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781A -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781A
KR20220048781A KR1020200132065A KR20200132065A KR20220048781A KR 20220048781 A KR20220048781 A KR 20220048781A KR 1020200132065 A KR1020200132065 A KR 1020200132065A KR 20200132065 A KR20200132065 A KR 20200132065A KR 20220048781 A KR20220048781 A KR 20220048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valve
unit
wat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황
Original Assignee
이규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황 filed Critical 이규황
Priority to KR102020013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781A/ko
Publication of KR2022004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multipl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온도나 강우 등에 따라 물의 공급여부를 자동으로 제어하므로 관리 인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물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과, 물공급원의 물을 조경시스템의 급수파이프로 공급하고 급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조경시스템의 급수파이프 종단부에 연결되고 지면이나 배수구에 연결되며 배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과, 조경시스템에 설치되는 온도측정부와, 조경시스템에 설치되는 강우감지부와, 온도측정부와 강우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급수개폐밸브와 배수개폐밸브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Efficient landscape watering system}
본 발명은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나 야외에 설치된 식물이 식재된 조경시스템에 공급하는 물을 온도와 강우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이나 옥상, 옹벽이나 터널 입출구, 방음벽, 다리 난간 등의 구조물을 자연친화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경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10-0479212호의 "조립식 식재상자"를 이용하여 조경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식재상자나 식생매트 등을 이용하여 조경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도시에서 녹지공간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건물의 벽면이나 옥상, 옹벽 등에 식물을 식재하는 조경시스템을 채용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조경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여름의 뜨거운 외기 온도가 직접 건물의 벽면이나 옥상에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냉방을 위한 에너지의 소비가 줄어들고, 에너지 절감 및 탄소가스 발생의 저감이라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종래 조경시스템에 있어서는 파이프를 매설하여 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물의 공급과 차단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구성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온이 갑자기 하강하여 파이프의 물이 얼어 파손되거나 비가 오는데도 물이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등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온도나 강우 등에 따라 물의 공급여부를 자동으로 제어하므로, 관리 인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조경시스템의 급수파이프로 공급하고 급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조경시스템의 급수파이프 종단부에 연결되고 지면이나 하수구에 연결되며 배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과, 조경시스템에 설치되는 온도측정부와, 조경시스템에 설치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온도측정부와 강우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와 배수개폐밸브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강우감지부는 강우량계, 강우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측정부는 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5℃, 10℃, 15℃ 등) 미만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개폐밸브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조경시스템의 급수파이프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5℃, 10℃, 15℃ 등) 이상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개폐밸브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정상적으로 조경시스템의 급수파이프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관계없이 급수개폐밸브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따라 제어를 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방법은 조경시스템이 설치되는 지역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내려가거나 비가 내릴 경우에는 급수파이프로의 물의 공급을 중단한 상태에서 급수파이프 내부의 물을 배수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에 의하면, 온도가 0℃ 미만으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급수파이프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을 모두 배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급수파이프가 얼어서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에 의하면, 비가 내리는 경우에 급수를 차단하므로, 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재된 식물에 과도한 수분을 공급하는 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에 의하면, 온도나 강우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급수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급수관리를 위한 별도의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원거리에 조경시스템이 위치한 경우에도 주기적인 점검만을 행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은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공급원(10), 주급수관(20), 배수관(30), 온도측정부(40), 강우감지부(50),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479212호의 "조립식 식재상자"로 이루어지는 조경시스템(2)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식재상자 및 식생매트를 이용하는 조경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경시스템(2)에는 각 식재상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파이프(4)가 매설되어 있다.
상기 급수파이프(4)는 전체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효과적인 급수 관리를 위하여 여러 개의 라인으로 분리(도 2에 있어서는 2개의 라인으로 분리)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10)으로는 상기 조경시스템(2)에 식재된 식물(잔디, 풀, 꽃, 소형 관목, 교목, 채소, 과일 등)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나 수도관, 지하수관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는 필요에 따라 조경시스템(2)에 식재된 식물에 적합한 영양분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10)을 물탱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쪽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조경시스템(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급수관(20)에는 급수개폐밸브(24)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개폐밸브(24)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급수관(20)은 상기 물공급원(10)과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물공급원(10)의 물은 주급수관(20)을 통하여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로 공급된다.
상기 배수관(30)에는 배수개폐밸브(34)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개폐밸브(34)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30)은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 종단부(끝부분)에 연결되고 지면이나 하수구 또는 배수구쪽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30)을 통하여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에 잔류하는 물이 지면이나 하수구 쪽으로 배출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30)의 배수개폐밸브(34)가 설치되기 이전 지점에서 분기하여 드레인관(9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드레인관(90)은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의 물을 다시 물공급원(10)쪽으로 환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온도측정부(40)는 조경시스템(2)의 한쪽에 설치되어 조경시스템(2)이 설치된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도측정부(40)는 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60)로 측정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감지부(50)는 조경시스템(2)의 한쪽에 설치되어 조경시스템(2)이 설치된 지역의 강우여부(비가 내리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강우감지부(50)는 강우량계나 강우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온도측정부(40)와 강우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24)와 배수개폐밸브(3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급수개폐밸브(24)를 개방하여 물공급원(10)의 물을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로 공급하는 물공급상태와 상기 급수개폐밸브(24)를 폐쇄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34)를 개방하여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상태를 상기 온도측정부(40)와 강우감지부(50)로부터의 측정신호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온도측정부(4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미만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24)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34)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배수상태로 전환하여 제어부(60)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에 공급되는 물은 차단된 상태에서, 급수파이프(4)에 잔류하는 물은 배수관(30)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급수파이프(4) 내부의 물이 얼어 파손되는 사고(동파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온도측정부(4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이상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24)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34)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 때 상기 물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흘러내리는 물(예를 들면 샘물이나 냇물, 강물 등)이어서 계속하여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할 경우에는 배수개폐밸브(34)를 폐쇄상태로 변경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물공급상태로 전환하여 제어부(60)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에 물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물이 어는 온도인 0℃를 기준으로 제어부(60)에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식물이 물을 별로 필요로 하지 않는 낮은 온도(예를 들면 5℃ 또는 10℃, 15℃ 이하)에서는 물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조경시스템(2)에 식재되는 식물이 지속적인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식물(예를 들면 선인장 등)인 경우에는 타이머(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제어부(60)에 연결하여 일정 주기별(예를 들면 시간단위나 일단위, 주단위 등)로 물의 공급과 차단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에서는 강우감지부(50)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개폐밸브(24)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4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관계없이 상기 강우감지부(50)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개폐밸브(24)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비가 오는 날씨에서는 별도로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로 물을 공급하는 주급수관(20)의 급수개폐밸브(24)를 폐쇄상태로 변경한다.
상기에서 강우감지부(50)로부터 입력된 강우신호에 의하여 상기 급수개폐밸브(24)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개폐밸브(34)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비가 오는 날씨의 경우에는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에 물이 잔류하는 것도 가능하고, 급수파이프(4)의 물을 배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조경시스템(2)의 급수파이프(4)에 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빗물이 조경시스템(2)의 식재공간에 스며드는 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가 있으므로, 배수개폐밸브(34)를 개방하여 급수파이프(4)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강우감지부(50)로부터 비가 오는 것으로 측정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40)로부터 설정온도 미만으로 온도 측정값이 입력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수상태로 제어를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0)에서는 강우감지부(50)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40)로 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따라 제어를 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상기 강우감지부(50)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다가 비가 오지 않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24)에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60)에서 강우감지부(50)의 측정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비가 올 경우에는 급수파이프(4)에 물의 공급이 차단되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비가 내릴 경우에는 조경시스템(2)에 식재된 식물이나 토양이 비로부터 충분하게 수분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물의 공급이 필요없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급수개폐밸브(24)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온도측정부(40)에서 측정되는 온도 측정값에 따라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온도측정부(40)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30℃ 이상의 고온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24)의 개도를 최대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충분하게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40)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25~30℃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24)의 개도를 중간에서 최대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중간으로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40)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15~25℃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24)의 개도를 최소에서 중간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소량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급수개폐밸브(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수압을 작게 유지하면, 조경시스템(2)에 식재된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수분을 빨아들이는 정도에 따라서 급수파이프(4)의 물이 소비되면서 이에 따라 물의 공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60)에 있어서 정상적인 물공급상태는 급수개폐밸브(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조경시스템(2)에 식재된 식물에 의하여 소비되는 물의 양에 따라 단속적 또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는 물공급상태에서 급수개폐밸브(24)의 개도를 최소에서 최대 사이에서 물의 소비량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급수개폐밸브(24)의 개방과 폐쇄를 일정 주기(시간대별, 일단위별, 주단위별, 월단위별)마다 반복 행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의 일실시예를 조경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육묘시스템이나 수경재배시스템 등의 다양한 식물재배장치나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공급원(10)과 주급수관(20) 사이에 펌프(7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펌프(70)를 설치하게 되면 물공급원(10)의 높이(예를 들면 물탱크의 높이)를 조경시스템(2)의 높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펌프(70)의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60)에서 작동여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상기 급수개폐밸브(24)를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펌프(7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급수개폐밸브(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펌프(7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펌프(7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24)가 개방상태로 변경되어도 펌프(7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의 공급이 제한적이므로, 펌프(70)의 작동여부를 상기 제어부(60)에서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자가발전부(80)와, 상기 자가발전부(80)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충전하였다가 상기 제어부(60), 펌프(70) 등에 전원으로 공급하는 축전지부(82)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자가발전부(80)와 축전지부(82)를 구성하게 되면, 장기간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자동제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지역이나 지점에서도 효과적으로 조경시스템(2)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로변에 설치되는 광고판이나 구조물의 벽면에 조경시스템(2)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자연력에 의한 발전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효과적으로 조경시스템(2)을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가발전부(80)는 태양광 이외에도 태양열이나 풍력 등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시스템의 급수방법의 일실시예는 조경시스템(2)이 설치되는 지역의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면 0℃, 5℃, 10℃, 15℃ 등) 미만으로 내려가거나 비가 내릴 경우에는 급수파이프(4)로의 물의 공급을 중단한 상태에서 급수파이프(4) 내부의 물을 배수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온도와 강우 조건의 어느 하나에만 해당되는 경우에도 상기 급수개폐밸브(24)를 폐쇄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4)

  1.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의 물을 조경시스템의 급수파이프로 공급하고 급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조경시스템의 급수파이프 종단부에 연결되고 지면이나 배수구에 연결되며 배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과, 조경시스템에 설치되는 온도측정부와, 조경시스템에 설치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온도측정부와 강우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와 배수개폐밸브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 미만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개폐밸브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배수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개폐밸브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정상적인 물공급상태를 유지하는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관계없이 상기 급수개폐밸브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강우감지부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원과 주급수관 사이에 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급수개폐밸브를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급수개폐밸브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자가발전부와,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충전하였다가 상기 제어부에 전원으로 공급하는 축전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
KR1020200132065A 2020-10-13 2020-10-13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 KR20220048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65A KR20220048781A (ko) 2020-10-13 2020-10-13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65A KR20220048781A (ko) 2020-10-13 2020-10-13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81A true KR20220048781A (ko) 2022-04-20

Family

ID=8139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065A KR20220048781A (ko) 2020-10-13 2020-10-13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7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205B2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fabricate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KR100963190B1 (ko) 옥상녹화용 자동관수시스템
KR101110374B1 (ko) 친환경 파고라
US20100222932A1 (en)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874386B1 (ko)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
CN104831873B (zh) 一种复合蓄排水智能倒置式刚性屋面
CN207959737U (zh) 一种带雨水收集装置的屋顶绿化系统
AU2020100749A4 (en) Intelligent supplementary grassland irrigation management system
CN116096973A (zh) 灌溉和排水设备和/或储水设备,优选用于管理水,尤其灌溉(绿)地和/或植物
KR200422968Y1 (ko) 그루백의 관수 자동화장치
KR101187689B1 (ko) 지면 녹화장치
CN209330676U (zh) 一种基于绿色建筑的多能源循环和垂直绿化的交互自控装置
KR20220048781A (ko) 효율적인 조경 급수 시스템
KR101129701B1 (ko) 조경시스템의 급수장치 및 그 방법
CN106804392B (zh) 基于加权平均湿度的绿色屋顶灌溉方法、控制装置及系统
KR102248358B1 (ko) 복합 비가림 및 차광 기능을 갖는 인삼 재배용 하우스
CN207411041U (zh) 一种基于高速路两侧绿化的苗木种植系统
KR102633998B1 (ko) 자가 발전이 적용된 경관용 녹지 스마트 관수 제어시스템
CN112772248A (zh) 一种古木大树一体化自动监测管理方法和设备
CN210352460U (zh) 一种屋顶绿化种植装置
CN219862863U (zh) 一种风景园林设计绿化防护坡
CN115419022B (zh) 一种优化的流域型防蚀控砂淤地坝系统及其施工方法
CN213029258U (zh) 用于屋顶绿化的种植系统
CN117958122A (zh) 一种分体式灌溉用系统及其使用方法
JP3223752U (ja) 植物栽培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