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514A -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514A
KR20220048514A KR1020200131207A KR20200131207A KR20220048514A KR 20220048514 A KR20220048514 A KR 20220048514A KR 1020200131207 A KR1020200131207 A KR 1020200131207A KR 20200131207 A KR20200131207 A KR 20200131207A KR 20220048514 A KR20220048514 A KR 20220048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external application
oil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성찬
박다슬
박승한
서병휘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13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514A/ko
Publication of KR20220048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활성 상태인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고, 제형이 안정적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N SKIN CONTAINING PROBIOTICS}
본 명세서에는 활성 상태인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살아있는 미생물 또는 균을 총칭하는 말로 우리 몸에 유익(benefit)을 주는 미생물 또는 균을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인체에 여러 가지 유익작용을 통해 효과적인 효능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화장품 업계에서는 유해균을 억제하고 미생물 밸런스를 조절하는 소재나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을 뿐, 제형 안정성 및 법규의 제한 등으로 인해, 유익균을 활성 상태로 처방하는 형태의 화장품에 대한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활성균을 화장품에 적용시, 화장품에 존재하는 방부원료 등으로 인해 금방 사멸하기 때문에, 유통기한 등이 매우 짧게 되어 상업성이 좋지 못하다. 따라서, 종래 프로바이오틱스 관련 화장품은 활성균 자체가 아닌 균사체 등 비활성 상태의 균을 이용한 화장품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활성균, 즉 프로바이오틱스가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된 제형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KR1967809B1 (2019.1.9.)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화장품 제형의 방부원료로 인해 완전히 사멸하지 않고, 활성균으로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으면서도, 조성물 제형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분말 제형의 프로바이오틱스, 및 양이온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음이온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활성 상태인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면서도, 프로바이오틱스가 조성물 내에서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고, 제형이 안정적이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의 유해균을 억제하거나,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2a) 및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2b)이다.
도 3-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 내에서 유산균 생존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에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정의
본 명세서에서 “입경”이란 각 입자의 직경을 의미하고, 정의된 입경 범위는 각각의 단일 입자의 직경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분말 제형의 프로바이오틱스, 및 양이온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음이온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피부의 유해균을 억제하거나,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밸런스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데, 활성 상태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안정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보통 미생물은 물이 있을 때 생존하거나 증식하기 때문에, 미생물을 제어하는 방부제 또는 보존제/보존물질은 주로 수상에 적용한다. 따라서 유산균이 접촉하지 않도록 방부제 또는 보존제/보존물질이 존재하는 수상과의 물리적 장벽(Barrier)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수상과 달리 오일상에서는 미생물이 증식하기 어려우며, 있더라도 그 수치가 유지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생균(활성균) 상태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파우더화하여 오일에 담지한 후, 이를 캡슐화하여 수상으로부터 이를 보호함으로써,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활성 유산균의 생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 사이에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계면이 존재할 수 있다.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이란, 친수성 콜로이드 용액 속에서, 콜로이드 입자의 수화 감소 및 정전기적 요인에 의해, 분산매에서 농축된 콜로이드졸이 분리되어 가는 현상을 의미하며, 분리된 액상 중에서 한쪽 액상은 콜로이드 농도가 높고, 다른 쪽 액상은 콜로이드 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코아세르베이트(coacervate)"란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과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이 특정 조건에서 혼합되었을 때의 코아세르베이션 현상으로 인해 형성되는 콜로이드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계면”이란, 상기 수상부 및 유상부 사이의 코아세르베이션으로 인해 생성된 코아세르베이트로 이루어진 계면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 따르면, 양이온성 오일(단분자)와 음이온성 점증제(폴리머)의 정전기적 결합에 의한 Coacervation 현상을 이용한 오일 캡슐화로 인하여, 수상부 및 유상부 사이에 계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활성 상태인 프로바이오틱스를 화장품 제형에 적용하기 위해 동결 건조 등으로 분말화된 프로바이오틱스를 유동도가 적은 점증된 오일에 담지한 뒤, 이를 수상부에 분산시킨다. 이때, 유상부에 포함된 양이온성 오일과 수상부에 포함된 음이온성 점증제의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작용에 의하여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계면이 유상부-수상부 사이에 형성되면서,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유상부가 소프트 캡슐화(soft capsulation)되므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 내에서 생균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는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으로 인해 캡슐화(capsulation)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수중유형 조성물일 수 있고, 예컨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내상으로서의 유상부; 및 외상으로서의 수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상부에 유상부 입자들이 분산된 형태이므로, 유상부 내에서 캡슐화된 프로바이오틱스가 안정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고, 외상인 수상부에 방부제가 포함되어 외부의 미생물로부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Lac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틱스 (Lactococcus lactics),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기탁 번호가 KCCM11179P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APsulloc 331261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기탁 번호가 KCTC3237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또는 시판되는 아모레퍼시픽 사의 "바이탈뷰티 프로바이오"일 수 있다.
상기 바이탈뷰티 프로바이오는 하기 균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Lactobacillusplantarum ,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coccus lactis , Bifidobacterium animalisspp . lactis , Bifidobacterium breve, Lactobacilluscasei , Bifidobacterium longum , Lactobacillusacidophilus , Bifidobacterium bifidum , Lactobacillus helveticus).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의 생균 함량은 1.0 x 105 내지 1.0 x 107 CFU/g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말 제형의 프로바이오틱스는 동결건조된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 중량%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0.001 중량% 이상, 0.005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02 중량% 이상, 0.03 중량% 이상, 0.04 중량% 이상 또는 0.0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1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9 중량% 이하, 0.08 중량% 이하, 0.07 중량% 이하, 0.06 중량% 이하, 또는 0.0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활성균 수가 너무 적어 제형내 방부효과를 가진 원료에 의해 바로 사멸될 수 있고, 1 중량% 초과인 경우 파우더 형태의 활성균의 부피가 너무 커서 유상부에 담지(분산) 하기 힘들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성 오일은,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아모디메치콘, 및 아미노프로필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겨우, 오일 입자 주변에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막으로 인한 전하 반발력이 없기 때문에, 유상부, 즉 오일 입자들 간에 서로 합일이 일어나고, 오일 입자가 과도하게 커져 표면으로 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 안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양이온성 오일의 제타 전위 값은 1 내지 60 mV 수 있고, 예컨대, 1 mV 이상, 5 mV 이상, 10 mV 이상, 15 mV 이상, 20 mV 이상, 25 mV 이상, 30 mV 이상, 35 mV 이상, 40 mV 이상, 45 mV 이상, 50 mV 이상, 또는 55 mV 이상일 수 있고, 60 mV 이하, 55 mV 이하, 50 mV 이하, 45 mV 이하, 40 mV 이하, 35 mV 이하, 30 mV 이하, 25 mV 이하, 20 mV 이하, 15 mV 이하, 10 mV 이하, 또는 5 mV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의 제타 전위 값은 pH 6에서 9.64 mV, pH 3에서 52.8 mV 값을 가질 수 있다. pH가 낮을수록 양이온성의 오일의 양전하가 커지는데, pH 가 너무 낮으면 오일입자가 수상파트에 분산이 안되고 금방 제형 표면으로 떠버려서 제형 안정도가 좋지 않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는 점도 5000 cps 이상인 고점도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고점도 오일의 점도는 5000 cps 이상 또는 7000 cps 이상일 수 있고, 100,000 cps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점도 오일은 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디메티콘올 및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는 오일 겔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겔화제는 덱스트린 펠미테이트, 폴리아미드-8, 비스-에틸헥실 비스-올레일피로멜리타미드, 폴리글리세릴-4 올레에이트 (및) 소듐 카프로일/라우로일 락틸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티렌/이소프렌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는 0.1 내지 10 mm의 입경을 가지는 구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경은 0.1 mm 이상, 0.3 mm 이상, 0.5 mm 이상, 0.7 mm 이상, 0.8 mm 이상, 0.9 mm 이상, 1 mm 이상, 1.1 mm 이상, 1.2 mm 이상 또는 1.3 mm 이상일 수 있고, 10 mm 이하, 8 mm 이하, 6 mm 이하, 5 mm 이하, 4 mm 이하, 3 mm 이하, 2 mm 이하, 1.5 mm 이하, 1.4 mm 이하, 1.3 mm 이하, 1.2 mm 이하 또는 1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입경이 0.1 mm 미만인 경우 표면적이 커지게 되어 유상부에 담지된 프로바이오틱스가 수상과 접촉하여 방부제에 의하여 사멸될 가능성이 크고, 10 mm 초과인 경우 오일과 물의 비중 차로 인해 유상부가 수상부의 표면으로 뜨게 되어 제형 안정도가 안좋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의 점도는 5,000 내지 20,000 cps 일 수 있고, 예컨대, 5,000 cps 이상, 5,500 cps 이상, 6,000 cps 이상, 7,000 cps 이상, 8,000 cps 이상, 9,000 cps 이상 또는 10,000 cps 이상일 수 있고, 20,000 cps 이하, 19,000 18,000 cps 이하, 17,000 cps 이하, 16,000 cps 이하, 15,000 cps 이하, 14,000 cps 이하, 13,000 cps 이하, 12,000 cps 이하 또는 11,000 cps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도가 5,000 cps 미만인 경우 활성균의 생존력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점도가 20,000 cps 초과인 경우 유상부 입자들(예컨대, 오일 캡슐) 크기의 균일도가 낮아져 제형 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형 안정도가 좋지 않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점증제는,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니움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코폴리머, 소듐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및 소듐 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음이온성 점증제의 제타 전위 값은 -50 내지 -10 mV 수 있고, 예컨대 -50 mV 이상, -45 mV 이상, -40 mV 이상, -35 mV 이상, -30 mV 이상, -25 mV 이상, -20 mV 이상, 또는 -15 mV 이상일 수 있고, -10 mV 이하, -15 mV 이하, -20 mV 이하, -25 mV 이하, -30 mV 이하, -35 mV 이하, mV 이하, -40 mV 이하, 또는 -45 mV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상부는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상부에 방부제를 포함하여, 프로바이오틱스와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미생물로 인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오염 또는 부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유상부; 및 90 내지 99.9 중량%의 수상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상부의 함량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1 중량% 이상, 2.2 중량% 이상, 2.3 중량% 이상, 2.4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2.6 중량% 이상, 또는 2.7 중량% 이상일 수 있고,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상부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양이 너무 적어 유상부에 파우더 형태의 유산균을 담지(또는 분산)하기 힘들 수 있고, 10 중량% 초과인 경우 오일 입자가 매우 작아 수상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커져 활성균의 안정도가 좋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많아진 오일양으로 인해 오일 입자가 작아지고, 그로 인해 표면적이 커져서 활성균 안정도가 나빠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상부 함량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중량% 이상, 91 중량% 이상, 92 중량% 이상, 93 중량% 이상, 94 중량% 이상,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96 중량% 이상, 96.5 중량% 이상, 97 중량% 이상, 97.1 중량% 이상 또는 97.2 중량% 이상일 수 있고, 99.9 중량% 이하, 99.5 중량% 이하, 99 중량% 이하, 98.5 중량% 이하, 98 중량% 이하, 97.5 중량% 이하, 97.4 중량% 이하, 또는 97.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 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클렌징 티슈,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이온봉쇄제,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성분에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함으로써,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제형화할 수 있으며, 이 때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의 투여 용량은 투여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당한 용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mg/kg/일 내지 5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에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1) 유산균 분말화하고, 2) 점증된 양이온성 오일 파트에 유산균 파우더(분말)를 분산하여 유상부를 제조하고, 3) 점증된 음이온성 수상 파트(수상부)에 상기 2) 에서 제조한 유상부를 분산시켜, 유상부(양이온성)와 수상부(음이온성) 경계 사이에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막을 형성하였다.
위 과정을 통해 오일 유동도를 감소시킨 상태에서, 유상부와 수상부의 계면에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막을 형성 시켜주게 되면 수상부에 포함된 보존제(또는 방부제)로부터 어느정도 활성균을 지켜주기 때문에 아무런 조치하지 않은 제형에 비해 유산균이 오래 살아남을 수 있어 사용기한이 더 긴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1) 유산균 분말화
유산균 L. plantarum APsulloc 331261 (기탁번호 KCCM11179P ), L. rhamnosus (기탁 번호 KCTC3237 )은 동결건조(Freeze-drying) 방법을 이용하여 분말화하고, 시판 중인 아모레퍼시픽 사의 "바이탈뷰티 프로바이오"를 준비하였다.
- 유산균 동결 건조
①유산균(L. plantarum, L. rhamnosus)를 액체배지(MRS broth)에 1/100의 농도로 접종하고 35 ℃에서 24 h 배양하였다.
②배양액을 고체배지(MRS agar)에 100 μL 스프레딩(spreading)한 후 32 ℃에서 24 h 배양하였다.
③멸균된 15% 스킴 밀크(skim milk) 용액 10 mL을 균이 배양된 플레이트(plate)에 넣고 균을 모았다.
④균질하게 섞이도록 볼텍스 믹서(vortex mixer)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 크라이오튜브(cryotube)에 500 μL씩 분주하고 딥프리저(deep freezer)에서 1 h 이상 보관하였다.
⑤균액을 완전히 얼린 후 뚜껑을 열고 멸균된 탈지면으로 입구를 막은 후 동결건조 기기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2) 점증된 양이온성 오일 파트에 유산균 파우더(분말)를 분산하여 유상부를 제조, 및 3) 점증된 음이온성 수상 파트(수상부)에 상기 2) 에서 제조한 유상부를 분산
아래 처방의 수상부 및 유상부를 각각 준비한 후, 수상부에 유상부 투입하면서 아지 믹싱(agi mixer)하여 유상부를 수상부 내에 분산시켰다.
구분 원료명 INCI명 함량
수상부
WATER To 100
이온봉쇄제 E.D.T.A.-2NA EDTA 0.05
pH조절제 Tris-amino Ultra PC TROMETHAMINE 0.12
보습제 Glycerin(Refined glycerin,Palmera G995 R.G.) GLYCERIN 4
보습제 Fermandiol PROPANEDIOL 6
음이온성 점증제 Carbopol 981 CARBOMER 0.2
용제(방부제) Synthetic Ethyl Alcohol 95% ETHANOL 2
용제(방부제) COSDIOL (1,2-Hexandiol) 1,2HEXANDIOL 1.5
유상부
오일(유연제) Neossance squalane SQUALANE 1
양이온성 오일 Amiter MA-HD HEXYLDECYL MYRISTOYL METHYLAMINOPROPIONATE 0.1
고점도 오일 Versagel ME 750 T HYDROGENATED POLYISOBUTENE*ETHYLENE/PROPYLENE/STYRENE COPOLYMER*BUTYLENE/ETHYLENE/STYRENE COPOLYMER*PENTAERYTHRITYL TETRA-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1
오일(유연화제) Natural Orange Color SNF BLG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DAUCUS CAROTA SATIVA (CARROT) ROOT EXTRACT*BETA-CAROTENE*TOCOPHEROL 0.6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0.05
상기 표 1에서 유산균의 종류를 달리하거나, 유상부/수상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달리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샘플
실시예 1 L. plantarum 0.05% (6.5 x 105 CFU/g 생균 함유)
실시예 2 L. rhamnosus 0.05% (1.0 x 106 CFU/g 생균 함유)
실시예 3 Lactobacillus mixture 0.05% (6.13 x 105 CFU/g 생균 함유)
비교예 1~3 실시예 1~3의 유산균을 유상부에 넣지 않고, 수상부에 포함
도 1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a 및 2b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확대 촬영(2a) 및 현미경으로 관찰(2b)한 사진이다. 현미경 관찰 결과 유동도가 적은 오일에 담지된 활성 유산균 파우더들을 관찰할 수 있었고, 소량의 유산균만이 수상부로 나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컨대, 첨가된 프로바이오틱스 총 중량을 기준으로 중 약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이 캡슐화될 수 있다. 또한, 유상부를 구성하는 구형 입자 바깥에 유상부-수상부 사이의 코아세르베이션으로 형성된 소프트쉘(하얀 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물과 더 친한 유산균이 유상부에 담지될 수 있는 이유는 오일 자체의 낮은 유동도와 더불어, 유상부에 포함된 양이온성 오일인 헥시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HEXYLDECYL MYRISTOYL METHYLAMINOPROPIONATE) 와 음이온성인 수상부의 중화된 카보머(Carbomer)가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을 이루어 계면에 소프트쉘(soft shell)을 이루어서 전하 반발력으로 인해 유상부의 유산균이 수상부로 잘 빠져나가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카보머 자체는 Acid 타입으로 Tromethamine 과 같은 염기로 중화를 하여 음이온성을 띄게 될 수 있다. (예: Carbomer + NaOH -> Sodium carbomer)
시험예
1. 제형 내 유산균 생존 정도 확인(저장 안정성 테스트, Storage stability test)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 대하여, 각각 같은 종류의 유산균의 생존정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캡슐 유무(유상에 유산균이 포함된 경우가 캡슐이 있는 경우) 및 온도 조건에 따른 L. plantarum 함유 제형의 저장 안정성에 관한 것이고, 도 4는 캡슐 유무 및 온도조건에 따른 L. rhamnosus 함유 제형의 저장 안정성에 관한 것이며, 도 5은 캡슐 유무 및 온도 조건에 따른 Lactobacillus mix. (제품명: 아모레퍼시픽사 바이탈뷰티 프로바이오) 함유 제형의 저장 안정성에 관한 것이다. 도 3-5에서 "냉장" 표시가 되지 않은 것은 상온에서 저장한 것이다.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①제조된 샘플을 상온, 냉장(4℃) 조건에서 보관하였다.
②보관 시간에 따라 제형을 2 mL씩 샘플링 하였다.
③스토마킹 백(Stomaching bag)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으깬 후 샘플링하여 1/10, 1/100, 및 1/1000로 희석하여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분주하였다.
④ MRS agar를 부어 굳힌 후 35 ℃에서 48-72 h 배양하였다.
⑤ 페트리디쉬에 배양된 살아있는 유산균의 수를 육안으로 세어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오일에 담지한 유산균(실시예 1-3)이 수상부에 포함된 유산균(비교예 1-3)과 비교하여, 약 1.5~2 배 정도 오래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3의 경우, 상온인 경우 보다 냉장 상태에서 더욱 오래 생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유상부의 점도에 따른 제형 안전성
실시예 1-3의 조성물에서 유상부의 고점도 오일 함량을 조절하여 유상부 점도 측정 후, 제형 내의 오일 입자 크기를 관찰하였다. 즉, 실시예 1에서 스쿠알란(Neossance squalene) 1%, 고점도 오일(Versagel ME 750 T) 1% 인데, 총합 2%를 유지하면서, 고점도 오일의 비율을 조절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관찰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유상부 점도 (cps) 오일 입자 관찰
20(스쿠알란2%: 고점도오일 0%) (대략적 크기 0.1~0.3 mm)
2,400 (스쿠알란 1.6%: 고점도오일 0.4%) 0.3~0.8 mm
5,600
(스쿠알란 1.4%:고점도오일 0.6%)
1mm 이상 크기 많음
11,000 (실시예 1~3에 해당되는 유상부 점도)
(스쿠알란1%: 고점도오일 1%)
대부분 1mm 이상
23,000 (스쿠알란 0.6%: 고점도오일 1.4%) 보통 5~6 mm 이상의 큰 오일 입자가 많아져 수상부 표면으로 뜨고, 불균일한 외관을 보임
41,000 (스쿠알란 0.2%: 고점도오일 1.8%) 유상의 점도가 너무 높아 아지믹서로 오일 입자 형성하기 힘듬 매우 불균일한 외관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유상부를 구성하는 오일 입자(캡슐)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지면 표면적이 커지게 되어, 유상부에 담지된 활성균들과 수상부와의 접촉이 커지므로, 수상부에 포함된 방부제 또는 보존제들에 의해 사멸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오일 입자(캡슐)이 지나치게 크게 되면 오일과 물의 비중 차로 인해 유상부가 수상부의 표면으로 뜨게 되어 제형 안정도가 좋지 않을 수 있다.
정리해보면, 상기 표 3의 결과를 통하여 볼 수 있듯이, 유상부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활성균의 생존력이 감소하고, 유상부의 점도가 너무 높게 되면 오일 캡슐의 크기의 균일도가 낮아져 제형 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형 안정도가 좋지 않다.

Claims (19)

  1. 분말 제형의 프로바이오틱스, 및 양이온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

    음이온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 사이에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계면이 존재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으로 인해 캡슐화(capsulation)된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중유형 조성물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Lacobacillus helveticus), 락토코커스 락틱스 (Lactococcus lactics),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제형의 프로바이오틱스는 동결건조된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 중량%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오일은, 헥실데실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아모디메치콘, 및 아미노프로필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점도 5,000 cps 이상인 고점도 오일을 더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오일은 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디메티콘올 및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오일 겔화제를 더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겔화제는 덱스트린 펠미테이트, 폴리아미드-8, 비스-에틸헥실 비스-올레일피로멜리타미드, 폴리글리세릴-4 올레에이트 (및) 소듐 카프로일/라우로일 락틸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티렌/이소프렌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0.1 내지 10 mm의 입경을 가지는 구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의 점도는 5,000 내지 20,000 cps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점증제는,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니움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코폴리머, 소듐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및 소듐 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방부제를 더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유상부; 및
    90 내지 99.9 중량%의 수상부; 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00131207A 2020-10-12 2020-10-12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048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07A KR20220048514A (ko) 2020-10-12 2020-10-12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07A KR20220048514A (ko) 2020-10-12 2020-10-12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514A true KR20220048514A (ko) 2022-04-20

Family

ID=8140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207A KR20220048514A (ko) 2020-10-12 2020-10-12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5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809B1 (ko) 2017-06-30 2019-04-10 바이오제닉스코리아 주식회사 나노화된 김치 유산균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809B1 (ko) 2017-06-30 2019-04-10 바이오제닉스코리아 주식회사 나노화된 김치 유산균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3600B (zh) 保护皮肤对抗病原微生物的方法和手段
US9636297B2 (en) Extemporaneous care product based on a lyophilizate of microorganisms and surfactant(s) with an HLB greater than or equal to 12
CN101919791B (zh) 减少眼部刺激的个人护理防晒剂组合物
US20090022700A1 (en) Cosmetic water-soluble film
WO2011070508A1 (en) Probiotic microorganisms as active agents for enhancing the radiance of the skin's complexion
EP4037651A1 (en) Novel skin care composition
JP2010511001A (ja) 病原性微生物に対して皮膚を保護するための組成物、キットおよび使用
US20210275613A1 (en) Aqueous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viable probiotic bacteria
CN101791277A (zh) 减少眼部刺激的个人护理组合物
KR20150001737A (ko) 두피의 과지루성 상태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비트레오스실라 종 속의 박테리아 배양물의 용해물의 용도
WO2021063528A1 (en) Novel skin care composition
WO2021063529A1 (en) Novel skin care composition
WO2021063527A1 (en) Novel skin care composition
US20210220416A1 (en)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viable probiotic bacteria
KR20220048514A (ko)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220354776A1 (en) Novel skin care composition
EP3386478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crease of survival and stabilization of probiotic bacteria (pb) in detergent based compositions of personal hygiene and domestic products
US20230381094A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Skin Microbiome-Friendly Properties
KR102054911B1 (ko) 아미그달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TW202333647A (zh) 剝離劑及使用其之剝離方法
FR3060996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lysat de bacterie(s) vitreoscilla sp, un polymere et un tensioactif moussant
KR20200028705A (ko) 4-히드록시알킬페논을 포함하는 보존제 조성물
KR20190141926A (ko) 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