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074A - Lattice structures for slope stability - Google Patents

Lattice structures for slope st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074A
KR20220047074A KR1020200130562A KR20200130562A KR20220047074A KR 20220047074 A KR20220047074 A KR 20220047074A KR 1020200130562 A KR1020200130562 A KR 1020200130562A KR 20200130562 A KR20200130562 A KR 20200130562A KR 20220047074 A KR20220047074 A KR 20220047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horizontal frame
horizontal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9112B1 (en
Inventor
마호섭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112B1/en
Publication of KR2022004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1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40Afforestation or refore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ope stable lattice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slope stable lattice structure comprising: a horizontal frame placed on a slope; and a vertical fram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orizontal fram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wherein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ombined in a lattice shape arrang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plurality, thereby capable of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slope and improving the ecological landscape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사면안정 격자구조물{Lattice structures for slope stability}Lattice structures for slope stability

본 발명은 절토 비탈면과 같은 사면의 안정을 위한 격자구조물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로프레임)와 목재 부재(세로프레임)를 격자구조물로 일체화시키며, 격자구조물 내부에는 배양토를 충진시켜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attice structure for stabilization of slopes such as cut slopes. More specifically, the precast concrete member (horizontal frame) and the wooden member (vertical frame) are integrated into a lattice structure, and the inside of the lattice structure is filled with culture soil. It relates to a slope stable lattice structure that allows this growth.

일반적으로 도로개설에 따른 비탈면이나 산지의 개발에 있어서 사면안정과 비탈면 보호를 위하여 콘크리트 옹벽, 앵커 및 숏크리트, 소일네일링 및 격자블럭 공법, 계단식옹벽 및 앵커 공법, 콘크리트 블록에 의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0476호(2018.02.28.)에서는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In general, construction using concrete retaining walls, anchors and shotcrete, nail nailing and lattice block construction methods, stepped retaining walls and anchor construction methods, and concrete blocks for slope stability and slope protection in the development of slopes or mountainous areas following road opening. . As an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020476 (2018.02.28.) discloses an L-shaped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for slope reinforcement.

그러나 상기된 콘크리트 옹벽, 앵커 및 숏크리트, 소일네일링 및 격자블럭 공법, 계단식옹벽 및 앵커 공법, 콘크리트 블록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시공된 사면에는 식물의 생존이 용이하지 않아 주변의 자연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경관을 제공하므로 훼손된 산림 경관이나 주변의 자연 생태계와 조화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on the slopes where concrete structures such as concrete retaining walls, anchors and shotcrete, nail nailing and lattice block method, stepped retaining wall and anchor method, and concrete blocks are installed, plants do not easily survive on the slopes, so the landscape does not matc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technologies that can harmonize with the damaged forest landscape or the surrounding natural ecosystem.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조형미와 경관성을 갖춘 고강도 토목섬유로 2겹이 포제 내부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격자기둥을 형성하여 격자기둥 사이에 녹생토와 종자를 섞어서 취부한 그로스폼 격자블록에 의한 사면안정과 녹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많은 경비가 소요되고, 사간이 지나면 일부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mortar is injected into two layers of fabric with high-strength geotextiles with aesthetics and scenery to form lattice columns. Although stabilization and greening are being pursued, problems such as high expenses are required and some parts are damaged after a period of time is exposed.

또한,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사면의 안정과 녹화를 시도하는 경우, 구축된 블록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꺼운 두께와 무거운 중량이 유지되는 블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식물의 뿌리가 정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식생이 잘 자라지 않고, 블록의 운반비가 많이 들어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단위 블록들을 철선으로 끼워 일체화시켜야 하는 등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rying to stabilize and green the slope using porous concrete blocks, there is a limit to the settling of plant roots because blocks with thick thickness and heavy weight are used to prevent the constructed blocks from collapsing. Therefore, the vegetation does not grow well, the transportation cost of the block is high,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그리고, 일부에서는 격자구조물 공법 중 뿜어 붙이기 격자구조물 공법이나 현장 타설 콘크리트 격자구조물 공법 등을 통하여 식물이 정착되도록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시공의 난이도가 높고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ome attempts are being made to allow plants to settle through the spray-on grid structure method or the cast-in-place concrete grid structure method among the grid structure methods, but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is high and the cost of construction increases. there wa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0476호(2018.02.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0476 (2018.02.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탈면의 침식 및 붕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식물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면의 안정성 확보와 동시에 생태적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by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can settle while preventing erosion and collapse of the slope,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lope and improve the ecological landscape at the same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ope-stable lattice structure that can be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사면의 안정과 녹화를 통하여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이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강도가 강화된 목재(Wood plastic composites)는 내구성, 가공성 및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건축용재 및 토목구조물로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비탈면 상에 토사와 콘크리트 부재 및 목재 부재의 복합 구조체를 격자구조물로 일체화시켜 구조물 내부에는 배양토를 조제하여 넣어 배양토층을 만들고,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여 구조적인 안정성과 동시에 생태적인 경관성을 확보시키는 사면안정 및 녹화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부재 및 목재 부재의 복합 구조체를 격자구조물로 현장 조립하는 공법으로서 시공이 쉬우며 공사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경관성과 환경성이 뛰어난 사면안정 및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above conventional techniques through the stabilization and greening of the slope. In particular, wood plastic composites with reinforced strength have excellent durability, processability and resistance to microorganisms, and thus can be widely used as building materials and civil structures. On the slope, the composite structure of soil, concrete and wood members is integrated into a grid structure, and cultured soil is prepared and put inside the structure to create a cultured soil layer, and an environment for plant growth is created to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and ecological scenery. The purpose is to provide slope stabilization and greening method to secure In addition, as a construction method for on-site assembly of a composite structure of a concrete member and a wooden member into a lattice structure, it is easy to construct, requires a low construction cost, and provides a slope stabilization and greening method with excellent landscape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면안정 및 녹화공법은 식생공법이 부적합하거나 식생공법을 도입하여도 표면이 붕괴할 위험성이 있는 경사면에 적용하는 공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ope stabilization and gree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titutes a technique made through construction applied to a slope where there is a risk of the surface collapsing even if the vegetation method is inappropriate or the vegetation method is introduced.

특히, 본 발명은 목재 및 콘크리트 복합소재를 이용한 격자구조물로서 콘크리트 부재에는 토압의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콘크리트부재 고정 7자형 앵커를 박고, 목재 부재에도 깊이 1m 정도의 앵커를 박아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높혔으며, 또한 목재 및 콘크리트 복합소재 구조물 접합점에 콘크리트 부재와 목재 부재 연결 스틸로 고정하여 접합강도를 보다 강화하였으며, 구조물 최하단부에 기초공법을 도입하여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붕괴기능과 경관성 및 내구성 등 기능성을 더욱 강화하였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ttice structure using a wood and concrete composite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earth pressure in the concrete member, a figure 7 anchor fixed to the concrete member is driven, and an anchor with a depth of about 1 m is also inserted into the wooden memb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earth pressure. , In addition, the joint strength was further strengthened by fixing the concrete member and the wooden member connecting steel at the joint point of the wood and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was further strengthen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here ar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clearly understoo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에 있어서, 법면 상에 놓이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은, 복수개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열되는 격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lope-stabilized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rizontal frame placed on an inclined plane and a vertical fram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orizontal fram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are included. The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upled in a lattice shape arrang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pluralit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세로프레임은,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re formed of a wood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중 최상단에 배열되는 가로프레임은 상기 법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arrang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lope face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vertical fram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trapezoidal shap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격자구조물은,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앵커와 일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앵커 중 어느 한 앵커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앵커 중 어느 한 앵커와 인접한 앵커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attic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nchors and one end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vertical frames are caught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nchors,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elastic parts provided to be caught on the anchor adjacen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nchors.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은 목재 및 콘크리트 복합소재를 이용한 격자구조물로 전체가 일체화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며, 구조물 내부는 배양토가 충진되어 수분을 지속적으로 함유함으로써, 식물의 정착 및 생육에 큰 도움을 주게 된다. 그리고, 현장에서의 일괄 조립에 의해 격자구조물 구조체를 일체화하기 때문에 각종 공사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시공이 쉬운 이점이 있다.By means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slope stable latt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as a lattice structure using a wood and concrete composite material as a whole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inside of the structure is filled with culture soil to continuously contain moisture. , it will greatly help the settlement and growth of plants. In addition, since the grid structure is integrated by assembling at the site, various construction costs are reduced, and construction is easy.

또한,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은 토압의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1m 깊이의 앵커가 구비되고, 탄성부를 통하여 접합강도를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부를 구비하여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하며, 배양부가 구비되어 경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of the slope-stabilized gri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nchors having a depth of 1 m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earth pressure, and the bonding strength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the elastic part. And, to prevent collapse of the slope by providing the b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ulture section is provided to further improve the scenery.

또한,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종래의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물에 비하여 우천 등으로 인하여 물이 구조물의 상측 토사에 쌓여 파손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of the slope-stabilized gri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 an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ctangular-shaped structure, water accumulates in the soil on the upper side of the structure and is damaged or damaged due to rain or the lik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collapsing.

또한,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가로프레임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터널과 같이 중앙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토사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됨으로써, 가로프레임이 받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보다 더 견고하게 토사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of the slope stable latt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entral portion convex upwards like a semicircular tunnel, thereby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soil and soil, thereby minimizing the pressure on the horizontal frame and making it more robus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ort the soil.

또한,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가로프레임은, 법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더 견고하게 토사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of the slope stable latt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bending in the direction that the slope faces,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accumulating i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ort the soil more firml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ffect mentioned above, 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ope stable gri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problem to be solved for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에 있어서, 법면 상에 놓이는 가로프레임(10)과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세로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은, 복수개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열되는 격자 형상으로 결합된다.1, in the slope stable gri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10 lying on the slope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horizontal frame ( 10) and a vertical frame 20 coupled to one side, wherein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are coupled in a lattice shape arrang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plurality.

먼저, 상기 가로프레임(10)이 마련된다. 상기 가로프레임(10)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법면의 경사를 따라 놓인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10)은 상기 법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프레임(10)은 인접한 가로프레임(10)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First, the horizontal frame 10 is provided. The horizontal frame 10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is placed along the slope of the slope.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1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lope faces. 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 10 may be extended in a manner coupled to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10).

다음으로, 상기 세로프레임(20)이 마련된다. 상기 세로프레임(20)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10)에 수직으로 놓인다. 또한, 또한, 상기 세로프레임(10)은 상기 법면이 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로프레임(20)은 인접한 세로프레임(20)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Next, the vertical frame 20 is provided. The vertical frame 20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is placed vertically on the horizontal frame 10 . In addition, the vertical frame 1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pe faces. At this time, the vertical frame 20 may be extended in a manner coupled to the adjacent vertical frame (20).

여기서, 상기 세로프레임(20)은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은, 복수개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열되는 격자 형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가로프레임(10)의 양단부에 상기 세로프레임(20)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양단부에 상기 가로프레임(10)이 각각 마련되는 형태로,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Here, the vertical frame 20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orizontal frame 10 ,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0 . 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are combined in a lattice shape arrang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plurality. That is, the vertical frame 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0, respectively, and the horizontal frame 1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20, respectively, which are combined in a lattice shape as a whole. will be.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Here, referring to FIG. 2 , a coupling part 30 for coupling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may be provided. That is, the coupling part 30 serves to couple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

일례로, 상기 가로프레임(10)의 단부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도면 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세로프레임(10)의 단부에는 함몰되어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도면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 맞춰 조립되는 형식으로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도록 한다.For example,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0 is provided, and the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is depressed to form a coupl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Fig. not shown) may be provided. That is,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the protrusion fits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is assembled.

이때, 상기 결합부(30)는 스크류 나사와 같은 형태로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홈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토사 등에 의한 외력으로 인하여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30 may be fix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in a shape such as a screw screw. That is, the coupling part 30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nd serves to prevent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from being separated due to an external force caused by soil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세로프레임(20)은 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사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작용하는 상기 가로프레임(10)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적게 작용하는 상기 세로프레임(20)은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Here,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may be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0 may be formed of a wood material. That is, the horizontal frame 10 to whic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soil pressure acts is made of a concrete material, and the vertical frame 20, which acts relatively little, is formed of a wood material.

다시 말하면, 토사가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상기 가로프레임(10)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어 토압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토사가 간접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상기 세로프레임(20)은 목재 재질로 형성되어 경관성과 환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horizontal frame 10 to which soil directly applies pressure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to prevent damage or collapse due to earth pressure. In addition, the vertical frame 20 to which soil and sand indirectly applies pressure is formed of a wood material to improve landscape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 사이의 공간에는 배양부(80)가 마련된다. 상기 배양부(80)는 식물을 심는 공간으로 본 발명의 격자구조물의 경관성과 환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ture unit 80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 The culture unit 80 is a space for planting plants, and the landscape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of the gri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배양부(80)는 녹화용 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배양토 및 상기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는 보충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충제는 피트모스, 유기질비료, 복합비료, 산림토양제, 버미큐라이트 및 토양안정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보충제는 피트모스 10 내지 15%, 유기질비료 5 내지 10%, 복합비료 5 내지 10%, 산림토양제 40 내지 50%, 버미큐라이트 10 내지 15% 및 토양안정제 1 내지 2%로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ulturing unit 80 includes a culture medium for growing plants for greening and a supplement for supplying nutrients to the plants. In this case, the supple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peat moss, organic fertilizer, compound fertilizer, forest soil agent, vermiculite, and soil stabilizer. For example, the supplement is formed of 10 to 15% peat moss, 5 to 10% organic fertilizer, 5 to 10% complex fertilizer, 40 to 50% forest soil agent, 10 to 15% vermiculite, and 1 to 2% soil stabilizer. can be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다공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부(60)의 공극율은 95 내지 97%로 형성되어, 상기 배양부(80)에 심어진 상기 식물이 보다 더 용이하게 생육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다공부(60)는 토양유실과 식물의 생육을 도모하기 위하여 97%의 공극율을 가지는 다기능 부직포필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양부(80)는 15cm 미만으로 충진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part 60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The porosity of the porous part 60 is formed to be 95 to 97%, so that the plant planted in the culture part 80 can be grown more easily. For example, the porous part 60 may be formed of a multifunctional nonwoven filter having a porosity of 97% in order to promote soil loss and plant growth, and at this time, the culture part 80 is filled to less than 15 cm.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은 절토 비탈면 등 경사면 상부에 상기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의 복합 구조체를 현장에서 격자구조물로 일체화시켜 조립하한다. 또한, 상기 격자구조물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양부(80)에는 일정 두께의 배양토를 조제하여 넣고,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은, 구조적인 안정성과 동시에 생태적인 경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slope stable gri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by integrating the composit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into the grid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such as a cut slope. In addition, a culture soil of a certain thickness is prepared and put into the culture unit 80 formed inside the grid structure,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can grow. Therefore, the slope stable gri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and ecological scenery at the same time.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중 최하단에 배열되는 가로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지지하는 기초부(7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기초부(70)는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중 최하단에 배열되는 가로프레임(10)과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초부(70)는 토사의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이 밀리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Next, referring to FIG. 3 , it is provid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10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to support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 A base portion 70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base part 7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frame 10 arranged at the lowermost end amo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 That is, the base portion 70 serves to prevent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the vertical frames 20 from being pushed or collapsed due to the pressure of the soil.

여기서, 상기 기초부(70)는 직육면체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모양은 사면의 상태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사면의 상부에는 사면에 지형의 상태에 따라 흘러내리는 유수로 인한 침식방지를 위하여 돌림 배수로를 시공할 수도 있다.Here, the base 70 is shown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the shape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lope, and at the upper part of the slope, it is a turning drain to prevent erosion due to running water flowing down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topography on the slope. can also be constructed.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앵커(40)와 일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앵커(40) 중 어느 한 앵커(40)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앵커(40) 중 어느 한 앵커(40)와 인접한 앵커(40)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탄성부(50)를 더 포함한다.Next, referring to FIGS. 4 and 5 , a plurality of anchors 40 and one end of the plurality of anchors 40 and one end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vertical frames 20 and the plurality of anchors ( 40) of any one anchor 40, and the other e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parts 50 provided to be caught on the anchor 40 adjacent to any one of the anchors 40 among the plurality of anchors 40 do.

상기 앵커(40)는 상기 가로프레임(10) 또는 세로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의 토압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앵커(41)는 ‘7’자형 앵커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세로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앵커(40)는 ‘1’자형 앵커로 형성되어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anchor 40 penetr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0 or the vertical frame 20 and is fixed to the ground, and serves to improve the earth pressure resistance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 carry out For example, the anchor 41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is formed as a '7'-shaped anchor to minimize damage to the concrete member,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The anchor 40, which is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20, is formed as a '1'-shaped anchor, thereby minimiz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이때, 상기 탄성부(50)는 양단이 상기 가로프레임(10)와 세로프레임(20)의 접합부분에 마련되는 2개의 상기 앵커(40)에 각각 걸려 상기 가로프레임(10)와 세로프레임(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례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50)는 상기 가로프레임(10)의 단부 부근에 구비되는 상기 앵커(40)에 일단부가 걸리고, 상기 세로프레임(20)의 단부 부근에 구비되는 상기 앵커(40)에 타단부가 걸려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50)는 상기 가로프레임(10)의 단부 부근에 구비되는 상기 앵커(40)에 일단부가 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인접한 가로프레임(10)의 단부 부근에 구비되는 상기 앵커(40)에 타단부가 걸려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인접한 가로프레임(1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50 is each hung on the two anchors 40, both ends of which are provided at the jun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 to prevent separation.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elastic part 50 has one end caught by the anchor 40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0 , and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vertical frame 20 . The other end is hooked to the anchor 40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 one end of the elastic part 50 is caught by the anchor 40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0 , and the horizontal frame 10 adjacent to the horizontal frame 10 ). The other end is caught by the anchor 40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0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10).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중 최상단에 배열되는 가로프레임(11)은 상기 법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프레임(11)은 토사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분으로,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중앙부가 상부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토압의 지지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로프레임(11)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터널과 같이 중앙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토사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됨으로써, 상기 가로프레임(11)이 받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Next, referring to FIG. 6 , the horizontal frame 11 arrang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may be formed to protrude convex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pe faces. That is, the horizontal frame 11 is a portion directly receiving the pressure of the soil,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a round manner,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oil pressure. In other words, the horizontal frame 11 has a central portion convex upwards like a semi-circular tunnel, thereby increasing an area in contact with soil and soil, thereby minimiz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orizontal frame 11 to minimize the horizontal fra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fe of (11).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중앙부가 상부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물이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상단에 고이지 않도록 하여 보다 더 견고하게 토사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우천 등으로 인하여 흐르는 물이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상단에 고이거나 토사에 흡수되어 토사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격자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 is formed to protrude upward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does not accumulate at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 and thus can more firmly support the soil. That 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llapse of the latt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water flowing due to rain or the like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 or being absorbed by the soil and there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oil.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중 최상단에 배열되는 가로프레임(12)은 상기 법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프레임(12)은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는 상기 법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기 가로프레임(12)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격자구조물이 붕괴되는 것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로프레임(12)은 상기 법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가로프레임(11)에 비하여, 물이 보다 더 빠른 속도로 흐르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 the horizontal frame 12 arrang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may be formed by b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ed plane faces. That is, by installing the horizontal frame 12, which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pe faces, the horizontal frame 12 is formed in an area with a lot of precipita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latt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collapsing. will be. In other words, the horizontal frame 12 is formed by bending so that water flows at a faster speed than the horizontal frame 11 , which is convexly protruded in the direction to which the slope faces.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결합 시,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의 접촉면이 증가하여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은 상기 토사와의 접촉면이 증가하여 보다 더 견고하게 토사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의 상부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lso, referring to FIG. 8 ,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vertical frames 20 may be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are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 and when combined, the contact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are increased. It can be fixed more firml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vertical frames 20 can support the soil more firmly by increasing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oil.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accumulation of water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 and vertical frames 20 .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은 공장이나 시공현장 주변의 격자 거푸집에서 약 1-2m 정도 일정크기로 미리 양생하여 만든 프리캐스터 콘크리트(precast consrete) 재질의 상기 가로프레임(10) 및 목재 재질의 상기 세로프레임(20)을 사면의 크기에 따라 상하 및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로 결합하여 격자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조립을 위하여 지면을 고른 다음, 일정형상의 상기 결합홈 및 돌출부를 규격에 맞추어 치수를 세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lope stable latt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orizontal frame 10 made of precast concrete material made by pre-curing to a predetermined size of about 1-2 m in the grid formwork around the factory or construction site, and the wood materia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lope, the vertical frame 20 may be assembled in a lattice form by combining several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In particular, after selecting the ground for assembling the slope stable latt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form the dimensions of the coupling grooves and protrusions of a certain shape according to the standard.

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은 토압의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1m 깊이의 상기 앵커(4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50)를 통하여 접합강도를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부(70)를 구비하여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배양부(80)가 구비되어 경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are provided with the anchor 40 having a depth of 1 m to increase resistance to earth pressure, and the bonding strength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the elastic part 50 .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70 is provided to prevent collapse of the slope, and the culture portion 80 is provided to further improve the scenery.

따라서, 각각의 사면에 적합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토양의 침식이나 유출이 예방되므로 본 발명의 사면안정 격자구조물의 하면이 지면과 항상 밀착되어 구조적 강도가 유지되는 동시에 식물의 생육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itable length for each slope, and not only has good workability, but also prevents soil erosion or runoff. It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growing environment.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가로프레임
20 : 세로프레임
30 : 결합부
40, 41 : 앵커
50 : 탄성부
60 : 다공부
70 : 기초부
80 : 배양부
11 : 가로프레임
12 : 가로프레임
10: horizontal frame
20: vertical frame
30: coupling part
40, 41 : anchor
50: elastic part
60: multi-part
70: base
80: culture unit
11: horizontal frame
12: horizontal frame

Claims (5)

법면 상에 놓이는 가로프레임; 및
상기 가로프레임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은, 복수개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열되는 격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Horizontal frame placed on the slope; and
a vertical fram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orizontal fram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in a lattice shape arranged spaced apart by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세로프레임은,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re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re slope stable gr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wood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중 최상단에 배열되는 가로프레임은 상기 법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frame arrang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is a slope stable gr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ly protru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pe f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re slope stable gr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앵커; 및
일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앵커 중 어느 한 앵커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앵커 중 어느 한 앵커와 인접한 앵커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anchors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vertical frames; and
A slope stable lattic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e end is caught on any one of the anchors of the plurality of anchors,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n anchor adjacent to any one of the anchors of the plurality of anchors.
KR1020200130562A 2020-10-08 2020-10-08 Lattice structures for slope stability KR1025191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562A KR102519112B1 (en) 2020-10-08 2020-10-08 Lattice structures for slope 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562A KR102519112B1 (en) 2020-10-08 2020-10-08 Lattice structures for slope st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074A true KR20220047074A (en) 2022-04-15
KR102519112B1 KR102519112B1 (en) 2023-04-05

Family

ID=8121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562A KR102519112B1 (en) 2020-10-08 2020-10-08 Lattice structures for slope st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11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92B1 (en) * 2006-03-07 2007-05-14 허경태 Structure to install preservative woods to lattice shape
JP2013170410A (en) * 2012-02-22 2013-09-02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Slope stabilization method
KR20160009002A (en) * 2015-12-11 2016-01-25 (주)호정산업 Vegetation block
KR101718785B1 (en) * 2016-10-12 2017-03-24 주식회사 보람 Embankment structure of river with eco-friendly block
KR20180020476A (en) 2016-08-18 2018-02-28 청호산업 유한회사 L-type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inforcing slope
KR101945158B1 (en) * 2018-10-02 2019-02-01 문충선 Joint block structure for protecting incline of watercour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92B1 (en) * 2006-03-07 2007-05-14 허경태 Structure to install preservative woods to lattice shape
JP2013170410A (en) * 2012-02-22 2013-09-02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Slope stabilization method
KR20160009002A (en) * 2015-12-11 2016-01-25 (주)호정산업 Vegetation block
KR20180020476A (en) 2016-08-18 2018-02-28 청호산업 유한회사 L-type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inforcing slope
KR101718785B1 (en) * 2016-10-12 2017-03-24 주식회사 보람 Embankment structure of river with eco-friendly block
KR101945158B1 (en) * 2018-10-02 2019-02-01 문충선 Joint block structure for protecting incline of watercour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112B1 (en)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2223A (en) Slope soil-establishing gree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70162B1 (en) Planting block establish structure
CN109811776B (en) Assembled lattice frame roof beam
KR100860748B1 (en) Honey cell greening works
KR102519112B1 (en) Lattice structures for slope stability
KR100402843B1 (en)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KR101018903B1 (en) Stabilizing assembly for preventing soil-flow of slope and greening
KR100393515B1 (en)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KR100794221B1 (en) Retaining wall for planting
KR101334749B1 (en) Vegetation block in tiers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CN112593480A (en) Plant-growing concrete assembled bridge pier
KR100990622B1 (en) Method to strengthen pipe for vinyl house
KR20190101950A (en) Cut slope wall comprized of vegetation panel
CN111501788A (en) Vegetation anchor rod slope fixing structure and method
KR102660558B1 (en) Low Impact Development Segment Structure Box
KR100840155B1 (en) Anchor system of concrete retaining wall and slops frame for reinforcement anchor
KR100662876B1 (en) Vegetable block install construction for liver ecosystem protection
CN217998118U (en) Ecological slope protection
KR10099509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block
KR200235107Y1 (en)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CN219491027U (en) System for stabilizing earthwork grid chamber of abrupt rock slope through wire netting and re-greening
KR102238975B1 (en) Terrace type planting block for slope recovery and reinforce
CN212865975U (en) Prefabricated sash roof beam
CN220414274U (en) Surface mine ecological restoration shallow aquifer construction structure
CN219773005U (en) Soft rock tunnel entrance to a cave side slope reinforce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