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771A - Socket connector - Google Patents
Socket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8771A KR20220048771A KR1020200132042A KR20200132042A KR20220048771A KR 20220048771 A KR20220048771 A KR 20220048771A KR 1020200132042 A KR1020200132042 A KR 1020200132042A KR 20200132042 A KR20200132042 A KR 20200132042A KR 20220048771 A KR20220048771 A KR 202200487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terminal
- connector
- socket connector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자의 결합부의 자유도를 높게 한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connect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connector in which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substrates are interconnected, two connectors connected to each substrate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are used, and the two connector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one of the two connectors is a plug connector, and the other is a socket connector. A socket connector is also called a receptacle connector. Such a plug connector and a socket connector may be formed by disposing terminals in a mold part. A plug connector and a socket connector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소켓 단자의 결합부는 반복된 결합과 해제, 또는 계속 결합된 상태의 지속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이는 결합력의 강도 또는 커넥터의 내구성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The mating portion of the socket terminal is easily deformed by repeated mating and releasing, or continuation of the mated state, which adversely affects the strength of the mating force or durability of the connec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결합부, 특히, 결합부의 자유단의 소성 변형을 줄이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part, in particular,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par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소켓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는, (a)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몰드부의 측벽에서 노출되며, 그 저면이 상기 기판에 대해 실장되는 실장부인, 외측 단부, (b) 상기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상부 만곡부, (c) 상기 상부 만곡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고, 상기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몰드부의 저면으로부터 볼 때 노출되어 있는 하부 만곡부, 및 (d) 상기 하부 만곡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있으며, 상기 소켓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되는 내측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 및 상기 소켓 몰드부를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자른 측단면도에서 볼 때, (i) 상기 외측 단부부터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에 접해 있으며, (ii)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부터 상기 상부 만곡부의 내측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에 접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et connector solder mounted on a board, comprising: a base; a first wall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 second wall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 thir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d intersecting the second wall portion and fac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fourth wall portion project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ntersecting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ing the second wall portion; a mold part; a bracket installed on at least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plurality of socket terminals installed at least on the second wall part, wherein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socket terminals is located outsid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and is exposed from a side wall of the mold part. an outer end, the lower surface of which is a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substrate, (b) an upper curved portion extending in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from the outer end and bent convexly toward the upper portion, (c) the A lower curved portion exten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from the upper curved portion and bent convexly downward, and the portion bent convexly toward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mold portion, and (d) ) extending from the lower curved portion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and facing upward, and including an inner end coupled to a terminal of a counterpart connector of the socket connector, wherein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and the socket mold portion are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al side view cu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i) in the section from the outer en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curved portion, it is in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ortion, and (ii)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curved portion In the section up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urved part, there is provided a socke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부터 상기 내측 단부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하부 만곡부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스토퍼만이 상기 소켓 단자를 덮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소켓 몰드부의 일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의 내측 단부가 상부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Preferably, in a s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curved part to the inner end, only a stopper located at least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urved part covers the socket terminal, and the stopper is a part of the socket mold part, When the inner end of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moves upward, the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is restri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 커넥터를 저면에서 볼 때, 상기 외측 단부의 저면인 실장부와 상기 하부 만곡부의 저면은 노출되어 있다.Preferably,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the bottom, the mounting portion,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en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are exp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 커넥터를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내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상부 만곡부의 내측의 측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존재한다. Preferably,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there is a space penetrating up and down in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end portion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 커넥터를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내측 단부의 내측에도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존재한다.Preferably,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a space penetrating vertically is also present inside the inner end por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와 상부 만곡부(600-2)의 외측은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며,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부터 내부 단부(600-4)까지는 자유도가 높은 부분이 된다. 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 부분부터 내측 단부(600-4)에 걸친 자유단의 움직임 범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중간 부분이라 함은, 반드시 정중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의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Y 방향)에서 볼 때, 상부 만곡부(600-2)의 아랫면 중에서 외측과 내측 사이의 임의의 지점(소정의 위치)이면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중간 부분이라 함은 반드시 정중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사이의 소정의 위치를 의미한다. 즉, '소정의 위치'는 상부 만곡부(600-2)의 아랫면 중에서 외측 벽면과 내측 벽면 사이에 있는 한, 정중앙이어도 좋고, 그로부터 약간 커넥터 폭방향(Y 방향)의 외측에 치우쳐 있어도 좋고, 그로부터 약간 커넥터 폭방향(Y 방향)의 내측에 치우쳐 있어도 좋다. 도 4는 소정의 위치의 일예를 나타내며, 소정의 위치가 상부 만곡부(600-2)의 측단면도상의 정중앙에서 약간 외측으로 치우쳐 있는 예를 나타낸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간(S2)이 작더라도(즉,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인 비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에서, 상부 만곡부(600-2)의 아랫면 중에서 내측 벽면 부분이 몰드에서 이격해 있도록 공간(S2)이 존재하면) 탄성 자유도는 발휘된다.The outer end 600 - 1 of the
소켓 단자(600)의 전체적인 자유도는 더욱 높아지고, 소성 변형은 완화된다.The overall degree of freedom of the
또한, 주위의 빈 공간(S1, S2)의 존재로 인하여, 단자의 대부분(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부터 내측 단부(600-4))의 가동이 자유로우며, 특히 내측 단부(600-4)의 가동이 더 자유롭다. 빈 공간(S1, S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 및 옆으로 자유롭게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가동될 수 있다. 이들 공간으로 인하여, 소켓 단자(600)의 전체적인 자유도는 더욱 높아지고, 소성 변형은 완화된다.In addition, due to the existence of the surrounding empty spaces S1 and S2, most of the terminals (from the middl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o the inner end 600-4) are free to move, and in particular, the inner end portion 600- 4) operation is more free. As can be seen from the empty spaces S1 and S2, it can be moved while freely exerting elastic force up and down. Due to these spaces, the overall degree of freedom of the
또한, 스토퍼(400-p)는, 소켓 몰드부(400)의 일부이며, 소켓 단자(600)의 내측 단부가(600-4) 상부로 이동할 때에 소켓 단자(60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소켓 단자(600)의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어 있다가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도 4의 도시에서 소켓 단자(600)는 상부로 약간 끌려올라다가다 결합 해제될 것이다. 그런데, 끌려올라가는 양이 너무 많으면, 소켓 단자(600)의 변형/손상 우려가 있다. 그러나, 스토퍼(400-p)가 그러한 끌려올라감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응력 및 변형을 방지한다. 이는 내구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400-p is a part of th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소켓 커넥터(20)를 상면에서 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b 방향의 단면을 측면에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20)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소켓 커넥터(20)의 저면도의 일부이다.
도 7은 제2 소켓 단자(600)의 가동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소켓 커넥터(20)의 측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FIG. 2 is a top view of the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2 .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oss-section in the ab direction of FIG. 3 viewed from the side.
5 is a bottom view of the
FIG. 6 is a part of a bottom view of the
7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FIG. 8 is a side view of th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소켓 커넥터(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소켓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소켓 몰드부(400;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는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플러그 몰드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는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ocket mold part 400 (mold part of the socket connector) may have a shape to accommodate the mold part (plug mold part) of the plug connector (not shown). For example, the mold part of the plug connector may have a shape to be inserted into a space defined by the
소켓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도 1에서는 2개의 제1 소켓 단자(5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마주보는 벽면과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1 , the two
또한, 소켓 몰드부(400)는 기저부를 갖는다. 소켓 몰드부(400)는 기저부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11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벽부(110)와 교차하는 제2 벽부(12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벽부(120)와 교차하며 제1 벽부(110)와 대향하는 제3 벽부(13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벽부(110) 및 제3 벽부(130)와 교차하며 제2 벽부(120)와 대향하는 제4 벽부(1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예컨대, 제1 벽부(110)에 제1 소켓 단자(500)가 형성되고, 제1 벽부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2 벽부(120)에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나란히 형성되고, 제2 벽부(120)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3 벽부(130)에 다른 제1 소켓 단자(500)가 형성되고, 제3 벽부(130)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4 벽부(140)에 다른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나란히 형성된다. 그리고 제4 벽부(140)와 제1 벽부(110)는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다. For example, a
따라서, 제1 벽부(110)와 제3 벽부(130)는 마주보고 대칭 형상을 가지며, 제2 벽부(120)와 제4 벽부(140)는 마주보고 대칭 형상을 가진다. Accordingly, the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이에 따라,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될 때, 미도시의 제1 플러그 단자 및 제2 플러그 단자는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lug connector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예를 들어, 미도시의 제1 플러그 단자는 제1 소켓 단자(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미도시의 제2 플러그 단자는 제2 소켓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 first plug terminal (not show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예를 들어, 제1 플러그 단자가 전원 단자인 경우에, 제1 소켓 단자(50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전원 단자라는 점에 특별히 주목하지 않고 어떤 구조체가 존재한다는 점에만 주목한다면, 단순히 제1 소켓 단자(500)를 금구(金具)라고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plug terminal is a power terminal, the
예를 들어, 제2 플러그 단자가 신호 단자인 경우에, 제2 소켓 단자(600)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plug terminal is a signal terminal, the
소켓 커넥터(20)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가 체결되는 예시적인 소켓 커넥터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소켓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400)는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플러그 몰드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몰드부는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소켓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도 1의 소켓 커넥터(20)에서 양단의 각각의 제1 소켓 단자(500)는 플라스틱 하우징(소켓 몰드부(400))을 덮고 있다. 즉, 플라스틱 하우징이 제1 소켓 단자(500)를 덮고 있는 부분은 없고 제1 소켓 단자(500)가 플라스틱 하우징을 덮으며 제1 소켓 단자(500)는 노출되어 있다. 종래예로서 제1 소켓 단자(500)의 일부(예컨대, 소켓 커넥터(20)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가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덮여있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그에 비해 제1 소켓 단자(500)의 금속이 전체적으로 커버하고 있으므로 하우징 크랙을 방지하고 더 용이한 결합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한편, 일예로, 제2 소켓 단자(600)로서 신호 단자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32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소켓 단자(500)로서 전원 단자는 5A의 전류를 허용할 수 있다. 단, 도 1의 예에서 PIN의 갯수는 8개이다. 소켓 커넥터(20)의 소켓 몰드부(400)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the signal terminal as the
도 2는 도 1의 소켓 커넥터(20)를 상면에서 본 것이다.FIG. 2 is a top view of the
도 2에서 8개의 모든 제2 소켓 단자(600)는 동일한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서 4개의 소켓 단자(600)가 배치되어 있으며, 커넥터(20)의 폭 방향(Y 방향)을 따라 2개의 소켓 단자(600)가 마주보고 있다. In FIG. 2 , all eight
다만, 이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이며, 배치가 반드시 도 2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제2 소켓 단자(600)는 복수의 타입(예컨대 2가지 타입)이 혼재된 것일 수도 있다.However,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arrange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as shown in FIG. 2 . For example, a plurality of types (eg, two types) of the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2 .
도 3에서 제2 소켓 단자(600; 이하, 편의상 소켓 단자(600)라고도 함)는 외측 단부(600-1; 외측 절단부), 상부 만곡부(600-2); 하부 만곡부(600-3; 도 4 참조), 내측 단부(600-4)를 포함한다. 3,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폭방향의 내측이라 함은 소켓 커넥터(20)의 폭에서 가운데의 위치를 말한다. 폭방향의 외측이라 함은 소켓 커넥터(20)의 폭에서 양끝을 말한다. 도 3의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은 모두 폭방향의 외측이고 가운데 부분이 폭방향의 내측이다.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of the
상면도인 도 3만으로는 입체적인 형상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도 3의 ab 단면을 측면에서 본 도면인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Since it is difficult to grasp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only FIG. 3, which is a top view, the cross section ab of FIG. 3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is a view viewed from the side.
도 4는 도 3의 ab 방향의 단면을 측면에서 본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oss-section in the ab direction of FIG. 3 viewed from the side.
소켓 단자(600)를 소켓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YZ 평면)으로 절단한 측단면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A side cross-section of the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제2 소켓 단자(600; 소켓 단자)는Looking at the schematic configuration,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socket terminal) is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소켓 몰드부(400)의 측벽에서 노출되며, 그 저면이 기판에 대해 실장되는 실장부(600-m)인, 외측 단부(600-1), The
외측 단부(600-1)로부터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상부 만곡부(600-2), An upper curved portion 600-2 that is convexly bent upwardly while extending in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상부 만곡부(600-2)로부터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고,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부분은 소켓 몰드부(400)의 저면으로부터 볼 때 노출되어 있는 하부 만곡부(600-3), 및Extending in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하부 만곡부(600-3)로부터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있으며, 소켓 커넥터(20)의 상대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단자(P)와 결합되는 내측 단부(600-4) While extending inwardly from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를 포함한다.includes
제2 소켓 단자(600) 및 소켓 몰드부(400)를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으로 자른 측단면도에서 볼 때, (i) 외측 단부(600-1)부터 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 부분까지의 구간에서는 소켓 몰드부(400)에 접해 있으며, (ii) 상부 만곡부(600-2) 중간 부분부터 상부 만곡부(600-3)의 내측까지의 구간에서는 소켓 몰드부(400)에 접해 있지 않다.When viewed in a side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즉,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소켓 단자(600)에서, 외측 부분은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내측 부분(상부 만곡부의 중간 부분부터 단자의 내측까지의 부분)은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다.That is, in the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4에서도, 폭방향의 내측이라 함은 소켓 커넥터(20)의 폭에서 가운데의 위치를 말한다. 폭방향의 외측이라 함은 소켓 커넥터(20)의 폭에서 양끝을 말한다. 도 4의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은 모두 폭방향의 외측이고 가운데 부분이 폭방향의 내측이다.As in FIG. 3 , also in FIG. 4 , the term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of the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신호 단자)는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폭방향의 내측)과 내측 단부(600-4)의 외측(폭방향의 외측) 사이에 협지되어 결합된다.A plug terminal (signal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not shown) is sandwiched between the inside (in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curved part 600-2 and the outside (out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end 600-4. .
후술할 스토퍼(400-p)는 하부 만곡부(600-3)의 상면에 접해 있어도 좋고, 미세한 간극을 두고 있어도 무방하다.The stopper 400 - p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600 - 3 or may have a minute gap therebetween.
그리고,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의 저면은 기판에 대해 실장되는 실장부(600-m)로 기능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end 600 - 1 of the
위 설명에서 내측이라 함은, 도 4에서 볼 때, 가운데 부분을 말한다. 도 4에서 화살표 a가 기재된 부분은 외측이고, 화살표 b가 기재된 부분 또한 다른 외측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rm "inside" refers to a central part when viewed in FIG. 4 .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in FIG. 4 is the outside, and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arrow b is also the other outside.
외측 단부(600-1), 상부 만곡부(600-2), 하부 만곡부(600-3), 내측 단부(600-4)의 경계를 명확히 정하기는 어려우나, 일예로서, 도 4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분류해 볼 수 있을 것이다.It is difficult to clearly define the boundaries of the outer end portion 600-1,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and the inner end portion 600-4, but as an example,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We can classify them together.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고, 후술할 도 5, 6를 통해 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서 올려다보았을 때, 외측 단부(600-1)와 하부 만곡부(600-3)는 노출되어 있다.As can be seen in FIG. 4 and more clearly seen through FIGS. 5 and 6 to be described later, when viewed from the bottom, the outer end portion 600 - 1 and the lower curved portion 600 - 3 are exposed.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그 저면(600-m; 실장부)이 소켓 몰드부(400)의 저면 높이와 동등하거나 그 높이 이하이다.The outer end 600 - 1 of the
실장부라 함은 제2 소켓 단자(600)가 기판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소켓 단자(600)의 일부를 기판에 납땜 등의 수단으로 접합시키는 것이다.The mounting part refers to bonding a part of the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소켓 단자(600)는 외측 단부(600-1)의 절단부에 바로 인접한 하방이 실장부(600-m)가 된다. As shown in FIG. 4 , the lower sid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cut portion of the outer end portion 600 - 1 of the
한편, 도 4에는 소켓 몰드부(400)의 단면이 나타나 있는데, 당해 단면 중에서 빗금친 부분은 ab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에 직접 절단되는 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의 소켓 몰드부(400)에서 빗금쳐 있지 않은 부분은 당해 절단면에서 뒤로 퇴피해 있음(즉, 도 4에서 -X 방향으로 퇴피)을 나타낸다. 즉,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와 상부 만곡부(600-2)의 외측은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며,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부터 내부 단부(600-4)까지는 자유도가 높은 부분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 section of the
도 3에는 빈 공간(S1, S2)이 표시되어 있는데, 그러한 도 3의 빈 공간(S1, S2)의 존재를 참조하면, 도 4의 동일한 빈 공간(S1, S2)의 구조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소켓 몰드부(400)의 빗금친 부분은 도 3의 ab 방향 절단면에 의해 직접 절단되는 부분이고 빗금없는 부분은 직접 절단면은 아니므로 도 4에서 빈 공간(S1, S2)로 표시된 부분이 상하 관통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The empty spaces S1 and S2 are indicated in FIG. 3 . Referring to the existence of the empty spaces S1 and S2 in FIG. 3 , the structure of the same empty spaces S1 and S2 in FIG. 4 can be easily understood. There will be. As described above, the hatched part of the
빈 공간(S1, S2)의 존재로 인하여, 단자의 대부분(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부터 내측 단부(600-4))의 가동이 자유로우며, 특히 내측 단부(600-4)의 가동이 더 자유롭다.Due to the existence of the empty spaces S1 and S2, most of the terminals (from the middl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o the inner end 600-4) are free to move, and in particular, the inner end 600-4 is movable. this is more free
또한, 도 3의 빈 공간(S1, S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 및 옆으로 자유롭게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가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mpty spaces S1 and S2 of FIG. 3 , it can be moved while freely exerting an elastic force upward and sideways.
도 4에서, 소켓 몰드부(400)의 일부로서 스토퍼(400-p)가 형성되어 있다.In FIG. 4 , a stopper 400-p is formed as a part of the
즉, 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 부분부터 내측 단부(600-4)까지의 구간에서는 하부 만곡부(600-3)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스토퍼(400-p)만이 소켓 단자(600)를 덮고 있다. 이처럼 소켓 몰드부(400)의 일부로서 스토퍼(400-p)를 형성하는 것은, 예컨대, 인서트 성형에 의해 가능하다.That is, in the section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o the inner end portion 600-4, only the stopper 400-p loc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is the
스토퍼(400-p)는, 소켓 몰드부(400)의 일부이며, 소켓 단자(600)의 내측 단부가(600-4) 상부로 이동할 때에 소켓 단자(60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The stopper 400 - p is a part of the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신호 단자)는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폭방향의 내측)과 내측 단부(600-4)의 외측(폭방향의 외측) 사이에 협지되어 결합되는 형태를 상정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소켓 단자(600)의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어 있다가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도 4의 도시에서 소켓 단자(600)는 상부로 약간 끌려올라다가다 결합 해제될 것이다. 그런데, 끌려올라가는 양이 너무 많으면, 소켓 단자(600)의 변형/손상 우려가 있다. 그러나, 스토퍼(400-p)가 그러한 끌려올라감을 방지해 준다. 이는 내구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The plug terminal (signal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not shown) is sandwiched between the inside (in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curved part 600-2 and the outside (out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end 600-4. form can be imagined. However, if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g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of the
스토퍼(400-p)는 하부 만곡부(600-3)의 상면에 접해 있어도 좋고, 미세한 간극을 두고 있어도 무방하다.The stopper 400-p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or may have a fine gap therebetween.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20)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5 is a bottom view of the
그 상세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후술한다.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도 5의 소켓 커넥터(20)의 저면도의 일부이다.FIG. 6 is a part of a bottom view of the
도 6에서, 소켓 단자(600)의 하부 만곡부(600-3)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실장부(600-m)가 되는 외측 단부(600-1)도 노출되어 있다.In FIG. 6 , the lower curved portion 600 - 3 of the
또한, 도 3에서 본 것과 마찬가지로, 내측 단부(600-4)의 측면(즉, X 방향으로의 측면)에는 공간(S1)이 존재하고,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의 측면에도 상하로 관통된 공간(S2)이 존재한다.In addition, as seen in FIG. 3 , a space S1 exists on the side surface (ie, the side surface in the X direction) of the inner end portion 600 - 4 , and also up and down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 - 2 . A through space S2 exists.
또한, 내측 단부(600-4)의 내측에도 상하로 관통된 공간(S1)이 존재한다.In addition, a space S1 penetrating up and down is also present inside the inner end portion 600 - 4 .
이들 공간으로 인하여, 소켓 단자(600)의 전체적인 자유도는 더욱 높아지고, 소성 변형은 완화된다.Due to these spaces, the overall degree of freedom of the
이상의 예에서는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모두 동일한 타입인 것을 전제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타입의 제2 소켓 단자(즉, 구조가 상이한 제2 소켓 단자)가 혼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the above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plurality of
도 7은 제2 소켓 단자(600)의 가동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도 4는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즉, 단자(600)가 가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도 7은 플러그 단자(P)가 제2 소켓 단자(600)에 결합된 상태(즉, 단자(600)가 가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7에서 플러그 소켓(미도시)의 플러그 단자(P)는, 제2 소켓 단자(600)의 가동 상태를 보이기 위하여, 편의상 임의의 형상으로 도시한 것이며, 플러그 단자(P)가 도 7에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신호 단자)는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폭방향의 내측)과 내측 단부(600-4)의 외측(폭방향의 외측) 사이에 협지되어 결합되는 형태가 더욱 일반적일 것이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s not coupled to the socket connector 20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600 is not operated), but FIG. 7 shows that the plug terminal P is connected to the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면, 단자(600)는 응력을 받아 변형(가동)된다. 도 7에도 나타나듯이, 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 부분부터 내측 단부(600-4)에 걸친 자유단의 움직임 범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when the
그리고, 플러그 단자(P)가 결합 해제될 때(즉, 플러그 단자(P)가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소켓 커넥터(20)가 도면의 하방으로 이동할 때), 내측 단부(600-4)는 플러그 소켓(P)에 접한 채로 끌려서 다소 위로 올라갈 수도 있다. 그러나, 스토퍼(400-p)가, 하부 만곡부(600-3)의 상면이 위로 끌려올라가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자유단의 가동 범위가 크다는 장점을 누리면서도, 결합 해제시에 과도한 힘을 받아서 소켓 단자(600)가 탈락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소켓 단자(600)의 내구성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And, when the plug terminal P is disengaged (that is, when the plug terminal P moves upward in the figure, or when the
도 2 등을 보면, X 방향으로 4개의 단자가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단자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갯수(8개, 16개 등)일 수 있다. 또한, 제2 벽부(120)와 제4 벽부(140)의 배치가 규칙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이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른 구조의 제2 소켓 단자(600)가 혼재되어 있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며, 그 외의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and the like, the case where four terminals are disposed in the X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number of terminals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number (8, 16, etc.).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도 8은 도 1의 소켓 커넥터(20)의 측면도이다.FIG. 8 is a side view of the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는 소켓 커넥터(20)의 바닥면과 동등 또는 그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외측 단부(600-1)의 바닥면은 기판에 납땜 등으로 실장되는 부위인 실장부(600-m)로서 기능한다.It can be seen that the outer end 600 - 1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20: 소켓 커넥터
110: 제1 벽부
120: 제2 벽부
130: 제3 벽부
140: 제4 벽부
400: 소켓 몰드부
400-p: 스토퍼
600: 제2 소켓 단자
600-1: 단자(600)의 외측 단부
600-2: 단자(600)의 상부 만곡부
600-3: 단자(600)의 하부 만곡부
600-4: 단자(600)의 내측 단부
600-m: 단자(600)의 실장부(외측 단부의 저면)20: socket connector
110: first wall part
120: second wall part
130: third wall part
140: fourth wall part
400: socket mold part
400-p: stopper
600: second socket terminal
600-1: the outer end of the terminal 600
600-2: the upper curved portion of the terminal 600
600-3: the lower curved portion of the terminal 600
600-4: the inner end of the terminal 600
600-m: mounting portion of the terminal 600 (bottom surface of the outer end)
Claims (5)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는,
(a)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몰드부의 측벽에서 노출되며, 그 저면이 상기 기판에 대해 실장되는 실장부인, 외측 단부,
(b) 상기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상부 만곡부,
(c) 상기 상부 만곡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고, 상기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몰드부의 저면으로부터 볼 때 노출되어 있는 하부 만곡부, 및
(d) 상기 하부 만곡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있으며, 상기 소켓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되는 내측 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 및 상기 소켓 몰드부를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자른 측단면도에서 볼 때,
(i) 상기 외측 단부부터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에 접해 있으며,
(ii)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부터 상기 상부 만곡부의 내측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에 접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A socket connector soldered to a board, comprising:
A base portion, a first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first wall portion projec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second wall portion a mold part including a third wall part opposite to the mold part, a fourth wall par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intersecting the first and third wall parts, and facing the second wall part;
a bracket installed on at least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plurality of socket terminals provided on at least the second wall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socket terminals,
(a) an outer end of the socket connector,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socket connector in the width direction, is exposed on a sidewall of the mold part, and whose bottom is a mounting part mounted on the substrate;
(b) an upper curved portion exten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from the outer end and convexly bent upward;
(c) the lower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curved portion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and bent convexly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the portion bent convexly toward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mold portion , and
(d) the inner end of the socket connector exten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from the lower curved portion and facing upward, and coupled to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of the socket connector
includes,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and the socket molded portion cu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i) in a section from the outer en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curve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ortion;
(ii) A socke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ocket molded portion in a s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curved portion to an inner sid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부터 상기 내측 단부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하부 만곡부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스토퍼만이 상기 소켓 단자를 덮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소켓 몰드부의 일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의 내측 단부가 상부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In a s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curved portion to the inner end, only a stopper located at least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urved portion covers the socket terminal,
The stopper is a part of the socket mold part, and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restricts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upward when the inner end of the socket terminal moves upward.
상기 소켓 커넥터를 저면에서 볼 때, 상기 외측 단부의 저면인 실장부와 상기 하부 만곡부의 저면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the bottom, the mounting portion, which is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end portion, and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are exposed.
상기 소켓 커넥터를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내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상부 만곡부의 내측의 측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a space penetrating vertically is present in a side surface of the inner end portion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상기 소켓 커넥터를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내측 단부의 내측에도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a space penetrating vertically is also present inside the inner end of the socket conn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042A KR102479386B1 (en) | 2020-10-13 | 2020-10-13 | Socket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042A KR102479386B1 (en) | 2020-10-13 | 2020-10-13 | Socket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8771A true KR20220048771A (en) | 2022-04-20 |
KR102479386B1 KR102479386B1 (en) | 2022-12-20 |
Family
ID=8140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2042A KR102479386B1 (en) | 2020-10-13 | 2020-10-13 | Socket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9386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7882B1 (en) * | 2004-07-09 | 2006-11-24 | 주식회사 마루스 | Connector for electric coupling |
KR20160025446A (en) * | 2014-08-27 | 2016-03-0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KR20180025188A (en) * | 2016-08-29 | 2018-03-0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Regulation metal fitting for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
KR20200013374A (en) * | 2018-07-30 | 2020-0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connector including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a conductive pin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2020
- 2020-10-13 KR KR1020200132042A patent/KR10247938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7882B1 (en) * | 2004-07-09 | 2006-11-24 | 주식회사 마루스 | Connector for electric coupling |
KR20160025446A (en) * | 2014-08-27 | 2016-03-0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KR20180025188A (en) * | 2016-08-29 | 2018-03-0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Regulation metal fitting for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
KR20200013374A (en) * | 2018-07-30 | 2020-0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connector including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a conductive pin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9386B1 (en) | 2022-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04807B2 (en) |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CN108281852B (en) |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 |
TWI548158B (en) |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 |
US10693261B2 (en) |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 |
US11476601B2 (en) | Connector capable of appropriately restricting movement of a contact | |
JP2001093606A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mounting | |
KR102047677B1 (en) | Plug connector | |
US11962104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KR20200104727A (en) | Plug connector | |
US20070026708A1 (en) | Connector and portable cable | |
US8366476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alignment structure | |
EP4007076A1 (en) | Connector | |
KR20220048771A (en) | Socket connector | |
JPWO2017064825A1 (en) | Connectors and connector systems | |
US11594846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terminal and shielding | |
CN221201564U (en) | Electric connector | |
KR102268474B1 (en) | Socket connector | |
KR102494410B1 (en) | Socket connector | |
CN216450830U (en) | Wire clamping connector assembly | |
KR102711115B1 (en) | Electric connector | |
CN218632496U (en) | Type-C structure | |
CN217405836U (en) | Wire en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CN219534916U (en) |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 |
CN220106978U (en) | Electric connector | |
US20240106168A1 (en) | Electric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