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079B1 - Air Return Type Waterproof ceiling - Google Patents
Air Return Type Waterproof cei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5079B1 KR100985079B1 KR1020080038399A KR20080038399A KR100985079B1 KR 100985079 B1 KR100985079 B1 KR 100985079B1 KR 1020080038399 A KR1020080038399 A KR 1020080038399A KR 20080038399 A KR20080038399 A KR 20080038399A KR 100985079 B1 KR100985079 B1 KR 100985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iling
- air
- waterproof
- hanger
- module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홈이 형성된 방수모듈바를 이용하여 전산실 등의 공기순환 통로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구조의 천장설치가 가능한 천장구조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천장 상부에 레일홈이 형성된 방수모듈바를 포함하는 방수천장부와 레일홈에 행거볼트들을 설치하고 그 행거볼트들에 다수개의 캐링찬넬을 설치하여 기존 시공되는 방식의 마감천장부를 형성하여 그 사이 공간을 공조의 통로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ceiling structure capable of installing a double ceiling that can be used as an air circulation passage, such as a computer room using a waterproof module bar formed with a rail groove, including a waterproof module bar formed with a rail groove on the ceiling. Hanger bolts are installed on the waterproof ceiling and rail grooves, and a plurality of caring channels are installed on the hanger bolts to form a finishing ceiling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and the space therebetween can be used as a passage for air conditioning.
또한 이중구조에 따른 공간을 이용하여 배선의 통로, 조명 및 설비들을 설치할 수 있으며, 현재 전산실, 전기실 등에서 방수의 효과와 함께 공조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고, 기존 천장면으로 마감처리를 하여 흡음효과 및 미려한 천장면처리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wiring passages, lighting and facilities by using the space according to the dual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fficiency of air conditioning along with the waterproofing effect in the computer room and the electrical room, and to absorb sound by finishing the existing ceiling surface. And it is possible to have a beautiful ceiling surface treatment.
공기순환, 배수모듈바, 레일홈, 공조천장판, 공조모듈바, 배플구조 Air circulation, drainage module bar, rail groove, air conditioning ceiling, air conditioning module bar, baffle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조형 방수천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산실, 전기실, 정밀장비실, 은행데이터보관실, 고가의료장비실 등의 천장을 통해 발생이 되는 누수로 인한 심각한 피해를 방지하며 공기순환을 극대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수천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onditioning waterproof cei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serious damage due to leakage caused through the ceiling of the computer room, electrical room, precision equipment room, bank data storage room, expensive medical equipment room and the like to maximize the air circulation It is about waterproof ceiling which we can utilize.
현재 건물의 천장면 내부에는 냉.난방을 위한 수배관, 소화설비용 수배관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동일층 및 상부층 천장내부의 수배관의 물이 누수되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비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고, 소화활동을 위해 분사된 유체가 하부층으로 누수되어 전산장비 등에 치명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스프링클러 오작동으로 인한 전산실의 침수사고로 인해 수백억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전산실 서버, 은행의 전산정보, 건물의 전원설비, 고가의료장비 등, 정보화 사회의 주요 자원인 정보 및 건물 기능에 심각한 고장을 발생시켜 고객 및 회원,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다.Currently, water pipes for cooling and heating and water pipes fo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re installed inside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d water from the water pipes inside the ceiling of the same and upper floors leaks, causing serious damage to the equipment installed below. It can cause, and the fluid injected for extinguishing activity leaks to the lower layer, which can cause fatal damage to computing equipment. In particular, billions of damages are caused by the flooding of the computer room due to the sprinkler malfunction, such as computer room server, bank computer information, building power equipment, expensive medical equipment, etc. To increase the damage to customers, members and consumers.
종래에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공기는 통하면서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배플(baffle)구조의 관통구가 형성된 방수천장이 제안되었다. 하지 만, 종래의 방수천장은 방수효과는 가져올 수 있어도, 관통구에 의한 물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방수천장의 활용도를 제한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전산실 등의 공기순환을 위한 충분한 공간의 확보가 불가능하여 실제 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waterproof ceiling having a through hole of a baffle structure is formed, which prevents the inflow of water while passing air to both sides. However, although the conventional waterproof ceiling has a waterproof effect,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water by the through hole and has the disadvantage of limiting the utilization of the waterproof ceiling. 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actually use it because it is impossible to secure enough space for air circulation such as a computer room.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충분한 통로의 공간을 확보하고, 다양한 설비구조물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방수천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proof ceiling that ensures a sufficient passage space for the circulation of air and enables the installation of various facility structur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천장은 고정된 복수개의 캐링찬넬과 상기 캐링찬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캐링찬넬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하게 연장되고 하면에 레일홈을 가진 배수모듈바를 포함한다. 또한 방수를 위한 방수천장부와 공조, 각종시설 및 마감을 위한 마감천장부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공기 순환을 위한 공기순환부를 가지는 이중 천장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모듈바 사이에 위치하며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방수천장판넬부를 포함한다. Waterproofing ce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fixed plurality of caring channe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ring channel, and extends vertically or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aring channel and includes a drain module bar having a rail groove on the lower surface . It also includes a double ceiling structure having an air circulation for air circulation by using the space between the waterproof ceiling for waterproof and air conditioning, various facilities and finishing ceiling for finishing, can be located between the drainage module bar and air flow It includes a waterproof ceiling panel portion is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의 행거는 일측이 상기 레일홈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캐링찬넬을 고정하기 위한 행거에 결합되는 행거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감천장부는 일반천장판(석고보드, 마이톤 등), 공조천장판, 일반모듈바(T바, M바, T-H바 등), 공조모듈바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모듈바(일반모듈바 또는 공조모듈바)는 상기 캐링찬넬에 고정클립으로 고정되며, 천장판(일반천장판 또는 공조천장판)은 상기 모듈바의 턱의 아래쪽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모듈바의 턱의 위쪽에 놓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hanger may include a hanger bolt,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rail groove,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 hanger for fixing the caring channel, and the finishing ceiling part is a general ceiling plate (gypsum board) , Mytones, etc.), air conditioning ceiling plate, a general module bar (T bar, M bar, TH bar, etc.), air conditioning module bar combination, comprising a module bar (general module bar or air conditioning module bar) is the carry It is fixed to the channel with a fixed clip, the ceiling plate (general ceiling plate or air-conditioning ceiling plate)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jaw of the module bar and can be placed above the jaw of the module bar.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천장은 상기 배수모듈바 사이에 위치하며,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방수천장판넬 및 상기 유로를 덮어 상부의 물이 상기 방수천장판넬부 아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게를 포함한다.The waterproof ce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nother technical problem is located between the drainage module bar, the waterproof ceiling panel is forme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flow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covering the flow path below the waterproof ceiling panel portion It includes a cover to prevent the flow int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방수천장판넬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덮게는 상기 측벽에 형성된 유로를 덮으면서 상기 배수모듈바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wall of the waterproof ceiling panel portion, wherein the cover may extend toward the drainage module bar while covering the flow path formed on the side wall.
본 발명의 방수천장은 방수천장부와 마감천장부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공기순환부를 확보함으로써, 전산실 등의 공기순환을 위한 공기통로를 극대화하고 방수천장에 다양한 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Waterproof ce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curing an air circulation unit that can circulate the air by the space between the waterproof ceiling and the finishing ceiling, to maximize the air passage for air circulation, such as computer room, and to install a variety of facilities in the waterproof ceiling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방수천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1B-1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는 전체 방수천장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전체 방수천장은 도 1a가 반복되어 이루어진다.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proof ceil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수천장(100)은 크게 방수천장판넬부(300)와, 방수천장판넬부(300) 사이에 위치하는 배수모듈바(200), 방수천장판넬부(300)와 배수모듈바(200)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행거부(500), 천장을 마감하는 마감천장부(600) 및 공기의 순환을 위한 공기순환부(700)로 구분된다. 이때, 방수천장판넬부(300)는 동일한 단위구조가 반복되어 배열된다. 방수천장판넬부(300)들은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기(342)가 절곡된 연결홈(340)에 끼워져서 결합된다.1A and 1B, the
방수천장판넬부(300)는 배수모듈바(200)에 의해 제1 방수천장판(310)이 고정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순환부(700)의 이용과 천장 마감을 위한 마감천장부(600)로 이루어진다. 이때, 방수천장판넬부(300)의 제1 방수천장판(310)은 평탄한 형태로 배수모듈바(200)에 부착될 수 있고, 절곡된 형태로 배수모듈바(200)에 끼워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절곡된 형태의 제1 방수천장판(310)을 가진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The waterproof
여기서, 배수모듈바(200)에 대해서도 2a 및 도 2b를 도 1a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배수모듈바(200)의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2개의 배수모듈바(20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Here,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모듈바(200)는 일체형이며, 양 측벽(232)이 바닥(230)을 사이에 두고 세워져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바닥(230)과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진 측벽(232)은 배수모듈바(200)의 내측방향으로 제1 턱(23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턱(23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갈바(400)가 결합되고, 바닥(230)은 물이 흐를 수 있는 배수로를 제공한다. As shown, the
바닥(230)과 동일한 위치의 양 측벽(232)에는 배수모듈바(200)의 외측방향, 즉 방수천장판넬부(300) 방향으로는 제2 턱(23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턱(236) 부근의 측벽(232)에는 배수모듈바(200)의 내측방향으로 제1 홈(23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홈(234)에는 방수천장판넬부(300)의 제1 방수천장판(310)이 끼워진다. The
배수모듈바(200)는 배수모듈바(200)의 레일홈(220)에 끼워지도록 설계된 돌출부(252)을 포함하는 제1 결합판(250)과 배수모듈바(200)의 양단에 형성된 제2 홈(240)에 키워지는 판형의 제2 결합판(260)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판(250)과 제2 결합판(260)을 양쪽의 배수모듈바(200)에 느슨하게 끼워 넣은 후, 방수보조제를 도포한 후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2개의 배수모듈바(200)는 강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배수모듈바(20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다시 도 1a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배수모듈바(200)는 행거부(500)에 의해 고정된다. 행거부(500)는 제1 캐링찬넬(530)을 이용하여 제1 행거부(510)와 제2 행거부(520)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행거부(510)는 제1 채링찬넬(530)에 고정된 제1 행거(512)와 천장의 콘크리트 배면에 앙카를 박아서 제1 행거(512)를 고정하는 제1 행거볼트(514)로 이루어진다. 제2 행거부(520)는 제1 캐링찬넬(530)에 고정된 제2 행거(522)와 배수모듈바(200)의 갈바(400)를 고정하는 제2 행거볼트(524)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제1 캐링찬넬(530)이 없이 갈바(400)를 천장의 콘크리트 배면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A to 2A, the
한편, 배수모듈바(200)의 바닥(230)은 하부에 공기순환부(700)를 형성하기 위한 레일홈(220)이 위치한다. 레일홈(220)은 공기순환부(700)를 확보하기 위한 제3 행거볼트(714)를 지지하기 위한 행거걸이(716)가 삽입되는 곳이다. 바람직하게는, 행거걸이(716)는 제3 행거볼트(714)의 회전에 의해 레일홈(220)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장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제3 행거부(710)의 제3 행거볼트(714)는 일측이 레일홈(220)에 연결되고 타측은 다양한 공간활용과 공기순환부(700)를 형성하기 위한 마감천장부(600)의 구성요소인 천장판들(630), 등기구(660)을 부착시키기 위한 T-BAR, M-Bar, T-H BAR 등의 모듈바(620)에 결합된다. 모듈바(620)은 고정클립(622)에 의해 제2 캐링찬넬(730)에 고정된다. 천장판은 하부의 전산실 등과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관통구(632)가 형성된 천장판(630)을 포함한다. 천장판(630)은 도 1c와 같이 모듈바(620a)의 아래쪽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 1d에서와 같이 모듈바(620b)의 턱의 위쪽에 구비될 수 있다. The
천장판(630)은 하부의 전산실 등의 공기를 유입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용될 때, 사용용도에 따라 개구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하부의 전산실 등의 공기는 관통구(632)를 통해 공기순환부(700)로 유입된 후에 다시 방수천장부(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필요에 따라 방수천장부(10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공조시스템을 통하여 다시 전산실 등으로 전산실바닥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천장판(630)과 구별되게 일부 구간은 등기구(660)를 설치할 수도 있다.When the
또한, 제3 행거부(710)는 제2 캐링찬넬(730)의 고정용도 이외에 통신케이블, 전선, 배관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이(740)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방수천장은 공기순환부용 제2 캐링찬넬(730)을 별도로 설치하여 활용함으로써, 공기순환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하부의 공간활용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캐링찬넬(730)이 하부의 천장들을 충분하게 고정하기 때문이다. Waterproof ceil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ely installing the
(제2 실시예)(2nd Example)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방수천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전체 방수천장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전체 방수천장은 도 3a가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배수모듈바(200), 방수천장판넬부(300) 및 행거부(500)의 구조 및 특징에서 방수천장판넬부(300)의 변형에 대한 부분을 제외하면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여기서는 낮은 천장 높이로 인하여 행거부(500) 또는 방수천장부(300)를 공기 순환을 위한 통로로 사용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proof ceil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shows a part of the entire waterproof ceiling. Therefore, the entire waterproof ceiling is made by repeating Figure 3a. At this time, except for the modification of the waterproof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공기순환이 필요한 양에 따라 영역 C와 같이 구성하여 영역 A의 배수모듈바(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순환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1 방수천장판(310)을 도 3a의 영역 B와 같이 구성하여 상세하게는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제2 방수천장판(320) 및 제3 방수천장판(330)의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3B, and 3C, the amount of circulating air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방수천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1B-1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proof cei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도 1c 및 도 1d는 천장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C and 1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eiling plate is coupled.
도 2a는 본 발명의 배수모듈바의 하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2개의 배수모듈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of the drainage modul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two drainage module bar.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수천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이중 방수천장판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또다른 실시예이다.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proof cei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of the double waterproof ceiling plate of Figure 3a, Figure 3c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3b.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방수천장 200; 배수모듈바100;
220; 레일홈 230; 바닥220;
250; 제1 결합판 260; 제2 결합판 250;
300; 방수천장판넬부 310; 제1 방수천장판300; Waterproof
320; 제2 방수천장판 330; 제3 방수천장판320; A second
400; 갈바400; Galva
500; 행거부 510; 제1 행거부500;
520; 제2 행거부 530; 제1 캐링찬넬520;
600; 마감천장부 620; 모듈바(일반모듈바, 공조모듈바)600; Finishing
630; 천장판(일반천장판, 공조천장판) 660; 등기구630; Ceiling panels (general ceiling, air-conditioning ceiling) 660; Luminaire
700; 공기순환부 710; 제3 행거부700;
730; 제2 캐링찬넬 740; 트레이730;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399A KR100985079B1 (en) | 2008-04-24 | 2008-04-24 | Air Return Type Waterproof cei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399A KR100985079B1 (en) | 2008-04-24 | 2008-04-24 | Air Return Type Waterproof ceil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481A KR20090112481A (en) | 2009-10-28 |
KR100985079B1 true KR100985079B1 (en) | 2010-10-04 |
Family
ID=4155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8399A KR100985079B1 (en) | 2008-04-24 | 2008-04-24 | Air Return Type Waterproof ceil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507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1938A (en) | 2014-07-23 | 2016-02-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ystem for unifying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KR102376705B1 (en) | 2021-06-04 | 2022-03-18 | 김원걸 | Module ceiling bar for ceiling structures |
KR20220046227A (en) | 2020-10-07 | 2022-04-14 | (주)미래티아이에스 | Ceiling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08929A (en) * | 2021-10-20 | 2022-03-01 | 上海文天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 Anticorrosive heat-preservation type bathroom furred ceiling device |
CN115324268B (en) * | 2022-08-05 | 2024-07-05 | 深圳宇创室内装饰顾问有限公司 | Waterproof sound insulation suspended ceil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80134A (en) * | 1991-04-19 | 1993-10-26 | Taikisha Ltd | Fabrication structure for ceiling chamber, and hanger for ceiling panel |
KR20060106504A (en) * | 2005-04-09 | 2006-10-12 | 김원걸 | Light-weight double ceiling for waterproof and earthquakeproof |
-
2008
- 2008-04-24 KR KR1020080038399A patent/KR1009850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80134A (en) * | 1991-04-19 | 1993-10-26 | Taikisha Ltd | Fabrication structure for ceiling chamber, and hanger for ceiling panel |
KR20060106504A (en) * | 2005-04-09 | 2006-10-12 | 김원걸 | Light-weight double ceiling for waterproof and earthquakeproof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1938A (en) | 2014-07-23 | 2016-02-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ystem for unifying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KR20220046227A (en) | 2020-10-07 | 2022-04-14 | (주)미래티아이에스 | Ceiling Structure |
KR102376705B1 (en) | 2021-06-04 | 2022-03-18 | 김원걸 | Module ceiling bar for ceiling structur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481A (en) | 2009-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56702B2 (en) | Waterproof ceiling | |
KR100985079B1 (en) | Air Return Type Waterproof ceiling | |
RU2014134178A (en) |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A BUILDING | |
US20150159884A1 (en) | Floor heating panel and floor heating panel assembly | |
EP2169330A1 (en) | Hot water supply device for house | |
KR20060090956A (en) |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for heating using a flooring board | |
KR20160019373A (en) | Heating system | |
KR100895583B1 (en) | Waterproof ceiling | |
EP2420749B1 (en) | Climate control for a building | |
PL198906B1 (en) | Flooring unit for producing within the flooring body a system of ducts for installation of heating tubes for heating the rooms as well as for heating and cooling tubes of a combination system for heating and cooling the rooms within building, jointing pla | |
KR100878145B1 (en) | Ceiling fixing tool for panel and ceiling panel assemb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100086666A (en) | Cooling and heating system using radiation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JP2012172393A (en) |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building | |
KR100945380B1 (en) | Waterproof ceiling and module bar capable of installing structure supporting equipments installed on the ceiling | |
WO2021078970A1 (en) | Prefabricated bathroom module with leakage protection | |
JP6399440B2 (en) | Building unit and building | |
JP6148473B2 (en) | Building solar collector | |
WO2006125844A1 (en) | Procedur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itions with siding boards and partitions thus obtained | |
JP3044506B2 (en) | Apartment house with inverted beam floor structure | |
GB2428085A (en) | Underfloor heating | |
KR20120076981A (en) | Prefabricated wall panel | |
JP2007315039A (en) | Building | |
JP2009103352A (en) | Heat storage floor structure and heat storage floor construction method | |
KR20140055746A (en) | Panel for hot water circulation floor | |
KR200429084Y1 (en) |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for heating using a flooring 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