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642A - 카트리지 시스템 및 카트리지 시스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시스템 및 카트리지 시스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642A
KR20220047642A KR1020227009298A KR20227009298A KR20220047642A KR 20220047642 A KR20220047642 A KR 20220047642A KR 1020227009298 A KR1020227009298 A KR 1020227009298A KR 20227009298 A KR20227009298 A KR 20227009298A KR 20220047642 A KR20220047642 A KR 20220047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rtridge
cartridge system
line par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 그뤼거
군터 엠플
Original Assignee
프리지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지오 아게 filed Critical 프리지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4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2Details of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43Mixing devices for liquids
    • B67D1/0044Mixing devices for liquids for mixing inside the dispensing nozzle
    • B67D1/0046Mix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78Ingredient cartridges
    • B67D1/0079Ingredient cartridges having their own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4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2001/0814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for upside dow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제조 기계(3)에 도입될 수 있는,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한 카트리지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음료 원료(7)로 충진되는 저장부(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2), 및 카트리지(2)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에 관한 것이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저장부(6)에 유체 연결될 수 있는 혼합 챔버(8), 및 혼합 챔버(8) 내로 개방되는 유체 공급부(12)를 구비한다. 혼합 챔버(8)는 음료 원료(7)와 혼합 챔버(8) 내에 유체 공급부(12)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음료(70)를 분배하는 음료 토출구(11)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 토출구(11)는 관형 라인 부품(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라인 부품(30)의 주 연장 방향(31)이 카트리지(2)의 종축(32)에 대해 소정의 각도(α; 33)로 진행되도록 라인 부품(30)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시스템 및 카트리지 시스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카트리지 시스템으로서, 카트리지 시스템은 음료 제조 기계에 삽입될 수 있고, 음료 원료로 충진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구비하며,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저장부에 유체 연결될 수 있는 혼합 챔버, 및 혼합 챔버 내로 개방되는 유체 공급부를 구비하며, 혼합 챔버는 음료 원료 및 혼합 챔버 내에 유체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토출구를 구비하고, 음료 토출구는 관형 라인 부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선행 기술, 예를 들어 문헌 WO 2017/121802 A1, WO 2017/121801 A1, WO 2017/121801 A1, WO 2017/121799 A1, WO 2017/121798 A1, WO 2017/121797 A1, WO 2017/121796 A1, 및 WO 2019/002 293 A1에 공지되어 있고, 사전-분할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 시스템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는 사용자가 카트리지를 삽입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굉장히 편리하다. 다음으로, 음료 제조 기계는 완전 자동화 방식으로 음료의 제조를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특히 음료 원료가 미리 결정된 양의 액체, 특히 저온 탄산수와 혼합되어 음용 용기에 도입된다. 이를 통해, 특히 혼합 음료가 훨씬 더 용이하게, 신속하게, 사용자의 더 적은 수고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수의 상이한 카트리지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요망된 대로 상이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주요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단 하나의 단일 음료 제조 기계 및 상이한 카트리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에 있고, 이들 각각은 시각적으로 및 미각적으로 매력적인 방식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맥주와 같은 일부 유형의 음료의 경우, 제조되는 음료의 표면 상의 약간의 발포가 바람직한 반면, 차와 같은 다른 음료의 경우, 발포가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맥주 및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경향이 있는 유형의 음료의 경우, 제조된 음료가 사용자의 유리잔 또는 음용 용기에 부어질 때 과도한 발포가 없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력적인 외형 및 맛을 갖는 음료의 제조를 달성하고 특히 상이한 음료 원료의 상이한 거품 형성을 고려하는, 음료 제조 기계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선행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은 라인 부품 및 그에 따라 음료 토출구가 종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진행되고, 그에 따라 종축에 대해 기울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음용 용기의 방향으로 음료 토출구로부터 방출되는 음료 분배 제트가 소정의 각도로 음료의 표면에 부딪치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과도한 발포를 방지한다. 특히, 이 경우, 각도(α)가 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5°,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로 진행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관형 라인 부품"이라는 용어는 특히 라인 부품이 유동 방향에 수직으로 폐쇄되는 채널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음료가 혼합 챔버를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채널은 초기에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음료 원료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각도(α)가 4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인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음료 원료는 과도하게 발포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음료 분배 제트가 음용 용기 내로 수직으로 지향될 때 음용 용기 내에 너무 많은 거품을 초래한다. 상기 언급된 한계치 내에서 각도(α)를 구현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발포 감소 및 그에 따라 음용 용기 내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음료로 이어진다. 특히, 70 내지 80°의 각도(α)는 음료 분배 제트가 음용 용기의 벽에 지향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이는 발포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각도(α)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5±2°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음료 원료가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는 경우, 각도(α)가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40°인 것이 제공된다. 주 연장 방향과 종축 사이의 이러한 "더 평탄한" 각도는,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과 같은 더 적게 발포하는 경향이 있는 음료 원료의 경우, 음료 분배 제트의 약간 더 "수직" 정렬을 실현하여 가볍고 부드러운 발포를 제공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각도(α)가 라인 부품의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특히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이 제공된다.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초기에 20 내지 60°의 더 작은 각도(α) 및 이어서 70 내지 80°의 더 큰 각도(α)가 음료의 주 유동 방향으로 구현되고 음료 분배 제트가 그에 따라 지향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관형 라인 부품이 이의 진행 중에 절곡부 또는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 또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 또는 상기에 설명된 카트리지 시스템에서, 라인 부품이 타원형, 원형, 각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사다리꼴, 별모양, 슬릿형, 및/또는 환형 형태의, 주 연장 방향에 수직인 내부 단면을 가지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서도, 다양한 음료 원료의 상이한 발포 거동이 고려될 수 있다. 단면의 형상이 바람직하게는, 특히 각형 또는 슬릿형 형상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까지, 라인 부품의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히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타원형,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비교적 개방된 단면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 같은 저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삼각형, 슬릿형, 또는 환형 형상이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인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주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 또는 선단 형태의, 거품 기포를 파열하기 위한 내부 윤곽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거품 기포는 특히 이와 같은 날카로운 에지 또는 선단과의 접촉시 파열되어, 발포 또는 거품 비율을 감소시킨다. 이는 특히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바람직하다. 내부 윤곽의 형상이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별모양 내부 단면의 경우, 별의 에지들이 바람직하게는 거품 기포를 파열하기 위한 내부 윤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 또는 상기에 설명된 카트리지 시스템에서, 라인 부품이 주 연장 방향에 수직인 내부 단면을 가지고, 이의 단면적이 라인 부품의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특히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이 제공된다. 단면적은 특히 5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25 ㎟이다. 음료 원료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단면적, 특히 형상 또는 면적이 변화될 때, 주 연장 방향은 특히 라인 부품의 하부벽의 진행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음료 원료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단면적이 5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50 ㎟인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음료 원료가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는 경우, 단면적이 10 내지 125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인 것이 추가로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더 큰 개구 단면적이 음용 용기 내의 발포 감소로 이어지는 반면,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 같은 저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더 작은 단면적이 낮고 매력적인 발포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 또는 상기에 설명된 카트리지 시스템에서, 라인 부품이 2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의, 주 연장 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음료 원료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길이가 1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인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음료 원료가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는 경우, 길이가 2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인 것이 추가로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더 큰 길이가 음용 용기 내의 발포 감소를 보장하는 반면,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 같은 저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더 작은 길이가 낮고 매력적인 발포를 초래한다.
원칙적으로, 특히, 단면의 형상 및/또는 각도(α) 및/또는 단면적 및/또는 길이가 각각의 경우 음료 원료의 함수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혼합 및/또는 난류 요소가 라인 부품 내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유체로 음료, 특히 음료 원료를 추가로 선회 및 혼합하는 것이 라인 부품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 및/또는 난류 요소는 특히 음료 유동이 라인 부품을 통과할 때 튀어오르게 하여 추가 난류를 보장하는 배플 요소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 같은 저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음료 토출구가 전적으로 관형 라인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구현예에서, 카트리지 시스템, 특히 음료 제조 기계는 유리하게는 음용 용기를 향해 음료를 지향시키는 임의의 추가 구성요소를 구비하지 않는다. 혼합 챔버에서 나오는 음료는 전적으로 관형 라인 부품을 통해 흐르고, 거기서부터 직접 음료 분배 제트로서 음용 용기 내로 또는 음용 용기의 벽 상으로 흐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 또는 상기에 설명된 카트리지 시스템에서, 라인 부품이, 공기 투과성, 특히 다공성이거나 적어도 1개의 릴리프 개구에 의해 관통되는 벽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압력 완화가 이미 라인 부품에서 일어나고, 그로 인해 보다 지속적인 압력 감소가 일어나며 발포 증가가 방지된다. 유리하게는,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라인 부품 내의 보다 지속적인 압력 감소는 음용 용기 내의 발포 감소를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벽의 다공성 및/또는 벽의 릴리프 개구들의 개수 및/또는 릴리프 개구들의 직경은 라인 부품의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거나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 라인 부품이 바람직하게는 주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 또는 선단 형태의, 거품 기포를 파열하기 위한 내부 윤곽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라인 부품과 관련하여 상기에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 라인 부품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거품 기포를 파열하기 위한 내부 윤곽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거품 기포는 이와 같은 에지 또는 선단, 특히 날카로운 에지 또는 선단과 접촉할 때 파열되어, 발포 또는 거품 비율을 감소시킨다. 이는 특히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바람직하다. 내부 윤곽의 형상이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별모양 내부 단면의 경우, 별의 에지들이 바람직하게는 거품 기포를 파열하기 위한 내부 윤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 라인 부품이, 공기 투과성, 특히 다공성이거나 적어도 1개의 릴리프 개구에 의해 관통되는 벽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압력 완화가 이미 라인 부품에서 일어나고, 그로 인해 보다 지속적인 압력 감소가 일어나며 발포 증가가 방지된다. 유리하게는,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라인 부품 내의 보다 지속적인 압력 감소는 음용 용기 내의 발포 감소를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벽의 다공성 및/또는 벽의 릴리프 개구들의 개수 및/또는 릴리프 개구들의 직경은 라인 부품의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거나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 라인 부품이, 공기 투과성, 특히 다공성이거나 적어도 1개의 릴리프 개구에 의해 관통되는 벽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벽의 다공성 및/또는 벽의 릴리프 개구들의 개수 및/또는 릴리프 개구들의 직경이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바람직하게는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음료 토출구가 유동 방향으로 관형 라인 부품에 인접하는 추가 라인 부품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 변형예에서, 음료 토출구는 특히 라인 부품 및 추가 라인 부품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 라인 부품이, 일측에서 개방되는, 특히 상측에서 개방되는 채널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큰 압력 손실이 이미 라인 부품으로부터 추가 라인 부품으로의 전이부에서 달성되고, 그에 따라 특히 음료 원료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과도한 발포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 라인 부품이, 타원형, 원형, 각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사다리꼴, 별모양, 슬릿형, 및/또는 환형 형상의, 주 연장 방향에 수직인 내부 단면을 갖는 폐쇄 채널인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 라인 부품이 추가 라인 부품의 주 연장 방향이 카트리지의 종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β)가 되도록 구성되고, 각도(
Figure pct00001
)가 각도(α)와 같지 않은 것이 제공된다. 특히 음료 원료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각도(β)가 각도(α)보다 큰 것을 고려할 수 있고, 특히 음료 원료가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는 경우, 각도(β)가 각도(α)보다 작은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음료 원료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특히 각도(α)가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5°,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이고, 각도(β)가 4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인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 라인 부품이 2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의, 주 연장 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음료 원료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라인 부품이 2 내지 10 ㎜의, 주 연장 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고, 추가 라인 부품이 10 내지 20 ㎜의, 주 연장 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음료 토출구가 음료 원료에 맞게 조정되는 유동 저항을 가지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특히 음료 원료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라인 부품이 추가 라인 부품의 유동 저항과 상이한 유동 저항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라인 부품의 유동 저항이 추가 라인 부품의 유동 저항보다 큰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카트리지가 컵형 본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컵형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딥-드로잉(deep-drawing)에 의해 제조되고, 이는 유리하게는 비교적 저렴하며 신속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특히, 카트리지는 반드시 일측에서 기밀 밀봉되고, 그로 인해 카트리지의 특히 안정된 구성이 실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일측에서 카트리지 하면에 의해 폐쇄되는 원통형 카트리지 벽을 갖는 컵형이고, 카트리지 벽 및 카트리지 하면은 특히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카트리지 벽 및 카트리지 하면이 일체형으로, 특히 둘 다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본체가 알루미늄 시트로 딥-드로잉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딥-드로잉에 대한 대안으로, 본체는 또한, 종방향 심을 갖는 본체를 제조하기 위해, 알루미늄 시트를 원통형 관으로 절곡시킨 후, 관으로 절곡된 알루미늄 시트의 접경측들을 함께 접착, 용접, 및/또는 압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면은 특히 추가 알루미늄 시트의 딥-드로잉 또는 충격 압출에 의해 별개의 뚜껑 몸체로 형성된다. 이후, 별개의 뚜껑 몸체로 구성되는 이러한 카트리지 하면은, 관을 향해 절곡되며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반대편에 대향하는 카트리지 벽의 단부 상에서 슬립될 수 있고, 거기서 카트리지 벽에 원주상으로 접착, 용접, 및/또는 압착될 수 있다. 특히, 뚜껑 몸체는 관형 카트리지 벽 상에 크림핑되어 카트리지 하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체가 초기 위치에서 밀봉 요소에 의해 카트리지 하면의 반대편에 있는 측에서 폐쇄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밀봉 요소는 음료 원료가 음료 제조 과정의 시작 전에 저장부 내에 유지되고, 여기서 긴 유통기한 및 지속적인 풍미를 위해 기밀 밀봉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가 관통-개구를 갖는 특히 경질 또는 반경질 밀봉체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밀봉 요소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며 본체에 부착된다. 밀봉체가 본체에 크림핑, 접착, 클램핑, 용접, 및/또는 압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관통-개구는 밀봉체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거나 중앙에 형성된다. 따라서, 밀봉체는 원반형 및/또는 링형이다. 대안적으로, 밀봉체가 또한 컵형이고, 컵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외주 부분이 카트리지 벽과 평행하게 진행되며 카트리지 벽의 이 부분에 압착되거나 크림핑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컵 기저부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은 카트리지에 심미적으로 매력적인 외형을 제공하기 위해 카트리지 벽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가 카트리지 시스템의 초기 위치에서 관통-개구를 폐쇄하는 밀봉 포일을 포함하고, 밀봉 포일이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포일, 알루미늄 포일, 또는 플라스틱 및/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다층 포일인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밀봉체의 관통-개구에도 불구하고, 저장부의 기밀 밀봉이 달성되고, 음료 제조 과정 중에, 가능한 한 신속하게 저장부로부터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혼합 챔버 내로 음료 원료를 전달하기 위해, 밀봉 포일이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관통 스파이크(하기 참조)에 의해 용이하게 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포일의 원주상 에지가 밀봉 요소에 부착, 특히 접착, 밀봉, 및/또는 용접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가 특히 카트리지 벽의 에지에 부착되는 밀봉 포일,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포일, 알루미늄 포일, 또는 플라스틱 및/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다층 포일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구현예에서, 밀봉 요소가 추가 밀봉체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의 개구가 카트리지 벽의 에지에 직접 부착되는 밀봉 포일에 의해 직접, 특히 전적으로 기밀 밀봉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의 원주상 외주 체결 영역이 카트리지 벽, 특히 카트리지 벽의 에지에 크림핑, 접착, 밀봉, 및/또는 용접된다.
체결 영역이 카트리지 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카트리지 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밀봉 포일은 또한 컵형으로 성형되거나 형성된다. 밀봉 포일이 또한 이러한 형상으로 딥-드로잉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연결 수단, 특히 래칭 비드, 래칭 벌지, 또는 언더컷이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카트리지를 연결하기 위해 카트리지 벽의 에지에 특히 원주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특히 연결 수단에 상보적이며 연결 수단에 형상-끼워맞춤, 강제-끼워맞춤, 및/또는 재료-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되는 계합 연결 수단, 특히 추가 래칭 비드, 래칭 벌지, 또는 언더컷을 구비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리셉터클 사이의 안정되고 저렴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체결 영역이 연결 수단과 계합 연결 수단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 특히 제자리에 클램핑, 용접, 및/또는 접착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밀봉 요소, 특히 밀봉체의 에지 또는 밀봉 포일의 에지가 음료 제조 과정 중에 연결 수단과 계합 연결 수단 사이에, 즉 양측으로부터 추가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밀봉 요소가 카트리지 벽으로부터 탈착됨 없이 비교적 큰 과압이 저장부 내부에 발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체결 영역이 카트리지 벽의 내부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카트리지 벽의 에지가 체결 영역과 카트리지 리셉터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연결 수단은 체결 수단과 계합 연결 수단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서도, 특히 안정된 연결이 본체, 카트리지 리셉터클, 및 밀봉 요소 사이에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구현예의 바람직하게는 원주상의 연결 수단 및 계합 연결 수단은 또한 래칭 비드, 래칭 벌지, 언더컷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밀봉 요소의 체결 영역과 밀봉 포일의 에지 영역 모두가 연결 수단과 계합 연결 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기본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유리하게는 저비용 제조를 달성한다. 특히, 기본 구조는 컵형 구성을 가지며, 이의 개방측이 카트리지의 방향으로 정렬되고, 음료 토출구 및 외향 개방 스파이크 가이드가 카트리지의 반대편에 있는 하측에 형성되며, 유체 공급부가 기본 구조의 측벽 또는 하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유체 공급부가 카트리지의 저장부 내로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저장부로부터 분리된 혼합 챔버 내로 개방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유체 공급부가 음료 제조 과정 중에 음료 제조 기계의 역오염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런 목적으로, 유체가 저장부에 흘러내리는 것이 아니라, 음료 원료 및 유체가 서로 따로따로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혼합 챔버에 들어간다. 유체가 혼합 챔버 내로 직접 유도되는 반면, 음료 원료는 유체와 독립적으로 혼합 챔버 내로 전달된다. 특히, 변위가능하게 장착된 관통 스파이크가 이런 목적으로 스파이크 가이드 내에 배치되고, 관통 스파이크는 관통 스파이크가 밀봉 포일로부터 이격되는 후퇴 위치와 관통 스파이크가 밀봉 포일을 관통하며 저장부 내로 돌출되는 연장 위치 간에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시스템의 초기 상태에서, 관통 스파이크는 저장부가 밀봉 포일에 의해 기밀 밀봉되도록 후퇴 위치에 있고, 카트리지의 밀봉 요소를 개방하기 위해 후퇴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연장 위치에서, 밀봉 요소는 관통 스파이크에 의해 천공되고, 그에 따라 음료 원료는 관통 스파이크 상의 특히 적어도 1개의 측방향 채널을 통해 밀봉 요소를 통과하여 혼합 챔버에 들어간다. 따라서, 음료 제조 기계의 사전 아로마-기밀 밀봉된 카트리지의 간단하고 신뢰할 만한 개방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히 유체 공급부에 직접 작용하는 과압이 저장부 내에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음료 제조 기계의 역오염이 방지되는 것이 밝혀졌다. 음료 제조 기계에 가역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카트리지 리셉터클 내의 혼합 챔버의 구성은 유리하게는 혼합 챔버가 교체식 카트리지 시스템의 일부가 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를 통해, 교체식 일회용 또는 재사용 카트리지 시스템의 일부만이 음료 원료와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음료 원료에 의한 음료 제조 기계의 오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시스템, 특히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방향, 특히 혼합 카트리지의 방향으로 밀봉 포일을 지지하는 적어도 1개의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특히 음료 제조 과정 중의 저장부 내의 압력 상승 중에 밀봉 포일의 파열이 방지된다. 지지 구조는 특히 혼합 챔버의 바닥으로부터 저장부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형, 교량형, 격자형, 또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하되, 밀봉 포일이 이에 부분적으로 안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관통 스파이크가 원통형 또는 절두원추형 기저부, 및 저장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관통부가 비스듬히 절단된 원뿔대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부는 비스듬히 절단된 원뿔대의 비스듬한 절단면이 실질적으로 저장부에 대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절단면의 타원형 외주는 밀봉 요소를 천공하기 위한 절단 에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한다. 원뿔대를 통한 비스듬한 절단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면은 한편으론 밀봉 요소를 용이하게 충분히 적은 힘으로 절단하고, 다른 한편으론 밀봉 요소로부터 임의의 칩 또는 느슨한 조각을 분리하지 않는 것이 밝혀졌다(그렇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음료를 오염시킬 것이다). 밀봉 요소의 천공은 유리하게는, 저장부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최대 절단 에지가 형성되는 관통 스파이크의 측에서, 밀봉 요소의 재료가 매끄럽게 절단되는 반면, 관통부의 절단면의 영역에서, 밀봉 요소의 잘라낸 재료가 남아있는 밀봉 요소와 여전히 연결되어 바람직하게는 말아 올려지거나 접혀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스파이크는 기저부와 관통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두원추형 중간부를 포함하고, 원주상 견부가 기저부와 중간부 사이에 형성되며, 원주상 에지가 관통부와 중간부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안정된 관통 스파이크가 형성된다. 에지의 형성은, 측방향 채널들이 에지에 걸쳐 연장되는 한 저장부측에서 확대된 입구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혼합 챔버의 방향으로 음료 원료의 전달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견부는 관통 스파이크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스파이크 가이드의 정지부에 접경하여, 카트리지의 방향으로 관통 스파이크의 연장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복수의 측방향 채널을 구비하고, 각각의 측방향 채널이 관통부의 영역 및 중간부의 영역에서 관통 스파이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런 맥락에서, 각각의 측방향 채널은 특히 일측에서 개방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관통 스파이크의 외표면에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채널들은 절단면의 후방에 있는 관통 스파이크의 원주상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측방향 채널들이 재료의 절단이 이루어진 밀봉 요소의 천공측이 아니라, 절단된 재료가 남아있는 밀봉 요소에 여전히 연결되어 있는 반대측에 배치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음료 원료는 비교적 방해받지 않고 측방향 채널들 내로 흐를 수 있다.
측방향 채널들의 단면 및/또는 측방향 채널들의 개수가 음료 원료의 점도에 맞게 조정되고, 그에 따라 측방향 채널들이 혼합 챔버를 향한 음료 원료의 유동을 제어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높은 점도에서는, 여러 개의 측방향 채널 또는 더 큰 단면을 갖는 측방향 채널이 사용되고, 더 낮은 높은 점도에서는, 더 적은 수의 측방향 채널 또는 더 작은 단면을 갖는 측방향 채널이 제공된다. 따라서, 각각의 카트리지에 적합한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관통 스파이크가 기저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웨브 형태의 비틀림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후퇴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관통 스파이크의 비틀림이 유리하게 방지된다. 측방향 채널들이 혼합 챔버의 음료 토출구의 반대편에 대향하는, 특히 유체 공급부에 대향하는 관통 스파이크의 측에 배치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를 통해, 혼합 챔버 내의 음료 원료와 유체의 개선된 혼합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관통 스파이크가 카트리지 소개 장치(emptying device)인 일체형 압축 공기 라인을 구비하고, 압축 공기 라인이 특히 관통 스파이크의 제1 단부에서 관통 스파이크의 제2 단부까지 관통 스파이크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3가지 기능이 유리하게 관통 스파이크에 통합된다: 1. 관통 스파이크는 밀봉 요소를 천공하여 카트리지를 개방하는 관통부를 포함한다; 2. 관통 스파이크는 음료 원료가 혼합 챔버 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측방향 채널들을 포함한다; 3. 관통 스파이크는 저장부 내로 압축 공기를 송풍하는 일체형 압축 공기 라인을 포함하고, 그 결과 음료 원료가 압력 하에 혼합 챔버 내로 강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공기원과의 연결을 위한 압축 공기 연결부가 제2 단부에 형성되고, 저장부 내로 압축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압축 공기 토출구가 제1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통합되는 카트리지 소개 장치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먼저 외부로부터 저장부 내로 압축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압축 공기 라인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음료 원료가 압축 공기에 의해 저장부로부터 혼합 챔버 내로 강제되도록 구성된다. 압축 공기는 특히 음료 제조 기계에 의해 제공된다. 카트리지 시스템이 음료 제조 기계에 삽입되자마자 압축 공기원이 압축 공기 연결부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 소개 장치가 카트리지 시스템이 삽입되는 즉시 압력 하에 있고, 그에 따라 음료 원료가 압축 공기 라인의 방향으로, 특히 음료 제조 기계의 압축 공기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음료 제조 기계의 방향으로의 역오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음료 원료는 저장부로부터 혼합 챔버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압축 공기 토출구가 절단면의 개구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저장부 내로 흐르는 공기가 측방향 채널들로부터 멀리 있는 관통 스파이크의 측에서 송풍되고, 그에 따라 음료 원료가 혼합 챔버 내로 토출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선회가 저장부 내에 발생하여 저장부의 사실상 잔여물 없는 소개를 제공한다.
압축 공기 연결부는 특히 기저부의 개구로 구성되고, 기저부는 압축 공기 연결부가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외부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리셉터클 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압축 공기 라인과 압축 공기원의 연결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스파이크 가이드가 관통 스파이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가이드 채널을 갖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의 가이드 채널이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절두원추형 방식으로 구성되며, 원주상 정지부가 카트리지에 대향하는 가이드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정지부가 저장부의 방향으로 관통 스파이크의 이동을 제한하며, 정지부가 직경 감소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후퇴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의 이동 중에 관통 스파이크의 신뢰할 만한 안내가 유리하게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리브에 대응하는 홈이 가이드 채널의 벽에 비틀림 방지 수단으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관통 스파이크의 바람직하지 않은 비틀림이 방지된다. 가이드부는 바람직하게는 혼합 챔버 내에 배치되며 혼합 챔버의 바닥으로부터 카트리지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관통 스파이크가 플라스틱 부품, 특히 사출-성형 플라스틱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비용효율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관통 스파이크가 금속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을 대안적으로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시스템이 음료 제조 기계에 삽입될 때 관통 스파이크가 음료 제조 기계의 해제 요소에 의해 후퇴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혼합 챔버가 음료 원료와 유체의 혼합물로 형성된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토출구를 구비하고, 카트리지 시스템이 바람직하게는 음료가 음료 토출구로부터 휴대용 용기 내로 직접 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유리하게는, 음료 원료나 제조된 음료가 음료 제조 기계의 어떤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음료 제조 기계의 (역)오염이 어느 정도 방지된다. 유체는 혼합 챔버에 별도로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는 압력 하에 혼합 챔버에 도입된다. 유체는 특히 음료 제조 기계에 의해 제공된다. 카트리지 시스템이 음료 제조 기계에 삽입되자마자 유체원이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대응하는 유체 연결부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유체 연결부는 이 경우 유체 라인을 통해 혼합 챔버에 유체 연결된다. 이는 유체 연결부가 카트리지 시스템이 삽입되는 즉시 압력 하에 있고, 그에 따라 음료 원료가 유체 라인의 방향으로, 특히 음료 제조 기계의 유체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음료 제조 기계의 방향으로의 역오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음료 원료 및 음료는 혼합 챔버로부터 음료 토출구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유체는 특히 물, 바람직하게는 가압, 냉각, 및/또는 탄산 함유 식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혼합 챔버가 혼합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혼합 구조는 유리하게는 음료 원료와 유체의 개선된 혼합을 보장한다. 이런 목적으로, 혼합 구조는 특히 혼합 챔버 내로 흐르는 유체가 선회되도록 구성된다. 혼합 구조가,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혼합 챔버의 바닥에서 유체 공급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혼합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혼합 리브는 유체 배리어의 역할을 하고, 그 결과 유체가 선회되며 음료 원료와의 개선된 혼합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유체 공급부에는 냉장 장치에 의해 냉각되는 유체가 공급되고, 냉장 장치는 음료 제조 기계, 또는 음료 제조 기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별개의 냉장고의 일부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카트리지가 냉각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온에 있을 때에도 저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기존의 냉장고에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은 냉장고의 기존의 냉장 장치가 음료 제조 기계를 위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용이하게 공동-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종종 미국식 냉장고로도 지칭되는) 이른바 "양문형(side-by-side)" 냉장고에서는, 시스템을 통합하기에 충분한 설치 공간이 전방에서 발견된다. 음료 제조 기계가 이와 같은 냉장고의 개량 세트(retrofitting set)인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냉장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압축기 냉각 장치, 흡수기 냉각 장치, 또는 열전 냉각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유체 공급부에는 탄산수기에 의해 탄산이 추가된 유체가 공급되는 것이 제공된다. 탄산수기가 음료 제조 기계의 일부이고, 탄산수기가 CO2 카트리지를 위한 리셉터클, 및 CO2 카트리지로부터 유체로 CO2를 추가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시스템으로 탄산 함유 청량 음료를 또한 제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산수기가 외부 CO2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도면 및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구현예들의 하기 설명에서 명확해진다. 도면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제한하지 않는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사시도, 개략적인 단면도, 및 일반적인 작동 원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4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5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세부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 항상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므로, 이들 각각은 또한 일반적으로 한 번만 언급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사시도, 개략적인 단면도, 및 일반적인 작동 원리를 도시한다.
도시된 카트리지 시스템(1)은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 기계(미도시)에 삽입되도록 제공된다. 이런 목적으로, 카트리지 시스템(1)은 특정 음료 원료(7)로 충진되는 카트리지(2), 및 카트리지(2)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을 구비한다. 음료 제조 기계(3) 내에서, 음료 원료(7) 및 하기 내용에서 유체원(41)으로 지칭되는 추가 수원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70)가 생성된다. 카트리지(2)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특정 음용분, 예를 들어 요망된 음료(70)의 음용잔 충진물을 생성하는 데에 요구되는 사전-분할된 양의 음료 원료(7)로 충진된다. 음료 원료(7)는 특히 시럽 형태의 액체 및 탄산 음료 농축물이다.
원칙적으로, 복수의 상이한 카트리지 시스템(1)이 이용가능하고, 이들의 카트리지(2) 또는 저장부(6)는 상이한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해 상이한 음료 원료(7)로 충진된다. 시스템(1)의 사용자가 특정 음료(70)를 음용하고자 할 때, 복수의 상이한 카트리지 시스템(1)으로부터 요망된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한 해당 음료 원료(7)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을 선택하고, 이를 음료 제조 기계의 유지부에 삽입하고, 예를 들어 시작 버튼을 누르거나, 적절한 방식으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제스처 또는 음성 제어에 의해, 또는 휴대폰의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음료 제조 기계에서 음료 제조 과정을 시작하기만 하면 된다. 새로운 카트리지 시스템(1)이 유지부(90)에 삽입된 것이 검출될 때 음료 제조 과정이 자동으로 시작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언급된 경우에서, 요망된 음료(70)는 이후 자동으로 제조되고, 음용 용기 내로 운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어서, 사용된 카트리지 시스템(1)은 제거되고 폐기된다. 음료 제조 기계(3)는 이제 다른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해 다시 한번 임의의 요망된 새로운 카트리지 시스템(1)으로 충진될 준비가 된다.
음료 원료(7)는 바람직하게는 청량 음료, 예를 들어 카페인 함유, 탄산 함유, 과일맛 및/또는 달콤한 소다수, 시럽, 농축물 및 주스, 비탄산 음료, 맥주 (혼합) 음료, 스파클링 와인, 또는 다른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 (혼합) 음료를 위한 액체 예혼합 성분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시스템(1)은 원통형 용기 형태의 카트리지(2)를 포함한다. 용기는 중공이고, 그에 따라 음료 원료(7)를 위한 저장부(6)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는 특히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컵형 본체(2')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컵형은 본체(2')가 카트리지 하면(2'''; 상기 도면에 도시됨), 및 카트리지 하면(2''')으로부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방향으로 직각으로 돌출되는 카트리지 벽(2'')을 구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맥락에서, 카트리지 벽(2'')은 원통형 및 원주상 구성을 갖는 반면, 이 예의 카트리지 하면(2''')은 원형 및 원반형 구성을 갖는다. 본체(2')는 제조 중에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시트로) 딥-드로잉되며, 카트리지 하면(2''') 및 카트리지 벽(2'')이 일체형으로 함께 결합되도록 선택적으로 스탬핑된다(선택적으로 먼저 딥-드로잉된 후 펀칭되거나 그 반대가 된다). 대안적으로, 본체(2')가 제조 중에 플라스틱 포일로 딥-드로잉되거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카트리지가 유리로 만들어지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축방향으로 카트리지 하면(2''')의 반대편에 있는 측에서, 본체(2')는 밀봉 요소(18)에 의해 폐쇄된다. 제1 구현예에서, 밀봉 요소(18)는 전적으로 밀봉 포일(18''), 특히 얇은 밀봉 포일을 포함하고, 이는 음료 원료(7)가 아로마-기밀 방식으로 밀봉되도록 저장부(6)를 폐쇄한다. 이런 목적으로, 밀봉 요소(18)의 외주 에지 영역은 카트리지 벽(2'')의 에지(2'''')에 원주상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18)는 여기서 카트리지 벽(2'')의 에지(2'''')에 접착, 밀봉, 또는 용접된다. 특히, 밀봉 포일(18'')은 플라스틱 포일, 알루미늄 포일, 또는 플라스틱 및/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다층 포일을 포함한다.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에 견고하게 또는 가역적으로 연결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특히 본체(2')가 제조(딥-드로잉 및 펀칭)된 후에, 카트리지(2)가 음료 원료(7)로 충진된 후에, 및 저장부(6)가 밀봉 요소(18)의 적용에 의해 폐쇄된 후에, 카트리지 리셉터클(10)에 연결된다. 이런 목적으로, 카트리지 벽(2'')은 특히 원주상 래칭 비드 형태의 원주상 연결 수단(20)을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특히 원주상 래칭 벌지 형태의, 연결 수단(20)에 상보적인 계합 연결 수단(21)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데, 이는 카트리지(2)가 카트리지 리셉터클(10)에 연결될 때 래칭 비드에 래칭된다. 카트리지 벽(2'') 및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이 추가로 함께 접착, 용접, 및/또는 압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1 bar의 외부 압력 및 20
Figure pct00002
의 온도에서) 파열 없이 최대 10 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8 bar,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6 bar의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후, 카트리지(2)는 바람직하게는 (1 bar의 외부 압력 및 20
Figure pct00003
의 온도에서) 파열 없이 최대 10 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8 bar,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6 bar의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장부(6)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 가장 바람직하게는 필수적으로 60 ㎖의 부피를 갖는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음료 제조 과정 중에 저장부(6)에 유체 연결되는 혼합 챔버(8)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카트리지 소개 장치를 이용하여, 음료 원료(7)가 저장부(6)로부터 혼합 챔버(8)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카트리지 소개 장치는 이를 위해 압축 공기 라인(40)을 포함한다. 압축 공기 라인(40)의 일 단은 압축 공기 라인(40)에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음료 제조 기계의 압축 공기원에 연결될 수 있는 압축 공기 연결부(42)에 연결되는 반면, 타 단은, 저장부(6)의 방향으로 개방되며 저장부(6)에 압축 공기를 도입하는 압축 공기 토출구로 이어진다. 압축 공기의 도입에 의해, 음료 원료(7)가 혼합 챔버(8) 내로 강제된다.
음료 제조 기계(3)의 유체원에 의해 공급받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유체 공급부(12)도 역시 혼합 챔버(8)로 이어진다. 유체 공급부(12)가 유체 공급부를 음료 제조 기계의 유체원에 연결할 수 있는 신속 결합구를 구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신속 결합구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 시스템(1)이 유지부에 삽입될 때, 유체 연결부가 유체 공급부(12)를 통해 유체원과 혼합 챔버(8) 사이에 자동으로 구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과정 중에, 유체, 특히 냉각 및 탄산 함유 식수가 이러한 유체 연결부를 통해 유체 공급부(12)로부터 혼합 챔버(8) 내로 전달된다. 게다가, 음료 제조 과정 중에,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음료 원료(7)는 저장부(6)로부터 혼합 챔버(8) 내로 전달된다. 음료 원료(7)가 혼합 챔버(8)에서 유체와 혼합된 결과로, 음료(70)가 형성되고, 이는 이후 음료 토출구(11)를 통해 혼합 챔버(8)를 빠져나간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음료 토출구(11)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혼합 챔버(8) 내에 제조된 음료(70)가 혼합 챔버(8)를 빠져나가며, 음용 용기(미도시) 내로 특히 직접, 즉 음료 제조 기계의 일부가 음료(70)와 접촉함 없이, 운반된다. 이런 방식으로, 음료 제조 기계(3)의 역오염이 방지된다. 음용 용기는 특히 음료 토출구(11)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이런 맥락에서, 음료 토출구(11)는 특히 전적으로 관형 라인 부품(30)에 의해 형성된다. 라인 부품(30)은 원형 단면(34; 도 1d 참조)을 갖는 폐쇄 채널의 형태로 구성된다. 채널은 카트리지(2)의 종축(32)에 대해 소정의 각도(α)로 연장되는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각도(α)는 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5°,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이다.
제1 구현예에 따른 본 예에서, 음료 원료(7)는 예시적으로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용 용기 내에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가벼운 발포를 촉진하기 위해, 각도(α; 33)는 특히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40°이다.
선택적으로, 혼합 및/또는 선회 요소가 라인 부품(30) 내에 배치된다.
라인 부품(30)은 2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의, 주 연장 방향(31)과 평행한 길이(35)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2) 내에 담긴 음료 원료(7)가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길이(35)는 2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이다.
음료 제조 과정의 완료 후에, 카트리지 시스템(1)은 유지부로부터 제거되고, 그에 따라 음료 제조 기계에는 새로운 미사용 카트리지 시스템(1)이 끼워질 수 있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래칭 연결부를 해제하여 사용된 카트리지(2)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카트리지(2) 상에 클립-체결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6)와 혼합 챔버(8) 사이의 유체 연결부를 구축하기 위해,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관통 스파이크(73)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파이크 가이드(80)를 구비한다. 밀봉 요소(18)는 관통 스파이크(73)가 밀봉 요소(18)로부터 멀리 있는 후퇴 위치(도 1b 참조)와 관통 스파이크(73)가 밀봉 요소(18)를 관통하며 저장부(6) 내로 돌출되는 연장 위치(도 1c 참조) 간에 이동되는 변위가능한 관통 스파이크(73)에 의해 천공된다.
관통 스파이크(73)의 외벽에는, 밀봉 요소(18)가 관통될 때 저장부(6)로부터 혼합 챔버(8)의 방향으로 음료 원료(7)를 운반하기 위한 복수의 측방향 채널(71)이 제공된다. 측방향 채널들(71)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측에서 개방되는 홈의 형태로 구성된다. 밀봉 요소(18)의 관통 후에, 측방향 채널들(71)은 저장부(6)에 유체 연결되고, 그에 따라 음료 원료(7)는 혼합 챔버(8)의 방향으로 관통된 밀봉 요소(18)의 에지 주위에서 흐를 수 있다.
측방향 채널들(71)의 단면 및/또는 측방향 채널들(71)의 개수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음료 원료(7)의 점도에 맞게 조정되고, 그에 따라 측방향 채널들(71)은 혼합 챔버(8)의 방향으로 음료 원료(7)의 유동을 제한하거나 제어한다. 높은 점도에서는, 복수의 측방향 채널(71) 및/또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을 갖는 측방향 채널(71)이 사용되는 반면, 더 낮은 점도에서는, 더 적은 수의 측방향 채널(71) 및/또는 더 작은 단면을 갖는 측방향 채널(71)이 제공된다.
관통 스파이크(73)는 또한 카트리지 소개 장치의 역할을 하는 압축 공기 라인(40)을 통합한다. 압축 공기 라인(40)은 관통 스파이크(73)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관통 스파이크(73)의 단부에서 저장부(6) 내로 개방된다. 특히 저장부(6)의 반대편에 대향하는 관통 스파이크(73)의 측에는, 압축 공기 연결부(42)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외부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고 음료 제조 기계의 압축 공기원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스파이크(73)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스파이크(73)가 가압되는 유지부의 정지 해제 요소에 의해, 카트리지 시스템(10)이 음료 제조 기계에 삽입되는 중에 또는 후에 또는 음료 제조 과정의 시작 후에, 후퇴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이동된다. 관통 스파이크(71)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부품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시스템(1)이 음료 제조 기계에 삽입되거나 음료 제조 과정이 시작되자마자, 특히 밀봉 요소(18)가 관통되기 전에, 유체원 및 압축 공기원이 모두 각각 유체 공급부(12) 및 압축 공기 연결부(42)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유체 공급부(12) 및 카트리지 소개 장치가 카트리지 시스템(1)의 삽입 즉시 과압 하에 있게 되어, 음료 원료(7)가 각각 유체원 및 압축 공기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음료 제조 기계의 방향으로의 역오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밀봉 요소(18)가 개방되자마자 음료 원료(7)는 저장부(6)로부터 단지 혼합 챔버(8)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컵형 구성을 갖는 기본 구조(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컵형 구성의 개방측은 카트리지(2)를 향해 있고 카트리지(2), 특히 카트리지 벽(2'')의 에지(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반대편의 하측(10'')에서, 기본 구조(10')는 음료 토출구(11) 및 외향 개방 스파이크 가이드(80)를 구비한다. 유체 공급부(12)는 기본 구조(10')의 측벽(10') 상에 형성된다. 기본 구조(10')는 특히 플라스틱 부품,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2 구현예는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제1 구현예와 유사하지만, 제1 구현예와 달리, 제2 구현예에 따른 음료 원료(7)는 예시적으로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용 용기 내의 과도한 발포를 방지하기 위해, 각도(α; 33)는 특히 4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이다. 길이(35)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이다.
또한, 단면(34)의 형상 또는 단면(34)의 면적이 제1 및/또는 제2 구현예에서 라인 부품(30)의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변화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3 구현예는 도 1a 내지 도 1d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제1 및 제2 구현예와 유사하지만, 이들과 달리, 제3 구현예의 음료 토출구(11)는, 라인 부품(30) 외에도, 음료(70)의 유동 방향으로 라인 부품(30)에 인접하는 추가 라인 부품(37)을 포함한다.
추가 라인 부품(37)의 주 연장 방향(38)은 카트리지(2)의 종축(32)에 대해 소정의 각도(β; 39)로 진행된다. 라인 부품(30)과 추가 라인 부품(37)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각도(β; 39)가 각도(α; 33)와 같지 않기 때문에, 킹크(kink)가 제공된다. 제3 구현예에 따른 본 예에서, 음료 원료(7)는 맥주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용 용기 내의 과도한 발포를 방지하기 위해, 각도(β; 39)는 각도(α; 33)보다 크다. 각도(α; 33)가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5°,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인 반면, 각도(β; 39)가 4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인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추가 라인 부품(37)은 2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의, 주 연장 방향(38)과 평행한 길이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추가 라인 부품(37)은 상측을 향해, 즉 카트리지(2)를 향해 일측에서 개방되는 채널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4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4 구현예는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제1 구현예와 유사하지만, 이와 달리, 제4 구현예의 라인 부품(30)은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증가하는 단면적(35)을 갖는, 주 연장 방향(31)에 수직인 내부 단면(34)을 갖는다.
이 예의 음료 원료(7)가 또한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기 때문에, 음료의 과도한 발포를 방지하기 위해, 라인 부품(30)으로부터 방출되는 음료 분배 제트가 가능한 한 음용 용기(미도시)의 벽에 지향되도록, 각도(α; 33)는 70 내지 80°, 본 예에서는 특히 76°이다. 라인 부품(30)의 주 연장 방향(31)은 특히 라인 부품(30) 또는 채널의 하부벽/하측(47)에 의해 결정된다.
라인 부품(30)의 내부 단면(34)은 특히 원형, 타원형, 또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적(35)을 갖는다. 채널의 시작부(45)에서의 단면적은 특히 25 내지 35 ㎟,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다. 채널의 종료부(46), 그에 따라 음료 분배 제트의 출구점에서의 단면적은 특히 70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약 77 ㎟이다.
특히 라인 부품(30)의 길이는 5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다.
제4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리셉터클(10)에서, 라인 부품(30)의 내부는 내부 개구(44)를 통해 혼합 챔버(8)와 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내부 개구(44)는 7.5 내지 8.5 ㎜의 직경을 갖는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5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5 구현예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제4 구현예와 유사하지만, 이와 달리, 라인 부품(30)은 라인 부품(30)의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내부 윤곽(90)을 갖는다. 이러한 내부 윤곽은 별모양 내부 단면을 가지고, 그에 따라 라인 부품의 단면적(34)도 이 영역에서 별모양이 된다. 그로 인해, 내부 윤곽(90)의 내향 돌출 에지들(91)은 음료의 거품 기포를 파열하기 위한 에지 또는 선단(단면 기준)을 형성하고, 이는 발포 감소를 수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6 구현예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제4 구현예와 유사하지만, 이와 달리, 라인 부품(30)의 벽에 복수의 릴리프 개구(92)가 제공된다. 릴리프 개구들(92)의 직경 또는 개수가 주 연장 방향(31), 그에 따라 혼합 챔버로부터 음용 용기로의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보다 지속적인 압력 감소가 라인 부품(30)에서 일어나고, 그로 인해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과 같은 고발포성 음료 원료의 경우, 음용 용기 내의 발포 감소를 위해, 발포 증가가 유리하게 방지된다.
대안적으로, 벽은 또한 다공성이며, 다공성은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증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개략적인 세부도를 도시한다.
제6 구현예는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제1 구현예와 유사하고, 도 7에는, 도 1d에서와 같이, 라인 부품(30)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제1 구현예와 달리, 제6 구현예에는, 배플 요소(93)가 라인 부품(30)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플 요소(93)는 추가 혼합 및/또는 선회 요소의 역할을 하고, 배플 요소(93) 상에서 튀어오르는 음료 액체 유동에 의해 음료가 라인 부품(30)을 통과할 때 추가 선회를 보장한다. 이를 통해,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 같은 특히 저발포성 음료 원료로, 추가 발포가 유리하게 유도된다.
배플 요소(93)는 배플 요소(93)를 라인 부품(30)의 중앙에 유지하기 위해 측방향 웨브들(94)을 통해 라인 부품(30)의 벽에 부착된다.
1 카트리지 시스템
2 카트리지
2' 본체
2'' 카트리지 벽
2''' 카트리지 하면
2'''' 카트리지 벽의 에지
6 저장부
7 음료 원료
8 혼합 챔버
10 카트리지 리셉터클
10' 기본 구조
10'' 하측
10''' 기본 구조의 측벽
11 음료 토출구
12 유체 공급부
18 밀봉 요소
18' 관통 개구
18'' 밀봉 포일
18''' 밀봉체
19 부분 영역
20 연결 수단
21 계합 연결 수단
22 지지 구조
23 종방향 심
24 뚜껑 몸체
30 관형 라인 부품
31 라인 부품의 주 연장 방향
32 카트리지의 종축
33 각도(α)
34 라인 부품의 단면
35 단면적
36 라인 부품의 길이
37 추가 라인 부품
38 추가 라인 부품의 주 연장 방향
39 각도(β)
40 압축 공기 라인
42 압축 공기 연결부
43 압축 공기 토출구
44 내부 개구
45 채널의 시작부
46 채널의 종료부
47 채널/라인 부품의 하측
71 측방향 채널
70 음료
73 관통 스파이크
80 스파이크 가이드
90 내부 윤곽
91 에지
92 릴리프 개구
93 배플 요소
94 웨브

Claims (35)

  1.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한 카트리지 시스템(1)으로서, 상기 카트리지 시스템(1)은 음료 제조 기계(3)에 삽입될 수 있고, 음료 원료(7)로 충진되는 저장부(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2), 및 상기 카트리지(2)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을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상기 저장부(6)와 유체 연통하게 될 수 있는 혼합 챔버(8), 및 상기 혼합 챔버(8) 내로 개방되는 유체 공급부(12)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 챔버(8)는 상기 음료 원료(7)와 상기 혼합 챔버(8) 내에 상기 유체 공급부(12)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상기 음료(70)를 토출하는 음료 토출구(11)를 구비하며, 상기 음료 토출구(11)는 관형 라인 부품(30)을 구비하고, 상기 라인 부품(30)은 상기 라인 부품(30)의 주 연장 방향(31)이 상기 카트리지(2)의 종축(32)에 대해 소정의 각도(α; 33)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 33)는 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5°,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인, 카트리지 시스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각도(α; 33)는 4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인, 카트리지 시스템(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각도(α; 33)는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40°인, 카트리지 시스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 33)는 상기 라인 부품(30)의 상기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변화하는, 특히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6. 제1항의 전제부 또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부품(30)은 타원형, 원형, 각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사다리꼴, 별모양, 슬릿형, 및/또는 환형 형상의, 상기 주 연장 방향(31)에 수직인 내부 단면(34)을 가지는, 카트리지 시스템(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부품(3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91) 또는 선단 형태의, 거품 기포를 파열하기 위한 내부 윤곽(90)을 가지는, 카트리지 시스템(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34) 또는 상기 내부 윤곽(90)의 형상은, 특히 각형 또는 슬릿형 형상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까지, 상기 라인 부품(30)의 상기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변화하는, 카트리지 시스템.
  9. 제1항의 전제부 또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부품(30)은 상기 주 연장 방향(31)에 수직인 내부 단면(34)을 가지고, 이의 단면적(35)은 상기 라인 부품(30)의 상기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변화하는, 특히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적(35)은 5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25 ㎟인, 카트리지 시스템(1).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면적(35)은 5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50 ㎟인, 카트리지 시스템(1).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면적(35)은 10 내지 125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인, 카트리지 시스템(1).
  13. 제1항의 전제부 또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부품(30)은 2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의, 상기 주 연장 방향(31)과 평행한 길이(35)를 가지는, 카트리지 시스템(1).
  14. 제13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길이(35)는 1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인, 카트리지 시스템(1).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길이(35)는 2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인, 카트리지 시스템(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34)의 형상 및/또는 상기 각도(α; 33) 및/또는 상기 단면적(35) 및/또는 상기 길이(36) 및/또는 상기 내부 윤곽(90)은 상기 음료 원료(7)의 함수로서 형성되는, 카트리지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및/또는 선회 요소, 특히 적어도 1개의 배플 요소(93)가 상기 라인 부품(30) 내에 배치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토출구(11)는 전적으로 상기 관형 라인 부품(30)으로 구성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9. 제1항의 전제부 또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부품(30)은, 공기 투과성, 특히 다공성이거나 적어도 1개의 릴리프 개구(92)에 의해 관통되는 벽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다공성 및/또는 상기 벽의 릴리프 개구들(92)의 개수 및/또는 상기 릴리프 개구들(92)의 직경은 상기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변화하는, 바람직하게는 증가하는, 카트리지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토출구(11)는 유동 방향으로 상기 관형 라인 부품(30)에 인접하는 추가 라인 부품(37)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은 일측에서 개방되는, 특히 상측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채널 부품으로 구성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은, 타원형, 원형, 각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사다리꼴, 별모양, 슬릿형, 및/또는 환형 형상의, 주 연장 방향(38)에 수직인 내부 단면을 갖는 폐쇄 채널로 구성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은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의 주 연장 방향(38)이 상기 카트리지(2)의 종축(32)에 대해 소정의 각도(β; 39)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도(β;39)에 있어서, 상기 각도(α; 33)는 상기 라인 부품(30)의 상기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변화하는, 특히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5. 제24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각도(β; 39)는 상기 각도(α; 33)보다 큰, 카트리지 시스템(1).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특히 달콤한 비알코올성 시럽 또는 카페인 함유 농축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각도(β; 39)는 상기 각도(α;33)보다 작은, 카트리지 시스템(1).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각도(α; 33)는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5°,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이고, 상기 각도(β; 39)는 4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인, 카트리지 시스템(1).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은 2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의, 상기 주 연장 방향(38)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카트리지 시스템(1).
  29. 제28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라인 부품(30)은 2 내지 10 ㎜의, 상기 주 연장 방향(31)과 평행한 길이(35)를 가지고,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은 10 내지 20 ㎜의, 상기 주 연장 방향(38)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는, 카트리지 시스템(1).
  30.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지(91) 또는 선단 형태의, 거품 기포를 파열하기 위한 내부 윤곽(90)을 가지는, 카트리지 시스템(1).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윤곽(90)의 형상은, 특히 각형 또는 슬릿형 형상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까지,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의 상기 주 연장 방향(31)을 따라 변화하는, 카트리지 시스템.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은, 공기 투과성, 특히 다공성이거나 적어도 1개의 릴리프 개구(92)에 의해 관통되는 벽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다공성 및/또는 상기 벽의 릴리프 개구들의 개수 및/또는 상기 릴리프 개구들의 직경은 상기 주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바람직하게는 증가하는, 카트리지 시스템.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토출구(11)는 상기 음료 원료(7)에 맞게 조정되는 유동 저항을 가지는, 카트리지 시스템(1).
  35. 제34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음료 원료(7)가 맥주 함유 원료 또는 맥주 유사 원료, 차, 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라인 부품(30)은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의 유동 저항과 상이한 유동 저항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인 부품(30)의 유동 저항은 상기 추가 라인 부품(37)의 유동 저항보다 큰, 카트리지 시스템(1).
KR1020227009298A 2019-08-22 2020-08-24 카트리지 시스템 및 카트리지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202200476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12583.2 2019-08-22
DE102019212583 2019-08-22
PCT/EP2020/073627 WO2021032892A1 (de) 2019-08-22 2020-08-24 Kartuschen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rtuschen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642A true KR20220047642A (ko) 2022-04-18

Family

ID=7224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298A KR20220047642A (ko) 2019-08-22 2020-08-24 카트리지 시스템 및 카트리지 시스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287495A1 (ko)
EP (1) EP4017828A1 (ko)
JP (1) JP2022546296A (ko)
KR (1) KR20220047642A (ko)
CN (1) CN114302857A (ko)
AU (1) AU2020332067A1 (ko)
BR (1) BR112022003207A2 (ko)
CA (1) CA3149694A1 (ko)
IL (1) IL290148A (ko)
WO (1) WO2021032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6231A1 (en) 2022-05-13 2023-1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carbonation system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9379B (en) * 2000-03-10 2001-03-14 Scottish & Newcastle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dispensing apparatus
EP1448472B1 (en) * 2001-11-30 2006-11-29 Labatt Brewing Company Limi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device
US6648025B2 (en) * 2002-04-16 2003-11-18 Coors Worldwide Inc. Beverage dispense
ATE504230T1 (de) * 2008-09-24 2011-04-15 Nestec Sa Vorrichtung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s in einer tasse
EP2754376B1 (en) * 2010-02-01 2015-03-25 Keurig Green Mounta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based carbonation of beverages
EP2811878B1 (en) * 2012-02-09 2018-09-05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with beverage outlet control
AU2015367620B2 (en) * 2014-12-15 2020-01-30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Unit, device and system for preparing beverage consumptions
ES2939370T3 (es) 2016-01-12 2023-04-21 Freezio Ag Sistema de dispensador con soporte para cartucho
KR102477946B1 (ko) * 2017-06-26 2022-12-15 프리지오 아게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DK3716823T3 (da) * 2017-11-27 2022-05-02 Freezio Ag Patronoptag, patronsystem, drikkevaretilberedningsmaskine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dr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3207A2 (pt) 2022-05-17
CA3149694A1 (en) 2021-02-25
CN114302857A (zh) 2022-04-08
IL290148A (en) 2022-03-01
AU2020332067A1 (en) 2022-03-31
EP4017828A1 (de) 2022-06-29
US20220287495A1 (en) 2022-09-15
WO2021032892A1 (de) 2021-02-25
JP2022546296A (ja)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7642A (ko) 카트리지 시스템 및 카트리지 시스템의 제조 방법
US20220274725A1 (en) Cartridge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rtridge System
CA3011071C (en) Cartridge receiver, cartridge system, drink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drink
US108423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based carbonation of beverages
AU20172041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based carbonation of beverages
KR20170100511A (ko) 액체 제품의 준비를 위한 시스템, 일회용 카트릿지, 및 방법
CN105813958B (zh) 分配装置和与分配装置一起使用的胶囊
JP2017529889A (ja)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パック
US20230355029A1 (en) Cartridge System,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artridge System
CA3221133A1 (en) Cartridge system comprising a cartridge closed by a valve
CA3038404A1 (en) System, cartridge, beverage preparation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using negative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