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293A -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 Google Patents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293A
KR20220045293A KR1020200127816A KR20200127816A KR20220045293A KR 20220045293 A KR20220045293 A KR 20220045293A KR 1020200127816 A KR1020200127816 A KR 1020200127816A KR 20200127816 A KR20200127816 A KR 20200127816A KR 20220045293 A KR20220045293 A KR 2022004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sensor
guide
ground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349B1 (ko
Inventor
조선남
김갑돌
김용석
고광필
홍예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00127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3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0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 E03B3/11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in combination with tubes, e.g. perforated, extending horizontally, or upwardly inclined, exterior to the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 상단의 상부보호공을 통해 관정 내 우물자재 내부로 삽입되고, 내부에 센서 및 센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관정 내부에서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로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 지점에 장착되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장착되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 상면에 장착된 와이어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는 관정의 우물자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 지지부를 통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Sensor guide for underground water well}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하수 관정 내부 우물자재에 삽입되는 복수의 센서 및 센서 케이블 등을 안전하게 가이드하여 케이블의 꼬임이나 센서의 신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제안한다.
지하수는 지표에 내린 빗물이나 눈이 땅속으로 침투하여 고여 있거나 흐르는 상태의 물로서 하천수 등의 지표수와 함께 주요 수자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비상용수 또는 대체수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용, 공업용 등의 용수 및 농어촌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반에 관정을 뚫고, 관정의 내부에 케이싱을 설치하며,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관정의 내부에 양수관을 삽입한 다음 펌프를 사용하여 지하수를 양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추기와 콤퓨레셔 등 장비를 이용하여 지면(G) 아래로 굴착하여 지하수 관정을 형성하며, 소공, 중공, 대공에 따라 관정 깊이가 달라지지만 최소 20m 에서 많게는 500m 이상 굴착하는 경우도 있다. 굴착된 관정 내부에는 지하수맥에 연결되는 파쇄층(F)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가 모이게 되며 관정 내부 일정 깊이에 지하수의 자연수위(UW)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공 상태의 관정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VC나 스테인리스 재질의 파이프 형태의 내부우물자재(P)가 투입되며, 관정 내부 깊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파이프가 연결소켓부(P1)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유공부(P2)를 통해 관정의 수맥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우물자재 내부로 유입시켜 우물자재 내부에서 자연수위가 마련되도록 한다. 암반 사이에 흐르고 있는 지하수는 암반공을 통하여 관정에 모이게 되고, 상기 관정에 모인 지하수는 수중모터펌프의 작동에 의해 강제 흡입된 후 양수관을 따라 송수배관으로 공급된다.
지하수는 단기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용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크다. 그러나 지하수는 빗물 등에 의해 보충되는 양보다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오염물질이 침투되어 수질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재생과 회복에 오랜 시일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하수를 개발한 후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와 더불어, 물 부족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지하수 관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관정 내부의 지하수에 대한 수질 검사 등 오염 여부에 대한 조사가 진행된다.
실제 현장에서 관정의 지하수 수질을 측정하는 다항목 센서를 활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인데, 수질 센서는 심도를 달리하여 고정하고 데이터를 취합하거나 수질 센서를 일정 심도에 설치하고 나중에 센서를 인양하여 데이터를 취합하기도 한다. 또한, 수질 센서를 관정 내부에 설치하고 케이블 구동기를 활용하여 설정 시간에 데이터를 취합하는 방식도 활용된다. 각각의 방식은 장단점이 있고 실시간으로 수질 데이터를 얻고 분석하는데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센서를 복합적으로 설치하였을 때 센서 케이블이 꼬이는 문제가 발생하고, 각각의 센서 데이터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이다.
종래의 지하수 관정 내 측정 장치들은 관정의 지하수 수질에 대한 각종 지표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개선을 제안하였으나, 관정 내의 염도, 수분이나 수증기, 온도 등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되기도 하고, 특히 관정 내부에 센서 케이블을 직접 투입시킨 상태에서 케이블 끝단에 센서를 연결하여 수질 관련 항목을 측정하는데 그치고 있어, 수질 센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등록특허 10-1440313호, 등록특허 10-1847423호, 등록특허 10-1980636호 등)
이와 더불어 기존에는 지하수 관정 내부의 수질 상태 및 오염원 발생 여부 등을 수질 센서와 영상 장비를 동시에 투입하여 한번에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수 관정에 삽입되는 센서 및 센서 케이블을 위한 새로운 가이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 투입 및 제거가 용이하면서 센싱 작업이 효과적인 센서 가이드를 제공하는 한편, 센서 가이드의 안정적인 배치와 고정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정 내 지하수에 대한 수질 측정이 가능하며 우물자재 내부는 물론 관정 내벽의 나공 상태에 대해 영상 취득이 가능한 센서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 상단의 상부보호공을 통해 관정 내 우물자재 내부로 삽입되고, 내부에 센서 및 센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관정 내부에서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로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 지점에 장착되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장착되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 상면에 장착된 와이어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는 관정의 우물자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 지지부를 통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는 우물자재 내의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및 우물자재는 투명 재질의 파이프일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에 카메라가 삽입되어 우물자재 내부 및 관정 내부의 영상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관정의 상부보호공은 가이드 파이프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와이어 고정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수 관정 내부의 깊은 심도에 센서가 배치되더라도, 배치된 센서 케이블간 꼬임을 방지하고 센서의 동작 중 신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수 관정 내부에 하나 이상의 수질 센서와 카메라를 동시에 활용하여 수질분석 및 변화추이를 더 명확하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관정 내 지하수 측정과 관련된 각종 센서 및 카메라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투입하여 배치할 수 있고 센싱 작업 등이 완료된 후 다시 관정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어, 관정 측정 작업의 효율 증대 및 표준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지하수 관정의 나공 상태를 보인 모식도
도 2는 지하수 관정 내부에 우물자재가 삽입된 후의 모식도
도 3은 지하수 관정에 설치된 본 발명의 센서 가이드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관정 상부보호공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상부보호공의 단면도
도 6은 센서 가이드의 가이드 파이프 지지부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파이프 지지부의 고정 홀더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파이프 지지부의 하부 지지판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파이프 지지부에 고정된 가이드 파이프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유공부가 있는 가이드 파이프를 보인 모식도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센서에 대해 가이드할 수 있는 새로운 센서 가이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 내부로 삽입되는 센서 및 센서 케이블을 보호하며 가이드하는 파이프를 구비하여 관정의 심도 내에서 센서의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센서를 가이드하도록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관정 내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가이드 파이프가 상호 균형을 유지하며 고정되도록 파이프 지지부를 포함함으로써 관정 내부의 각종 센싱 작업이나 영상 촬영 등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센서용 가이드 파이프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는 가이드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균형있는 대칭적 배치 등을 위해 중간의 고정 홀더 및 하부 지지판을 포함하며, 하부 지지판에는 가이드 파이프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별도의 와이어 고정구를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 파이프는 설치 심도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도 파이프 고정부를 통해 처짐이 방지되고 항상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 파이프 내에 삽입되는 센서의 감지 능력 및 데이터 송수신 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 가이드 파이프는 지하수 관정 상부의 밀폐식보호공 중심부에 홀을 형성하고, 보호공의 홀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가이드 파이프의 수에 맞게 보호공의 홀의 수 및 위치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정 내부의 우물자재도 투명 자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가이드 및 가이드 파이프 고정부에 의하면, 지하수 관정 내부에서 다항목 수질 검측을 위하여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동시에 각각의 센싱 작업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수질 센서와 카메라를 동시에 활용하여 수질 분석 및 변화 추이 등을 명확하게 감지하고 감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의 특징 및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지하수 관정에 설치된 본 발명의 센서 가이드(100)를 보인 개략도이다. 지하수 관정 상단의 상부보호공(110)을 통해 관정(G1) 내 우물자재(P) 내부로 케이블(210a, 201b)에 의해 연결된 센서(210) 및 카메라(220)가 삽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관정 내부에 별도의 보호장비 없이 센서가 노출된 상태로 삽입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센서 및 센서 케이블이 가이드 파이프(120a, 120b)에 삽입된 채로 관정 내 우물자재로 투입되어 있다.
가이드 파이프는 센서 및 센서 케이블을 보호하면서 케이블의 투입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복수의 센서를 관정 내 투입하는 경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관정 내부로 삽입하여 각각의 센서들이 케이블간 상호 물리적 간섭에 의해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인접한 센서 및 센서 케이블의 신호 간섭에 의해 센서 데이터값에 노이즈값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관정 내부로 투입되는 센서 케이블은 관정 주변의 지상에 설치된 케이블 권취기(202) 등에 의해 투입 심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부의 케이블 권취기를 구동하여 가이드 파이프 내의 센서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관정 내 수직 위치를 달리하여 우물자재 내부의 지하수 수질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합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취득과 관련된 센서는 별도의 모니터(230) 등과 직접 또는 인터넷망 등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되어 실시간 감지된 영상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항목 수질 측정을 위하여 복수의 센서들이 관정 내부로 투입될 때 상호 물리적 및 신호 전달의 간섭이 없도록 각 센서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파이프는 대칭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파이프는 별도의 고정부에 의해 배치 상태를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 파이프는 센서 및 센서 케이블이 내장될 수 있고 투입 및 제거에 걸림이 없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관정 내부에서 측정이 필요한 심도까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여러개의 파이프 구조물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가이드 파이프는 내부에 삽입되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 재질 및 형태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표면에 지하수 유입공을 형성할 수도 있고 빛이 투과되는 투명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관정 내부로 삽입하여 적절하게 배치하기 위해 지하수 관정의 상부보호공의 구조가 중요하다. 도 4 및 도 5의 상부보호공 구조를 참조하면, 지하수 관정의 상부보호공(110)은 내부에 가이드 파이프가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는 가이드 파이프의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대칭적으로 균형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다. 상부보호공의 하면에는 하면에는 제2 와이어 고정구(114)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고정구는 후술하는 파이프 고정부의 제1 와이어 고정구와 상호 작용하면서 와이어를 연결하여 가이드 파이프의 관정 내 투입 작업을 안정적으로 시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부보호공은 상기 관통구에 이물질이나 오염수가 관정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별도의 보호마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하수 관정 상부에 미리 장착된 상부 구조물이나 관정 상단부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체결공(113)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하수 관정 센서 가이드는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관정 내부에서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도 6은 센서 가이드의 가이드 파이프 지지부(130)를 보인 측면도로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상의 지지대(132)와 상기 지지대의 일 지점에 장착되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부(140) 및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장착되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32)는 복수의 봉상 구조물을 연결부(132a)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가이드 파이프의 전체 길이와 비교하여 적절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고, 최대 길이는 가이드 파이프와 갖거나 작게 형성된다. 와이어를 사용하여 가이드 파이프를 관정 내부로 투입하는 경우 가이드 파이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만으로도 가이드 파이프를 지지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가이드 파이프가 복수개로 포함되는 경우 전체 파이프 배치에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파이프 지지부의 고정 홀더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상기 고정부(140)는 지지대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수직 위치는 가이드 파이프의 전체 길이 및 파이프 지지부의 전체 길이를 고려하여 가이드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지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지지대에 인접하여 고정하고 대칭적으로 균형있게 배치하기 위해서 고정부는 예를 들어 한 쌍의 고정 홀더(142a, 14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홀더는 각 홀더에 두 개의 가이드 파이프를 고정하여 전체적으로 4 개의 가이드 파이프를 고정하고 있다. 고정하려는 가이드 파이프의 수 및 배치 형태에 따라 고정 홀더의 모양과 형태는 다르게 변형할 수 있다. 고정 홀더는 지지대에 예를 들어 체결구(144) 등의 수단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파이프 지지부의 하부 지지판을 보인 평면도로서, 상기 하부 지지판(150)은 지지대의 하단에 장착되는 구조물로서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하단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하부 지지판은 예를 들어 원형의 디스크 형태로서 상면에 지지대 고정홈(152)과 파이프 고정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파이프가 복수 개인 경우 파이프 고정홈도 복수 개가 마련되며, 가이드 파이프의 고정 배치 형태에 따라 지지대 고정홈과 파이프 고정홈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지지판 상면의 일측에는 제1 와이어 고정구(16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와이어 고정구는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상부보호공의 제2 와이어 고정구와 연동하여 와이어를 연결함으로써 가이드 파이프 및 파이프 지지부를 관정 내부로 삽입할 때 장력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투입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 고정부를 통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는 관정의 우물자재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파이프 지지부를 통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가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가이드 파이프에 삽입된 수질센서 등은 가이드 파이프 내부에서 설정된 심도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지상부의 케이블 권취기를 구동하여 가이드 파이프 내에서 센서가 상하로 수직 위치를 달리하면서 데이터를 취합할 수도 있다. 도 9는 파이프 지지부에 고정된 가이드 파이프를 보인 측면도이다. 가이드 파이프(120a, 120b)가 지지대 외주면에 장착된 고정부(140)에 결합되어 지지된 채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파이프 고정부 하단의 하부 지지판(150) 상면의 제1 와이어 고정구(160)에는 와이어(17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와이어는 가이드 파이프의 관정 내 투입 뿐만 아니라, 관정 외부로 가이드 파이프를 인양할 때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가이드에 있어서, 센서부가 장입되는 가이드 파이프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 그 형태 및 모양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는 우물자재 내의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유공부가 있는 가이드 파이프를 보인 모식도로서, 제1 가이드 파이프(120a)는 표면에 관정 내부의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공부(121)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공부를 통해 유입된 지하수에 대해 수질 센서(210)가 pH, 탁도, 오염원 여부 등의 수질 관련 사항을 측정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에 카메라가 삽입되어 우물자재 내부 및 관정 내부의 영상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0의 제2 가이드 파이프(120b)는 투명 재질의 PVC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가이드 파이프에 카메라(220)를 삽입하여 관정 내부 영상을 취득하는 경우, 우물자재도 투명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우물자재 내부의 지하수에 대한 영상 뿐만 아니라 관정 내부의 나공 상태에 대한 영상 자료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센서 가이드 110:상부보호공
112:가이드 파이프 관통구 113:체결공
114:제2 와이어 고정구 120a,120b,120c,120d:가이드 파이프
121:유공부 130:가이드 파이프 지지부
132:지지대 132a:연결부
140:고정부 142a,142b:고정 홀더
144:체결구 150:하부 지지판
152:지지대 고정홈 154:파이프 고정홈
160:제1 와이어 고정구 170:와이어
200a,200b:센서 케이블 202:케이블 권취기
210:수질 센서 220:카메라
230:모니터

Claims (4)

  1. 지하수 관정 상단의 상부보호공을 통해 관정 내 우물자재 내부로 삽입되고, 내부에 센서 및 센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관정 내부에서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로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 지점에 장착되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를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장착되어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 상면에 장착된 제1 와이어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는 관정의 우물자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 지지부를 통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는 우물자재 내의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및 우물자재는 투명 재질의 파이프이고, 복수의 가이드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에 카메라가 삽입되어 우물자재 내부 및 관정 내부의 영상 데이터를 습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관정의 상부보호공은 가이드 파이프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제2 와이어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KR1020200127816A 2020-10-05 2020-10-05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KR102506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16A KR102506349B1 (ko) 2020-10-05 2020-10-05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16A KR102506349B1 (ko) 2020-10-05 2020-10-05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293A true KR20220045293A (ko) 2022-04-12
KR102506349B1 KR102506349B1 (ko) 2023-03-06

Family

ID=8118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816A KR102506349B1 (ko) 2020-10-05 2020-10-05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3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4657A (ja) * 1990-12-28 1992-09-09 Iida Kenchiku Sekkei Jimusho:Kk 建築物の床下配管構造
KR200227872Y1 (ko) * 2000-07-25 2001-06-15 조희남 지하수 심정 밀폐 덮게.
KR100633777B1 (ko) * 2006-07-07 2006-10-16 이동헌 시공이 용이한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KR101219468B1 (ko) * 2012-06-27 2013-01-11 (주) 한승테크놀러지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KR101554668B1 (ko) * 2014-03-19 2015-09-21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게오힐 개방형 지열 지중열교환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4657A (ja) * 1990-12-28 1992-09-09 Iida Kenchiku Sekkei Jimusho:Kk 建築物の床下配管構造
KR200227872Y1 (ko) * 2000-07-25 2001-06-15 조희남 지하수 심정 밀폐 덮게.
KR100633777B1 (ko) * 2006-07-07 2006-10-16 이동헌 시공이 용이한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KR101219468B1 (ko) * 2012-06-27 2013-01-11 (주) 한승테크놀러지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KR101554668B1 (ko) * 2014-03-19 2015-09-21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게오힐 개방형 지열 지중열교환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349B1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873B2 (ja) 振り子式地すべり面測定器
US20200292365A1 (en) Flowmeter profiling system for use in groundwater production wells and boreholes
US20140366640A1 (en) Fluid Flow Measurement Sensor, Method, and Analysis
JP2011231568A (ja) 間隙水圧測定装置、それを用いた軟弱地盤の改良工法、地下埋設物が埋設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及び盛土構造物が造成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
CN101324062B (zh) 地下连续墙成槽施工中护壁泥浆压力的测试方法及装置
KR20220045293A (ko) 지하수 관정의 센서 가이드
KR20200048328A (ko) 지하수 관정의 비파괴 검사 시스템
CN209873904U (zh) 一种三合一多功能岩土工程监测装置
US5425268A (en) Water immersible vapor sensor
JP3975437B2 (ja) 高圧気体貯蔵施設
CN104481506B (zh) 一种套管错断方位检测方法
KR20110064914A (ko) 현장투수측정장치
CN215930831U (zh) 一种深层位移监测装置
KR102237268B1 (ko) 플로우 베리에이션 디텍팅 시스템
KR101114757B1 (ko) 지하수 관측정 보호장치
KR102118587B1 (ko) 토양 지하수 오염탐지를 위한 누유검출장치
CN209243791U (zh) 一种基坑施工参数检测装置
CN110439044A (zh) 一种混凝土-水泥浆界面探测器
JP5302151B2 (ja) 地震観測井における地震計の設置方法
KR102594336B1 (ko) 관정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620636B1 (ko) 지반지지력 투수계수 및 지반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에코콘관입장치
CN109470622A (zh) 一种岩层渗透率的测量方法
KR20030009780A (ko)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용 시추장치
CN109470621A (zh) 一种用于岩层渗透率的测量装置
KR100879479B1 (ko) 드레인 타입장비에 부착되는 시료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시료채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