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008A -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008A
KR20220048008A KR1020227008521A KR20227008521A KR20220048008A KR 20220048008 A KR20220048008 A KR 20220048008A KR 1020227008521 A KR1020227008521 A KR 1020227008521A KR 20227008521 A KR20227008521 A KR 20227008521A KR 20220048008 A KR20220048008 A KR 20220048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erminal device
sidelink
time domain
off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판 양
싱웨이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04W72/0406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기기를 제공하며, 차량 인터넷, V2X 또는 V2V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됨 -; 및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로 전송된 후, 제2 채널의 위치가 결정되어, 제1 채널상에 스케줄링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는 제2 채널상에서 수신되는 것으로 지정되고, HARQ 정보는 제1 채널에 대해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것으로 지정되어,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Description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본 출원은 2019년 8월 16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되고 "SIDELINK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출원 제201910760454.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과 사물 간(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은 차량 인터넷에서 환경 인식 및 정보 교환을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핵심 기술이다.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 기기 간의 통신 링크는 사이드링크(sidelink, SL)로 지칭될 수 있다. 차량과 다른 엔티티(entity) 간의 통신, 즉, 차량과 사물 간(V2X) 통신은 사이드링크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V2X 통신에서의 물리 자원 할당은 두 가지 할당 모드를 포함한다. 첫 번째 할당 모드는 네트워크 기기(예: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스케줄링에 기초하며, V2X 통신에서의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기기의 스케줄링 정보를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된 시간-주파수 자원상에서 V2X 통신을 위한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2 통신 모드에서, V2X 통신에서의 사용자 장비는 미리 구성된 V2X 통신 자원 풀에 포함된 가용 시간-주파수 자원 중에서 V2X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선택한다.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기기(약칭하여 수신 기기라고 함)가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면, 수신 기기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정보를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기기(약칭하여 전송 기기라고 함)에 전송한다. HARQ는 부정 확인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NACK)을 포함할 수 있다. NACK를 수신한 후, 전송 기기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합니다. 그러나 전송 기기가 첫 번째 자원 할당 모드에서 작동하면, 재송신 자원도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되어야 하며, 전송 기기는 사이드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side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SL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피드백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기기가 전송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SL HARQ 정보를 수신할 것으로 기대하는 시간 및 전송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SL HARQ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시간이 지정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스케줄링 시간이 단말 기기의 처리 요건을 충족하는지도 고려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사이드링크상에서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어렵고,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통신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본 출원은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사이드링크 HARQ 정보를 수신 기기에 보고하는 프로세스에서의 타이밍(timing)이 설계되어, 사이드링크상의 단말 기기가 적시에 HARQ 정보를 보고한다. 한편, 단말 기기는 HARQ 정보를 준비, 처리 및 보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반면에, 수신 기기는 HARQ 정보를 적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 기기는 HARQ 정보의 수신 시간을 학습할 수 있고, HARQ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스케줄링 및 특정 HARQ 프로세스를 더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되며,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제3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제3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사용되는 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사이드링크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임 -; 및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제1 측면에서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한 후,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는 제2 채널의 위치를 결정하므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는 제1 채널상에 스케줄링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가 제2 채널에서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는 HARQ 정보를 적시에 수신하고, HARQ 정보는 제1 채널상에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것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되며,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및 제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1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다. 이 구현에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는 제1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 및 제1 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효율이 향상되고,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의 정확도가 보장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전송되는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다.
이 구현에서, 제1 HARQ 타이밍은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고,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준비, 처리 및 보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일 수 있거나,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공유 채널일 수 있거나,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어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제어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에서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간격일 수 있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001
이 하기 공식:
Figure pct00002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03
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004
은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005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006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010
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이 구현에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는 전술한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되므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 결정의 효율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구현이 용이하고, 복잡도가 낮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3 채널 및 제2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HARQ 정보를 실어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이 구현에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는 제3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 및 제2 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 결정의 효율이 향상되고,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의 정확도가 보장되고, DCI에서의 PUCCH 자원 지시의 비트 수가 감소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상기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며,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이 구현에서, 제2 HARQ 타이밍은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고,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준비, 처리 및 보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이 보장될 수 있어, 사이드링크 상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이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011
이 하기 공식:
Figure pct00012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13
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014
은 상기 제3 채널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015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016
는 제2 시간 단위이며;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020
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이 구현에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는 전술한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되므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효율과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구현이 용이하며, 복잡도가 낮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 구현에서,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1 채널과, 제2 채널과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다중화되는 경우, 제1 단말 기기가 채널 다중화 처리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을 보장할 수 있어, 제2 채널과 제4 채널 다중화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HARQ 정보의 정상적인 송신을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4 채널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PUSCH일 수 있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제어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PUCCH일 수 있다. 상기 PUCCH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네상기 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ACK 또는 NACK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4 채널은 상기 제3 단말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PSSCH일 수 있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1 오프셋 값
Figure pct00021
는 하기 공식:
Figure pct00022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이다. 이 구현에서,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전술한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되므로,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효율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x는 변수 또는 상수일 수 있다. x와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에 대응관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이 비교적 큰 경우, x의 값은 비교적 크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3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는 경우, 제3 채널과, 제2 채널과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다중화되는 경우, 제1 단말 기기가 채널 다중화 처리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을 보장할 수 있어, 제2 채널과 제5 채널의 다중화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고, HARQ 정보의 정상적인 송신을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채널과 상기 제4 채널은 동일한 채널일 수 있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다는 것은,
상기 제4 오프셋 값
Figure pct00023
이 다음 공식:
Figure pct00024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y는 양의 정수이다. 이 구현에서,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전술한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되므로,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효율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y는 변수 또는 상수일 수 있다. y와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에 대응관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이 비교적 큰 경우, y 값은 비교적 크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하기 관계식:
Figure pct00025
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2 채널상에서 상기 HARQ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26
는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027
는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과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028
은 시간 영역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고;
Figure pct00029
은 시간 영역에서 상기 제3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다. 이 구현에서,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준비, 처리 및 보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을 보장할 수 있어, 사이드링크상에서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제1 단말 기기에 사용되는 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예가 사용된다.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제1 단말 기기가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사이드링크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임 -;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HARQ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에 따르면, 제1 단말 기기는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채널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제1 채널상에 스케줄링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제2 채널상에서 송신하기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단말 기기는 HARQ 정보를 적시에 전송하고, HARQ 정보는 제1 채널상에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를 위한 것임을 지정한다. 따라서,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되며,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채널 및 제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1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030
를 하기 공식:
Figure pct00031
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32
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033
은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034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035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039
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3 채널 및 제2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고,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며,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040
이 하기 공식:
Figure pct00041
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42
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043
은 상기 제3 채널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044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045
는 제2 시간 단위이며;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049
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3 오프셋 값
Figure pct00050
가 하기 공식:
Figure pct00051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이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3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4 오프셋 값
Figure pct00052
이 하기 공식:
Figure pct00053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y는 양의 정수이다.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하기 관계식:
Figure pct00054
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채널상에서 상기 HARQ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55
는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056
는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과 상기 제3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057
은 시간 영역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고;
Figure pct00058
은 시간 영역에서 상기이제3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다.
제3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통신 장치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7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9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제3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제5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제7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제3 단말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3 단말 기기는 제3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3 단말 기기는 제5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3 단말 기기는 제7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제11 측면에 따르면, 제1 단말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4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6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8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제12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3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4 측면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제1 단말 기기 및 전술한 제3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HARQ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에서 타이밍(timing)이 설계되어, 사이드링크상의 단말 기기가 SL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다른 단말 기기에 적시에 보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단말 기기는 사이드링크 HARQ 정보를 준비, 처리 및 보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한편,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다른 단말 기기는 사이드링크 HARQ 정보를 적시에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되며,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의 다른 예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상호작용도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상호작용도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상호작용도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부터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채널상에서 HARQ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까지의 타이밍도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의 개략적인 상호작용도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채널과 제4 채널이 동일한 채널인 경우에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 및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의 개략도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V2X 또는 기기 간(device-to-device, D2D)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이중화(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세계적인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및 미래 5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 또는 새로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V2X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 액세스 단말기,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기,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차량, 차량 장착형 기기 등일 수 있거나; 단말 기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기 세트,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헬드형 기기, 컴퓨팅 기기,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장착형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 기기, 미래의 진화된 공공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에서 노드B(NodeB, NB)일 수 있거나, LTE 시스템에서 진화된 노드B(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거나,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서빙 송신 수신 포인트(serving transmission reception point, Serving TRP),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장착형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기기, 미래의 진화된 PLMN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하드웨어 계층, 하드웨어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 계층, 및 운영 체제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계층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치, MMU) 및 메모리(메인 메모리라고도 함)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어, 프로세스(process)를 사용하여 서비스 처리를 구현하는 Linux 운영 체제, Unix 운영 체제, Android 운영 체제, iOS 운영 체제 또는 Windows 운영 체제와 같은, 컴퓨터 운영 체제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플리케이션 계층은 브라우저, 주소록, 워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및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실행 주체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코드를 기록하는 프로그램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실행될 수 있다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있고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 측면 또는 특징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는 제품, 방법 또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품"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구성요소, 캐리어 또는 매체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 구성요소(예: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 디스크(예: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또는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스마트 카드 또는 플래시 메모리 구성요소(예: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기기 및/또는 다른 기계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기계로 판독 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무선 채널, 및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수용 및/또는 실어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타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5G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상에서 단말 기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달하고(deliver), 단말 기기는 대응하는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피드백해야 한다. HARQ 정보에 대한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부정 확인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NACK) 정보의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NACK가 피드백된 경우에만 재송신을 수행하면 된다. 네트워크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예: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를 전송하도록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또한 제 시간에 업링크 데이터를 준비하고 전송해야 한다. HARQ 정보 및 업링크 데이터와 같은 모든 정보를 정확하고 질서 있게 스케줄링하고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피드백 및 보고를 수행하는 경우에 결정을 위해 서로 다른 타이밍(timing)을 설정한다. 그러나 처리를 위해 단말 기기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시간이 더 고려되므로, 타이밍(대안적으로 시간 오프셋으로 지칭될 수 있음)은 지나치게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없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 기기는 제 시간에 처리를 수행할 수 없고 보고를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타이밍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스케줄링의 시퀀스 및 특정 스케줄링의 속도를 반영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을 더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네트워크 기기가 PDSCH를 전송하는 시각부터 단말 기기가 PDSCH에 대응하는 HARQ 정보를 전송하는 시각까지의 최단 시간이 규정되고, 네트워크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PUSCH를 전송하도록 단말기를 스케줄링하는 경우,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 Control Information DCI)를 실어 전달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과 PUSCH 사이의 타이밍이 실려 전달되는 것이 더 규정된다.
V2X 통신은 차량 인터넷에서 환경 인식 및 정보 교환을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핵심 기술이다. 여기서 다른 기기는 다른 차량, 다른 인프라, 보행자,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V2X 통신은 기기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의 특수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 기기 간의 통신 링크는 SL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간의 통신 링크는 SL일 수 있다. V2X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은 V2X 통신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 PSSCH)은 V2X 통신에서 데이터 송신에 사용된다.
현재, V2X 통신에서 물리 자원 할당은 두 가지 할당 모드를 포함하고, V2X 통신은 두 가지 통신 모드를 포함한다. 첫 번째 자원 할당 모드는 네트워크 기기(예: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스케줄링에 기초하고, V2X 통신에서 사용자 장비(예: 차량 또는 차량 장착형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링된 시간-주파수 자원 상에서 V2X 통신을 위해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를 전송한다. 두 번째 제2 자원 할당 모드에서, V2X 통신에서의 사용자 장비는 미리 구성된 V2X 통신 자원 풀(대안적으로 V2X 자원 세트로 지칭될 수 있음)에서 V2X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선택한다. 첫 번째 자원 할당 모드에서, 모든 사이드링크 자원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된다. 또한, 사이드링크 데이터(예: PSSCH)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단말 기기 간의 통신에 유사한 HARQ 피드백 메커니즘이 추가로 사용된다. 사이드링크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기기(간단히 수신 기기라고 함)가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거나 데이터에 대해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가 실패한 경우, 수신 기기는 NACK 정보를 피드백한다. 수신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NACK를 수신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기기(간단히 전송 기기라고 함)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PSSCH를 재송신한다. 그러나, 전송 기기가 제1 통신 모드에서 작동하면, 전송 기기의 PSSCH 재송신 자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추가로 스케줄링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전송 기기에 PSSCH 재전송 자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전송 기기가 사이드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side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SL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피드백하고, SL HARQ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장치는 전송 기기가 재송신 자원을 학습해야 하는지를 학습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네트워크 기기가 전송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SL HARQ 정보를 수신할 것으로 기대하는 시간과 전송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SL HARQ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시간이 지정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 기기가 SL HARQ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네트워크 기기는 SL HARQ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스케줄링 및 특정 HARQ 프로세스를 학습할 수 없고, 전송 기기에 대해 스케줄링되어야 하는 재송신 자원의 수량을 확실히 결정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현재 사이드링크상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어렵고, 사이드링크상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통신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출원은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SL HARQ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에 타이밍(timing)이 설계되어 있어, 사이드링크 상의 단말 기기가 SL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적시에 보고한다. 한편, 단말 기기는 SL HARQ 정보를 준비, 처리 및 보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한편, 네트워크 기기는 SL HARQ 정보를 적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SL HARQ 정보의 수신 시간을 학습할 수 있고, SL HARQ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스케줄링 및 특정 HARQ 프로세스를 더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링크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이드링크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되며,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먼저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4개의 통신 기기,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 기기(121∼123)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110)와 단말 기기(121∼123)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무선 연결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기기(121∼123)의 경우, 두 개의 단말 기기(121∼123)마다 형성되는 링크는 SL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121)가 단말 기기(122)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 기기(122)에 의해 피드백된 HARQ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121)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10)에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기기(122)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단말 기기(123)에 전송하고 단말 기기(123)에 의해 피드백된 HARQ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122)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 기기(121)에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 기기(121)는 HARQ 정보를 수신한 후,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110)로 피드백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통신 시스템(120)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20)은 3개의 통신 기기, 예를 들어 단말 기기(121∼123)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는 D2D 또는 V2X 통신 모드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기기(121∼123)의 경우, 단말 기기(121∼123) 중 2개마다 형성되는 링크는 SL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122)가 단말 기기(123)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 기기(123)에 의해 피드백된 HARQ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122)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 기기(121)에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이 더 많은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는 전술한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는 도면에서 일일이 도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실시예에서의 방법이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예가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상기한 방법은 단말 기기에서 사용되는 칩 및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칩에 의해 대안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V2X 통신에서 차량, 차량 장작형 기기, 이동 전화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방법(200)은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방법(200)에서의 단계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S210: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가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하며, 여기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제2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며, 사이드링크는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이다.
S220: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 및 제1 단말 기기는 제2 채널을 결정하고, 여기서 제2 채널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거나; 제2 채널은 제1 단말 기기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된다.
S210에서,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해야하는 경우, 제1 단말 기기는 먼저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결정한다. 제1 단말 기기는 자원 요청을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하여 시간-주파수 자원을 요청하거나, 자원 풀에서 시간-주파수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자원 요청을 수신한 후, 네트워크 기기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제1 단말 기기에 할당하고,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자원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는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이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 자원 및/또는 주파수 자원 및/또는 마스크,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변조 방식,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 레이트,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제2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먼저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3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고, 제3 단말 기기는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단말 기기는 제3 단말 기기로부터 시간-주파수 자원을 요청할 수 있고, 제3 단말 기기는 자원 요청을 네트워크 기기에 포워딩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자원을 결정한 후, 네트워크 기기는 먼저 제3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고, 제3 단말 기기는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제1 단말 기기는 제3 단말 기기로부터 시간-주파수 자원을 요청할 수 있고, 시간-주파수 자원을 결정한 후, 제3 단말 기기는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1 채널은 PDCCH일 수 있거나 PDSCH일 수 있고,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DCI일 수 있다. 제3 단말 기기가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1 채널은 PSCCH일 수 있거나 PSSCH일 수 있고,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일 수 있다.
S220에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한 후, 제1 단말 기기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제2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단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수신한다. HARQ 정보는 제2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 또는 제2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잘못 수신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단말 기기는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피드백하여, HARQ 정보가 NACK를 포함하는 경우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하거나, HARQ 정보가 ACK를 포함된 경우에 새로운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제1 단말 기기는 제2 채널을 결정할 필요가 있고, 제2 채널은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HARQ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도 제2 채널을 결정할 필요가 있고, 제2 채널은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단말 기기로부터 HARQ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제2 채널을 결정하는 것은 제2 채널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단말 기기가 제2 채널상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HARQ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2 채널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일 수 있다. 제1 단말 기기가 제2 채널상에서 제3 단말 기기에 HARQ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2 채널은 제1 단말 기기와 제3 단말 기기 사이의 PSCCH이거나, 제1 단말 기기와 제3 단말 기기 사이의 PSSCH일 수 있거나, 제1 단말 기기와 제3 단말 기기 사이의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 PSFCH)일 수 있다. 제2 채널의 시간-주파수 위치가 결정된 후,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는 HARQ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채널상에서 HARQ 정보를 수신한 후, 제3 단말 기기는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포워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에 따르면,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후,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는 제2 채널의 위치를 결정하므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는 제1 채널상에 스케줄링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가 제2 채널상에서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는 HARQ 정보를 적시에 수신하고, HARQ 정보는 제1 채널상에서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것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되며,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4가 예로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의 단계를 기초로 하며, 방법(200)은 S230, S240, S250 및 S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230: 제1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PSSCH상에서 제2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PSSCH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으로 이해될 수 있다.
S240: 제2 단말 기기가 PSSCH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올바르게 파싱하는지에 따라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생성한다. HARQ 정보는 제2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했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 또는 제2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잘못 수신했음을 지시하는 NACK 정보를 포함한다.
S250: 제2 단말 기기가 제3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HARQ 정보를 전송하며, 여기서 제3 채널은 제2 단말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HARQ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로 이해될 수 있다.
S260: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수신하고, HARQ 정보를 제2 채널상에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전송한다. 이에 상응하여,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HARQ 정보를 제2 채널상에서 수신한다
도 4에 도시된 S210 및 S220에 대한 설명에 대해서는 S210 및 S220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230에서, 제1 단말 기기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된 시간-주파수 자원과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PSSCH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240에서, 제2 단말 기기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파싱한다.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CRC 검사 성공) ACK 정보가 생성된다.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잘못 수신되거나 파싱되면, NACK 정보가 생성된다. NACK 정보는 제1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로 재송신할 필요가 있음을 지시하는 데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S250에서, 제2 단말 기기는 제3 채널상에서 HARQ 정보를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3 채널은 제2 단말 기기와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PSFCH일 수 있거나, 또는 제3 채널은 데이터를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공유 채널일 수 있거나, 또는 제3 채널은 제어 시그널링을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제어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일 수 있다. HARQ 정보는 NACK 정보 또는 ACK 정보를 포함한다. S260에서, 제1 단말 기기는 HARQ 정보를 수신하고, HARQ 정보를 제2 채널상에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전송한다. HARQ 정보가 NACK 정보를 포함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재송신 자원을 추가로 재할당할 필요가 있다. 재송신 자원은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의해 S210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사용하여 제1 채널 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전송될 수 있으므로, 제1 단말 기기는 재송신 자원을 획득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재송신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5가 예로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에서의 단계를 기초로 하여,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 및 제1 단말 기기가 방법(200)에서 제2 채널을 결정하는 S220은 S221을 포함한다.
S221: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 및 제1 단말 기기는 제1 채널 및 제1 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1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제2 채널과 제1 채널 사이이의 오프셋 값이다.
도 5에 도시된 S210의 설명에 대해서는 S210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221에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와 제1 단말 기기는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제1 HARQ 타이밍 및 제1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HARQ 타이밍의 값은 시간 영역에서 제2 채널과 제1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다.
제1 HARQ 타이밍 값의 단위는 슬롯, 심볼, 서브프레임 등일 수 있거나, 절대 시간 단위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HARQ 타이밍의 값은 D 마이크로초(μs) 또는 R 밀리초(ms)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D 및 R은 모두 양수이다.
선택적으로, 제1 HARQ 타이밍은 제1 채널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와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는 심볼, 서브프레임, 슬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는 제1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 및 제1 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효율이 향상되고,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의 정확도가 보장된다.
제1 HARQ 타이밍에 관한 정보는 프로토콜에 미리 정의되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단말 기기에 직접 전송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HARQ 타이밍에 관한 정보는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제1 HARQ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제3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고, 제3 단말 기기는 제1 HARQ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제1 단말 기기에 포워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단계가 S221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경우에서, 제1 HARQ 타이밍은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다.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제3 채널은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HARQ 정보를 실어 제1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과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의 더 작은 값;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다.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프로시저는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대해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 채널 추정;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인코딩, 변조, 스크램블링, 자원 매핑 및 전송; 제3 채널상에서 HARQ 정보에 대해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수신, 복조 및 디코딩; HARQ 정보의 인코딩 및 변조, 및 제2 채널상에서의 HARQ 정보의 매핑; 등을 포함한다.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는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이 높을수록 제1 단말 기기가 전술한 처리 프로시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예: 심볼의 수량)이 더 짧다는 것을 지시하거나;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이 낮을수록 제1 단말 기기가 전술한 처리 프로시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예: 심볼의 수량)이 더 길다는 것을 지시한다.
제1 서브캐리어 간격 K는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대안적으로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PSSCH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에서 가장 큰 서브캐리어 간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대안적으로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PSSCH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에서 가장 작은 서브캐리어 간격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059
을 가장 크게 만드는 서브캐리어 간격일 수 있다. PSSCH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크기 또는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점유하는 자원의 크기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3 채널은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단말 기기로 전송되는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제1 HARQ 타이밍은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060
이상이고,
Figure pct00061
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준비, 처리 및 보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062
이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그리고 PSSCH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063
은 다음 공식 (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64
(1)
공식 (1)에서,
Figure pct00065
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다. 구체적으로,
Figure pct00066
의 값은 서브캐리어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서브캐리어 간격이 클수록 심볼의 수량이 많아진다. 단말기의 처리 능력이 강할수록 필요한 심볼의 수량이 적고
Figure pct00067
의 값이 더 작다는 것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능력 2는 더 높은 단말 처리 능력에 대응하고, 단말 기기 능력 1은 더 낮은 단말 기기 처리 능력에 대응한다. 이 경우, 단말기 능력 1은 더 큰
Figure pct00068
값에 대응하고, 단말 기기 능력 2는 더 작은
Figure pct00069
값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표 1은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및 단말기 능력 유형에 대응하는 심볼 수량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70
표 1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출원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Figure pct00071
은 PSSCH, 제3 채널, 및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72
은 시간 영역 심볼의 수량, 자원 매핑 관계,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 그리고 PSSCH 및/또는 제3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의 수량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다. PSSCH 및/또는 제3 채널의 심볼의 수량이 비교적 많을 때,
Figure pct00073
의 값은 비교적 작다. PSSCH 및/또는 제3 채널의 심볼의 수량이 비교적 적을 때,
Figure pct00074
의 값은 비교적 크다. 다른 예를 들어, PSSCH 및/또는 제3 채널의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의 심볼의 양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의 값은 상대적으로 크다. 다른 예를 들어, PSSCH의 DMRS 및/또는 제3 채널의 SDMRS가 PSSCH 및/또는 제3 채널이 위치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처음 세 개의 심볼에 위치하는 경우, 예를 들어, PSSCH의 DMRS 및/또는 제3 채널의 DMRS가 첫 번째 심볼에 위치하는 경우,
Figure pct00075
의 값은 DMRS가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Figure pct00076
의 값보다 작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이 강할수록 필요한 심볼의 수량이 더 적고
Figure pct00077
의 값이 더 작다는 것을 지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기기 능력 2는 상위(higher) 단말 처리 능력에 대응하고, 단말 기기 능력 1은 하위(lower) 단말 처리 능력에 대응한다. 이 경우, 단말기 능력 1은
Figure pct00078
의 더 큰 값에 해당하고, 단말기 능력 2는
Figure pct00079
의 더 작은 값에 대응한다.
Figure pct00080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081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082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085
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Figure pct00086
,
Figure pct00087
,
Figure pct00088
이며,
Figure pct00089
는 LTE 시스템에서 기본 시간 단위로 이해될 수 있다.
Figure pct00090
,
Figure pct00091
, 및
Figure pct00092
이며, 여기서
Figure pct00093
는 NR 시스템의 기본 시간 단위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공식 (1)은 단지 예일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Figure pct00094
,
Figure pct00095
, 및
Figure pct00096
은 대안적으로 다른 함수 관계, 예를 들어 지수 함수 관계 또는 대수 함수 관계를 충족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심볼은 또한 시간 영역 심볼로 지칭될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 또는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심볼일 수 있다. SC-FDMA는 또한 변환 프리코딩을 사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th transform precoding, OFDM with TP)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는 전술한 공식 (1)을 사용하여 결정되므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효율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구현이 용이하며, 복잡도가 낮다.
도 6이 예로 사용된다. 도 6은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부터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채널상에서 HARQ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까지의 타이밍도이다. 도 6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 그랜트(sidelink grant, SL Grant)를 사용하여 나타내며, SL 그랜트는 제1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추가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PSSCH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제2 채널은 PUCCH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Figure pct00097
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도 6에서,
Figure pct00098
은 시간 영역에서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99
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준비하기 위해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Figure pct00100
는 제1 채널과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다.
Figure pct00101
는 제1 채널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와 PSSCH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Figure pct00102
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시간 영역에서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다.
Figure pct00103
는 PSSCH와 제3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다. 대안적으로,
Figure pct00104
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처리하고 HARQ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이다.
Figure pct00105
는 PSSCH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와 제3 채널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은, PSSCH에 대한 채널 추정, CRC 검사, 데이터 디코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HARQ 코드북의 생성, HARQ 정보의 인코딩, 변조, 스크램블링 및 매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106
는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제3 채널에 의해 시간 영역에서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다.
Figure pct00107
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HARQ 정보를 준비하는 데 사용되는 시간이다.
Figure pct00108
은 제1 단말 기기가 제3 채널로부터 수신한 HARQ 정보를 복조 및 디코딩하는 데 사용하는 시간, 및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인코딩 및 변조하고, 제2 채널에 매핑하는 데 사용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109
은 추가로, 제3 채널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와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오프셋 값
Figure pct00110
은 네트워크 기기가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 전송을 완료한 시간부터 네트워크 기기가 HARQ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까지의 시간 길이일 수 있거나, 제1 오프셋 값
Figure pct00111
은 제1 채널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와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Figure pct00112
심볼보다 이전 이어서는 안되고, 심볼
Figure pct00113
은 제1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14
이후의 다음 심볼이다. 예를 들어, 제1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15
이후의 시점이 심볼의 끝 시점(n번째 심볼이라고 가정함)이면, 즉 심볼의 경계이면, 제1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16
이후의 다음 심볼은 (n+1)번째 심볼, 즉 심볼
Figure pct00117
는 (n+1)번째 심볼이다. 즉,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n+1)번째 심볼이거나 (n+1)번째 심볼보다 뒤의 심볼이다. 예를 들어,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n+2)번째 심볼 또는 (n+3)번째 심볼이다. 제1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18
이후의 시점이 심볼의 중간 위치(m번째 심볼이라고 가정함)이면, 구체적으로, 심볼의 경계가 아니며, 여기서 중간 위치는 m번째 심볼의 시작 시점(시작 시점 포함)에서 m번째 심볼의 종료 시점(시작 시점 제외)까지의 범위에 속하는 시점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1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19
이후의 다음 심볼은 (m+1)번째 심볼이고, 심볼
Figure pct00120
는 (m+1)번째 심볼이다. 즉,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m+1)번째 심볼 또는 (m+1)번째 심볼보다 뒤의 심볼이다. 예를 들어,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m+2)번째 심볼 또는 (m+3)번째 심볼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HARQ 타이밍의 단위가 슬롯이면, 제1 HARQ 타이밍의 값은 n개의 슬롯일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7이 예로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의 단계를 기초로 하여,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 및 제1 단말 기기가 방법(200)에서 제2 채널을 결정하는 S220은 S222를 포함한다.
S222: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 및 제1 단말 기기는 제3 채널 및 제2 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2 채널을 결정하며, 여기서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제3 채널은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HARQ 정보를 실어 제1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제2 HARQ 타이밍의 값의 단위는 슬롯, 심볼, 서브프레임 등이 될 수 있거나 절대 시간 단위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HARQ 타이밍 값의 단위는 마이크로초(μs) 또는 밀리초(ms)로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HARQ 타이밍은 제3 채널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이 위치하는 시간 단위와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하는 시간 단위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일 수 있다. 심볼이 위치하는 시간 단위는 심볼, 서브프레임, 슬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는 제3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 및 제2 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결정되므로,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를 결정하는 효율이 향상되고, 제2 채널의 시간 영역 위치의 정확도가 보장된다.
제2 HARQ 타이밍은 프로토콜에 미리 정의되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HARQ 타이밍은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제2 HARQ 타이밍을 제3 단말 기기에 전송할 수 있고, 제3 단말 기기는 제2 HARQ 타이밍을 제1 단말 기기에 포워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단계가 S222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경우에, 제2 HARQ 타이밍은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다.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PSSCH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그리고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PSSCH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며,
여기서 PSSCH는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제2 단말 기기에 전송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제3 채널 및 PSSCH에 대한 설명은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제3 채널 및 PSSCH에 대한 전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PSSCH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대안적으로,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PSSCH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이다. 대안적으로,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PSSCH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큰 값이다. 대안적으로,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121
을 가장 크게 만드는 서브캐리어 간격일 수 있다.
제2 HARQ 타이밍은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122
이상이고,
Figure pct00123
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준비, 처리 및 보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이 보장될 수 있어,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도 6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Figure pct00124
은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준비하는 데 사용하는 시간 길이일 수 있다.
Figure pct00125
은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복조 및 디코딩하는 데 사용하는 시간,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인코딩 및 변조하고, HARQ 정보를 제2 채널상에 매핑하고, 제2 채널상에서 HARQ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126
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다음 공식 (2)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pct00127
(2)
Figure pct00128
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다. 구체적으로,
Figure pct00129
은 서브캐리어 간격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서브캐리어가 클수록 더 많은 심볼 수에 대응한다. 단말의 처리 능력이 강할수록 필요한 심볼의 수량이 더 적고
Figure pct00130
의 값이 더 작다. 예를 들어, 단말기 능력 2는 상위 단말 처리 능력에 대응하고, 단말기 능력 1은 하위 단말기 처리 능력에 대응한다. 이 경우, 단말기 능력 1은 더 큰 값의
Figure pct00131
에 대응하고, 단말기 능력 2는 더 작은 값의
Figure pct00132
에 대응한다.
Figure pct00133
은 제3 채널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134
은 시간 영역 심볼의 수량, 자원 매핑 관계, 복조 참조 신호의 위치, 및 제3 채널의 복조 참조 신호의 수량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일 수 있다. 제3 채널의 심볼의 수량이 비교적 많은 경우,
Figure pct00135
의 값은 비교적 작다. 제3 채널의 심볼 수량이 비교적 작은 경우,
Figure pct00136
은 비교적 크다. 다른 예를 들어, 제3 채널의 DMRS의 심볼 수량이 비교적 많은 경우,
Figure pct00137
의 값은 비교적 크다. 다른 예를 들어, 제3 채널의 DMRS가 제3 채널이 위치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처음 세 개의 심볼에 위치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3 채널의 DMRS가 첫 번째 심볼에 위치하는 경우,
Figure pct00138
의 값은 DMRS가 다른 심볼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Figure pct00139
값보다 작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이 강할수록 필요한 심볼의 수량은 더 적고
Figure pct00140
의 값이 더 작다는 것을 지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기기 능력 2는 상위 단말 처리 능력에 대응하고, 단말 기기 능력 1은 하위 단말 처리 능력에 대응한다. 이 경우, 단말기 능력 1은 더 큰
Figure pct00141
값에 대응하고, 단말기 능력 2는 더 작은
Figure pct00142
값에 대응한다.
Figure pct00143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144
는 제2 시간 단위이며;
Figure pct00145
Figure pct00146
Figure pct00147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148
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Figure pct00149
,
Figure pct00150
, 및
Figure pct00151
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Figure pct00152
,
Figure pct00153
, 및
Figure pct00154
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공식 (2)는 단지 예일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Figure pct00155
,
Figure pct00156
, 및
Figure pct00157
는 대안적으로 다른 함수 관계, 예를 들어 지수 함수 관계 또는 대수 함수 관계를 충족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Figure pct00158
심볼보다 이전 이어서는 안되고, 심볼
Figure pct00159
은 제3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60
이후의 다음 심볼이다. 예를 들어, 제3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61
이후의 시점이 심볼의 끝 시점(z번째 심볼이라고 가정함)이면, 즉 심볼의 경계이면, 제3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62
이후의 다음 심볼은 (z+1)번째 심볼, 즉 심볼
Figure pct00163
은 (z+1)번째 심볼이다. 즉,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z+1)번째 심볼이거나 (z+1)번째 심볼보다 뒤의 심볼이다. 예를 들어,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z+2)번째 심볼 또는 (z+3)번째 심볼이다. 제3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64
이후의 시점이 심볼의 중간 위치(L번째 심볼이라고 가정함)이면, 구체적으로, 심볼의 경계가 아니며, 여기서 중간 위치는 L번째 심볼의 시작 시점(시작 시점 포함)에서 L번째 심볼의 종료 시점(시작 시점 제외)까지의 범위에 속하는 시점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3 채널의 끝 심볼로부터 시작하는 시간
Figure pct00165
이후의 다음 심볼은 (L+1)번째 심볼이고, 심볼
Figure pct00166
가 (L+1)번째 심볼이다. 즉,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L+1)번째 심볼 또는 (L+1)번째 심볼보다 뒤의 심볼이다. 예를 들어, 제2 채널의 시작 심볼은 (L+2)번째 심볼 또는 (L+3)번째 심볼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HARQ 타이밍의 단위가 슬롯이면, 제2 HARQ 타이밍의 값은 m개의 슬롯일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채널과, 제2 채널과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제4 채널은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PUSCH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제어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해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PUCCH일 수 있다. PUCCH는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고 제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ACK 또는 NACK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USCH는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로 전송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 채널은 대안적으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제3 단말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PSSCH일 수 있다.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된다는 것은,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심볼(예: OFDM 심볼)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즉, 제2 채널과 제4 채널은 시간 영역 자원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한다.
또한 제2 채널과 제4 채널 중에서 더 이른 시간 영역 위치를 갖는 채널은 제2 채널과 제4 채널 중에서 더 이른 시작 위치를 갖는 채널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채널의 시작 위치는 채널의 시작 심볼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므로, 시작 위치가 더 이른 채널은 더 이른(더 이전에 있는) 시작 심볼을 갖는 채널일 수 있다. 채널의 시작 심볼의 위치는 채널의 시작 심볼이 위치하는 시간 단위의 색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채널의 시작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의 색인이 작을수록 채널의 시작 심볼이 더 이른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채널의 시작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는 심볼, 슬롯, 서브프레임 등일 수 있다.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채널과, 제2 채널과 제4 채널 중에서 더 이른 시간 영역 위치를 갖는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다.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채널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와, 제2 채널과 제4 채널 중에서 더 이른 시간 영역 위치를 갖는 채널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심볼이 위치하는 시간 단위는 심볼, 서브프레임, 슬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제1 서브캐리어 간격, PSSCH 및 제3 채널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하는 경우, 제1 채널과, 제2 채널 및 제4 채널 중에서 더 이른 시간 영역 위치를 갖는 채널 사이의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PSSCH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다중화되는 경우, 제1 단말 기기가 채널 다중화 처리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을 보장할 수 있어, 제2 채널과 제4 채널 다중화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HARQ 정보의 정상적인 송신을 보장한다.
본 출원의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 및 제1 단말 기기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경우, 제3 오프셋 값은 다음 공식 (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167
(3)
Figure pct00168
는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나타내고,
Figure pct00169
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170
은 PSSCH, 제3 채널, 및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중 하나 이상에 ㄱ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다.
Figure pct00171
,
Figure pct00172
,
Figure pct00173
,
Figure pct00174
,
Figure pct00175
,
Figure pct00176
및 제1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x는 양의 정수이다. x는 변수 또는 상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x는 1, 2, 또는 3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x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x는 PSSCH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가 1과 같을 때, 전술한 공식 (3)은 다음 공식 (4)로 변경된다:
Figure pct00177
(4)
다른 예를 들어, x가 2와 같을 때, 전술한 공식 (3)은 다음 공식 (5)로 변경된다:
Figure pct00178
(5)
다른 예에서, x가 3과 같을 때, 전술한 공식(3)은 다음 공식(6)으로 변경된다:
Figure pct00179
(6)
선택적으로, x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 간격이 비교적 크면, x 값은 비교적 크다. 표 2는 x와 서브캐리어 간격의 대응표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180
표 2는 단지 예이고, x와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의 대응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공식 (3)은 단지 예일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Figure pct00181
,
Figure pct00182
,
Figure pct00183
, 및 x는 대안적으로 다른 함수 관계를 충족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전술한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결정되므로,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효율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3 채널과, 제2 채널과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다, 즉 제3 채널과, 제2 채널과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다.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3 채널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와 제2 채널과 제5 채널 중에서 더 이른 시간 영역 위치를 갖는 채널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심볼이 위치하는 시간 단위는 심볼, 서브프레임, 슬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3 채널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것은,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심볼(예: OFDM 심볼)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제2 채널과 제5 채널 중에서 더 이른 시간 영역 위치를 갖는 채널은 제2 채널과 제4 채널 중에서 더 이른 시작 위치를 갖는 채널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채널과, 제2 채널과 제5 채널 중에서 더 이른 시간 영역 위치를 갖는 채널 사이의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다중화되는 경우, 제1 단말 기기가 채널 다중화 처리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을 보장할 수 있어, 제2 채널과 제5 채널의 다중화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고, HARQ 정보의 정상적인 송신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 및 제1 단말 기기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경우, 제4 오프셋 값은 다음 공식 (7)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184
(7)
Figure pct00185
는 제4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186
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187
은 제3 채널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188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189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190
Figure pct00191
Figure pct00192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193
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파라미터의 의미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y는 양의 정수이다. y는 변수 또는 상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y는 1, 2 또는 3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y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2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y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y가 1과 같을 때, 전술한 공식(7)은 다음 공식(8)으로 변경된다:
Figure pct00194
(8)
다른 예에서, y가 2와 같을 때, 전술한 공식(7)은 다음 공식(9)으로 변경된다:
Figure pct00195
(9)
다른 예를 들어, y가 3과 같을 때, 전술한 공식(7)은 다음 공식(10)으로 변경된다:
Figure pct00196
(10)
선택적으로, y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 간격이 비교적 크면, y 값이 비교적 크다. 표 3은 y와 서브캐리어 간격의 대응표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197
표 3은 단지 예일 뿐이며, y와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의 대응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공식 7은 단지 예일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Figure pct00198
,
Figure pct00199
,
Figure pct00200
, 및 y는 대안적으로 다른 함수 관계를 충족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전술한 공식 7을 사용하여 결정되므로,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효율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제5 채널과 제4 채널은 동일한 채널일 수 있거나, 제5 채널과 제4 채널은 상이한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제5 채널과 제4 채널이 동일한 채널인 경우에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 및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의 개략도의 일례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pct00201
는 제1 채널상에서 스케줄링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시간 영역에서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고,
Figure pct00202
는 제1 채널과 PSSCH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203
는 PSSCH와 제3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다.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Figure pct00204
이고,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Figure pct00205
이다.
도 8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5 채널과 제4 채널이 동일한 채널일 수 있는 경우, 공식 (3) 및 공식 (7)이 모두 충족될 수 있거나; 공식 (3) 또는 공식 (7)를 충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다음 관계식 (11)을 충족하는 경우, 제1 단말 기기는 제2 채널상에서,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전송한다.
Figure pct00206
(11)
Figure pct00207
는 제1 채널과 PSSCH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208
는 제1 채널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한 시간 단위와 PSSCH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이 위치하는 단위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Figure pct00209
는 PSSCH와 제3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210
는 PSSCH의 시작 심볼(첫 번째 심볼)이 위치하는 시간 단위와 제3 채널의 끝 심볼(마지막 심볼)이 위치하는 시간 단위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Figure pct00211
는 시간 영역에서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고;
Figure pct00212
는 시간 영역에서 제3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다.
구체적으로, 관계식 (11)이 충족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가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 전송을 완료한 시간부터 네트워크 기기가 HARQ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까지의 시간 길이, 즉 제1 단말 기기가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 수신을 완료한 시간부터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시간까지의 시간 길이
Figure pct00213
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준비하기 위해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 길이
Figure pct00214
,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설어 전달하는 PSSCH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
Figure pct00215
,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처리하고 HARQ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 길이
Figure pct00216
, 및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제3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의 합보다 크거나 같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단말 기기가 HARQ 정보를 준비, 처리 및 보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이 보장될 수 있어,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Figure pct00217
,
Figure pct00218
,
Figure pct00219
, 및
Figure pct00220
중 하나 이상은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모드(mode), 사례(case), 유형(type) 및 실시예의 구분은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어떠한 특별한 제한을 구성해서는 안 되며, 다양한 모드, 유형, 사례 및 실시예에서의 특징이 모순이 없는 경우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숫자 심볼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별되는 것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프로세스의 시퀀스 번호는 실행 시퀀스를 나타내지 않는다. 프로세스의 실행 시퀀스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아야 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당업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균등한 수정 또는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200)의 일부 단계는 불필요하거나 일부 단계가 새로 추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2개 이상이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정, 변경 또는 결합된 방안도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실시예들 간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언급되지 않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하십시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전 정의(predefinition)"는 기기(예: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다른 기기에 대응하는 코드 또는 대응하는 표를 미리 저장함으로써, 또는 괄년 정보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사전 정의"의 구체적인 구현은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위에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장치에 대해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3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통신 장치(300)는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3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제3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사용되는 칩 또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통신 장치(300)에서 각가의 모듈 또는 유닛은 전술한 방법(200) 및 실시예에서의 제3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action) 또는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300)는 송수신기 유닛(310) 및 처리 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310)은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며, 사이드링크는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임이다.
처리 유닛(320)은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2 채널은 제1 단말 기기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한 후, 통신 장치는 제2 채널의 위치를 결정하므로, 통신 장치는 제1 채널상에 스케줄링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가 제2 채널에서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는 HARQ 정보를 적시에 수신하고, HARQ 정보는 제1 채널상에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것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되며,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320)은 추가로, 제1 채널 및 제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제2 채널과 제1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HARQ 타이밍은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처리 유닛(320)은 추가로,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제3 채널은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HARQ 정보를 실어 제1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320)은 추가로, 다음 공식 (1)에 따라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221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222
(1)
Figure pct00223
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24
은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제3 채널, 및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25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26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27
Figure pct00228
Figure pct00229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230
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320)은 추가로, 제3 채널 및 제2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제3 채널은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HARQ 정보를 실어 제1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HARQ 타이밍은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고, 처리 유닛(320)은 추가로,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320)은 다음 공식 (2)에 따라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231
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Figure pct00232
(2)
Figure pct00233
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34
은 제3 채널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35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36
는 제2 시간 단위이며;
Figure pct00237
Figure pct00238
Figure pct00239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240
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채널과, 제2 채널과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처리 유닛(320)은 추가로,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320)은 다음 공식 (3)에 따라 제3 오프셋 값
Figure pct00241
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Figure pct00242
(3)
x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3 채널과, 제2 채널과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처리 유닛(320)은 추가로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320)은 다음 공식 (7)에 따라 제4 오프셋 값
Figure pct00243
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Figure pct00244
(7)
y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다음 관계식:
Figure pct00245
이 충족되는 경우,
송수신기 유닛(310)은 추가로, 제2 채널상에서 HARQ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246
는 제1 채널과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247
는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248
은 시간 영역에서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고;
Figure pct00249
은 시간 영역에서 제3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다.
통신 장치(300)의 유닛들이 전술한 대응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의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310)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및 도 3,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를 전송하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모듈) 및 전송 유닛(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300)는 송수신기 유닛(310) 및 처리 유닛(320)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310), 처리 유닛(320), 및 저장 유닛은 통신연결 상태에 있다. 저장 유닛은 명령어를 저장한다. 처리 유닛(320)은 저장 유닛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310)은 처리 유닛(320)의 구동 하에 특정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310)은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처리 유닛(320)은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 유닛은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20) 및 송수신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통신 장치(300) 또는 도 10에 도시된 통신 장치(400)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 및 도 3,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대응하는 방법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통신 장치(300) 또는 도 10에 도시된 통신 장치(400)는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5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통신 장치(500)는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단말 기기에 대응하거나, 제1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사용되는 칩 또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500)의 각각의 모듈 또는 유닛은 전술한 방법(200) 및 실시예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또는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500)는 송수신기 유닛(510) 및 처리 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510)은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며, 사이드링크는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이다.
송수신기 유닛(510)은 추가로,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520)은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2 채널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HARQ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 제공된 통신 장치에 따르면, 제1 채널에 대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후, 통신 장치는 제2 채널의 위치를 결정하므로, 통신 장치가 제1 채널상에 스케줄링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제2 채널상에서 전송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 장치는 HARQ 정보를 적시에 전송하고, HARQ 정보는 제1 채널상에서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것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재송신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사이드링크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되며,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제1 채널 및 제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제2 채널과 제1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HARQ 타이밍은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제3 채널은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HARQ 정보를 실어 제1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다음 공식 (10)에 따라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250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251
(1)
Figure pct00252
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53
은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제3 채널, 및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54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55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56
Figure pct00257
Figure pct00258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259
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제3 채널 및 제2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제3 채널은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HARQ 정보를 실어 제1 단말 기기에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HARQ 타이밍은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제3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이며,
여기서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다음 공식 (2)에 따라 제2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260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261
(2)
Figure pct00262
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63
은 제3 채널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64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65
는 제2 시간 단위이며;
Figure pct00266
Figure pct00267
Figure pct00268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269
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채널과, 제2 채널과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다음 공식 (3)에 따라 제1 오프셋 값
Figure pct00270
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271
(3)
x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3 채널과, 제2 채널과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520)은 추가로, 다음 공식 (7)에 따라 제4 오프셋 값
Figure pct00272
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273
(7)
여기서 y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다음 관계식 (11)이 충족되는 경우:
Figure pct00274
(11)
송수신기 유닛(510)은 추가로, 제2 채널상에서 HARQ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ct00275
는 제1 채널과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276
는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Figure pct00277
은 시간 영역에서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고;
Figure pct00278
은 시간 영역에서 제3 채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길이이다.
통신 장치(500)의 유닛이 전술한 대응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제1 단말 기기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510)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및 도 3,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를 전송하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모듈) 및 전송 유닛(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500)는 송수신기 유닛(510) 및 처리 유닛(520)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510), 처리 유닛(320), 및 저장 유닛은 통신연결 상태에 있다. 저장 유닛은 명령어를 저장한다. 처리 유닛(520)은 저장 유닛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510)은 처리 유닛(520)의 구동 하에 특정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510)은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처리 유닛(520)은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 유닛은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600)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및 송수신기(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통신 장치(500) 또는 도 12에 도시된 통신 장치(600)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 및 도 3,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대응하는 방법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통신 장치(500) 또는 도 12에 도시된 통신 장치(600)는 단말 기기일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장치에서 유닛으로의 분할은 단지 논리 기능 분할이라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 유닛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나의 물리 엔티티로 통합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내의 모든 유닛은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일부 유닛은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일부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유닛은 개별적으로 배치된 처리 요소일 수 있거나, 구현을 위해 장치의 칩에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유닛은 유닛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의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될 프로그램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의 처리 요소는 또한 프로세서로 지칭될 수 있고,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전술한 방법 또는 전술한 유닛의 단계는 프로세서 요소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전술한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은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이러한 집적 회로 중 적어도 2개의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장치의 유닛이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프로그램을 스케줄링함으로써 구현되는 경우, 처리 요소는 범용 프로세서,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는 다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유닛들은 시스템온칩(system-on-a-chip, SOC)의 형태로 집적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 기기(7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통신 장치(300, 400, 500 또는 600)는 단말 기기(700)에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장치(300, 400, 500 또는 600)는 단말 기기(700)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기기(700)는 전술한 방법(200)에서 제1 단말 기기 또는 제3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3은 단말 기기의 주요 구성요소만을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700)는 프로세서, 메모리, 제어 회로, 안테나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단말 기기 전체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방법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할 때 단말 기기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코드북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는 주로 기저대역 신호와 무선 주파수 신호 간의 변환을 수행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와 안테나의 조합은 주로 전자파 형태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라고도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출력 장치는 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기기의 전원이 켜진 후, 프로세서는 저장 유닛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설명 및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무선 모드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한 후, 프로세서는 무선 주파수 회로에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무선 주파수 처리를 수행한 후, 무선 주파수 회로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자파 형태로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데이터가 단말 기기로 전송되는 경우, 무선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 신호를 프로세서로 출력한다. 프로세서는 기저대역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3은 하나의 메모리와 하나의 프로세서만을 도시하였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단말 기기는 복수의 프로세서와 복수의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저장 매체, 저장 기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중앙 처리 유닛은 주로 단말 기기 전체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에서의 프로세서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중앙 처리 유닛의 기능을 통합한다. 당업자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중앙 처리 장치는 대안적으로 독립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고, 버스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는 단말 기기가 상이한 네트워크 표준에 적응하기 위해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또한 기저대역 처리 회로 또는 기저대역 처리 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중앙 처리 유닛은 또한 중앙 처리 회로 또는 중앙 처리 칩으로 표현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은 프로세서에 내장되거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저대역 처리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구비한 안테나 및 제어 회로는 단말 기기(700)의 송수신기 유닛(701)으로 간주될 수 있고, 처리 기능을 구비한 프로세서는 단말 기기(700)의 처리 유닛(702)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700)는 송수신기 유닛(701) 및 처리 유닛(202)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유닛은 또한 송수신기, 송수신기 머신, 송수신기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701)에 있고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는 수신 유닛으로 고려될 수 있고, 송수신기 유닛(701)에 있고 전송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는 송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송수신기 유닛(701)은 수신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신 유닛은 또한 수신기 머신, 수신기, 수신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송신 유닛은 송신기 머신, 송신기, 송신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기기(8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4에서,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810), 데이터 전송 프로세서(820) 및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830)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처리 유닛(320) 및 처리 유닛(520)은 대응하는 기능을 구헌하기 위한, 도 14에서의 프로세서(810)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유닛(510)은 도 14에서의 데이터 전송 프로세서(820) 및/또는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830)일 수 있다. 도 14에는 채널 인코더와 채널 디코더가 도시되어 있지만, 모듈들은 예시일 뿐, 실시예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90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네트워크 기기(900)는 전술한 방법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900)는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901) 및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유닛(baseband unit, BBU)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유닛(디지털 유닛으로도 지칭될 수 있음, digital units, DUs)(902)을 포함한다. RRU(901)는 송수신기 유닛, 송수신기 머신, 송수신기 회로, 송수신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9011) 및 무선 주파수 유닛(9012)을 포함할 수 있다. RRU(901) 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와 기저대역 신호 간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RRU(90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BBU(902)는 주로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고, 기지국을 제어하는 등을 하도록 구성된다. RRU(901)와 BBU(902)는 물리적으로 함께 배치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BBU(902)는 기지국의 제어 센터이며, 처리 유닛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주로 채널 인코딩, 다중화, 변조 또는 확산과 같은 기저대역 처리 기능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BBU(처리 유닛)(902)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와 관련된 동작 프로시저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90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BBU(902)는 하나 이상의 기판(board)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기판은 단일 액세스 표준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예: LTE 시스템 또는 5G 시스템)를 공동으로 지원할 수 있거나, 다른 액세스 표준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개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BBU(902)는 메모리(9021) 및 프로세서(9022)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9021)는 필요한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902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코드북 등을 저장한다. 프로세서(9022)는 기지국을 제어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22)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와 관련된 동작 프로시저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9021) 및 프로세서(9022)는 하나 이상의 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각각의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보드가 동일한 메모리 및 동일한 프로세서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각 기판 상에는 필요한 회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시스템온칩(system-on-chip, SoC) 기술의 개발과 함께, BBU(902) 및 RRU(901)의 모든 기능 또는 일부 기능은 SoC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기능 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 기능 칩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안테나 포트와 같은 구성요소를 통합한다. 메모리에는 기지국 관련 기능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프로세서는 기지국 관련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 기능 칩은 기지국 관련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대안적으로 칩 외부의 메모리를 판독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은 단지 가능한 형태일 뿐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는 미래의 다른 형태의 기지국 구성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구성요소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인 설명이 아닌 예를 통해, 많은 형태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는 경우,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된다.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로드되거나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시저 또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하나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서 다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유선(예:,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모드에서 하나의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 세트를 통합한,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 광학 매체(예: DVD), 반도체 매체일 수 있다. 반도체 매체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제1 단말 기기, 전술한 제2 단말 기기, 전술한 제3 단말 기기, 및/또는 전술한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본 출원의 방법(200)의 실시예에서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판독 가능한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어를 포함한다. 명령어가 실행될 때, 제1 단말 기기, 제3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는 각각 전술한 방법에서 제1 단말 기기, 제3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시스템 칩을 더 제공한다. 시스템 칩은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일 수 있고, 통신 유닛은,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 핀 또는 회로일 수 있다. 처리 유닛은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하여, 통신 장치의 칩이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통신 장치는 시스템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명령어는 저장 유닛에 저장된다.
선택적으로, 저장 유닛은 칩 내부의 레지스터 또는 캐시와 같은 저장 유닛이다. 대안적으로, 저장 유닛은 ROM과 같은, 정적 정보 및 정적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저장 유닛일 수 있거나, 단말기 내부에 있고 칩 외부에 있는 RAM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프로세서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또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의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처리 유닛과 저장 유닛은 분리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물리적 기기에 별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모드로 연결되어 처리 유닛과 저장 유닛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때 시스템 칩을 지원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대안적으로, 처리 유닛과 메모리는 동일한 기기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설명인 예를 통해, 많은 형태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며,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 세 가지 경우: A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B만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관련 객체 간의 "또는(or)" 관계를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라는 용어는 특정 시나리오에서 데이터/정보 전송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업링" 방향은 일반적으로 데이터/정보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측으로 송신되는 방향 또는 데이터/정보가 분산 유닛에서 중앙 유닛으로 송신되는 방향이고, "다우링크" 방향은 일반적으로 데이터/정보가 네트워크 측에서 단말기로 송신되는 방향이거나 데이터/정보가 중앙 유닛에서 분산 유닛으로 송신되는 방향이다. "업링크"와 "다운링크"는 데이터/정보의 송신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데이터/정보 송신이 시작되는 특정 기기이든 데이터/정보 송신이 중지되는 특정 기기이든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메시지/정보/기기/네트워크 요소/시스템/장치/동작/작업/프로시저/개념과 같이 본 출원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객체에 명칭이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명칭은 관련 객체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부여된 명칭은 시나리오, 맥락, 사용 습관 등의 요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용어의 기술적 의미는 주로 해당 기술용어가 기술적 방안에 반영/수행되는 기능 및 기술적 효과에 기초하여 이해 및 결정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의 단위 및 알고리즘 단계와 함께, 본 출원은 전자적인 하드웨어 또는 전자적인 하드웨어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인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는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고,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단순히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 시 다른 분할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가 다른 시스템으로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기능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형태, 기계적 형태 또는 기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한 장소에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그 기능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본질적인 기술적 방안,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기기 등이 될 수 있음)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특정 구현일 뿐이고,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된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45)

  1.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사이드링크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임 -; 및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및 제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1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279
    이 하기 공식:
    Figure pct00280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281
    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82
    은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83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84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85
    Figure pct00286
    Figure pct00287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288
    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채널상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2 HARQ 타이밍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고, 상기 제3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PSFCH)이고,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1 오프셋 값
    Figure pct00289
    는 하기 공식:
    Figure pct00290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3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4 오프셋 값
    Figure pct00291
    이 다음 공식:
    Figure pct00292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y는 양의 정수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1.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제1 단말 기기가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사이드링크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임 -;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HARQ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및 제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1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293
    를 하기 공식:
    Figure pct00294
    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295
    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96
    은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297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98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299
    Figure pct00300
    Figure pct00301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302
    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인,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3 채널 및 제2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1 채널상에서 제2 HARQ 타이밍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7. 제1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이고, 상기 제3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SFCH)이고,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8.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3 오프셋 값
    Figure pct00303
    가 하기 공식:
    Figure pct00304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3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4 오프셋 값
    Figure pct00305
    이 하기 공식:
    Figure pct00306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y는 양의 정수인,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22. 통신 장치로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1 채널상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 -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사이드링크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임 -; 및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정보를 수신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제1 채널 및 제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1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인, 통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인, 통신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하기 공식:
    Figure pct00307
    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308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Figure pct00309
    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310
    은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311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312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313
    Figure pct00314
    Figure pct00315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316
    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인, 통신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채널상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2 HARQ 타이밍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인, 통신 장치.
  27. 제22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이고, 상기 제3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SFCH)이고,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인, 통신 장치.
  28.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2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하기 공식:
    Figure pct00317
    에 따라 상기 제1 오프셋 값
    Figure pct00318
    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인, 통신 장치
  30.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3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다음 공식:
    Figure pct00319
    에 따라 상기 제4 오프셋 값
    Figure pct00320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y는 양의 정수인, 통신 장치.
  32. 제1 단말 기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송수신기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제1 채널상에서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사이드링크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제2 단말 기기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사이드링크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 링크이고;
    상기 송수신기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HARQ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채널 및 제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1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인, 통신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ARQ 타이밍은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이상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중 하나인, 통신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하기 공식:
    Figure pct00321
    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영역 오프셋 값
    Figure pct00322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Figure pct00323
    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324
    은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심볼의 수량이고;
    Figure pct00325
    는 제1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326
    는 제2 시간 단위이고;
    Figure pct00327
    Figure pct00328
    Figure pct00329
    의 비율이고;
    Figure pct00330
    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인, 상기 통신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제3 채널 및 제2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통신 장치.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추가로, 상기 제1 채널상에서 제2 HARQ 타이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HARQ 타이밍은 시간 영역에서의 상기 제2 채널과 제3 채널 사이의 오프셋 값이고, 상기 제3 채널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상기 HARQ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인, 통신 장치.
  38. 제32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이고, 상기 제3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SFCH)이고, 상기 사이드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인, 통신 장치.
  39.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과 제4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4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처리 유닛은 추가로, 다음 공식:
    Figure pct00331
    에 따라 상기 제1 오프셋 값
    Figure pct00332
    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x는 양의 정수인, 통신 장치.
  41.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과 제5 채널이 시간 영역에서 중첩되는 경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은 상기 제3 채널과,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5 채널 중 시간 영역 위치가 더 이른 채널 사이의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제2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처리 능력 정보, 그리고 상기 제3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시간 영역 오프셋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로, 다음 공식:
    Figure pct00333
    에 따라 상기 제4 오프셋 값
    Figure pct00334
    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y는 양의 정수인, 통신 장치.
  43.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신 장치가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장치.
  44.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 명령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45.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27008521A 2019-08-16 2020-07-30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2200480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60454.1A CN112398598A (zh) 2019-08-16 2019-08-16 侧行链路反馈信息传输的方法和通信装置
CN201910760454.1 2019-08-16
PCT/CN2020/105841 WO2021031820A1 (zh) 2019-08-16 2020-07-30 侧行链路反馈信息传输的方法和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008A true KR20220048008A (ko) 2022-04-19

Family

ID=7460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521A KR20220048008A (ko) 2019-08-16 2020-07-30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74720A1 (ko)
EP (1) EP4016898A4 (ko)
KR (1) KR20220048008A (ko)
CN (2) CN112398598A (ko)
WO (1) WO2021031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8204A1 (en) * 2018-10-31 2022-10-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on basis of one or more frequencies
WO2020184965A1 (ko) * 2019-03-13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수의 안테나 리모트 유닛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83864B2 (en) * 2019-12-20 2022-10-25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sidelink over unlicensed band
US20220361152A1 (en) * 2021-05-10 2022-11-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llecting sidelink channel feedback from a receiving ue
US20230109449A1 (en) * 2021-10-04 2023-04-06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occupancy time contention grant for sidelink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4586B2 (en) * 2016-01-22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for unicast sidelink communications
CN108370565B (zh) * 2016-01-29 2020-12-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副链路数据传输的方法以及终端
CN112671523A (zh) * 2017-03-20 2021-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反馈资源的确定方法及装置
CN108923894B (zh) * 2017-03-23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用户设备、基站、存储介质和系统
JP6900502B2 (ja) * 2017-03-24 2021-07-0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イドリンク同期信号送信方法及び前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US10715283B2 (en) * 2017-10-02 2020-07-14 K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HARQ ACK/NACK information for new radio
CN111525987B (zh) * 2019-02-02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侧行链路通信方法及装置
CN110740016B (zh) * 2019-10-06 2022-09-09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车联网通信反馈定时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91514A (zh) 2021-03-12
EP4016898A1 (en) 2022-06-22
US20220174720A1 (en) 2022-06-02
WO2021031820A1 (zh) 2021-02-25
EP4016898A4 (en) 2022-10-12
CN112398598A (zh) 2021-02-23
CN112491514B (zh) 2021-11-30
JP2022544814A (ja)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8513B6 (ja) Harq-ackフィードバック時間の特定方法と指示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6907322B2 (ja) アップリンク伝送方法、端末、およびネットワーク側デバイス
KR102603072B1 (ko) 사이드링크 기준 신호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220048008A (ko)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및 통신 장치
US11903010B2 (en) Sidelink quality measurement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CN111865506A (zh) 半静态码本生成的方法和通信装置
US11855925B2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CN112311501B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0730513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240072976A1 (en) Determination of Feedback Timing
EP425083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391427B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EP361475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des
JP7371226B2 (ja) サイドリンク送信リソース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22548457A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機器、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記憶媒体
CN114287156A (zh) 资源请求的方法和通信装置
JP7493584B2 (ja) サイドリンクフィードバック情報送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AU2016417122B2 (en) Determination of feedback timing
CN114616884A (zh) 传输参数的确定方法及装置
CN117581497A (zh) 用于上行链路传输的方法及设备
CN115462149A (zh) 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装置
OA18980A (en) Determination of feedback ti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