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227A - Ceil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eil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227A
KR20220046227A KR1020200129400A KR20200129400A KR20220046227A KR 20220046227 A KR20220046227 A KR 20220046227A KR 1020200129400 A KR1020200129400 A KR 1020200129400A KR 20200129400 A KR20200129400 A KR 20200129400A KR 20220046227 A KR20220046227 A KR 20220046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module bar
main
main modul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원걸
최종근
나영창
Original Assignee
(주)미래티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티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미래티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20012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227A/en
Publication of KR2022004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2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facility structure including: a hanger vertically combined with the bottom of a first hanger bolt vertically combined with a ceiling surface to support a power bar; the power bar supported by the hanger and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ceiling surface to fix a module bar provided in a lower part; the module bar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power bar, comprising a main module bar having a lower coupling groove with a screw threa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lower end part, and a cross module bar vertically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bar to support the main module bar and having a lower coupling groove with a screw threa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lower end part; and a second hanger bolt having one end coupled and combined with the lower coupl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or the cross module bar of the module bar and having the other end combined with the facility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anger bolt connected with the facility structure is coupled with the lower coupling grooves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to be combined and be movable along the module bar, and, accordingly, there can be an effect of enabling the facility structure to be easily installed in the desired position. Moreover, a load of 60-70kg of the facility structure can be borne by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hanger bolt is coupled with the lower coupling grooves of the module bar, and the reinforced power bar, an installation range of the facility structure can be widened and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installation can be enhanced.

Description

천장 구조물{Ceiling Structure}Cei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천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전산실(전산센터), 통신실, 병원 입원실, 사무실 등의 천장면에 트레이, 커튼레일 등 각종 설비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설비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비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설비 구조물을 지지하는 행거볼트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행거볼트의 이동이 자유로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비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천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when it is necessary to install various equipment structures such as trays and curtain rails on the ceiling surface of a computer room (computer center), communication room, hospital admission room, office, etc. It can be installed easily, can support the load of the facility structure stably, and it is easy to install the hanger bolt that supports the facility structure, and the movement of the hanger bolt is free, so the facility structure can be easily installed at the location desired by the user. It relates to a possible ceiling structure.

현재 건물 천장면 하부에 설비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장면을 관통하여 상부 슬라브에 앙카를 설치하고, 앙카에 행거볼트를 연결하여 전기, 통신 트레이나 입원실의 커튼레일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천장면 상부에는 공조용 덕트 및 냉,난방을 위한 수배관, 소화설비용 수배관 등 다양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어 원하는 위치에 설비구조물을 설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Currently, in order to install a facility structure under the ceiling of a building, an anch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lab through the ceiling surface, and a hanger bolt is connected to the anchor to install an electric/communication tray or a curtain rail in a hospital room. However, sinc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ir conditioning ducts, water pipes for cooling and heating, and water pipes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facility structures at the desired loca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퍼지 실링 시스템(10)은 천장부(11)와 행거볼트(12)로 연결된 캐링찬넬(13)의 경로 상에 크립(14)에 의해 고정되고 하단부에 홈(15)이 형성되는 퍼지모듈바(16)와, 상기 퍼지모듈바(16)에 형성된 홈(15)에 삽입 고정되는 퍼지앙카(17)와, 퍼지앙카(17)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별도의 설비 구조물에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urge sealing system 10 is fixed by a creep 14 on the path of the carrying channel 13 connected to the ceiling 11 and the hanger bolt 12, and has a groove 15 at the lower end. ) is formed, the purge anchor 17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ove 15 formed in the purge module bar 16, and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purge anchor 17 and is a separate facilit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member 18 having the other end fixed to the structur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수천장(20)은 배수모듈바(21) 하단부에 홈(22)이 형성되고, 상기 홈(22)에 퍼지앙카(23)가 삽입고정되며, 상기 퍼지앙카(23)에 고정부재(24)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in the conventional waterproof ceiling 20, a groove 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age module bar 21, and a purge anchor 23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groove 22, and the The fixing member 24 is coupled to the purge anchor 23 and is configured.

이처럼, 종래의 퍼지 실링 시스템과 방수천장은 퍼지모듈바 또는 배수모듈바 의 하부에 퍼지앙카를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상부 트레이나 각종 설비를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As such, the conventional purge sealing system and waterproof ceiling have a function to install a purge anchor at the lower part of the purge module bar or the drain module bar, so that the upper tray or various facilities can be installed.

그러나, 상기 퍼지 실링 시스템과 방수천장에서 퍼지앙카는 퍼지모듈바 또는 배수모듈바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되는 형태로서, 하부에 설치되는 설비구조물의 하중이 1개소당 15kg이상을 지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purge sealing system and the waterproof ceiling, the purge anchor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urge module bar or the drain module bar, and the load of the facility structu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can support 15 kg or more per place. There were no limits.

또한, 설비구조물에 연결되는 고정부재가 퍼지앙카를 통해 상기 배수모듈바나 퍼지모듈바에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fixing member connected to the facility structure is coupled to the drain module bar or the purge module bar through the purge anch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t takes a lot of work time.

또한, 퍼지모듈바는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가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기존 에는 메인 티바에 크로스 티바를 끼우는 구조이기 때문에 크로스 티바의 흔들림 즉, 크로스 티바의 움직임에 의한 위치 이탈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purge module bar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main tee bar and the cross tee bar. In the past, since the cross tee bar was inserted into the main tee ba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ross tee bar shakes, i.e., the position shift due to the movement of the cross tee bar was easy.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19988호(공개일 2011.03.0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9988 (published on March 2, 201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85079호(등록일 2010.09.28)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85079 (Registration Date: 2010.09.28)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바를 구성하는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하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하부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행거볼트가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하부 체결홈에 체결 결합되는 구조이여서 필요한 위치에 행거볼트의 손쉬운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행거볼트의 이동이 가능하여 설비구조물을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천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lower fastening groove with a threaded thread at the lower ends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constituting the module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anger bolt with a threa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lower part of the cross module bar.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the hanger bolts at the required position, and the hanger bolts can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so that the facility structure can be easily installed at the desired location. to provide a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듈바를 구성하는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상부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체결홈에 대응하여 결합공이 형성되는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이 덧대어지며. 상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과 상기 크로스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천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upper fastening groove with a threaded thread on the upper ends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constituting the module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connected. Correspondingly, a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is padded.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firmly and stably connected by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cross module bar To provide a ceiling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양 측면인 코너부에 절곡된 형태의 서브 고정브라켓이 덧대어지고, 상기 서브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모듈바의 측벽과 상기 크로스 모듈바의 측벽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천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bent sub fixing bracket to the corners, which ar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connected, and penetrate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sub fixing bracket to penetrate the main module b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structure in which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securely and stably connected by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side wall of the cross module bar and the side wall of the cross module ba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하는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에는 상면에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엠보가 형성되고, 절곡된 형태의 서브 고정브라켓에는 절곡된 부분에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엠보가 형성되어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견고한 지지력 및 안정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천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embossing for reinforcing the loa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connecting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nd for reinforcing the load on the bent part of the bent sub fixing bracket. It is to provide a ceiling structure in which the embossing is formed to increase the strong support and stable bonding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은 천장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 1 행거볼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파워바를 지지시키는 행거; 상기 행거에 지지되고 상기 천장면에 수평이 되게 설치되어 하부에 구비되는 모듈바를 고정시키는 상기 파워바; 상기 파워바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하부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모듈바와 상기 메인 모듈바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모듈바를 지지시키고 하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하부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크로스 모듈바로 구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설비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상기 모듈바; 및 상기 모듈바의 메인 모듈바 또는 크로스 모듈바에 형성된 하부 체결홈에 일단이 체결 결합되고 타단이 설비 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설비 구조물을 지지시키는 제 2 행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anger coupled to a lower end of a first hanger bolt vertically coupled to a ceiling surface to support a power bar; the power bar supported by the hanger and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ceiling surface to fix the module bar provided at the lower part; The main module bar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power bar and has a lower fastening groove having a threaded thread at the lower e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bar to support the main module bar and a lower fastening groove with a threaded thread at the lower end. The module bar is composed of a cross module bar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the load of the facility structur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 hanger bolt having one end coupled to a lower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module bar or cross module bar of the module ba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acility structure to support the facility structure.

그리고, 상기 모듈바는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 각각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상부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체결홈에 대응하여 결합공이 형성되는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이 덧대어지며. 상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과 상기 크로스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in the module bar, an upper fastening groove with a threaded thread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connected corresponds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where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s added.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connect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cross module bar. do it with

또한, 상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은 상기 결합공과 결합공 사이에 하중 및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엠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 중앙의 양측에는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끼워져 상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의 움직임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ing for reinforcing the load and supporting force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hole, an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to prevent movement and positional deviation of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그리고, 상기 파워바와 상기 메인 모듈바는 클램프으로 연결되고, 상기 클램프는 중앙부가 ┌┐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파워바에 걸어지고 그 양단은 외향 절곡되는 날개편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면에 덧대어지며, 상기 날개편에는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날개편의 결합공과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 의해 상기 파워바와 상기 메인 모듈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are connected by a clamp, and the clamp has a central portion provided in a ┌┐ shape to be hung on the power bar, and both ends thereof are provided with blades bent outward and are pad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module bar. In the wing piece, a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is formed, and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are connect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wing piece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파워바에 걸어지는 중앙부의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중앙부의 중심을 가로질러 상기 파워바의 하부를 지지시키는 고정핀이 상기 파워바와 상기 모듈바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켜, 상기 모듈바에 천장판넬과 등기구가 들어가는 공간이 확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lamp has a longer central portion hung on the power bar, and a fixing pi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bar across the center of the central portion maintain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ower bar and the module bar, so that the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securing a space for the ceiling panel and the luminaire to enter the bar.

이에 더하여, 상기 파워바와 상기 메인 모듈바가 상기 클램프로 연결되는 지점이 상기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메인 모듈바와 상기 크로스 모듈바의 연결부 양 측면인 코너부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의 서브 고정브라켓이 덧대어지고, 상기 서브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모듈바의 측벽과 상기 크로스 모듈바의 측벽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point at which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are connected by the clamp is located in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ross module bar, the corner portions that ar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bent at right angles. of the sub-fixing bracket is padded, and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module bar are firmly secured by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sub-fixing bracket and is fastened to the side wall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side wall of the cross module bar.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그리고, 상기 서브 고정브라켓의 결합공은 중앙의 절곡부를 기준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좌측면의 결합공과 상기 우측면의 결합공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hole of the sub fixing bracket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based on the central bent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on the left side and the coupling hole on the right side is devi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서브 고정브라켓의 절곡된 부분에는 하중 및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엠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ed portion for reinforcing the load and support force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sub fixing bracke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설비구조물과 연결되는 제 2 행거볼트가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하부 체결홈에 체결되어 모듈바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설비구조물을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hanger bolt connected to the facility structure is fastened to the low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nd is movably coupled along the module bar, the facility structure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desired location. there is an effect

또한, 모듈바의 하부 체결홈에 제 2 행거볼트를 체결결합하는 구조 및 보강된 파워바로 인하여 하나의 제 2 행거볼트를 사용하여 70kg 이상의 설비구조물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설비구조물의 설치 범위가 넓어지고 설치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a load of 70 kg or more of a facility structure using a single second hanger bolt due to the structure for fastening the second hanger bolt to the lower fastening groove of the module bar and the reinforced power bar, and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facility structure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installation.

또한,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시키는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은 메인 고정브라켓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과 크로스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를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시키고, 메인 고정브라켓의 걸림턱이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메인 고정브라켓의 움직임이나 틀어짐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하며, 엠보가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의 강도를 보강하여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견고한 지지력 및 안정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connecting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of the main fixing bracket and is main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cross module bar. The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firmly and stably connected, and the locking jaw of the main fixing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to prevent movement or distortion of the main fixing bracket and displacement of the main fixing bracket.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trong support and stable bonding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또한, 파워바와 메인 모듈바가 클램프로 연결되는 지점이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위치하는 경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연결부 양 측면인 코너부에 서브 고정브라켓이 덧대어지고, 서브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여 메인 모듈바의 측벽과 크로스 모듈바의 측벽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견고하게 연결되며, 서브 고정브라켓의 절곡부에 형성된 엠보가 서브 고정브라켓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견고한 지지력 및 안정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int where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are connected with the clamp is located at the connection part that connects the cross module bar, the sub fixing brackets are added to the corners that ar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nd the sub fixing bracket is attached to the sub fixing bracket.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firmly connected by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formed coupli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side wall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side wall of the cross module bar. By reinforcing the strength,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trong support and stable bonding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또한, 파워바와 모듈바를 연결시키는 클램프는 파워바와 모듈바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켜 모듈바에 천장판넬과 등기구가 쉽게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공간을 확보시킴으로써 천장판넬과 등기구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lamp connecting the power bar and the module bar maintain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ower bar and the module bar to secure a space for the ceiling panel and the light fixture to easily enter the module bar,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installing the ceiling panel and the light fixture. .

도 1은 종래의 퍼지 실링 시스템에서 퍼지모듈바에 형성된 홈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퍼지앙카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방수천장에서 배수모듈바에 형성된 홈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퍼지앙카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에서 제 1 행거볼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파워바를 지지하는 행거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에서 파워바와 메인 모듈바의 이격거리를 유지시켜 연결하는 클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에서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시키는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7은 도 6에서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로부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을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와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에서 모듈바의 구획된 구간에는 방수판넬이 얹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에서 현장상황에 따라 파워바와 메인 모듈바가 클램프로 연결되는 지점이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위치하는 경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연결부 양 측면인 코너부에는 결합되어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시키는 절곡된 형태의 서브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에서 제 2 행거볼트에 설비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천장 구조물을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urge anchor to which a fixing member is coupled to a groove formed in a purge module bar is inserted and fixed in a conventional purge sealing system.
FIG.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urge anchor to which a fixing member is coupled is inserted and fixed in a groove formed in a drain module bar in a conventional waterproof ceiling;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hang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ger bolt in the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ort the power bar.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lamp connecting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by maintain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in the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connecting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in the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in FIG. 6;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shown in FIG. 5 and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proof panel is placed on a divided section of a module bar in a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when the point where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are connected by a clamp is located in the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cross module bar according to the field situation in the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view showing a bent sub-fixing bracket that is coupled to the in-corner and connects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eiling structure viewed from below to show a state in which the facility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econd hanger bolt in the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and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n by way of example for the embodiment.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Also,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발명의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whole of the inven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lso,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은 크게 천장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 1 행거볼트(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행거(100), 행거에 지지되는 파워바(200), 파워바에 고정되는 모듈바(300), 모듈바에 체결결합되는 제 2 행거볼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to 10, the ce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ger 10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ger bolt 110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ceiling surface, and is supported on the hang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bar 200, a module bar 300 fixed to the power bar, and a second hanger bolt 400 fastened to the module bar.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면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 1 행거볼트(110)가 수직으로 결합되고, 제 1 행거 볼트(110)의 하단에는 파워바(200)를 지지시키기 위한 행거(100)가 결합된다.First,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first hanger bolt 110 having a thread on the outer surface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ceiling surface, and the power bar 20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ger bolt 110 . A hanger 100 for supporting is coupled.

행거(100)는 중공의 틀 형태로 구비되고, 상면을 관통하는 제 1 행거볼트(110)에 체결되어 행거 상면의 상하면에 조여지는 볼트(111)의 조임력에 의해 제 1 행거볼트(110)와 결합된다. 그리고, 중공의 틀 내부를 관통하여 걸쳐지는 파워바(200)를 지지시킨다. The hanger 1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frame, is fastened to the first hanger bolt 110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is tightened with the first hanger bolt 110 and are combined And, support the power bar 200 that penetrates through the inside of the hollow frame.

여기서, 파워바(200)는 길이가 길어 천장면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 1 행거볼트(110)와 행거(100)는 파워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천장면에 설치되어 파워바(200)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킨다.Here, the power bar 200 has a long length and is installed in a direction that is horizontal to the ceiling surface,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hanger bolt 110 and the hanger 100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ower bar 200 .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to stably mount the power bar 200 .

파워바(200)는 설비 구조물(10)의 하중을 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중공의 사각 바 형태로 구비되며, 설비 구조물(10)의 하중을 최대한으로 버틸 수 있게 기존 사용되던 캐링찬넬보다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강도를 보강한 것이다. The power bar 200 is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facility structure 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square bar, and has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carrying channel used in the past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facility structure 10 to the maximum. This reinforced the strength.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바(200)의 하부에는 클램프(350)에 의해 모듈바(300)가 고정된다.As shown in FIG. 5 , the module bar 30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bar 200 by a clamp 350 .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바(300)는 메인 메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가 고정브라켓(33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And as shown in FIG. 6 , the module bar 300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main medul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to the fixing bracket 330 .

메인 모듈바(310)는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상부 체결홈(3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도 나사산이 가공된 하부 체결홈(3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In the main module bar 310 , an upper fastening groove 311 with a threaded thread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fastening groove 312 with a threaded thread is also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크로스 모듈바(320)도 상단부와 하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상부 체결홈(321)과 하부 체결홈(322)이 형성된다.The cross module bar 320 is also formed with an upper fastening groove 321 and a lower fastening groove 322 having a threa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thereof.

메인 모듈바(310)는 파워바(200)의 하부에 파워바(200)와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크로스 모듈바(320)는 메인 모듈바(310)와 메인 모듈바(310)의 사이에서 메인 모듈바(31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메인 모듈바(310)들을 연결시킴과 동시에 지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의 결합은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상부에 덧대어지는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330)에 의해 결합된다.The main module bar 310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bar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wer bar 200 ,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is formed between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main module bar 310 . It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main module bar 310 between them and serves to connect and support the main module bars 310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is performed by a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330 that is pad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are connected. are combined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330)에는 메인 모듈바(310)의 상부 체결홈(311)과 크로스 모듈바(320)의 상부 체결홈(321)에 대응되는 결합공(331)이 형성되고, 결합공(331)과 결합공(331) 사이에는 하중 및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엠보(332)가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고정브라켓(330) 중앙의 폭방향 양측에는 메인 모듈바(310)의 상부 체결홈(311)에 끼워져 메인 고정브라켓(330)의 움직임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33)이 구비된다.7 and 8,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330 has a coupling corresponding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311 of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321 of the cross module bar 320. The ball 331 is formed, and between the coupling hole 331 and the coupling hole 331 , an embossing 332 for reinforcing the load and supporting force is formed. An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main fixing bracket 330 in the width direction, the locking jaws 333 are fitted into the upper fastening grooves 311 of the main module bar 310 to prevent movement and displacement of the main fixing bracket 330 . do.

걸림턱(333)은 메인 고정브라켓(330)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향 돌출된 형태이며, 메인 모듈바(310)의 상부 체결홈(311)에 삽입되는 폭을 갖는다. The locking jaw 333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ixing bracket 330 to protrude downward, and has a width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311 of the main module bar 310 .

그리고,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이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상부에 덧대어지면 메인 고정브라켓(330)의 걸림턱(333)이 메인 모듈바(310)의 상부 체결홈(311)에 삽입되어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330)의 움직임이나 틀어짐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한다. And, when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is add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are connected, the locking jaw 333 of the main fixing bracket 330 is the main module bar 310 . 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311 of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330 to prevent movement or misalignment and displacement.

메인 고정브라켓(330)의 결합공(331)에는 체결부재(340)가 삽입된다. 체결부재(340)는 메인 고정브라켓(330)은 결합공(331)을 관통하여 메인 모듈바(310)의 상부 체결홈(311)과 크로스 모듈바(320)의 상부 체결홈(321)에 체결된다. A fastening member 3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31 of the main fixing bracket 330 . The fastening member 340 is fastened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311 of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321 of the cross module bar 320 by passing the main fixing bracket 330 through the coupling hole 331 . do.

그리고,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330)은 체결부재(340)의 결합력으로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를 연결시킨다. 이때, 체결부재(340)와 결합공(331) 사이에는 체결부재(340)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와셔(341)가 개재된다. 또한, 엠보(332)는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330)의 강도를 보강하여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의 견고한 지지력 및 안정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And,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330 connects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340 . At this time, a washer 341 for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340 is interposed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340 and the coupling hole 331 . In addition, the embossing 332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330 to increase the strong support and stable coupling of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

이와 같이 구성된 모듈바(300)는 클램프(350)에 의해 파워바(200)의 하부에 결합되는데. 파워바(200) 및 클램프(350)는 메인 모듈바(310)에 결합된다. The module bar 300 configured in this way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bar 200 by the clamp 350 . The power bar 200 and the clamp 350 are coupled to the main module bar 310 .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350)는 중앙부(351)가 ┌┐자 형태로 구비되어 파워바(200)에 걸어지고 그 양단은 외향절곡되는 날개편(352)이 구비되어 메인 모듈바(310) 상면에 덧대어지며, 날개편(352)에는 메인 모듈바(310)의 상부 체결홈(311)에 대응하는 결합공(353)이 형성되어 날개편(352)의 결합공(353)과 메인 모듈바(310)의 상부 체결홈(311)에 체결 결합되는 체결부재(354)에 의해 파워바(200)와 메인 모듈바(310)를 연결시킨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 the clamp 350 has a central portion 351 in the shape of a ┌┐ shape and is hung on the power bar 200 , and both ends thereof are provided with wing pieces 352 that are bent outward to provide a main module. It is pad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 310 , and a coupling hole 353 corresponding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311 of the main module bar 310 is formed in the wing piece 352 , and the coupling hole 353 of the wing piece 352 is formed. ) and the power bar 200 and the main module bar 310 are connected by the fastening member 354 fastened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311 of the main module bar 310 .

이때, 파워바(200)는 모듈바(300)의 구획된 공간으로 천장판넬(P)과 등기구(LED)가 들어가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메인 모듈바(3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클램프(350)는 파워바(200)에 걸어지는 중앙부(351)의 길이가 길어지고, 길어진 중앙부(351)의 측벽을 관통하여 파워바(200)의 하부를 가로지르는 고정핀(355)이 파워바(200)를 지지시켜 파워바(200)와 메인 모듈바(300)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킨다. At this time, the power bar 200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main module bar 300 by a certain distance so as to secure a space for the ceiling panel P and the light fixture (LED) to enter the divided space of the module bar 300 , and clamp Reference numeral 350 indicates that the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351 hung on the power bar 200 is increased, and the fixing pin 355 passing through the sidewall of the elongated central portion 351 and cros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bar 200 is the power bar. 200 is supported to maintai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ower bar 200 and the main module bar 300 .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로 구성된 모듈바(300)의 구획된 구간에는 천장판넬(P)이 얹어지고, 일부 구간에는 등기구(미도시)가 설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9 , the ceiling panel P is placed on the divided section of the module bar 300 composed of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 and a luminaire (not shown) in some sections. ) is installed.

한편,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파워바(200)와 메인 모듈바(310)가 클램프(350)로 연결되는 지점이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의 상면에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330)이 덧대어지면 그 위에 파워바(200)와 메인 모듈바(310)를 연결시키는 클램프(350)를 고정시킬 수 가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point where the power bar 200 and the main module bar 310 are connected by the clamp 350 is located at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are connected. cases can often occur. At this time, when a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330 is add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 the clamp 350 connecting the power bar 200 and the main module bar 310 is placed thereon. ) cannot be fixed.

이런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의 연결부 양 측면인 코너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의 서브 고정브라켓(360)이 덧대어지고, 서브 고정브라켓(360)에 형성된 결합공(361)을 관통하여 메인 모듈바(310)의 측벽과 크로스 모듈바(320)의 측벽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재(362)에 의해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를 견고하게 연결시킨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 a sub fixing bracket 360 bent at a right angle is added to the corners that ar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 and the sub fixing bracket is applied.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y a fastening member 362 that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361 formed in 360 and is fastened to the sidewall of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sidewall of the cross module bar 320 . The bar 320 is firmly connected.

여기서, 서브 고정브라켓(360)의 결합공(361)은 중앙의 절곡부를 기준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결합공(361)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62)의 체결위치가 겹쳐지지 않도록 서브 고정브라켓(360)의 좌측면의 결합공(361)과 우측면의 결합공(361)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구비한다. Here, the coupling hole 361 of the sub fixing bracket 36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based on the central bent part, so that the coupling positions of the coupling members 362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s 361 do not overlap.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hole 361 on the left side and the coupling hole 361 on the right side of the sub fixing bracket 360 are shifted from each other.

서브 고정브라켓(360)은 메인 모듈바(310)의 양측면에 덧대어지기 때문에 결합공(361)의 위치가 같을 경우, 메인 모듈바(310)의 양 측벽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362)의 체결위치가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서브 고정브라켓(360)이 메인 모듈바(310)의 양측면에 덧대어질 때 서로 어긋나 있는 결합공(361)의 위치를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재(362)의 체결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Since the sub fixing bracket 360 is pad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module bar 310, when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holes 361 are the same, the fastening members 362 fastened on both sidewalls of the main module bar 310 are fastened. location will be the same. Accordingly, when the sub fixing bracket 360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ain module bar 310,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fastening member 362 is changed through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361 that is misaligned with each other.

또한, 서브 고정브라켓(360)의 절곡된 부분에는 하중 및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엠보(363)가 형성된다. 엠보(363)는 직각으로 절곡된 서브 고정브라켓(360)의 강도를 보강하여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의 견고한 지지력 및 안정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In addition, an emboss 363 for reinforcing the load and supporting force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sub fixing bracket 360 . The emboss 363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sub fixing bracket 360 bent at right angles to increase the strong support and stable coupling of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넬(P)이 끼워진 상태에서 천장구조물을 아래에서 바라볼 때, 메인 모듈바(310)와 크로스 모듈바(320)의 하부 체결홈(312.322)이 천장판넬(P)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메인 모듈바(310)의 하부 체결홈(312)에 제 2 행거볼트(400)가 체결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행거볼트(400)는 메인 모듈바(310)의 하부 체결홈(312)에 체결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체결홈(312)을 따라 메인 모듈바(3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And, when the ceiling structure is viewed from below in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panel P is fitted, as shown in FIG. 11 , the lower fastening grooves 312.322 of the main module bar 310 and the cross module bar 320 are formed on the ceiling panel. Exposed to the outside of (P), the second hanger bolt 400 is fastened to the lower fastening groove 312 of the main module bar 310 . In addition, the second hanger bolt 40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module bar 310 along the lower fastening groove 312 in a state where it is fastened to the lower fastening groove 312 of the main module bar 310 .

그리고, 제 2 행거볼트(400)의 하단에는 설비 구조물(10)을 지지시키는 받침바(410)가 결합되고, 받침바(410)에는 덕트 및 통신케이블, 전선, 배관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설비 구조물(10)이 적재된다. And, a support bar 410 for supporting the facility structure 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anger bolt 400 , and the support bar 410 is a tray capable of supporting ducts and communication cables, wires, pipes, etc. The facility structure 10 including the is loa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설비구조물과 연결되는 제 2 행거볼트가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하부 체결홈에 체결되어 모듈바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설비구조물을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hanger bolt connected to the facility structure is fastened to the low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nd i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module bar, the facility structure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또한, 종래 퍼지앙카를 퍼지모듈바에 끼우는 구조는 설비 구조물 30∼40kg의 하중이 한계였는데 본 발명에서 모듈바의 하부 체결홈에 제 2 행거볼트를 체결결합하는 구조 및 보강된 파워바로 인하여 70kg 이상의 설비구조물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설비구조물의 설치 범위가 넓어지고 설치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증대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tructure for inserting the purge anchor into the purge module bar was limited to a load of 30 to 40 kg of the facility structur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or fastening the second hanger bolt to the lower fastening groove of the module bar and the reinforced power bar make the facility more than 70 kg It becomes possible to support the load of the structure,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facility structure is widened, and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installation are increased.

또한,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시키는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은 메인 고정브라켓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과 크로스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를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며, 메인 고정브라켓의 걸림턱이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메인 고정브라켓의 움직임이나 틀어짐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엠보가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의 강도를 보강하여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견고한 지지력 및 안정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connecting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of the main fixing bracket and is main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cross module bar. The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firmly and stably connected, and the locking jaw of the main fixing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to prevent movement, distortion, and displacement of the main fixing bracket, as well as fixing the horizontal main with emboss.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bracket, the strong support and stable coupling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increased.

또한, 파워바와 메인 모듈바가 클램프로 연결되는 지점이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위치하는 경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연결부 양 측면인 코너부에 서브 고정브라켓이 덧대어지고, 서브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여 메인 모듈바의 측벽과 크로스 모듈바의 측벽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견고하게 연결되며, 서브 고정브라켓의 절곡부에 형성된 엠보가 서브 고정브라켓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의 견고한 지지력 및 안정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oint where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are connected with the clamp is located at the connection part that connects the cross module bar, the sub fixing brackets are added to the corners that ar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nd the sub fixing bracket is attached to the sub fixing bracket.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firmly connected by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formed coupli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side wall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side wall of the cross module bar. By reinforcing the strength, the strong support and stable bonding forc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increased.

또한, 파워바와 모듈바를 연결시키는 클램프는 파워바와 모듈바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켜 모듈바에 천장판넬과 등기구가 쉽게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공간을 확보시킴으로써 천장판넬과 등기구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In addition, the clamp connecting the power bar and the module bar maintain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ower bar and the module bar to secure a space for the ceiling panel and the light fixture to easily enter the module bar,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installing the ceiling panel and the light fixtur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at i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Equivalent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행거 110: 제 1 행거볼트
200: 파워바 300: 모듈바
310: 메인 모듈바 311: 상부 체결홈
312: 하부 체결홈 320: 크로스 모듈바
321: 상부 체결홈 322: 하부 체결홈
330: 메인 고정브라켓 331: 결합공
332: 엠보 333: 걸림턱
340: 체결부재 341: 와셔
350: 클램프 351: 중앙부
352: 날개편 353: 결합공
354: 체결부재 355: 고정핀
360: 서브 고정브라켓 361: 결합공
362: 체결부재 363: 엠보
400: 제 2 행거볼트 410: 받침바
1: 설비 구조물 P: 천장판넬
100: hanger 110: first hanger bolt
200: power bar 300: module bar
310: main module bar 311: upper fastening groove
312: lower fastening groove 320: cross module bar
321: upper fastening groove 322: lower fastening groove
330: main fixing bracket 331: coupling hole
332: emboss 333: jamming jaw
340: fastening member 341: washer
350: clamp 351: central part
352: wing piece 353: coupling hole
354: fastening member 355: fixing pin
360: sub fixing bracket 361: coupling hole
362: fastening member 363: emboss
400: second hanger bolt 410: support bar
1: Facility structure P: Ceiling panel

Claims (9)

천장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 1 행거볼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파워바를 지지시키는 행거;
상기 행거에 지지되고 상기 천장면에 수평이 되게 설치되어 하부에 구비되는 모듈바를 고정시키는 상기 파워바;
상기 파워바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하부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모듈바와 상기 메인 모듈바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모듈바를 지지시키고 하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하부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크로스 모듈바로 구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설비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상기 모듈바; 및
상기 모듈바의 메인 모듈바 또는 크로스 모듈바에 형성된 하부 체결홈에 일단이 체결 결합되고 타단이 설비 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설비 구조물을 지지시키는 제 2 행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
a hang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ger bolt vertically coupled to the ceiling surface to support the power bar;
the power bar supported by the hanger and installed to be horizontal on the ceiling surface to fix the module bar provided at the lower part;
The main module bar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power bar and having a lower fastening groove with a threaded thread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bar to support the main module bar. The module bar is composed of a cross module bar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the load of the facility structur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and
and a second hanger bolt having one end coupled to a lower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module bar or cross module bar of the module ba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acility structure to support the facility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바는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 각각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상부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체결홈에 대응하여 결합공이 형성되는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이 덧대어지며.
상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과 상기 크로스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module bar, an upper fastening groove in which a thread is processed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is pad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connected.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connected by a fastening force of a fastening member that passes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cross module bar. ceiling structure made of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의 상면에서 상기 결합공과 결합공 사이에는 하중 및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엠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Cei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an embossing for reinforcing load and supporting force is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 중앙의 양측에는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끼워져 상기 수평의 메인 고정브라켓의 움직임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Cei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is fitted in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to prevent movement and positional deviation of the horizontal main fix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ceiling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바와 상기 메인 모듈바는 클램프으로 연결되고,
상기 클램프는 중앙부가 ┌┐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파워바에 걸어지고 그 양단은 외향 절곡되는 날개편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면에 덧대어지며, 상기 날개편에는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날개편의 결합공과 상기 메인 모듈바의 상부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체결력 의해 상기 파워바와 상기 메인 모듈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are connected by a clamp,
The clamp is provided in a ┌┐ shape in a central portion and is hung on the power bar, and both ends of the clamp are provided with blades bent outward and are pad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blades have an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A cei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are connected by a fastening force of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wing piece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 of the main module bar by forming a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파워바에 걸어지는 중앙부의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중앙부의 중심을 가로질러 상기 파워바의 하부를 지지시키는 고정핀이 상기 파워바와 상기 모듈바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켜, 상기 모듈바에 천장판넬과 등기구가 들어가는 공간이 확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천장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clamp, the length of the central part hung on the power bar is increased, and a fixing pin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power bar across the center of the central part maintain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ower bar and the module bar, so that the ceiling is attached to the module bar. A cei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for the panel and luminaire to enter is secur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바와 상기 메인 모듈바가 상기 클램프로 연결되는 지점이 상기 크로스 모듈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메인 모듈바와 상기 크로스 모듈바의 연결부 양 측면인 코너부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의 서브 고정브라켓이 덧대어지고, 상기 서브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모듈바의 측벽과 상기 크로스 모듈바의 측벽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모듈바와 크로스 모듈바가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point at which the power bar and the main module bar are connected by the clamp is located in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ross module bar, a sub fixed at right angles to the corners that ar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The main module bar and the cross module bar are firmly connected by a fastening member that is padded with a bracket and fastened to the side wall of the main module bar and the side wall of the cross module bar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sub fixing bracket Characterized by the ceiling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고정브라켓의 결합공은 중앙의 절곡부를 기준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좌측면의 결합공과 상기 우측면의 결합공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upling hole of the sub fixing bracket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based on the central bent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of the left side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right side is provid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고정브라켓의 절곡된 부분에는 하중 및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엠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8. The method of claim 7,
Cei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ing for reinforcing the load and supporting force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sub fixing bracket.



KR1020200129400A 2020-10-07 2020-10-07 Ceiling Structure KR202200462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00A KR20220046227A (en) 2020-10-07 2020-10-07 Ceil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00A KR20220046227A (en) 2020-10-07 2020-10-07 Ceil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227A true KR20220046227A (en) 2022-04-14

Family

ID=8121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400A KR20220046227A (en) 2020-10-07 2020-10-07 Ceil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6227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079B1 (en) 2008-04-24 2010-10-04 김원걸 Air Return Type Waterproof ceiling
KR20110019988A (en) 2009-08-21 2011-03-02 김원걸 Fuzzy ceil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079B1 (en) 2008-04-24 2010-10-04 김원걸 Air Return Type Waterproof ceiling
KR20110019988A (en) 2009-08-21 2011-03-02 김원걸 Fuzzy ceil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877B1 (en) Cable tray having fixing device for elastically supporting cables
US6354542B1 (en) Modular cable tray assembly
US9279252B2 (en) Canopy system and group suspension system therefore
US8540090B2 (en) Telescoping wire cable tray system
US8033059B2 (en) Paneling system
KR20000077172A (en) Bar Hanger and Mounting Clip Assembly
US20220170274A1 (en) Coupling system for mounting tiles to a building
KR100619136B1 (en) Support device for duct
US20190024372A1 (en) High strength grid member for suspended ceilings
KR20220046227A (en) Ceiling Structure
KR20130116786A (en) Fixing structure of the ceiling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594354B1 (en) Balcony guardrail structure of building
KR100750390B1 (en) Panel joint structure
KR101281159B1 (en) upholder assembley for access floor
US11698502B2 (en) Bracket arrangement for cable trough system
KR20080090766A (en) Assembly pipe tray
KR100538280B1 (en) Fixing hanger for ceiling panel
KR101522228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well type celling
KR20120004130U (en) Device for branching off cable tray
KR20100010500U (en) Elbow tray for connecting cable tray
KR101216322B1 (en) A side rail connect bar of cable tray
JP2011256677A (en) Ceiling-mounted fire extinction system
KR200402360Y1 (en) Hanger
JP5004091B2 (en) Ceiling panel mounting structure
KR102488206B1 (en) Fixing Device for Power Cable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