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554A - 가구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가구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554A
KR20220047554A KR1020220042825A KR20220042825A KR20220047554A KR 20220047554 A KR20220047554 A KR 20220047554A KR 1020220042825 A KR1020220042825 A KR 1020220042825A KR 20220042825 A KR20220042825 A KR 20220042825A KR 20220047554 A KR20220047554 A KR 20220047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urniture
pin
present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순
Original Assignee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7697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54790A/ko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엠피에스 filed Critical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to KR102022004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7554A/ko
Publication of KR2022004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554A/ko
Priority to KR1020220055430A priority patent/KR20220064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1Pivotable handles with one soc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4Draw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Spring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며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손잡이{Handl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에 갖추어진 서랍이나, 캐비넷의 개폐문 등에는 각각 손잡이를 갖추어 편리하게 열고 닫아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서랍 등의 가구용 손잡이는, 서랍 등의 가구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의 두께가 두꺼운 사람의 경우, 손잡이에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아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공개특허 10-2017-0108644호(2017.09.27 공개)는 손가락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손잡이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회동손잡이부(200)는 회전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230)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복원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230)의 일면이 회전하는 회동손잡이부(20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음으로 인해, 탄성부재(230)의 일부분에 대해 과대히 찌그러지며 수축됨으로 인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급히 저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부의 복원 내구성을 향상 시키는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며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에 의하면 손가락의 두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부의 복원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본체부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확대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는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며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 상기 핀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파지부, 상기 핀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핀결합부와 상기 핀장착부 사이의 상기 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체결부 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소음 저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손잡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제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제한부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제한부 간의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 전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핀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핀장착부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핀장착부가 상기 파지부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상기 가구용 손잡이가 설치된 가구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본체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본체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손잡이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개략 확대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10)는 체결부(140)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140)재는 가구에 상기 가구용 손잡이(10)를 고정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나사, 볼트 또는 앵커 등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가구는 책상 또는 서랍 등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전제품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가구용 손잡이(10)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을 형성하며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부(100) 및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며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손잡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체결부(140)재에 의해 상기 가구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삽입공간(S)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손잡이부(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손잡이부(200)가 위치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부(20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손잡이부(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와 달라진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다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변화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구용 손잡이(10)는 상기 손잡이부(2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도록 상기 손잡이부(200)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손잡이부(2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손잡이부(20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더 이상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이 인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본체부(100)에 접촉되는 일단(310), 상기 손잡이부(200)에 접촉되는 타단(320) 및 상기 일단(310)과 상기 타단(320)을 잇는 중간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330)는 코일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일단(310) 및 상기 타단(320)은 상기 중간부(33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손잡이부(2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외력을 전달받아 비틀림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탄성력은 상기 일단(310), 상기 타단(320) 및 상기 중간부(330) 중 어느 일부의 비틀림에 의해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 전체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발현된다는 점에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삽입공간(S)을 형성하는 몸체부(110),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120) 및 상기 핀(12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결합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핀결합부(130)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핀결합부(13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삽입공간(S)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손가락에 의해 당겨지는 파지부(210) 및 상기 핀(12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핀장착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핀장착부(220)는 상기 파지부(2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핀(120)은 일부가 상기 핀결합부(130)에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일부가 상기 핀장착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핀장착부(220)는 상기 핀(1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핀(120)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 사이의 상기 핀(1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핀(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에 결합된 상기 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 사이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 상의 상기 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상기 중간부(330) 상에 상기 핀(120)이 관통되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중간부(330)의 양측에는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가 배치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은 상기 핀(120)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핀결합부(130)와 상기 핀장착부(220)에 의해 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어 상기 핀(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체결부(140)재가 체결되는 체결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즉 상기 삽입공간(S)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파지부(210)가 상기 체결부(140)와 접촉함으로 인해 더 이상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손잡이부(2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손잡이부(200)와 상기 체결부(140) 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상기 체결부(140)의 상단에 배치되는 소음 저감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체결부(140)에 접촉되기 전 상기 소음 저감부(150)에 먼저 접촉됨으로 인해 상기 손잡이부(200)와 상기 체결부(140)간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음 저감부(150)는 탄성재질일 수 있으며, 고무 또는 스펀지 등일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한부(16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즉 상기 삽입공간(S)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부(14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한부(16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한부(16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손잡이부(2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200)가 외력에 의해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한부(160)와 접촉함으로 인해 더 이상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손잡이부(2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부의 상기 일단(310)은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상기 일단(310)은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140) 및 상기 제한부(16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비틀림 스프링(300)의 상기 일단(310)은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체결부(140)와 상기 제한부(160) 간의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 전달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 전달부(170)는 상기 체결부(14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체결부(14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한부(160)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한부(16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한부(160)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체결부(140)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체결부(140) 및 상기 제한부(160)는 상기 외력 전달부(170)에 의해 강한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핀장착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한부(160)와 접촉되는 접촉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핀장착부(220)가 상기 제한부(160)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상기 핀장착부(220)가 파손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접촉부(230)가 상기 제한부(160)와 접촉하여 상기 핀장착부(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핀장착부(22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핀장착부(220)가 상기 파지부(210)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핀장착부(2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면적증가부(240)는 상기 핀(120)장칙부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파지부(210)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상기 가구용 손잡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본체부
200: 손잡이부
300: 비틀림 스프링

Claims (1)

  1. 체결부재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는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42825A 2021-12-10 2022-04-06 가구용 손잡이 KR20220047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825A KR20220047554A (ko) 2021-12-10 2022-04-06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55430A KR20220064942A (ko) 2021-12-10 2022-05-04 가구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75A KR20210154790A (ko) 2021-09-16 2021-12-10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28722A KR20220034757A (ko) 2021-12-10 2022-03-07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42825A KR20220047554A (ko) 2021-12-10 2022-04-06 가구용 손잡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722A Division KR20220034757A (ko) 2021-12-10 2022-03-07 가구용 손잡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430A Division KR20220064942A (ko) 2021-12-10 2022-05-04 가구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554A true KR20220047554A (ko) 2022-04-18

Family

ID=80050522

Famil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28A KR20220008936A (ko) 2021-12-10 2022-01-10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16063A KR20220024292A (ko) 2021-12-10 2022-02-08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28722A KR20220034757A (ko) 2021-12-10 2022-03-07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42825A KR20220047554A (ko) 2021-12-10 2022-04-06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55430A KR20220064942A (ko) 2021-12-10 2022-05-04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67661A KR20220081960A (ko) 2021-12-10 2022-06-02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81086A KR20220099531A (ko) 2021-12-10 2022-07-01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94547A KR20220110470A (ko) 2021-12-10 2022-07-29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08411A KR20220123623A (ko) 2021-12-10 2022-08-29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22600A KR20220136322A (ko) 2021-12-10 2022-09-27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39620A KR20220148787A (ko) 2021-12-10 2022-10-26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59084A KR20220159338A (ko) 2021-12-10 2022-11-24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83067A KR20230002250A (ko) 2021-12-10 2022-12-23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09439A KR20230018508A (ko) 2021-12-10 2023-01-25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24249A KR20230036084A (ko) 2021-12-10 2023-02-23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37832A KR20230043097A (ko) 2021-12-10 2023-03-23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52476A KR20230058359A (ko) 2021-12-10 2023-04-21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64854A KR20230074104A (ko) 2021-12-10 2023-05-19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77153A KR20230092856A (ko) 2021-12-10 2023-06-16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91480A KR20230110239A (ko) 2021-09-16 2023-07-14 가구용 손잡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28A KR20220008936A (ko) 2021-12-10 2022-01-10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16063A KR20220024292A (ko) 2021-12-10 2022-02-08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28722A KR20220034757A (ko) 2021-12-10 2022-03-07 가구용 손잡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1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430A KR20220064942A (ko) 2021-12-10 2022-05-04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67661A KR20220081960A (ko) 2021-12-10 2022-06-02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81086A KR20220099531A (ko) 2021-12-10 2022-07-01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094547A KR20220110470A (ko) 2021-12-10 2022-07-29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08411A KR20220123623A (ko) 2021-12-10 2022-08-29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22600A KR20220136322A (ko) 2021-12-10 2022-09-27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39620A KR20220148787A (ko) 2021-12-10 2022-10-26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59084A KR20220159338A (ko) 2021-12-10 2022-11-24 가구용 손잡이
KR1020220183067A KR20230002250A (ko) 2021-12-10 2022-12-23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09439A KR20230018508A (ko) 2021-12-10 2023-01-25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24249A KR20230036084A (ko) 2021-12-10 2023-02-23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37832A KR20230043097A (ko) 2021-12-10 2023-03-23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52476A KR20230058359A (ko) 2021-12-10 2023-04-21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64854A KR20230074104A (ko) 2021-12-10 2023-05-19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77153A KR20230092856A (ko) 2021-12-10 2023-06-16 가구용 손잡이
KR1020230091480A KR20230110239A (ko) 2021-09-16 2023-07-14 가구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0) KR2022000893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359A (ko) 2023-05-03
KR20230002250A (ko) 2023-01-05
KR20230110239A (ko) 2023-07-21
KR20220081960A (ko) 2022-06-16
KR20230092856A (ko) 2023-06-26
KR20230074104A (ko) 2023-05-26
KR20230036084A (ko) 2023-03-14
KR20220064942A (ko) 2022-05-19
KR20220024292A (ko) 2022-03-03
KR20230018508A (ko) 2023-02-07
KR20220099531A (ko) 2022-07-13
KR20230043097A (ko) 2023-03-30
KR20220008936A (ko) 2022-01-21
KR20220136322A (ko) 2022-10-07
KR20220110470A (ko) 2022-08-08
KR20220148787A (ko) 2022-11-07
KR20220123623A (ko) 2022-09-08
KR20220159338A (ko) 2022-12-02
KR20220034757A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40944A1 (en) Safety door lock using door handle
KR101987281B1 (ko) 가구용 손잡이
KR20220047554A (ko) 가구용 손잡이
KR20210154790A (ko) 가구용 손잡이
KR20210082143A (ko) 가구용 손잡이
KR20210138548A (ko) 가구용 손잡이
KR20210030313A (ko) 가구용 손잡이
WO2003017877A1 (en) Device at a finger prosthesis
KR20210007004A (ko) 가구용 손잡이
KR20210040902A (ko) 가구용 손잡이
KR20240041308A (ko) 가구용 손잡이
KR20210019037A (ko) 가구용 손잡이
KR20190084001A (ko) 가구용 손잡이
KR102133329B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222438Y1 (ko) 전자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