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386B1 - Socket connector - Google Patents

Socket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386B1
KR102479386B1 KR1020200132042A KR20200132042A KR102479386B1 KR 102479386 B1 KR102479386 B1 KR 102479386B1 KR 1020200132042 A KR1020200132042 A KR 1020200132042A KR 20200132042 A KR20200132042 A KR 20200132042A KR 102479386 B1 KR102479386 B1 KR 10247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erminal
connector
socket connector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8771A (en
Inventor
임채은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386B1/en
Publication of KR2022004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3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몰드부(400); 금구(500); 제2 소켓 단자(600)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
소켓 단자(600)는, 외측 단부, 상부 만곡부, 하부 만곡부, 및 내측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 단자(600) 및 상기 소켓 몰드부(400)를 상기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으로 자른 측단면도에서 볼 때, (i) 상기 외측 단부(600-1)부터 상기 상부 만곡부(600-2) 중의 소정의 위치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400)에 접해 있으며, (ii) 상기 상부 만곡부(600-2) 중의 소정의 위치부터 상기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400)에 접해 있지 않다.
mold unit 400; metal fittings (500); A socket connector including a second socket terminal 600 is provided.
The socket terminal 600 includes an outer end, an upper curved portion, a lower curved portion, and an inner end.
When viewing the socket terminal 600 and the socket mold part 400 in a cross-sectional side view cut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20, (i) from the outer end portion 600-1 to the upper portion. It is in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art 400 in a section up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urved portion 600-2, and (ii) extends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art 400 in the section up to the inner side.

Description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socket connector {SOCKET CONNECTOR}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자의 결합부의 자유도를 높게 한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ocket connector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connector in which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boar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wo connectors connected to each board are used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and the two connector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one of the two connectors is a plug connector, and the other is a socket connector. A socket connector is also called a receptacle connector. These plug connectors and socket connectors may be formed by arranging terminals in a mold unit. A plug connector and a socket connector may be mated to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소켓 단자의 결합부는 반복된 결합과 해제, 또는 계속 결합된 상태의 지속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이는 결합력의 강도 또는 커넥터의 내구성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The coupling portion of the socket terminal is easily deformed by repeated engagement and release or continued engagement, which adversely affects the strength of coupling force or durability of the connec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결합부, 특히, 결합부의 자유단의 소성 변형을 줄이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part, in particular,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par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소켓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는, (a)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몰드부의 측벽에서 노출되며, 그 저면이 상기 기판에 대해 실장되는 실장부인, 외측 단부, (b) 상기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상부 만곡부, (c) 상기 상부 만곡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고, 상기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몰드부의 저면으로부터 볼 때 노출되어 있는 하부 만곡부, 및 (d) 상기 하부 만곡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있으며, 상기 소켓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되는 내측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 및 상기 소켓 몰드부를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자른 측단면도에서 볼 때, (i) 상기 외측 단부부터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에 접해 있으며, (ii)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부터 상기 내측 단부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에 접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cket connector soldered and mounted on a board includes a base portion, a first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thir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d intersecting the second wall portion and fac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fourth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ing the second wall portion. Mold part to do; A bracket installed at least on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plurality of socket terminals installed on at least the second wall, wherein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socket terminals is (a) located outside the socket connector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posed from the sidewall of the mold part. an outer end, the bottom of which is a mounting part mounted on the board, (b) an upper curved part extending convexly toward the top while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to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c) the A lower curved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upper curved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socket connector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bent convexly downward, and the portion bent convexly toward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ld portion, and (d ) an inner end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curve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and coupled to a terminal of a mating connector of the socket connector, wherein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and the socket mold portion are When viewed from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cut in the width direction, (i) a section from the outer en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curved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art, and (ii)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curved part. The socket connector is not in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art in a section up to the inner e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부터 상기 내측 단부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하부 만곡부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스토퍼만이 상기 소켓 단자를 덮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소켓 몰드부의 일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의 내측 단부가 상부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Preferably, only a stopper located on at least a part of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urved portion covers the socket terminal in a s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curved portion to the inner end, and the stopper is a part of the socket mold portion; When an inner end of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moves upward, the upward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is restri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 커넥터를 저면에서 볼 때, 상기 외측 단부의 저면인 실장부와 상기 하부 만곡부의 저면은 노출되어 있다.Preferably,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a bottom surface, a mounting portion that is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end portion and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are exp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 커넥터를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내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상부 만곡부의 내측의 측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존재한다. Preferably,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a top or bottom surface, a space penetrated vertically exists on a side surface of the inner end portion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 커넥터를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내측 단부의 내측에도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존재한다.Preferably,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a top or bottom surface, a space penetrated vertically also exists inside the inner en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와 상부 만곡부(600-2)의 외측은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며,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부터 내부 단부(600-4)까지는 자유도가 높은 부분이 된다. 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 부분부터 내측 단부(600-4)에 걸친 자유단의 움직임 범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중간 부분이라 함은, 반드시 정중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의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Y 방향)에서 볼 때, 상부 만곡부(600-2)의 아랫면 중에서 외측과 내측 사이의 임의의 지점(소정의 위치)이면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중간 부분이라 함은 반드시 정중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사이의 소정의 위치를 의미한다. 즉, '소정의 위치'는 상부 만곡부(600-2)의 아랫면 중에서 외측 벽면과 내측 벽면 사이에 있는 한, 정중앙이어도 좋고, 그로부터 약간 커넥터 폭방향(Y 방향)의 외측에 치우쳐 있어도 좋고, 그로부터 약간 커넥터 폭방향(Y 방향)의 내측에 치우쳐 있어도 좋다. 도 4는 소정의 위치의 일예를 나타내며, 소정의 위치가 상부 만곡부(600-2)의 측단면도상의 정중앙에서 약간 외측으로 치우쳐 있는 예를 나타낸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간(S2)이 작더라도(즉,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인 비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에서, 상부 만곡부(600-2)의 아랫면 중에서 내측 벽면 부분이 몰드에서 이격해 있도록 공간(S2)이 존재하면) 탄성 자유도는 발휘된다.The outer end 600-1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a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curved part 600-2 are firmly fixed by the socket mold part 400, and the inner end of the upper curved part 600-2 starts from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urved part 600-2. Up to (600-4) is a part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It can be seen tha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free end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o the inner end portion 600-4 is large. Here, the middle par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exact center, and when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of FIG. 4, any point between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predetermined location). 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iddle par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exact center, but means a predetermined position in between. That is, the 'predetermined position' may be i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as long as it is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or may be slightly outward from there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r slightly therefrom. It may be bias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Y direction). FIG. 4 shows an example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slight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even if the space S2 is small (that is, in FIG. If the space (S2) exists so that the inner wall part of the low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mold), the elastic freedom is exhibited.

소켓 단자(600)의 전체적인 자유도는 더욱 높아지고, 소성 변형은 완화된다.The overall degree of freedom of the socket terminal 600 is further increased, and plastic deformation is alleviated.

또한, 주위의 빈 공간(S1, S2)의 존재로 인하여, 단자의 대부분(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부터 내측 단부(600-4))의 가동이 자유로우며, 특히 내측 단부(600-4)의 가동이 더 자유롭다. 빈 공간(S1, S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 및 옆으로 자유롭게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가동될 수 있다. 이들 공간으로 인하여, 소켓 단자(600)의 전체적인 자유도는 더욱 높아지고, 소성 변형은 완화된다.In addition, due to the existence of the surrounding empty spaces S1 and S2, most of the terminals (from the middl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o the inner end 600-4) are free to move, especially the inner end 600-4. 4) The operation is more free. As seen in the empty spaces (S1, S2), it can be moved while freely exerting elastic force upwards and sideways. Due to these spaces, the overall degree of freedom of the socket terminal 600 is further increased, and plastic deformation is alleviated.

또한, 스토퍼(400-p)는, 소켓 몰드부(400)의 일부이며, 소켓 단자(600)의 내측 단부가(600-4) 상부로 이동할 때에 소켓 단자(60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소켓 단자(600)의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어 있다가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도 4의 도시에서 소켓 단자(600)는 상부로 약간 끌려올라다가다 결합 해제될 것이다. 그런데, 끌려올라가는 양이 너무 많으면, 소켓 단자(600)의 변형/손상 우려가 있다. 그러나, 스토퍼(400-p)가 그러한 끌려올라감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응력 및 변형을 방지한다. 이는 내구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400-p is a part of the socket mold part 400 and restric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socket terminal 600 when the inner end of the socket terminal 600 600-4 moves upward. do. That is, when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terminal of the connector of the socket terminal 600 is coupled and then uncoupled, the socket terminal 600 in the illustration of FIG. 4 is slightly pulled upward and then the coupling is released. . However, if the amount of lifting is too large,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damage of the socket terminal 600 . However, the stopper 400-p prevents such lifting and prevents unnecessary stress and deformation. This also helps improve durability.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소켓 커넥터(20)를 상면에서 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b 방향의 단면을 측면에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20)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소켓 커넥터(20)의 저면도의 일부이다.
도 7은 제2 소켓 단자(600)의 가동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소켓 커넥터(20)의 측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ocket connec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1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2 .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ross-section in the direction ab of FIG. 3 seen from the side.
5 is a bottom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FIG. 6 is a part of a bottom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5 .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in an operating state.
FIG. 8 is a side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1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ocket connec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소켓 커넥터(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ocket connector 2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소켓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cket connector 20 may include, for example, a socket mold part 400 , a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a second socket terminal 600 .

소켓 몰드부(400;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는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플러그 몰드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는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ocket mold part 400 (molding part of the socket connector) may have a shape to accommodate a mold part (plug mold part) of a plug connector (not shown). For example, the mold part of the plug connector may have a shape inserted into a space defined by the mold part 400 of the socket connector.

소켓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ocket mold unit 4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including resin and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be disposed on a wall portion of the socket mold part 400 . Also, a plurality of first socket terminals 500 and a plurality of second socket terminals 600 may be disposed on the wall portion of the socket mold part 400 .

도 1에서는 2개의 제1 소켓 단자(5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마주보는 벽면과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1 , two first socket terminals 500 are shown, and although not necessarily, they are preferably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facing walls.

또한, 소켓 몰드부(400)는 기저부를 갖는다. 소켓 몰드부(400)는 기저부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11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벽부(110)와 교차하는 제2 벽부(12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벽부(120)와 교차하며 제1 벽부(110)와 대향하는 제3 벽부(13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벽부(110) 및 제3 벽부(130)와 교차하며 제2 벽부(120)와 대향하는 제4 벽부(1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cket mold part 400 has a base. The socket mold part 400 includes a base portion, a first wall portion 110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second wall portion 120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crossing the first wall portion 110, and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crosses the second wall portion 120 and faces the first wall portion 110, the third wall portion 13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ntersects the first wall portion 110 and the third wall portion 130, and the second wall portion 130 A fourth wall portion 140 facing the wall portion 120 is included.

예컨대, 제1 벽부(110)에 제1 소켓 단자(500)가 형성되고, 제1 벽부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2 벽부(120)에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나란히 형성되고, 제2 벽부(120)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3 벽부(130)에 다른 제1 소켓 단자(500)가 형성되고, 제3 벽부(130)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4 벽부(140)에 다른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나란히 형성된다. 그리고 제4 벽부(140)와 제1 벽부(110)는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다. For example,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is formed on the first wall portion 110, and a plurality of second socket terminals 600 are formed side by side on the second wall portion 120 adjacent to the first wall portion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 Another first socket terminal 500 is formed on the third wall portion 130 adjacent to the second wall portion 120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and the fourth wall portion adjacent to the third wall portion 130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 140), a plurality of other second socket terminals 600 are formed side by side. Also, the fourth wall portion 140 and the first wall portion 11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따라서, 제1 벽부(110)와 제3 벽부(130)는 마주보고 대칭 형상을 가지며, 제2 벽부(120)와 제4 벽부(140)는 마주보고 대칭 형상을 가진다. Therefore, the first wall portion 110 and the third wall portion 130 face each other and have a symmetrical shape, and the second wall portion 120 and the fourth wall portion 140 face each other and have a symmetrical shape.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예를 들어,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copp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될 때, 미도시의 제1 플러그 단자 및 제2 플러그 단자는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nshown plug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socket connector 20, the first plug terminal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not show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can be connected

예를 들어, 미도시의 제1 플러그 단자는 제1 소켓 단자(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미도시의 제2 플러그 단자는 제2 소켓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 first plug terminal (not show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a second plug terminal (not show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

예를 들어, 제1 플러그 단자가 전원 단자인 경우에, 제1 소켓 단자(50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전원 단자라는 점에 특별히 주목하지 않고 어떤 구조체가 존재한다는 점에만 주목한다면, 단순히 제1 소켓 단자(500)를 금구(金具)라고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plug terminal is a power terminal,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may input/output a power electrical signal. Depending on circumstances,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may simply be referred to as a metal fitting, if onl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certain structure exists without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is a power terminal.

예를 들어, 제2 플러그 단자가 신호 단자인 경우에, 제2 소켓 단자(600)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plug terminal is a signal terminal,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input/output data electrical signals.

소켓 커넥터(20)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가 체결되는 예시적인 소켓 커넥터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소켓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cket connector 20 may be an exemplary socket connector to which a plug connector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astened. The socket connector 20 may include, for example, a socket mold part 400 , a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a second socket terminal 600 .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400)는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플러그 몰드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몰드부는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old part 400 of the socket connector may have a shape to accommodate a mold part (plug mold part) of a plug connector (not shown). For example, the plug mold part may have a shape inserted into a space defined by the socket mold part 400 .

소켓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ocket mold unit 4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including resin and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be disposed on a wall portion of the socket mold part 400 . Also, a plurality of first socket terminals 500 and a plurality of second socket terminals 600 may be disposed on the wall portion of the socket mold part 400 .

도 1의 소켓 커넥터(20)에서 양단의 각각의 제1 소켓 단자(500)는 플라스틱 하우징(소켓 몰드부(400))을 덮고 있다. 즉, 플라스틱 하우징이 제1 소켓 단자(500)를 덮고 있는 부분은 없고 제1 소켓 단자(500)가 플라스틱 하우징을 덮으며 제1 소켓 단자(500)는 노출되어 있다. 종래예로서 제1 소켓 단자(500)의 일부(예컨대, 소켓 커넥터(20)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가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덮여있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그에 비해 제1 소켓 단자(500)의 금속이 전체적으로 커버하고 있으므로 하우징 크랙을 방지하고 더 용이한 결합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1 , each first socket terminal 500 at both ends covers a plastic housing (socket mold part 400). That is, there is no part where the plastic housing covers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covers the plastic housing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is exposed. As a conventional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a part of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for example, a part corresponding to a corner portion of the socket connector 20) is covered with a plastic housing. Since the metal of the whole is covered, cracking of the housing is prevented and an easier coupling operation is possible.

한편, 일예로, 제2 소켓 단자(600)로서 신호 단자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32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소켓 단자(500)로서 전원 단자는 5A의 전류를 허용할 수 있다. 단, 도 1의 예에서 PIN의 갯수는 8개이다. 소켓 커넥터(20)의 소켓 몰드부(400)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Meanwhile, as an example, the signal terminal as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be composed of 32 PINs allowing a current of 0.3A, and the power terminal as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may allow a current of 5A. there is. However, in the example of FIG. 1, the number of PINs is 8. The socket mold part 4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be, for example, LCP (Liquid Crystal Polymer).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are preferably made of metal, and may be, for example, copper alloy plated with gold (nickel under layer).

도 2는 도 1의 소켓 커넥터(20)를 상면에서 본 것이다.FIG. 2 is a top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1 .

도 2에서 8개의 모든 제2 소켓 단자(600)는 동일한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서 4개의 소켓 단자(600)가 배치되어 있으며, 커넥터(20)의 폭 방향(Y 방향)을 따라 2개의 소켓 단자(600)가 마주보고 있다. In FIG. 2, all eight second socket terminals 600 are shown as having the same shape. Four socket terminals 600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connector 20, and two socket terminals 600 face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connector 20.

다만, 이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이며, 배치가 반드시 도 2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제2 소켓 단자(600)는 복수의 타입(예컨대 2가지 타입)이 혼재된 것일 수도 있다.However,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arrange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as shown in FIG. 2 .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be a mixture of a plurality of types (for example, two types).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2 .

도 3에서 제2 소켓 단자(600; 이하, 편의상 소켓 단자(600)라고도 함)는 외측 단부(600-1; 외측 절단부), 상부 만곡부(600-2); 하부 만곡부(600-3; 도 4 참조), 내측 단부(600-4)를 포함한다. In FIG. 3 ,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socket terminal 600 for convenience) includes an outer end 600-1 (external cutting part), an upper curved part 600-2; It includes a lower curved portion 600-3 (see FIG. 4) and an inner end portion 600-4.

폭방향의 내측이라 함은 소켓 커넥터(20)의 폭에서 가운데의 위치를 말한다. 폭방향의 외측이라 함은 소켓 커넥터(20)의 폭에서 양끝을 말한다. 도 3의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은 모두 폭방향의 외측이고 가운데 부분이 폭방향의 내측이다.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of the socket connector 20.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both ends in the width of the socket connector 20 . In the example of Fig. 3,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middle portion is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상면도인 도 3만으로는 입체적인 형상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도 3의 ab 단면을 측면에서 본 도면인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Sinc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three-dimensional shape only with the top view of FIG. 3 , the cross-section ab of FIG. 3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is a side view of the cross-section ab of FIG.

도 4는 도 3의 ab 방향의 단면을 측면에서 본 측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ross-section in the direction ab of FIG. 3 seen from the side.

소켓 단자(600)를 소켓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YZ 평면)으로 절단한 측단면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FIG. 4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socket terminal 600 cut along a plane (YZ plan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20 .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제2 소켓 단자(600; 소켓 단자)는Looking at the schematic configuration,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socket terminal)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소켓 몰드부(400)의 측벽에서 노출되며, 그 저면이 기판에 대해 실장되는 실장부(600-m)인, 외측 단부(600-1), An outer end portion 600, which is a mounting portion 600-m located outside the socket connector 20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and exposed at the sidewall of the socket mold portion 400, the bottom of which is mounted on a board. -One),

외측 단부(600-1)로부터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상부 만곡부(600-2), An upper curved portion 600-2 that is convexly bent upward while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600-1 to the inside of the socket connector 20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상부 만곡부(600-2)로부터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고,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부분은 소켓 몰드부(400)의 저면으로부터 볼 때 노출되어 있는 하부 만곡부(600-3), 및It extends from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o the inside of the socket connector 20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and is bent convexly toward the bottom, and the portion bent convexly toward the bottom is the socket mold portion 400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and

하부 만곡부(600-3)로부터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있으며, 소켓 커넥터(20)의 상대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단자(P)와 결합되는 내측 단부(600-4) It extends from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to the inside of the socket connector 20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and faces upward, and is coupled to the terminal P of the mating connector (plug connector) of the socket connector 20 Inner end (600-4)

를 포함한다.includes

제2 소켓 단자(600) 및 소켓 몰드부(400)를 소켓 커넥터(20)의 폭방향(Y 방향)으로 자른 측단면도에서 볼 때, (i) 외측 단부(600-1)부터 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 부분까지의 구간에서는 소켓 몰드부(400)에 접해 있으며, (ii) 상부 만곡부(600-2) 중간 부분부터 내측 단부(600-4)까지의 구간에서는 소켓 몰드부(400)에 접해 있지 않다.When viewed in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and the socket mold part 400 cut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20, (i) the upper curved part 600 from the outer end 600-1 -2) is in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art 400, and (ii) from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curved part 600-2 to the inner end part 600-4, the socket mold part 400 is not in contact with

즉,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소켓 단자(600)에서, 외측 부분은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내측 부분(상부 만곡부의 중간 부분부터 내측 단자까지의 부분)은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다.That is, in the socket terminal 600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4, the outer part is firmly fixed by the socket mold part 400, and the inner part (the part from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curved part to the inner terminal) is the socket mold. It is not fixed by part 400.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4에서도, 폭방향의 내측이라 함은 소켓 커넥터(20)의 폭에서 가운데의 위치를 말한다. 폭방향의 외측이라 함은 소켓 커넥터(20)의 폭에서 양끝을 말한다. 도 4의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은 모두 폭방향의 외측이고 가운데 부분이 폭방향의 내측이다.As in FIG. 3, also in FIG. 4,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of the socket connector 20.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both ends in the width of the socket connector 20 . In the example of Fig. 4,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middle portion is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신호 단자)는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폭방향의 내측)과 내측 단부(600-4)의 외측(폭방향의 외측) 사이에 협지되어 결합된다.The plug terminal (signal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not shown) is coupl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sid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and the outer sid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end portion 600-4. .

후술할 스토퍼(400-p)는 하부 만곡부(600-3)의 상면에 접해 있어도 좋고, 미세한 간극을 두고 있어도 무방하다.The stopper 400-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or may have a fine gap therebetween.

그리고,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의 저면은 기판에 대해 실장되는 실장부(600-m)로 기능한다.Als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end 600-1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functions as a mounting portion 600-m mounted on a board.

위 설명에서 내측이라 함은, 도 4에서 볼 때, 가운데 부분을 말한다. 도 4에서 좌우의 소켓 단자의 외측 단자 쪽이 외측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inner side refers to the middle portion when viewed from FIG. 4 . In Fig. 4, the outer terminal side of the left and right socket terminals is the outer side.

외측 단부(600-1), 상부 만곡부(600-2), 하부 만곡부(600-3), 내측 단부(600-4)의 경계를 명확히 정하기는 어려우나, 일예로서, 도 4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분류해 볼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fine the boundaries of the outer end 600-1, the upper curved part 600-2, the lower curved part 600-3, and the inner end 600-4, as an example,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can be grouped together.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고, 후술할 도 5, 6를 통해 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서 올려다보았을 때, 외측 단부(600-1)와 하부 만곡부(600-3)는 노출되어 있다.As can be seen in FIG. 4 and more clearly through FIGS. 5 and 6 to be described later, when viewed from the bottom, the outer end 600-1 and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are exposed.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는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그 저면(600-m; 실장부)이 소켓 몰드부(400)의 저면 높이와 동등하거나 그 높이 이하이다.The lower surface 600-m (mounting part) of the outer end 600-1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mold part 400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a board.

실장부라 함은 제2 소켓 단자(600)가 기판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소켓 단자(600)의 일부를 기판에 납땜 등의 수단으로 접합시키는 것이다.The mounting part means that a part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is bonded to the board by soldering or the like in order to fix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to the board.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소켓 단자(600)는 외측 단부(600-1)의 절단부에 바로 인접한 하방이 실장부(600-m)가 된다. As shown in FIG. 4 ,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immediately adjacent to the cut portion of the outer end portion 600-1 becomes the mounting portion 600-m.

한편, 도 4에는 소켓 몰드부(400)의 단면이 나타나 있는데, 당해 단면 중에서 빗금친 부분은 ab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에 직접 절단되는 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의 소켓 몰드부(400)에서 빗금쳐 있지 않은 부분은 당해 절단면에서 뒤로 퇴피해 있음(즉, 도 4에서 -X 방향으로 퇴피)을 나타낸다. 즉,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와 상부 만곡부(600-2)의 외측은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며,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부터 내측 단부(600-4)까지는 자유도가 높은 부분이 된다.On the other hand, FIG. 4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socket mold part 400, and hatched portions in the cross section indicate a surface that is directly cut when cut in the ab direction. Incidentally, in the socket mold portion 400 in FIG. 4, portions not shaded indicate that they are retracted backward from the cut surface (i.e., they are retracted in the -X direction in FIG. 4). That is, the outer end 600-1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a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are firmly fixed by the socket mold portion 400, and from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Up to the inner end 600-4 becomes a part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도 3에는 빈 공간(S1, S2)이 표시되어 있는데, 그러한 도 3의 빈 공간(S1, S2)의 존재를 참조하면, 도 4의 동일한 빈 공간(S1, S2)의 구조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소켓 몰드부(400)의 빗금친 부분은 도 3의 ab 방향 절단면에 의해 직접 절단되는 부분이고 빗금없는 부분은 직접 절단면은 아니므로 도 4에서 빈 공간(S1, S2)로 표시된 부분이 상하 관통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In FIG. 3, empty spaces S1 and S2 are shown. Referring to the existence of the empty spaces S1 and S2 in FIG. 3, the structure of the same empty spaces S1 and S2 in FIG. 4 can be easily understood. There will be. As described above, the hatched portion of the socket mold part 400 in FIG. 4 is a portion directly cut by the ab-direction cutting plane in FIG.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art marked with is penetrated up and down.

빈 공간(S1, S2)의 존재로 인하여, 단자의 대부분(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부터 내측 단부(600-4))의 가동이 자유로우며, 특히 내측 단부(600-4)의 가동이 더 자유롭다.Due to the existence of the empty spaces S1 and S2, most of the terminals (from the middl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o the inner end 600-4) are free to move, especially the inner end 600-4. this is more free

또한, 도 3의 빈 공간(S1, S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 및 옆으로 자유롭게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가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mpty spaces S1 and S2 of FIG. 3, it can be moved while freely exerting elastic force upward and sideways.

도 4에서, 소켓 몰드부(400)의 일부로서 스토퍼(400-p)가 형성되어 있다.In FIG. 4 , a stopper 400-p is formed as a part of the socket mold part 400.

즉, 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 부분부터 내측 단부(600-4)까지의 구간에서는 하부 만곡부(600-3)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스토퍼(400-p)만이 소켓 단자(600)를 덮고 있다. 이처럼 소켓 몰드부(400)의 일부로서 스토퍼(400-p)를 형성하는 것은, 예컨대, 인서트 성형에 의해 가능하다.That is, in the section from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curved part 600-2 to the inner end 600-4, only the stopper 400-p loc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urved part 600-3 is connected to the socket terminal 600. is covering Forming the stopper 400-p as a part of the socket mold part 400 in this way is possible by, for example, insert molding.

스토퍼(400-p)는, 소켓 몰드부(400)의 일부이며, 소켓 단자(600)의 내측 단부가(600-4) 상부로 이동할 때에 소켓 단자(60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The stopper 400-p is a part of the socket mold part 400 and restric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socket terminal 600 when the inner end of the socket terminal 600 600-4 moves upward.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신호 단자)는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폭방향의 내측)과 내측 단부(600-4)의 외측(폭방향의 외측) 사이에 협지되어 결합되는 형태를 상정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소켓 단자(600)의 상대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가 결합되어 있다가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도 4의 도시에서 소켓 단자(600)는 상부로 약간 끌려올라다가다 결합 해제될 것이다. 그런데, 끌려올라가는 양이 너무 많으면, 소켓 단자(600)의 변형/손상 우려가 있다. 그러나, 스토퍼(400-p)가 그러한 끌려올라감을 방지해 준다. 이는 내구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The plug terminal (signal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not shown) is clamped and coupled between the inner sid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and the outer sid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end portion 600-4. form can be envisaged. However, if the plug terminal of the connector of the socket terminal 600 is coupled and then a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f disengagement, the socket terminal 600 will be slightly pulled upwards and then disengaged. . However, if the amount of lifting is too large,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damage of the socket terminal 600 . However, the stopper 400-p prevents such lifting. This also helps improve durability.

스토퍼(400-p)는 하부 만곡부(600-3)의 상면에 접해 있어도 좋고, 미세한 간극을 두고 있어도 무방하다.The stopper 400-p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or may have a fine gap therebetween.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20)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5 is a bottom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그 상세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후술한다.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도 5의 소켓 커넥터(20)의 저면도의 일부이다.FIG. 6 is a part of a bottom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5 .

도 6에서, 소켓 단자(600)의 하부 만곡부(600-3)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실장부(600-m)가 되는 외측 단부(600-1)도 노출되어 있다.6,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of the socket terminal 600 is exposed. In addition, the outer end portion 600-1 serving as the mounting portion 600-m is also exposed.

또한, 도 3에서 본 것과 마찬가지로, 내측 단부(600-4)의 측면(즉, X 방향으로의 측면)에는 공간(S1)이 존재하고,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의 측면에도 상하로 관통된 공간(S2)이 존재한다.3, a space S1 exists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end portion 600-4 (that is, the side surface in the X direction), and also vertically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A through space (S2) exists.

또한, 내측 단부(600-4)의 내측에도 상하로 관통된 공간(S1)이 존재한다.In addition, a space S1 penetrating vertically also exists inside the inner end portion 600-4.

이들 공간으로 인하여, 소켓 단자(600)의 전체적인 자유도는 더욱 높아지고, 소성 변형은 완화된다.Due to these spaces, the overall degree of freedom of the socket terminal 600 is further increased, and plastic deformation is alleviated.

이상의 예에서는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모두 동일한 타입인 것을 전제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타입의 제2 소켓 단자(즉, 구조가 상이한 제2 소켓 단자)가 혼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the above example, it is assumed that all of the plurality of second socket terminals 600 are of the same typ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second socket terminals (ie, second socket terminal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are mixed. There may be.

도 7은 제2 소켓 단자(600)의 가동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in an operating state.

도 4는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즉, 단자(600)가 가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도 7은 플러그 단자(P)가 제2 소켓 단자(600)에 결합된 상태(즉, 단자(600)가 가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7에서 플러그 소켓(미도시)의 플러그 단자(P)는, 제2 소켓 단자(600)의 가동 상태를 보이기 위하여, 편의상 임의의 형상으로 도시한 것이며, 플러그 단자(P)가 도 7에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신호 단자)는 상부 만곡부(600-2)의 내측(폭방향의 내측)과 내측 단부(600-4)의 외측(폭방향의 외측) 사이에 협지되어 결합되는 형태가 더욱 일반적일 것이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s not coupled to the socket connector 20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600 is not operated), FIG. 7 shows that the plug terminal P is connected to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There is a difference in indicating a coupled state (ie,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600 is operated). In FIG. 7, the plug terminal P of the plug socket (not shown) is shown in an arbitrary shape for convenience in order to sh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and the plug terminal P is shown in FIG. It is not limited to one shape. Rather, the plug terminal (signal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not shown) is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uter sid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end portion 600-4. A combined form would be more common.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면, 단자(600)는 응력을 받아 변형(가동)된다. 도 7에도 나타나듯이, 상부 만곡부(600-2)의 중간 부분부터 내측 단부(600-4)에 걸친 자유단의 움직임 범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when the socket connector 20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upled, the terminal 600 receives stress and is deformed (moved). As shown in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movement range of the free end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curved portion 600-2 to the inner end portion 600-4 is large.

그리고, 플러그 단자(P)가 결합 해제될 때(즉, 플러그 단자(P)가 도면의 상방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소켓 커넥터(20)가 도면의 하방으로 이동할 때), 내측 단부(600-4)는 플러그 소켓(P)에 접한 채로 끌려서 다소 위로 올라갈 수도 있다. 그러나, 스토퍼(400-p)가, 하부 만곡부(600-3)의 상면이 위로 끌려올라가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자유단의 가동 범위가 크다는 장점을 누리면서도, 결합 해제시에 과도한 힘을 받아서 소켓 단자(600)가 탈락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소켓 단자(600)의 내구성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And, when the plug terminal P is disengaged (that is, when the plug terminal P moves upward in the drawing, or when the socket connector 20 moves downward in the drawing), the inner end 600-4 may be dragged upwards somewhat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lug socket (P). However, the stopper 400-p restrict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600-3 from being pulled u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the socket terminal 600 being detached due to excessive force during coupling release, while enjoying the advantage of a large movable range of the free end. In addition, it help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ocket terminal 600.

도 2 등을 보면, X 방향으로 4개의 단자가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단자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갯수(8개, 16개 등)일 수 있다. 또한, 제2 벽부(120)와 제4 벽부(140)의 배치가 규칙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이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른 구조의 제2 소켓 단자(600)가 혼재되어 있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며, 그 외의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and the like, the case where four terminals are disposed in the X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number of terminals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number (8, 16, etc.).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wall portion 120 and the fourth wall portion 140 is shown as being regular, and although this is preferabl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of different structures is mixed. Embodiments are also possible, and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8은 도 1의 소켓 커넥터(20)의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1 .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단부(600-1)는 소켓 커넥터(20)의 바닥면과 동등 또는 그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외측 단부(600-1)의 바닥면은 기판에 납땜 등으로 실장되는 부위인 실장부(600-m)로서 기능한다.It can be seen that the outer end 600-1 of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exists at a position equal to or slightly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connector 20. The bottom surface of this outer end portion 600-1 functions as a mounting portion 600-m, which is a portion mounted on a board by soldering or the lik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 person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20: 소켓 커넥터
110: 제1 벽부
120: 제2 벽부
130: 제3 벽부
140: 제4 벽부
400: 소켓 몰드부
400-p: 스토퍼
600: 제2 소켓 단자
600-1: 단자(600)의 외측 단부
600-2: 단자(600)의 상부 만곡부
600-3: 단자(600)의 하부 만곡부
600-4: 단자(600)의 내측 단부
600-m: 단자(600)의 실장부(외측 단부의 저면)
20: socket connector
110: first wall
120: second wall
130: third wall
140: fourth wall
400: socket mold part
400-p: stopper
600: second socket terminal
600-1: outer end of terminal 600
600-2: upper curved portion of the terminal 600
600-3: lower curved portion of the terminal 600
600-4: inner end of terminal 600
600-m: mounting portion of terminal 600 (bottom surface of outer end)

Claims (5)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소켓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는,
(a)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몰드부의 측벽에서 노출되며, 그 저면이 상기 기판에 대해 실장되는 실장부인, 외측 단부,
(b) 상기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상부 만곡부,
(c) 상기 상부 만곡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고, 상기 하부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몰드부의 저면으로부터 볼 때 노출되어 있는 하부 만곡부, 및
(d) 상기 하부 만곡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있으며, 상기 소켓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되는 내측 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 및 소켓 몰드부를 상기 소켓 커넥터의 폭방향으로 자른 측단면도에서 볼 때,
(i) 상기 외측 단부부터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에 접해 있으며,
(ii)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부터 상기 내측 단부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소켓 몰드부에 접해 있지 않으며,
상기 상부 만곡부 중의 소정의 위치부터 상기 내측 단부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하부 만곡부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스토퍼만이 상기 소켓 단자를 덮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소켓 몰드부의 일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의 내측 단부가 상부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단자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A socket connector soldered and mounted on a board,
A base portion, a first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second wall portion, the first wall portion a mold unit including a third wall portion facing the base portion and a fourth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ntersecting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ing the second wall portion;
A bracket installed at least on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plurality of socket terminals installed at least on the second wall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socket terminals,
(a) an outer end, which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socket connector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exposed at the sidewall of the mold part, and is a mounting part whose bottom surface is mounted on the substrate;
(b) an upper curved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outer end to the inside of the socket connector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convexly bent upward;
(c) a lower curved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upper curved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socket connector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bent convexly downward, and the portion bent convexly toward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ld part , and
(d) an inner end extending from the lower curved por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socket connector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top, and coupled with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of the socket connector
Including,
When viewed from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and the socket mold part cu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nector,
(i) in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art in a section from the outer en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curved part;
(ii) a s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upper curved portion to the inner end portion is not in contact with the socket mold portion;
In a s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curved portion to the inner end, only a stopper located on at least a part of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urved portion covers the socket terminal,
The socket connector of claim 1 , wherein the stopper is a part of the socket mold part and restricts upward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when an inner end of the at least one socket terminal moves upwar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를 저면에서 볼 때, 상기 외측 단부의 저면인 실장부와 상기 하부 만곡부의 저면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a bottom surface, a mounting portion, which is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en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urved portion are ex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를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내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상부 만곡부의 내측의 측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ocket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a top or bottom surface, a space penetrated vertically exists on a side surface of the inner end portion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를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내측 단부의 내측에도 상하로 관통된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socket connector is viewed from a top or bottom surface, a space penetrated vertically also exists inside the inner end.
KR1020200132042A 2020-10-13 2020-10-13 Socket connector KR102479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42A KR102479386B1 (en) 2020-10-13 2020-10-13 Socket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42A KR102479386B1 (en) 2020-10-13 2020-10-13 Socket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71A KR20220048771A (en) 2022-04-20
KR102479386B1 true KR102479386B1 (en) 2022-12-20

Family

ID=8140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042A KR102479386B1 (en) 2020-10-13 2020-10-13 Socket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38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82B1 (en) * 2004-07-09 2006-11-24 주식회사 마루스 Connector for electric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8405B2 (en) * 2014-08-27 2017-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860996B2 (en) * 2016-08-29 2021-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Regulators for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KR102606247B1 (en) * 2018-07-30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A connector including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a conductive pin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82B1 (en) * 2004-07-09 2006-11-24 주식회사 마루스 Connector for electric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71A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8702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93261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170870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TWI548158B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7377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494901B1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JP2001093606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mounting
KR102047677B1 (en) Plug connector
CN109586063B (en) Connector for substrate and combination thereof
JP2011228269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20200104727A (en) Plug connector
KR101212716B1 (en) Coaxial connector
KR102472680B1 (en) Power terminal and socket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KR102479386B1 (en) Socket connector
CN114175409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KR20200104726A (en) Plug connector
KR102494410B1 (en) Socket connector
JP6293490B2 (en) Terminals and connectors
EP2149942A1 (en) Electrical connector
JPWO2017064825A1 (en) Connectors and connector systems
CN218632496U (en) Type-C structure
CN219998618U (en) Connector device
CN216450830U (en) Wire clamping connector assembly
CN220021642U (en) Wire set
TWI760873B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