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395A - Hydraulic moun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ydraulic moun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395A
KR20220045395A KR1020200128077A KR20200128077A KR20220045395A KR 20220045395 A KR20220045395 A KR 20220045395A KR 1020200128077 A KR1020200128077 A KR 1020200128077A KR 20200128077 A KR20200128077 A KR 20200128077A KR 20220045395 A KR20220045395 A KR 20220045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topper
deformation
fluid
exc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395A/en
Publication of KR2022004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3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63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ssages between work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09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buffering features or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uid enclosed mount for a vehicle, which has a deformation guide groove in a membrane to enable the membrane to be easily deformed in a compression direction due to the deformation guide groove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compressed, thereby restraining a phenomenon that an outer end part of the membrane collides with a surface of a movement gap to prevent a joint. Moreover, a stopper capable of coming in contact with the membrane is mounted in an orifice body to enable the stopper to perform stopping for suppor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membrane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compressed with large displacement,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membrane to increase durability of the membrane.

Description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HYDRAULIC MOUNT FOR VEHICLE}Fluid Enclosed Mount for Vehicles {HYDRAULIC MOU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십자홈을 갖는 멤브레인과 이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이용하여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filled mount for automobi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filled mount for automobiles using a membrane having a cross groove and a stopper supporting it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과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는 파워트레인(Power Train)이 엔진룸에 탑재될 때,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하여 엔진 마운트와 트랜스미션 마운트 등에 의하여 마운팅된다.In general, when a power train including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of a vehicle is mounted in an engine room, it is mounted by an engine mount and a transmission mount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a vehicle body.

상기 마운트로서 고무 재질인 인슐레이터(Insulator)의 하부에 유체를 봉입한 유체 봉입형 마운트가 적용되고 있고, 이 유체 봉입형 마운트는 하이드로릭 마운트로 불리며 높은 주파수 영역 및 낮은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동시에 감쇠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여러 차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the mount, a fluid-filled mount in which a fluid is encapsulated at the bottom of an insulator made of rubber is applied. It is manufactured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and is widely used in various car types.

여기서, 종래의 유체 봉입형 마운트를 첨부한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referring to FIGS. 1 and 2 attached to a conventional fluid-enclosed mount, it is as follows.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0은 엔진과 연결되는 볼트를 지시한다.1 and 2,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bolt connected to the engine.

상기 볼트(10)는 코어부시(12)와 결합되고, 코어부시(12)의 외경부에는 가류 접착 등의 방식으로 메인러버(14)가 형성된다.The bolt 10 is coupled to the core bush 12 , and a main rubber 14 is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re bush 12 by vulcanization or the like.

또한, 상기 메인러버(14)의 하부에는 어퍼플레이트(16)와 로워플레이트(18)가 상호 결합된 오리피스체(20)가 배치되고, 오리피스체(20)의 하부에는 다이어프램(28)이 장착된다.In addition, an orifice body 20 in which an upper plate 16 and a lower plate 18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disposed under the main rubber 14, and a diaphragm 28 is mounted under the orifice body 20 .

이때, 상기 로워플레이트(18)는 상면부에 요홈 구조를 갖는 제1오리피스인 유로(18-1)가 형성되는 동시에 유로(18-1)의 소정 위치에 하부 출입구(18-2)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16)는 상부 출입구(16-1)를 갖는 링 형상의 판체로 제작되어 로워플레이트(18)의 유로(18-1)를 커버하며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late 18 has a ring in which a flow path 18-1, which is a first orifice having a concave structur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a lower entrance 18-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low path 18-1. The upper plate 16 is made of a ring-shaped plate having an upper entrance 16-1, and is coupled to cover the flow path 18-1 of the lower plate 18.

특히, 상기 오리피스체(20)의 중앙부에는 상부 유체실(22)과 하부 유체실(24)을 구분하는 고무 재질의 멤브레인(26)이 장착된다.In particular, a rubber membrane 26 that separates the upper fluid chamber 22 and the lower fluid chamber 24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orifice body 20 .

구체적으로, 상기 멤브레인(26)이 오리피스체(20)의 중앙 개구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멤브레인(26)의 외경부가 로워플레이트(18)의 내경부에 형성된 단턱부(18-3)에 안착된 후, 어퍼플레이트(16)의 내주단에 의하여 커버링되는 상태가 된다.Specifically, after the membrane 26 is disposed at the central opening of the orifice body 20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membrane 26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18-3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8, It is in a state covered by the inner peripheral end of the upper plate (16).

이때, 상기 멤브레인(26)의 외측단 상면부와 상기 어퍼플레이트(16) 사이,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26)의 외측단 저면부와 상기 로워플레이트(18) 사이에는 유동갭(30)이 존재한다.At this time, a flow gap 30 exist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end of the membrane 26 and the upper plate 16 , an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end of the membrane 26 and the lower plate 18 .

따라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체 봉입형 마운트에 차량의 험로 주행에 따른 대변위 진동 등이 입력되면, 첨부한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러버(14)가 압축되는 동시에 유체압이 멤브레인(26)를 가압하여 유동갭(30)이 닫힘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 유체실(22) 내의 유체가 오리피스체(20)의 어퍼플레이트(16)에 형성된 상부 출입구(16-1)를 통해 로워플레이트(18)의 유로(18-1)로 진입한 후, 유로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하부 출입구(18-2)를 통해 하부 유체실(24)로 충진되면서 대변위 진동을 완충시키는 높은 감쇄가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a large displacement vibration according to the rough road driving of the vehicle is input to the fluid-filled mou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ain rubber 14 is compressed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By pressing 26, the flow gap 30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fluid in the upper fluid chamber 22 flows through the upper entrance 16-1 formed in the upper plate 16 of the orifice body 20. After entering into the flow path 18-1 of the lower plate 18, it is filled into the lower fluid chamber 24 through the lower entrance 18-2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low path, and a high attenuation to buffer large displacement vibration occurs. is done

반면, 상기 유체 봉입형 마운트에 차량의 아이들 진동 또는 양호한 도로 주행에 따른 미소변위 진동 등이 입력되면, 첨부한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26)이 미소 변위되면서 아이들 진동 등을 흡수하게 되므로, NVH(Noise, Vibration & Harshness)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dle vibration of a vehicle or micro-displacement vibration according to good road driving is input to the fluid-filled mount, the membrane 26 is slightly displaced to reduce idle vibration, etc.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Because it is absorbed, the NVH (Noise, Vibration & Harshness) improvement effect can be obtained.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유체 봉입형 마운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luid-enclosed moun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봉입형 마운트에 가진이 발생하면 각 유체실의 내부압력이 변화되면서 멤브레인(26)을 가진하게 되고, 멤브레인 가진에 따라 멤브레인(26)이 인장 및 압축을 반복하면서 유동갭(30)의 표면(멤브레인의 외측단부가 접하는 어퍼 플레이트 및 로워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딪침에 따른 래틀 이음(rattle nois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3, when excitation occurs in the fluid-enclosed mount, the internal pressure of each fluid chamber changes and the membrane 26 is excited, and the membrane 26 is stretched and compressed according to the membrane excit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rattle noise is generated as it hits the surface of the flow gap 30 (surface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n contact with the outer ends of the membrane) while repeating.

다시 말해서, 상기 멤브레인(26)이 가진될 때, 도 4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압축과 인장을 반복하며 변위되는데, 압축에서 인장으로 전환되거나 인장에서 압축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멤브레인이 유동갭(30)의 표면에 부딪침에 따라 래틀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membrane 26 is excited, it is displaced while repeating compression and tension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There is a problem that rattle joints occur as they collide with the surface of the

즉, 상기 멤브레인(26)의 상면에 압력이 가해지는 압축시에는 멤브레인(26)의 외측단부가 로워플레이트(18)의 단턱부(18-3) 표면에 부딪침에 따라 이음이 발생하고, 반대로 상기 멤브레인(26)이 압축 후 상방향으로 복귀하는 인장 방향에서는 멤브레인에 작용하는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지면서 캐비테이션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rane 26 during compression, a joint is generated as the outer end of the membrane 26 collides with the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18-3 of the lower plate 18, and vice versa. In the tensile direction in which the membrane 26 returns to the upward direction after compression, the pressure acting on the membrane is rapidly lowered, thereby causing a cavitation join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26)의 중앙부에 십자형태의 슬릿홀(26-3)을 관통 형성하여, 차량 진동에 의하여 멤브레인(26)이 가진되며 압축과 인장을 반복할 때 슬릿홀(26-3)을 통하여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의 외측단부가 유동갭의 표면에 부딪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안이 적용된 바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5 , a cross-shaped slit hole 26-3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embrane 26, and the membrane 26 is damaged by vehicle vibration. And by allowing the fluid to move through the slit hole 26-3 when compression and tension are repeated, the phenomenon that the outer end of the membrane collides with the surface of the flow gap can be minimiz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measures have been applied.

그러나, 슬릿홀을 갖는 멤브레인의 유동을 위한 튜닝이 쉽지 않고, 내구가 진행되면서 슬릿홀이 벌어지며 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멤브레인의 품질 안정화 실현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tune the flow of the membrane having the slit hole, and as the durability progresses, the slit hole spreads and burns out, making it difficult to realize the quality stabilization of the membran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멤브레인에 변형 유도홈을 형성하여, 멤브레인이 가진되며 압축될 때 변형 유도홈으로 인하여 멤브레인이 압축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의 외측단부가 유동갭의 표면에 부딪치는 현상을 억제하여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by forming a deformation inducing groove in the membrane so that the membrane is easily deform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due to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compressed,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id-filled mount for automobiles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noise by suppressing the phenomenon that the outer end of the valve collides with the surface of the flow gap.

또한, 본 발명은 오리피스체에 멤브레인과 접촉 가능한 스토퍼를 장착하여, 멤브레인이 가진되며 대변위로 압축될 때, 스토퍼가 멤브레인의 저부를 지지하는 스토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topper contactable with the membrane on the orifice body so that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compressed with a large displacement, the stopper supports the bottom of the membrane so that the stopper can be made,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membrane and making it durable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fluid-filled mount for an automobile to improve th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과의 연결을 위한 볼트가 결합된 코어부시와, 상기 코어부시의 외면에 형성된 메인러버와, 어퍼플레이트와 로워플레이트가 유로를 형성하며 적층 결합된 오리피스체와, 상기 오리피스체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상부 유체실과 하부 유체실을 구획하는 멤브레인과, 상기 하부 유체실을 마감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중앙 영역에서 그 상면부 및 저면부에 각각 제1변형 유도홈과 제2변형 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체의 로워플레이트에는 멤브레인의 압축 변형시 멤브레인의 저부가 접촉 지지되는 스토퍼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e bush to which a bolt for connection with an engine is coupled, a main rubb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re bush, and an orifice in which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form a flow path and are laminated to each other A fluid-filled mount for automobiles comprising: a sieve; a membrane mount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orifice body to partition an upper fluid chamber and a lower fluid chamber; A first deformation guiding groove and a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and a stopper is mounted on the lower plate of the orifice body to contact and support the bottom of the membrane when the membrane is compressed and deformed. Fluid-enclosed mounts ar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변형 유도홈 및 제2변형 유도홈은 소정 길이 및 깊이를 갖는 가로홈 및 세로홈이 서로 교차된 십자형 배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eformation guiding groove and the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 are characterized in that horizontal grooves and vertical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epth are formed in a cross-shaped arrangement in which they cross each other.

또한, 상기 로워플레이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토퍼 지지바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topper support bars for mounting the stopper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또한, 상기 스토퍼의 둘레면에는 상기 스토퍼 지지단의 내측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into which the inner end of the stopper support end is inserted and fastened.

이에, 상기 멤브레인이 가진되어 압축 방향으로 미소 변위될 때, 상기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의 변형으로 인하여 멤브레인이 스토퍼에 닿기 전까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slightly displac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rane flows until it reaches the stopper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s.

반면, 상기 멤브레인이 가진되어 압축 방향으로 대변위될 때, 상기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의 변형으로 인하여 멤브레인이 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displac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rane flows until it hits the stopper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s.

더 상세하게는, 상기 멤브레인이 가진되어 압축 방향으로 대변위될 때, 상기 제1변형 유도홈은 좁혀지는 동시에 상기 제2변형 유도홈은 벌어지는 변형을 하고, 상기 제2변형 유도홈이 벌어지면서 제2변형 유도홈의 입구 모서리 부분이 상기 스토퍼의 상면부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하며 스토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displac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first deformation guiding groove is narrowed while the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 is widened, and the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 is opened as the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 is open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edge portion of the two-deformation guide groove is stopped while making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멤브레인에 변형 유도홈을 형성하여, 멤브레인이 가진되며 압축될 때 변형 유도홈으로 인하여 멤브레인이 압축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의 외측단부가 유동갭의 표면에 부딪치는 현상을 억제하여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a deformation-inducing groove is formed in the membrane so that the membrane is easily deform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due to the deformation-inducing groove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compressed, thereby suppressing the phenomenon that the outer end of the membrane collides with the surface of the flow ga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둘째, 오리피스체에 멤브레인과 접촉 가능한 스토퍼를 장착하여, 멤브레인이 가진되며 대변위로 압축될 때, 스토퍼가 멤브레인의 저부를 지지하는 스톱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by mounting a stopper in contact with the membrane on the orifice body,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compressed with a large displacement, the stopper supports the bottom of the membrane,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membrane and improving durability. can

셋째, 멤브레인의 인장시에는 압력 변화를 변형 유도홈에서 흡수하여, 기존의 멤브레인 인장시 발생하던 캐비테이션 이음을 억제시킬 수 있다.Third, when the membrane is stretched, the pressure change can be absorbed by the strain-inducing groove, thereby suppressing cavitational noise generated during the existing membrane tensioning.

도 1은 종래의 유체 봉입형 마운트를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유체 봉입형 마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구성 중 멤브레인에 슬릿홀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멤브레인이 오리피스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오리피스체에 장착된 멤브레인 및 스토퍼를 반단면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오리피스체에 장착된 멤브레인을 변형 유도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오리피스체에 장착된 멤브레인 및 스토퍼를 변형 유도홈의 길이방향에서 옵셋된 부분을 따라 단면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오리피스체에 장착된 멤브레인이 스토퍼를 스토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변형 유도홈을 갖는 멤브레인과, 기존의 슬릿홀을 갖는 멤브레인 간의 감쇠력을 비교한 그래프.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fluid-filled mou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luid-filled mount,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luid-filled moun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slit hole is formed in the membran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fluid-filled mount;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of the fluid-filled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orifice body;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lf-sectioned state of the membrane and the stopper mounted on the orifice body of the fluid-filled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mbrane mounted on an orifice body of a fluid-filled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deformation inducing groove;
10 is a cross-sectional sectional view of a membrane and a stopper mounted on an orifice body of a fluid-filled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ong an offse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deformation inducing groov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mounted on the orifice body of the fluid-filled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ps the stopper;
12 and 13 are graphs comparing the damping force between a membrane having a deformation inducing groove of a fluid-filled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mbrane having a conventional slit ho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 봉입형 마운트는, 볼트(10)가 결합된 코어부시(12)와, 코어부시(12)의 외경부에는 가류 접착 등의 방식으로 형성된 메인러버(14)와, 어퍼플레이트(16)와 로워플레이트(18)가 유로를 형성하며 상호 결합된 오리피스체(20)와, 오리피스체(20)의 하부에 장착되는 다이어프램(28)과, 상부 유체실(22)과 하부 유체실(24)을 구분하며 오리피스체(20)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멤브레인(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the fluid-filled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bush 12 to which a bolt 10 is coupled, and a vulcanization bonding metho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re bush 12 . The main rubber 14 formed of , which divides the upper fluid chamber 22 and the lower fluid chamber 24 , and includes a membrane 26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rifice body 20 .

첨부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멤브레인이 오리피스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6 to 8 show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of the fluid-filled 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orifice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멤브레인(26)의 중앙 영역에서 그 상면부 및 저면부에 각각 제1변형 유도홈(26-1)과 제2변형 유도홈(26-2)이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체(20)의 로워플레이트(18)에는 멤브레인(26)의 압축 변형시 멤브레인(26)의 저부가 접촉 지지되는 스토퍼(40)가 장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membrane 26, a first deformation guiding groove 26-1 and a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 26-2 are respective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portion and a lower surface portion thereof, and the orifice body At the lower plate 18 of ( 20 ), a stopper ( 40 ) with which the bottom of the membrane ( 26 ) is contacted and supported during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membrane ( 26 ) is moun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변형 유도홈(26-1) 및 제2변형 유도홈(26-2)은 멤브레인의 가진시 압축방향(하부유체실을 향하는 하부방향)으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유더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 및 깊이를 갖는 가로홈 및 세로홈이 서로 교차된 십자형 배열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first deformation guide groove 26-1 and the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 26-2 facilitate deformation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lower fluid chamber)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For this purpose, transverse grooves and vertical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epth are formed in a cross-shaped arrangement crossed with each other.

상기 스토퍼(40)를 상기 오리피스체(20)의 로워플레이트(18)에 장착하기 위하여 로워플레이트(18)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스토퍼 지지바(19)가 안쪽으로 연장되며 일체로 형성된다.In order to mount the stopper 40 to the lower plate 18 of the orifice body 20 , a plurality of stopper support bars 19 extend inwardly and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18 .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스토퍼 지지바(19)는 방사상 배열 즉,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그 이유는 유체가 각 스토퍼 지지바(19) 간의 홀 공간을 통하여 원활하게 유동하는 동시에 멤브레인(26)의 저면부에 대한 유체 압력이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stopper support bars 19 are arranged in a radial arrangement, that is,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cause the fluid flows smoothly through the hole space between each stopper support bar 19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is to allow the fluid pressur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mbrane 26 to smoothly ac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스토퍼 지지바(19)는 도 9 및 도 10에서 잘 볼 수 있듯이, 로워플레이트(18)의 내주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구간(19-1)과, 이 경사구간(19-1)으로부터 스토퍼(40)의 둘레부까지 연장되는 수평 연장구간(19-2)으로 구성되며, 그 이유는 스토퍼 지지바(19)와 멤브레인(26) 간의 상하거리를 간섭 회피 가능한 거리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유체 압력에 의한 멤브레인(26)의 상하 유동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함에 있다.Mor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stopper support bars 19 include an inclined section 19-1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18 and the inclined section, as can be seen in FIGS. 9 and 10 . It consists of a horizontal extension section 19-2 extending from 19-1 to the periphery of the stopper 40, and the reason is tha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stopper support bar 19 and the membrane 26 is a distance that can avoid interference. This is to easily secure a space for up-and-down flow of the membrane 26 by fluid pressure while maintaining it.

또한, 상기 스토퍼(40)의 둘레면에는 상기 스토퍼 지지단(19)의 내측단부 즉, 수평 연장구간(19-2)의 내측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4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astening groove 42 into which the inner end of the stopper support end 19, that is,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section 19-2, is inserted and fastened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40.

이에, 상기 스토퍼(40)를 상기 각 스토퍼 지지단(19)의 내측단부에 형성되는 개방 부분을 통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하면, 상기 스토퍼 지지단(19)의 내측단부가 체결홈(42)에 삽입됨으로써, 스토퍼 지지단(19)에 대한 스토퍼(40)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topper 40 is press-fitted through an open portion formed at the inner end of each stopper support end 19 in a force fit method, the inner end of the stopper support end 19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42 . By being inserted, the mounting of the stopper 40 to the stopper support end 19 can be easily achieved.

이렇게 상기 스토퍼(40)가 스토퍼 지지단(19)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26)의 제2변형 유도홈(26-2)이 형성된 저면부가 스토퍼(40)의 상면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하로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As the stopper 40 is mounted on the stopper support end 19 in this way,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membrane 26 in which the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 26-2 is forme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topper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intain and match up and down.

좀 더 상세하게는, 도 9 및 도 10의 단면도에서 보듯이 상기 멤브레인(26)의 제1변형 유도홈(26-1) 및 제2변형 유도홈(26-2)이 상하로 일치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멤브레인(26)의 제2변형 유도홈(26-2)이 상기 스토퍼(40)의 상면부와 상하로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9 and 10 ,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s 26-1 and 26-2 of the membrane 26 are aligned vertically. arranged, and the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 26 - 2 of the membrane 26 i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40 and the upper surface are vertically aligned.

이때,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26-1,26-2)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멤브레인(26)의 본래 두께에 비하여 얇게 형성된 상태이므로, 멤브레인(26)의 상하방향 가진시 멤브레인(26)의 상하방향 변형이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s 26 - 1 and 26 - 2 are formed is thinner than the original thickness of the membrane 26 . The vertical deformation of the membrane 26 can be easily induced during the vertical excitation.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체 봉입형 마운트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operating state of the fluid-filled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유체 봉입형 마운트에 차량의 아이들 진동 또는 양호한 도로 주행에 따른 미소변위 진동 등이 입력되면, 상기 멤브레인(26)이 하방향(압축 방향) 및 상방향(인장 방향)을 따라 미소 변위(예, 0.5~1mm 상하 가진)를 하게 된다.When the vehicle's idle vibration or micro-displacement vibration due to good road driving is input to the fluid-filled mount, the membrane 26 moves down (compression direction) and up (tension direction) by micro-displacement (e.g., 0.5 ~1mm up and down excitation).

즉, 상기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26-1,26-2)의 벌어짐 또는 좁아짐을 반복하는 변형으로 인하여 멤브레인(27)이 미소변위되는 유동을 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NVH(Noise, Vibration & Harshness)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the membrane 27 absorbs vibrations while making a micro-displaced flow due to the repeated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inducing grooves 26-1 and 26-1 and 26-2, thereby absorbing noise (NVH). , Vibration & Harshness) can be improved.

이때, 상기 멤브레인(26)의 미소 변위에 따른 멤브레인(26)의 상하 유동시, 멤브레인(26)의 저면부가 스토퍼(40)에 닿기 전까지 유동될 뿐, 멤브레인(26)의 저면부가 스토퍼(40)에 닿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membrane 26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icro displacement of the membrane 26 , only the bottom part of the membrane 26 flows until it touches the stopper 40 , and the bottom part of the membrane 26 is the stopper 40 .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반면, 유체 봉입형 마운트에 차량의 험로 주행에 따른 대변위 진동 등이 입력되면, 멤브레인(26)이 가진되는 동시에 유체압에 의하여 압축 방향으로 대변위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displacement vibration, etc. according to the rough road driving of the vehicle is input to the fluid-filled mount, the membrane 26 is excited and displac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by the fluid pressure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26-1,26-2)의 변형으로 인하여 멤브레인(26)이 스토퍼(40)에 닿을 때까지 유동된다.At this tim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s 26 - 1 and 26 - 2 , the membrane 26 flows until it touches the stopper 40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멤브레인(26)이 가진되어 압축 방향으로 대변위될 때, 상기 제1변형 유도홈(26-1)은 좁혀지는 동시에 상기 제2변형 유도홈(26-2)은 벌어지는 변형을 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변형 유도홈(26-2)이 벌어지면서 제2변형 유도홈(26-2)의 입구 모서리 부분이 상기 스토퍼(40)의 상면부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하며 스토핑되는 상태가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embrane 26 is excited and displac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first deformation inducing groove 26-1 is narrowed and the second deformation inducing groove 26-2 is widened. and, as shown in FIG. 11 , as the second deformation inducing groove 26-2 is opened, the inlet edge of the second deformation inducing groove 26-2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40 Alternatively, it is in a state of stopping while making line contact.

이에, 상기 멤브레인(26)의 압축 방향 변형량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스토퍼(40)에서 제한하게 되고, 더욱이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26-1,26-2)의 변형량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스토퍼(40)에서 억제하게 되므로, 멤브레인(26)의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26-1,26-2) 부분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멤브레인(26)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topper 40 limits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deformation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membrane 26 beyond a predetermined level, and furthermor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s 26-1 and 26-2 is predetermined. Since the stopper 40 suppresses the increase above the leve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s 26-1 and 26-2 of the membrane 26 from being damaged, and eventually the membrane ( 26) can improve the durability.

또한, 상기 멤브레인(26)의 인장 방향 변위시에는 압력 변화를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26-1,26-2)이 본래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흡수하게 되므로, 기존의 멤브레인 인장시 발생하던 캐비테이션 이음을 억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mbrane 26 is displaced in the tensile direction, the pressure change is absorb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inducing grooves 26-1 and 26-2 return to their original shapes. Cavitation joint can be suppressed.

한편, 기존의 마운트(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슬릿홀이 관통 형성된 멤브레인 적용)와 본 발명의 마운트(십자형 변형유도홈이 형성된 멤브레인과 스토퍼 적용)에 대한 감쇠력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는 바, 그 결과는 첨부한 도 12 및 도 13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a damping force comparison test was conducted for the conventional mount (application of a membrane through which a cross-shaped slit hole is formed as shown in FIG. 5) and the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tion of a membrane with a cross-shaped deformation inducing groove and a stopper). The results ar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graphs of FIGS. 12 and 13 .

도 12를 참조하면, 기존의 마운트(십자형 슬릿홀이 관통 형성된 멤브레인 적용)가 본 발명의 마운트(십자형 변형유도홈이 형성된 멤브레인 적용)에 비하여 미소변위(0.5~1.0mm)시 감쇠력이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 12 , it was found that the damping force of the conventional mount (application of a membrane having a cross-shaped slit hole through it) is somewhat higher during micro-displacement (0.5-1.0 mm) than the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tion of a membrane having a cross-shaped deformation inducing groove). Could know.

도 13를 참조하면, 기존의 마운트(십자형 슬릿홀이 관통 형성된 멤브레인 적용)에 비하여 본 발명의 마운트(십자형 변형유도홈이 형성된 멤브레인 적용)가 대변위(3.0~5.0mm)시 감쇠력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멤브레인(26)의 압축 변형시 스토퍼(40)가 멤브레인(26)의 저면부에 접촉 지지되면서 멤브레인의 추가적인 변형을 막아주는 것에 기인한다.Referring to FIG. 13,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unt (application of a membrane having a cross-shaped slit hole formed therethrough), the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tion of a membrane having a cross-shaped deformation inducing groove) has significantly higher damping force during large displacement (3.0 to 5.0 m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when the membrane 26 is compressively deformed, the stopper 4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embrane 26 to prevent further deformation of the membran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멤브레인(26)에 변형 유도홈(26-1,26-2)을 형성하여, 멤브레인(26)이 가진되며 압축될 때 변형 유도홈(26-1,26-2)으로 인하여 멤브레인(26)이 압축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26)의 외측단부가 유동갭(30)의 표면에 부딪치는 현상을 억제하여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오리피스체(20)의 로워플레이트(18)에 멤브레인(26)와 접촉 가능한 스토퍼(40)를 장착하여, 멤브레인(26)이 가진되며 대변위로 압축될 때, 스토퍼(40)가 멤브레인(26)의 저부를 지지하는 스톱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een above, by forming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s 26-1 and 26-2 in the membrane 26, when the membrane 26 is excited and compressed,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s 26-1 and 26-2 are formed. Due to this, by allowing the membrane 26 to be easily deform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phenomenon that the outer end of the membrane 26 collides with the surface of the flow gap 30 can be suppress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and in particular, the orifice body 20 ), by mounting a stopper 40 contactable with the membrane 26 on the lower plate 18 of the By allowing the stopping to be mad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membrane and improve durability.

10 : 볼트 12 : 코어부시
14 : 메인러버 16 : 어퍼플레이트
16-1 : 상부 출입구 18 : 로워플레이트
18-1 : 유로 18-2 : 하부 출입구
18-3 : 단턱부 19 : 스토퍼 지지단
19-1 : 경사구간 19-2 : 수평 연장구간
20 : 오리피스체 22 : 상부 유체실
24 : 하부 유체실 26 : 멤브레인
26-1 : 제1변형 유도홈 26-2 : 제2변형 유도홈
28 : 다이어프램 30 : 유동갭
40 : 스토퍼 42 : 체결홈
10: bolt 12: core bush
14: main rubber 16: upper plate
16-1: upper entrance 18: lower plate
18-1: Euro 18-2: Lower entrance
18-3: step part 19: stopper support end
19-1: slope section 19-2: horizontal extension section
20: orifice body 22: upper fluid chamber
24: lower fluid chamber 26: membrane
26-1: first deformation guide groove 26-2: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
28: diaphragm 30: flow gap
40: stopper 42: fastening groove

Claims (9)

엔진과의 연결을 위한 볼트가 결합된 코어부시와, 상기 코어부시의 외면에 형성된 메인러버와, 어퍼플레이트와 로워플레이트가 유로를 형성하며 적층 결합된 오리피스체와, 상기 오리피스체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상부 유체실과 하부 유체실을 구획하는 멤브레인과, 상기 하부 유체실을 마감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중앙 영역에서 그 상면부 및 저면부에 각각 제1변형 유도홈과 제2변형 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체의 로워플레이트에는 멤브레인의 압축 변형시 멤브레인의 저부가 접촉 지지되는 스토퍼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A core bush to which a bolt for connection with an engine is coupled, a main rubb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bush, an orifice body in which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form a flow path and are laminated to each other, and is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orifice body A fluid-filled mount for automobiles comprising: a membrane partitioning an upper fluid chamber and a lower fluid chamber; and a diaphragm closing the lower fluid chamber;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membran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nd a stopper is mounted on the lower plate of the orifice body to contact and support the bottom of the membrane during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membrane. Fluid-filled mount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b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변형 유도홈 및 제2변형 유도홈은 소정 길이 및 깊이를 갖는 가로홈 및 세로홈이 서로 교차된 십자형 배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eformation guiding groove and the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 are fluid-filled mounts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in a cross-shaped arrangement in which horizontal grooves and vertical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epth are crossed with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플레이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토퍼 지지바가 방사상 배열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topper support bars for mounting the stopper are integrally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a radial arrangemen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토퍼 지지바는 각각 로워플레이트의 내주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구간과, 이 경사구간으로부터 스토퍼의 둘레부까지 연장되는 수평 연장구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Each of the plurality of stopper support bars includes an inclined sec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horizontal extension sect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section to the periphery of the stopp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둘레면에는 상기 스토퍼 지지단의 내측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fluid-filled mount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an inner end of the stopper support end is inserted and fastened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가진되어 압축 및 인장 방향으로 미소 변위될 때, 상기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의 변형으로 인하여 멤브레인이 스토퍼에 닿기 전까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slightly displaced in the compression and tension directions, the membrane flows until it reaches the stopper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가진되어 압축 방향으로 대변위될 때, 상기 제1 및 제2변형 유도홈의 변형으로 인하여 멤브레인이 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displac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membrane flows until it reaches the stopper due to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가진되어 압축 방향으로 대변위될 때, 상기 제1변형 유도홈은 좁혀지는 동시에 상기 제2변형 유도홈은 벌어지는 변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displac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first deformation guide groove is narrowed and the second deformation guide groove is widened at the same tim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이 가진되어 압축 방향으로 대변위될 때, 상기 제2변형 유도홈이 벌어지면서 제2변형 유도홈의 입구 모서리 부분이 상기 스토퍼의 상면부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하며 스토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membrane is excited and displac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 is widened and the inlet edge of the second deformation guiding groove is stopped by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Automotive fluid-filled mounts.
KR1020200128077A 2020-10-05 2020-10-05 Hydraulic mount for vehicle KR202200453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77A KR20220045395A (en) 2020-10-05 2020-10-05 Hydraulic moun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77A KR20220045395A (en) 2020-10-05 2020-10-05 Hydraulic mount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395A true KR20220045395A (en) 2022-04-12

Family

ID=8118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077A KR20220045395A (en) 2020-10-05 2020-10-05 Hydraulic moun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539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984B1 (en) Hydraulic mount for vehicle
EP2006570B1 (en) Vibration damper
WO2015012072A1 (en) Vibration-damping device
JP4238892B2 (en) Fluid filled cylindrical vibration isolator
EP2623818B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2484894B1 (en) Hydraulic mount for vehicle
KR102509209B1 (en) Engine mount having a nozzle plate including the dual membrane
JP5363093B2 (en) Fluid filled vibration isolator
JP2010159873A (en) Cylindrical vibration isolating device of fluid encapsulation type
KR101849651B1 (en) Hydraulic engine mount with two channels
JP5331329B2 (en) Anti-vibration device with liquid
KR20200069589A (en) Hydraulic engine mount
JPH0392638A (en) Fluid damping block
JP4328965B2 (en) Vibration isolator
KR20220045395A (en) Hydraulic mount for vehicle
JP2008248898A (en) Cylindrical vibration damper
JP5210933B2 (en) Anti-vibration device with liquid
KR101846708B1 (en) Engine mount
KR101755716B1 (en) Engine mount for vehicle
JPH01261529A (en) Vibration isolating device
KR20170040594A (en) Structure of air damping mount
KR102119978B1 (en) Hydraulic mount for vehicle
KR20120051293A (en) Hydro roll rod having improved vibration insulation
JPH07238980A (en) Rebound spring mounting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KR102447819B1 (en) Hydro Engine Mounting Structure for Automotive Powert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