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639A -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 - Google Patents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639A
KR20220046639A KR1020227008186A KR20227008186A KR20220046639A KR 20220046639 A KR20220046639 A KR 20220046639A KR 1020227008186 A KR1020227008186 A KR 1020227008186A KR 20227008186 A KR20227008186 A KR 20227008186A KR 20220046639 A KR20220046639 A KR 20220046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ing end
receiving end
information
geographic area
control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샤오 리우
지차오 지
시치 리우
후아밍 우
웨이 지앙
슈안 펭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 송신 방법은 송신단에 적용되고,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8월 12일에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201910741808.8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의 엔알(New Radio, NR) 사이드링크(Sidelink, 직접 통신 링크라고도 함) 표준화 프로세스는 멀티캐스트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기능을 지원하며, 멀티캐스트 통신인 경우, 임의의 수신단이 부정 확인응답(Negative acknowledgment, NACK)을 피드백하면, 송신단은 재전송을 수행해야 한다.
이 전제하에 몇몇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멀티캐스트 통신에서,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도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디코딩 성공률은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어 이러한 사용자들은 부정 확인응답(Negative acknowledgment, NACK)을 피드백하게 되며, 이로 인해 송신단 사용자는 불필요한 재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불필요한 재전송은 다른 사용자에 대한 추가적인 간섭을 일으켜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피드백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HARQ 피드백 방식으로 인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크고 시스템 자원 활용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송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수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어 노드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수신단 또는 송신단이다.
제4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신단이고,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5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신단이고,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수신단이고,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7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수신단이고,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8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어 노드를 제공함에 있어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수신단 또는 송신단이다.
제9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어 노드를 제공함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10 양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 또는 전술한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개시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솔루션에서, 수신단의 HARQ 피드백을 보조하기 위해 제1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HARQ 피드백 방식으로 인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크고 시스템 자원 활용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통신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수신단 위치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통신 범위의 관계 개략도 1을 도시한다.
도 3은 수신단 위치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통신 범위의 관계 개략도 2를 도시한다.
도 4는 수신단 위치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통신 범위의 관계 개략도 3을 도시한다.
도 5는 수신단 위치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통신 범위의 관계 개략도 4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노드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 개략도 1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 개략도 2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노드의 모듈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노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장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 및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우선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몇몇 개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 기술의 엔알(New Radio, NR) 사이드링크(Sidelink)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지원한다. 여기서, 멀티캐스트와 유니캐스트 통신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을 지원한다. 멀티캐스트 통신은 일대다의 통신 방식으로서, HARQ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그룹 내의 임의의 수신단이 NACK를 피드백하면 HARQ 재전송이 발생하게 된다. 거리가 먼 수신 사용자인 경우, 채널 품질 불량, 건축물 방해 등 원인으로 인해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으므로, 재전송을 유발한다. 그러나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가 정확하게 수신했는지 여부는 전체적 시스템 성능에 대해 영향이 크지 않으며, 또한 송신단 사용자는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수신 성공률에 대해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의 HARQ 피드백은 종종 불필요하며, 대신 이러한 피드백은 일부 불필요한 재전송을 유발하여 패킷 송신 중인 다른 사용자에 대한 간섭을 증가시키며, 먼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피드백은 또한 불필요한 피드백 오버헤드를 증가시켜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특정 범위 기반의 HARQ 피드백 메커니즘이 제안되었고, 이 메키니즘은 송신단 사용자와 수신단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할 수 있고,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측정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느 쪽을 채택할 것인지 또는 둘 다 채택할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송신단 사용자와 수신단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솔루션이 없으며, 이는 기존하는 문제 중 하나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의 차량사물통신(Vehicle-to-Everything, V2X)에서, 상위 계층에는 지리적 구역의 분할에 대한 일련의 규칙이 있으며, 전체 지도의 지리적 위치를 다수의 지리적 구역(zone)으로 분할하고, 각 zone에 대해 하나의 id를 부여할 수 있다. 각 zone의 길이, 폭, 길이와 폭 차원의 다중화 인자는 모두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길이와 폭 차원의 다중화 인자는 길이와 폭 차원에서 상이한 zone id의 수를 의미한다. 예컨대, 길이 차원의 다중화 인자가 4이면, 길이 차원에서 상이한 zone id 번호(예: 0, 1, 2, 3)가 4개만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또는 단말이라고 함)는 이 규칙 및 위성항법시스템(GPS)에 의해 포지셔닝된 자체의 경위도 정보를 통해 자체의 zone id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위 계층에 의해 정의된 zone id는 오로지 자원 풀과 연관된다. 현재 물리 계층은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분할 규칙을 사용한 HARQ 재전송 규칙 흐름을 아직 정의하지 않았다.
LTE에서 상위 계층에 의한 zone 분할에 대한 구체적인 계산 규칙(규칙 A)은 다음과 같다.
A11: 한 UE의 경위도가 각각 (x, y)라고 가정한다.
A12: 한 zone의 길이와 폭이 각각 L 및 W이다.
A13: 경도와 위도의 다중화 입도가 A 및 B이다.
A14: 경위도에서 UE의 id 번호(x1, y1)는 각각 x1= mod(floor(x/L), A), y1=mod(floor(y/W), B)로 계산된다.
A15: UE의 최종 zone id는 id=y1*A+x1이다.
본 개시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포지셔닝 좌표 정보를 나르는 것으로 인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큰 문제를 고려하여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송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communication range)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HARQ 피드백 방식으로 인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크고 시스템 자원 활용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통신 오버헤드가 감소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제1 정보에 송신단의 실시간 포지셔닝 위치 좌표 정보(즉 GNSS 포지셔닝 정보에 따라)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1 정보가 포함하는 내용은 주로 다음의 몇 가지 상황으로 나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M11: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한다.
추가로, 이 상황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zone id)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M12: 상기 제1 정보는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한다.
추가로, 이 상황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M13: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한다.
M14: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 상황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지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M21: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M22: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자원 제어 정보(PC5 RRC).
M23: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아래는 다양한 상황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황 1: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한다.
이 상황에서, 지리적 위치에 따라 구역이 분할되고, 분할 규칙은 통신 범위와 관련되고, 매번 송신단과 수신단은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자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산출하고,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획득 방식은,
지리적 구역의 타겟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타겟 분할 규칙은 다음을 포함한다.
N11: 지리적 구역의 분할 입도와 타겟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상기 타겟 통신 범위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값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 나아가, 타겟 분할 규칙은 프로코롤에서 정의되고, 매번의 지리적 구역 분할 입도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값 중의 한 개 값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분할 입도는 지리적 구역의 변의 길이와 각 차원의 다중화 인자이고, 실제 적용에서, 미리 구성된 고정값들 중에서 가장 작은 통신 범위를 분할 입도에서 지리적 구역의 변의 길이로 사용한다.
예컨대, 통신 범위의 최소값이 50m이고, 최대값이 1000m라고 가정하면, 지리적 구역의 분할 입도에서 지리적 구역의 변의 길이는 통신 범위의 최소값 50m와 같을 수 있고, 이 경우 길이와 폭의 다중화 인자도 결정될 수 있다. 통신 범위의 최대값이 1000m이면, 통신 범위가 가장 클 때, 길이 및 폭 차원에서 송신단으로부터 1000m 이내에 반복되는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다시 말해서, 반복되는 지리적 구역 식별자는 길이 및 폭 차원에서 20개 지리적 구역 이후에만 허용되며, 이러한 방식으로만 통신의 신뢰성이 보장되므로, 길이 및 폭 차원에서 다중화 인자의 값은 최소 20이다.
N12: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송신단은 이 계산 방식에 근거하여 자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이 계산 방식은 전술한 규칙 A일 수 있다.
추가로, 이 상황에서, 타겟 분할 규칙은 프로토콜에서 정의되고, 송신단과 수신단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매번의 통신에서 채택되는 타겟 분할 규칙을 알 수 있고, 송신단과 수신단은 이 타겟 분할 규칙을 이용하여 자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최대 개수는 길이와 폭 차원의 다중화 인자(다중화 입도)와 관련되고,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각 지리적 구역 식별자는 하나의 코드포인트에 해당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송신단은 자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획득한 후,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해당하는 코드포인트만 전송하면 된다.
예컨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길이 및 폭)의 다중화 인자 A와 B가 모두 4라고 가정하면, 송신단이 수신단에 송신하는 SCI에서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지시하기 위해 ceil(log2(A*B))개 비트, 즉 4개 비트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이 상황에서, 통신 범위 지시자는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수신단의 구역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더 나아가, 통신 범위 지시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N21: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예컨대, 계층 인덱스는 n이다. 다시 말해서,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n계층 지리적 구역 내의 모든 수신단은 HARQ를 피드백해야 하고, 특히 n이 0인 경우, HARQ 피드백은 수신단과 송신단이 동일한 지리적 구역에 위치할 때에만 수행됨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통신 범위가 n의 값, 즉 0, 1, 2, 3에 각각 해당하는 4개의 코드포인트 00, 01, 10 및 11에 해당한다고 가정한다. 송신단이 수신단에 송신한 SCI에 실린 코드포인트가 01이고 해당하는 n의 값이 1인 경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10이라고 가정하면, 이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해당하는 지리적 구역 및 이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한 계층의 지리적 구역 내에서 수신단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서 점선 박스 내의 수신단은 송신단에 대해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한다.
N22: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
예컨대, 이 지리적 거리는 50m이다. 즉, 송신단으로부터 50m 이내의 수신단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한다.
N23: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
이 관계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값이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 또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수신단은 특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 나아가,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제1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하나의 통신 범위에 해당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가 n임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코드포인트 01이 통신 범위 지시자의 값 2에 해당하는 경우,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2계층 지리적 구역의 범위에 해당하고, 코드포인트의 수가 N이라고 가정하면, 송신단이 수신단에 송신한 SCI에서 ceil(log2(N))개 비트를 사용하여 통신 범위 지시자를 지시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코드포인트 01 통신 범위 지시자의 값 100m에 해당하는 경우, 송신단으로부터 100m 이내의 수신단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한다.
예컨대,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예컨대, 지리적 구역 식별자 사이의 차이 임계값을 나타내고, 코드포인트 01의 차이 임계값이 4인 경우, 수신단은 두 지리적 구역 식별자 사이의 차이값이 4보다 작을 때에만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함을 나타낸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통신 범위 지시자가 지시하는 정보가 다양함에 따라 수신단의 동작도 다양하다. 다음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정보의 측면에서, 수신단이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의 특정 구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N31: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N311: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N312: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상이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
N313: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N32: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N321: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결정하고, 제1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는, 제2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며, 여기서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1 거리는 수신단과 송신단 사이 거리의 최대값이고, 제2 거리는 수신단과 송신단 사이 거리의 최소값이다.
N322: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1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예컨대, 제1 기준점은 지리적 구역의 중심점이다.
N323: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2 기준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3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2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예컨대, 제2 기준점과 제3 기준점은 모두 지리적 구역의 중심점이다.
N324: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1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값 또는 모듈로 값을 계산하고, 그 다음 특정 정량(예: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으로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제1 기준값으로 사용한다. 상기 제1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N33: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N331: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상기 차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N332: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대한 모듈로 연산 후의 제1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상기 제1 임계값을 충족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예컨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연산 결과를 획득하고, 연산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작으면,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함을 나타내고, 또는, 연산 결과가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이 상황에서,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상기 통신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구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제2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의 타겟 구역에 해당한다.
예컨대, 보조 지시 정보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일 수 있고, 각 특정 구역은 하나의 코드포인트에 의해 지시될 수 있고, 하나의 코드포인트는 다수의 특정 구역을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조 지시 정보는 미리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포인트를 포함하고, 각 코드포인트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에 해당한다.
예컨대, 도 2에 기초하여, 송신단이 수신단에 송신한 SCI에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가 더 실리는 경우, 보조 지시가 해당 4개 코드포인트, 즉 00, 01, 10, 11을 포함하면, 해당 구역은 통신 범위 내에서 균등 분할된 4개의 부분 구역, 즉 왼쪽 위, 오른쪽 위, 왼쪽 아래 및 오른쪽 아래의 구역이다. 송신단이 수신단에 송신한 SCI에 실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가 코드포인트가 00임을 지시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단에 대해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하는 수신단은 도 3에서 점선 박스 내의 수신단이다.
구체적으로,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단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와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모두 위치하는 경우에만 송신단에 대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며, 둘 중 하나가 충족되지 않으면, 수신단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 나아가, 통신 범위 지시자가 지시하는 정보가 다양함에 따라 수신단의 동작도 다양하다. 구체적으로, 수신단이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의 특정 구현 상황은 N31~N33의 구현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상황 2: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한다.
이 상황에서, 지리적 위치에 따라 구역이 분할되고, 분할 규칙은 매번 통신의 통신 범위와 관련되고, 매번 송신단과 수신단은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자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산출하고,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 여부를 판정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획득 방식은,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다음을 포함한다.
M11: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 지시 정보.
M12: 지리적 구역 각 차원의 다중화 인자 지시 정보.
M13: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송신단은 이 계산 방식에 근거하여 자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이 계산 방식은 전술한 규칙 A일 수 있다.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전송하고, 또한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동시에 제1 정보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관계 지시(다시 말해서,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는 각 데이터 패킷의 통신 범위 관련 값이며, 예컨대, 지리적 구역의 길이 및 폭은 통신 범위의 1/Q배이고, Q는 양의 정수임)가 포함되므로, 수신단은 전술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이번의 통신 범위를 획득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이 상황에서, 통신 범위는 암시적으로 지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M11, M12 및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관계 지시는 모두 하나의 후보 코드포인트 그룹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전송을 수행할 때 해당 코드포인트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이 상황에서, 송신단은 매번의 통신에서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수신단에게 알리므로, 수신단은 이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이용하여 자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h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h는 암시적으로 지시되는 통신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서, 지리적 구역의 길이 및 폭, 길이와 폭 차원의 다중화 인자, 지리적 구역의 길이 및 폭과 통신 범위 간의 관계값 Q, 통신 범위에는 각각 00, 01, 10 및 11의 4가지 코드포인트가 있다고 가정한다. 길이 및 폭에 해당하는 값은 각각 50m, 100m, 200m, 400m이고, 길이와 폭 차원의 다중화 인자에 해당하는 값은 각각 1, 2, 4, 8이고, 지리적 구역의 길이 및 폭과 통신 범위 간의 관계값 Q에 해당하는 값은 각각 1, 2, 4, 8이다. 송신단이 수신단에 송신한 SCI에 실린 지리적 구역의 길이 및 폭에 해당하는 코드포인트는 00(50m)이고, 길이와 폭 차원의 다중화 인자에 해당하는 코드포인트는 10(4)이고, 지리적 구역의 길이 및 폭과 통신 범위 간의 관계값 Q에 해당하는 코드포인트는 01(2)이다.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10이라고 가정하면, 이 지리적 구역 및 이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두 계층의 지리적 구역 내에서 수신단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서 점선 박스 내의 수신단은 송신단에 대해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이 상황에서,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상기 통신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구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제2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의 타겟 구역에 해당한다.
예컨대, 보조 지시 정보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일 수 있고, 각 특정 구역은 하나의 코드포인트에 의해 지시될 수 있고, 하나의 코드포인트는 다수의 특정 구역을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조 지시 정보는 미리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포인트를 포함하고, 각 코드포인트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수신단이 상기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단이 상기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암시적으로 결정된 통신 범위 내와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모두 위치하는 경우에만 송신단에 대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며, 둘 중 하나가 충족되지 않으면, 수신단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도 2에 기초하여, 송신단이 수신단에 송신한 SCI에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가 더 실리는 경우, 보조 지시가 해당 4개 코드포인트, 즉 00, 01, 10, 11을 포함하면, 해당 구역은 통신 범위 내에서 균등 분할된 4개의 부분 구역, 즉 왼쪽 위, 오른쪽 위, 왼쪽 아래 및 오른쪽 아래의 구역이다. 송신단이 수신단에 송신한 SCI에 실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가 코드포인트가 00임을 지시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단에 대해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하는 수신단은 도 5에서 점선 박스 내의 수신단이다.
상황 3: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 상황에서, 지리적 위치에 따라 구역이 분할되며, 분할 규칙은 제어 노드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예: 기지국의 셀 id)와 관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의 범위가 하나의 지리적 구역에 속하는 경우,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의 범위에 적어도 두 개의 지리적 구역이 포함되는 경우,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 커버리지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노드는 송신단이 연결된 제어 노드를 의미한다.
제2 정보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정보,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및 사이드링크 피드백 제어 정보(Sidelink Feedback Control Information, SFCI)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송신단이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보에 실린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는,
적어도 두 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에 해당하는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은 각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들 중에서 가장 크다.
구체적으로,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은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H11: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H12: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H13: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제2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충족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제2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프로토콜에서 정의되거나, 제어 노드에 의해 구성되거나, 송신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황 4: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한다.
이 상황에서, 지리적 위치에 따라 구역이 분할되며, 분할 규칙은 제어 노드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예: 기지국의 셀 id)와 관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의 범위가 하나의 지리적 구역에 속하는 경우,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의 범위에 적어도 두 개의 지리적 구역이 포함되는 경우,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 커버리지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노드는 송신단이 연결된 제어 노드를 의미한다.
제2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 정보,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사이드링크 피드백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송신단이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보에 실린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는,
적어도 두 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에 해당하는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은 각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들 중에서 가장 크다.
더 나아가, 이 상황에서, 통신 범위 지시자는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수신단의 구역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더 나아가, 통신 범위 지시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I11: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I12: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
예컨대, 이 지리적 거리는 50m이다. 즉, 송신단으로부터 50m 이내의 수신단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한다.
더 나아가,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제1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하나의 통신 범위에 해당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위치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된 범위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더 나아가, 통신 범위 지시자가 지시하는 정보가 다양함에 따라 수신단의 동작도 다양하다. 다음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정보의 측면에서,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의 특정 구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I21: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I211: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상이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I212: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가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에 인접한 m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m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m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I22: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I221: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3 거리 및 제4 거리를 결정하고, 제3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4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3 거리 및 제4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되, 여기서 제3 거리는 제4 거리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3 거리는 수신단과 송신단 사이 거리의 최대값이고, 제4 거리는 수신단과 송신단 사이 거리의 최소값이다.
I222: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4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3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4 기준점은 지리적 구역의 중심점이다.
I223: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5 기준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6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4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4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5 기준점과 제6 기준점은 모두 지리적 구역의 중심점이다.
I224: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2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이 상황에서,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의 차이값 또는 모듈로 값을 계산하고, 그 다음 특정 정량(예: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으로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제2 기준값으로 사용한다. 상기 제2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이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함을 나타낸다.
또한,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는 수신단이 연결된 제어 노드에 의해 통지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황 5: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통신 범위 지시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 상황에서, 지리적 위치에 따라 구역이 분할되며, 분할 규칙은 제어 노드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예: 기지국의 셀 id)와 관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의 범위가 하나의 지리적 구역에 속하는 경우,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의 범위에 적어도 두 개의 지리적 구역이 포함되는 경우,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 커버리지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노드는 송신단이 연결된 제어 노드를 의미한다.
제2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 정보,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사이드링크 피드백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송신단이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정보에 실린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는,
적어도 두 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에 해당하는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은 각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들 중에서 가장 크다.
더 나아가, 이 상황에서, 통신 범위 지시자는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수신단의 구역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더 나아가, 통신 범위 지시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J11: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J12: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
J13: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
더 나아가,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제1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하나의 통신 범위에 해당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수신단이 이 경우에서도 자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획득해야 하므로, 수신단은 자체를 커버하는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내의 지리적 구역의 분할 규칙을 획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그리고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 여부를 판정할 때도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다음은 다양한 측면에서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J21: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동일하다.
J211: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J2111: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상이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J2112: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i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i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i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i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J212: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J2121: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5 거리 및 제6 거리를 결정하고, 제5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6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5 거리 및 제6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되, 여기서 제5 거리는 제6 거리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5 거리는 수신단과 송신단 사이 거리의 최대값이고, 제6 거리는 수신단과 송신단 사이 거리의 최소값이다.
J2122: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의 제7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4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4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7 기준점은 지리적 구역의 중심점이다.
J2123: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 내의 제8 기준점과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 내의 제9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5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5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8 기준점과 제9 기준점은 모두 지리적 구역의 중심점이다.
J2124: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3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3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이 상황에서,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값 또는 모듈로 값을 계산하고, 그 다음 특정 정량(예: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으로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제3 기준값으로 사용한다. 상기 제3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이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함을 나타낸다.
J213: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J2131: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상기 차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J2132: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대한 모듈로 연산 후의 제3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상기 제3 임계값을 충족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여 연산 결과를 획득하고, 연산 결과가 제3 임계값보다 작으면, 수신단이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함을 나타내고, 또는, 연산 결과가 제3 임계값보다 크면, 수신단이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함을 나타낸다.
J22: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상이하다.
J221: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J2211: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상이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J2212: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니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j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j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j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j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J222: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J2221: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7 거리 및 제8 거리를 결정하고, 제7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8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7 거리 및 제8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되, 여기서 제7 거리는 제8 거리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제7 거리는 수신단과 송신단 사이 거리의 최대값이고, 제8 거리는 수신단과 송신단 사이 거리의 최소값이다.
J2222: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0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6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6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10 기준점은 지리적 구역의 중심점이다.
J2223: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1 기준점,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2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7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7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11 기준점과 제12 기준점은 모두 지리적 구역의 중심점이다.
J2224: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4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4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예컨대, 이 상황에서,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값 또는 모듈로 값을 계산하고, 그 다음 특정 정량(예: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으로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제4 기준값으로 사용한다. 상기 제4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이 HARQ 피드백을 수행해야 함을 나타낸다.
J223: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수신단은 다음 중 하나를 구현한다.
J2231: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상기 차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J2232: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대한 모듈로 연산 후의 제3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상기 제3 임계값을 충족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한다.
전술한 상황 3 내지 상황 5에 대하여,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제1 미리 설정된 코드포인트인 경우, 수신단은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상황 3 내지 상황 5에 대하여, 상기 수신단이 유휴 상태인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전술한 상황 1, 상황 4 및 상황 5에 대하여, 제1 정보를 통해 통신 범위 지시자를 전송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의 전송 블록에 다중화된 서비스 패킷의 통신 범위가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X11: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가 동일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통신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X12: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 중의 최소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X13: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 중의 최대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X14: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의 평균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X15: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의 평균값에 가장 접근하는 통신 범위 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 20m, 50m, 80m, 100m의 4개 값이 포함되는 경우, 이 4개 값의 평균값은 62.5m이며, 62.5m에 가장 접근하는 50m를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통신 범위로 선택한다.
X16: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통신 범위를 결정한다.
더 나아가, 단말은 제1 사이드링크(sidelink)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sidelink 정보는 단말과 다른 단말 사이의 sidelink 전송에 해당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응답(HARQ-ACK),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보고 및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송신단말 또는 수신단말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Y11: 제1 sidelink 정보를 획득한 후, 단말은 선택적으로 타겟 자원을 통해 타겟 정보를 제어 노드에 송신한다.
상황 1: 상향링크에서의 제1 자원, 예컨대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또는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자원은 제1 sidelink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제어 노드와 단말 사이에는 Uu 링크 연결이 채택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향링크에서의 제2 자원, 예컨대 PUCCH 또는 PUSCH 자원은 상향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향링크 정보는 제어 노드와 단말 사이의 Uu 링크 전송에 해당하는 HARQ-ACK, CSI 보고 및 SR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더 나아가, 제1 자원과 제2 자원이 중첩되는 경우, 사용자의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1: 제1 자원 및 제2 자원의 유형에 기초하여 타겟 자원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자원과 제2 자원 중 하나가 PUCCH이고, 다른 하나가 PUSCH인 경우, PUSCH를 타겟 자원으로 결정한다.
12: 제1 자원 및 제2 자원의 유형에 기초하여 타겟 정보를 결정하되,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 PUCCH에 해당하는 정보를 폐기한다.
예컨대, 제1 자원이 PUCCH이고, 제2 자원이 PUSCH이면, 제1 sidelink 정보는 폐기되고, 타겟 정보는 상향링크 정보이다.
또 예컨대, 제1 자원이 PUSCH이고, 제2 자원이 PUCCH이면, 상향링크 정보는 폐기되고, 타겟 정보는 제1 sidelink 정보이다.
- 타겟 정보는 제1 sidelink 정보와 상향링크 정보를 다중화하여 획득한 정보이다.
예컨대, 제1 자원이 PUCCH이고, 제2 자원이 PUSCH이면, 타겟 정보는 제1 sidelink 정보와 상향링크 정보를 다중화하여 획득한 정보이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자원이 PUCCH이고, 제2 자원이 PUSCH이면, PUSCH를 타겟 자원으로 결정하고, 제1 sidelink 정보와 상향링크 정보를 다중화하여 획득한 다중화 정보를 PUSCH를 통해 송신한다.
상황 2: 사이드링크에서의 제3 자원, 예컨대 PSFCH 또는 PSSCH 자원은 제1 sidelink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이 상황에서, 제어 노드와 단말 사이에는 사이드링크 연결이 채택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사이드링크에서의 제4 자원, 예컨대 PSFCH 또는 PSSCH 자원은 제2 sidelink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제2 sidelink 정보는 단말과 제어 노드 사이의 sidelink 전송에 해당하는 HARQ-ACK, CSI 보고 및 SR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더 나아가, 제3 자원과 제4 자원이 중첩되는 경우, 사용자의 동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제3 자원 및 제4 자원의 유형에 기초하여 타겟 자원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3 자원과 제4 자원 중 하나가 PSFCH이고, 다른 하나가 PSSCH인 경우, PSSCH를 타겟 자원으로 결정한다.
- 제3 자원 및 제4 자원의 유형에 기초하여 타겟 정보를 결정하되,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 PSFCH에 해당하는 정보를 폐기한다.
예컨대, 제3 자원이 PSFCH이고, 제4 자원이 PSSCH이면, 제1 sidelink 정보는 폐기되고, 타겟 정보는 제2 sidelink 정보이다.
또 예컨대, 제3 자원이 PSSCH이고, 제4 자원이 PSFCH이면, 제2 sidelink 정보는 폐기되고, 타겟 정보는 제1 sidelink 정보이다.
- 타겟 정보는 제1 sidelink 정보와 제2 sidelink 정보를 다중화하여 획득한 정보이다.
예컨대, 제3 자원이 PSFCH이고, 제4 자원이 PSSCH이면, 타겟 정보는 제1 sidelink 정보와 제2 sidelink 정보를 다중화하여 획득한 정보이다. 더 구체적으로, 제3 자원이 PSFCH이고, 제4 자원이 PSSCH이면, PSSCH를 타겟 자원으로 결정하고, 제1 sidelink 정보와 제2 sidelink 정보를 다중화하여 획득한 다중화 정보를 PSSCH를 통해 송신한다.
전술한 제1 자원, 제2 자원, 제3 자원, 제4 자원의 획득 방식은 제어 노드에 의한 구성, 프로토콜의 정의, 미리 구성, 단말 간의 합의, 다른 단말에 의한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이한 자원의 획득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자원과 제2 자원의 유형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제3 자원과 제4 자원의 유형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는 몇 가지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해당 SCI에 실리는 정보의 내용을 제공하고, 수신단의 동작을 정의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포지셔닝 좌표 정보를 나르는 것으로 인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 기존의 멀티캐스트 통신에서 먼 거리에 있는 수신단이 HARQ 피드백을 수행함으로 인해 유발되는 피드백 오버헤드 및 간섭이 커지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으며, 수신단은 제1 정보에 실린 내용을 통해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통신 오버헤드를 줄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수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1: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수신단의 구역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제1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하나의 통신 범위에 해당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정보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상기 통신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구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지리적 구역의 타겟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분할 규칙은,
지리적 구역의 분할 입도와 타겟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통신 범위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각 전송의 통신 범위에 의해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 지시 정보;
지리적 구역 각 차원의 다중화 인자 지시 정보;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제2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의 타겟 구역에 해당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상이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결정하고, 제1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는, 제2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1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2 기준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3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2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1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상기 차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대한 모듈로 연산 후의 제1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상기 제1 임계값을 충족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h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수신단이 상기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단이 상기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제2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충족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위치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된 범위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가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에 인접한 m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m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3 거리 및 제4 거리를 결정하고, 제3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4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3 거리 및 제4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3 거리는 제4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4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3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5 기준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6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4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4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2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그리고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동일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i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i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i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동일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5 거리 및 제6 거리를 결정하고, 제5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6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5 거리 및 제6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5 거리는 제6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의 제7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4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4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 내의 제8 기준점과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 내의 제9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5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5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3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3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상이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니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j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j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상이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7 거리 및 제8 거리를 결정하고, 제7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8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7 거리 및 제8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7 거리는 제8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0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6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6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1 기준점,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2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7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7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4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4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상이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동일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상기 차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대한 모듈로 연산 후의 제3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상기 제3 임계값을 충족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제1 미리 설정된 코드포인트인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수신 방법은,
수신단이 유휴 상태인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수신단에 대한 설명은 모두 해당 정보 수신 방법의 실시예에 적용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어 노드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01: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상기 단말은 수신단 또는 송신단이다.
더 나아가,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 범위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지리적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정보 송신 방법은,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송신 방법은,
단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어 노드에 대한 설명은 모두 해당 정보 송신 방법의 실시예에 적용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800)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신단이고,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801)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자원 제어 정보;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결정 방식은,
지리적 구역의 타겟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타겟 분할 규칙은,
지리적 구역의 분할 입도와 타겟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통신 범위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정보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상기 통신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구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수신단의 구역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제1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하나의 통신 범위에 해당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는 하나의 코드포인트에 의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결정 방식은,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각 전송의 통신 범위에 의해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 지시 정보;
지리적 구역 각 차원의 다중화 인자 지시 정보;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제2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의 타겟 구역에 해당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가 하나의 지리적 구역에 속하면, 상기 제1 송신 모듈(801)이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지리적 구역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송신 모듈(801)이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은,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 정보,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사이드링크 피드백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획득 방식은,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이 유휴 상태이고, 상기 송신단이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는 제1 미리 설정된 코드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이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획득하면, 상기 제1 정보에 실린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는,
적어도 두 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에 해당하는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은 각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들 중에서 가장 크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전송 블록에 다중화된 서비스 패킷의 통신 범위가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가 동일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통신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 중의 최소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 중의 최대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의 평균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의 평균값에 가장 접근하는 통신 범위 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통신 범위를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해당 단말은 전술한 송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에 해당하는 단말이며, 전술한 실시예의 모든 구현 방식은 해당 단말 실시예에 적용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단말(90)은 송신단이고, 무선 주파수 장치(910), 네트워크 모듈(920), 오디오 출력 장치(930), 입력 장치(940), 센서(950), 디스플레이 장치(960), 사용자 입력 장치(970), 인터페이스 장치(980), 메모리(990), 프로세서(911) 및 전원(912) 등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도 9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910)는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수신단의 HARQ 피드백을 보조하기 위해 제1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HARQ 피드백 방식으로 인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크고 시스템 자원 활용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통신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910)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911)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910)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910)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920)을 통해 사용자를 위해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탐색,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930)는 무선 주파수 장치(910) 또는 네트워크 모듈(920)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99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930)는 단말(9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930)는 스피커, 버저,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94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장치(940)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941) 및 마이크로폰(9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9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96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9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990)(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910) 또는 네트워크 모듈(92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9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910)를 통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90)은 또한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다른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9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주변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주변 광 센서는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961)의 밝기를 조절하고, 근접 센서는 단말(90)이 귀쪽으로 움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9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인 가속도계 센서는 다양한 방향(일반적으로 3 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식별(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보수계, 태핑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950)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9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96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961)이 포함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9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970)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970)는 터치 패널(971) 및 기타 입력 장치(9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9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9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971) 근처에서 수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9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911)에 전송하고, 프로세서(911)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971)은 저항성, 용량성,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와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9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970)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9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9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971)은 디스플레이 패널(961) 위에 커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971)은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911)에로 전달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며, 그 다음에, 프로세서(911)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961)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9에서 터치 패널(971)과 디스플레이 패널(961)이 두개의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971)과 디스플레이 패널(961)이 통합되어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980)는 외부 장치와 단말(9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포트, 비디오 입력/출력(I/O)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980)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90)의 하나 이상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단말(9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99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99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9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1)는 단말의 제어 센터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사용하여 단말 전체의 각 구성 요소를 연결하며, 메모리(99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모리(99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 전체를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911)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911)에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911)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90)에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912)(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912)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911)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9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프로세서(910)은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송신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의 기타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911), 메모리(990), 및 메모리(990)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911)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911)에 의해 실행될 때 송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송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1000)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수신단이고,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1001)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수신단의 구역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제1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하나의 통신 범위에 해당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정보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상기 통신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구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 모듈(1001)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지리적 구역의 타겟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타겟 분할 규칙은,
지리적 구역의 분할 입도와 타겟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통신 범위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 모듈(1001)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각 전송의 통신 범위에 의해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 지시 정보;
지리적 구역 각 차원의 다중화 인자 지시 정보;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제2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의 타겟 구역에 해당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 모듈(1001)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1 판단 모듈;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수행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 모듈(1001)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1 판단 모듈;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2 판단 모듈;
수신단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수행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판단 모듈은,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상이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판단 모듈은,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결정하고, 제1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는, 제2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1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2 기준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3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2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1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판단 모듈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상기 차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대한 모듈로 연산 후의 제1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상기 제1 임계값을 충족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3 판단 모듈;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수행 모듈; 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h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3 수행 모듈은,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수신단이 상기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단이 상기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3 결정 모듈은,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제2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충족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위치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된 범위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4 결정 모듈은,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가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에 인접한 m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m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4 결정 모듈은,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3 거리 및 제4 거리를 결정하고, 제3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4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3 거리 및 제4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3 거리는 제4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4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3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5 기준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6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4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4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2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 수행 모듈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4 수행 모듈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유닛;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그리고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수행 유닛;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동일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수행 유닛은,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i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i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i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동일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수행 유닛은,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5 거리 및 제6 거리를 결정하고, 제5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6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5 거리 및 제6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5 거리는 제6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의 제7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4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4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 내의 제8 기준점과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 내의 제9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5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5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3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3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상이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수행 유닛은,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니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j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j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j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상이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수행 유닛은,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7 거리 및 제8 거리를 결정하고, 제7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8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7 거리 및 제8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7 거리는 제8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0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6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6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1 기준점,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2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7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7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4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4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상이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동일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수행 유닛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상기 차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대한 모듈로 연산 후의 제3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상기 제3 임계값을 충족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획득 유닛이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한 후,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수행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제1 미리 설정된 코드포인트인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5 수행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은,
수신단이 유휴 상태인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6 수행 모듈을 더 포함한다.
해당 단말은 전술한 수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에 해당하는 단말이며, 전술한 실시예의 모든 구현 방식은 해당 단말 실시예에 적용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이 단말은 수신단이고, 이 수신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송신단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단의 무선 주파수 장치는,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단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 수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의 기타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수신단이고,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수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 실시예 중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수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어 노드(1100)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1101)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수신단 또는 송신단이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 범위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지리적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 노드(1100)는,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노드는,
단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5 결정 모듈;
상기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4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어 노드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 노드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어 노드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 실시예 중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제어 노드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도12는 본 방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노드의 구성도로서, 전술한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노드(1200)는 프로세서(1201), 송수신기(1202), 메모리(12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201)는 메모리(12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송수신기(1202)를 통해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단말은 수신단 또는 송신단이다.
도 12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1)를 핵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203)를 핵심으로 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202)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 범위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지리적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201)는 메모리(1203) 내의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되며,
송수신기(1202)를 통해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201)는 메모리(12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 노드는 네트워크 측 장비, 노변 장치(RSU), 릴레이(Relay), 통합 액세스 및 백홀(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IAB) 노드 또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상이한 다른 단말일 수 있고, 제어 노드가 네트워크 측 장비인 경우, 네트워크 측 장비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중의 진화된 기지국(Evolved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또는 중계역 또는 접속 포인트, 또는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기지국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선택적인 구현 방식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하며,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서 설명된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개선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및 수정도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5)

  1. 송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자원 제어 정보;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결정 방식은,
    지리적 구역의 타겟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분할 규칙은,
    지리적 구역의 분할 입도와 타겟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통신 범위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정보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상기 통신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구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수신단의 구역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여기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제1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하나의 통신 범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8.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는 하나의 코드포인트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결정 방식은,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각 전송의 통신 범위에 의해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은,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 지시 정보;
    지리적 구역 각 차원의 다중화 인자 지시 정보;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계산 방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1.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제2 타겟 코드포인트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타겟 코드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하나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코드포인트 중의 각 코드포인트는 통신 범위 내의 하나의 타겟 구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가 하나의 지리적 구역에 속하면,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지리적 구역이 존재하면,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제어 노드가 제2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 정보,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사이드링크 피드백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획득 방식은,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이 유휴 상태이고, 상기 송신단이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는 제1 미리 설정된 코드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이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획득하면, 상기 제1 정보에 실린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는,
    적어도 두 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에 해당하는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은 각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들 중에서 가장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전송 블록에 다중화된 서비스 패킷의 통신 범위가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가 동일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하나의 통신 범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 중의 최소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 중의 최대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의 평균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면,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범위의 평균값에 가장 접근하는 통신 범위 값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통신 범위를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9. 수신단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수신단의 구역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여기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정보는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시 정보는 상기 통신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구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지리적 구역의 타겟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상기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상이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n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7.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결정하고, 제1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는, 제2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1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2 기준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3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2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2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1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8.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상기 차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대한 모듈로 연산 후의 제1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상기 제1 임계값을 충족하면, 수신단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관계 및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h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통신 범위 내의 보조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h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수신단이 상기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단이 상기 보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제1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제2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충족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의 지리적 위치가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된 범위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제어 노드에 의해 커버리지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가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에 인접한 m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m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3 거리 및 제4 거리를 결정하고, 제3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4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3 거리 및 제4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3 거리는 제4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4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3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3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5 기준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의 제6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4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4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2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통신 범위 지시자를 포함하고, 또 상기 제1 정보가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에 근거하여,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그리고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동일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닌 경우,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i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i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i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동일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5 거리 및 제6 거리를 결정하고, 제5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6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5 거리 및 제6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5 거리는 제6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의 제7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4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4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 내의 제8 기준점과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 내의 제9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5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5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3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3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상이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지리적 구역의 계층 인덱스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고,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계층 인덱스가 0이 아니고,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와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동일하면,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와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에 인접한 j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j계층 지리적 구역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j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상이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7 거리 및 제8 거리를 결정하고, 제7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8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고, 또는, 제7 거리 및 제8 거리가 모두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 여기서 제7 거리는 제8 거리보다 큼 - ;
    수신단의 포지셔닝 정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0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6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6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1 기준점,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지리적 구역의 제12 기준점에 근거하여 제7 타겟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7 타겟 거리가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수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상기 송신단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 및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4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4 기준값이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거리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상이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또는,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과 상기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이 동일하고, 상기 통신 범위 지시자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수신단이 통신 범위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차이 절대값이 상기 차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관계가 지리적 구역 식별자에 대한 모듈로 연산 후의 제3 임계값인 경우,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의 모듈로 연산 결과가 상기 제3 임계값을 충족하면,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3. 제39항에 있어서,
    수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에 의해 송신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단이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4. 제31항, 제33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가 제1 미리 설정된 코드포인트인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5. 제31항, 제33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수신단이 유휴 상태인 경우, HARQ 피드백을 수행하지 않거나 HARQ 피드백을 항상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6. 제어 노드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에 있어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수신단 또는 송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어 노드 커버리지 범위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지리적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인접한 제어 노드 각각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단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의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리적 구역 식별자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49.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신단이고,
    수신단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0.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신단이고,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1.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수신단이고,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수신단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피드백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보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통신 범위 지시자, 지리적 구역 변의 길이와 통신 범위 간의 대응 관계, 지리적 구역 분할 규칙 및 상기 송신단이 위치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2.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수신단이고,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9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3. 제어 노드에 있어서,
    제어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식별 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은 수신단 또는 송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노드.
  54. 제어 노드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노드.
  55.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 또는 제19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 또는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장치.
KR1020227008186A 2019-08-12 2020-08-10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 KR20220046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41808.8A CN111835469B (zh) 2019-08-12 2019-08-12 一种信息发送、接收方法、终端及控制节点
CN201910741808.8 2019-08-12
PCT/CN2020/108247 WO2021027784A1 (zh) 2019-08-12 2020-08-10 信息发送、接收方法、终端及控制节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639A true KR20220046639A (ko) 2022-04-14

Family

ID=7291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186A KR20220046639A (ko) 2019-08-12 2020-08-10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단말 및 제어 노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66561A1 (ko)
EP (1) EP4016895A4 (ko)
JP (1) JP7430246B2 (ko)
KR (1) KR20220046639A (ko)
CN (2) CN114205056A (ko)
BR (1) BR112022002407A2 (ko)
WO (1) WO20210277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1634A1 (en) * 2006-09-25 2008-04-03 Jorma Kaikkonen Method, device, system and software product for adaptive feedback rate with packet-based connection
CN101741525B (zh) * 2008-11-07 2012-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的数据重传处理方法和系统
CN103167521B (zh) * 2011-12-16 2015-11-25 航通互联网信息服务有限责任公司 适合超大范围覆盖的混合自动重传请求harq方法及系统
CN103634081A (zh) * 2012-08-20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lte的超远距离覆盖通信的方法、系统及设备
US10440771B2 (en) * 2015-03-06 2019-10-08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al HARQ feedback
US11006274B2 (en) * 2015-11-30 2021-05-11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based network selection
WO2019004688A1 (ko) * 2017-06-26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N111435873A (zh) * 2019-03-26 2020-07-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反馈方法及终端
CN113632509A (zh) 2019-04-02 2021-11-09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
US20220322133A1 (en) * 2019-06-25 2022-10-06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6895A4 (en) 2022-10-19
JP7430246B2 (ja) 2024-02-09
EP4016895A1 (en) 2022-06-22
JP2022544255A (ja) 2022-10-17
CN111835469A (zh) 2020-10-27
BR112022002407A2 (pt) 2022-04-26
CN111835469B (zh) 2022-01-11
CN114205056A (zh) 2022-03-18
US20220166561A1 (en) 2022-05-26
WO2021027784A1 (zh)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5769B1 (ko) 정보 보고 방법 및 단말
WO2019192512A1 (zh) 信息上报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3115324B (zh) 一种波束失败恢复请求发送、接收方法、装置及系统
US11382160B2 (en) Method of processing radio link failure, user terminal and network device
JP7171763B2 (ja) マルチキャリア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障害回復方法及び装置
US2020011287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WO2021031826A1 (zh) 物理旁链路反馈信道的功率控制方法及终端
WO2021129478A1 (zh) 小区拥塞的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2702750A (zh) 测量处理方法、指示信息发送方法、终端和网络设备
US20230015263A1 (en) Resourc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WO2019223684A1 (zh) 测量上报方法、测量配置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3365336B (zh) 功率余量报告上报方法及终端
CN111800794B (zh) 解调参考信号位置的确定方法及设备
US20180376362A1 (en) Video Optimiz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WO2020192548A1 (zh) 混合自动重传请求反馈方法及终端
CN111130706B (zh) 一种反馈信息传输方法和设备
WO2019242678A1 (zh) 测量方法及终端
EP4016895A1 (en) Methods for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node
WO2020221125A1 (zh) 配置信息获取、发送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615085B (zh) 资源获取方法、第一终端和第二终端
CN110971357B (zh) 信息指示方法、指示接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0351892B (zh) 一种通知方法及相关设备
CN111835468B (zh) 一种信息发送、接收方法、终端及控制节点
CN111277357A (zh) 信道状态信息报告的传输方法及终端
CN113259957A (zh) 系统信息传输方法、终端、网络侧设备和s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