실현하여, 송풍 범위를 확대시키고, 또한, 상부 출풍 프레임(3)의 상하 이동은 상부 출풍 프레임(3)의 송풍 높이 및 송풍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이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킨다. 상부 출풍구(31)에서 송풍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상부 출풍 모드에서 퇴출하고, 상부 출풍 프레임(3)이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 출풍구(31)가 바람 통로 하우징(2) 내로 수축되고, 즉, 상부 출풍구(31)가 바람 통로 하우징(2) 내로 감춰지고, 이때, 바람 통로(20) 내의 기류는 모두 전방 입풍구(221)에서 실내로 불어지고, 상부 출풍구(31)로 더이상 실내에 송풍을 진행하지 않으며, 이로써 진일보로 사용자의 상이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는 전방 입풍구(221) 및 상부 출풍구(31)의 동시 송풍을 실현하여, 송풍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상부 출풍 프레임(3)의 송풍 높이 및 송풍 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어, 사용이 자유롭고 편리하며, 전방 입풍구(221)의 단독 송풍을 실현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상이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바람 통로 하우징(2)은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21) 및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22)을 포함하고,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21)은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22)에 연결되고,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22)과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21) 사이에는 바람 통로(20)가 형성되고, 송풍기 어셈블리(4)는 원심 송풍기(41)를 포함하고, 후방 입풍구(211)는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21)에 설치된 제1 입풍구(211a)를 포함하고, 바람 통로(20)는 제1 입풍구(211a)와 전방 입풍구(221) 사이에 형성된 제1 바람 통로(201)를 포함하고, 상부 출풍 프레임(3)의 하단부는 제1 바람 통로(201)와 연통되고, 제1 바람 통로(201) 내에는 원심 송풍기(41)가 설치된다. 송풍기 어셈블리(4)는 축류 송풍기(42)를 더 포함하고, 후방 입풍구(211)는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21)에 설치된 제2 입풍구(211b)를 더 포함하고, 제2 입풍구(211b)는 제1 입풍구(211a)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방 입풍구(221)는 제2 입풍구(211b)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바람 통로(20)는 제2 입풍구(211b)와 전방 입풍구(221) 사이에 형성된 제2 바람 통로(202)를 더 포함하고, 제2 바람 통로(202) 내에는 축류 송풍기(4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저부에 인접한 본 실시예의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21)의 위치에는 제1 입풍구(211a)가 개설되고,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2 입풍구(211b)가 개설되고,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22)의 그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전방 입풍구(221)가 개설되고, 전방 입풍구(221)는 제2 입풍구(211b)와 바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원심 송풍기(41)는 축류 송풍기(42)의 하부에 위치하고, 축류 송풍기(42)의 송풍 원리는 축방향으로 입풍하고 반경 방향으로 출풍하는 것이며, 이로써, 원심 송풍기(41)가 작동될 때, 원심 송풍기(41)는 공기 기류를 안내하여 제1 입풍구(211a)에서 제1 바람 통로(201)로 진입시키고, 기류를 제1 바람 통로(201)를 따라 위로 운행시키고, 전방 입풍구(221)를 통해 앞으로 불어낼 수 있다. 축류 송풍기(42)의 송풍 원리는 축방향으로 입풍하고 축방향으로 출풍하는 것이며, 이로써, 축류 송풍기(42)가 작동될 때, 축류 송풍기(42)는 공기 기류를 안내하여 제2 입풍구(211b)에서 제2 바람 통로(202)로 진입시키고, 전방 입풍구(221)를 통해 앞으로 불어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중의 점선 화살표는 공기 기류의 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의 주변 온도와 사용자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원심 송풍기(41) 또는 축류 송풍기(42)를 선택하여 단독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즉, 단지 원심 송풍기(41)만 송풍에 참여시키거나, 또는 단지 축류 송풍기(42)만 송풍에 참여시킬 수 있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의 주변 온도와 사용자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 원심 송풍기(41)와 축류 송풍기(42)를 선택하여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으며, 즉, 원심 송풍기(41)와 축류 송풍기(42)가 동시에 송풍에 참여할 수 있어, 입풍 면적을 증가시키고, 송풍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지고 송풍 범위를 확대시킴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편안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단일 바람 통로 송풍 모드에 비해, 본 실시예는 제1 바람 통로(201) 및 제2 바람 통로(202)의 쌍 바람 통로(20) 송풍 모드를 통해 입풍 면적이 증가되어, 입풍 기류가 균일해지고, 열교환기(9)의 열교환이 균일해지고,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시스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며, 풍량이 동일할 경우, 단일 바람 통로(20) 송풍 모드에 비해, 쌍 바람 통로(20) 송풍 모드의 소음도 다소 감소되어, 소음 오염이 감소된다. 사용자의 실제 수요에 따라 원심 송풍기(41) 또는 축류 송풍기(42)를 선택하여 단독으로 작동시키거나, 원심 송풍기(41) 및 축류 송풍기(42)를 선택하여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입풍구(211b)에는 흐름 안내통(23)이 장착되고, 흐름 안내통(23)은 전방 입풍구(221)를 향해 연장되고, 축류 송풍기(42)는 흐름 안내통(23) 내에 장착된다. 전방 입풍구(221)의 면적은 흐름 안내통(23)의 전단부 개구의 면적보다 크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흐름 안내통(23)은 나팔 형상을 나타내고, 흐름 안내통(23)의 후단부 개구는 제2 입풍구(211b)의 가장자리 위치에 연결되고, 흐름 안내통(23)의 전단부 개구는 전방 입풍구(221)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고, 흐름 안내통(23)의 내부 원통 직경은 뒤로부터 앞으로 갈수록 수축되게 설치되고, 축류 송풍기(42)의 축심과 흐름 안내통(23)의 축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고, 제2 입풍구(211b)에서 제2 바람 통로(202) 내로 흡입된 바람은 흐름 안내통(23)을 따라 축류 송풍기(42)의 축방향을 향해 점차적으로 집중되어 축류 송풍기(42)로 송풍하기 편리하며, 전방 입풍구(221)의 면적은 흐름 안내통(23)의 전단부 개구의 면적보다 커서, 송풍 범위를 확대시키기에 유리하다.
나아가, 흐름 안내통(23)은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 간격 및 오차를 생략하여 구조 안정성이 양호하다. 흐름 안내통(23)의 외벽과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21)의 내측벽 사이에는 간격이 구비되고, 상부 출풍 프레임(3)의 하단부는 간격을 통해 제1 바람 통로(201)와 연통된다. 상부 출풍 모드에 진입할 경우, 원심 송풍기(41)가 작동되고, 제1 바람 통로(201) 내의 기류는 해당 간격을 통해 위로 상부 출풍 프레임(3) 내로 불어져, 상부 출풍구(31)의 송풍을 실현한다. 상부 출풍 모드에서 퇴출할 경우, 원심 송풍기(41)가 작동되고, 공기 기류가 해당 간격을 통과할 때, 제1 바람 통로(201) 내에서 부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부압의 작용하에, 제1 바람 통로(201) 내에는 전방 입풍구(221)를 향해 유통하는 공기 기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의 출풍량을 증가시키고, 송풍 거리를 증가시켜,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 안내통(23)의 외벽 양측에는 모두 수직 절단변(231)이 설치되고, 수직 절단변(231)은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21)의 내측벽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수직 절단변(231)의 설치는 간격 폭을 증가시켜, 제1 바람 통로(201) 내의 기류를 다량으로 순조롭게 해당 간격을 경유하여 상부 출풍 프레임(3) 내에 진입시켜, 상부 출풍구(31)의 출풍량을 증가시키고, 상부 출풍 모드의 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바람 통로(202) 내에는 정적 블레이드(5)가 설치되고, 정적 블레이드(5)는 축류 송풍기(42)에 바로 마주하게 설치되고, 축류 송풍기(42)는 제2 입풍구(211b)와 정적 블레이드(5) 사이에 위치한다. 정적 블레이드(5)는 기류에 대해 재통합을 진행하여, 축류 송풍기(42)의 출풍이 더욱 균일해지고, 소음이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축류 송풍기(42)에 대응되는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22)의 위치에는 전방 출풍 프레임(24)이 설치되고, 전방 출풍 프레임(24)은 전방 입풍구(221)를 형성한다. 전방 출풍 프레임(24)의 전방에는 표시등 스트립(6)이 장착되고, 표시등 스트립(6)은 전방 입풍구(221)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표시등 스트립(6)은 제시 작용을 구비하고, 예컨대, 전방 입풍구(221)에서 불어지는 것이 찬 바람일 경우, 표시등 스트립(6)은 파란색이고, 이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가 현재 냉각 모드에 있음을 표시하고, 전방 입풍구(221)에서 불어지는 것이 뜨거운 바람일 경우, 표시등 스트립(6)은 붉은색으로 변하고, 이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가 현재 난방 모드에 있음을 표시한다. 표시등 스트립(6)은 온도 센서를 통해 센싱하여 표시 색상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등 스트립(6)은 제시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의 미적 외관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전방 출풍 프레임(24)에는 횡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 및 종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가 장착되되, 횡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횡방향 바람 안내판(7) 및 횡방향 바람 안내판(7)의 스윙을 구동하도록 설치된 횡방향 구동 부재를 포함하며, 전방 출풍 프레임(24)에는 종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가 더 장착되고, 종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종방향 바람 안내판(8) 및 종방향 바람 안내판(8)의 스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종방향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횡방향 구동 부재 및 종방향 구동 부재는 모두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수의 횡방향 바람 안내판(7)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횡방향 구동 부재는 다수의 횡방향 바람 안내판(7)의 동기적인 상하 스윙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종방향 바람 안내판(8)은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종방향 구동 부재는 다수의 종방향 바람 안내판(8)의 동기적인 좌우 스윙을 구동시켜, 송풍 방향 및 송풍 범위를 변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상이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킨다.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는 바람 통로 하우징(2)에 장착된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고, 구동 장치는 상부 출풍 프레임(3)에 연결되고, 구동 장치는 상부 출풍 프레임(3)의 상하 이동을 구동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구동 장치는 나사 기구 또는 랙 및 피니언 기구 등과 같이 상부 출풍 프레임(3)의 상하 이동을 구동시킬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동 장치는 랙 및 피니언 기구이고, 랙의 상단부는 상부 출풍 프레임(3)과 연결되고, 랙의 하단부는 기어와 맞물림되어, 모터를 통해 기어 회전을 구동시키고, 즉, 랙을 통해 상부 출풍 프레임(3)의 상하 이동을 구동시켜, 상부 출풍구(31)의 출풍을 실현하거나 출풍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1)은 정문판(11), 패널 어셈블리(12), 후방 상자 본체(13) 및 섀시(14)를 포함하되, 정문판(11)은 패널 어셈블리(12)의 전방에 설치되고, 후방 상자 본체(13)는 패널 어셈블리(12)의 후측에 장착되어, 패널 어셈블리(12)와 함께 둘러싸 바람 통로 하우징(2) 및 열교환기(9)를 장착하는 챔버를 형성하고, 섀시(14)는 패널 어셈블리(12) 및 후방 상자 본체(13)의 저부에 설치되어, 지지 작용을 한다.
본 출원은 에어컨을 더 제공하며, 해당 에어컨은 냉매관을 통해 서로 연결된 에어컨 실외기 및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를 포함하고, 해당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1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참조하며, 해당 에어컨이 상술한 모든 실시예들 중의 모든 기술적 방안을 이용하므로, 적어도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기술적 방안으로 실현하는 모든 유익한 효과를 구비하며, 여기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출원의 특허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구상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의 내용을 이용하여 진행한 균등한 구조 변환, 또는 기타의 관련 기술분야에서 직접적으로/간접적으로 운용되는 것은 모두 본 출원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Figure pct00001

Claims (20)

  1.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로서,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설치된 바람 통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 내에는 바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에는 상기 바람 통로와 연통되는 후방 입풍구 및 전방 입풍구가 개설되는 하우징과,
    하단부가 상기 바람 통로와 연통되고, 전방에 상부 출풍구가 형성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출풍구를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 돌출시키거나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수축시키는 상부 출풍 프레임과,
    상기 바람 통로 내에 장착되고, 기류를 상기 후방 입풍구에서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흡입시키고 상기 전방 입풍구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거나 상기 전방 입풍구 및 상기 상부 출풍구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도록 설치되는 송풍기 어셈블리와,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은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 및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은 상기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과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바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는 원심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입풍구는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에 설치된 제1 입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통로는 상기 제1 입풍구와 상기 전방 입풍구 사이에 형성된 제1 바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바람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바람 통로 내에는 상기 원심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는 축류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입풍구는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에 설치된 제2 입풍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풍구는 상기 제1 입풍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 입풍구는 상기 제2 입풍구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바람 통로는 상기 제2 입풍구와 상기 전방 입풍구 사이에 형성된 제2 바람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람 통로 내에는 상기 축류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풍구에는 흐름 안내통이 장착되고, 상기 흐름 안내통은 상기 전방 입풍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축류 송풍기는 상기 흐름 안내통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입풍구의 면적이 상기 흐름 안내통의 전단부 개구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안내통은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흐름 안내통의 외벽과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간격을 통해 상기 제1 바람 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안내통의 외벽 양측에는 모두 수직 절단변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 절단변은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의 내측벽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람 통로 내에는 정적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정적 블레이드는 상기 축류 송풍기를 바로 마주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류 송풍기는 상기 제2 입풍구와 상기 정적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 송풍기에 대응되는 상기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의 위치에는 전방 출풍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 출풍 프레임은 상기 전방 입풍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출풍 프레임의 전방에는 표시등 스트립이 장착되고, 상기 표시등 스트립은 상기 전방 입풍구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출풍 프레임에는 횡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가 장착되고, 상기 횡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횡방향 바람 안내판 및 상기 횡방향 바람 안내판의 스윙을 구동하도록 설치된 횡방향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출풍 프레임에는 종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가 더 장착되고, 상기 종방향 바람 안내 어셈블리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종방향 바람 안내판 및 상기 종방향 바람 안내판의 스윙을 구동하도록 설치된 종방향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에 장착된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구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14. 에어컨으로서,
    에어컨 실외기와,
    냉매관을 통해 상기 에어컨 실외기와 연결되는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를 포함하되,
    상기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는,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설치된 바람 통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 내에는 바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에는 상기 바람 통로와 연통되는 후방 입풍구 및 전방 입풍구가 개설되는 하우징과,
    하단부가 상기 바람 통로와 연통되고, 전방에 상부 출풍구가 형성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출풍구를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 돌출시키거나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수축시키는 상부 출풍 프레임과,
    상기 바람 통로 내에 장착되고, 기류를 상기 후방 입풍구에서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 내로 흡입시키고 상기 전방 입풍구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거나 상기 전방 입풍구 및 상기 상부 출풍구를 통해 밖으로 불어내도록 설치되는 송풍기 어셈블리와,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통로 하우징은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 및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은 상기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바람 통로 전방 하우징과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바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는 원심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입풍구는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에 설치된 제1 입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람 통로는 상기 제1 입풍구와 상기 전방 입풍구 사이에 형성된 제1 바람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바람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바람 통로 내에는 상기 원심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는 축류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입풍구는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에 설치된 제2 입풍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풍구는 상기 제1 입풍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 입풍구는 상기 제2 입풍구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바람 통로는 상기 제2 입풍구와 상기 전방 입풍구 사이에 형성된 제2 바람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람 통로 내에는 상기 축류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풍구에는 흐름 안내통이 장착되고, 상기 흐름 안내통은 상기 전방 입풍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축류 송풍기는 상기 흐름 안내통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입풍구의 면적이 상기 흐름 안내통의 전단부 개구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안내통은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흐름 안내통의 외벽과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상부 출풍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간격을 통해 상기 제1 바람 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안내통의 외벽 양측에는 모두 수직 절단변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 절단변은 상기 바람 통로 후방 하우징의 내측벽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KR1020227009910A 2019-10-30 2020-03-04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 KR20220050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49230.6 2019-10-30
CN201911049230.6A CN110594866A (zh) 2019-10-30 2019-10-30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01921854320.8 2019-10-30
CN201921854320.8U CN210921595U (zh) 2019-10-30 2019-10-30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PCT/CN2020/077794 WO2021082322A1 (zh) 2019-10-30 2020-03-04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219A true KR20220050219A (ko) 2022-04-22

Family

ID=7571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910A KR20220050219A (ko) 2019-10-30 2020-03-04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05649A1 (ko)
KR (1) KR20220050219A (ko)
WO (1) WO20210823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3378A1 (zh) * 2022-10-31 2024-05-1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979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CN103776094A (zh) * 2012-10-23 2014-05-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299858B (zh) * 2015-12-03 2018-12-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灯固定结构、出风框及空调设备
CN106855266A (zh) * 2017-01-16 2017-06-1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风道组件
CN109959074B (zh) * 2019-03-29 2024-05-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10595032A (zh) * 2019-10-23 2019-12-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风道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CN110578968A (zh) * 2019-10-23 2019-12-1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0594866A (zh) * 2019-10-30 2019-12-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10822685A (zh) * 2019-10-30 2020-02-2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风道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CN110594867A (zh) * 2019-10-30 2019-12-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10617555A (zh) * 2019-10-30 2019-12-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1174280A (zh) * 2020-02-26 2020-05-1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导风静叶、风道部件和空调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3378A1 (zh) * 2022-10-31 2024-05-1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2322A1 (zh) 2021-05-06
US20220205649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24764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5864899A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1351130A (zh) 空调室内机
WO2023029543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WO2023029542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214841232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WO2021190200A1 (zh) 空调室内机
WO2023246706A1 (zh) 立式空调室内机
CN211822730U (zh) 空调室内机
WO2023029541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KR20220050219A (ko)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
CN214841234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JPH0886506A (ja) 空気調和機
CN105698269A (zh) 圆形挂壁式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10594866A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WO2023071225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WO2023130769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214841233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210921595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WO2022151803A1 (zh) 立式空调室内机
CN210320547U (zh) 导风板及具有其的空调
WO2022205980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WO2020172940A1 (zh) 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WO2022205979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WO2022247233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