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000A - 반자동 믹싱 텀블러 - Google Patents

반자동 믹싱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000A
KR20220050000A KR1020200133814A KR20200133814A KR20220050000A KR 20220050000 A KR20220050000 A KR 20220050000A KR 1020200133814 A KR1020200133814 A KR 1020200133814A KR 20200133814 A KR20200133814 A KR 20200133814A KR 20220050000 A KR20220050000 A KR 20220050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ropeller
pressed
spring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원주
Original Assignee
기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원주 filed Critical 기원주
Priority to KR102020013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000A/ko
Publication of KR2022005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믹싱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컵 하단부에 의하여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하고, 스프링에 의하여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프로펠러에 의하여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를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불필요함과 무게의 감소와 부피감소를 효과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전기를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불필요함과 무게의 감소와 부피감소를 효과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반자동 텀블러에 있어서 음료류를 담을 수 있게 속이 빈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컵 몸체, 컵을 작동시킬 때 음료가 넘치지 않게 컵 몸체 상단에 끼울 수 있는 크기로 실리콘 마개를 둘러 구성한 컵 뚜껑,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 컵 하단부,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한 스프링,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스프링에 연결한 프로펠러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컵 하단부에 의하여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하고, 스프링에 의하여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프로펠러에 의하여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를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불필요함과 무게의 감소와 부피감소를 효과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전기를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불필요함과 무게의 감소와 부피감소를 효과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반자동 믹싱 텀블러{semi-automatic mixing tumbler}
본 발명은 반자동 믹싱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자동 텀블러에 있어서,
음료류를 담을 수 있게 속이 빈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컵 몸체, 컵을 작동시킬 때 음료가 넘치지 않게 컵 몸체 상단에 끼울 수 있는 크기로 실리콘 마개를 둘러 구성한 컵 뚜껑,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 컵 하단부,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한 스프링,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스프링에 연결한 프로펠러로 구성 하여서,
컵 하단부에 의하여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하고, 스프링에 의하여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프로펠러에 의하여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를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불필요함과 무게의 감소와 부피감소를 효과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자동 텀블러는 사용자가 직접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자동 텀블러는 텀블러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반자동 텀블러는 기존제품은 건전지나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을 시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반자동 텀블러는 전기를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불필요함과 무게의 감소와 부피감소를 효과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19002553920190306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반자동 텀블러가 전기를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불필요함과 무게의 감소와 부피감소를 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음료류를 담을 수 있게 속이 빈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컵 몸체, 컵을 작동시킬 때 음료가 넘치지 않게 컵 몸체 상단에 끼울 수 있는 크기로 실리콘 마개를 둘러 구성한 컵 뚜껑,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 컵 하단부,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한 스프링,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스프링에 연결한 프로펠러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류를 담을 수 있게 속이 빈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컵 몸체, 컵을 작동시킬 때 음료가 넘치지 않게 컵 몸체 상단에 끼울 수 있는 크기로 실리콘 마개를 둘러 구성한 컵 뚜껑,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 컵 하단부,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한 스프링,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스프링에 연결한 프로펠러로 구성 함으로써, 컵 하단부에 의하여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하고, 스프링에 의하여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프로펠러에 의하여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를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불필요함과 무게의 감소와 부피감소를 효과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을 정면에서 본 그림
즉, 본 발명은 음료류를 담을 수 있게 속이 빈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1)컵 몸체, 컵을 작동시킬 때 음료가 넘치지 않게 컵 몸체 상단에 끼울 수 있는 크기로 실리콘 마개를 둘러 구성한 (2)컵 뚜껑,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 (3)컵 하단부,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한 (4)스프링,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스프링에 연결한 (5)프로펠러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3)컵 하단부는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4)스프링은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5)프로펠러는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스프링에 연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자동 텀블러에 있어서 음료류를 담을 수 있게 속이 빈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1)컵 몸체, 컵을 작동시킬 때 음료가 넘치지 않게 컵 몸체 상단에 끼울 수 있는 크기로 실리콘 마개를 둘러 구성한 (2)컵 뚜껑,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 (3)컵 하단부,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한 (4)스프링,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스프링에 연결한 (5)프로펠러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전기를 사용하는 건전지를 사용하는 불필요함과 무게의 감소와 부피감소를 효과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 (3)컵 하단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한 (4)스프링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스프링에 연결한 (5)프로펠러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될 것이다.
1: 컵 몸체, 2: 컵 뚜껑, 3: 컵 하단부, 4: 스프링, 5: 프로펠러

Claims (4)

  1. 반자동 텀블러에 있어서,
    음료류를 담을 수 있게 속이 빈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1)컵 몸체, 컵을 작동시킬 때 음료가 넘치지 않게 컵 몸체 상단에 끼울 수 있는 크기로 실리콘 마개를 둘러 구성한 (2)컵 뚜껑,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한 (3)컵 하단부,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한 (4)스프링,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스프링에 연결한 (5)프로펠러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믹싱 텀블러.
  2. 제 1항에 있어서,
    (3)컵 하단부를 통하여 컵에 장착되어 컵을 눌렀을 때 내부의 회전부가 작동할 수 있게 컵 몸체 하단에 부착할 수 있고 내부에 스프링과 프로펠러를 장착할 수 있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믹싱 텀블러.
  3. 제 1항에 있어서,
    (4)스프링을 통하여 컵을 눌렀을 때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게 컵 하단부와 프로펠러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믹싱 텀블러.
  4. 제 1항에 있어서,
    (5)프로펠러를 통하여 컵을 눌렀을 때 회전해 음료를 섞을 수 있게 스프링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믹싱 텀블러.
KR1020200133814A 2020-10-15 2020-10-15 반자동 믹싱 텀블러 KR20220050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814A KR20220050000A (ko) 2020-10-15 2020-10-15 반자동 믹싱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814A KR20220050000A (ko) 2020-10-15 2020-10-15 반자동 믹싱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000A true KR20220050000A (ko) 2022-04-22

Family

ID=8145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814A KR20220050000A (ko) 2020-10-15 2020-10-15 반자동 믹싱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0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539A (ko) 2016-03-02 2019-03-11 드로르 오르토 디자인 리미티드(에어로덴티스) 치아 이동 및 위치 측정,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치열 교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539A (ko) 2016-03-02 2019-03-11 드로르 오르토 디자인 리미티드(에어로덴티스) 치아 이동 및 위치 측정,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치열 교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5014B (en) Blender system and container
TW200621581A (en) Vessel cap having straw
CN204895681U (zh) 自行车水壶架结构
KR20220050000A (ko) 반자동 믹싱 텀블러
CN207666397U (zh) 茶水分离杯
CN203914343U (zh) 便携式泡茶杯
CN203016751U (zh) 一种保温瓶
CN209192635U (zh) 一种即配式饮料瓶盖
TW200728459A (en) Fermentation tank with aerate type agitation function
CN109588928A (zh) 定量取水式水壶
CN205568540U (zh) 一种防溢纸杯
CN213046434U (zh) 一种多功能防烫杯
JP4817221B2 (ja) 蓋体付き容器
KR20190060045A (ko) 맥주거품 넘침 방지용 컵 커버
CN220876456U (zh) 一种两用盖子弹头保温杯
CN201641623U (zh) 搅拌杯结构
CN215533758U (zh) 一种木艺玻璃醒酒装置
CN2362796Y (zh) 套式盛物瓶盖
CN209629344U (zh) 一种咖啡杯
CN201164293Y (zh) 搅拌杯
CN208307201U (zh) 一种饮料瓶
CN201165387Y (zh) 多功能矿泉水瓶
CN205872904U (zh) 起泡器的瓶罐固定结构
CN207168318U (zh) 多功能杯
CN205328577U (zh) 一种多功能开瓶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