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278A -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278A
KR20220045278A KR1020200127794A KR20200127794A KR20220045278A KR 20220045278 A KR20220045278 A KR 20220045278A KR 1020200127794 A KR1020200127794 A KR 1020200127794A KR 20200127794 A KR20200127794 A KR 20200127794A KR 20220045278 A KR20220045278 A KR 20220045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lth
information
state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종학
Original Assignee
(주)투비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비시스 filed Critical (주)투비시스
Priority to KR102020012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278A/ko
Publication of KR20220045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31Implanted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문진정보 및 건강검진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생체신호 항목 각각에 대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에 최적화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server, method and program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보유한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해주는 기능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웨어러블 기기들의 기능은 단순하게 측정값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수치값으로만 보여주고 있는 것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본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생체신호 항목을 측정하는 기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에 대한 활용이 제대로 되고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2264호, (2018.02.20)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문진정보 및 건강검진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생체신호 항목 각각에 대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되는 생체신호에 모니터링 가중치를 적용한 후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결정하고, 상태 조건에 따라서 각 웨어러블 기기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인 웨어러블 기기를 활성화시켜, 해당 기기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판단 오류 여부를 검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에 대한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생체신호 항목 각각에 대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설정부 및 상기 수신되는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태 조건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에 상기 모니터링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가중치가 적용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결과를 기반으로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상태 정보를 기초로 피드백을 도출하여 상기 단말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특성, 질병, 가족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을 도출하고, 상기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건강지표와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을 시작한 후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적된 상기 건강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출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한 정상상태 범위를 포함하는 건강 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상기 건강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건강 모델을 업데이트 시키고,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가 상기 건강 모델의 정상상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질병 및 가족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영향력 지수를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가 상기 건강 모델의 정상상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건강지표항목의 영향력 지수 및 상기 평가 결과가 상기 정상상태 범위를 벗어난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질병 중증도, 상기 사용자의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 및 가족력 발병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상태 조건은, 보행, 운동, 운전, 수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특성, 질병, 가족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조건별로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메인 항목과 서브 항목으로 설정하여 상기 설정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 조건이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웨어러블 기기 중에서 상기 메인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턴온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웨어러블 기기 중에서 상기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건강상태 정보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턴오프된 상기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턴온시켜, 상기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오류 판단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수신된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판단된 이상상태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에 대한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태 조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에 모니터링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가중치가 적용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결과를 기반으로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상태 정보를 기초로 피드백을 도출하여 상기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생체신호 항목 각각에 대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설정부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문진정보 및 건강검진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생체신호 항목 각각에 대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함으로써, 복합적인 생체신호들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세팅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되는 생체 신호에 모니터링 가중치를 적용한 후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본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결정하고, 상태 조건에 따라서 각 웨어러블 기기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여, 웨어러블 기기의 전원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인 웨어러블 기기를 활성화시켜, 해당 기기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판단 오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건강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한 달 동안의 건강 모델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해주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상태 조건에 따라서 웨어러블 기기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의 예시도다.
도 8은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가 설치된 웨어러블 기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메모리(130), 설정부(140) 및 오류 판단모듈(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하 실시예에서 단말(200)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과 같은 행위들은 모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초기 조건의 설정을 위해서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200)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문진정보, 건강검진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여 수신할 수도 있고, 단말(200)로 문진표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고 입력을 요청하거나, 사용자가 의료기관으로부터 받은 건강검진 결과에 관련된 자료 파일을 단말(200)을 통해서 서버(100)로 업로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설정부(140)는 사용자의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생체신호 항목 각각에 대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문진정보, 건강검진정보에는 사용자의 각종 신체 정보(예: 신장, 체중, 혈압수치), 보유한 질병이나 앓았던 질병, 보유 가족력, 각종 혈액 검사 결과 등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기기(20)로부터 측정되어 수신되는 다양한 생체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그 중요도를 따져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서버(10)는 사용자의 상태 조건에 따라서 어떠한 생체신호에 얼마만큼의 가중치를 적용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태 조건에 따라서 복수의 생체신호 항목 각각에 대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 조건이란, 보행, 운동, 운전, 수면 등과 같이 다양한 조건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수면 중이라고 판단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이동속도, 체중, 운동량과 같은 생체신호들은 그 중요도가 떨어지고, 심박수, 산소 포화도, 혈압, 호흡수와 같은 생체신호들은 그 중요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서버(100)는 위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조건에 따라서 생체신호마다 각기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체신호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건강에 관여될 수 있는 값이라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으며, 생체적인 신호 이외에도 사용자의 위치 정보, 움직임 정보, 활동량 등과 같은 데이터들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체신호는 운동량(걸음 수, 운동시간, 운동으로 소모된 칼로리, 운동 거리 등), 심박수, 체중, 혈압, 산소 포화도, 심전도, 스트레스 수치, 수면정보(수면 시간, 수면 효율 등)
위와 같은 구성과 동작에 의해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 조건의 설정이 완료된다.
먼저, 서버(100)의 통신부(120)가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20)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에 대한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수신한다. (S110)
이때, 웨어러블 기기(20)는 대표적으로, 스마트 워치, 안경, 팔찌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단말(200) 또한, 사용자의 걸음수, 이동속도, 위치정보 등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2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신체에 착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바디 기기와 같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디바이스라면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웨어러블 기기(20)들과 연결되며, 웨어러블 기기(20)들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신호를 서버(100)의 통신부(120)로 전달한다.
S110 다음으로, 제어부(110)가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결정한다. (S13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수가 감소하여 일정수치에 안정되어 있고, 이동속도가 줄어 정지된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수면에 돌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수면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수, 혈압이 일정수치 이상으로 증가하여, 운동량이 증가된 경우,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운동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수, 혈압이 안정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이동속도가 증가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거나 직접 운전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운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10)는 단말(200)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턴온하는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운전 상태로 결정하고, 차량의 시동을 턴오프하는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운전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S130 다음으로, 제어부(110)가 S13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상태 조건에 따라 S110에서 수신된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에 모니터링 가중치를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평가한다. (S150)
도 3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의 건강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문진정보 및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특성, 보유 질병, 보유 가족력을 추출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을 도출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 보유 질병, 보유 가족력 이외에도 사용자가 앓았었던 질병을 함께 추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출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은 사용자의 신체 특성, 보유 질병, 보유 가족력, 사용자가 앓았던 질병을 기반으로 도출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위와 같이,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측정되어 수신되는 복합적인 생체신호들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가중치 세팅을 활용하여 그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150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S150에서 평가된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S170)
S170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건강상태 정보를 기초로 피드백을 도출하여 단말(200)로 출력한다. (S190)
상세하게는, 제어부(110)는 S150에서 평가된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가 정상인지 판단하게 되고, 비정상상태(이상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부분에 이상이 존재하는지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현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상태로 판단된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 조건이 운동 상태일 때, 특정 건강지표항목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잠시 휴식을 취하도록 권유하거나, 운동량을 감소시키도록 권유하거나, 또는 운동을 즉각 중지할 것은 요청하는 등의 피드백을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은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평가된 결과를 기초로 하는 것으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서 경고의 수준이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건강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도출된 건강지표항목과 사용자가 건강관리 서비스의 이용을 시작한 후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적된 건강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출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한 정상상태 범위를 포함하는 건강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이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 모델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건강 모델을 생성하는 것은 서버(100)가 기계학습부를 더 포함하여, 기계학습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각종 생체신호, 문진정보 및 건강검진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모델을 지속적으로 학습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웨어러블 기기(2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건강 모델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10)는 S150에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평가된 결과를 건강 모델에 입력하여, 건강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S150에서 평가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가 건강 모델에 설정된 정상상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단말(20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10)는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의 질병 및 가족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영향력 지수를 할당하고, 이를 건강 모델에 반영할 수 있다.
도 5는 한 달 동안의 건강 모델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200)로 제공해주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제어부(110)는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가 건강 모델에 설정된 정상상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건강지표항목의 영향력 지수 및 평가 결과가 정상상태 범위를 벗어난 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질병 중증도, 사용자의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 가족력 발생 가능성 및 사용자가 앓았던 질병의 재발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질병 중증도, 사용자의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 가족력 발생 가능성 및 사용자가 앓았던 질병의 재발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정형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계열 분석에 중점을 두고, 이전 연산이 끝나야 다음 연산이 가능한 Transformer 방식이 활용될 수 있으며, 중요한 정보, 데이터에 가중치를 두어 학습하는 Attention 기법을 활용하여 예측 결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문진정보와 건강검진정보를 일회성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정시간(예: 1년 주기, 2년 주기 등) 후에 다시 건강검진을 실시하였을 경우, 업데이트된 문진정보와 건강검진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데이트된 문진정보 및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문진정보 및 건강검진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들을 기존의 문진정보 및 건강검진정보에 포함된 정보들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변화점을 도출하고, 도출된 변화점을 사용자의 건강 모델에 입력하여 건강 모델을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또한, 문진정보, 건강검진정보 이외에도, 사용자가 의료진(주치의, 전문의, 의료기관 등)에게 진단을 받고, 특정 질병이 발병하였거나, 기존 질병의 상태가 변화하였다는 진단 결과를 받은 경우, 진단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200)을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위와 같은 신규 진단 결과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건강 모델을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신규 진단 결과가 수신되면, 그동안 산출하여 단말(200)로 제공하였던 사용자의 질병 중증도, 사용자의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 가족력 발생 가능성 및 사용자가 앓았던 질병의 재발 가능성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학습하여 사용자의 질병 중증도, 사용자의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 가족력 발생 가능성 및 사용자가 앓았던 질병의 재발 가능성의 산출 정확도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의 상태 조건에 따라서 웨어러블 기기(2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상태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행, 운전, 운동, 수면 등의 상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 질병, 가족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조건별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메인 항목과 서브 항목을 설정하여 설정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S130에서 사용자의 상태 조건이 결정되면, 사용자가 보유한 웨어러블 기기(20) 중에서 메인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20)를 턴온시키고, 사용자가 보유한 웨어러블 기기(20) 중에서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20)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심박수, 혈압을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20)를 턴온(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심박수, 산소 포화도, 혈압, 수면정보, 호흡수 등을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20)를 턴온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 조건에 따라서 웨어러블 기기(20)를 선택적으로 턴온/턴오프 함으로써, 웨어러블 기기(20)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과도한 측정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가 이상상태(비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턴오프되어 있는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20)를 턴온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오류 판단모듈(150)을 동작시켜,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판단된 이상상태의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 조건이 운전 상태인 상황에서,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수치로 인하여 사용자가 비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심전도, 호흡수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턴오프 상태인 웨어러블 기기(20)를 턴온시켜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하여 수신하고, 사용자의 심전도, 호흡수를 기반으로, 이상상태 판단의 오류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건강 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설정된 정상상태 범위 이외에, 위험상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평가 결과 중 특정 건강지표항목의 평가 결과가 위험상태 범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상태 조건에 따라서 설정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상태 조건이 운동 상태인 상황에서 특정 건강지표항목이 위험상태 범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 사용자의 보호자 단말(200) 및 사용자의 트레이너의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로 응급 알림과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상태 조건이 수면 상태인 상황에서 특정 건강지표항목이 위험상태 범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 사용자의 보호자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로 응급 알림과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상태 조건이 운전 상태인 상황에서 특정 건강지표항목이 위험상태 범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 사용자의 보호자 단말 및 응급센터 서버로 응급 알림과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보호자 단말 및 응급센터 서버로 사용자의 위치정보, 사용자 차량의 CCTV 촬영 영상 및 사용자 차량의 블랙박스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의 예시도다.
도 8은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가 설치된 웨어러블 기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웨어러블 기기에는 도 7과 같은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서버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제1 발광부(30), 제2 발광부(33), 제1 수광부(35), 제2 수광부(37)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발광부(30)는 특정 파장의 광을 발광한다.
제2 발광부(33)는 제1 발광부(30)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며, 특정 파장의 광을 발광한다.
이때, 제1 발광부(30) 및 제2 발광부(33)는 적색(RED) LED를 이용하여 적색광을 발광하거나, 적외선 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제1 수광부(35)는 제2 발광부(33)에서 발광되어 사용자의 혈관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한다.
제2 수광부(37)는 제1 발광부(30)에서 발광되어 사용자의 혈관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한다.
제1 수광부(35), 제2 수광부(37)는 포토 다이오드가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발광부(30)는 제2 수광부(37)와 커플링되도록 세팅되고, 제2 발광부(33)는 제1 수광부(35)와 커플링되도록 세팅된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제1 발광부(30)는 발광된 광이 사용자의 혈관으로 향한 후 반사되어 제2 수광부(37)를 향하도록 발광 방향이 세팅되어 있을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발광부(33)는 발광된 광이 사용자의 혈관으로 향한 후 반사되어 제1 수광부(35)를 향하도록 발광 방향이 세팅되어 있을 수 있다.
발광부의 발광 방향 세팅 이외에도, 수광부가 수광이 용이하도록 세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수광부(35)는 제2 발광부(33)에서 발광된 광만 수광되도록 제1 발광부(30)에서 발광된 광을 차단하는 가림막 부재가 구성될 수 있고, 제2 수광부(37)는 제1 발광부(30)에서 발광된 광만 수광되도록 제2 발광부(33)에서 발광된 광을 차단하는 가림막 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발광부(30)와 제2 수광부(37) 사이에는 제1 수광부(35)가 배치되고, 제2 발광부(33)와 제1 수광부(35) 사이에는 제2 수광부(37)가 배치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제1 발광부(30)에서 발광된 광은 B 영역으로 향한 후 반사되어 제2 수광부(37)를 향하고 있으며, 제2 발광부(33)에서 발광된 광을 C 영역으로 향한 후 반사되어 제1 수광부(35)를 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복수의 스팟에 대하여 측정을 진행함으로써 혈관의 위치가 아닌 스팟에 광을 발광하여 산소포화도 측정에 실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1 수광부(35) 및 제2 수광부(37) 중 적어도 하나에 수광된 광을 기반으로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제어부(50)는 제1 수광부(35) 또는 제2 수광부(37)로 수광된 광의 광량을 기반으로 제1 발광부(30) 및 제2 수광부(37)의 동작과, 제2 발광부(33) 및 제1 수광부(35)의 동작을 각각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50)는 제1 발광부(30) 및 제2 수광부(37)를 동작시켜서 산소포화도 측정을 실시하고, 제2 수광부(37)로 수광된 광의 광량이 기 설정된 광량인 경우 해당 위치(B 영역)에 사용자의 혈관이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발광부(30) 및 제2 수광부(37)를 턴오프(Turn off)하고, 제2 발광부(33) 및 제1 수광부(35)를 동작시킨다.
이때, 제어부(50)는 동작시키지 않는 발광부 및 수광부는 턴오프시키고, 동작시키는 발광부 및 수광부는 턴온(Turn on)시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4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심박수 측정부(40)는 Green LED를 이용하여 녹색광을 발광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며, 제1 수광부(35)와 제2 수광부(37)의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제1 발광부(30), 제2 발광부(33), 제1 수광부(35), 제2 수광부(37) 및 심박수 측정부(40)의 하부를 덮는 투명창(45)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위와 같은 투명창(45)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투명창(45)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부, 수광부, 측정부와 같은 센서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에는 제1 발광부(30), 제1 수광부(35), 심박수 측정부(40), 제2 수광부(37), 제2 발광부(33)가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발광부(30)와 제2 수광부(37)는 제1 방향으로 정렬되어 설치되고, 제2 발광부(33)와 제1 수광부(35)는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정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제1 발광부(30)와 제2 수광부(37), 그리고 제2 발광부(33)와 제1 수광부(35)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배치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스팟을 대상으로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휘된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50)는 제1 수광부(35) 및 제2 수광부(37)에 각각 수광된 광의 광량에 기초하여 측정된 산소포화도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제1 발광부(30) 및 제2 수광부(37)를 동작시켜 제1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제2 발광부(33) 및 제1 수광부(35)를 동작시켜 제2 산소포화도를 측정한 후, 제1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때 제2 수광부(37)로 수광된 광의 광량과 제2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때 제1 수광부(35)로 수광된 광의 광량에 기초하여 산소포화도를 보정하고, 최종 산소포화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광부(35)로 수광된 광의 광량이 제2 수광부(37)로 수광된 광의 광량보다 높은 경우, 제1 산소포화도보다 제2 산소포화도에 좀 더 비중을 주어 최종 산소포화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제1 수광부(35), 제2 수광부(37), 제1 발광부(30), 제2 발광부(33) 및 심박수 측정부(40)가 설치되는 플레이트(55), 플레이트(55)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1 수광부(35) 및 제2 수광부(37)에 수광된 광의 광량이 기 설정된 광량 이하이거나, 제1 수광부(35) 및 제2 수광부(37)에 수광된 광의 노이즈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회전부재를 통해 플레이트(55)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킨 후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복수 개의 발광부, 수광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팟에 대하여 산소포화도 측정을 실시할 수 있지만,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가 설치된 스마트 워치, 밴드의 착용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산소포화도 측정에 실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위와 같이 회전부재를 통해 플레이트(55)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킨 후에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게 되면, 또 다른 스팟들에 대한 측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측정 실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도 7와 같이 2개의 발광부와 2개의 수광부를 구비하는 경우, 2개의 스팟에 대하여 산소포화도 측정을 실시할 수 있지만, 플레이트(55)를 5°씩 회전시키며 산소포화도 측정을 실시하게 되면 수많은 스팟들에 대하여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50)는 혈관 위치 탐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혈관 위치 탐색 기능이 실행되면, 회전부재를 통해 플레이트(55)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제1 수광부(35) 및 제2 수광부(37) 중 적어도 하나에 수광된 광량이 기 설정된 광량 이상이고, 제1 수광부(35) 및 제2 수광부(37)에 수광된 광의 노이즈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일 때의 회전부재의 회전 각도를 사용자의 세팅값으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산소포화도 측정시에 세팅값을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복수의 스팟에 대하여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있는데,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 밴드, 워치)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상세하게는, 손목)에 따라서 최적화된 세팅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위와 같이 혈관 위치 탐색 기능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산소포화도 측정을 실시한 후 수광되는 광량이 우수하고, 노이즈가 적은 각도를 세팅값으로 저장하여 추후 측정시에 활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플레이트(55)의 각도가 Raw 상태인 0°에서 산소포화도 측정을 실시하고, 30°씩 회전시키며 산소포화도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결과 플레이트(55)의 각도가 Raw 상태에서 120°, 210°인 경우 가장 우수한 측정 결과를 얻었다면, 해당 각도를 해당 사용자의 세팅값으로 설정하고, 차후 산소포화도 측정시에 2개의 세팅값을 이용하여 산소포화도 측정에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50)는 측정된 산소포화도의 측정 데이터(생체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이 측정 데이터(생체신호)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는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에 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스마트 워치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부의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스마트 워치(60)가 예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25)는 이러한 스마트 워치(60)의 내부 하면쪽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60)를 손목에 착용하면,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건강관리 시스템
20: 웨어러블 디바이스
25: 산소 포화도 측정 장치
30: 제1 발광부
33: 제2 발광부
35: 제1 수광부
37: 제2 수광부
40: 심박수 측정부
45: 투명창
50: 제어부
55: 플레이트
60: 스마트 워치
100: 서버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메모리
140: 설정부
150: 오류 판단모듈
200: 단말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에 대한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생체신호 항목 각각에 대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설정부; 및
    상기 수신되는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태 조건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 각각에 상기 모니터링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가중치가 적용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결과를 기반으로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상태 정보를 기초로 피드백을 도출하여 상기 단말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특성, 질병, 가족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을 도출하고,
    상기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건강지표와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을 시작한 후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적된 상기 건강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출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한 정상상태 범위를 포함하는 건강 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상기 건강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건강 모델을 업데이트 시키고,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가 상기 건강 모델의 정상상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질병 및 가족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영향력 지수를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가 상기 건강 모델의 정상상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건강지표항목의 영향력 지수 및 상기 평가 결과가 상기 정상상태 범위를 벗어난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질병 중증도, 상기 사용자의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 및 가족력 발병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조건은, 보행, 운동, 운전, 수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특성, 질병, 가족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상태 조건별로 상기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메인 항목과 서브 항목으로 설정하여 상기 설정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 조건이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웨어러블 기기 중에서 상기 메인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턴온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웨어러블 기기 중에서 상기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건강상태 정보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턴오프된 상기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턴온시켜, 상기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오류 판단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수신된 서브 항목에 관련된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판단된 이상상태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7.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에 대한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태 조건에 따라 상기 수신된 복수 항목의 생체신호 각각에 모니터링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가중치가 적용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복수의 건강지표항목에 대하여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결과를 기반으로 건강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상태 정보를 기초로 피드백을 도출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문진정보 또는 건강검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생체신호 항목 각각에 대한 모니터링 가중치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8.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7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한 기록매체.
KR1020200127794A 2020-10-05 2020-10-05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045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794A KR20220045278A (ko) 2020-10-05 2020-10-05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794A KR20220045278A (ko) 2020-10-05 2020-10-05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278A true KR20220045278A (ko) 2022-04-12

Family

ID=8118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794A KR20220045278A (ko) 2020-10-05 2020-10-05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52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264B1 (ko) 2011-08-25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264B1 (ko) 2011-08-25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6642B2 (en) Control using connected biometric devices
US10311533B2 (e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physician labels on a remote server and use labels to verify and improve algorithm results
US20150164351A1 (en) Calculating pulse transit time from chest vibrations
CN108604465B (zh) 基于患者生理反应的对急性呼吸道疾病综合征(ards)的预测
TWI610655B (zh) 具有心率分析模組之血壓計
WO2019209986A1 (en) Anxiety detec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2053604B1 (ko) 수면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면 분석 디바이스
CN113168759B (zh) 预测危急警报
US104313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preting patient risk score using the risk scores and medical events from existing and matching patients
KR20200032428A (ko) 맥파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 이상 징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123418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having severity prediction and visualization for a medical condition
US20230263478A1 (en) Oxygen saturation monitor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WM596601U (zh) 人工智慧之量測生理訊號系統
KR20220045278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708727B1 (ko) 사람의 생명이 위험한 상태에 있는지를 조기에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JP2024513618A (ja) 感染症及び敗血症の個別化された予測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22133922A (ja) 生体情報演算システム
KR20200107159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US2022014252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rojected range of future analyte concentrations
US2022014252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slope in a graph of analyte concentrations
KR102425429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US2022014252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whether and when a hypo/hyper analyte concentration event will occur
US202303296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bnormal physiological state
US20230012526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predicting time of ovulation
Tóth-Laufer et al. A personal profile based patient-specific anytime risk calculation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