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842A -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 Google Patents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842A
KR20220045842A KR1020200128980A KR20200128980A KR20220045842A KR 20220045842 A KR20220045842 A KR 20220045842A KR 1020200128980 A KR1020200128980 A KR 1020200128980A KR 20200128980 A KR20200128980 A KR 20200128980A KR 20220045842 A KR20220045842 A KR 20220045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respiratory
breathing
dust
nan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387B1 (ko
Inventor
차희장
Original Assignee
(주)플러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러스미 filed Critical (주)플러스미
Priority to KR102020012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3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 개선을 위한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외측에 곡면 형태의 내,외측 곡면부(11)(12)를 형성하는 반달 모양의 몸체(10)를 마스크 하부 내측으로 착용하는 것에 의해 얼굴과 마스크 사이를 이격시켜 마스크를 편안하게 착용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몸체(10)에 상하로 복수의 통기공(15)을 형성하되 상기 몸체 상부나 하부에 통기공(15)을 커버하여 미세 먼지를 차단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를 설치하여 걷기 운동할 때나 어린이와 같이 호흡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호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The respiratory adjunct for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마스크 하부 내측 위치로 착용하여 얼굴과 마스크 사이를 이격시켜 마스크를 편안하게 착용하도록 하면서 다수의 통기공에 의해 호흡을 원활하게 개선하는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먼지이나 유해 공기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거나 착용자가 말할 때 착용자의 비말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귀에 걸어 착용하기 위한 귀 걸이끈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마스크는 위생적 사용을 위해 일회용 마스크로 많이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 메르스, 코로나19 등의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가 전세계 수많은 사람들을 감염시키고 다수의 사망자를 발생하게 하면서 일회용 마스크는 실내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항상 착용하여야 하는 생활 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일회용 마스크는 안전성을 위해 다중 필터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국내의 일회용 마스크는 식약처에서 KF80, KF94, KF99의 세 종류로 등급을 나누고 있는데, 상기 KF80는 황사 방지용 마스크로, 평균 입자크기가 0.6μm(마이크로미터)인 미세입자를 80% 이상 차단함을 의미하고, KF94, KF99는 바이러스까지 차단할 수 있는 방역용 마스크로서 KF94의 경우 평균 입자크기가 0.4μm인 미세입자를 94% 이상 차단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회용 마스크를 다중 필터 구조에 의해 안전성을 높여 주게 되는데 반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통기성이 떨어져 호흡이 원활하지 못한 불편함이 있었다.
더우기,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걷기 등의 운동을 행하는 경우에 호흡이 더욱 어렵게 되고, 어린이와 같이 폐활량이 적은 경우에도 호흡이 더욱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마스크를 입과 코 부분 위치로 정확하게 착용하지 않고 사용하게 되면서 오히려 사용 안전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5-0115589호(2015년10월14일) 공개특허 제10-2020-0109278호(2020년09월22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마스크 하부 내측 위치로 착용하여 얼굴과 마스크 사이를 이격시켜 마스크를 편안하게 착용하도록 하면서 다수의 통기공에 의해 걷기 운동할 때나 어린이와 같이 호흡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호흡을 원활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의 재질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반복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 및 경제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통기공으로 나노 섬유 방진 필터를 고정 또는 조립 방식이나 착탈 방식으로 설치하므로 호흡을 원활히 행하면서 미세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사용 만족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입 주위가 마스크에 닿지 않도록 하면서 착용감 개선은 물론 호흡을 더 원활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에서 양 측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내,외측에 곡면 형태의 내,외측 곡면부를 형성하는 반달 모양의 몸체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에 상하로 복수의 통기공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마스크 하부 내측으로 착용하는 것에 의해 얼굴과 마스크 사이를 이격시켜 주면서 호흡을 개선시켜 주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외측 곡면부에는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마스크 내측면에 접착 설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양 측방에는 상단에 걸고리를 형성하는 걸이구를 수직 설치하여 마스크 양 측방의 귀 걸이끈에 걸어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 상부나 하부에는 통기공을 커버하여 미세 먼지를 차단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나노 섬유 방진 필터를 더 설치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나노 섬유 방진 필터는 몸체의 외곽에 대응되는 테두리 형태의 틀채에 부착하고, 상기 틀채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를 몸체 테두리를 따라 대응 형성된 고정 홈에 억지 결합하여 고정 조립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나노 섬유 방진 필터는 몸체의 외곽에 대응되는 테두리 형태의 틀채에 부착하고, 상기 틀채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와 걸림턱이 형성된 로크 돌기를 몸체 테두리를 따라 대응 형성된 고정 홈과 로크 홈에 착탈 결합하여 교체 가능하게 조립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내측 곡면부에는 하부에 내측으로 턱부를 만곡 돌출 형성하여 착용자의 턱 하부 부분을 감싸며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외측 곡면부 상부를 따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형의 와이어를 연결한 돔 구조의 커버를 형성하여 코 밑에서 입 주위를 감싸도록 착용되면서 마스크가 입 주위에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외측에 곡면 형태의 내,외측 곡면부를 형성하는 반달 모양의 몸체를 마스크 하부 내측으로 착용하는 것에 의해 얼굴과 마스크 사이를 이격시켜 마스크를 편안하게 착용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몸체에 상하로 복수의 통기공을 형성하되 상기 몸체 상부나 하부에 통기공을 커버하여 미세 먼지를 차단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나노 섬유 방진 필터를 설치하여 걷기 운동할 때나 어린이와 같이 호흡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호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몸체의 외측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상부 양측에 마스크의 귀 걸이끈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걸이구를 설치하여 마스크의 재질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착용하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몸체에 나노 섬유 방진 필터를 고정 또는 조립 방식이나 착탈 방식으로 다양하게 설치하여 호흡을 원활하게 행하면서 미세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사용 만족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 상부에 만곡형의 와이어를 연결한 돔 구조의 커버로 착용자의 입 주위를 감싸도록 하면서 마스크가 착용자의 입 주위가 마스크에 닿지 않도록 하여 착용감 개선은 물론 호흡을 더 원활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호흡 보조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예로서 양면 테이프 부착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또 다른 예로서 걸이구 설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나노 섬유 방진 필터의 고정 결합식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나노 섬유 방진 필터의 착탈 결합식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호흡 보조기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호흡 보조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도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호흡 보조기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 하부 내측으로 착용하는 것에 의해 얼굴과 마스크(2) 사이를 이격시켜 주면서 호흡을 개선시켜 주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중앙에서 양 측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내,외측에 곡면 형태의 내,외측 곡면부(11)(12)를 형성하는 반달 모양의 몸체(10)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10)의 상하로 복수의 통기공(15)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측 곡면부(11)는 마스크 착용자의 턱 부분에 밀착되고 외측 곡면부(12)는 마스크 하부 내측에 밀착되게 착용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 제작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마스크 하부 내측으로 삽입 설치할 수도 있지만 도 2에서와 같이 외측 곡면부(12)에 양면 테이프(20)를 부착하여 마스크 내측면에 접착 설치하여 착용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양 측방 상부로 상단에 걸고리(32)를 형성하는 걸이구(30)를 수직 설치하여 마스크 양 측방의 귀 걸이끈(3)에 걸어 지지되게 착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상부나 하부에는 통기공(15)을 커버하여 미세 먼지를 차단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를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는 몸체에 직접 고주파, 열접착에 의해 부착할 수도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몸체(10)의 외곽에 대응되는 테두리 형태의 틀채(41)에 고주파, 열접착에 의해 부착하고, 상기 틀채(4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42)를 몸체(10) 테두리를 따라 대응 형성된 고정 홈(16)에 억지 결합하여 고정 조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는 도 6에서와 같이 몸체(10)의 외곽에 대응되는 테두리 형태의 틀채(41')에 고주파, 열접착에 의해 부착하고, 상기 틀채(4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42)와 걸림턱(43a)이 형성된 로크 돌기(43)를 몸체(10) 테두리를 따라 대응 형성된 고정 홈(16)과 로크 홈(17)에 착탈 결합하여 교체 가능하게 조립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호흡 보조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 도 8의 실시 예는 도 1과 비교할 때 몸체의 내측 곡면부(11)에 하부 내측으로 턱부(11a)를 만곡 돌출 형성하여 착용자의 턱 하부 부분을 감싸며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의 실시 예는 몸체(10) 상부에 외측 곡면부(12)의 상부를 따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형의 와이어를 연결한 돔 구조의 커버(35)를 형성하여 코 밑에서 입 주위를 감싸도록 착용되면서 마스크가 입 주위에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호흡 보조기를 장착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2)는 도 7에 도시된 평면형 마스크 이외에 입 부분이 돌출되는 입체형 마스크 등 다양한 구조의 마스크는 물론 다양한 소재의 마스크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42'는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에 형성되어 몸체(10) 저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16')가 억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 홈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반달 모양의 몸체(10)를 마스크(2)의 하부 내측으로 위치시켜 착용한다.
즉, 상기 몸체의 내측 곡면부(11)가 마스크 착용자의 턱 부분에 밀착되고 외측 곡면부(12)가 마스크(2)의 하부 내측에 밀착되게 착용하는데, 상기 몸체(10)는 중앙에서 양 측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면서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틈새 없이 밀착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도 5에서와 같이 외측 곡면부(12)에 부착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20)에 의해 마스크(2) 내측으로 부착하면서 사용중 마스크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사용하거나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0) 상부 양측에 수직 설치되어 있는 걸이구(30) 상단의 걸고리(32)를 마스크 양 측방의 귀 걸이끈(3)에 걸어 사용중 마스크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호흡 보조기의 몸체(10)를 마스크(2) 하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착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몸체(10)가 얼굴과 마스크(2) 사이를 이격시켜 주면서 얼굴에 마스크가 밀착되지 않아 말하기나 숨쉬기가 종래보다 더욱 편안하도록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몸체(10)의 내측 곡면부(11)에 도 8에서와 같이 하부 내측으로 턱부(11a)를 만곡 돌출 형성하여 상기 턱부(11a)에 의해 착용자의 턱 하부 부분을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하므로 착용감 개선은 물론 얼굴과 몸체(10) 사이를 곡면으로 밀착시켜 기밀을 우수하게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 상부에 도 9에서와 같이 외측 곡면부(12) 상부를 따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형의 와이어를 연결 형성한 돔 구조의 커버(35)가 코 밑에서 입 주위를 감싸도록 착용하면서 마스크가 입 주위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이 더 우수하게 됨은 물론 입에 의한 호흡도 더 원활히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착용되는 본 발명의 호흡 보조기는 몸체(10)에 상하로 형성된 복수의 통기공(15)에 의해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통기공(15)을 통해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걷기 운동할 때나 어린이와 같이 호흡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호흡을 원활히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부나 하부로 설치되는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에 의해 통기공(15)을 커버하기 때문에 미세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통기성을 원활히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는 도 2에서와 같이 틀체(41)에 고주파, 열접착으로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틀체(41)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42)를 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대응 형성된 고정 홈(16)에 억지 결합하여 고정 조립 사용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틀채(41')에 고주파, 열접착으로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틀채(4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42)와 걸림턱(43a)이 형성된 로크 돌기(43)를 몸체(10) 테두리를 따라 대응 형성된 고정 홈(16)과 로크 홈(17)에 착탈 결합하여 교체 가능하게 조립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도 4의 틀체(41')는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에 미세 먼지가 많이 흡착되는 경우 상기 몸체(10)에서 분리하여 세척하여 재 사용하거나 교체하여 몸체(10)에 간단히 재 조립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달 모양의 몸체(10)를 마스크 하부 내측으로 착용하는 것에 의해 얼굴과 마스크 사이를 이격시켜 마스크를 편안하게 착용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10)의 상하로 형성된 복수의 통기공(15)과 상기 통기공을 커버하는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에 의해 미세 먼지를 차단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므로 걷기 운동할 때나 어린이와 같이 호흡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호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 몸체 11,12: 내,외측 곡면부
11a: 턱부 15: 통기공
16: 고정 홈 17: 로크 홈
20: 양면 테이프 30: 걸이구
32: 걸고리 35: 커버
40: 나노 섬유 방진 필터 41,41': 틀채
42: 고정 돌기 43: 로크 돌기
43a: 걸림턱

Claims (8)

  1. 중앙에서 양 측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내,외측에 곡면 형태의 내,외측 곡면부(11)(12)를 형성하는 반달 모양의 몸체(10)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10)의 상하로 복수의 통기공(15)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마스크 하부 내측으로 착용하는 것에 의해 얼굴과 마스크(2) 사이를 이격시켜 주면서 호흡을 개선시켜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 곡면부(11)에는 하부에 내측으로 턱부(11a)를 만곡 돌출 형성하여 착용자의 턱 하부 부분을 감싸며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측 곡면부(12)에는 양면 테이프(20)를 부착하여 마스크 내측면에 접착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부 양 측방에는 상단에 걸고리(32)를 형성하는 걸이구(30)를 수직 설치하여 마스크 양 측방의 귀 걸이끈(3)에 걸어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상부나 하부에는 통기공(15)을 커버하여 미세 먼지를 차단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를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는 몸체의 외곽에 대응되는 테두리 형태의 틀채(41)에 부착하고, 상기 틀채(4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42)를 몸체(10) 테두리를 따라 대응 형성된 고정 홈(16)에 억지 결합하여 고정 조립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방진 필터(40)는 몸체의 외곽에 대응되는 테두리 형태의 틀채(41')에 부착하고, 상기 틀채(4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 돌기(42)와 걸림턱(43a)이 형성된 로크 돌기(43)를 몸체(10) 테두리를 따라 대응 형성된 고정 홈(16)과 로크 홈(17)에 착탈 결합하여 교체 가능하게 조립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8.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외측 곡면부(12) 상부를 따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형의 와이어를 연결한 돔 구조의 커버(35)를 형성하여 코 밑에서 입 주위를 감싸도록 착용되면서 마스크가 입 주위에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KR1020200128980A 2020-10-06 2020-10-06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KR102503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980A KR102503387B1 (ko) 2020-10-06 2020-10-06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980A KR102503387B1 (ko) 2020-10-06 2020-10-06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42A true KR20220045842A (ko) 2022-04-13
KR102503387B1 KR102503387B1 (ko) 2023-02-24

Family

ID=8121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980A KR102503387B1 (ko) 2020-10-06 2020-10-06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3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517A (ko) * 2004-10-08 2006-04-12 은익수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KR20120013171A (ko) * 2010-08-04 2012-02-14 박경수 입가림 마스크
JP2012110577A (ja) * 2010-11-26 2012-06-14 Akiba Kogyo Kk マスク補助具
KR20150115589A (ko) 2014-04-03 2015-10-14 주식회사 광세로 호흡이 원활한 마스크
KR101797701B1 (ko) * 2017-06-15 2017-11-14 이완규 마스크
KR101939485B1 (ko) * 2017-08-11 2019-01-16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날숨배출부재가 장착되는 마스크
KR20200109278A (ko) 2020-09-02 2020-09-22 김관민 일회용 주머니 마스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517A (ko) * 2004-10-08 2006-04-12 은익수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KR20120013171A (ko) * 2010-08-04 2012-02-14 박경수 입가림 마스크
JP2012110577A (ja) * 2010-11-26 2012-06-14 Akiba Kogyo Kk マスク補助具
KR20150115589A (ko) 2014-04-03 2015-10-14 주식회사 광세로 호흡이 원활한 마스크
KR101797701B1 (ko) * 2017-06-15 2017-11-14 이완규 마스크
KR101939485B1 (ko) * 2017-08-11 2019-01-16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날숨배출부재가 장착되는 마스크
KR20200109278A (ko) 2020-09-02 2020-09-22 김관민 일회용 주머니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387B1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226B1 (ko) 숨쉬기 용이한 기능성 마스크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TWM491477U (zh) 面罩
KR101699153B1 (ko) 방진용 코마스크
KR102089657B1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3232740U (ja) マスク用スペーサ
JP2023527407A (ja) 浮遊物質の吸入およびそれへの曝露を防止するための装置
KR101266926B1 (ko) 방진 마스크
KR101530869B1 (ko) 일상 생활용 마스크
US20210298387A1 (en) Protective mask accessories
KR200495691Y1 (ko) 미세 먼지 차단용 전면 마스크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2388276B1 (ko) 마스크
KR20220045842A (ko) 호흡 개선형 마스크용 호흡 보조기
JP3230429U (ja) マスク用セパレータ及びマスク
US20210370105A1 (en) Air inhalation and exhalation filtering mask
KR20200024594A (ko) 일체형 마스크
KR20220034573A (ko) 필터 교체형 투명 마스크
KR102565804B1 (ko)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KR20210120226A (ko) 필터교체식 마스크
KR102444714B1 (ko) 마스크용 쿨링패드
CN211912485U (zh) 防护面罩
KR20210153488A (ko) 세척사용이 가능한 비말차단마스크
TWI693083B (zh) 口罩
CN212877728U (zh) 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