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347A -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 Google Patents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347A
KR20220049347A KR1020200132870A KR20200132870A KR20220049347A KR 20220049347 A KR20220049347 A KR 20220049347A KR 1020200132870 A KR1020200132870 A KR 1020200132870A KR 20200132870 A KR20200132870 A KR 20200132870A KR 20220049347 A KR20220049347 A KR 20220049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ask
present
corona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오
Original Assignee
안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오 filed Critical 안정오
Priority to KR102020013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347A/ko
Publication of KR2022004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의 체온이 37℃를 넘어서게 되면 마스크에 부착된 온도감지스티커가 변색이 생기게 되어 코로나19 고열의 환자가 마스크를 착용 경우 코로나19 확진자 여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mask}
본 발명은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의 체온이 37℃ 이상을 넘어서게 되면 마스크에 부착된 온도감지스티커가 변색이 생기게 되어 코로나19 고열의 환자가 마스크를 착용 경우 코로나19 확진자 여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의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가 급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지구의 환경 변화에 의해 대기 중에는 여러 가지 성분의 미세 입자가 부유되어, 호흡기와 심혈관계 질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컨대, 자동차의 배기가스, 도로 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공장에서 분출되는 분진, 황사에 의한 미세 먼지가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미세 먼지는 인간에게 유해한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호흡기, 피부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종래 마스크는 꽃가루, 미세 입자, 이온성 이물질, 세균 등 공기 중의 유해 물질이 인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먼지 발생이 많은 산업현장에서뿐만 아니라 겨울철 전염성을 지닌 호흡기질환의 감염을 방지하고, 봄철 황사 현상시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일반 생활용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미세 먼지 농도가 높은 날이 점점 많아지고 있고, 이러한 미세 먼지는 천식, 알레르기 비염 등 각종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미세 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 외출 시에는 황사용 마스크 착용이 권장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황사 또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음 날에는 외출을 삼가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마스크의 착용이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감기와 같은 질병에 걸렸을 때 전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에 거부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흰색의 단조로운 디자인이 대부분이어서 마스크
를 착용하면 미관상으로 좋지 못하여 마스크 착용률이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스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탈피하기 위해 패션 아이템으로도 사용 가능한 다양한 디자인의 마스크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93178호에서는, 꽃가루 알레르기와 같을 때에 코와 입 부분을 덮는 용도에 이용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그 표면에 가시광선의 파장 흡수 범위의 단색 또는 다색의 무늬, 그림, 자수, 과일, 또는 나비나 꽃무늬의 일종 이상을 설치한 한 장 내지는 여러 장의 가제, 부직포, 직물, 편물 또는 천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가제, 부직포, 직물, 편물 또는 천의 평균 그물코의 사이즈가 10 마이크론 내지 30 마이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마스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기존의 마스크는 피부에 전달되는 열 흡수 상태를 착용자에게 알려주는 구성이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얼굴의 체온이 37℃를 넘어서게 되면 마스크에 부착된 온도감지스티커가 변색이 생기게 되어 코로나19 고열의 환자가 마스크를 착용 경우 코로나19 확진자 여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를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의 체온이 37℃ 이상을 넘어서게 되면 마스크에 부착된 온도감지스티커가 변색이 생기게 되어 코로나19 고열의 환자가 마스크를 착용 경우 코로나19 확진자 여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착용자의 몸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100)에 온도감지스티커(1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는 얼굴의 체온이 37℃를 넘어서게 되면 마스크에 부착된 온도감지스티커가 변색이 생기게 되어 코로나19 고열의 환자가 마스크를 착용 경우 코로나19 확진자 여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도어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0)에 온도감지스티커(10)가 장착하되 외부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착용자의 몸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100)에 온도감지스티커(1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 관통홀(110)의 안쪽에 장착브라켓트(2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브라켓트(20)의 내부에 온도감지스티커(10)가 내장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 관통홀(110)의 외부쪽에 투명커버(30)가 결합홈(34, 34')과 결합돌기(24, 24')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커버는 온도감지스티커(10)의 상부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투명커버(30)와 온도감지스티커(10)의 상부면 사아에 공간부(3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커버는 온도감지스티커(10)의 상부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투명커버(30)의 안쪽면에 다수개의 내부돌기(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지의 표면에 온도 감응성 염료가 도포된 패턴층으로 이루어진 온도감지형 스티커가 장착된 온도감지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온도감지형 스티커는 대략 36.5 내지 37℃ 이하로 보관해 두었다가 사용하기 때문에 보관된 마스크를 피부에 부착시키고 착용 경우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발열되는 열에 의해 온도감지형 스티커의 온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지형 스티커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약 5분 내지 10분의 시간이 경과하여 스티커가 37℃ 이상을 넘어서게 되면 스티거 인쇄 시 사용된 온도 감응성 염료가 활성화되어 패턴의 색상을 변색시키고 사용자는 이러한 패턴의 변색 과정을 통해 시트의 탈착시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도감지형 스티커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나일론 등의 플라스틱 필름류나 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생분해 필름; 펄프류, 린넨계열의 천연섬유 부직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아크릴로 제조되는 합성 단섬유 부직포 등의 부직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순면, 스판레이스, 펄프 재질, 고분자 수성겔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이다.
본 발명의 온도감지형 스티커는 시트지의 표면에 온도 감응성 염료가 도포된 패턴층을 포함한다. 온도 감응성 염료는 온도에 따라 고유의 색상이 변하는 염료를 의미하며 색의 변화 폭이 매우 좁은 일반적인 염료와는 차이가 있다. 온도감응성 염료는 기준 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다른 색깔로 변하거나 또는 색깔이 없어져 투명해지다가 온도가 다시 내려가면 원래의 색깔로 돌아오거나 또는 반대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색상이 나타나는 염료를 의미한다.
온도 감응성 염료는 온도 변화에 따라 원래의 색깔로 되돌아 가느냐 않느냐에 따라 가역성 또는 비가역성으로 나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변색의 정밀도가 높고, 온도에 따라 본래의 색상을 유지 또는 상실을 반복할 수 있어 색종과 변색 온도의 선택 자유도가 높은 가역성 염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온도 감응성 염료는 기준 온도가 36.5℃로서 사용자의 체온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36.5℃ 내지 37℃ 이상이 되면 패턴 내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변하거나 사라지게 되는 염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7℃ 미만에서는 색상을 유지하지만 37℃ 이상에서는 색상이 변색되는 온도 감응성 염료, 예컨대 37℃ 미만에서는 백색을 나타내다가 37℃ 이상에서 빨강색으로 변하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7℃ 미만에서는 아무런 발색을 나타내지 않다가 37℃ 이상이 되면 색상이 나타나는 온도 감응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7℃ 미만에서는 색상을 유지하지만 37℃ 이상에서는 원래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발색되는 온도 감응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온도 감응성 염료는 기준 온도가 37℃로서 사용자의 체온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37℃ 이상이 되면 패턴 내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변하거나 사라지게 되는 염료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37℃ 미만에서는 색상을 유지하지만 37℃ 이상에서는 색상이 없어지는 온도 감응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7℃ 미만에서는 아무런 발색을 나타내지 않다가 37℃ 이상이 되면 색상이 나타나는 온도 감응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37℃ 미만에서는 색상을 유지하지만 37℃ 이상에서는 원래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발색되는 온도 감응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온도 감응성 염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메틸렌블루, 인디고카민, 트리페닐계 메탄, 플로탄계 화합물, 로이다미락탐계 화합물, 금속착염, 코레스텔릭액정, 메타모컬러, 3,6-디메톡시플루오레인 (3,6-dimethoxyfluorane), 3,6-사이클로헥실아미노-6-클로로플루오레인 (3-cyclohexylamino-6-chlorofluorane), 3-디에틸아미노벤프라오레인 (3-diethylaminobenfraorane), 로다민 B 락톤 (rhodamine B lactone), 크리스탈 바이올렛 락톤 (crystal violet lactone), 3-디에틸아미노-7-디벤질아미노플루오레인 (3-diethylamino-7-dibenzylaminofluorane) 및 3-디에틸아미노-6-메틸-아미노플루오레인 (3-diethylamino-6-methylaminofluor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전자공여성 화합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10: 온도감지스티커 20: 장착브라켓트
30, 30-1: 투명커버

Claims (4)

  1.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0)에 온도감지스티커(10)가 장착하되 외부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착용자의 몸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 관통홀(110)의 안쪽에 장착브라켓트(2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브라켓트(20)의 내부에 온도감지스티커(10)가 내장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 관통홀(110)의 외부쪽에 투명커버(3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는 온도감지스티커(10)의 상부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투명커버(30)와 온도감지스티커(10)의 상부면 사아에 공간부(3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는 온도감지스티커(10)의 상부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투명커버(30)의 안쪽면에 다수개의 내부돌기(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KR1020200132870A 2020-10-14 2020-10-14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KR20220049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870A KR20220049347A (ko) 2020-10-14 2020-10-14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870A KR20220049347A (ko) 2020-10-14 2020-10-14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347A true KR20220049347A (ko) 2022-04-21

Family

ID=8143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870A KR20220049347A (ko) 2020-10-14 2020-10-14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93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20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hange in a predetermined condition
US6117515A (en) Non-particulating and low particulating disposable products for use in clean room environments
KR20180136835A (ko) 온도 가변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US4642250A (en) Fabrics and garments formed thereby having thermally-sensitive chromatic properties
DE69629952D1 (de) Einweggesichtsmaske mit verbessertem Schutz gegen Flüssigkeit
JP6703458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CN210696073U (zh) 精准感温口罩
KR101582353B1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KR20220049347A (ko) 온도감지형 코로나19 예방 마스크
KR20220057682A (ko)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온도감지 스티커부착형 마스크
KR20220060221A (ko) 체온감응 변색부를 가진 마스크
US20130131540A1 (en) Thermocromatic patch for monitoring/detecting body temperature
CN112826160A (zh) 变色口罩及口罩使用时间的变色警示方法
CN220384326U (zh) 一种变色口罩
JP5918819B2 (ja) 頭巾及び頭巾の製造方法
JP2002363809A (ja) 要介助者用衣類およびその付属品
CN216533933U (zh) 一种具有变色提醒功能的口罩
CN215603338U (zh) 一种可以显示人体温度的口罩
KR20210026638A (ko) 접착식 라벨지와 수정토를 포함하는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
CN211354004U (zh) 一种用于预防感冒的变色口罩
KR20220005931A (ko) 체온이 상승하면 변색되는 마스크
JP3033538U (ja) 紫外線受照量測定シール
CN212853807U (zh) 一种急诊科护理护目镜
CN217242829U (zh) 一种抑菌型预警口罩
RU2814196C1 (ru) Биоиндикатор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мас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