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716A - Method for managing overtime application to comply with standard working hour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overtime application to comply with standard working hour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716A
KR20220044716A KR1020220041628A KR20220041628A KR20220044716A KR 20220044716 A KR20220044716 A KR 20220044716A KR 1020220041628 A KR1020220041628 A KR 1020220041628A KR 20220041628 A KR20220041628 A KR 20220041628A KR 20220044716 A KR20220044716 A KR 20220044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vertime
overtime work
hours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0719B1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주)휴먼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엔시스 filed Critical (주)휴먼엔시스
Priority to KR102022004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719B1/en
Publication of KR2022004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716A/en
Priority to KR1020220097067A priority patent/KR1025117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ethod of managing working hours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aging working hours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the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of a user in advance; allowing login by inputting the ID and password of the user; determining whether a firs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ime and the end time of a daily working time plan is less than a set value; maintaining a login state when a first ca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apply for overtime work to an employer if the first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t value.

Description

기준 근로 시간 준수를 위한 연장 근로 신청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OVERTIME APPLICATION TO COMPLY WITH STANDARD WORKING HOUR AND SYSTEM THEREOF}METHOD FOR MANAGING OVERTIME APPLICATION TO COMPLY WITH STANDARD WORKING HOUR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근로 시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ing tim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최근, 개정 근로기준법 상 주당 법정 근로 시간을 기존 68시간에서 52시간, 즉 법정 근로 40시간 및 연장 근로 12시간으로 단축하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각 사업장에 도입되었다.Recently, under the revised Labor Standards Act, a 52-hour workweek system was introduced at each workplace, reducing the statutory working hours per week from 68 hours to 52 hours, that is, 40 hours of legal work and 12 hours of overtime work.

이처럼 근로 관련 법령의 개정에 따라 변경되는 기준 근로 시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사업장 내 근로 환경 유지 및 사업 생산성에의 타격 최소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As such, it is very important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standard working hours that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labor-related laws to maintain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and minimize the impact on business productivity.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변경된 기준 근로 시간을 사업장에 성공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근로 시간 관리 방법 또는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need for a working time management method or such a system for successfully applying the changed standard working hours as described above to the workplace is increas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96249호 (2015.08.24.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96249 (Notice on August 24, 2015)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변경된 기준 근로 시간을 준수하여 근로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근로 시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ing tim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managing a user to work in compliance with changed standard working hou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은 단계,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허가하는 단계, 현재 시간과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의 제1 차(差)가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차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제1 차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로 시간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user's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in advance, the step of receiving the user's ID and password to allow the login, the firs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差) is less than the set value, maintaining the login status if the first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nd if the first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t value, confirming whether the employer has applied for overtime work A time management method is provided.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의 출력 화면 상에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may include outputting a screen that can apply for overtime work on an output screen of the user's computer terminal.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연장 근로를 신청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연장 근로의 신청 내용은 컴퓨터 단말기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has been applied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from the employer after outputting a screen that can apply for overtime work, ) may contain information.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may include transmitting a text message including an access address for applying for overtime work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연장 근로를 신청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연장 근로의 신청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applie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from the user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and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연장 근로의 신청이 거절된 경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로그아웃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applied, when the request for overtime work is rejected by the employer, the step of logging out as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exceeded may be further included.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이미 근로한 연장 근로의 누적 시간을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Befor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step of comparing the accumulated hours of overtime work already worked by the employer with the available weekly overtime hours may be further included.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누적 시간이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 미만인 경우 누적 시간과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의 제2 차(差)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applied may be performed by providing the employer with a second difference between the accumulated hours and the weekly overtime available hours if the accumulated hours are less than the weekly overtime available hours.

연장 근로는 제2 차의 시간 이하의 시간으로 신청 가능할 수 있다.Overtime work may be requested for hours less than the second hour.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이후에, 누적 시간이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동일한 경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로그아웃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After the comparing with the weekly overtime work hours, the step of logging out as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exceeded when the accumulated time is the same as the weekly overtime work hour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변경된 기준 근로 시간을 준수하여 근로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user to work in compliance with the changed standard working hou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 시간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 시간 관리 방법을 나타낸 세부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로 시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orking tim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working tim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orking tim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근로 시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tim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 시간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working tim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은 단계(S110),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허가하는 단계(S120), 현재 시간과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의 제1 차(差)가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 제1 차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60), 및 제1 차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근로 시간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step of receiving the user's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in advance (S110), the step of receiving the user's ID and password to allow the login (S120), the current tim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ifference (差) of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less than the set value (S150), if the first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maintaining the log-in state (S160), and the first difference is set If it is less than the value, a working time management method is provided, which includes the step (S180) of confirming whether the user has applied for overtime work.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미리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 을 입력 받고 근로 당일의 일일 근로 시간 계획 상 종료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해 그 차(差)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를 신청할지 여부를 확인토록 함으로써, 미리 수립된 주간 근로 계획에 더해 추가적으로 연장 근로가 필요한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정해진 기준에 따라 매일 확인하여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변경된 기준 근로 시간, 즉 법정 근로 시간을 준수하여 근로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f the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is input from the employer in adva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d time and the current time in the daily working time plan on the working day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employer is provided with overtime work. By requiring confirmation of whether to apply, the employer checks daily whether additional overtime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pre-established weekly work plan according to the standards set by the employer, effectively managing the employer to work in compliance with the changed standard working hours, that is, the statutory working hours it is possible to do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근로 시간 관리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step of the working tim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은 단계(S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을 수 있다.In the step S110 of receiving the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in advanc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user's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may be received in advance.

즉 사용자로부터 근로하게 될 주가 시작되기 전에 해당 주동안 근로할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을 수 있고, 이 때 해당 계획은 해당 주의 각 일의 근로 시간 계획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before the start of the week in which the employer will work, a time plan to work during the week may be input in advance, and at this time, the plan may include the work time plan for each day of the week.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에 따라 한 주동안 근로하게 되므로 기준 주간 근로 시간, 즉 법정 주간 근로 시간을 준수할 수 있으며, 후술할 바와 같이 계획 상의 일일 근로 시간 계획에 추가로 근무를 할 경우 그 종료 시간 이전에 연장 근로의 신청을 해야 하므로 기준 연장 근로 시간, 즉 법정 연장 근로 시간을 준수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employer will work for one week according to the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so the standard weekly working hours, that is, the statutory weekly working hours, can be observed. You must apply for overtime work before the end time, so you can comply with the standard overtime hours, that is, the statutory overtime hours.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근로할 주의 전주에 근로할 주의 계획을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 8시간을 근로하도록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5일간 일일 8시간의 근로를 하게 되는 바 해당 주간 총 40시간을 근로하게 되고 이는 근로기준법(법률 제17326호, 2020.05.26. 타법개정, 2020.05.26. 시행, 이하 동일)상 법정 주간 근로 시간인 40시간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본 상황 예에서 예시한 시간값은 이하의 상황 예에서 동일하게 적용).For example, an employer may set up a plan to work 8 hours every day from Monday to Friday in the week before the week to be worked. This will satisfy the statutory weekly working hours of 40 hour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Act No. 17326, 2020.05.26. amended other laws, 2020.05.26. enforcement, hereinafter the same) (the time exemplified in this example situation) The values are the same in the following situation examples).

로그인을 허가하는 단계(S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허가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llowing login ( S120 ), as shown in FIGS. 1 and 2 , login may be permitted by receiving a user's ID and password.

즉 사용자는 담당 업무 수행 등을 위해 사내 인트라넷(intranet) 등의 서버(server)에 로그인을 해야 하며, 이 경우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사용자의 서버로의 로그인을 허가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ust log in to a server such as an intranet in the company to perform his/her duties, and in this case, the server may receive an ID and password from the user and allow the user to log in to the server.

로그인을 허가하는 단계(S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이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을 경과한 경우 로그인을 거절하는 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step of allowing the login ( S120 ) may include a step of rejecting the login ( S122 ) when the current time has passed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이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별도 연장 근로 신청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이 후 사용자는 로그인을 하는 것이 불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f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has elapsed without the employer making a separate application for overtime, the user may not be able to log in after that.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로그인을 하여 근로를 함으로써 기준 근로 시간을 미준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non-compliance with the standard working hours by allowing the user to log in arbitrarily and work.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과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의 제1 차(差)가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less than the set value (S150) is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less than the set value, as shown in FIGS. 1 and 2 . can

즉 사용자의 일일 근로 시간 계획 상 종료 시간에 임박한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연장 근로 여부를 확인하도록, 현재 시간과 상기 종료 시간의 차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nd time is approaching according to the user's daily working time pl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ime and the end time is compared with a preset value to check whether overtime work as will be described later to determine whether 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there is.

여기서 상기 설정값은 사용자가 연장 근로 신청을 하기까지에 충분한 시간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분 정도로 세팅될 수 있다.Here, the set value may be provided as a time sufficient for the us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and may be set, for example, to about 10 minutes.

여기서 차(差)는 단어의 의미 그대로 어떠한 두 값에 있어 한 값에서 다른 한 값을 제(除)한 나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하 동일하다.Here, the difference (差) can be understood as meaning a remainder obtained by subtracting one value from the other value in any two values as the meaning of the word is, and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aintaining the log-in state ( S160 ), as shown in FIGS. 1 and 2 , when the first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the log-in state may be maintained.

즉 제1 차가 설정값 미만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조치없이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car does not reach less than the set value, the user's login state can be maintained without a separate action.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step S180 of determining wheth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as shown in FIGS. 1 and 2 , when the first difference is less than a set valu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o apply for overtime work to the user.

즉 사용자의 일일 근로 시간 계획 상 종료 시간에 임박한 경우 연장 근로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기준 근로 시간을 준수토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end time is approaching according to the employer's daily working time pla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vertime work is being performed so that the employer can comply with the standard working hours.

예를 들어 근로 당일 계획된 근로 시간이 9시부터 18시까지 점심시간 1시간을제외한 총 8시간인 경우, 설정값은 10분으로 세팅되어 있고 현재 시간이 17시 50분을 경과하고 있다면, 현재 시간과 당일 근로 종료 시간의 제1 차는 설정값인 10분 미만이므로,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를 신청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lanned working time on the working day is from 9:00 to 18:00, excluding one hour for lunch, the set value is set to 10 minutes and if the current time has passed 17:50, the current time Since the first difference between the working day and the end time of the same day is less than the set value of 10 minutes,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o apply for overtime work to the employer.

보다 구체적으로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의 출력 화면 상에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S182)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tep (S180) of checking wheth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may include outputting a screen that can apply for overtime work on the output screen of the user's computer terminal (S182), as shown in FIG. 2 . there is.

다시 말해 사용자가 연장 근로를 신청할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 화면 상에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팝업(pop-up)창을 표시하여 연장 근로를 원하는 사용자가 해당 팝업창을 통해 연장 근로를 신청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employer will apply for overtime work, a pop-up window for requesting overtime work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connected to the user's computer, and the user who wants overtime work can extend the work through the pop-up window. You can apply for work.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S182)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연장 근로를 신청 받는 단계(S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S180)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from the user (S186) after the step of outputting a screen for applying for overtime work (S182), as shown in FIG. 2 (S180) can do.

즉 상술한 바와 같은 팝업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장 근로를 신청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자로부터 해당 연장 근로 신청에 대한 승인을 받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관리자의 승인을 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시켜 사용자의 연장 근로가 가능토록 할 수 있다. That is, an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can be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pop-up window as described above, and in this case, the step of receiving approval fo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from the manag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when the manager's approval is received, the user's login status can be maintained to enable the employer to work overtime.

연장 근로의 신청 내용은 컴퓨터 단말기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may include IP (internet protocol) information of the computer terminal.

이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연장 근로 신청의 내용에는 해당 사용자의 컴퓨터에 할당된 IP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부정한 방법으로 사내 자신의 업무용 컴퓨터가 아닌 타 컴퓨터로 연장 근로 신청의 팝업창을 출력받아, 연장 근로를 하지 않을 것임에도 연장 근로 수당을 받기 위해 근로 신청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entered by the user may include the IP information assigned to the user's computer. This can prevent people from applying for work to receive overtime pay even though they will not work overtime.

또한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18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S180) of confirming wheth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may include, as shown in FIG. 2 , transmitting a text message including an access address for applying for overtime work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S184). there is.

즉 사용자는 항상 사내에서 자신의 업무용 컴퓨터를 이용해 근로를 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외근을 하거나 출장을 가는 경우도 존재할 것인 바, 이러한 상황에 대비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연장 근로 신청이 가능한 접속 주소를 포함한 문자 메시지, 즉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을 송신하여 사용자가 외근이나 출장 중에도 연장 근로 신청을 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user does not always work inside the company using his or her work computer, but in some cases, there will be cases where he/she goes to work or goes on a business trip. By sending a text message including SMS (short message service) or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users can apply for overtime work even while away from work or business trip.

여기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는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접속 주소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고, 기타 상기 URL 등의 링크(link)를 포함하는 이미지 등일 수도 있다.Here, the access address that can apply for overtime work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may be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r may be an image including a link such as the URL.

또한 상기의 모바일 단말기에는 스마트폰, 타블렛 PC 및 이와 연동되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interworking therewith.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184)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연장 근로를 신청 받는 단계(S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S180)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from the user (S186) after the step of sending a text message (S184), as shown in FIG. 2 .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문자 메시지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장 근로를 신청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자로부터 해당 연장 근로 신청에 대한 승인을 받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승인을 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시켜 사용자의 연장 근로가 가능토록 할 수 있다. That is, an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can be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text message as described above, and in this case, the step of receiving approval fo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from the manag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upon receiving the approval, the user's login status is maintained This may allow the employer to work overtime.

연장 근로의 신청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이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연장 근로 신청에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내 있지 않거나 외근지 또는 출장지에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정하게 연장 근로 수당을 받기 위해 근로 신청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entered by the user may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terminal. can prevent

로그아웃시키는 단계(S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연장 근로의 신청이 거절된 경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로그아웃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logging out ( S190 ), as shown in FIG. 2 , when an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rejected by the user, the user may log out as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exceeded.

즉 사용자가 연장 근로 신청을 하지 않는 경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경과됨과 동시에 사용자를 로그아웃시킴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연장 근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연장 근로를 관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employer does not apply for overtime work, by logging out the employer at the same time as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elapses, unauthorized overtime work is prevented, thereby effectively managing the employer's overtime work. .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S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 근로한 연장 근로의 누적 시간을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in the step of comparing with the weekly extended work hours ( S130 ), the accumulated hours of overtime work already worked by the user may be compared with the weekly extended work available hours.

다시 말해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 즉 법정 연장 근로 시간을 준수하여야 하는 바, 근로 주간의 연장 근로 이력을 관리하고 해당 누적 시간을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비교함으로써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을 넘어서 연장 근로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weekly overtime work hours, that is, the legal overtime work hours must be complied with. By managing the overtime work history of the working week and comparing the accumulated hours with the available weekly overtime work hours, the employer can work overtime during the week, as will be described later. Overtime work can be prevented.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80)는 누적 시간이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 미만인 경우 누적 시간과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의 제2 차(差)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 S180 ) of checking wheth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may be performed by providing the employer with a second difference between the accumulated hours and the available weekly overtime work hours when the accumulated hours are less than the weekly overtime available hours.

즉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80)에서 누적된 연장 근로 시간과 기준 연장 근로 가능 시간의 차이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차이 시간을 넘어 연장 근로 신청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forma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cumulated overtime working hours and the standard extended workable hours is provided in the step (S180) of checking whether the employer has applied for overtime work, so that the employer can apply for overtime work beyond the differen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prevented from doing

연장 근로는 제2 차의 시간 이하의 시간으로 신청 가능할 수 있다.Overtime work may be requested for hours less than the second hour.

*이 경우 연장 근로 신청 내용 작성창의 연장 근로 시간 설정 섹션에서 제2 차만큼의 시간을 초과하여 시간을 설정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tting of hours beyond the 2nd time in the overtime work hours setting section of the overtime work application content creation window.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연장 근로 시간 이력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없이 기준 연장 근로 가능 시간을 용이하게 준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mployer can easily comply with the standard overtime work hours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manage his/her overtime work history.

예를 들어 당일은 목요일이고 사용자는 수요일까지 총 10시간의 연장 근로를 하였다면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 신청 여부를 확인하면서 "금일까지 연장 근로하신 시간은 총 10시간입니다."라는 정보가 담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법정 연장 근로 시간은 12시간이므로 사용자는 연장 근로 신청 웹페이지에서 금일 최대 연장 근로 가능 시간인 2시간 내로 연장 근로 신청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ay is Thursday and the employer has worked a total of 10 hours of overtime until Wednesday, a message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 "You have worked overtime until today is a total of 10 hours" is provided to the employer while checking whether or not to apply for overtime. In this case, since the statutory overtime working time is 12 hours, the employer can apply for overtime work within 2 hours, which is the maximum overtime working hours available today, on the overtime work application webpage.

로그아웃시키는 단계(S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적 시간이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동일한 경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로그아웃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logging out ( S140 ), as shown in FIG. 2 , when the accumulated time is the same as the weekly extended work hours, the logout may be performed as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exceeded.

즉 사용자의 누적된 주간 연장 근로의 시간이 법정 근로 시간과 동일하다면 사용자는 더 이상 해당 주에 연장 근로를 할 수 없는 바,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 신청 여부를 확인할 필요없이 일일 근로 시간 계획 상 종료 시간이 경과함과 동시 사용자를 로그아웃시킴으로써 임의적인 연장 근로의 신청 및 승인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법정 근로 시간의 미준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employer's accumulated weekly overtime hours are the same as the statutory working hours, the employer can no longer work overtime in that week. By logging out the employer at the same time as the elapsed tim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non-compliance with the statutory working hours that may occur due to the application and approval of voluntary overtime work.

예를 들어 당일은 목요일이고 사용자는 수요일까지 총 12시간의 연장 근로를 하였다면, 법정 연장 근로 시간은 12시간이므로 사용자는 해당 주에서 더 이상 연장 근로가 불가한 바 18시가 경과됨과 동시에 로그아웃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ay is Thursday and the employer worked a total of 12 hours of overtime until Wednesday, the statutory overtime is 12 hours. there is.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로 시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working tim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은 계획 입력부,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허가하는 로그인 허가부, 현재 시간과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의 제1 차(差)가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제1 차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차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포함하는 근로 시간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 a plan input unit that receives the user's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in advance, a login permit unit that receives the user's ID and password to allow login, the current time and daily working time A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ifference of the end time of the plan is less than the set value, if the first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the login state is maintained, and if the first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t value, whether the employer applies for overtime work A method for managing working hours is provided that includes a confirmation unit that confirms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계획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미리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 을 입력 받은 후 판단부에서 근로 당일의 일일 근로 시간 계획 상 종료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해 연장 등록 신청 확인부에서 그 차(差)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를 신청할지 여부를 확인토록 함으로써, 미리 수립된 주간 근로 계획에 더해 추가적으로 연장 근로가 필요한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정해진 기준에 따라 매일 확인하여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변경된 기준 근로 시간을 준수하여 근로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fter the plan input unit receives the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from the user in advance, the judgment unit compares the end time and the current time in the daily working time plan on the working day, and the difference (差) is less than a preset value, by asking the employer to confirm whether to apply for overtime work, in addition to the pre-established weekly work plan, daily check whether overtime work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pre-established weekly work plan according to the standard set by the employer, effectively changing the employer It is possible to manage working hours in compliance with the working hours.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근로 시간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working tim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계획 입력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의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plan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of the user 10 in advance.

로그인 허가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허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login permission unit 120 may receive an ID and password of the user 10 to allow login.

로그인 허가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이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을 경과한 경우 로그인을 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login permission unit 120 may reject the login when the current time has passed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판단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과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의 제1 차(差)가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determination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a firs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less than a set value.

확인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check unit 160 may maintain a login state when the first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확인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10)에게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confirmation unit 160 may confirm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applied to the user 10 when the first difference is less than a set value.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의 컴퓨터 단말기의 출력 화면 상에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화면을 출력하는 제1 알림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 the confirmation unit 160 may include a first notification unit 162 that outputs a screen capable of applying for overtime work on the output screen of the computer terminal of the user 10 . .

확인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로부터 연장 근로를 신청 받는 신청부(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rmation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unit 166 for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from the user 10 as shown in FIG. 3 .

연장 근로의 신청 내용은 컴퓨터 단말기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may include IP (internet protocol) information of the computer terminal.

또한 확인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의 모바일 단말기로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2 알림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3 , the confirmation unit 160 may include a second notification unit 164 that transmits a text message including an access address for applying for overtime work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10 . .

확인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로부터 연장 근로를 신청 받는 신청부(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rmation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unit 166 for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from the user 10 as shown in FIG. 3 .

연장 근로의 신청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로그인 허가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에 의해 연장 근로의 신청이 거절된 경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로그아웃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login permission unit 120 may log out as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exceeded when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rejected by the user 10 .

비교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이미 근로한 연장 근로의 누적 시간을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comparator 130 may compare the accumulated time of the overtime work already worked by the user 10 with the weekly overtime available hours.

확인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적 시간이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 미만인 경우 누적 시간과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의 제2 차(差)를 사용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when the accumulated time is less than the weekly extended workable time, the check unit 160 may provide the user 10 with a second difference between the accumulated time and the weekly extended workable time.

연장 근로는 제2 차의 시간 이하의 시간으로 신청 가능할 수 있다.Overtime work may be requested for less than the second hour.

로그인 허가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적 시간이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동일한 경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로그아웃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log-in permission unit 120 may log out as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exceeded when the accumulated time is the same as the weekly extended work hours.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asily grasped from a process point of view. That is, each component can be identified as each process. 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mponents of the apparatus.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사용자
110: 계획 입력부
120: 로그인 허가부
130: 비교부
140: 판단부
160: 확인부
162: 제1 알림부
164: 제2 알림부
166: 신청부
10: user
110: plan input unit
120: login permission unit
130: comparison unit
140: judgment unit
160: confirmation unit
162: first notification unit
164: second notification unit
166: application

Claims (1)

계획 입력부가 사용자의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은 단계;
로그인 허가부가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허가하는 단계;
판단부가 현재 시간과 상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의 제1 차(差)가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확인부가 상기 제1 차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부가 상기 제1 차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간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은 단계는,
상기 계획 입력부가 근로기준법에 따른 법정 주간 근로 시간의 준수를 위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근로 예정 주 전에 상기 법정 주간 근로 시간에 따른 상기 근로 예정 주의 상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을 미리 입력 받아 수행되고,
상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은 상기 근로 기준법에 따른 법정 일일 근로 시간 내에서 입력 가능하고,
상기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비교부가 상기 사용자가 이미 근로한 상기 연장 근로의 누적 시간을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은 상기 근로기준법에 따른 법정 연장 근로 시간이고,
상기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 시간이, 상기 법정 연장 근로 시간인 상기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누적 시간과 상기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의 제2 차(差)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수행되고,
상기 연장 근로는 상기 제2 차의 시간 이하의 시간으로 신청 가능하고,
상기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알림부가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의 출력 화면 상에 상기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화면을 출력하거나, 자리 부재, 외근 또는 출장 중인 상기 사용자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연장 근로를 신청 가능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신청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장 근로를 신청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근로의 신청 내용은,
상기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장 근로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사내 컴퓨터 단말기 외의 컴퓨터 단말기로 부정하게 상기 연장 근로를 신청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컴퓨터 단말기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장 근로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사내, 외근지 또는 출장지 부재중임에도 불구하고 부정하게 상기 연장 근로를 신청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로그인을 허가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인 허가부가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로그인을 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로그인 허가부가 상기 누적 시간이 상기 주간 연장 근로 가능 시간과 동일한 경우 상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로그아웃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근로의 신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로그인 허가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연장 근로의 신청이 승인된 경우 상기 로그인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로그인 허가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연장 근로의 신청이 거절된 경우, 상기 일일 근로 시간 계획의 종료 시간이 초과됨에 따라 로그아웃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준 근로 시간 준수를 위한 연장 근로 신청 관리 방법.
Step in which the plan input unit receives the user's weekly daily working time plan in advance;
allowing the login permission unit to receive the user's ID and password to allow login;
determining, by a determination unit, whether a firs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less than a set value;
maintaining the log-in state when the first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to the user when the first difference is less than a set value by the confirmation unit,
The step of receiving the weekly daily working hours plan in advance,
In order for the plan input unit to comply with the statutory weekly working hours according to the Labor Standards Act, the daily working time plan for the expected working week according to the statutory working hours is received in advance from the employer before the expected working week.
The daily working time plan can be entered within the statutory daily working hours according to the Labor Standards Act,
Befor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less than the set value,
Compar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accumulated hours of the overtime work already worked by the employer with the weekly overtime available hours further comprising the comparison unit;
The weekly overtime work hours are statutory extended working hours according to the Labor Standards Act,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When the accumulated time is less than the weekly overtime available hours that are the legal overtime working hours, the second difference between the accumulated time and the weekly overtime available hours is provided to the user;
The above-mentioned overtime work can be applied for less than the second tim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The notification unit outputs a screen that can apply for overtime work on the output screen of the user's computer terminal, or includes an access address that can apply for overtime work with the user's mobile terminal for the user who is absent, out of work, or on a business tri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nding a text messag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the overtime work from the employer,
Th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above are:
When the user applies for the overtime work through the computer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illegally applying for the overtime work with a computer terminal other than the user's in-house computer terminal IP (internet protocol) of the computer terminal contain information;
When the user applies for the overtime work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ncluded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illegally applying for the overtime work even though the user is absent from the office, out-of-home location or business trip do,
The step of allowing the login is
and rejecting the login by the log-in permitting unit when the current time has passed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After the step of comparing with the weekly overtime work hours,
The log-in permitting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logging out as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exceeded when the accumulated time is the same as the weekly extended work hours;
After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is applied,
maintaining the log-in state when the log-in permitting unit has approved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by the user; and
When the log-in permitting unit rejects the application for overtime work by the user,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logging out as the end time of the daily working time plan is exceeded.
KR1020220041628A 2020-06-15 2022-04-04 Method for managing overtime application to comply with standard working hour and system thereof KR102430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628A KR102430719B1 (en) 2020-06-15 2022-04-04 Method for managing overtime application to comply with standard working hour and system thereof
KR1020220097067A KR102511745B1 (en) 2020-06-15 2022-08-04 Method for providing time management solution able to respond effectively to standard working hou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567A KR102384261B1 (en) 2020-06-15 2020-06-15 Method for controlling working hours and system thereof
KR1020220041628A KR102430719B1 (en) 2020-06-15 2022-04-04 Method for managing overtime application to comply with standard working hour and system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567A Division KR102384261B1 (en) 2020-06-15 2020-06-15 Method for controlling working hours and system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067A Division KR102511745B1 (en) 2020-06-15 2022-08-04 Method for providing time management solution able to respond effectively to standard working hou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716A true KR20220044716A (en) 2022-04-11
KR102430719B1 KR102430719B1 (en) 2022-08-10

Family

ID=7916435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567A KR102384261B1 (en) 2020-06-15 2020-06-15 Method for controlling working hours and system thereof
KR1020220041628A KR102430719B1 (en) 2020-06-15 2022-04-04 Method for managing overtime application to comply with standard working hour and system thereof
KR1020220097067A KR102511745B1 (en) 2020-06-15 2022-08-04 Method for providing time management solution able to respond effectively to standard working hours
KR1020230033643A KR102528079B1 (en) 2020-06-15 2023-03-15 Method for providing solution to apply for and manage overtime work to effectively comply with overtime work standard
KR1020230055108A KR20230058604A (en) 2020-06-15 2023-04-27 Method for managing working hours for effective compliance with statutory working hours changed according to revision of labor standards act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567A KR102384261B1 (en) 2020-06-15 2020-06-15 Method for controlling working hours and system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067A KR102511745B1 (en) 2020-06-15 2022-08-04 Method for providing time management solution able to respond effectively to standard working hours
KR1020230033643A KR102528079B1 (en) 2020-06-15 2023-03-15 Method for providing solution to apply for and manage overtime work to effectively comply with overtime work standard
KR1020230055108A KR20230058604A (en) 2020-06-15 2023-04-27 Method for managing working hours for effective compliance with statutory working hours changed according to revision of labor standards 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38426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778A (en) * 2003-02-20 2004-09-09 Ricoh Co Ltd Working time zone creation device, working time zone creation method, and program to be executed by computer
JP2011221832A (en) * 2010-04-12 2011-11-04 Hitachi Ltd Overtime work application approval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20150033225A (en) * 2013-09-24 2015-04-01 중소기업은행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overtime work
KR20150096249A (en) 2014-02-14 2015-08-24 쉬스콘 주식회사 Worker Enterance Management method of Construction Site
JP2018120278A (en) * 2017-01-23 2018-08-02 株式会社アールピージー・ラボ Duty management system
JP2019045921A (en) * 2017-08-30 2019-03-22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System for managing labor time
KR20200006514A (en) * 2019-11-27 2020-01-20 김정훈 Labo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short-time worker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778A (en) * 2003-02-20 2004-09-09 Ricoh Co Ltd Working time zone creation device, working time zone creation method, and program to be executed by computer
JP2011221832A (en) * 2010-04-12 2011-11-04 Hitachi Ltd Overtime work application approval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20150033225A (en) * 2013-09-24 2015-04-01 중소기업은행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overtime work
KR20150096249A (en) 2014-02-14 2015-08-24 쉬스콘 주식회사 Worker Enterance Management method of Construction Site
JP2018120278A (en) * 2017-01-23 2018-08-02 株式会社アールピージー・ラボ Duty management system
JP2019045921A (en) * 2017-08-30 2019-03-22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System for managing labor time
KR20200006514A (en) * 2019-11-27 2020-01-20 김정훈 Labo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short-time wor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243A (en) 2022-08-09
KR102384261B1 (en) 2022-04-07
KR102430719B1 (en) 2022-08-10
KR102528079B1 (en) 2023-05-03
KR20230038693A (en) 2023-03-21
KR20210155268A (en) 2021-12-22
KR102511745B1 (en) 2023-03-20
KR20230058604A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7332B2 (en) Customer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service pipeline
US20210084144A1 (en) Communication Channel Enhancement
US10356091B2 (en) Communication enhancement methods
US10193844B1 (en) Secure cloud-based messaging and storage
US7912910B2 (en) Triggering a communication system to automatically reply to communications
US10152718B1 (en) Agent initiated actions
US20130073621A1 (en) Enforcing communication policy rules on shared documents
US201502277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messaging
US11671534B1 (en) Peer-to-peer VoIP
JP2014146320A (en) System for multi-point publication syndication
US11265419B1 (en) Agent controlled menu
US11592953B2 (en) Enterprise workspace notifications service
Wiefling et al. Verify it’s you: how users perceive risk-based authentication
KR102430719B1 (en) Method for managing overtime application to comply with standard working hour and system thereof
US11354010B2 (en) Enterprise workspace notifications service
AU2016101599A4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grated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Qualifications, Certificates, and Identification.
McLellan et al. Wherever you go, there you are (with your mobile device): Privacy risks and legal complexities associated with international ‘bring your own device’programs
JP5958586B2 (en) Entrance / exit device, entrance / exit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491883B1 (en) Communication channel enhancement
KR20190005000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Conference
US20240015040A1 (en) Domain and invite management 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CN102123163B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3156685A1 (en) Managing recurring payments from mobile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