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167A -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167A
KR20220048167A KR1020200130989A KR20200130989A KR20220048167A KR 20220048167 A KR20220048167 A KR 20220048167A KR 1020200130989 A KR1020200130989 A KR 1020200130989A KR 20200130989 A KR20200130989 A KR 20200130989A KR 20220048167 A KR20220048167 A KR 2022004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crew
unit
chassis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진
오헌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167A/ko
Publication of KR2022004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de-hipped frame type, i.e. a wide box-shaped mid portion with narrower sections extending from said mid portion in both fore and aft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은: 하부에 스크류부가 장착되는 차체; 및 스크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어세이부가 배치되는 샤시프레임부를 포함하고, 기어어세이부는 회전되면서 스크류부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스크류부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CHASSIS FRAM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와의 탈부착이 용이한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량은 전기를 동력으로 구동하는 차량으로서,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는 자동차를 말한다.
최근들어 다목적 모빌리티(PBV, Purpose Built Vehicle) 특성에 부합되도록 차량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샤시 프레임에서 차체가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9486호(2020.03.10 등록, 발명의 명칭: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와의 탈부착이 용이한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은: 하부에 스크류부가 장착되는 차체; 및 상기 스크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어세이부가 배치되는 샤시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어세이부는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류부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스크류부에 착탈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몸체부; 상기 스크류몸체부의 단부 외측면에 상기 스크류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어세이부의 삽입 또는 분리를 가이드하는 직선홈부; 및 상기 직선홈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몸체부의 외측면에 나선형의 홈으로 형성되는 나선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나선홈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어어세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어어세이부는, 상기 스크류부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1기어부; 상기 샤시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제1기어부와 이격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기어부의 회전을 상기 제1기어부로 전달하는 벨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샤시프레임부에 배치되는 제1기어몸체부; 상기 제1기어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기어결합부; 및 상기 제1기어몸체부와 상기 제1기어결합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기어결합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어결합부는, 상기 제1기어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제1기어결합몸체부;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를 수용하는 제1기어결합수용부;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외측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와 치합되는 제1기어결합치차부; 및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류부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1기어결합돌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어결합돌기부는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내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어결합돌기부는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내측면에 반구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축연결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기어몸체부; 및 상기 제2기어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와 치합되며, 상기 제2기어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기어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샤시프레임부에서 복수개가 상기 스크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에 의하면, 차체와 샤시프레임부의 착탈이 스크류부와 기어어세이부의 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차체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제1기어부가 한 개의 제2기어부의 회전 운동이 벨트부를 통해 회전되어, 복수개의 스크류부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부에 기어어세이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조립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의 제1기어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와 제1기어부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부에 기어어세이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조립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의 제1기어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와 제1기어부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은 하부에 스크류부(100)가 장착되는 차체(10)와, 스크류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어세이부(200)가 배치되는 샤시프레임부(20)를 포함하고, 기어어세이부(200)는 회전되면서 스크류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스크류부(100)에 착탈된다.
샤시프레임부(20)는 차체(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차량 사고 등으로부터 차체(10)를 보호한다. 샤시프레임부(20)는 사이드프레임부(21), 경사프레임부(22), 전방프레임부(23), 후방프레임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샤시프레임부(20)는 금속 또는 탄성 섬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샤시프레임부(20)는 경금속 또는 탄성 섬유 등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 경도와 강도를 향상시키고 연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부(21)는 배터리부(30)가 배치되도록 차체(10)의 폭방향(도 1 기준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차체(10)가 안착된다. 사이드프레임부(21)는 압출 방식으로 제조된 압출재(알루미늄, aluminium 등)를 사용할 수 있다.
경사프레임부(22)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부(21)의 전단(도 1 기준 우측단)에 각각 연결되고, 전방(도 1 기준 우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경사프레임부(12)는 압출 방식으로 제조된 압출재(알루미늄, aluminium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부(23)는 경사프레임부(22)와 연결되고, 차체(10)의 전방측(도 1 기준 우측)에 배치된다. 전방프레임부(23)는 압출 방식으로 제조된 압출재(알루미늄, aluminium 등)를 사용할 수 있다.
후방프레임부(24)는 사이드프레임부(21)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차체(10)의 전방측(도 1 기준 좌측)에 배치된다. 후방프레임부(24)는 압출 방식으로 제조된 압출재(알루미늄, aluminium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부(30)는 샤시프레임부(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력을 저장하고, 차량에 전력을 공급한다.
스크류부(100)는 차체(10)의 양사이드 측에 장착된다. 스크류부(100)는 스크류몸체부(110), 직선홈부(120), 나선홈부(130), 수평홈부(140)를 포함한다. 스크류몸체부(110)는 차체(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스크류몸체부(110)의 단부(도 3 기준 상단부)는 차체(10)의 하측에 용접, 본딩,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게 장착된다.
스크류부(100)는 차체(10)의 하부에 차체(10)의 길이방향(도 2 기준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스크류부(100)의 수에 따라 기어어세이부(200)의 제1기어부(210)의 수가 결정된다.
직선홈부(120)는 스크류몸체부(110)의 단부(도 4 및 도 5 기준 하단부) 외측면에 스크류몸체부(110)의 길이방향(도 5 기준 상하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로 오목한 홈으로 형성된다. 직선홈부(120)는 기어어세이부(200)의 제1기어결합돌기부(218)의 삽입 또는 분리를 가이드한다. 직선홈부(120)는 스크류몸체부(110)에서 대칭되게 한 쌍이 형성된다. 즉 직선홈부(120)는 스크류몸체부(110)에서 180°간격으로 한 쌍이 형성된다.
나선홈부(130)는 직선홈부(120)에 연장 형성되고, 스크류몸체부(110)의 외측면에 나선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나선홈부(130)는 스크류몸체부(110)의 회측면에 나선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직선홈부(120)로 삽입된 기어어세이부(200)의 제1기어결합돌기부(218)가 일방향(도 15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나선홈부(130)를 따라 이동된다. 한편, 직선홈부(120)에 삽입된 기어어세이부(200)의 제1기어결합돌기부(218)는 타방향(도 15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나선홈부(130)를 따라 이동되고, 직선홈부(120)를 통해 외부로 이동된다.
수평홈부(140)는 나선홈부(130)에 연장 형성되고, 스크류몸체부(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수평홈부(140)는 기어어세이부(200)의 제1기어결합돌기부(218)의 이동을 제한한다. 수평홈부(140)에는 막힌 스토퍼부(141)가 구비된다. 나선홈부(130)를 따라 이동된 기어어세이부(200)의 제1기어결합돌기부(218)는 수평홈부(140)에서 이동이 제한되고, 수평홈부(140)의 스토퍼부(141)에서 이동이 멈추게 된다.
직선홈부(120), 나선홈부(130), 수평홈부(140)는 제1기어부(210)의 제1기어결합돌기부(218)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어어세이부(200)는 제1기어부(210), 제2기어부(220), 벨트부(230)를 포함한다. 제1기어부(210)는 스크류부(100)에 삽입 또는 분리된다. 제1기어부(210)는 샤시프레임부(20)의 사이드프레임부(21)에 배치되는 것으로, 스크류부(100)의 수에 따라 수가 결정된다.
제2기어부(220)는 샤시프레임부(20)의 사이드프레임부(21) 상에서 제1기어부(210)와 이격 배치되고,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된다.
벨트부(230)는 제1기어부(210)와 제2기어부(220)를 연결하고, 제2기어부(220)의 회전을 제1기어부(210)로 전달한다. 벨트부(230)는 구동수단인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2기어부(220)의 회전 운동을 제1기어부(210)로 전달한다. 제2기어부(220)와 제1기어부(210)와 면접촉되는 평벨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기어부(220)와 제1기어부(210)에 치합되도록 내측면에 치차가 형성된 벨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기어부(210)는 제1기어몸체부(211), 제1기어결합부(214), 베어링부(219)를 포함한다. 제1기어몸체부(211)는 샤시프레임부(20)의 사이드프레임부(21)에 배치된다. 제1기어몸체부(211)는 샤시프레임부(20)의 사이드프레임부(21)에 장착된다.
제1기어몸체부(211)는 제1기어원통부(212)와 제1기어수용부(213)를 포함한다. 제1기어원통부(21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샤시프레임부(20)의 사이드프레임부(21)에 장착된다. 제1기어수용부(213)는 제1기어원통부(212)의 일단부(도 11 기준 상단부)에 베어링부(219)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제1기어결합수용부(216)와 함께 베어링부(219)를 수용한다.
제1기어결합부(214)는 제1기어몸체부(211)의 일측(도 11 기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기어결합부(214)는 제1기어결합몸체부(215), 제1기어결합수용부(216), 제1기어결합치차부(217), 제1기어결합돌기부(218)를 포함한다.
제1기어결합몸체부(215)는 제1기어몸체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제1기어결합수용부(216)는 제1기어결합몸체부(215)의 일측(도 12 기준 하측)에 형성되고, 베어링부(219)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제1기어부(210)의 제1기어수용부(213)와 함께 베어링부(219)를 수용한다.
제1기어결합치차부(217)는 제1기어결합몸체부(215)의 외측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벨트부(230)의 내측면과 치합된다. 제1기어결합치차부(217)는 벨트부(230)와 치합되어, 제2기어부(2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1기어부(210)가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제1기어결합돌기부(218)는 제1기어결합몸체부(215)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스크류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된다. 제1기어결합돌기부(218)는 제1기어결합몸체부(215)의 내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제1기어결합돌기부(218)는 스크류부(100)의 한 쌍의 직선홈부(120)에 삽입 또는 분리된다.
제1기어결합돌기부(218)는 제1기어결합몸체부(215)의 내측면에 반구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기어결합돌기부(218)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직선홈부(120), 나선홈부(130), 수평홈부(140)와의 마찰이 감소되면서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제2기어부(220)는 제2기어몸체부(221)와 제2기어결합부(225)를 포함한다. 제2기어몸체부(2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모터에 축연결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제2기어몸체부(221)의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 방향이 변경된다.
제2기어결합부(225)는 제2기어몸체부(221)의 단부(도 14 기준 상단부)에 연결되고, 벨트부(230)와 치합되며, 제2기어몸체부(22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제2기어결합부(225)는 제2기어결합몸체부(226)와 제2기어결합치차부(227)를 포함한다. 제2기어결합몸체부(226)는 제2기어몸체부(221)의 단부(도 14 기준 상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기어결합치차부(227)는 제2기어몸체부(221)의 외측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벨트부(230)의 내측면과 치합된다. 제2기어결합치차부(227)는 벨트부(230)와 치합되어, 벨트부(230)를 통해 제1기어부(210)를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베어링부(219)는 제1기어몸체부(211)의 제1기어수용부(213)와 제1기어결합부(214)의 제1기어결합수용부(216) 사이에 장착되고, 제1기어결합부(21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제1기어부(210)는 샤시프레임부(20)의 사이드프레임부(21)에서 복수개가 스크류부(1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기어부(210)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벨트부(230)와 치합되어, 하나의 제2기어부(220)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제1기어부(210)가 회전되어 스크류부(10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8, 도 9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체(10)가 샤시프레임부(20)가 배치된 하측으로 이동된다. 차체(10)에 장착된 스크류부(100)와 샤시프레임부(20)에 배치된 제1기어부(210)가 서로 대응되게 한다.
스크류부(100)가 제1기어부(210)의 제1기어결합부(214)가 삽입된다. 이때 모터의 작동에 의해 제2기어부(220)가 회전되고, 벨트부(230)를 통해 제1기어부(210)도 회전된다.
제1기어부(210)의 제1기어결합부(214)의 제1기어결합돌기부(218)가 스크류부(100)의 직선홈부(120)로 삽입되고, 회전되면서 나선홈부(130)를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에서 제1기어부(210)의 제1기어결합부(2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기어결합돌기부(218)가 나선홈부(130)를 따라 이동된다. 제1기어결합돌기부(218)는 수평홈부(140)의 스토퍼부(141)에서 정지되고, 모터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기어부(210)와 스크류부(100)와 분리는 상술한 순서의 반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에 의하면, 차체(10)와 샤시프레임부(20)의 착탈이 스크류부(100)와 기어어세이부(200)의 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차체(10)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제1기어부(210)가 한 개의 제2기어부(220)의 회전 운동이 벨트부(300)를 통해 회전되어, 복수개의 스크류부(1000)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20: 샤시프레임부
21: 사이드프레임부 22: 경사프레임부
23: 전방프레임부 24: 후방프레임부
30: 배터리부 100: 스크류부
110: 스크류몸체부 120: 직선홈부
130: 나선홈부 140: 수평홈부
141: 스토퍼부 200: 기어어세이부
210: 제1기어부 211: 제1기어몸체부
212: 제1기어원통부 213: 제1기어수용부
214: 제1기어결합부 215: 제1기어결합몸체부
216: 제1기어결합수용부 217: 제1기어결합치차부
218: 제1기어결합돌기부 219: 베어링부
220: 제2기어부 221: 제2기어몸체부
225: 제2기어결합부 226: 제2기어결합몸체부
227: 제2기어결합치차부

Claims (10)

  1. 하부에 스크류부가 장착되는 차체; 및
    상기 스크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어세이부가 배치되는 샤시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어세이부는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류부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스크류부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몸체부;
    상기 스크류몸체부의 단부 외측면에 상기 스크류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어세이부의 삽입 또는 분리를 가이드하는 직선홈부; 및
    상기 직선홈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몸체부의 외측면에 나선형의 홈으로 형성되는 나선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나선홈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어어세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평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어세이부는,
    상기 스크류부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1기어부;
    상기 샤시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제1기어부와 이격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기어부의 회전을 상기 제1기어부로 전달하는 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샤시프레임부에 배치되는 제1기어몸체부;
    상기 제1기어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기어결합부; 및
    상기 제1기어몸체부와 상기 제1기어결합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기어결합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결합부는,
    상기 제1기어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제1기어결합몸체부;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를 수용하는 제1기어결합수용부;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외측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와 치합되는 제1기어결합치차부; 및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류부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제1기어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결합돌기부는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내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결합돌기부는 상기 제1기어결합몸체부의 내측면에 반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축연결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기어몸체부; 및
    상기 제2기어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와 치합되며, 상기 제2기어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기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샤시프레임부에서 복수개가 상기 스크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KR1020200130989A 2020-10-12 2020-10-12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KR20220048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89A KR20220048167A (ko) 2020-10-12 2020-10-12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89A KR20220048167A (ko) 2020-10-12 2020-10-12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67A true KR20220048167A (ko) 2022-04-19

Family

ID=8139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89A KR20220048167A (ko) 2020-10-12 2020-10-12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1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2529A (zh) * 2022-09-07 2022-11-18 南京英德利汽车有限公司 一种应用于复杂地形的车辆底盘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2529A (zh) * 2022-09-07 2022-11-18 南京英德利汽车有限公司 一种应用于复杂地形的车辆底盘结构
CN115352529B (zh) * 2022-09-07 2023-11-10 南京英德利汽车有限公司 一种应用于复杂地形的车辆底盘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0235B (zh) 钢丝滚筒式窗玻璃开闭调节器
US8202235B2 (en) Single-motor massager
JP5126347B2 (ja) 回転工具
US20130050797A1 (en) Vehicle light control glass device
KR20220048167A (ko) 전기차량의 샤시 프레임
JP7307128B2 (ja) 自転車用ドライブユニットおよび自転車
US8042322B1 (en) Single shaft driven multiple output vehicle
WO2015119201A1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CN215056470U (zh) 一种方便组装的汽车尾门撑杆
JP4716690B2 (ja) 乗り物などのウインドスクリーン傾動装置
US6923277B2 (en) Solar-powered transmission device
KR101050313B1 (ko) 동력전달 및 조립성이 우수한 무체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CN116848016A (zh) 车辆用座椅移动装置
CN105691538A (zh) 电动自行车中置电机
CN214699024U (zh) 机器人用传动机构、驱动组件及驱动装置
JP6258649B2 (ja) 乗物用シート
JP4213956B2 (ja)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CN215752862U (zh) 一种两轮车传动装置及两轮车
CN211405751U (zh) 一种运行稳定的线性致动器
CN111433117B (zh) 自行车或机车的电动辅助驱动机构
CN112576710A (zh) 机器人用传动机构、驱动组件及驱动装置
CN213735395U (zh) 一种具有高承载力的曲柄
CN215257639U (zh) 带有离合的水平齿轮箱
CN109366462A (zh) 一种含集成铰链的五自由度混联机器人
CN113619722A (zh) 一种两轮车传动装置及两轮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