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044A -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044A
KR20220050044A KR1020210129049A KR20210129049A KR20220050044A KR 20220050044 A KR20220050044 A KR 20220050044A KR 1020210129049 A KR1020210129049 A KR 1020210129049A KR 20210129049 A KR20210129049 A KR 20210129049A KR 20220050044 A KR20220050044 A KR 20220050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ngine
blade
hol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268B1 (ko
Inventor
고경완
김륜경
Original Assignee
(주)이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지시스템
Publication of KR2022005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1Propulsion using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C2201/024
    • B64C2201/044
    • B64C2201/108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립형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무인 멀티콥터의 이송 중량 및 비행시간을 극대화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Engine Propulsion Type Unmanned Multicopter Thrust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립형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무인 멀티콥터의 이송 중량 및 비행시간을 극대화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콥터(Multicopter) 또는 멀티로터(Multirotor)는 고정익 비행체와 대비되어 두 개 이상의 로터(Rotor)를 이용하여 부양력을 얻는 비행체를 의미하며, 비행체의 운동은 각 로터의 상대적인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이루어진다.
최근 멀티콥터는 주로 군사무기로만 활용되던 무인항공기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물류 배송수단으로 부각이 되는가하면, 농업,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면서 무한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멀티콥터는 로터의 숫자에 따라서 4-, 6-, 8-로터 헬리콥터(Helicopter)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쿼드콥터의 평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0711호(2016.01.28.)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쿼드콥터(90)는 몸체부(91)와, 몸체부(91)에서 방사형으로 고정되는 4 개의 암(93)과, 각 암(93)에 마련된 모터(95)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4 개의 프로펠러(9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쿼드콥터(90)는 각 프로펠러(97)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비행에 필요한 추력과 자세 제어가 이루어진다.
기존의 무인 멀티콥터는 브러시리스(BLDC)형 모터로 추력 및 양력을 발생하여 전자변속기(ESC)로 회전수 제어를 통해 비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인 멀티콥터는, 리튬폴리머(Li-Po) 배터리의 한계성 및 브러시리스(BLDC)형 모터의 제한된 소형화에 의해 기체 무게를 제외한 임무장비 탑재 가능 중량인 이송중량(Payload) 및 비행시간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이송중량 및 비행시간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멀티콥터를 요구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0711호(2016.01.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립형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여 무인 멀티콥터의 이송중량 및 비행시간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직립형 가솔린 엔진을 엔진제어장치(ECU)로 제어해 각 가솔린 엔진에 연결된 추력전달장치의 블레이드 회전수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전달부를 구성해, 직립형 가솔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전달부를 수평 방향으로 잘려 상하로 분리된 두 구성의 결합체 형태로 구성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전달부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구성해, 상기 제1동력전달부가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에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가솔린 엔진부로부터 흘러나오는 엔진오일은 수용하면서,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동력전달부의 외주 형상을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의 하면 형상과 상보적인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부피를 늘리는 것 없이 동력전달부가 직립형 가솔인 엔진부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동력전달부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1바디부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함입형성되어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기어수용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기어수용부 내에 기어부가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으로부터 발생한 회전동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어수용부의 공간 형상을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하고, 엔진으로부터 발생한 회전동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어수용부의 공간 형상을 일직선 형태로 형성하여, 불필요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 없이, 기어수용부 내부에 안치될 기어부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부를 감싸 보호하는 기어수용부를 구성해, 동력전달부 내부로 엔진오일, 배기가스 등이 유입되더라도, 기어수용부가 만드는 내부 공간은 엔진오일 및 배기가스 유로로부터 격리되어 있는바, 기어부 측으로의 엔진오일, 배기가스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수용부 내에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입력부수용홀을 구성하여, 기어부의 입력부를 위치시키고, 관통된 입력부수용홀을 통해 엔진부로부터의 회전동력이 동력전달부 내부에 위치한 입력부까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부수용홀을 구성해 엔진부의 회전부와 기어부의 입력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면 방향으로 함입된 제1바디부의 하면에서, 제1바디부를 관통하지는 않으면서 상면 방향으로 추가 함입된 변환부수용홀을 구성해, 기어부의 변환부를 안치,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면 방향으로 함입된 제1바디부의 하면에서, 제1바디부를 관통하지는 않으면서 상면 방향으로 추가 함입된 출력부수용홀을 구성해, 기어부의 출력부를 안치,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부수용홀, 변환부수용홀, 출력부수용홀을 인접 배치해, 각 수용홀 내에 안치될 입력부, 변환부, 출력부의 기어치 맞물림에 따라 회전 동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부와 출력부만 구성해 엔진부에 의한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을 출력하거나,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변환부를 추가해 엔진부에 의한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의 회전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는 바람직하게는 중심에서 4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암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가 구성되고, 4 개의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 각각에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가 직결되므로, 대각선상에 대향하는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에 결합된 추력전달장치의 블레이드부의 회전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인 멀티콥터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환부가 추가될 경우, 입력부와 변환부의 기어치는 맞물리도록 하되, 입력부와 출력부의 기어치는 맞물리지 않도록 하고, 변환부와 출력부의 기어치는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입력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환부가 회전하고, 변환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출력부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결국, 입력부와 출력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동력전달부 중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냉각홀부를 구성하여, 가솔린 엔진 내부를 흐르는 엔진오일이 동력전달부 내부로 흘러들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홀부가 엔진부의 엔진오일 유로 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엔진부로부터 흘러나온 엔진오일이 누유 없이 냉각홀부로 흘러들 수 있도록 하거나, 냉각홀부로 흘러든 엔진오일일 다시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동력전달부 측에만 냉각홀부를 구성하고, 제2동력전달부에 의해 냉각홀부의 하측이 막히도록 함으로써, 냉각홀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엔진오일이 외부로 누유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홀부의 형상을 기어부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에 의해 가열되는 기어부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홀부를 기어수용부와 배기홀부로부터 격리시켜, 엔진오일이 기어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배기가스가 엔진오일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제1배기홀부를 구성하여, 엔진부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엔진부의 하측에 동력전달부를 결합시키더라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부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홀의 평면 형상과 상보적인 평면 형상을 가지는 제1배기홀부를 구성하여, 배기가스가 주변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결합홀부를 구성하여,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를 용이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동력전달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동력전달부를 구성하여,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가 만드는 공간 내에 기어부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누유 없이 엔진오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되, 엔진부로부터의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함입된 입력부안치부를 구성하여, 입력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함입된 변환부안치부를 구성하여, 변환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는 출력부안치부를 구성해, 출력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출력부와 샤프트부의 회전축부가 연결되어, 출력부의 회전력이 회전축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바디부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2배기홀부를 구성하되, 제2배기홀부가 제1바디부의 제1배기홀부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가솔린 엔진부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제1배기홀부와 제2배기홀부를 차례로 거쳐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결합홀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결합홀부가 제1바디부에 형성된 제1결합홀부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결합홀부에 삽입해 분리된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은 기어부의 출력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허브부와 연결된 회전축부를 구성하여, 출력부의 회전 동력이 허브부에 전달되어 블레이드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랜지부를 구성해 플랜지부 내측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랜지부의 상측에 제1단턱을 형성하고, 플랜지부의 하측에 제2단턱을 형성하여 베어링부가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축부의 회전헤드부와 회전몸체부를 관통하는 회전보어부를 구성해, 출력부와 회전축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용이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각형 기둥을 구성한 회전마디부를 구성하여, 회전마디부가 헛도는 것 없이 허브부에 회전력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마디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체결부를 구성하여, 회전체결부에 와셔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부가 나사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회전체결부와 너트부의 나사결합력에 의해 허브부의 정위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부를 구성해 플랜지부와 회전축부 사이에서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방향으로 절단되어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부를 구성하여,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내측에 블레이드부의 블레이드결합부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제1허브부와 상기 제2허브부를 결합시켜, 허브부의 내측에 블레이드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브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해, 블레이드부의 결함 등이 발생하거나, 고정 피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허브부로부터 블레이드부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십자형의 허브부를 구성하여 사방으로 블레이드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십자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부의 하면 중심부에서 제1프레임부의 상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제1중앙함입부를 구성하여, 불필요한 허브부의 자중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프레임부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부를 구성하여, 각형의 회전마디부가 그 내부에 안치됨으로써, 회전축부의 회전력이 허브부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관통홀부를 중심으로 제1프레임부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하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킨 제1연장부를 구성해, 제1관통홀부의 높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회전축부의 회전마디부와 접하는 접촉면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십자형의 제1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제1허브부의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부분으로 블레이드결합부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제1블레이드안치부를 구성해, 블레이드부가 허브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십자형의 제1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제1결합홀을 구성하여, 그 안으로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분리 구성된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십자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부의 상면 중심부에서 제2프레임부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제2중앙함입부를 구성하여, 불필요한 허브부의 자중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프레임부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1관통홀부와 연통된 제2관통홀부를 구성하여, 각형의 회전마디부가 그 내부에 안치됨으로써, 회전축부의 회전력이 허브부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관통홀부를 중심으로 제2프레임부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상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킨 제2연장부를 구성해, 제2관통홀부의 높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회전축부의 회전마디부와 접하는 접촉면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십자형의 제2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제2허브부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부분으로 블레이드결합부의 하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제2블레이드안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블레이드부가 그 내부공간에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십자형의 제2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제2결합홀을 구성하여, 그 안으로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분리 구성된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허브부의 하면에 와셔부의 제1주변홀과 연통되는 고정홀을 형성하여, 와셔부의 제1주변홀을 통과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고정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루미늄 소재의 블레이드부를 구성해, 고토크 및 고회전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부 중 제1블레이드안치부와 제2블레이드안치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블레이드결합부를 구성하고, 블레이드헤드부와 블레이드넥부에 의해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블레이드결합부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상기 블레이드결합부가 안착되면, 허브부를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로 분리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거하지 않는한, 상기 블레이드부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블레이드부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결합부로부터 특정 곡률을 형성하면서 연장 형성된 블레이드몸체부를 구성하여, 블레이드몸체부의 특유한 형상을 통해 블레이드부의 특정 고정 피치가 정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판형의 와셔부를 구성해 허브부의 하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셔부의 중심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1중앙홀을 구성하여, 제1중앙홀이 제2관통홀부와 연통되도록 함에 따라, 제2관통홀부를 통과하여 노출되는 회전축부의 회전체결부가 제1중앙홀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와셔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체결부 상에 너트부가 체결되어 허브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중앙홀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주변홀을 구성하여 베이스부의 제2주변홀과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와셔부와 베이스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부를 구성해 회전체결부에 결합된 너트부를 감싸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엔진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에 결합된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엔진과 결합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결합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에 함입 형성된 기어수용부와, 상기 기어수용부 상에 안치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어부는, 상기 엔진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맞물려 상기 입력부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회전방향과 상기 출력부의 회전방향이 같아지도록,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가 직접 맞물리지 않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입력부와 맞물려 회전하고, 타측은 상기 출력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어부는, 상기 기어수용부 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력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입력부수용홀과, 상기 기어수용부 내에 함입 형성되어 상기 변환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변환부수용홀과, 상기 기어수용부 내에 함입 형성되어 상기 출력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출력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엔진의 내부를 흐르는 엔진오일이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냉각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냉각홀부는, 상기 기어부의 주변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기어수용부와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엔진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배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1바디부로 유입된 엔진오일의 외부 누유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바디부의 하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바디부에 함입 형성되어 입력부를 수용하는 입력부안치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 함입 형성되어 변환부를 수용하는 변환부안치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출력부를 수용하는 출력부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엔진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1배기홀부와 연통되는 제2배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부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출력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허브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출력부의 회전력을 받는 회전헤드부와, 상기 회전헤드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회전몸체부와, 상기 회전헤드부에서 상기 회전몸체부의 중심부 장축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관통 형성된 회전보어부와, 상기 회전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각형의 회전마디부와, 상기 회전마디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허브부는, 수평으로 절단된 허브부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허브부와, 수평으로 절단된 허브부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2허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허브부와 상기 제2허브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허브부는, 방사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의 하면 중심부에서 상기 제1프레임부의 상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제1중앙함입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부와, 상기 제1관통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프레임부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하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킨 제1연장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1허브부의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제1블레이드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허브부는, 방사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의 상면 중심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부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제2중앙함입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부와, 상기 제2관통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프레임부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상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킨 제2연장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2허브부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제2블레이드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부는, 제1블레이드안치부와 제2블레이드안치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블레이드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블레이드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블레이드결합부는, 단턱을 형성하는 블레이드헤드부와, 상기 블레이드헤드부와 상기 블레이드몸체부를 연결하는 블레이트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는, 안착되는 상기 블레이드헤드부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1블레이드헤드안치부와, 안착되는 상기 블레이드넥부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1블레이드넥안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는, 안착되는 상기 블레이드헤드부의 하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2블레이드헤드안치부와, 안착되는 상기 블레이드넥부의 하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2블레이드넥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는, 상기 샤프트부에 접한 상기 허브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긴결부는, 상기 허브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와셔부와, 회전축부의 회전체결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와셔부의 상면에 놓인 상기 허브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부와, 상기 와셔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체결부와 상기 회전체결부에 결합된 상기 너트부를 보호하기 위해 이들을 커버링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직립형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여 무인 멀티콥터의 이송중량 및 비행시간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직립형 가솔린 엔진을 엔진제어장치(ECU)로 제어해 각 가솔린 엔진에 연결된 추력전달장치의 블레이드 회전수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동력전달부를 구성해, 직립형 가솔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력전달부를 수평 방향으로 잘려 상하로 분리된 두 구성의 결합체 형태로 구성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동력전달부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구성해, 상기 제1동력전달부가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에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가솔린 엔진부로부터 흘러나오는 엔진오일은 수용하면서,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1동력전달부의 외주 형상을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의 하면 형상과 상보적인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부피를 늘리는 것 없이 동력전달부가 직립형 가솔인 엔진부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동력전달부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1바디부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함입형성되어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기어수용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기어수용부 내에 기어부가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발생한 회전동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어수용부의 공간 형상을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하고, 엔진으로부터 발생한 회전동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어수용부의 공간 형상을 일직선 형태로 형성하여, 불필요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 없이, 기어수용부 내부에 안치될 기어부를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기어부를 감싸 보호하는 기어수용부를 구성해, 동력전달부 내부로 엔진오일, 배기가스 등이 유입되더라도, 기어수용부가 만드는 내부 공간은 엔진오일 및 배기가스 유로로부터 격리되어 있는바, 기어부 측으로의 엔진오일, 배기가스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어수용부 내에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입력부수용홀을 구성하여, 기어부의 입력부를 위치시키고, 관통된 입력부수용홀을 통해 엔진부로부터의 회전동력이 동력전달부 내부에 위치한 입력부까지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입력부수용홀을 구성해 엔진부의 회전부와 기어부의 입력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기어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면 방향으로 함입된 제1바디부의 하면에서, 제1바디부를 관통하지는 않으면서 상면 방향으로 추가 함입된 변환부수용홀을 구성해, 기어부의 변환부를 안치,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어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면 방향으로 함입된 제1바디부의 하면에서, 제1바디부를 관통하지는 않으면서 상면 방향으로 추가 함입된 출력부수용홀을 구성해, 기어부의 출력부를 안치,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입력부수용홀, 변환부수용홀, 출력부수용홀을 인접 배치해, 각 수용홀 내에 안치될 입력부, 변환부, 출력부의 기어치 맞물림에 따라 회전 동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입력부와 출력부만 구성해 엔진부에 의한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을 출력하거나,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변환부를 추가해 엔진부에 의한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의 회전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는 바람직하게는 중심에서 4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암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가 구성되고, 4 개의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 각각에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가 직결되므로, 대각선상에 대향하는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에 결합된 추력전달장치의 블레이드부의 회전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인 멀티콥터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변환부가 추가될 경우, 입력부와 변환부의 기어치는 맞물리도록 하되, 입력부와 출력부의 기어치는 맞물리지 않도록 하고, 변환부와 출력부의 기어치는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입력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환부가 회전하고, 변환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출력부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결국, 입력부와 출력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1동력전달부 중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냉각홀부를 구성하여, 가솔린 엔진 내부를 흐르는 엔진오일이 동력전달부 내부로 흘러들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각홀부가 엔진부의 엔진오일 유로 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엔진부로부터 흘러나온 엔진오일이 누유 없이 냉각홀부로 흘러들 수 있도록 하거나, 냉각홀부로 흘러든 엔진오일일 다시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동력전달부 측에만 냉각홀부를 구성하고, 제2동력전달부에 의해 냉각홀부의 하측이 막히도록 함으로써, 냉각홀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엔진오일이 외부로 누유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냉각홀부의 형상을 기어부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에 의해 가열되는 기어부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냉각홀부를 기어수용부와 배기홀부로부터 격리시켜, 엔진오일이 기어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배기가스가 엔진오일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제1배기홀부를 구성하여, 엔진부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엔진부의 하측에 동력전달부를 결합시키더라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엔진부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홀의 평면 형상과 상보적인 평면 형상을 가지는 제1배기홀부를 구성하여, 배기가스가 주변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결합홀부를 구성하여,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를 용이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동력전달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동력전달부를 구성하여,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가 만드는 공간 내에 기어부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누유 없이 엔진오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되, 엔진부로부터의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2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함입된 입력부안치부를 구성하여, 입력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함입된 변환부안치부를 구성하여, 변환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2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는 출력부안치부를 구성해, 출력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출력부와 샤프트부의 회전축부가 연결되어, 출력부의 회전력이 회전축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2바디부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2배기홀부를 구성하되, 제2배기홀부가 제1바디부의 제1배기홀부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가솔린 엔진부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제1배기홀부와 제2배기홀부를 차례로 거쳐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결합홀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결합홀부가 제1바디부에 형성된 제1결합홀부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결합홀부에 삽입해 분리된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일측은 기어부의 출력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허브부와 연결된 회전축부를 구성하여, 출력부의 회전 동력이 허브부에 전달되어 블레이드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를 구성해 플랜지부 내측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의 상측에 제1단턱을 형성하고, 플랜지부의 하측에 제2단턱을 형성하여 베어링부가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회전축부의 회전헤드부와 회전몸체부를 관통하는 회전보어부를 구성해, 출력부와 회전축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용이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회전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각형 기둥을 구성한 회전마디부를 구성하여, 회전마디부가 헛도는 것 없이 허브부에 회전력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마디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체결부를 구성하여, 회전체결부에 와셔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부가 나사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회전체결부와 너트부의 나사결합력에 의해 허브부의 정위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베어링부를 구성해 플랜지부와 회전축부 사이에서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절단되어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부를 구성하여,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내측에 블레이드부의 블레이드결합부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제1허브부와 상기 제2허브부를 결합시켜, 허브부의 내측에 블레이드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허브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해, 블레이드부의 결함 등이 발생하거나, 고정 피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허브부로부터 블레이드부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십자형의 허브부를 구성하여 사방으로 블레이드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십자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부의 하면 중심부에서 제1프레임부의 상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제1중앙함입부를 구성하여, 불필요한 허브부의 자중 증가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프레임부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부를 구성하여, 각형의 회전마디부가 그 내부에 안치됨으로써, 회전축부의 회전력이 허브부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관통홀부를 중심으로 제1프레임부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하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킨 제1연장부를 구성해, 제1관통홀부의 높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회전축부의 회전마디부와 접하는 접촉면이 증가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십자형의 제1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제1허브부의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부분으로 블레이드결합부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제1블레이드안치부를 구성해, 블레이드부가 허브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십자형의 제1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제1결합홀을 구성하여, 그 안으로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분리 구성된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십자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부의 상면 중심부에서 제2프레임부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제2중앙함입부를 구성하여, 불필요한 허브부의 자중 증가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2프레임부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1관통홀부와 연통된 제2관통홀부를 구성하여, 각형의 회전마디부가 그 내부에 안치됨으로써, 회전축부의 회전력이 허브부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관통홀부를 중심으로 제2프레임부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상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킨 제2연장부를 구성해, 제2관통홀부의 높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회전축부의 회전마디부와 접하는 접촉면이 증가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십자형의 제2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제2허브부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부분으로 블레이드결합부의 하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제2블레이드안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블레이드부가 그 내부공간에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십자형의 제2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제2결합홀을 구성하여, 그 안으로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분리 구성된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허브부의 하면에 와셔부의 제1주변홀과 연통되는 고정홀을 형성하여, 와셔부의 제1주변홀을 통과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고정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소재의 블레이드부를 구성해, 고토크 및 고회전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부 중 제1블레이드안치부와 제2블레이드안치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블레이드결합부를 구성하고, 블레이드헤드부와 블레이드넥부에 의해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블레이드결합부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상기 블레이드결합부가 안착되면, 허브부를 제1허브부와 제2허브부로 분리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부를 제거하지 않는한, 상기 블레이드부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블레이드부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결합부로부터 특정 곡률을 형성하면서 연장 형성된 블레이드몸체부를 구성하여, 블레이드몸체부의 특유한 형상을 통해 블레이드부의 특정 고정 피치가 정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원판형의 와셔부를 구성해 허브부의 하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와셔부의 중심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제1중앙홀을 구성하여, 제1중앙홀이 제2관통홀부와 연통되도록 함에 따라, 제2관통홀부를 통과하여 노출되는 회전축부의 회전체결부가 제1중앙홀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와셔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체결부 상에 너트부가 체결되어 허브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중앙홀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1주변홀을 구성하여 베이스부의 제2주변홀과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와셔부와 베이스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캡부를 구성해 회전체결부에 결합된 너트부를 감싸 보호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쿼드콥터의 평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일 시점에서 바라본 추력전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추력전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동력전달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제1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동력전달부에 결합되는 기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가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가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일 시점에서 바라본 제2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제2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샤프트부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플랜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회전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17은 허브부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일 시점에서 바라본 제1허브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일 시점에서 바라본 제2허브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제2허브부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블레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제2허브부에 안착되는 블레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허브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긴결부의 분해사시도.
도 24는 일 시점에서 바라본 캡부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캡부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의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1)는, 직립형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무인 멀티콥터의 이송 중량 및 비행시간을 극대화하는 장치를 말한다. 무인 멀티콥터는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을 통해 추력 및 양력을 발생시키며, 엔진제어(ECU) 구성품으로 각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일 시점에서 바라본 추력전달장치(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추력전달장치의 분해사시도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1)는, 동력전달부(10), 샤프트부(30), 허브부(50), 블레이드부(70), 긴결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0)는,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와 직접 연결되는 구성으로,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샤프트부(30)의 회전축부(33)를 회전시켜, 회전축부(33)의 회전력을 받도록 구성된 허브부(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허브부(50)에 연결된 블레이드부(7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는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으로 회전 동력을 발생시켜, 이를 상기 동력전달부(10)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동력전달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잘려 상하로 분리된 두 구성의 결합체로 볼 수 있는바, 상기 동력전달부(10)는 제1동력전달부(11)와, 제2동력전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11)는, 상기 동력전달부(10) 중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에 직결되는 구성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11)의 평면 형상은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의 하측 연결부위 평면 형상과 대략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제1동력전달부(1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동력전달부(11)에 결합되는 기어부(115)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115)가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1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115)가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11)를 도시한 도면으로,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제1동력전달부(11)는, 제1바디부(111), 기어수용부(113), 기어부(115), 냉각홀부(117), 제1배기홀부(119), 제1결합홀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부(111)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11)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의 하면에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바디부(111)의 평면 형상은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의 하면 형상에 대체적으로 상보적인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어수용부(113)는, 상기 제1바디부(111)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함입형성되어 함입된 내측 공간에 후술할 기어부(115)를 수용하는 부분을 말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동력전달부(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는바, 상기 기어수용부(113)의 형상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인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인지에 따라 수용 공간의 형상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입력부(1151)와 반대방향으로 출력부(1155)를 회전시키려고 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51)와 출력부(1155)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는 기어수용부(113)의 공간이 형성되고, 후술할 입력부(1151)와 같은 방향으로 출력부(1155)를 회전시키려고 할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51)와 변환부(1153)와 출력부(1155)를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배치할 수 있는 기어수용부(113)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기어수용부(113)는, 입력부수용홀(1131), 변환부수용홀(1133), 출력부수용홀(1135)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은, 상기 기어수용부(113) 내에 형성되는 상기 제1바디부(11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말한다.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의 형상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이 형성된 부분에 후술할 입력부(1151)가 위치하게 되고, 입력부(11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의 회전부(R)와 연결이 되는바, 회전부(R)의 회전에 동기화 되어 입력부(1151)가 회전하게 된다. 후술할 변환부수용홀(1131), 출력부수용홀(1135)과 달리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은 상기 회전부(R)와의 연결을 위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은, 상기 기어수용부(113)를 형성하기 위해 상면 방향으로 함입된 상기 제1바디부(111)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의 추가 함입을 통해 후술할 변환부(1153)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에 수용된 변환부(1153)는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의 회전부(R)와 연결될 필요가 없는바,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은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과는 달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바디부(111)를 관통하지는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은, 상기 기어수용부(113)를 형성하기 위해 상면 방향으로 함입된 상기 제1바디부(111)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의 추가 함입을 통해 후술할 출력부(1155)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에 수용되는 출력부(1155) 역시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의 회전부(R) 등과 연결될 필요가 없는바,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부(111)를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수용부(113) 내에 입력부(1151)와 출력부(1155)만 배치 구성할 경우,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을 형성할 필요없이,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과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을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어수용부(113) 내에 입력부(1151)와 변환부(1153)와 출력부(1155)를 모두 배치할 경우, 상기 기어수용부(113)의 평면 형상을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해,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과,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과,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을 인접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어느 경우에도 후술할 기어부(115) 각각 구성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과,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과,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부(115)는, 상기 기어수용부(113) 상에 안치되어,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회전 동력을 후술할 샤프트부(30)로 전달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어부(115)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어부(115)에 포함된 후술할 입력부(1151), 변환부(1153), 출력부(1155)의 기어비를 조절함으로써, 속도, 토크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는 바람직하게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서 4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암프레임(F)에 각각 독립적으로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가 구성되고, 4 개의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 각각에 본 발명인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1)가 직결되는데, 이때 대각선상에 대향하는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에 결합된 추력전달장치(1)의 블레이드부(70)의 회전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필요가 있다. 즉, 대각선 방향에 대향하는 기어부(1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나머지 대각선 방향에 대향하는 두 기어부(11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야 무인 멀티콥터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상기 기어부(11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부(115)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부(115)으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기어부(115)는, 입력부(1151), 변환부(1153), 출력부(1155)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151)는, 도 3의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의 회전부(R)와 연결되어, 회전부(R)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입력부(115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변환부(1153)를 매개로 후술할 출력부(1155)와 간접 연결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출력부(1155)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입력부(1151)는 후술할 변환부(1153) 또는 출력부(1155) 중 어느 하나와 기어치 맞물림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1151)는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이 형성된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153)는, 상기 입력부(1151)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입력부(1151)의 회전방향과 후술할 출력부(1155)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는 구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의 회전부(R)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입력부(1151)는 상기 회전부(R)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며, 이러한 입력부(1151)와 맞물려 회전하는 상기 변환부(115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변환부(1153)와 맞물려 회전하게 될 후술할 출력부(115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변환부(1153)와 반대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결국, 상기 변환부(1153)에 의해 상기 입력부(1151)와 후술할 출력부(1155)의 방향은 같아 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변환부(1153)는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이 형성된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51)와 후술할 출력부(1155)는 기어부(115)가 반시계 방향의 출력을 만드는 것인지, 시계 방향의 출력을 만드는 것인지에 관계없이 모든 기어부(115)에 사용되는 것인 반면, 상기 변환부(1153)는 입력부(1151)와 출력부(1155)의 회전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자 할 때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변환부(1153)의 기어치 일측은 상기 입력부(1151)의 기어치와 맞물리고, 타측은 후술할 출력부(1155)의 기어치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출력부(1155)는, 상기 입력부(1151) 및 상기 변환부(1153) 중 어느 하나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샤프트부(30)의 회전축부(33)와 연결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변환부(1153)를 구성하는 것 없이, 상기 출력부(1155)가 상기 입력부(1151)에 직접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하게 될 경우, 상기 입력부(1151)가 회전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출력부(1155)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11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었을 때, 이에 맞물리는 상기 출력부(115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이러한 출력부(1155)에 연결된 샤프트부(30)에 의해 후술할 블레이드부(7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변환부(1153)를 구성해 상기 변환부(1153)가 상기 입력부(1151)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출력부(1155)가 상기 변환부(1153)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할 경우(이 경우 입력부(1151)와 출력부(1155)는 서로 맞물리지 않음)에는, 상기 입력부(11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입력부(1151)에 맞물리는 상기 변환부(115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변환부(1153)에 의해 상기 출력부(1155)는 상기 입력부(115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출력부(1155)는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이 형성된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홀부(117)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부(11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말한다. 상기 냉각홀부(117)를 통해 냉각수단, 바람직하게는 가솔린 엔진 내부를 흐르는 엔진오일이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 하부에는 가솔린 엔진부(E)를 냉각하기 위한 엔진오일이 흐르는 유로의 단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냉각홀부(117)는 이러한 엔진오일 유로의 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엔진부(E)로부터 흘러나온 엔진오일이 상기 냉각홀부(117)로 흘러들 수 있도록 하거나, 냉각홀부(117)로 흘러든 엔진오일이 다시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 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각홀부(117)의 형상을 어느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115) 주위를 감싸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에 의해 가열되는 기어부(115) 주변을 냉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단 어느 경우에도, 상기 냉각홀부(117)의 내측 공간은 상기 기어수용부(113)의 공간과 연통되지 않고, 후술할 제1배기홀부(119)의 공간과도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 제1배기홀부(119)는, 상기 제1바디부(11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홀부(117)와는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0)는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의 하부에 직결되어 상기 엔진부(E)의 하부를 막는 형상을 하게 되는바, 상기 엔진부(E)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바디부(111) 상에는 상기 제1배기홀부(119)가 구성된다. 상기 엔진부(E)의 하부에는 엔진부(E)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배기홀부(119)는 바람직하게는 엔진의 배기가스 배출홀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기가스 배출홀과 연통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홀부(110)는, 상기 제1바디부(11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수용하여 상기 제1동력전달부(11)를 후술할 제2동력전달부(13) 등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홀부(110)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평면이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부(111)의 외측 부분에 복수 개가 상기 제1바디부(111)의 프로파일을 따라 특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13)는, 상기 동력전달부(10) 중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후술할 샤프트부(30)와 결합되며, 상기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에 직결된 상기 제1동력전달부(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제2동력전달부(13)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11)의 하측을 덮어 엔진오일이 외부로 누유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11)에 유입된 엔진부(E)의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후술할 샤프트부(30)와 결합되어 상기 제1동력전달부(11)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샤프트부(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성을 말한다. 도 11은 일 시점에서 바라본 제2동력전달부(13)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제2동력전달부(13)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제2동력전달부(13)는, 제2바디부(131), 입력부안치부(133), 변환부안치부(135), 출력부안치부(137), 플랜지결합홀부(138), 제2배기홀부(139), 제2결합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바디부(131)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13)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1바디부(111)의 하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바디부(111)의 하면 평면 형상에 대략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부(131)가 상기 제1바디부(111)의 하면을 덮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바디부(111)로 유입된 엔진오일의 외부 누유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안치부(133)은, 상기 제2바디부(131)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상기 입력부(1151)를 수용하도록 함입된 구성으로, 상기 제2바디부(131)가 상기 제1바디부(111)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의 대향되는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입력부안치부(133)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수용홀(1131)과 상기 입력부안치부(133)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는 상기 입력부(1151)가 수용되어 엔진부(E)의 회전부(R)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변환부안치부(135)는, 상기 제2바디부(131)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상기 변환부(1153)를 수용하도록 함입된 구성으로, 상기 제2바디부(131)가 상기 제1바디부(111)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의 대향되는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안치부(135)의 평면 형상 역시 원형이 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수용홀(1133)과 상기 변환부안치부(13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는 상기 변환부(1153)가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부(1153)를 구성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부안치부(135)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입력부안치부(133)와 후술할 출력부안치부(137)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안치부(137)는, 상기 제2바디부(131)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력부(1155)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2바디부(131)가 상기 제1바디부(11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의 대향되는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안치부(137)의 평면 형상은 상기 출력부(1155)를 수용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출력부수용홀(1135)과 상기 출력부안치부(137)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는 상기 출력부(1155)가 수용되고, 상기 출력부안치부(137)는 상기 제2바디부(131) 상에 관통 형성되는바, 상기 출력부안치부(137)에 의해 관통된 상기 제2바디부(131)의 하측에는 후술할 샤프트부(30)가 결합되어, 출력부(1155)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부(33)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랜지결합홀부(138),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안치부(137)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제2바디부(13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말한다. 상기 플랜지결합홀부(138)는 후술할 동력전달부결합홀(3113)과 연통이 되는바, 후술할 동력전달부결합홀(3113)을 통해 삽입된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2동력전달부(13)의 하측에 후술할 플랜지부(31)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결합홀부(138)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력부안치부(137) 주변에 복수 개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홀부(139)는, 상기 제2바디부(13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상기 제1동력전달부(11)의 제1배기홀부(119)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배기홀부(119)와 연통되어, 가솔린 엔진부(E)에서 상기 제1배기홀부(119)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제2배기홀부(13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홀부(130)는, 상기 제2바디부(13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수용하여 상기 제2동력전달부(13)를 상기 제1동력전달부(11) 등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홀부(130)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평면이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디부(131)의 외측 부분에 복수 개가 상기 제2바디부(131)의 프로파일을 따라 특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결합홀부(130)는 상기 제1결합홀부(110)와 연통되며, 상기 제1결합홀부(110)와 상기 제2결합홀부(130)가 접하는 부분의 형상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상기 제2결합홀부(130)를 통해 상기 제1결합홀부(110)에 수용되도록 하되, 볼트 등의 머리가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제2바디부(131) 안쪽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부(131)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홀부(130)의 형상은 체결수단의 헤드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30)는, 상기 동력전달부(10)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성으로, 상기 출력부(1155)의 회전 동력을 받아 허브부(50)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10)의 하면과 후술할 허브부(50)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0)와 허브부(50)를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3은 샤프트부(30)의 분해사시도로,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샤프트부(30)는 플랜지부(31), 회전축부(33), 베어링부(35)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31)는, 내측에 후술할 회전축부(33)가 안치될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샤프트부(30)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포함된 회전축부(33)과 베어링부(35)를 보호하며, 샤프트부(30)가 일측은 상기 동력전달부(10)에, 타측은 허브부(50)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이러한 플랜지부(31)는 제1서포트부(311), 연결부(313), 제2서포트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서포트부(31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성으로, 상기 제1서포트부(311)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후술할 연결부(313)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서포트부(311)를 통해 연결부(313) 측으로 후술할 회전축부(33)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서포트부(311)는 후술할 연결부(313)와 제1단턱(3111)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바, 상기 제1단턱(3111) 상에는 후술할 베어링부(35)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서포트부(311) 상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력전달부결합홀(3113)이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결합홀(3113)은 상기 플랜지결합홀부(138)에 대향하는 위치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결합홀부(138)와 연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결합홀부(138)의 수와 상기 동력전달부결합홀(3113)의 수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13)는, 상기 제1서포트부(31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313)는 상기 제1서포트부(311)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직경 및 후술할 제2서포트부(315)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내부 공간의 직경을 가지도록 축경되어 연장되는바, 상기 연결부(313)의 상단에는 전술한 제1단턱(3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후술할 제2단턱(315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서포트부(31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구성으로, 상기 제2서포트부(315)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상기 연결부(313)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할 회전축부(33)가 상기 제1서포트부(311)와 상기 연결부(313)를 차례로 지나 상기 제2서포트부(315)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서포트부(315)는 상기 연결부(313)와 제2단턱(3151)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단턱(3151) 상에는 후술할 베어링부(35)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33)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31)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되, 일측이 상기 출력부(1155)와 연결되어, 출력부(115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그 회전력을 후술할 허브부(50)로 전달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5는 회전축부(33)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회전축부(33)는 회전헤드부(331), 회전몸체부(333), 회전보어부(335), 회전마디부(337), 회전체결부(339)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헤드부(331)는, 상기 출력부(1155)와 연결되어 출력부(1155)의 회전력을 받는 부분을 말하며, 도 15에 도시된 같이, 후술할 회전몸체부(33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부(33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헤드부(33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회전헤드부(331)가 출력부(1155)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하측으로 전달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몸체부(333)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보어부(335)는, 상기 회전헤드부(331)에서 상기 회전몸체부(333)의 중심부 장축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관통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기어부(115)의 출력부(1155)와 상기 회전축부(3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출력부(1155)와 상기 회전보어부(335)가 연결되는바, 상기 출력부(1155)가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부(33)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마디부(337)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몸체부(333)의 하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상기 회전마디부(337)는 상기 회전몸체부(333)와 달리 각형 기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33)가 회전을 하게 될 때, 상기 회전몸체부(333)의 회전이 상기 플랜지부(31)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회전몸체부(333)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는 반면, 상기 회전마디부(337)는 후술할 허브부(50)에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각형 기둥, 바람직하게는 사각 기둥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회전마디부(337)는 횡단면의 크기가 상기 회전몸체부(333)의 횡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339)는, 상기 회전마디부(337)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회전체결부(339)는 후술할 와셔부(81)의 제1중앙홀(811)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결부(339)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결부(339)에 와셔부(81)가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할 너트부(83)가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을 함에 따라 상기 회전체결부(339)로부터 와셔부(81)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후술할 허브부(50)는 상기 플랜지부(31)와 와셔부(81)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체결부(339)와 후술할 너트부(83)의 나사 결합력에 의해 허브부(50)의 정위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베어링부(35)은, 상기 플랜지부(31)와 상기 회전축부(33) 사이 회전력이 발생하는 계면 부위 등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33)의 회전을 허용하되, 상기 플랜지부(31)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베어링부(35)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부(31)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허브부(50)는, 상기 샤프트부(30)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부(3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샤프트부(30)의 회전축부(33)와 연결이 되며, 후술할 블레이드부(70)와 결합되는바, 상기 회전축부(33)의 회전력에 의해 블레이드부(70)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허브부(50)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블레이드부(70) 4 개를 상기 허브부(50)를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배치 결합시키기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십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허브부(50)는 수평방향으로 절단되어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허브부(51)와 제2허브부(53)로 분리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 후술할 블레이드부(70)를 넣고 조립함으로써, 상기 허브부(50)에 블레이드부(70)를 용이하고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허브부(51)는, 수평으로 절단된 상기 허브부(50) 중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십자형태의 외형을 형성한다. 도 17은 허브부(5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일 시점에서 바라본 제1허브부(51)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제1허브부(51)는, 제1프레임부(511), 제1중앙함입부(513), 제1관통홀부(515), 제1연장부(517), 제1블레이드안치부(519), 제1결합홀(5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부(511)는, 방사형, 바람직하게는 십자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허브부(50)를 분리시키는 절단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후술할 제2프레임부(531)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1프레임부(511)가 4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프레임부(511)의 형상이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4 방향보다 많은 또는 보다 적은 수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중앙함입부(513)는, 상기 제1프레임부(511)의 하면 중심부에서 상기 제1프레임부(511)의 상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부분을 가리킨다. 상기 제1중앙함입부(513)를 구성하여 불필요한 허브부(50)의 자중 증가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제1중앙함입부(513)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부(515)는, 상기 제1프레임부(511)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가리킨다. 상기 제1관통홀부(515)를 통해 상기 회전체결부(339)가 통과하게 되고, 각형의 상기 회전마디부(337)가 그 내부에 안치되어, 상기 회전축부(33)가 회전할 때, 그 회전력을 상기 허브부(50)가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관통홀부(515)의 형상은 상기 회전마디부(337)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마디부(337)가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제1관통홀부(515)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517)는, 상기 제1관통홀부(515)를 중심으로 상기 제1프레임부(511)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하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켜, 상기 제1관통홀부(515)의 높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33)의 회전마디부(337)와 접하는 접촉면을 증가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1연장부(517)에 의해 상기 회전마디부(337)를 수용하는 상기 제1관통홀부(515)의 영역이 커지게 되는바, 상기 회전축부(33)의 회전 동력은 상기 허브부(5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연장부(517)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 형상은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519)는, 십자형의 상기 제1프레임부(511)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1허브부(51)의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부분으로,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519)에 의해 형성된 내측 빈 공간에는 후술할 블레이드부(70)의 블레이드결합부(71)가 수용된다. 블레이드부(7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519)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되는 블레이드헤드부(711)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1블레이드헤드안치부(5191)와, 안착되는 블레이드넥부(713)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1블레이드넥안치부(519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홀(51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의 상기 제1프레임부(511)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말한다. 상기 제1결합홀(510)은 후술할 제2결합홀(530)과 연통이 되는바, 상기 제1결합홀(510)과 제2결합홀(530)의 연통된 구멍을 통해 체결수단을 삽입해 분리 구성된 상기 제1허브부(51)와 상기 제2허브부(53)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허브부(53)는, 수평으로 절단된 상기 허브부(50) 중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전체적으로 십자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제2프레임부(531), 제2중앙함입부(533), 제2관통홀부(535), 제2연장부(537), 제2블레이드안치부(539), 제2결합홀(530), 고정홀(532)을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부(531)는, 방사형, 바람직하게는 십자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허브부(50)를 분리시키는 절단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프레임부(511)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제2프레임부(531)가 4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2프레임부(531)의 형상이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4 방향보다 많은 또는 보다 적은 수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중앙함입부(533)는, 상기 제2프레임부(531)의 상면 중심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부(531)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부분을 가리킨다. 상기 제2중앙함입부(533)를 구성하여 불필요한 허브부(50)의 자중 증가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제2중앙함입부(533)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부(535)는, 상기 제2프레임부(531)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가리킨다. 상기 제2관통홀부(535)를 통해 상기 회전체결부(339)가 통과하게 되고, 각형의 상기 회전마디부(337)가 그 내부에 안치되어, 상기 회전축부(33)가 회전할 때, 그 회전력을 상기 허브부(50)가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관통홀부(535)의 형상은 상기 회전마디부(337)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마디부(337)가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제2관통홀부(535)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537)는, 상기 제2관통홀부(535)를 중심으로 상기 제2프레임부(531)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상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켜, 상기 제2관통홀부(535)의 높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33)의 회전마디부(337)와 접하는 접촉면을 증가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2연장부(537)에 의해 상기 회전마디부(337)를 수용하는 상기 제2관통홀부(535)의 영역이 커지게 되는바, 상기 회전축부(33)의 회전 동력은 상기 허브부(5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연장부(537)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 형상은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539)는, 십자형의 상기 제2프레임부(531)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2허브부(53)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부분으로,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539)에 의해 형성된 내측 빈 공간에는 후술할 블레이드부(70)의 블레이드결합부(71)가 수용된다. 블레이드부(7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539)는 안착되는 블레이드헤드부(711)의 하측 외주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2블레이드헤드안치부(5391)와, 안착되는 블레이드넥부(713)의 하측 외주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2블레이드넥안치부(5393)를 포함한다. 결국,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539)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519)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헤드안치부(5191)와 상기 제2블레이드헤드안치부(5391)가 연통된 공간은 후술할 블레이드헤드부(711)의 외주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블레이드넥안치부(5193)와 상기 제2블레이드넥안치부(5393)가 연통된 공간은 후술할 블레이드넥부(713)의 외주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2결합홀(530)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의 상기 제2프레임부(531)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말한다. 상기 제2결합홀(530)은 상기 제1결합홀(510)과 연통이 되는바, 상기 제1결합홀(510)과 제2결합홀(530)의 연통된 구멍을 통해 체결수단을 삽입해 분리된 구성된 상기 제1허브부(51)와 상기 제2허브부(53)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홀(532)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허브부(53)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도 23을 참고하면, 후술할 와셔부(81)의 제1주변홀(813)과 연통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홀(532)의 내주면에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바, 와셔부(81)의 제1주변홀(813)을 통과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홀(532)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홀(532)은 상기 제2관통홀부(535) 주변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70)는, 상기 허브부(5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블레이드부(70)의 재료를 어느 특정 재료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솔린 엔진 추진형의 고토크 및 고회전수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70)는 상기 허브부(50)를 중심으로 상기 허브부(50)의 사방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허브부(50)와 상기 블레이드부(70)의 결합체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십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블레이드부(70)는 특정 고정 피치(Pitch)를 가질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블레이드부(70)는 블레이드결합부(71), 블레이드몸체부(73)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결합부(71)는, 상기 블레이드부(70) 중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519)와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539)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블레이드결합부(71)는 블레이드헤드부(711)와 블레이드넥부(713)를 포함하는데,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헤드부(711)는 블레이드넥부(713)에 비해 확경되어 단턱을 형성하는바, 이러한 블레이드헤드부(711)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블레이드헤드안치부(5191)와 상기 제2블레이드헤드안치부(5391)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상기 블레이드헤드부(711)가 안착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부(50)를 제1허브부(51)와 제2허브부(53)로 분리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헤드부(711)를 제거하지 않는한, 상기 블레이드헤드부(711)의 분리는 불가능해지므로, 안정적인 블레이드부(70)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블레이드몸체부(73)는, 상기 블레이드결합부(71)로부터 특정 곡률을 형성하면서 연장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블레이드몸체부(73)의 특유한 형상을 통해 상기 블레이드부(70)의 특정 고정 피치를 정할 수 있는바, 상기 블레이드몸체부(73)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몸체부(73)의 크기, 형상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고정 피치를 가지는 복수의 블레이드(70)를 구비할 수 있게 되고, 구비된 블레이드(70) 중 필요에 따라 적절한 블레이드(70)를 선택해 블레이드(70)를 교체해 가면서 원하는 고정 피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긴결부(80)는, 상기 샤프트부(30)에 접한 상기 허브부(50)의 하측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허브부(5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도 2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긴결부(80)는, 와셔부(81), 너트부(83), 캡부(85)를 포함한다.
상기 와셔부(8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허브부(50) 중 상기 제2허브부(53)의 하면을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와셔부(81)는, 제1중앙홀(811)과, 제1주변홀(8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중앙홀(811)은, 상기 와셔부(81)의 중심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상기 제2관통홀부(535)와 연통이 되어, 상기 제2관통홀부(535)를 통과하여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부(33)의 회전체결부(339)가 상기 제1중앙홀(811)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셔부(8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체결부(339) 상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너트부(83)를 체결시켜, 그 결합력에 의해 상기 허브부(50)가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1주변홀(813)은, 상기 제1중앙홀(811)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와셔부(8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주변홀(813)은 상기 제2허브부(53)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532)과 연통될 수 있으며, 후술할 베이스부(851)의 제2주변홀(8513)과도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83)는, 상기 회전축부(33)의 회전체결부(339)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와셔부(81)의 상면에 놓인 상기 허브부(50)의 중력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부(83)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체결부(339)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보적인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85)는, 상기 와셔부(81)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33)의 회전체결부(339)와 상기 회전체결부(339)에 결합된 상기 너트부(83)를 보호하기 위해 이들을 커버링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이를 위해, 이러한 상기 캡부(85)는, 베이스부(851)와, 커버부(85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851)는, 상기 와셔부(81)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셔부(81)와 접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851)는, 제2중앙홀(8511)과 제2주변홀(8513)을 포함한다.
상기 제2중앙홀(8511)은, 상기 베이스부(851) 중심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상기 제2중앙홀(8511)은 후술할 커버부(853)에 의한 내측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제2중앙홀(8511)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평면 형상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주변홀(8513)은, 상기 제2중앙홀(8511)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따라 형성된, 상기 베이스부(851)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구멍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제2주변홀(8513)은 상기 와셔부(81)에 형성된 제1주변홀(813)과 연통되는바, 상기 제1주변홀(813)과 상기 제2주변홀(8513)의 연통된 공간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캡부(85)와 상기 와셔부(81)의 안정적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853)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된 컵 형상의 구성을 말한다. 상기 커버부(853)의 내부 빈 공간은 상기 베이스부(851)의 제2중앙홀(8511)과 연통이 되며, 그 내부 공간은 상기 회전체결부(339)와 상기 너트부(83)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기에, 너트부(83)가 체결된 회전체결부(339)는 상기 커버부(853)에 의해 덮혀 보호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1)는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4 개의 암프레임(F)에 각각 직립형 가솔린 엔진부(E)를 결합하고, 상기 엔진부(E) 각각의 하측에 상기 추력전달장치(1)를 결합함으로써 무인 멀티콥터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가솔린 엔진부(E)는 엔진 제어 장치(Egine Control Unit)에 연결되어 제어되는바, 결과적으로 엔진부(E)에 연결된 추력전달장치(1)의 블레이드부 회전수가 제어되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멀티콥터 비행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무인 멀티콥터는 직립형 가솔린 엔진(E)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기 때문에, 무인 멀티콥터가 들어올릴 수 있는 물체(O)의 이송 중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비행시간 역시 크게 늘어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0: 동력전달부
11: 제1동력전달부
111: 제1바디부
113: 기어수용부
1131: 입력부수용홀
1133: 변환부수용홀
1135: 출력부수용홀
115: 기어부
1151: 입력부
1153: 변환부
1155: 출력부
117: 냉각홀부
119: 제1배기홀부
110: 제1결합홀부
13: 제2동력전달부
131: 제2바디부
133: 입력부안치부
135: 변환부안치부
137: 출력부안치부
138: 플랜지결합홀부
139: 제2배기홀부
130: 제2결합홀부
30: 샤프트부
31: 플랜지부
311: 제1서포트부
3111: 제1단턱
3113: 동력전달부결합홀
313: 연결부
315: 제2서포트부
3151: 제2단턱
33: 회전축부
331: 회전헤드부
333: 회전몸체부
335: 회전보어부
337: 회전마디부
339: 회전체결부
35: 베어링부
50: 허브부
51: 제1허브부
511: 제1프레임부
513: 제1중앙함입부
515: 제1관통홀부
517: 제1연장부
519: 제1블레이드안치부
5191: 제1블레이드헤드안치부
5193: 제1블레이드넥안치부
510: 제1결합홀
53: 제2허브부
531: 제2프레임부
533: 제2중앙함입부
535: 제2관통홀부
537: 제2연장부
539: 제2블레이드안치부
5391: 제2블레이드헤드안치부
5393: 제2블레이드넥안치부
530: 제2결합홀
532: 고정홀
70: 블레이드부
71: 블레이드결합부
711: 블레이드헤드부
713: 블레이드넥부
73: 블레이드몸체부
80: 긴결부
81: 와셔부
811: 제1중앙홀
813: 제1주변홀
83: 너트부
85: 캡부
851: 베이스부
8511: 제2중앙홀
8513: 제2주변홀
853: 커버부

Claims (22)

  1. 엔진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부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에 결합된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엔진과 결합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결합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에 함입 형성된 기어수용부와, 상기 기어수용부 상에 안치되어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엔진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맞물려 상기 입력부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회전방향과 상기 출력부의 회전방향이 같아지도록,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가 직접 맞물리지 않도록 하되, 일측은 상기 입력부와 맞물려 회전하고, 타측은 상기 출력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기어수용부 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력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입력부수용홀과, 상기 기어수용부 내에 함입 형성되어 상기 변환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변환부수용홀과, 상기 기어수용부 내에 함입 형성되어 상기 출력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출력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엔진의 내부를 흐르는 엔진오일이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냉각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홀부는, 상기 기어부의 주변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기어수용부와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엔진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배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1바디부로 유입된 엔진오일의 외부 누유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바디부의 하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바디부에 함입 형성되어 입력부를 수용하는 입력부안치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 함입 형성되어 변환부를 수용하는 변환부안치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출력부를 수용하는 출력부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엔진에서 발생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1배기홀부와 연통되는 제2배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출력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허브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출력부의 회전력을 받는 회전헤드부와, 상기 회전헤드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회전몸체부와, 상기 회전헤드부에서 상기 회전몸체부의 중심부 장축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관통 형성된 회전보어부와, 상기 회전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각형의 회전마디부와, 상기 회전마디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부는, 수평으로 절단된 허브부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1허브부와, 수평으로 절단된 허브부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2허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허브부와 상기 제2허브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허브부는, 방사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의 하면 중심부에서 상기 제1프레임부의 상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제1중앙함입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부와, 상기 제1관통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프레임부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하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킨 제1연장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1허브부의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제1블레이드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허브부는, 방사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의 상면 중심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부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만큼 함입된 제2중앙함입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의 중앙부분에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부와, 상기 제2관통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프레임부의 함입된 중앙부분 중 일정부분을 상측방향으로 돌출 연장시킨 제2연장부와, 상기 제2프레임부 중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제2허브부의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입된 제2블레이드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제1블레이드안치부와 제2블레이드안치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블레이드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블레이드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결합부는, 단턱을 형성하는 블레이드헤드부와, 상기 블레이드헤드부와 상기 블레이드몸체부를 연결하는 블레이트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안치부는, 안착되는 상기 블레이드헤드부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1블레이드헤드안치부와, 안착되는 상기 블레이드넥부의 상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1블레이드넥안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블레이드안치부는, 안착되는 상기 블레이드헤드부의 하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2블레이드헤드안치부와, 안착되는 상기 블레이드넥부의 하측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제2블레이드넥안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는, 상기 샤프트부에 접한 상기 허브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긴결부는, 상기 허브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와셔부와, 회전축부의 회전체결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와셔부의 상면에 놓인 상기 허브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부와, 상기 와셔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체결부와 상기 회전체결부에 결합된 상기 너트부를 보호하기 위해 이들을 커버링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KR1020210129049A 2020-10-15 2021-09-29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KR102630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3345 2020-10-15
KR1020200133345 2020-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044A true KR20220050044A (ko) 2022-04-22
KR102630268B1 KR102630268B1 (ko) 2024-01-29

Family

ID=8145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049A KR102630268B1 (ko) 2020-10-15 2021-09-29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2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091B1 (ko) * 2023-04-18 2023-10-31 이제원 병렬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구동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8769A1 (en) * 1998-01-28 1999-08-05 Avia Adviser Hb Unmanned rotor carried aerial vehicle
KR200362172Y1 (ko) * 2004-06-10 2004-09-21 배수호 휴대용 헬리콥터
KR20160010711A (ko) 2014-07-17 2016-01-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콥터
KR20200099233A (ko) * 2019-02-13 2020-08-24 (주)이지시스템 엔진을 적용한 멀티콥터형 무인비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8769A1 (en) * 1998-01-28 1999-08-05 Avia Adviser Hb Unmanned rotor carried aerial vehicle
KR200362172Y1 (ko) * 2004-06-10 2004-09-21 배수호 휴대용 헬리콥터
KR20160010711A (ko) 2014-07-17 2016-01-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콥터
KR20200099233A (ko) * 2019-02-13 2020-08-24 (주)이지시스템 엔진을 적용한 멀티콥터형 무인비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091B1 (ko) * 2023-04-18 2023-10-31 이제원 병렬 하이브리드 멀티콥터 구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268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17384B (zh) 用于旋翼飞行器的推进系统
RU2716718C2 (ru) Воздуш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и системы планетарных передач
US10343771B1 (en) Manned and unmanned aircraft
US9126678B2 (en) Spindle mounted tiltrotor pylon with fixed engine arrangement
CA2806277C (en) Offset stacked yoke hub for tiltrotor aircraft
US20070221779A1 (en) Aircraft Produced by Fixing Rapid Airflow Generation Wind Direction Changing Device Directly and Firmly to Side Surface or Wall Thereof
US20170015417A1 (en) Multi-Propulsion Design for Unmanned Aerial Systems
JP2015520697A (ja) 回転翼輸送手段
KR20170109985A (ko) 단일 모터에서 동력을 분배하는 무인항공기
KR20220050044A (ko) 엔진추진형 무인 멀티콥터 추력전달장치
JP2019112050A (ja) 航空機
CN110422339B (zh) 一种共轴双旋翼式无人机的组装方法
CN110435878B (zh) 用于无人机的单层变距共轴结构
KR20210125009A (ko) 회전 항공기의 메인 로터용 드라이브
EP3315419B1 (en) Mass efficient reaction wheel assembly systems including multi-faceted bracket structures
US20210362844A1 (en) Rotorcraft having an electric drive for driving a main and/or tail rotor of the rotorcraft
US11186381B2 (en) Integral multistage ring gear systems for aircraft
JP6398145B2 (ja) 無人航空機およびその保管方法
US12043375B2 (en) Bearing restraint for use on a rotor mast
WO2009143669A1 (zh) 飞行器及其动力驱动系统
RU2786031C2 (ru)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несущим винтом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для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несущего винта и/или хвостового винта эт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с несущим винтом
US20240051657A1 (en) Multi-Stage Propeller System
US11655020B2 (en) Non rotationally constrained friction damper for drive shaft
US117671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bratory motion reduction for a pylon assembly
CN214451829U (zh) 矢量动力飞行器、拼接式无人机和垂起固定翼飞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