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864A - 경막외강의 바늘 검출 및 배치를 위한 경막외 장치 - Google Patents

경막외강의 바늘 검출 및 배치를 위한 경막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864A
KR20220047864A KR1020227009565A KR20227009565A KR20220047864A KR 20220047864 A KR20220047864 A KR 20220047864A KR 1020227009565 A KR1020227009565 A KR 1020227009565A KR 20227009565 A KR20227009565 A KR 20227009565A KR 20220047864 A KR20220047864 A KR 20220047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rigger
sleeve
epidural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디. 돌핀
브리아나 비. 카렐스
사이먼 에프. 쿡
제임스 에이. 헬리웰
Original Assignee
가이드스타 메디칼 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이드스타 메디칼 디바이스 filed Critical 가이드스타 메디칼 디바이스
Publication of KR2022004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the piston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spring-actuated, e.g. by a clock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 A61B2090/0802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of the patient or his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이 경막외강으로 들어갈 때 경막외 바늘의 추가 진행을 억제하거나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도록 구성된 경막외 장치를 제공한다. 환자의 등 인대에 바늘을 삽입할 때, 조밀한 인대의 저항을 이용하여 유체로 장치에 압력을 가하여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은 푸싱 메커니즘이 바늘을 전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바늘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 푸싱 메커니즘을 고정할 수 있다. 경막외강에 도달하면, 유체(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공기)가 경막외강으로 들어가고 압력이 해제되면 트리거 메커니즘이 슬라이딩 푸셔로부터 분리되어 푸셔가 구조물의 몸체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압력 상실을 이용하여 경막외강을 감지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한편, 경막에 도달하면 바늘이 경막으로 전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장치는 경막외 바늘로부터 주변 조직으로 유체의 느린 흐름이 있을 때 조기 트리거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막외강의 바늘 검출 및 배치를 위한 경막외 장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경막외 장치로 지칭되는, 경막외 시술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경막외강(epidural space)에서 경막외 바늘의 검출 및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막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막외 마취는 진통/분만, 하지 및 골반 수술, 통증 완화를 위한 스테로이드 주사 시에 널리 사용된다. 단회 주사 및 카테터 기술을 모두 이용하여 경막외강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경막외 카테터 삽입 후에도 지속적인 마취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막외 마취는 장기간 수술에 적합하고 수술 후 진통에 유용하다.
전형적으로, 바늘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방법은 경막외강을 검출하기 위한(즉, 경막외 바늘이 경막외강에 들어갔을 때를 결정하기 위한) 저항의 상실에 의존한다. 바늘 선단이 등의 두꺼운 인대(ligament)에 있으면, 마취과 의사는 공기 또는 식염수가 채워진 주사기의 플런저에 일정하거나 간헐적인 압력을 가한다. 마취과 의사는 일반적으로 유리 주사기 또는 저 저항 플라스틱 주사기를 사용한다. 경막외강으로 이어지는 인대(극상 인대, 극간 인대, 황색 인대)의 조밀하고 섬유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식염수나 공기가 조직에 쉽게 주입되지 않고 주사기가 가압 상태를 유지한다. 정확한 기술은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 손으로 경막외 바늘을 전진시키고 다른 손으로 주사기 플런저에 압력을 유지한다. 경막외 바늘 선단이 경막외강에 들어가면 마취과 의사는 주사기의 플런저 눌림으로 인한 압력 상실을 감지한다. 경막외강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로 식염수를 쉽게 공간에 주입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주사기를 제거하고 약물을 주입하거나 바늘을 통해 카테터를 주입할 수 있다. 대안적인 "증분(incremental)" 방법에서는 바늘을 1∼2 mm 전진시킨 다음 플런저를 눌러 바늘 선단이 여전히 인대 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이것은 플런저가 쉽게 눌러 식염수 또는 공기를 경막외강으로 방출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증분 방법을 이용할 때, 검사 사이에 바늘이 경막외강을 통해 상당히 전진하여 경막을 천자(puncture)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시술은 압력 상실을 관찰하거나 감지하고, 해당 정보를 처리하고, 바늘을 우발적으로 앞으로 더 이동시키지 않고 바늘의 전진을 중지하기 위해 마취과 의사에 의존한다. 주사기 벽에 대한 플런저의 부주의한 각도와 같은 잘못된 기술은 경막외강을 감지하는 데 필요한 압력의 작은 변화를 인식하기 어렵게 만드는 바람직하지 않은 마찰을 생성할 수 있다. 더욱이, 유리 주사기는 일반적으로 마찰이 매우 낮지만 때때로 달라붙어 의사에게 잘못된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바늘이 너무 앞으로 전진하게 한다.
경막외 시술의 위험은 경막의 우발적인 천자이다. 경막이 천자되면 환자는 경막 천자 후 두통, 척추 농양, 척추 혈종 또는 심한 경우 영구적인 신경 손상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합병증이 발생하면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현재의 관행은 마취과 의사가 경막외강의 검출을 관찰하고 동시에 경막 천자를 유발할 수 있는 전진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 진행을 중단할 것을 요청한다. 사용자에게 압력 상실을 경고하기 위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제공하여 의사가 경막외강을 검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바늘이 경막외강에 도달하면 바늘의 추가 전진을 자동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전술한 관점에서, 개선된 경막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경막외강으로의 경막외 바늘 선단의 진입을 검출하고 진입 시 추가 진행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된 경막외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장치는 액체(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공기)로 채워질 수 있으며, 바늘이 환자의 등에 삽입되고 바늘 선단이 황색 인대에 위치할 때 경막외 바늘에 연결될 수 있다. 바늘로부터 유체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조밀한 인대의 저항을 이용하여 장치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가압은, 마취 의사가 바늘을 전진시키기 위해 푸셔(pusher)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몸체 및 그에 접속된 바늘에 대해) 슬라이딩식 푸셔를 소정의 위치로 잠그는 메커니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경막외강에 도달하면 유체가 경막외강으로 들어가고, 압력이 해제되면 장치 내의 메커니즘이 트리거되어 푸셔가 구조물의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슬라이딩 푸셔를 누르면 바늘이 상당히 또는 더 이상 전진하지 않고 장치 위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장치는 압력 상실을 이용하여 경막외강을 검출하는 기능과 바늘이 경막외강에 들어가면 바늘의 추가 진행을 자동으로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하는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종축이 있는 세장형(elongate) 몸체,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경막외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경막외 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챔버;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를 상기 출구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2 챔버로서, 상기 출구는 경막외 바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제2 챔버;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유동 제한기로서, 상기 유동 제한기는 상기 출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기 유동 제한기;
상기 제1 챔버를 가압하기 위해 내부에 위치된 제1 바이어싱 메커니즘을 갖는 제1 챔버; 및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동 제한기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프라이밍된 위치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동 제한기를 덮고 상기 유체가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제2 챔버를 나갈 수 있는 트리거된 위치(프라이밍되지 않은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피스톤이 내부에 구비된 제2 챔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피스톤의 연장에 의해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슬리브가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상기 트리거된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피스톤의 연장에 의해 결합될 수 없으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 구현에서, 제1 챔버는 입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유동 제한기 반대편에 개구를 내부에 갖고, 장치는 개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연장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입구와 제1 챔버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유동 포트; 제1 챔버 내에 위치된 원위 단부; 및 챔버 외부에 위치하고 입구와 결합하도 구성된 근위 단부를 갖는다.
다른 구현에서, 제1 챔버는 내부에 유동 제한기 반대편에 개구를 갖고, 장치는 개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연장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플런저는 제1 챔버 내에 위치된 원위 단부; 및 챔버 외부에 위치된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제1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챔버 내부에 그리고 챔버의 원위 단부와 챔버의 개구 중간에 있는 플런저 주위에 제공되는 스프링이다.
또 다른 구현에서, 제1 챔버를 채우기 위한 충전 포트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연장되고, 충전 포트는 제2 챔버로부터 제1 챔버로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일 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유동 제한기는 장치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장치를 트리거하지 않고 출구를 통해 제2 챔버를 나갈 수 있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또 다른 구현에서, 제2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제2 챔버 내에 위치되며, 제2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제1 바이어싱 메커니즘보다 더 약하다.
또 다른 구현에서, 제2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스프링이다.
또 다른 구현에서, 피스톤은 그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디스크는 제1 챔버를 트리거 챔버 및 저장 챔버로 분할하고 트리거 챔버 및 저장 챔버에 각각 제1 및 제2 환형 표면을 가지며, 저장 챔버는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동 채널을 통해 제1 챔버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여기서 장치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디스크는 유동 채널의 중간에 위치하며 유동 제한기 및 트리거 챔버는 제1 챔버 및 출구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그리고 장치가 트리거된 위치에 있을 때 디스크가 유동 제한기를 덮고 트리거 챔버가 제1 챔버와 유체 연통할 수 없다.
또 다른 구현에서, 제1 환형 표면은 제2 환형 표면의 표면적보다 더 큰 표면적을 가지므로 트리거와 저장 챔버 사이에 힘 차이가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피스톤은 연장부 반대편의 단부에 장치를 프라이밍하기 위해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슬리브는 그로부터 장치의 몸체를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슬리브가 위로 슬라이딩할 때 피스톤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장치를 프라이밍하도록 구성되고, 버튼은 연장부 반대편의 피스톤의 단부에 부착된다.
다른 양태에서, 종축이 있는 세장형 몸체,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경막외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경막외 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입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통로;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유체를 출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출구는 경막외 바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압력 챔버; 및
상기 유체 통로와 압력 챔버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유동 제한기로서, 출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유동 제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챔버를 가압하기 위해 내부에 위치된 제1 바이어싱 메커니즘을 갖고;
상기 제2 챔버는 내부에 제공된 피스톤을 갖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동 제한기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프라이밍된 위치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동 제한기를 덮고, 상기 유체가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제2 챔버를 나갈 수 있는 트리거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피스톤의 연장에 의해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슬리브가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상기 트리거된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피스톤의 연장에 의해 결합될 수 없으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 다른 양태에서, 종축이 있는 세장형 몸체,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경막외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경막외 장치는, 몸체의 외부 표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 입구와 출구 사이에 유체를 연통시키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챔버를 갖고, 상기 출구는 경막외 바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몸체; 상기 챔버를 가압하기 위한 바이어싱 메커니즘; 및 상기 슬리브를 결합하기 위한 트리거 메커니즘으로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챔버 내에 포함되고 챔버 내의 압력 감소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트리거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가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리거 메커니즘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트리거 메커니즘에 의해 결합될 수 없고, 상기 슬리브는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제1 단부가 바이어싱 메커니즘에 의해 작용될 수 있도록 챔버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단부는 몸체를 통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단부는 슬리브가 제2 단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정도로 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제2 위치에서, 제2 단부는 장치가 제1 위치일 때보다 몸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슬리브가 제2 단부에 의해 결합될 수 없다.
다른 구현에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바이어싱 메커니즘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제1 위치에서, 팽창 가능한 멤브레인은 슬리브가 멤브레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정도로 팽창되고; 제2 위치에서, 팽창 가능한 멤브레인은 슬리브가 멤브레인에 의해 결합될 수 없는 정도로 수축된다.
또 다른 구현에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바이어싱 메커니즘에 의해 연장될 수 있는 순응성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제1 위치에서, 순응성 구성요소는 슬리브가 구성요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정도로 연장되고; 제2 위치에서, 순응성 구성요소는 슬리브가 순응성 구성요소에 의해 결합될 수 없는 정도로 후퇴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유체로 채워질 수 있고 내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경막외 시술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장치의 외부 프레임에 있는 슬라이딩 푸셔와 두 위치를 갖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한 위치에서, 슬라이딩 푸셔는 장치의 길이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위치에서, 유체의 압력은 메커니즘을 제자리에 유지하고, 슬라이딩 푸셔는 메커니즘을 방해하여 움직임이 제한되어 사용자가 슬라이딩 푸셔를 앞으로 밀어 바늘을 전진시킬 수 있다. 바늘 선단부가 경막외강으로 들어갈 때와 같이 감압되면, 메커니즘이 다른 위치로 되돌아가고 슬라이딩 푸셔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가 바늘을 더 이상 전진시킬 수 없도록 푸셔가 장치의 몸체를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구현에서, 메커니즘은 장치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제1 위치에 있는 동안 슬라이딩 푸셔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는 동안 푸셔와 결합하는 피스톤의 한쪽 단부를 통해 푸셔 구성요소를 억제할 수 있다. 피스톤은 스프링 수단에 의해 제1 위치에 있도록 편향될 수 있고 장치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제2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슬라이딩 푸셔 구성요소는 바늘을 전진시킬 때 푸싱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그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또는 날개를 갖는다.
다른 구현에서, 플랜지 또는 날개는 연장부에 의해 푸셔에 연결되어, 푸싱 표면이 환자에 더 가까워지도록 하여 장치의 안정성 및 사용자를 위한 손 배치를 개선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피스톤 메커니즘은 푸셔를 전방으로(환자 쪽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푸셔 내의 램프는 푸셔가 전진함에 따라 피스톤 메커니즘을 누를 수 있다. 압력이 가해지면 피스톤이 푸셔 내부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푸셔가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피스톤 메커니즘은 푸셔를 뒤로(환자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함으로써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푸셔 내부의 램프는 푸셔가 뒤로 당겨질 때 피스톤 메커니즘을 누를 수 있다. 압력이 가해지면 피스톤이 푸셔 내부의 공간으로 이동하여 푸셔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장치는 장치의 플런저 내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플런저 내의 일 방향 밸브는 유체가 동일한 경로로 챔버를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구현에서, 장치는 트리거 메커니즘과 유체 저장소 사이의 일 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경로를 통해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장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위치로 트리거 메커니즘을 강제하고 충전 중에 이 위치에서 유지함으로써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트리거링 메커니즘은 스프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측면에서, 트리거 피스톤은 피스톤을 아래로 또는 위로 구동하거나 제자리(아래로 또는 위로)를 유지하기 위해 2개의 면에 가압된 차동 힘을 이용할 수 있다. 2개의 면은 차동 힘을 향상시키기 위해 크기가 다를 수 있다. 경막외 공간에 들어갈 때와 같이 감압되면, 피스톤 메커니즘의 두 면에 차동 힘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스톤이 위로 올라가고 푸셔가 자유롭게 슬라이딩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푸셔와 간섭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핀 또는 2개의 피스톤을 사용하고, 또 다른 구현에서, 2개의 피스톤은 슬라이딩 푸셔에 동일하고 균형 잡힌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상기 장치는 멤브레인이 가압될 때 슬라이딩 푸셔와 결합하기 위한 가요성 또는 팽창 가능한 멤브레인을 더 포함한다. 경막외강에 들어갈 때와 같이 감압되면, 멤브레인이 수축되어 슬라이딩 푸셔가 자유롭게 슬라이딩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에서, 장치는 메커니즘이 가압될 때 슬라이딩 푸셔와 결합하기 위한 순응성 또는 가요성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경막외강에 들어갈 때와 같이 압력이 가해지면, 순응성 메커니즘이 후퇴하여 슬라이딩 푸셔로부터 분리되어 푸셔가 자유롭게 슬라이딩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a는 저장소, 플런저, 트리거 메커니즘 및 스프링의 내부 작동을 보여주는 경막외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경막외 바늘에 부착된 충전 및 프라이밍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경막외 바늘에 부착된 충전 및 프라이밍된 상태의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d는 경막외 바늘에 부착된 (경막외강에 들어간 후와 같이) 부분적으로 충전되고 트리거된 상태에서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e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장치의 횡단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f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g는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장치의 주석이 달린(annotated) 등각 투영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장치의 주석이 달린 등각 투영도로서, 푸셔의 날개를 위한 플랜지가 장치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등각 투영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트리거 메커니즘이 장치의 바늘 단부를 향해 푸셔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슬라이딩 푸셔 내의 램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장치의 실시형태의 등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프라이밍되지 않은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3b는 프라이밍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3c는 트리거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는 장치의 바늘 단부로부터 푸셔를 잡아당겨서 슬라이딩 푸셔 내의 램프에 의해 트리거 메커니즘이 결합될 수 있는 장치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프라이밍되지 않은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4b는 프라이밍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4c는 트리거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장치 내의 일 방향 밸브가 장치의 전면을 통해 저장 챔버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차압이 트리거 피스톤 메커니즘을 위 아래로 구동할 수 있는 장치의 실시형태의 등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프라이밍되지 않은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6b는 프라이밍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6c는 트리거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는 슬라이딩 푸셔를 장치와 결합시키기 위해 2개의 트리거 핀, 즉 하나는 장치의 상부에 있고 다른 하나는 장치의 바닥에 있는 트리거 핀을 사용하는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7a는 프라이밍되지 않은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7b는 프라이밍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7c는 트리거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슬라이딩 푸셔를 장치의 몸체와 결합하기 위해 가요성 멤브레인 메커니즘 및 트리거 링을 사용하는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8a는 프라이밍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8b는 트리거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d는 장치의 몸체와 슬라이딩 푸셔를 결합하기 위해 순응성(compliant) 또는 굴곡(flexure) 메커니즘 및 트리거 링을 사용하는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9a는 프라이밍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도 9b는 트리거된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삽도인 도 9c는 프라이밍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푸셔와 결합된 순응성 메커니즘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용어 "수직", "수직으로", "수평", "수평으로", "상부", "저부", "상향", "하향", "위쪽", "아래쪽", "우측", "좌측", "전방" 및 "후방"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용어는 예를 들어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특징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고 편의를 위해 사용된다.
경막외 장치의 작동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유체"는 장치를 채우고 가압하기 위한 액체 또는 기체, 예를 들어 염수 또는 공기를 지칭한다.
다음의 목적은 바늘이 경막외강으로 들어가는 것을 검출하고 동시에 바늘의 더 이상의 전진 운동을 억제하거나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경막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기존의 저항 상실 기술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경막 천자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 장치는 경막외 바늘로부터 주변 조직으로 유체의 느린 흐름이 있을 때 조기 트리거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압력 상 설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경막외 장치는 스프링 힘과 트리거 배럴의 챔버 압력으로부터의 힘 사이의 차동력에 의존하는 트리거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들 장치는 "프라이밍된" 및 "트리거된"(즉, 프라이밍되지 않은) 위치들 또는 상태들 사이에서 구성할 수 있다. 이 장치는, 환자의 등에 위치하는 바늘에 부착될 때, 의사와 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프라이밍(즉, 프라이밍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라이밍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어서 경막외 바늘이 경막외강으로 들어갈 때 자동으로 트리거될 수 있다. 프라이밍되지 않은(트리거된) 상태는 경막외 장치의 기본 상태이다. 이들 장치의 단계별 작동은 구조에 대한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a는 제1 또는 개방 단부(106) 및 제2 또는 바늘 커넥터 단부(130)를 갖는 주사기 몸체(101)를 포함하는 경막외 장치(100)를 예시한다. 주사기 몸체(10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주사기 몸체(101)는 상이하게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1)는 상이한(즉, 직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단면, 예를 들어 육각형을 갖는 세장형 몸체일 수 있다. 도 1a에서, 경막외 장치(100)는 프라이밍되지 않은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저장소는 부분적으로 유체(도시되지 않음)로 채워져 있다. 몸체(101)는 저장 챔버(144)을 채우고 가압하기 위한 플런저(138)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형성된 저장 챔버(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 플런저(138)는, 플런저(138)를 통해 연장되는 충전 포트(140)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몸체(101)는 저장 챔버(144)와 트리거 배럴(131)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유동 제한기(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기(146)는 저장 챔버(144)와 트리거 배럴(131) 사이에 유체 흐름이 발생할 때 압력 강하를 유도할 수 있다. 제한기(146)의 직경은 출구 포트(13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프라이밍되지 않은 위치에서, 저장 챔버(144)와 트리거 배럴(131) 사이의 유체 흐름은 한 쌍의 디스크 밀봉체(126,128)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장치는 사용자가 바늘 커넥터 단부(130)에 연결된 경막외 바늘(147)(도 1b 참조)을 전진시킬 수 있는 슬리브 또는 푸셔(111)를 더 포함한다. 푸셔(111)는 주사기 몸체(101)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푸셔(111)는 선택적으로 외부 플랜지 또는 날개(112), 및/또는 인체공학적 목적을 위한 질감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푸셔(111)는 장치(100)의 트리거 메커니즘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포트(140)는 충전 커넥터(102)와 저장 챔버(144)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할 수 있다. 일 방향 밸브(104)가 충전 포트(140) 내에 제공되어 역류를 억제하거나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저장 챔버(144)가 후단부로부터 채워지도록 하여 출구 포트(132)를 통해 바늘 커넥터 단부(130)로부터 저장 챔버(144)를 충전할 필요를 없애주고, 이는 충전 중에 프라이밍된 위치에서 장치를 수동으로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플런저(138)의 연장된 부분(141)은 밀봉체(142) 및 환형 숄더(10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는 트리거 배럴(131)에 있는 유체의 압력에 응답하도록 설계된 트리거 메커니즘(149)을 더 포함하고, 이는 다시 저장 챔버(144)에 있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바이어싱 메커니즘, 특히 저장소 스프링(136)은 플런저(138) 주위에 그리고 개방 단부(106)를 덮을 수 있는 저장소 캡(109)과 환형 숄더(103) 사이에 형성된 공간(137)에 배치된다. 가요성 고무(예를 들어, 탄성 밴드) 또는 압축 공기와 같은 기타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스프링 대신 구현될 수 있다. 저장소 캡(106)에 대해 고정된 저장소 스프링(136)은 제한기(146)를 향한 방향으로 저장소 플런저(138)를 편향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저장 챔버(144) 내의 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
트리거 메커니즘(149)은 내부에 트리거 피스톤 코어(127)를 갖는 트리거 피스톤(133)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피스톤(133)은 트리거 배럴(131)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또는 하부 디스크 밀봉체(126)와 제2 또는 상부 디스크 밀봉체(128)가 트리거 피스톤(133)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트리거 피스톤 코어(127)는 이들 구성요소가 일제히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트리거 피스톤(133)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3 원주방향 프라이밍 밀봉체(134)는 트리거 피스톤(133)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프라이밍 밀봉체(134), 디스크 밀봉체(128) 및 트리거 배럴의 벽(145)과 트리거 피스톤(13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트리거 챔버(150)로 지칭될 수 있다. 트리거 피스톤 코어(127)는 프라이밍 또는 트리거 버튼(114) 및 트리거 배럴(131)의 상부 및 하부 표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트리거 핀(122)을 가질 수 있다. 트리거 피스톤(133)은 트리거 배럴(131)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프라이밍 밀봉체(134), 및 디스크 밀봉체(128)는 트리거 챔버(150)로부터의 유체가 그 상단부 및 하단부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트리거 피스톤(133)의 2개의 디스크 밀봉체(126,128)는 트리거 배럴 벽(145)과 트리거 피스톤(133) 사이에 슬라이딩 밀봉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라이밍 밀봉체(134)는 트리거 피스톤(133)과 트리거 배럴 벽(145)의 더 좁은 섹션 사이에 슬라이딩 밀봉체를 생성할 수 있다. 트리거 캡(123)은 트리거 배럴(131)의 개방 단부에 연결되어 닫힐 수 있다.
출구 포트(132)는 트리거 배럴(131)의 "전방" 단부(즉, 장치(100)의 바늘 커넥터 단부(130)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출구 포트(132)는 경막외 바늘(147)(도 1b)에 연결하기 위해 바늘 커넥터(148)(도 1b)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바늘 커넥터 단부(130)로 이어진다. 출구 포트(132)는 유체가 트리거 배럴(131)을 빠져나가게 하고 궁극적으로 바늘(147)을 통해 장치(100)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트리거 스프링(124)은 트리거 핀(122) 주위에 위치될 수 있고, 트리거 핀(122)과 동심일 수 있고, 트리거 피스톤(133)을 트리거 캡(123)으로부터 멀리 편향시킬 수 있다. 트리거 캡(123)은 트리거 핀홀(121) 및 벤트 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벤트 홀(120)은 트리거 핀홀(121)이 벤트 홀의 이중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선택 사항일 수 있다. 트리거 캡(123)의 벤트 홀(120)은 트리거 캡(123), 트리거 배럴(131) 및 트리거 피스톤(133) 사이에 끼어 있는 공기가 트리거 메커니즘(149)의 슬라이딩 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리거 피스톤 코어(127)와 트리거 핀(122)은 트리거 핀(122)이 트리거 핀홀(121)을 통해 수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트리거 피스톤(133) 및 트리거 배럴(131)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도 1b 내지 도 1g는 다양한 상태 또는 대안적인 도면에서 경막외 장치(100)를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도 1a에 비해, 도 1b 내지 도 1g에 더 적은 수의 요소가 표시되어 있다. 도 1b는 저장소 플런저(138)가 저장 챔버(144) 내의 유체에 의해 제한기(146)로부터 멀리 유지되는 프라이밍되지 않은 충전 상태의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된 상태에서 저장소 스프링(13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어 저장 챔버(144) 내의 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 챔버(150)와 저장 챔버(144) 사이의 유체 연통은 억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디스크 밀봉체(128)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하부 디스크 밀봉체(126)는 유체가 트리거 캡(123)을 통해 트리거 배럴(131)의 바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c는 충전 및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는 장치(100)를 도시하며, 여기서 버튼(114)은 수동으로 눌러져 트리거 피스톤(133)을 트리거 캡(123)에 대항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트리거 핀(122)이 트리거 핀홀(121)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트리거 핀(122)을 이동시킨다. 장치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딩 푸셔(111)의 축 방향 이동은 트리거 핀(12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늘 커넥터 단부(130)를 향해 축 방향으로 전진 이동될 때, 푸셔(111)는 특정 지점에서 트리거 핀(122)과 접할 것이고, 이에 의해 몸체(101)에 대한 푸셔(111)의 추가 슬라이딩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것이다. 푸셔(111)가 트리거 핀(122)과 접할 때, 대부분의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힘이 푸셔(111)로부터 장치(100)를 통해 경막외 바늘(147)로 전달될 수 있다(작동에 관해 아래 설명을 참조).
도 1d는, 경막외 바늘(147)이 경막외강에 들어가 "차단 해제"되어 제한기(146)를 가로지르는 압력 강하 및 프라이밍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트리거 피스톤(133)의 후속적인 상방 움직임을 초래한 후에 예상되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충전된 트리거된 위치에 있는 장치(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트리거 상태에서, 트리거 핀(122)은 푸셔(111)의 슬라이딩을 방지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푸셔의 슬라이딩을 전혀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푸셔(111)와 몸체(101) 사이의 마찰력을 제외하고 (축 방향으로의) 힘 전달은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푸셔(111)와 바늘(147) 사이에서 방지되고, 그에 의해 바늘(147)이 경막외강으로 더 전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e 및 도 1f는 장치(100)의 구성 부품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1e는 단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g는 조립된 장치(10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유지한다.
도 2는 푸셔(211)가 연장된 날개(212)를 갖는 조립된 상태의 유사한 경막외 장치(20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 날개는 바늘 커넥터(148, 이 이미지에는 표시되지 않음)와 밀접하게 정렬되어 사용자에게 향상된 핸들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장치(100)와 유사한 경막외 장치(300)를 예시하지만, 장치(300)는 장치를 프라이밍하기 위해 트리거 피스톤을 누르는 데 푸셔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르게 프라이밍될 수 있다. 도 3a는 프라이밍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장치(300)를 도시한다. 장치(300)는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단일 구성요소인 트리거 피스톤(352), 프라이밍 램프(351) 및 리셋 램프(353)를 갖는 푸셔(311)를 포함한다. 트리거 피스톤(352)은 위의 트리거 메커니즘(149)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장치(300)는 푸셔(311)를 전방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프라이밍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프라이밍 램프(351)는 트리거 피스톤(352)의 프라이밍 버튼(315)과 결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 3b에 도시된 프라이밍된 상태로 그를 아래로 밀어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 핀(122)은 트리거 홀(121) 외부로 연장되어 푸셔(311)의 전방 슬라이딩을 방지함으로써 푸셔(311)로부터 장치(300)를 통해 경막외 바늘(147)(미도시)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도 3c는, 트리거 피스톤(352)이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허용되어 트리거 핀(122)이 푸셔(311)와 결합되지 않고, 바늘(147)을 상당히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혀 전진시키지 않고 푸셔(311)가 앞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허용하는 트리거 상태의 장치를 도시한다. 장치는 필요에 따라 트리거 피스톤(352)을 조작하기 위해 리셋 램프(353)를 활용하여 트리거 메커니즘을 가로질러 푸셔를 뒤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리셋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장치(100,300)와 유사한 다른 경막외 장치(400)를 도시한다. 장치(400)는 트리거 피스톤(452)을 프라이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푸셔(411)를 포함하며, 이 경우에는 슬라이딩 푸셔(411)를 바늘 커넥터 단부(130)로부터 멀리 잡아당김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4a는 슬라이딩 푸셔(411)가 뒤로 당겨지고 프라이밍 램프(451)가 트리거 피스톤(452)의 프라이밍 버튼(415)과 결합하여 프라이밍된 상태로 그것을 아래로 밀어내고, 그에 의해 트리거 핀(122)이 푸셔(411)에 형성된 숄더(413)와 접할 수 있도록 트리거 핀(122)이 트리거 핀홀(1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한다. 도 4b는 또한 프라이밍된 상태에 있지만, 트리거 핀(122)이 숄더(413)에서 푸셔(411)와 결합하는 정도로 슬라이딩 푸셔(411)가 전방으로 밀려져 바늘 커넥터 단부(130)를 향한 푸셔(411)의 추가 이동이 억제되거나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푸셔(411)로부터 장치(400)를 통해 경막외 바늘(147)(미도시)로 미는 힘의 대부분이 전달되어 바늘(147)이 경막외강으로 전진될 수 있다. 도 4c는 바늘(147)이 경막외강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인한 압력 감소가 핀(452)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하여, 트리거 핀(122)이 더 이상 숄더(413)와 결합하지 않도록 하는 트리거 상태의 장치를 도시한다. 그 결과, 푸셔(411)는 바늘 커넥터 단부(130)를 향해 더 슬라이딩할 수 있고 바늘(147)의 전진이 억제되거나 방지된다. 도 4c에서, 푸셔(411)는 바늘 커넥터(132)를 향해 완전히 이동되었다.
전술한 장치 각각은 저장 챔버의 바이어싱 메커니즘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유체로 충전될 수 있는 저장 챔버를 포함한다. 제한기 이전에 유체를 가압하기 위해 저장 챔버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예를 들어 충전 포트(140)는 밸브(104)로부터 제한기(146)로 연장될 수 있고, 몸체(101)와 물리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즉, 포트(140)는 몸체(101)의 길이를 통해 제한기(146)까지 연장될 수 있음). 충전 포트(140)는 예를 들어 가압된 유체 라인(즉, 일 방향 밸브(104)로 이어지는)에 연결됨으로써 가압될 수 있다. 이것은 저장 챔버(144)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장치(100)와 유사한 다른 경막외 장치(500)를 도시한다. 이 버전에서, 저장 챔버는 도 1a와 관련하여 설명된 충전 포트(140) 대신에 장치 전면의 포트(132)를 통해 충전된다. 따라서 장치(500)는 내부에 그러한 충전 포트(140)가 규정되지 않은 플런저(53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500)에는 일 방향 밸브(104) 및 충전 커넥터(102)가 필요하지 않다. 유체는 저장소 플런저(538)를 뒤로 잡아당김으로써 트리거 챔버(150)와 일 방향 밸브(555)를 통해 저장소(144)에 들어갈 수 있다. 기능적으로, 이 장치는 장치(100)와 유사하다.
차압 설계
도 6a 내지 도 6c는 차압 트리거 메커니즘(649)을 이용할 수 있지만, 장치(100)와 유사한 또 다른 경막외 장치(600)를 도시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트리거 스프링은 비교적 넓은 저장소 커넥터(666)에 의해 주사기 저장 챔버(144)에 연결된 트리거 저장소(665)로 대체되었다. 트리거 피스톤(652)은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고 바닥에서 트리거 캡(623)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장치(100)와 유사하게, 트리거 챔버(650)는 프라이밍 밀봉체(634) 및 상부 디스크 밀봉체(628)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트리거 저장소(665)는 하부 디스크 밀봉체(626)와 트리거 저장소 밀봉체(668), 뿐만 아니라 트리거 캡(623) 및 그와 관련된 트리거 캡 밀봉체(667)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차압 장치(600)의 작동은 트리거 챔버(650) 및 트리거 저장소(665)로부터의 트리거 피스톤(652) 상의 차동력에 의존한다. 트리거 피스톤(652)의 수평면의 크기는 트리거 챔버 면(660)에 대해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트리거 저장소 면(661)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으며, 이는 챔버(650,144)가 동일하거나 거의 동등한 압력에 있을 때 차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장치의 작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추가 설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유사하지만 2개의 피스톤 핀(772)을 사용하는 또 다른 경막외 장치(700)를 도시하며, 상기 피스톤 핀은 가압될 때 장치(700)의 상부 및 하부 모두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푸셔(711)가 핀(772)에 접하면, 푸셔(711)의 전방 이동을 억제하거나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핀과 푸셔 사이의 접촉각은 피스톤 핀이 챔버의 압력 변화에 응답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막외강에 도달하면, 장치가 감압되어 피스톤 핀(772)이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푸셔(711)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7a는 피스톤 핀(772)이 수축된 상태에서 프라이밍되지 않은 상태의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7b는 피스톤 핀(772)이 연장되고 푸셔(711)의 전진 이동을 정지시키는 프라이밍된 상태의 장치(700)를 도시한다. 도 7c는 트리거된 상태에 있고 푸셔가 완전히 앞으로 슬라이딩된 장치(700)를 도시한다. 프라이밍된 장치가 차단되지 않을 때(예를 들어, 경막외 바늘(147)(도시되지 않음)이 경막외강으로 들어가는 결과), 내부 챔버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고 피스톤 핀(772)이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어 푸셔(711)가 앞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8a 및 8b는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다른 경막외 장치(800)를 도시한다. 경막외 장치(800)는 내부에 형성된 슬릿(881)을 갖는 주사기 몸체(801)를 포함한다. 몸체(801)는 내부에 동축으로 제공된 튜브(882)를 갖는다. 슬릿(881)은 몸체(80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된 푸셔(811)의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푸셔(811)는 튜브(882)의 외주에 제공된 링(883)을 포함한다. 링(883)은 튜브(882)를 따라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슬릿(881)을 통해 몸체(801) 외부로 연장되는 2개의 날개(812)가 연결될 수 있다. 푸셔(811)는 날개(812)에 힘을 가함으로써 몸체(801) 내부에서 동축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튜브(882)는 튜브(882)를 빠져나가고 구멍을 둘러싸는 멤브레인(885)으로 들어갈 수 있는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884)을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은 가압에 반응하여 팽창 및 수축할 수 있으며, 도 8a에서 팽창된(가압된) 상태로 도시된다.
경막외 주사 바늘(147)(도시되지 않음)이 경막외강에 들어갈 때, 압력 상실은 멤브레인(885)이 수축되도록 하여 링(883) 및 이에 따른 푸셔(81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푸셔(811)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 멤브레인 위로 미끄러짐에 따라, 푸셔(811)에 가해진 힘의 대부분은 바늘(147)로 전달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바늘(147)의 추가 전진이 억제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경막외 장치(9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장치(800)와 유사하게, 장치(900)는 내부에 형성된 슬릿(981)을 갖는 주사기 몸체(901)를 포함한다. 몸체(901)는 내부에 동축으로 제공된 튜브(982)를 갖는다. 슬릿(981)은 몸체(90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된 푸셔(911)의 종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푸셔(911)는 튜브(982)의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992)를 포함한다. 슬리브(992)는 튜브(982)를 따라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슬릿(981)을 통해 몸체(901) 외부로 연장되는 2개의 날개(912)가 연결될 수 있다. 푸셔(911)는 날개(912)에 힘을 가함으로써 몸체(901) 내부에서 동축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튜브(982)는 유체가 구멍을 둘러싸는 튜브(982)의 가요성 또는 순응성 섹션(991)을 향해 튜브(982)를 빠져나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984)을 가질 수 있다. 가요성 섹션(991)은 플라스틱 또는 다른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유체 압력의 증가에 노출될 때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휘어질 수 있다.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튜브(982) 내의 압력은 장치(900)가 유체로 채워지고 바늘(147)(도시되지 않음) 밖으로 흐르는 흐름 또는 실질적인 저항이 없을 때 증가할 수 있다. 가압될 때, 가요성 섹션(991)은 섹션(991)을 둘러싸는 푸셔 슬리브(992)에 대해 가압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푸셔 슬리브(992)와 가요성 섹션(991) 사이에 마찰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푸셔(91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912) 상의 힘 적용에 응답하여 바늘의 전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는 도 9a에 도시되어 있고, 도 9c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경막외 공간에 도달하면, 장치(900) 내의 압력이 감소되어 가요성 부분(991)이 붕괴되고 이에 의해 슬리브(992)가 분리된다. 이 트리거된 상태의 장치(900)는 도 9b에 도시되어 있고, 도 9d에서 상세하게 볼 수 있다. 슬리브(992), 및 이에 따라 해제된 푸셔(911)는 바늘(147)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바늘의 추가 전진이 중지된다.
바늘(147)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임의의 장치와 물리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압력 상실 설계의 작동(도 1-5)
경막외 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100,300,400,500)는 다수의 유사한 특징을 갖고; 따라서 그들의 작동은 유사하다. 장치(300,400,500)에 대한 설명은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은 기능으로 제한된다.
트리거 피스톤(133)이 트리거 배럴(131)의 상단에 있을 때, 트리거 핀(122)은 트리거 캡(123)의 외면 내에서 후퇴되어 푸셔(111)의 슬라이딩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프라이밍되지 않거나 트리거된 위치이며 장치의 기본 상태이다. 이 위치에서 제한기(146)는 트리거 피스톤(133)의 2개의 디스크 밀봉체들(126,128) 사이의 공간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저장 챔버(144)와 트리거 챔버(150) 사이의 유체 흐름은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트리거 피스톤(133)이 트리거 배럴(131)의 하단부에 있을 때 트리거 핀(122)은 트리거 캡(123)의 외면을 넘어 연장되어 푸셔(111)의 전진 슬라이딩 운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프라이밍된 위치로 지칭된다. 장치(100,500)에서 트리거 피스톤(133)을 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프라이밍 버튼(114)을 눌러 트리거 스프링(124)을 압축할 수 있다. 피스톤은 푸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푸셔를 뒤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장치(300,400)에서 이러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제한기(146)는 트리거 챔버(150)와 정렬되어 각각 저장 챔버(144)와 트리거 챔버(144,150)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한다.
장치가 유체로 대부분 또는 완전히 채워지고 바늘 커넥터 단부(130)에서 출구 포트(132)에 부착된 경막외 바늘(147)이 차단되거나 유체의 유출에 대해 충분히 저항이 있을 때(예를 들어, 바늘(147)이 조밀한 인대 내에 있을 때), 제한기(146)를 통한 흐름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을 수 있으므로 저장 챔버(144)로부터 트리거 챔버(150)로의 압력 강하가 없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 챔버(150)의 챔버 압력으로 인한 힘은 트리거 메커니즘(149)을 프라이밍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경막외 주사 바늘(147)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즉, 유체 유출에 대한 저항이 충분히 감소할 때), 제한기를 통한 흐름이 발생할 수 있고, 제한기(146)를 가로질러 상응하는 압력 강하가 발생하여 트리거 챔버(150)의 압력이 저장 챔버(144)에 대해 감소한다. 트리거 챔버(150)의 압력이 트리거 스프링(124)을 압축하고 트리거 피스톤(133)을 프라이밍된 위치에 유지하는 데 필요한 압력 아래로 떨어질 때, 트리거 스프링(124)은 트리거 피스톤(133)을 트리거된 위치로 누를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트리거 핀(122)은 슬라이딩 푸셔(111)를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차례로 경막외 바늘(147)이 경막외강으로 추가로 전진하는 것을 자동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한기(146)는 바늘(147)로부터의 유체의 느린 유출이 장치를 촉발시키지 않고 발생할 수 있는 크기이다. 이것은 바늘(147)이 경막외강에 들어가기 전에 장치(100)가 트리거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압 경막외 장치의 작동(도 6)
장치(600)가 유체로 채워지고 프라이밍되면, 그리고 경막외 바늘(147)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될 때, 예를 들어 바늘 선단이 인대에 있는 것과 같이, 흐름이 없거나 거의 없으므로 제한기(146)를 가로질러 압력 강하는 없다(또는 무시할 수 있는 수준). 그 결과, 트리거 저장소(665)와 트리거 챔버(650) 압력은 거의 동일하다. 챔버(665,650) 압력이 같을 때, 트리거 챔버 면(660)의 더 큰 면적으로 인해, 트리거 피스톤(652)의 트리거 챔버(650) 측에 더 큰 힘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600)는 프라이밍된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이 위치에서, 트리거 핀(622)은 푸셔의 축 방향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장치가 유체로 채워지거나 거의 채워지는 동안, 경막외 바늘이 "차단 해제"되면(즉, 유체 유출에 대한 저항이 충분히 감소할 때), 유체 흐름이 있을 수 있고 제한기(146)를 가로질러 압력 강하가 있을 수 있으므로 트리거 저장소(665) 압력이 트리거 챔버(650) 압력보다 높을 수 있다. 압력 차이가 충분히 크면, 트리거 피스톤의 작은 면(661)(트리거 저장소)에 가해지는 힘이 큰 면(660)(트리거 챔버)에 가해지는 힘을 극복하고, 트리거 피스톤(652)은 트리거 핀(622)이 푸셔가 바늘 커넥터 단부(130)를 향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트리거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경막외 바늘(147)로부터 (예를 들어, 근육 조직으로)의 유체의 흐름이 충분히 느린 경우, 제한기를 가로지르는 압력 강하는 무시할 수 있고, 트리거 피스톤(652)의 결과적인 힘은 조기 트리거링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경막외 바늘(147)이 다시 "차단"되고 저장소(144)에 여전히 가압된 유체가 있는 경우, 트리거 피스톤(652)은 프라이밍 버튼(614)을 눌러 프라이밍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장치에 유체가 부족하면, 트리거 피스톤의 각 면에 가해지는 힘이 모두 0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트리거 피스톤(652)은 어느 방향에도 이를 구동하는 유체 압력이 없기 때문에 마지막 위치 또는 가장 최근 위치에 머무를 수 있다. 이 경우, 바늘(147)이 경막외강에 도달하더라도 장치(600)는 트리거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저장소(144)에 유체가 부족할 때, 피스톤(652)을 위쪽으로 강제하기 위해 피스톤(652)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저장소 플런저(138) 내에 경사 핀(도시되지 않음)을 통합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푸셔(111)로부터 트리거 핀(622)을 해제할 수 있다.
장치(700,800,900) 각각은 트리거 메커니즘 및 푸셔 구성의 변형을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장치(700,800,900)의 트리거 메커니즘은 유사한 트리거 응답을 달성하기 위해 도 1a 내지 1d 및 3a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기능과 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조기 트리거링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출구 포트에서 환자로의 유체 흐름을 제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경막외 장치의 자동 해제 메커니즘은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른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어떠한 이론에도 얽매이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바늘 및 주사기 장치는 다른 의료 용도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고 믿어진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자동 분리 메커니즘은, 바늘로부터 유출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을 갖는 물질로의 유출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통해 바늘을 통과시키고, 궁극적으로 낮은 저항 재료를 넘어 바늘의 원치 않는 전진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푸싱 수단이 경막외 바늘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 트리거 메카니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의 단순성과 명료성을 위해,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대응하는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 사이에 참조 번호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제시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다른 경우에, 공지의 방법, 절차 및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를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또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실시예 및 대응하는 도면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표현된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성 및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와 모듈은 이러한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연결로 추가, 삭제, 수정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위의 원리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요약된 바와 같이 이의 다양한 수정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200,300,400,500,600,700,800,900: 경막외 장치
101,801,901: 주사기 몸체 102: 충전 커넥터
103,413: 숄더 104,555: 일 방향 밸브
106: 개방 단부 109: 저장소 캡
111,211,311,411,711,811,911: 푸셔
112,212,812,912: 날개 114: 트리거 버튼
120: 벤트 홀 121: 트리거 핀홀
122,622: 트리거 핀 123,623: 트리거 캡
124: 트리거 스프링
126,128,134,142,626,628,634,667,668: 밀봉체
127: 피스톤 코어 130: 바늘 커넥터 단부
131: 트리거 배럴 132: 출구 포트
133,352,452,652: 트리거 피스톤 136: 저장소 스프링
137: 공간 138,538: 플런저
140: 충전 포트 144: 저장 챔버
145: 트리거 배럴 벽 146: 유동 제한기
147: 바늘 148: 바늘 커넥터
149,649: 트리거 메커니즘 150,650: 트리거 챔버
315,415,614: 프라이밍 버튼 351,451: 프라이밍 램프
353: 리셋 램프 660: 챔버 면
661: 저장소 면 665: 트리거 저장소
666: 저장소 커넥터 772: 피스톤 핀
881,981: 슬릿 882,982: 튜브
883: 링 884,984: 홀
885: 멤브레인 991 순응성 섹션
992: 슬리브

Claims (17)

  1. 종축이 있는 세장형 몸체,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경막외 장치로서, 상기 경막외 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챔버;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를 상기 출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구는 경막외 바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제2 챔버; 및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유동 제한기로서, 상기 유동 제한기는 상기 출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기 유동 제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챔버를 가압하기 위해 내부에 위치된 제1 바이어싱 메커니즘을 갖고;
    상기 제2 챔버는 내부에 제공된 피스톤을 갖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동 제한기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프라이밍된 위치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동 제한기를 덮고, 상기 유체가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제2 챔버를 나갈 수 있는 트리거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피스톤의 연장에 의해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슬리브가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상기 트리거된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피스톤의 연장에 의해 결합될 수 없으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막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입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 제한기 반대편에 개구를 내부에 갖고, 상기 장치는 개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연장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입구와 상기 제1 챔버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유동 포트;
    상기 제1 챔버 내에 위치된 원위 단부; 및
    상기 챔버 외부에 위치하고 입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근위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내부에 유동 제한기 반대편에 개구를 갖고, 상기 장치는 개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연장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1 챔버 내에 위치된 원위 단부; 및
    상기 챔버 외부에 위치된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챔버 내부에 그리고 챔버의 원위 단부와 챔버의 개구 중간에 있는 플런저 주위에 제공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를 채우기 위한 충전 포트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충전 포트는 상기 제2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로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일 방향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한기는 상기 장치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치를 트리거하지 않고 출구를 통해 제2 챔버를 나갈 수 있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상기 제2 챔버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바이어싱 메커니즘보다 더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그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제1 챔버를 트리거 챔버 및 저장 챔버로 분할하고 상기 트리거 챔버 및 저장 챔버에 각각 제1 및 제2 환형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저장 챔버는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동 채널을 통해 제1 챔버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상기 장치가 프라이밍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는 유동 채널의 중간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 제한기 및 트리거 챔버는 제1 챔버 및 출구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장치가 트리거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는 유동 제한기를 덮고, 상기 트리거 챔버가 제1 챔버와 유체 연통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와 상기 저장 챔버 사이에 힘 차이가 생성되도록 상기 제1 환형 표면은 상기 제2 환형 표면의 표면적보다 더 큰 표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연장부 반대편의 단부에 장치를 프라이밍하기 위해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로부터 장치의 몸체를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슬리브가 위로 슬라이딩할 때 피스톤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장치를 프라이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튼은 연장부 반대편의 피스톤의 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13. 종축이 있는 세장형 몸체,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경막외 장치로서, 상기 경막외 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 주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통로;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유체를 출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출구는 경막외 바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압력 챔버; 및
    상기 유체 통로와 압력 챔버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유동 제한기로서, 출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유동 제한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챔버는 내부에 피스톤이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유동 제한기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고, 상기 유체가 유체 통로와 압력 챔버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프라이밍된 위치와,
    상기 피스톤이 유동 제한기를 덮고, 상기 유체가 출구를 통해 압력 챔버를 나갈 수 있는 트리거된 위치와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프라이밍된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피스톤의 연장에 의해 결합되어 슬리브가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트리거된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피스톤의 연장에 의해 결합될 수 없으며 상기 슬리브는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막외 장치.
  14. 종축이 있는 세장형 몸체, 입구 및 출구를 갖는 경막외 장치로서, 상기 경막외 장치는,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 유체를 연통시키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챔버를 갖고, 상기 출구는 경막외 바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몸체;
    상기 챔버를 가압하기 위한 바이어싱 메커니즘; 및
    상기 슬리브를 결합하기 위한 트리거 메커니즘으로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챔버 내에 포함되고 챔버 내의 압력 감소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트리거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가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리거 메커니즘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트리거 메커니즘에 의해 결합될 수 없고 상기 슬리브는 출구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막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은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제1 단부가 바이어싱 메커니즘에 의해 작용될 수 있도록 챔버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단부는 몸체를 통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단부는 슬리브가 제2 단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장치가 제1 위치일 때보다 몸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상기 슬리브가 제2 단부에 의해 결합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은 바이어싱 메커니즘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팽창 가능한 멤브레인은 상기 슬리브가 멤브레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정도로 팽창되고;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팽창 가능한 멤브레인은 상기 슬리브가 멤브레인에 의해 결합될 수 없는 정도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은 상기 바이어싱 메커니즘에 의해 연장될 수 있는 순응성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순응성 구성요소는 상기 슬리브가 구성요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정도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순응성 구성요소는 상기 슬리브가 순응성 구성요소에 의해 결합될 수 없는 정도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장치.
KR1020227009565A 2019-08-24 2020-08-21 경막외강의 바늘 검출 및 배치를 위한 경막외 장치 KR202200478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91313P 2019-08-24 2019-08-24
US62/891,313 2019-08-24
US202063039951P 2020-06-16 2020-06-16
US63/039,951 2020-06-16
PCT/CA2020/051147 WO2021035341A1 (en) 2019-08-24 2020-08-21 Epidural device for detection of and needle placement in epidural sp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864A true KR20220047864A (ko) 2022-04-19

Family

ID=7468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565A KR20220047864A (ko) 2019-08-24 2020-08-21 경막외강의 바늘 검출 및 배치를 위한 경막외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517677B2 (ko)
EP (2) EP4159143A1 (ko)
JP (1) JP2023500770A (ko)
KR (1) KR20220047864A (ko)
AU (1) AU2020339858A1 (ko)
BR (1) BR112022003536A2 (ko)
CA (1) CA3148709A1 (ko)
IL (1) IL290822A (ko)
WO (1) WO2021035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5341A1 (en) * 2019-08-24 2021-03-04 Guidestar Medical Devices Epidural device for detection of and needle placement in epidural spa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0389A (en) * 1994-08-09 1996-01-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combined spinal-epidural needle
GB0301934D0 (en) * 2003-01-28 2003-02-26 Sundar Satish Delivery apparatus and location method
MX2008011713A (es) * 2008-09-12 2010-03-12 Hector De Jesus Velez Rivera Dispositivo localizador del espacio epidural.
TWI572387B (zh) * 2014-11-21 2017-03-01 羅文甫 注射器定位裝置
US11517683B2 (en) 2017-05-10 2022-12-06 Flatmed, Llc. Syringe for detecting pressure change
WO2021035341A1 (en) * 2019-08-24 2021-03-04 Guidestar Medical Devices Epidural device for detection of and needle placement in epidural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7558A1 (en) 2022-06-29
CA3148709A1 (en) 2021-03-04
BR112022003536A2 (pt) 2022-05-24
EP4017558A4 (en) 2023-08-23
IL290822A (en) 2022-04-01
AU2020339858A1 (en) 2022-03-31
US20220265936A1 (en) 2022-08-25
EP4159143A1 (en) 2023-04-05
JP2023500770A (ja) 2023-01-11
US20230068728A1 (en) 2023-03-02
US11517677B2 (en) 2022-12-06
WO2021035341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5571T3 (es) Dispositivo médico combinado con conexión frontal deslizante y aguja retráctil
CN105107064B (zh) 流体输送装置针收回机构、筒及可扩张液压流体密封件
US9320469B2 (en) Retractable needle for blood gas sampling
CN110290745B (zh) 可侦测压力变化的注射器
US10765815B2 (en) Retractable needle syringe
US1011767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afely positioning a needle syringe in a body cavity
EP3681561B1 (en) Sliding syringe cap for separate filling and delivery
AU2013399611B2 (en) Medical device with sliding frontal attachment and retractable needle
US10709847B2 (en) Retractable needle syringe with unitary propellant release module
KR20220047864A (ko) 경막외강의 바늘 검출 및 배치를 위한 경막외 장치
US20060106339A1 (en) Medical device
WO2013171886A1 (ja) 薬剤注入具
CN111107895B (zh) 具有整体管密封的体液收集装置
US10376656B2 (en) Side-angle decapping of pre-filled syringe
GB2556091A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system
US20230086278A1 (en) Patient training device for use with a safety syringe inj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