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180A - 차량 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180A
KR20220046180A KR1020200129304A KR20200129304A KR20220046180A KR 20220046180 A KR20220046180 A KR 20220046180A KR 1020200129304 A KR1020200129304 A KR 1020200129304A KR 20200129304 A KR20200129304 A KR 20200129304A KR 20220046180 A KR20220046180 A KR 20220046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terminal
vehicle
driv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김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만 filed Critical 김용만
Priority to KR102020012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180A/ko
Publication of KR2022004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를 위한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여 광고 노출을 위하여 광고제작 단말에서 제작된 광고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별로 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선택 및 지정하여 등록함으로써 차량 주행에 따라 해당 광고 노출을 통해 주행 기록을 저장하고 운영서버로 운행 기록을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 광고 노출을 위한 차량 정보를 등록 저장하고 해당 차량내에 실장되어 사용자 단말과 연동을 통해 광고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가 부착된 해당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랩핑 스티커를 통해 해당 광고가 노출 제공에 따라 광고액 산정을 위한 차량의 주행의 진위가 확인되도록 하는 USB 단말; 사용자 단말의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으로서 광고주의 랩핑 스티커 형태의 이미지가 차량 외부에 부착되고 내부에 상기 USB 단말이 실장되는 삽입구가 구현되고 차량 내에서 USB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이미지 랩핑 스티커의 단자와 사용자 단말이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어 운행에 따른 주행 거리가 사용자 단말 및 주행계기판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차량 단말; 광고주 단말의 광고주가 요청한 광고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제작 단말로 해당 광고 노출을 위한 랩핑 스티커 제작을 요청하고, 차량 단말을 통해 광고 노출 및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로 구동 어플(APP)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랩핑 스티커의 고유번호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차량 단말의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광고 노출, 운행에 따른 광고비용을 산출하여 정산하는 운영서버; 상기 운영서버와 연동되어 차량 단말을 통해 광고 정보를 노출하기 위해 운영서버로 이미지 또는 영상의 광고 정보를 전송하거나, 운영서버를 통해 요청한 해당 광고에 대하여 차량 단말의 주행에 따른 광고 노출에 따른 빈도수, 주행시간, 운행 거리의 정보를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는 광고주 단말; 및 상기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운영서버를 통해 광고주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를 제작하여 제공하거나, 영상의 광고 이미지를 헤드업, 3D 홀로그램으로 송출이 가능하도록 영상 정보를 제작하는 광고제작 단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광고주에게 수주된 광고 정보를 기초로 광고 이미지를 제작하여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광고 이미지 정보를 해당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 주행을 통한 운행 거리에 따라 광고 대행비를 산정하고 주행 차량의 사용자 단말의 운전자에게 해당 광고 비용을 지급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 홍보 효과 및 차주의 주행에 따른 이익을 통해 상생의 광고 관리 및 홍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Advertis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광고 관리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고주 단말을 통해 수주된 광고 정보를 기초로 광고 이미지를 제작하여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광고 이미지를 해당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 주행을 통한 운행 거리에 따라 광고 대행비를 산정하여 주행 차량의 사용자 단말의 운전자에게 해당 광고액을 지급하는 차량 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행에 따른 광고 이미지 노출을 신청한 차량의 사용자 단말에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여 차량 내 구비되어 실장된 USB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운행여부를 확인하고 구동 어플(APP)과 실시간 연동을 통해 진정한 사용자 단말 여부 및 운행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 및 비용 산정이 이루어지고, USB 단말의 탈착 또는 미 부착차량의 주행 및 비정상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는 미산정되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광고 정보 노출 및 비용 산정이 가능한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주들은 자사의 상품·서비스·이념 등을 대중들에게 알리기 위해 대중매체인 TV, 라디오, 신문 등을 이용한다. 이러한 광고방식은 대중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대중매체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높은 광고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 으나, TV 또는 라디오를 켜는 행위자나 신문을 구입하는 행위자에 한하여 광고메시지를 전달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광고기간이 짧은데 비하여 광고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정보통신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은 새로운 경제가치 추구 및 생활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매체가 되었다. 또한 인터넷은 기본적으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구이자 실거래 시장과 더불어 비즈니스를 위한 공간도 함께 공유하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대에 따라 인터넷 공간이 중요한 광고 영역으로 인정되고 있고, 이에 따라 광고의 형태 또한 인터넷에 기반을 두고 인터넷 접속자에게 하는 온-라인 광고가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그런데 온-라인 광고나 오프-라인 광고는 각각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갖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이 늘고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전체 국민 중에서 일부분의 사람만이 그것도 특히 젊은 사람들이 주로 이용한다. 이와같은 인터넷 이용자의 한계는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광고의 효용성 내지 활용성에 근본적인 제약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온-라인 광고는 사이트 히트 수라든가 혹은 사이트 접속자가 광고를 본 회수를 구체적인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는데 비해, 오프-라인 광고는 이와 같이 광고 효과를 수치화 해내기가 무척 힘들므로 광고주들의 광고효과에 대한 실질적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이 하나의 문제점이다. 또한, 오프-라인 광고에 있어서, 광고매체의 제한성으로 인해 그러한 광고 매체를 이용하는 데는 막대한 비용이 든다. 이와 같은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하여 중소기업이나 지역의 영세업자 등은 오프-라인 광고를 할 엄두를 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체들은 각 지역 단위별로 발행되는 신문 등에 끼워 행하는 광고지, 지역 신문이나 지역 정보지 등을 활용한 광고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고는 일회성으로 끝나고 지역 광고지 등에 대한 주민의 신뢰도가 여전히 낮아 그 광고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에 차량을 이용한 광고가 오프-라인 형태로 활용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차량을 이용한 광고는 광고주들이 대중교통수단인 버스 등을 이용하여 대중들에게 자사의 광고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예컨대, 버스의 외벽 또는 내벽에 일정기간 동안 광고물을 부착하여, 버스에 탑승한 승객들 또는 버스 외부의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광고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한 광고방식은 광고기간이 길고 이에 비해 광고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정기간 동안 하나의 광고만을 제공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특정 차량에 한정하여 광고물을 부착함으로써 광고를 실시하는 객체가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대부분 영업용 버스나 택시 등을 이용한 것들이고 일부는 회사를 홍보하는 광고 스티커를 차량에 부착하는 등의 형태로 이루어졌었다. 이처럼 광고에 활용되는 차량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특히 영업용 차량에 광고를 하기 위해서는 높은 광고비를 지불해야만 했다. 따라서, 지역에 기반을 두고 사업을 하는 영세한 자영업자들은 영업용 차량을 이용한 광고를 이용하기가 힘들었다.
그런데 자가 차주의 차량도 차량 광고에 활용될 수 있는 훌륭한 매체이면서도 실제로는 광고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을 소지한 운전자에게 기업, 광고주의 광고매체를 차량에 부착하게 함으로써 기업, 광고주의 광고 홍보 효과에 따른 이익과 사회적 활동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소유주의 광고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광고 홍보 효과와 이에 따른 금전적 보상을 통한 공동 이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개인, 단체 또는 기업 등의 차량 소지자에게 일련의 광고정보를 부착하고 차량운행에 따라 관리 어플(APP)을 통해 실시간 운행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광고 정보 노출을 통해 안정적인 광고홍보 및 운행에 따른 광고 노출을 통해 광고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 차량용 광고 방법 및 시스템(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HICLE ADVERTISING)(특허공개번호 10-2018-0047075호) 2. 차량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그 광고 시스템(The advertising method using a vehicle and the advertising system thereof)(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67722호) 3. 개인 차량을 이용한 광고중개 제공 방법(Method for mediating advertisement using personal vehicle)(특허공개번호 제10-2019-0064554호)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광고주 단말을 통해 수주된 광고 정보를 기초로 광고 이미지를 제작하여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광고 이미지를 해당 차량에 부착하여 주행을 통한 운행 거리에 따라 광고 대행비를 산정하여 주행 차량의 사용자 단말의 운전자에게 해당 광고 비용을 지급하는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행에 따른 광고 이미지 노출을 신청한 차량의 사용자 단말에 구동 어플(APP)를 실행하여 차량 내 구비되어 실장된 USB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운행 여부를 확인하고 구동 어플(APP)과 실시간 연동을 통해 진정한 사용자 단말 여부 및 운행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 및 비용 산정이 이루어지고, USB 단말의 탈착 또는 미 부착차량의 주행 및 비정상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는 미산정되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광고 정보 노출 및 비용 산정이 가능한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은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를 위한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여 광고 노출을 위하여 광고제작 단말에서 제작된 광고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별로 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선택 및 지정하여 등록함으로써 차량 주행에 따라 해당 광고 노출을 통해 주행 기록을 저장하고 운영서버로 운행 기록을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 광고 노출을 위한 차량 정보를 등록 저장하고 해당 차량내에 실장되어 사용자 단말과 연동을 통해 광고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가 부착된 해당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랩핑 스티커를 통해 해당 광고가 노출 제공에 따라 광고액 산정을 위한 차량의 주행의 진위가 확인되도록 하는 USB 단말; 사용자 단말의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으로서 광고주의 랩핑 스티커 형태의 이미지가 차량 외부에 부착되고 내부에 상기 USB 단말이 실장되는 삽입구가 구현되고 차량 내에서 USB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이미지 랩핑 스티커의 단자와 사용자 단말이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어 운행에 따른 주행 거리가 사용자 단말 및 주행계기판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차량 단말; 광고주 단말의 광고주가 요청한 광고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제작 단말로 해당 광고 노출을 위한 랩핑 스티커 제작을 요청하고, 차량 단말을 통해 광고 노출 및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로 구동 어플(APP)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랩핑 스티커의 고유번호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차량 단말의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광고 노출, 운행에 따른 광고비용을 산출하여 정산하는 운영서버; 상기 운영서버와 연동되어 차량 단말을 통해 광고 정보를 노출하기 위해 운영서버로 이미지 또는 영상의 광고 정보를 전송하거나, 운영서버를 통해 요청한 해당 광고에 대하여 차량 단말의 주행에 따른 광고 노출에 따른 빈도수, 주행시간, 운행 거리의 정보를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는 광고주 단말; 및 상기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운영서버를 통해 광고주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를 제작하여 제공하거나, 영상의 광고 이미지를 헤드업, 3D 홀로그램으로 송출이 가능하도록 영상 정보를 제작하는 광고제작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의 USB 단말은 광고를 위한 주행 차량의 차량정보를 기록 저장되고 해당 차량에 삽입 실장되어 사용자 단말의 구동 어플(APP)과 연동을 통해 정상적인 운행 여부가 확인되도록 하고, 해당 USB 단말의 탈착 또는 미부착시 비정상 주행 상태로 인지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에 운행 거리가 미산정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차량단말은 광고주 단말의 요청 광고에 대해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 이미지를 헤드업, 3D 홀로그램으로 송출하여 표시되도록 차량내 디스플레이 타입의 투명 LED를 구비하거나 전사된 이미지가 송출되어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의 광고제작 단말은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 제작시 각 광고 이미지별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스티커 일측에 사용자 단말과 무선 연동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된 단자를 구비되거나, 차량 단말에 부착된 랩핑 스티커가 탈착시 이를 인지가 가능하도록 스티커 배면에 다수의 접착수단이 배선으로 연결되고 배선된 끝단과 단자가 연동되도록 설정하여 단자와 사용자 단말이 블루투스로 연동시 랩핑 스티커의 임의의 탈착을 통해 광고 노출이 제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은 광고주에게 수주된 광고 정보를 기초로 광고 이미지를 제작하여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광고 이미지 정보를 해당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 주행을 통한 운행 거리에 따라 광고 대행비를 산정하고 주행 차량의 사용자 단말의 운전자에게 해당 광고 비용을 지급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 홍보 효과 및 차주의 주행에 따른 이익을 통해 상생의 광고 관리 및 홍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은 차량 운행에 따른 광고 이미지 노출을 신청한 차량의 사용자 단말에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여 차량 내 구비되어 실장된 USB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정상적인 운행 여부를 확인하고 구동 어플(APP)과 실시간 연동을 통해 정상적인 차량 운행 여부에 따른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USB 단말의 탈착 또는 미 부착차량의 주행 및 비정상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를 미산정되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광고 정보 노출 및 비용 산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은 광고주에게 수주한 광고정보를 기초로 제작한 랩핑 이미지 광고의 스티커 일측에 단자가 구비되어 주행 차량에 부착하고 단자와 사용자 단말의 구동 어플(APP)과 연동을 통해 광고 이미지의 탈착 여부를 운영서버에서 확인할 수 있어 광고주가 제공된 광고의 진정성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의 오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구동 어플(APP)을 통해 차량 등록을 하고 차량내 실장될 USB 단말 또는 동글 단말과 구동 어플(APP)과 연동되도록 하여 USB 단말의 탈착 및 이동 실장시 오작동 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악의적인 운행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은 랩핑 광고 이미지의 스티커 일측에 구비된 단자에 블루투스 기능 및 금속, 유리 재질과 부착될 때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구동 어플(APP) 동작시 광고 이미지 탈착에 따라 경고, 오작동 안내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실수 또는 악의적인 운영을 방지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 노출 및 진정한 주행에 따른 광고액을 제시되도록 하여 상호간 신뢰 및 안전적인 운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은 광고주의 광고 이미지를 영상으로 제작하여 차량내에 구비된 투명 LED로 헤드업, 3D 홀로그램 등으로 조사하여 표시되도록 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고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은 광고 노출을 위한 차량 정보를 등록 저장하고 해당 차량내에 실장되어 사용자 단말의 어플과 연동을 통해 동작하고, 주행 차량에 부착되는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 형태의 광고를 해당 차량의 주행에 따라 랩핑 스티커를 통해 해당 광고가 노출을 통해 차량 운행거리에 따라 광고액이 산정됨으로써 등록된 차량의 주행 여부의 진위가 확인할 수 있어 단순한 모바일 어플(APP)을 통하여 광고를 하는 오남용 사례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의 운영서버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의 구동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를 위한 광고 정보가 차량단말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단말(100), USB 단말(200), 차량단말(300) 통신망(400), 운영서버(500), 광고주 단말(600) 및 광고제작 단말(700)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를 위한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고 광고주에게 수주된 광고 정보에 대해 제작된 광고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를 차량에 부착하여 운행하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USB 단말(200), 랩핑 스티커 단자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차량 주행에 따른 주행 기록을 운영서버(5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운영서버(500)에서 제공되는 구동 어플(APP) 등록시 광고 노출을 위하여 광고제작 단말(700)에서 제작된 광고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별로 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선택 및 지정하여 등록함으로써 차량 주행에 따라 해당 광고 노출을 통해 주행 기록이 저장, 송출되도록 한다.
상기 USB 단말(200)은 광고 노출을 위한 차량 정보를 등록 저장하고 해당 차량내에 실장되어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을 통해 광고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가 부착된 해당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랩핑 스티커를 통해 해당 광고가 노출 제공에 따라 광고액 산정을 위한 차량의 주행 여부의 진위가 확인되도록 한다.
즉, 상기 USB 단말(200)은 광고를 위한 주행 차량의 차량정보를 기록 저장되고 해당 차량에 삽입 실장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구동 어플(APP)과 연동을 통해 정상적인 운행 여부가 확인되도록 하고, 해당 USB 단말(200)이 탈착 또는 미부착를 통해 해당 차량의 주행 및 비정상 주행에 따라 운행 거리가 미정산 되도록 운행 차량의 진위 및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진위 여부가 확인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USB 단말(200)이 삽입 후 탈착시 구동이 되지 않도록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00)이 주행이 이루어지더라도 운행 거리가 산정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USB 단말(200)은 차량에 삽입되어 실장되는 것으로 차량내 포트와 삽입되는 형태의 '동글'의 운영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USB 타입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차량 단말(300)은 광고주의 랩핑 스티커 형태의 이미지가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객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으로서 내부에 상기 USB 단말(200)이 실장되는 삽입구가 구현되고 차량 내에서 USB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100), 랩핑 스티커의 단자와 사용자 단말(100)이 블루투스 통신 등으로 연동되고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500)와 연동되도록 차량 운행에 따른 주행 거리가 사용자 단말(100) 및 주행계기판에 기록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차량 단말(300)은 광고주 단말(600)의 요청 광고에 대해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 이미지를 헤드업, 3D 홀로그램으로 송출하여 표시되도록 차량내 디스플레이 타입의 투명 LED를 구비하거나 전사된 이미지가 송출되어 표시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500)는 광고주 단말(600)의 광고주가 요청한 광고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제작 단말(700)로 해당 광고 노출을 위한 랩핑 스티커 제작을 요청하고, 차량단말을 통해 광고 노출 및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로 구동 어플(APP)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랩핑 스티커의 고유번호 입력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 단말(300)의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광고 노출, 운행에 따른 광고비용을 산출한다.
즉, 상기 운영서버(50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통한 광고 관리를 위한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광고주 단말(600)로 광고 수주, 광고제작 단말(700)로 수주된 광고에 따른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 제작, 사용자 단말(100)로 운행, 광고비용 산출을 위한 차량등록, 선택한 랩핑 스티커의 고유번호 입력 확인을 위한 구동 어플(APP) 제공, 차량 단말(300)의 광고 노출을 위한 주행에 따른 운행거리 수집 및 비용 산정 등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광고주 단말(600)은 상기 운영서버(500)와 연동되어 차량 단말(300)을 통해 광고 정보를 노출하기 위해 운영서버(500)로 이미지 또는 영상의 광고 정보를 전송하거나, 운영서버(500)를 통해 요청한 해당 광고에 대하여 차량 단말(300)의 주행에 따른 광고 노출에 따른 빈도수, 주행시간, 운행 거리 등의 정보를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광고제작 단말(700)은 상기 운영서버(500)와 연동하여 운영서버(500)를 통해 광고주 단말(600)이 요청한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를 제작하여 제공하거나, 영상의 광고 이미지를 헤드업, 3D 홀로그램으로 송출이 가능하도록 영상 정보를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제작 단말(700)은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 제작시 각 광고 이미지 별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스티커 일측에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연동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된 단자를 구비하여 제작한다.
또한, 상기 광고제작 단말(700)은 차량 단말(300)에 부착된 랩핑 스티커가 탈착시 이를 인지가 가능하도록 스티커 배면에 다수의 접착수단이 배선으로 연결되고 배선된 끝단과 단자가 연동되도록 구비하고 단자와 사용자 단말(100)이 블루투스로 연동되도록 하여 랩핑 스티커의 임의의 탈착을 통해 광고 노출이 제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망(40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일 수 있다. 통신망(40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400)은 사용자 단말(100), 운영서버(500), 광고주 단말(600) 및 시스템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마이컴(110), 수신부(130), 송신부(150) 및 알람부(170)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마이컴(110)은 차량 단말을 통해 광고 노출을 위한 전용 구동 어플(APP)에 이미지 랩핑 스티커별로 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선택하여 등록되도록 하고 차량 내 USB 단말(200), 랩핑 스티커 단자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여 해당 광고 노출을 통해 주행 기록이 저장, 송출되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수신부(130)는 상기 마이컴(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영서버(500)를 통해 전송되는 광고 노출을 위한 전용 구동 어플(APP)을 수신하고 제공된 광고 노출을 위한 이미지 랩핑 스티커를 수신하여 표시되도록 하거나, 운영서버(500)를 통해 광고제작 단말(700)에서 제작된 이미지 광고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노출 광고의 선택 및 고유식별번호를 지정할 수 있도록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상기 송신부(150)는 상기 마이컴(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130)를 통해 전송되어 표시된 광고제작 단말(700)의 제작된 이미지 광고에 대하여 해당 노출 광고의 고유식별번호를 구동 어플(APP) 등록시 지정하여 운영서버(500)로 전송하여 등록되도록 하거나, 운영서버(500)의 요청신호에 따라 차량 단말(300)의 광고 노출에 따른 운행 거리, 주행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150)는 USB 단말(200)과 연동을 위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정상적인 운행 정보를 송출하거나, 차량 단말(300)에 부착된 등록된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된 이미지 랩핑 스티커 단자로 정상적인 동작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알림부(170)는 상기 마이컴(1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차량 단말(300)에 부착된 광고 노출을 위한 이미지 랩핑 스티커의 오동작 또는 탈착 신호에 대하여 랩핑 스티커의 단자로 해당 경보 신호를 수신하거나, USB 단말(200)의 오동작에 따른 비정상적인 오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음을 송출한다.
즉, 상기 알람부(170)를 통해 차량 단말(300)에 부착된 랩핑 스티커 또는 USB 단말(200)의 장애에 따라 정상적인 광고 노출에 따라 광고액 산정에 장애요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해당 경보음을 통해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중 운영서버(5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운영서버(500)은 제어부(510), 연동부(530), 저장부(550), 산출부(570) 및 통계부(5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운영서버(50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510)는 광고주 단말(600)의 광고주가 요청한 광고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제작 단말(700)로 해당 광고 노출을 위한 랩핑 스티커 제작 요청, 차량 단말(300)을 통해 광고 노출 및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로 구동 어플(APP)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랩핑 스티커의 고유번호 입력 신호 확인, 차량 단말(300)의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로써 광고 노출, 운행에 따른 광고비용을 산출, 지급이 되도록 운영서버(50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10)는 광고주 단말(600)로 광고 수주, 광고제작 단말(700)로 수주된 광고에 따른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 제작, 사용자 단말(100)로 운행, 광고비용 산출을 위한 차량등록, 선택한 랩핑 스티커의 고유번호 입력 신호 확인을 위한 구동 어플(APP) 제공, 차량 단말(300)의 광고 노출을 위한 주행에 따른 운행거리 수집 및 비용 산정 등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연동부(530)는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광고주 단말(600)을 통해 광고 정보를 수주하거나, 수주된 광고 정보를 기초로 광고주 단말(600)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광고제작 단말(700)로 이미지 랩핑 스티커를 제작 요청하거나, 광고 관리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구동 어플(APP) 및 이미지 랩핑 스티커와 설정된 고유식별부호를 전송, 수집하기 위해 각 단말(100, 600,700)과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한다.
한편, 상기 연동부(530)는 사용자 단말(100)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진정한 광고 노출을 위해 USB 단말(200)에 사용자 단말(100)의 광고 노출 신청에 따라 할당된 차량등록정보가 저장된 식별장치를 부여하여 차량 단말(300) 내에 삽입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550)는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고주 단말(600)의 광고주가 전송한 광고 정보를 목록별로 분류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구동 어플(APP)을 통해 전송하거나, 광고제작 단말(700)에서 제작된 광고별 이미지 랩핑 스티커에 부여된 고유식별부호를 분류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광고 선택에 따라 해당 선택된 정보에 대해 사용 여부 및 광고 선택 횟수 등을 분류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550)는 상기 연동부(530)를 통해 제공되는 USB 단말(200)의 차량등록정보가 저장된 식별부호를 부여하고 저장하여 동일한 식별부호가 재 생산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산출부(570)는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단말(300)을 통해 이미지 랩핑 스티커를 통해 광고 노출에 따라 상기 연동부(5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운행 정보, 주행 거리를 수신하여 광고 노출에 대한 광고액을 연산, 산출하여 해당 광고액이 사용자 단말(100)로 지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계부(590)는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550)에 저장된 광고 정보와 상기 연동부(530)를 통해 전송되어 광고 노출에 따른 운행정보, 주행거리에 대해 산출부(570)를 통해 산출된 광고액에 대하여 광고 노출의 선호도, 사용자 단말(100)의 광고 노출 빈도수 등의 통계 데이터를 산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내는데,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그 세부 구동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광고주 단말(600)의 차량 단말(300)을 이용하여 이미지 광고 노출을 통한 광고 정보 요청 신호가 운영서버(500)를 통해 접수되면(S10 단계) 운영서버(500)는 광고주 단말(600)에서 전송된 광고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 랩핑 스티커 제작을 위해 광고제작 단말(700)로 해당 이미지 랩핑 스티커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광고제작 단말(700)에서 이미지 랩핑 스티커별 고유번호와 해당 이미지 랩핑 스티커를 접수한다.(S20 단계)
이후, 차량 광고를 원하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광고 노출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운영서버(500)는 전용 구동 어플(APP) 및 이미지 랩핑 스티커별 분류된 고유식별코드를 전송한다.(S30 단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운영서버(500)로 광고 노출을 위한 차량 단말(300)의 차량 정보를 등록하고, 광고 노출을 위한 이미지 랩핑 스티커를 선택, 지정하여 해당 고유식별코드를 운영서버(500)로 전송하여 등록되도록 한다.(S40 단계)
운영서버(500)의 담당자를 통해 이미지 랩핑 스티커로 구성된 광고 이미지를 수령하여 차량 단말(300)의 일측에 고정 부착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차량정보가 확인되도록 USB 단말(200)로 등록된 해당 차량등록 전송하고, 차량 단말(300)에 부착된 이미지 랩핑 스티커의 단자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S50 단계)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이미지 랩핑 스티커가 부착된 광고 정보가 부착된 차량 단말(300)을 운행하여 광고 노출을 하면 주행에 따라 USB 단말(200)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실장된 상태일 경우 실시간으로 운영서버(500)는 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운행거리를 확인하고, 지정된 기간 차량 단말(300)의 운행이 종료되면 운영서버(500)는 운행거리에 따라 할당된 광고액을 산출하고 해당 산출된 광고액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정산한다.(S60 단계)
광고액 산출이 마무리되면 기 사용된 USB 단말(200)은 폐기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추가 광고 노출을 위해서는 새로운 USB 단말(200)에 차량 등록절차를 진행하여 운영된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 마이컴 130 : 수신부
150 : 송신부 170 : 알람부
200 : USB 단말
300 : 차량 단말
400 : 통신망
500 : 운영서버
510 : 제어부 530 : 연동부
550 : 저장부 570 : 산출부
590 : 통계부
600 : 광고주 단말
700 : 광고제작 단말

Claims (4)

  1.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를 위한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여 광고 노출을 위하여 광고제작 단말(700)에서 제작된 광고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별로 부여된 고유식별번호를 선택 및 지정하여 등록함으로써 차량 주행에 따라 해당 광고 노출을 통해 주행 기록을 저장하고 운영서버(500)로 운행 기록을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100);
    광고 노출을 위한 차량 정보를 등록 저장하고 해당 차량내에 실장되어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을 통해 광고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가 부착된 해당 차량의 주행 여부에 따라 랩핑 스티커를 통해 해당 광고가 노출 제공에 따라 광고액 산정을 위한 차량의 주행의 진위가 확인되도록 하는 USB 단말(200);
    사용자 단말(100)의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으로서 광고주의 랩핑 스티커 형태의 이미지가 차량 외부에 부착되고 내부에 상기 USB 단말(200)이 실장되는 삽입구가 구현되고 차량 내에서 USB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100), 이미지 랩핑 스티커의 단자와 사용자 단말(100)이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동되어 운행에 따른 주행 거리가 사용자 단말(100) 및 주행계기판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차량 단말(300);
    광고주 단말(600)의 광고주가 요청한 광고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제작 단말(700)로 해당 광고 노출을 위한 랩핑 스티커 제작을 요청하고, 차량 단말(300)을 통해 광고 노출 및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로 구동 어플(APP)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랩핑 스티커의 고유번호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차량 단말(300)의 주행에 따른 운행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광고 노출, 운행에 따른 광고비용을 산출하여 정산하는 운영서버(500);
    상기 운영서버(500)와 연동되어 차량 단말(300)을 통해 광고 정보를 노출하기 위해 운영서버(500)로 이미지 또는 영상의 광고 정보를 전송하거나, 운영서버(500)를 통해 요청한 해당 광고에 대하여 차량 단말(300)의 주행에 따른 광고 노출에 따른 빈도수, 주행시간, 운행 거리의 정보를 구동 어플(APP)을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는 광고주 단말(600); 및
    상기 운영서버(500)와 연동하여 운영서버(500)을 통해 광고주 단말(600)이 요청한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를 제작하여 제공하거나, 영상의 광고 이미지를 헤드업, 3D 홀로그램으로 송출이 가능하도록 영상 정보를 제작하는 광고제작 단말(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단말(200)은 광고를 위한 주행 차량의 차량정보를 기록 저장되고 해당 차량에 삽입 실장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구동 어플(APP)과 연동을 통해 정상적인 운행 여부가 확인되도록 하고, 해당 USB 단말(200)의 탈착 또는 미부착시 비정상 주행 상태로 인지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에 운행 거리가 미산정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차량 단말(300)은 광고주 단말(600)의 요청 광고에 대해 영상으로 제작된 광고 이미지를 헤드업, 3D 홀로그램으로 송출하여 표시되도록 차량내 디스플레이 타입의 투명 LED를 구비하거나 전사된 이미지가 송출되어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제작 단말(700)은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 제작시 각 광고 이미지 별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스티커 일측에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연동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된 단자를 구비되거나,
    차량 단말(300)에 부착된 랩핑 스티커가 탈착시 이를 인지가 가능하도록 스티커 배면에 다수의 접착수단이 배선으로 연결되고 배선된 끝단과 단자가 연동되도록 설정하여 단자와 사용자 단말(100)이 블루투스로 연동시 랩핑 스티커의 임의의 탈착을 통해 광고 노출이 제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500)는
    광고주 단말(600)로 광고 수주, 광고제작 단말(700)로 수주된 광고에 따른 이미지의 랩핑 스티커 제작, 사용자 단말(100)로 운행, 광고비용 산출을 위한 차량등록, 선택한 랩핑 스티커의 고유번호 입력 신호 확인을 위한 구동 어플(APP) 제공, 차량 단말(300)의 광고 노출을 위한 주행에 따른 운행거리 수집 및 비용 산정 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10),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광고주 단말(600)을 통해 광고 정보를 수주하거나, 수주된 광고 정보를 기초로 광고주 단말(600)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광고제작 단말(700)로 이미지 랩핑 스티커를 제작 요청하거나, 광고 관리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구동 어플(APP) 및 이미지 랩핑 스티커와 설정된 고유식별부호를 전송, 사용자 단말(100)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진정한 광고 노출을 위해 USB 단말(200)에 사용자 단말(100)의 광고 노출 신청에 따라 할당된 차량등록정보가 저장된 식별장치를 부여하여 차량 단말(300) 내에 삽입하여 구동하는 연동부(530),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고주 단말(600)의 광고주가 전송한 광고 정보를 목록별로 분류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구동 어플(APP)을 통해 전송하거나, 광고제작 단말(700)에서 제작된 광고별 이미지 랩핑 스티커에 부여된 고유식별부호를 분류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광고 선택에 따라 해당 선택된 정보에 대해 사용 여부 및 광고 선택 횟수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USB 단말(200)의 차량등록정보가 저장된 식별부호를 부여하고 저장하여 동일한 식별부호가 재 생산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저장부(550),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단말(300)을 통해 이미지 랩핑 스티커를 통해 광고 노출에 따라 상기 연동부(5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운행 정보, 주행 거리를 수신하여 광고 노출에 대한 광고액을 연산, 산출하여 해당 광고액이 사용자 단말(100)로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산출부(570), 및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530)에 저장된 광고 정보와 상기 연동부(530)을 통해 전송되어 광고 노출에 따른 운행정보, 주행거리에 대해 산출부(570)를 통해 산출된 광고액에 대하여 광고 노출의 선호도, 사용자 단말(100)의 광고 노출 빈도수의 통계 데이터를 산출하는 통계부(5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KR1020200129304A 2020-10-07 2020-10-07 차량 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KR20220046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304A KR20220046180A (ko) 2020-10-07 2020-10-07 차량 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304A KR20220046180A (ko) 2020-10-07 2020-10-07 차량 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80A true KR20220046180A (ko) 2022-04-14

Family

ID=8121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304A KR20220046180A (ko) 2020-10-07 2020-10-07 차량 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6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169B1 (ko) * 2022-10-24 2023-10-06 아크로 주식회사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서버의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차량용 광고 방법 및 시스템(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HICLE ADVERTISING)(특허공개번호 10-2018-0047075호)
2. 차량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그 광고 시스템(The advertising method using a vehicle and the advertising system thereof)(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67722호)
3. 개인 차량을 이용한 광고중개 제공 방법(Method for mediating advertisement using personal vehicle)(특허공개번호 제10-2019-0064554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169B1 (ko) * 2022-10-24 2023-10-06 아크로 주식회사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서버의 제어 방법
WO2024090704A1 (ko) * 2022-10-24 2024-05-02 아크로 주식회사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서버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07451B (zh) 车位共享系统和方法
US9067503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dvertising systems
US89384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content delivery
US8710798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parking meter systems
JP5133881B2 (ja) 多様地理的位置サービスを管理するための相互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1307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aying for vehical parking spaces, providing advertising, and collection of data
US99287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passengers and in-vehicle equipment
US20080018730A1 (en) For-hire vehicle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thereof
CN107735825A (zh) 合法停车的方法和系统
US10740786B2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med products for dynamically tracking delivery and performance of digital advertisements in electronic digital displays
US109844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creasing advertising revenue on public transit systems via transit scheduler and enunciator systems
WO2011100005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car pooling using smart cards, gps, gprs, active poster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GB2439348A (en) Electronic classified advertising system
KR20090125498A (ko) 다중 광고 표시가 가능한 다중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6180A (ko) 차량 단말을 이용한 광고관리 시스템
JP2009070111A (ja) 運転支援サーバ及びシステム
KR20010069709A (ko) 차량용 전광판을 이용한 인터넷사이트 운영방법
KR20100058008A (ko) 현수막 대체 전광판 광고 시스템 및 이의 광고방법
JP3998545B2 (ja) デジタルデータ配信システム
CN112425133A (zh) 增强道路使用者间通信的系统和方法
KR20190140147A (ko) 차량 광고 중계 플랫폼 시스템
JP2005051731A (ja) ブロードバンドitsに対応した車輌向け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JP2003271805A (ja) 車両関連サービス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
JP2005353087A (ja) 情報収集システム
CN113724406A (zh) 停车收费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